KR20060092038A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038A
KR20060092038A KR1020050104999A KR20050104999A KR20060092038A KR 20060092038 A KR20060092038 A KR 20060092038A KR 1020050104999 A KR1020050104999 A KR 1020050104999A KR 20050104999 A KR20050104999 A KR 20050104999A KR 20060092038 A KR20060092038 A KR 2006009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einforcement
embedded
reinforcing ba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1786B1 (ko
Inventor
홍원기
황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6009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 상기 H형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터럽 철근; 상기 H형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상면 양측 모서리에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콘크리트 부재; 및 상기 H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개시한다.
콘크리트 복합 형강, 합성보

Description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Concrete-composite Crossbeam}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과 연결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하여 구축한 슬래브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축한 슬래브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래브 구조체에 채용되어 건물의 층고(層高)를 줄일 수 있고, 휨응력과 압축 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내화성 향상을 위하여 H형강을 별도로 피복할 필요가 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형강보는 건물의 각 층의 바닥 또는 천장인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20)와 슬래브(11)는 슬래브 구조체(10)를 이룬다.
한편, 건물의 각 층의 높이는 실내 공간의 높이와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더한 것이다. 즉,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줄일수록 각 층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층수(story)의 건물이라도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가 작을수록 그 층고가 작아지기 때문에 시공비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는 H형강보(20)의 높이(H1)와 슬래브(11)의 높이(H2)를 더한 것이다.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서 H형강 보(20)의 높이(H1) 또는 슬래브(11)의 높이(H2)를 줄이게 되면 슬래브 구조체(10)의 지지력 또는 휨 저항력이 약해지게 되어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여기에서, 미설명 참조 부호 11a는 슬래브(11)에 배근된 철근이다.
또한,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 H형강보(20)의 크기를 줄이면, 이 경우 H형강보(12')의 횡단면적도 감소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 및 휨응력에 대해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20)의 상부 플렌지(21)와 상응하는 홈(14a)이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14)를 H형강보(20)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구조체(15)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상기 홈(14a)의 깊이만큼 그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슬래브(13)에 수직 방향(A)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만, 슬래브(13)에 평행한 방향(B)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홈(14a)이 있는 부분의 슬래브(13)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전단 응력 및 휨 응력이 크게 집중되고 압축력에도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H형강보(20)의 웹(23)에 용접된 거치대(16)와, 거치대(16)에 설치된 데크 플레이트(17)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19)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웹(23)에 거치대(16)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거치대(16) 위에 데크 플레이트(17)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H형강보(20)의 소정 부분이 콘크리트에 매설되도 록 한 슬래브 구조체(19)이다.
상기 슬래브 구조체(19)는 도 2의 슬래브 구조체(15)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웹(23)에 거치대(16)를 용접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야 하고, 거치대(16)와 웹(23)의 용접 부분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래브 구조체들에서는 H형강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화재에 취약하다. 즉, 화재로 인한 고열이 그대로 H형강에 전달되어 H형강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출된 H형강은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가 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109980호로 출원한 바 있다. 아울러, 이러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시공 현장에 도입하여 적용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개선된 사항들이 제안되었는데, 그 중의 하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자체 무게를 줄이는 방안이다. 이것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미리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데 따른 노력을 절감시키고 시공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 다른 방안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에 연결하는 시공에 있어서, 노출된 인장/압축 철근이 기둥을 벗어나 비켜가도록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것은 노출 철근을 절단하고 그 단부를 기둥에 용접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을 없애주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기둥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추구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부재의 크기와 길이를 필요에 따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기둥을 연결 시공함에 있어서 인장/압축 철근과 같은 노출철근이 기둥을 비켜 지나가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이러한 철근을 절단하거나 용접 등을 할 필요가 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 상기 H형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터럽 철근; 상기 H형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상면 양측 모서리에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콘크리트 부재; 및 상기 H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복합 형강보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서포트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양측 모서리에 설치 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부는 그 단면이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H형강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용 H형강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에는 다른 복합 형강보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브라켓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럽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된 채로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 밑에서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철근부; 및 상기 수평철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가 콘크리트 부재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중간철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철근부의 상단부로부터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철근부;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 및 상기 스터럽 철근의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중간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 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부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이음철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중간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그 상면이 하면보다 넓은 사다리꼴 횡단면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중간철근부의 상단부로부터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철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철근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바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럽 철근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럽 철근의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단면이 'L'자 형태를 이루며,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럽 철근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럽 철근의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H형강(20)과, 상기 H형강(2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터럽(STIRRUP) 철근(30)과, 상기 H형강(20)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타설된 콘크리트 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H형강(20)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렌지(21) 및 하부 플렌지(22)와, 상기 상하부 플렌지(21)(22)를 서로 연결하는 웹(23)을 포함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H형강(20)의 하부플렌지(22) 또는 웹(2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40)에 매립되는 스터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터드는 H형강(20)과 콘크리트 부재(4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H형강(20)의 웹(23)에는 복수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타설시 콘크리트가 스며들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40)의 부착력을 증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럽 철근(30)은 H형강(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H형강(2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터럽 철근(30)은,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된 채로 상기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 밑에서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철근부(31)와, 상기 수평철근부(31)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가 콘크리트 부재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중간철근부(32)와, 상기 중간철근부(32)의 상단부로부터 양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철근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스터럽 철근(30)은 H형강(2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H형 강(20)의 횡단면에 걸쳐 고루 분산시키는 작용과, 횡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크리트 부재(40)는 H형강(20)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콘크리트 부재(40)는 하부 플렌지(22)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부재(40)는 H형강(20)과 함께 휨응력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한다. 또한, 콘크리트 부재(40)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횡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휨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콘크리트 부재(40)는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큰 하중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양단부의 폭이 중간 영역의 폭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부재(4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를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운반이나 취급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하단 코너부는 테이퍼처리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형강(20)의 양단부는 콘크리트 부재(40)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 등에 연결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노출된 H형강(20)의 단부에는 결합공(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H형강(20)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40)와 함께 후술하는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시공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로 축조된 구조물의 내화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40)의 상면은 소정의 거칠기(roughness)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상면에 타설되는 슬래브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는 길이 방향으로 배근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한다.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에 저항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바람직하게는 H형강(20)의 하부 플레지(22)와 스터럽 철근(30)의 수평철근부(31)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매립되는 복수개의 매립 철근(60)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노출 철근(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출 철근(70)은 스터럽 철근(30)의 연장철근부(33)에 결합되는데, 이 경우 노츨 철근(70)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중심으로부터 가능한 바깥쪽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에 연결할 때 상기 노출 철근(70)이 기둥을 비껴 지나갈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노출 철근이 양측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되어 있으나 노출 철근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한 하중 설계에 따라 복수개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매립 및 노출철근(60)(70)들은 용접되거나 또는 철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출 철근(70)은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 보다 상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장/압축 철근(60)(70)은 스터럽 철근(30)의 간격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및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지지체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립 철근(60)과 노출 철근(7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 다양한 철근들이 추가적으로 배근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콘크리트 부재(40) 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느다란 스틸 와이어 또는 와이어 메쉬(mesh)를 삽입함으로써 콘크리트 부재의 균열과 손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형강보의 중간에 다른 형강보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용 H형강(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용 H형강(20')은 복합형강보의 H형강(20)에 용접 등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접합된다. 상기 연결용 H형강(20')의 단부에는 다른 복합 형강보와의 연결을 위해 결합공(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는 상기 연장철근부(33)에 거치된 노출 철근(7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보조 캡 바아(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캡 바아(80)는 상기 양측에 있는 노출 철근(70)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70)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캡 바아(80)의 양단부가 노출 철근(70)을 감싸도록 배치한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또는 결속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키게 된 다. 이 경우 노출 철근(70)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하여 축조한 슬래브 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래브 구조체는 슬래브(100)와, 상기 슬래브(100)를 지지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200)를 포함한다.
보와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200)가 기둥(미도시) 사이에 결합된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200)가 기둥(300)에 결합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200)는 결합 플레이트(210)와 볼트(220) 등의 체결부재 및/또는 용접에 의해 그 단부가 CFT(Concrete filled tube) 또는 기둥(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기둥(300)에 지지 브라켓(미도시)을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200)를 거치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노출 철근(70)은 스터럽 철근(30)의 연장철근부(33)에 거치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형강보의 중심에서 가장자리에 치우쳐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300)과 간섭되지 않고 기둥을 비껴 지나가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200)의 콘크리트 부재(40) 위에 데크 플레이트(90)가 놓여진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90)는 통상적으로 크랭크 철근(103)과 일체로 제작되어 공급된다.
상기 슬래브에는 추가적인 철근이 배근되는데, 바람직하게, H형강(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보강 철근(101)과, 상기 H형강(2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철근(102)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철근(102)은 H형강(20)의 웹(23)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철근(102)은 스터럽 철근(30)의 중간철근부(32) 및/또는 연장철근부(33) 및/또는 노출철근(70)과 접촉하여 철사 등에 의해 결속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철근(102)은 보강 철근(101)과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일측의 보강 철근(101)에 미치는 압축력을 타측에 있는 보강 철근(101)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철근들이 서로 소정 간격 이내로 접근된 경우에 철근들 사이에서 응력이 상호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90)는 크랭크 철근(103)과 연결철근(102) 및/또는 노출철근(7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크랭크 철근(103)은 연결철근(102) 및/또는 노출철근(70)과의 접촉부에서 철사 등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크랭크 철근(103)은 상기 스터럽 철근(30)의 연장철근부(33)와도 결속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0은 스터럽 철근(30)의 연장철근부(33)가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 대한 크랭크 철근(103)의 결속 상태를 보여준다. 이 경우, 크랭크 철근(103)은 연결철근(102)과 스터럽 철근(30)의 연장철근부(33) 및/또는 노출철근(70)에 모두 결속된 상태가 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럽 철근(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대안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터럽 철근(30)의 수평철근부(31)와 중간철근부(32)는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되어 제조되고, 나머지 연장철근부(33)는 건축물 시공시에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중간철근부(32)의 선단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철근의 배근의 완료되면 콘크리트를 부어 슬래브 구조체를 타설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도 상기 상기 데크 플레이트(90)는 해체되지 않고 영구 구조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3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들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형강보의 콘크리트 부재(40) 위에는 그 위에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져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서포트(50)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50)는, 콘크리트 부재(40)의 상면 모서리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포트(50)는 그 상면에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 지지되는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과 일체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부재(40)에 매립되는 매립부재(52)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51)은 콘크리트 부재(40)의 상면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매립부재(52)는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됨으로써 서포트(50)를 견고하게 고정시 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부재(40) 위에 서포트(5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90)는 용접에 의해 상기 서포트(5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콘크리트 부재(40)의 측면에는 다른 복합 형강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25)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5)은 그 일단이 바람직하게, 상기 H형강(20)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콘크리트 부재(40) 측면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 연결브라켓(25)의 노출부에는 복수의 결합공(25a)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연결하는 복합 형강보의 H형강(2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0a)에 상응된다. 따라서, 이들 결합공(25a)(20a)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의해 복합 형강보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형강보에서는, 스터럽 철근(30)의 연장철근부(33)가 중간철근부(32)와 일체로 제작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복합 형강보를 설치할 때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다. 이와 같이 연장철근부(33)를 별도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복합 형강보의 운반이나 취급이 보다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4에 도시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구비된 스터럽 철근(30a)의 연장철근부(33a)는 그 선단부가 절곡되어 노출 철근(7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노출 철근(70)을 연장철근부(33a)에 용접하거나 결속시킴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 전술한 보조 캡 바아(도 6의 80)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H형강(20)의 웹(23)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음철근(110)을 구비한다.
상기 이음철근(110)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위에 가설되는 슬래브(도 9의 100)와의 이음을 강화하고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H형강(20)의 웹(23)으로부터 슬래브와 평행하게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0a)와, 상기 웹(23)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된 채로 상기 콘크리트 부재(40) 내부로 매립되는 고정부(110b)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110b)는 상기 웹(23)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음철근(110)은 상기 스터럽 철근(3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스터럽 철근(30)과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스터럽 철근(3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용접 등으로 상호 체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이음철근(11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 9에서 설명된 연결철근(102)이 없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이음철근(110)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90)를 설치하고 슬래브(100)를 타설할 경우 슬래브 내로 매립되어 슬래브와의 결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음철근은 콘크리트 부재(40)와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철근(110')은 H형강(20)의 웹(23)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110a')와, 상기 웹(23)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 채로 상기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되는 고정부(110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하부 플렌지(22)에는 별도의 스터드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이음철근(110')의 고정부(110b')에 의해 콘크리트 부재(40)와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다.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결착력을 높이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40)에 구비된 서포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50')는 데크 플레이트(도 9의 90)를 지지하는 브라켓(51'), 및 상기 브라켓(51')과 일체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부재(40)에 매립되도록 상기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까지 연장되는 매립부재(5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매립부재(52')는 그 단부가 상기 하부 플렌지(22)에 예컨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콘크리트 부재(40)와의 결착력을 높이는 보강 부재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18은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축방향 응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부재(40) 내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제1 및 제2 보조철근(121)(122)이 더 설치되는데, 제1 보조철근(121)은 스터럽 철근 (30)의 중간철근부(32)에 내접하도록 설치되고, 제2 보조철근(122)은 H형강(20)의 웹(23)에 내접하도록 설치된다. 이 보조철근은 축방향 응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보조철근(121)(122)들은 결속철근(12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상기 결속철근(120)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보조철근(121)(122)과 결속되거나 또는 용접되어 고정된 채로,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상기 결속철근(120)은 소정 간격으로 상기 스터럽 철근(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스터럽 철근(30)과 접촉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철근(120)은 스터럽 철근(30)과 함께 폐쇄 철근 형태를 이루어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9는 앞서 도 15에 도시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보조철근(121)(122)과 결속철근(120)이 구비된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제1 보조철근(121)은 스터럽 철근(30)의 중간철근부(32)에 내접하도록 설치되고, 제2 보조철근(122)은 이음철근(110)의 고정부(110b)에 내접하도록 설치된다.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폐쇄형 사각 스터럽 철근(130)을 포함한다. 상기 스터럽 철근(130)은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를 감싸는 동시에 그 양단이 웹(23)의 양측과 맞닿아 있다. 상기 양단은 별도의 고정없이 지지되거나 또는 용접처리된다.
또한, 상기 스터럽 철근(130)의 상부는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시공시 슬래브(도 9의 100)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와의 상호 결착력 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이음철근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출 철근(70)이 설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철근(70)이 용접되거나 결속되어 거치되는 연장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140)는 전술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연장철근부(33)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L'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연장부재(140)의 일단은 상기 스터럽 철근(130)의 상부 모서리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은 노출철근(7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재(1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노출철근(70)이 설치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2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부재(40) 상에는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져 지지되는 서포트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콘크리트 부재(40)의 상면 모서리에 구비되는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되는 연결로드(5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로드(53)는 H형강(20)의 웹(23)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그 일단은 좌측에 있는 브라켓(5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우측에 있는 브라켓(51)에 고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로드(53)는 스터럽 철근(30)과 접촉하거나 인접하 여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결로드(53)와 스터럽 철근(30)은 콘크리트와의 결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보강력 및 콘크리트 구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40)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장방형의 커버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50)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40)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15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제작할 때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커버부재(150)에 H형강(20)을 비롯한 매립 철근(60), 서포트(50), 이음철근(110)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커버부재(150)가 일체로 피복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15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운반 또는 시공 과정에서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콘크리트 부재(40)의 하단 모서리 코너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곡된 코너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너부재(150')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거나 스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코너부재(150')와 콘크리트 부재(40)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코너부재(15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23을 참조로 설명된 구성들은 비록 단면이 사각형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대한 것이었으나, 이들은 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은 모두 도면으로 예시되지 않더라도 그 구성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 24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부재(40')의 단면은 그 상면이 하면보다 넓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이 경우 콘크리트 부재(40')의 상면이 하면보다 넓기 때문에 데크 플레이트(90)가 거치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25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H형강(20)과, 상기 H형강(20)의 하부를 감싸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터럽 철근(30')과, 상기 H형강(20)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타설된 사다리꼴 단면 모양의 콘크리트 부재(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럽 철근(30')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된 채로 상기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 밑에서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철근부(31')와, 상기 수평철근부(31')의 양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그 상단부가 콘크리트 부재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중간철근부(32')와, 상기 중간철근부(32')의 상단부로부터 양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철근부(3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중간철근부(32')는 바람직하게, 사다리꼴 콘크리트 부재(40')의 측면과 나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노출 철근(70)이 연장철근부(33')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노출 철근(70')이 코너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더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형강보를 기둥에 연결할 때 노출 철근(70')이 기둥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부재(40')의 상면 모서리에도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져 지지되는 서포트(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50")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과 일체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부재(40)에 매립되는 매립부재(52")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51")은 콘크리트 부재(40')의 상면 모서리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 예컨대 "L"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스트립 부재가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51")은 미관을 위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브라켓(51")의 단면이 콘크리트 부재(40')의 상면 모서리 단면에 상응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브라켓(51")의 외측 표면은 콘크리트 부재(40')의 모서리 표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H형강(20)과, 상기 H형강(20)의 하부를 감싸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터럽 철근(30")과, 상기 H형강(20)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타설된 사다리꼴 단면 모양의 콘크리트 부재(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럽 철근(30")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40') 내에 매립된 채로 상기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 밑에서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 철근부(31")와, 상기 수평철근부(31")의 양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그 상단부가 콘크리트 부재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중간철근부(32")와, 상기 중간철근부(32")의 상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철근부(3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중간철근부(32")는 바람직하게, 사다리꼴 콘크리트 부재(40')의 측면과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노출 철근(70")이 연장철근부(33")의 코너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더라도 형강보를 기둥에 연결할 때 노출 철근(70")이 기둥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연장철근부(33")를 굳이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도 27 및 도 2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부재(40a)(40'a)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그 단면이 사각형인 공동부(40b)(4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동부(40b)(40'b)는 콘크리트 부재(40a)(40'a)의 공동부가 형성될 영역에 메탈래스(metal lath)(142)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동부(40b)(40'b)는 콘크리트 부재(40a)(40'a)의 적어도 일부에는 콘크리트를 채우지 않음으로써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전체 무게를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운반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공동부(40b)(40'b)의 크기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크기와 무게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의 적어도 일부가 콘크리트 부재(40a)(40'a) 내에 매립되는 정도로 설정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하부 플렌지(22)가 모두 콘크리트 부재(40a)(40'a)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이러한 공동부(40b)(40'b)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40a)(40'a)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에,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동부(40b)(40'b)가 있는 영역의 콘크리트 부재(40a)(40'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 철근(135)(13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철근(135)(136)은 슬래브 타설을 위해 공동부(40b)(40'b)에 콘크리트를 주입할 경우 콘크리트와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터드 철근(135)(136)의 일단은 스터럽 철근(130)(30')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공동부(40b)(40'b)로 연장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 철근 대신에 상기 공동부에 있는 콘크리트 측면에 전단굴곡부(Shear key)(41)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와의 결착력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무게를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해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부재(40c)(40'c)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개구폭이 점점 더 커지도록 공동부(40d)(40'd)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동부(40d)(40'd)는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의 양단이 매립되는 부분에서는 그 개구폭이 작지만, 그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개구폭이 점점 더 커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부재(40c)(40'c)의 무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동부(40d)(40'd)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 된다.
상기와 같은 공동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면서 슬래브와 보가 일체로 시공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32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부재(40c)의 공동부(도 30의 40d 참조)에는 충진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진부재(150)는 공동부를 메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슬래브 축조를 위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공동부 내에 침투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이 훨씬 간편하다. 상기 충진부재(150)는 스티로폼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 33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있어서 콘크리트 부재(40")는 H형강(20)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복합 형강보의 전체 무게는 현저히 감소되어 운반이나 설치 및 시공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매립 철근(60)의 노출된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매립 철근(60)을 H형강(20)의 하부플렌지(22)에 연결하도록 상호 용접되는 연결지지앵글(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도 33에서는 스터럽 철근(30)의 연장철근부(33)와 노출 철근(70)이 모두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시공할 때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부재(4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스터럽 철근(30)도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터럽 철근(30)과 매립 철근(60)의 노출된 부분은 상호 용접 또는 결속에 의해 결합된다. 이것은 현장에서 스터럽 철근(30)을 배근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공정을 줄이기 위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연결지지앵글(42')은 도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터럽 철근(30)의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어 H형강(2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연결지지앵글이 매립 철근(60)의 노출된 부분과 스터럽 철근(30) 모두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휨응력 및 압축 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해준다.
셋째,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H형강에 별도의 내화 피복을 할 필요가 없어 건물 내의 공기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공법이다.
넷째,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노출 철근이 그 중심에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자리 외측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시공시 기둥을 비껴서 지나가므로 이를 절단하여 마무리 하거나 기둥에 용접할 필요가 없다.
다섯째,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의 단면적을 양단부에서 크고 중간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 시키면서도 충분한 하중에 견디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공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전체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서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철골보와 슬래브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하는 스터드의 시공이 필요없게 된다.

Claims (134)

  1.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
    상기 H형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터럽 철근;
    상기 H형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상면 양측 모서리에 데크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콘크리트 부재; 및
    상기 H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단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가 형성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H형강의 단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모서리에 설치되도록 "L"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는 그 단면이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는 메탈래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에 충진되는 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 트 복합 형강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로부터 상기 공동부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터드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에 있는 콘크리브 부재의 측면에는 전단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하단 코너부에는 테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용 H형강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에는 다른 복합 형강보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된 채로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 밑에서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철근부; 및
    상기 수평철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가 콘크리트 부재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중간철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철근부의 상단부로부터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철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철근부는 상기 중간철근부의 상단에 용접 또는 결속에 의해 고정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 및
    상기 스터럽 철근의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철근부는 그 선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4. 제22항에 있어서,
    그 양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채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조 캡 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철근부는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또 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중간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부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이음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웹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중간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소정간격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하단 코너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코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또는 스틸 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웹에는 콘크리트가 스며들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그 양단부에 비해 중간 영역의 폭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H형강의 중앙부 일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며 그 양단이 노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철근의 노출된 단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럽 철근을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시키는 연결지지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그 상면이 하면보다 넓은 사다리꼴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된 채로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 밑에서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철근부; 및
    상기 수평철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가 콘크리트 부재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중간철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철근부의 상단부로부터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철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철근부는 상기 중간철근부의 상단에 용접 또는 결속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 및
    상기 스터럽 철근의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철근부는 그 선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6. 제44항에 있어서,
    그 양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채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조 캡 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철근부는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중간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부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이음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웹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중간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2. 제49에 있어서,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소정간격 경사지도록 연장되 어 그 단부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하단 코너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코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또는 스틸 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웹에는 콘크리트가 스며들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그 양단부에 비해 중간 영역의 폭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5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H형강의 중앙부 일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며 그 양단이 노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철근의 노출된 단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럽 철근을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시키는 연결지지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철근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바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철근부의 상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철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 및
    상기 스터럽 철근의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철근부는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6.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철근부의 상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연장철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철근부는 상기 중간철근부의 상단에 용접 또는 결속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 및
    상기 스터럽 철근의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69.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철근부는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0.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중간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1.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부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이음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웹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중간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 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4.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소정간격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5.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7.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하단 코너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코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또는 스틸 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79.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웹에는 콘크리트가 스며들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0.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그 양단부에 비해 중간 영역의 폭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1.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H형강의 중앙부 일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며 그 양단이 노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철근의 노출된 단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럽 철근을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시키는 연결지지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럽 철근의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5. 제84항에 있어서,
    단면이 'L'자 형태를 이루며,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스터럽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용접 또는 결속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7.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 및
    상기 연장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그 선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89. 제87항에 있어서,
    그 양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채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조 캡 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0.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그 선단부가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1.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2.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4.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하단 코너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코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또는 스틸 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6.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웹에는 콘크리트가 스며들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7.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그 양단부에 비해 중간 영역의 폭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8.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H형강의 중앙부 일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99.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며 그 양단이 노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철근의 노출된 단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럽 철근을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시키는 연결지지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1.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철근부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과 나란하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2. 제101항에 있어서,
    단면이 'L'자 형태를 이루며,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안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스터럽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용접 또는 결속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4.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 및
    상기 연장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5.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그 선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6. 제102항에 있어서,
    그 양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채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조 캡 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7.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그 선단부가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8.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09.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0.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1.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하단 코너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코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또는 스틸 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3.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웹에는 콘크리트가 스며들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4.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그 양단부에 비해 중간 영역의 폭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5.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H형강의 중앙부 일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6.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며 그 양단이 노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7. 제116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철근의 노출된 단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럽 철근을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시키는 연결지지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8.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폐쇄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럽 철근의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9. 제118항에 있어서,
    단면이 'L'자 형태를 이루며,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모서리 상단 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0.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스터럽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용접 또는 결속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1.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 및
    상기 연장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2.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그 선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3. 제121항에 있어서,
    그 양단부가 상기 노출 철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채로 횡방향 으로 설치되는 보조 캡 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4.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그 선단부가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5.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철근부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6.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7.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8.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하단 코너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코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29.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또는 스틸 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30.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H형강의 웹에는 콘크리트가 스며들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31.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그 양단부에 비해 중간 영역의 폭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32.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H형강의 중앙부 일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33. 제13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며 그 양단이 노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3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철근의 노출된 단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럽 철근을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시키는 연결지지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20050104999A 2005-02-17 2005-11-03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0761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119 2005-02-17
KR20050013119 2005-02-17
KR1020050037121 2005-05-03
KR1020050037121 2005-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38A true KR20060092038A (ko) 2006-08-22
KR100761786B1 KR100761786B1 (ko) 2007-09-28

Family

ID=3759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999A KR100761786B1 (ko) 2005-02-17 2005-11-03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7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057B1 (ko) * 2007-04-11 2008-02-28 (주)엠씨에스공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87691B1 (ko) * 2007-07-10 2010-10-14 한국과학기술원 허니컴스틸메쉬를 이용하여 전단 보강한 철근콘크리트빔,이의 시공방법
KR101036088B1 (ko) * 2010-07-28 2011-05-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부재
KR101234751B1 (ko) * 2011-03-08 2013-02-19 강릉건설 주식회사 지보 시공방법과 그 골조 체결구조
KR101240409B1 (ko) * 2010-08-25 2013-03-11 김세준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보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36800A (ko) * 2014-09-26 2016-04-05 (주)수하담 라멘구조용 프리텐션 프리캐스트 중경간 보이드 빔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195B1 (ko) 2008-12-10 2012-02-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 메쉬를 구비한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196472B1 (ko) * 2009-04-20 2012-11-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티형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1833949B1 (ko) 2015-06-22 2018-03-05 (주)퍼스텍이엔지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518B2 (ja) * 1988-03-03 1994-08-10 飛島建設株式会社 多階建築物用制振性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梁
JPH06167066A (ja) * 1992-11-30 1994-06-14 Maeda Corp スラブ形成方法
KR100227463B1 (ko) * 1996-09-21 1999-11-01 김헌출 건축물용 복합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057B1 (ko) * 2007-04-11 2008-02-28 (주)엠씨에스공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87691B1 (ko) * 2007-07-10 2010-10-14 한국과학기술원 허니컴스틸메쉬를 이용하여 전단 보강한 철근콘크리트빔,이의 시공방법
KR101036088B1 (ko) * 2010-07-28 2011-05-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부재
KR101240409B1 (ko) * 2010-08-25 2013-03-11 김세준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보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34751B1 (ko) * 2011-03-08 2013-02-19 강릉건설 주식회사 지보 시공방법과 그 골조 체결구조
KR20160036800A (ko) * 2014-09-26 2016-04-05 (주)수하담 라멘구조용 프리텐션 프리캐스트 중경간 보이드 빔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786B1 (ko)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786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0797194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0747661B1 (ko)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1157147B1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196472B1 (ko) 티형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20090068536A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0742577B1 (ko) 복합 구조 프레임 시스템
KR100741431B1 (ko)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KR101112195B1 (ko) 와이어 메쉬를 구비한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0761785B1 (ko)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1735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KR101044730B1 (ko) 상부 인장력과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철근 구조물을 포함하고, 배관, 전선 또는 통신선 등이 지나가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보
CN112359966A (zh) 一种叠合梁与混凝土柱的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2325276B1 (ko) 하프 pc 연속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395627Y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2491762B1 (ko) 반슬림 합성보용 보강재와 개량형 반슬림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반슬림 합성보 구조
KR100579586B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200391692Y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0694765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연결 방법
KR100640250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200384109Y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100694763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