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785B1 -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Google Patents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1785B1 KR100761785B1 KR1020050072516A KR20050072516A KR100761785B1 KR 100761785 B1 KR100761785 B1 KR 100761785B1 KR 1020050072516 A KR1020050072516 A KR 1020050072516A KR 20050072516 A KR20050072516 A KR 20050072516A KR 100761785 B1 KR100761785 B1 KR 1007617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formwork
- concrete member
- composite beam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7)
-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는 노출시키는 반면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 및 하부 플렌지를 매립할 정도의 두께로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하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과, 상기 바닥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포함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스터럽 철근의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철근부와, 상기 수평철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가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있는 중간철근부와, 상기 중간철근부의 선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철근부로 구성되며,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 및 상기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로부터 상기 공동부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터드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는 노출시키는 반면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 및 하부 플렌지를 매립할 정도의 두께(T2)로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 장되며 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T1)를 가지는 서브 콘크리트 부재;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과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과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 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스터럽 철근의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철근부와, 상기 수평철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가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있는 중간철근부와, 상기 중간철근부의 선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철근부로 구성되며,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 및 상기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로부터 상기 공동부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터드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삭제
- 삭제
-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지지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T3)를 가지는 콘크리트 부재;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 전체에 걸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포함하고,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 과 맞닿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철근부와, 상기 수평철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가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있는 중간철근부와, 상기 중간철근부의 선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철근부로 구성되며,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 및 상기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하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과, 상기 바닥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포함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후프철근; 및상기 후프철근과 결합되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3항에 있어서,그 일단부가 상기 후프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로부터 상기 공동부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터드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장방형의 메인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두께(T5)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T4)를 가지는 서브 콘크리트 부재;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과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과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후프철근; 및상기 후프철근과 결합되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9항에 있어서,그 일단부가 상기 후프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28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31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로부터 상기 공동부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터드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삭제
-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T6)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 전체에 걸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포함하고,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후프철근; 및상기 후프철근과 결합되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35항에 있어서,그 일단부가 상기 후프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항 내지 제15항 및 제2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서포트는,상기 콘크리트 부재 상면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항 내지 제15항 및 제2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서포트는,상기 콘크리트 부재 상면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상기 양측단에 있는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연결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트립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항 내지 제15항, 제18항 내지 32항,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거푸집의 측벽의 상단부 에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40항에 있어서,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상기 거푸집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41항에 있어서,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42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에는 그 위에 놓여지는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항 내지 제15항, 제18항 내지 32항,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거푸집의 측벽 상호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44항에 있어서,상기 횡보강부재는,나사산이 형성된 철근의 양단이 상기 거푸집의 측벽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항 내지 제15항, 제18항 내지 32항,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는 위로 볼록하게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제1항 내지 제15항,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H형강의 하부플렌지에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스터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6520 | 2005-06-28 | ||
KR1020050056520 | 2005-06-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950A KR20070000950A (ko) | 2007-01-03 |
KR100761785B1 true KR100761785B1 (ko) | 2007-09-28 |
Family
ID=3786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2516A KR100761785B1 (ko) | 2005-06-28 | 2005-08-08 |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178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7591B1 (ko) | 2009-08-24 | 2010-05-14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
WO2011049260A1 (ko) * | 2009-10-23 | 2011-04-28 |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
WO2011087248A2 (ko) * | 2010-01-12 | 2011-07-21 | (주)동하이엔지 | 보 구조용 거푸집 |
KR102008724B1 (ko) * | 2018-11-29 | 2019-08-08 | 임환빈 | 비탈형 보 거푸집 및 비탈형 보 거푸집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9050B1 (ko) * | 2009-05-15 | 2012-02-21 | 민부기 | 에이치 형강 매립 구조 |
KR101286557B1 (ko) * | 2011-10-24 | 2013-07-2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층고절감형 강합성보 및 이를 구비한 바닥판 구조 |
KR101766806B1 (ko) * | 2015-08-28 | 2017-08-3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
CN114319129B (zh) * | 2018-12-28 | 2023-10-20 |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 一种钢牛腿和支撑系统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6856A (en) | 1981-03-09 | 1982-09-10 | Hasegawa Komuten Kk | Pc beam |
JPS57178058A (en) | 1981-04-24 | 1982-11-02 | Hasegawa Komuten Kk | Pc beam |
JPH04333747A (ja) * | 1991-05-09 | 1992-11-20 | Kajima Corp | 鉄骨鉄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 |
JPH0510001A (ja) * | 1991-07-03 | 1993-01-19 | Oriental Kensetsu Kk | 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梁 |
KR950018989A (ko) * | 1993-12-02 | 1995-07-22 | 현명관 | 철골 철근 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
JPH0978690A (ja) * | 1995-09-20 | 1997-03-25 | Hazama Gumi Ltd | プレキャスト部材 |
JPH1061102A (ja) | 1996-08-14 | 1998-03-03 | Taisei Corp | 中抜きPCa梁 |
JPH10325173A (ja) | 1997-05-27 | 1998-12-08 | Kobayashi Jun | 梁の構築方法及び梁型枠装置並びに側板用のキャップ |
KR200383490Y1 (ko) | 2005-02-17 | 2005-05-03 |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
KR200384109Y1 (ko) | 2004-09-11 | 2005-05-11 |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
KR200395627Y1 (ko) | 2005-06-28 | 2005-09-13 |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
-
2005
- 2005-08-08 KR KR1020050072516A patent/KR1007617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6856A (en) | 1981-03-09 | 1982-09-10 | Hasegawa Komuten Kk | Pc beam |
JPS57178058A (en) | 1981-04-24 | 1982-11-02 | Hasegawa Komuten Kk | Pc beam |
JPH04333747A (ja) * | 1991-05-09 | 1992-11-20 | Kajima Corp | 鉄骨鉄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 |
JPH0510001A (ja) * | 1991-07-03 | 1993-01-19 | Oriental Kensetsu Kk | 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梁 |
KR950018989A (ko) * | 1993-12-02 | 1995-07-22 | 현명관 | 철골 철근 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
JPH0978690A (ja) * | 1995-09-20 | 1997-03-25 | Hazama Gumi Ltd | プレキャスト部材 |
JPH1061102A (ja) | 1996-08-14 | 1998-03-03 | Taisei Corp | 中抜きPCa梁 |
JPH10325173A (ja) | 1997-05-27 | 1998-12-08 | Kobayashi Jun | 梁の構築方法及び梁型枠装置並びに側板用のキャップ |
KR200384109Y1 (ko) | 2004-09-11 | 2005-05-11 |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
KR200383490Y1 (ko) | 2005-02-17 | 2005-05-03 |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
KR200395627Y1 (ko) | 2005-06-28 | 2005-09-13 |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7591B1 (ko) | 2009-08-24 | 2010-05-14 |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
WO2011049260A1 (ko) * | 2009-10-23 | 2011-04-28 |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
WO2011087248A2 (ko) * | 2010-01-12 | 2011-07-21 | (주)동하이엔지 | 보 구조용 거푸집 |
WO2011087248A3 (ko) * | 2010-01-12 | 2011-11-17 | (주)동하이엔지 | 보 구조용 거푸집 |
KR102008724B1 (ko) * | 2018-11-29 | 2019-08-08 | 임환빈 | 비탈형 보 거푸집 및 비탈형 보 거푸집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950A (ko) | 2007-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7661B1 (ko) |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
KR101196472B1 (ko) | 티형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
KR100797194B1 (ko) |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KR101570484B1 (ko) |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090068536A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 |
KR101025892B1 (ko) | 콘크리트 스틸하우스 | |
KR20120140386A (ko) | 내부중공재를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0761785B1 (ko) |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
KR101637451B1 (ko) | 접합부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매입형 합성기둥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매입형 합성기둥 세그먼트의 접합방법 | |
KR10122926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0741431B1 (ko) |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 |
KR100775359B1 (ko) |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
KR101768056B1 (ko) |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 |
KR101658390B1 (ko) | 암거 보강 공법 | |
KR100761786B1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 |
KR101735077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 |
KR200395627Y1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 |
KR102491762B1 (ko) | 반슬림 합성보용 보강재와 개량형 반슬림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반슬림 합성보 구조 | |
KR101215764B1 (ko) | 지하 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 구조 | |
KR20060023915A (ko) |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 |
KR100694763B1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 |
KR100789319B1 (ko) |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KR100694765B1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연결 방법 | |
KR100640250B1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 |
JP2010281040A (ja) |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構築用パネルおよび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1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