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431B1 -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431B1
KR100741431B1 KR1020050072515A KR20050072515A KR100741431B1 KR 100741431 B1 KR100741431 B1 KR 100741431B1 KR 1020050072515 A KR1020050072515 A KR 1020050072515A KR 20050072515 A KR20050072515 A KR 20050072515A KR 100741431 B1 KR100741431 B1 KR 100741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deck plate
fastening bol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873A (ko
Inventor
홍원기
Original Assignee
(주)엠씨에스공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에스공법 filed Critical (주)엠씨에스공법
Priority to KR102005007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4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 및 복합형강보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거푸집, H형강, 보

Description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 시공방법{Mold assembly,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H형강에 보강철근이 배근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H형강에 거푸집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물을 시공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를 효과적으로 타설하는 동시에 설치와 탈형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거푸집 조립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이들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형강보는 건물의 각 층의 바닥 또는 천장인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12)와 슬래브(11)는 슬래브 구조체(10)를 이룬다.
한편, 건물의 각 층의 높이는 실내 공간의 높이와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더한 것이다. 즉,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줄일수록 각 층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층수의 건물이라도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가 작을수록 그 층고가 작아지기 때문에 시공비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는 H형강보(12)의 높이(H1)와 슬래브(11)의 높이(H2)를 더한 것이다.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서 H형강보(12)의 높이(H1) 또는 슬래브(11)의 높이(H2)를 줄이게 되면 슬래브 구조체(10)의 지지력 또는 휨 저항력이 약해지게 되어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여기에서, 미설명 참조부호 11a는 슬래브(11)에 배근된 철근이다.
또한,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 H형강보(12)의 크기를 줄이면, 이 경우 H형강보의 횡단면적도 감소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 축력 및 휨응력에 대해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12)의 상부 플렌지(12a)와 상응하는 홈(14a)이 형성된 데크플레이트(14)를 H형강보(12)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구조체(15)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상기 홈(14a)의 깊이만큼 그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슬래브(13)에 수직 방향(A)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만, 슬래브(13)에 평행한 방향(B)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홈(14a)이 있는 부분의 슬래브(13)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전단 응력 및 휨 응력이 크게 집중되고 압축력에도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H형강보(12)의 웹(12b)에 용접된 거치대(16)와, 거치대(16)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17)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19)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웹(12b)에 거치대(16)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거치대(16) 위에 데크플레이트(17)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H형강보(12)의 소정 부분이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한 슬래브 구조체이다.
상기 슬래브 구조체(19)는 도 2의 슬래브 구조체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웹(12b)에 거치대(16)를 용접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야 하고, 거치대(16)와 웹(12b)의 용접 부분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래브 구조체들에서는 H형강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화재 에 취약하다. 즉, 화재로 인한 고열이 그대로 H형강에 전달되어 H형강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출된 H형강은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가 되어야만 한다.
한편, 종래의 보 시공과정에 있어서는, 보의 뼈대를 이루는 H형강을 설치하고 이를 둘러싸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위에 데크 플레이트 등을 거치시킨 다음 보와 슬래브를 타설하였다. 상기 거푸집은 H형강을 둘러싸는 거푸집 역할과 함께 슬래브 타설용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므로 동바리 등의 지지체에 의해 그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거푸집 하부의 공간은 동바리 등의 지지구조물로 채워져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거푸집의 구조가 복잡하여 이를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체된 거푸집은 다시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고 동바리 등의 지지구조물 없이 설치될 수 있는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거푸집 조립체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복합형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거푸집 조립체 및 복합형강보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결합되는 강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단부 에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거푸집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에는 그 위에 놓여지는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 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횡보강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된 철근의 양단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을 관통한 뒤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기둥이 되는 형강에 보 축조를 위해 H형강을 연결하는 단계; (b) 보를 구성하는 보강철근을 상기 H형강 주위에 배근하는 단계; (c) 상기 보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거푸집 본체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를 상기 H형강에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거푸집 조립체 위에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거푸집 조립체와 데크 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 (f) 상기 체결볼트를 풀어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를 탈형시키는 동시에 상기 매립용 너트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남아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매립용 너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설치된 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는, 횡보강부재에 의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그 단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의 지지부 위에 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배근되는 보강철근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 및 상기 스터럽 철근에 H형강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철근은,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계(d)는,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보강철근을 배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배근되는 보강철근은, 상기 H형강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철근; 및 상기 지지 철근과 인접하도록 상기 H형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철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 상기 H형강 주위에 배근된 보강철근;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 및 상기 H형강을 지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매립용 너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복합형강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100)는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장방형의 거푸집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 본체는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110)과, 상기 바닥(110)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120)(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110)과 측벽(120)(130)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거푸집 본체는 유리 섬유, 카본 섬유, 케블라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 또는 FRP 섬유가 와인딩 또는 압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100)는 보 구조물 시공시에 미리 설치된 H형강에 거치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때, 거푸집 조립체(100)가 휘어지거나 손상되지 않고 원형을 제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보강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보강수단은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 하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바람직하게 스틸 등의 금속 소재로 제조된 강관 형상을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바닥(11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배열된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체결볼트(150)에 의해 거푸집에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재(14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체결볼트(150)가 상기 지지부재 (140)의 관통공과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을 차례대로 관통하여 그 나사단부가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150)의 나사단부에는 매립용 너트(160)가 체결된다. 상기 매립용 너트(160)는 상기 체결볼트(150)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체결볼트(150)가 콘크리트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거푸집 해체시 상기 체결볼트(150)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반면 상기 매립용 너트(160)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채로 남아 있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매립용 너트(160)는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100)를 H형강에 매다는 결합 지지체가 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매립용 너트(160) 사이의 거리(D)는 H형강의 하부 플렌지의 너비(도 7의 W 참조)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볼트(150)와 매립용 너트(160)의 결합 개수와 위치는 시공되는 보 구조물과 거푸집의 크기 및 규모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립용 너트(160)와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 사이에는 시멘트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 테이프(미도시)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140)는 거푸집의 바닥(110)을 가로지르는 연속적인 강관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체결볼트(150)와 매립용 너트(160)의 결합 지점 각각에 독립적으로 구비된 와셔 타입의 플레이트가 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의 하면과 면접촉하는 연속적인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는 거푸집의 바닥(110)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어떠한 수단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 상단부 에지에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가 설치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래브를 시공할 경우 데크 플레이트 등을 올려 놓고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는 바람직하게, 상기 측벽(120)(130)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71)와, 상기 결합부(171)로부터 수평으로, 바람직하게는 양측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위에 거치되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17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172)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171)의 반대측에 금속 소재의 보조 결합부(1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결합부(173)는 측벽(120)(130)의 상단부 에지부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연속적인 스트립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1)(173)는 다양한 방법으로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에 결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71)(173)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180) 등을 체결함으로써 거푸집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양생 후에 거푸집 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해 상기 체결볼트(180)는 매립용 너트(181)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171)(173)와 본체 사이에는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용 수지(182)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17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 등을 체결할 수 있도록 결합공(172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대향하는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을 상호간 연결하여 이를 지지하는 횡보강부재(190)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벽(120)(130)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철근과 같은 소재의 횡보강부재(19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횡보강부재(190)의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후 너트(191)에 의해 양단이 나사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횡보강부재(19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를 H형강에 거치시킬 때에 조립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횡보강부재(190)의 단부가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을 더욱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측벽(120)(130)과 너트(191) 사이에 보강부재(192)를 개재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횡보강부재(19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할 때, 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해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이 바깥으로 벌어지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방법이 흐름도로 나타나 있다.
먼저, 건축물의 기둥이 될 위치에 설치된 형강(도 6의 200) 사이에 시공하는 보의 뼈대가 되는 H형강(20)을 연결하여 설치한다(단계 S100). 예를 들어, 상기 형강(200)은 건축물의 기둥이 될 위치의 지면에 타립되고, 이어서, 소정 지하층까지 터파기를 진행함으로써 그 상부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H형강(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렌지(21) 및 하부 플렌지(22)와, 상기 상하부 플렌지(21)(22)를 서로 연결하는 웹(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H형강(20)은 슬래브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도록 시공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강(200)의 일측에 지지용 브라켓(210)을 설치하고 여기에 H형강(20)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H형강(2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체결볼트(220)를 삽입하여 브라켓(210)과 결합시킴으로써 H형강(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H형강에 대한 설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용접을 비롯한 그 밖에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H형강이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어서, 상기 H형강(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를 구성하는 보강철근 즉, H형강(20)을 감싸는 보강철근을 배근한다(단계 S2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철근은 H형강(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스터럽 철근(30)과, 상기 H형강(20)과 나란하게 배근되는 복수의 인장/압축 철근(40)(50)을 포함한다.
상기 스터럽 철근(30)은 하부 플렌지(22)를 감싸도록 폐쇄형을 이루며 그 양단이 H형강(20)의 웹(23)의 양측과 맞닿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됨으로써 지지된다.
상기 스터럽 철근(30)은 H형강(2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H형강(20)의 횡단면에 걸쳐 고루 분산시키는 작용과, 횡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장/압축 철근(40)(50)은 거푸집 조립체에 작용하는 인장 및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지지체가 된다. 바람직하게, 제1 인장/압축 철근(40)은 상기 스터럽 철근(30)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바람직하게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와 상기 스터럽 철근(3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철근은 상기 스터럽 철근(30)의 모서리 상단에 설치된 거치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35)는 'ㄱ'자 형태를 이루며, 그 일단부(35a)가 상기 스터럽 철근(30)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용접되거나 결속되어 고정되며, 그 타단부(35b)는 보의 양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재(35)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35)의 연장부(35b)에는 제2 인장/압축철근(50)이 거치되도록 결합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인장/압축철근(50)은 거푸집 조립체의 중심으로부터 가능한 양측방향 바깥쪽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형강(200)을 비껴 지나갈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인장/압축철근(50)은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 보다 상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부재(35)의 연장부(35b)가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보다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인장/압축철근(50)도 상부 플렌지(2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장/압축 철근(40)(50)들은 용접되거나 또는 철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부재(35)에 거치된 인장/압축철근(5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보조 캡 바아(45)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캡 바아(45)는 상기 양측에 있는 인장/압축철근(50)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인장/압축철근(50)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캡 바아(45)의 양단부가 인장/압축철근(50)을 감싸도록 배치한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또는 결속 등의 방법으로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연장부(35b)의 끝단이 예컨대, 하방으로 절곡되어 인장/압축철근(5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보강철근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 다양한 철근들의 배열이 채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보강철근의 배근이 완료되면,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형강(20)에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100)를 매달아 설치한다(단계 S300). 바람직하게, 상기 거푸집 조립체(100)는 연결부재(60)에 의해 H형강의 하부 플렌지(22)에 매달리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60)의 일단은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에 설치된 매립용 너트(16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그 타단은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의 양측단부 상면에 걸쳐지도록 고정된다. 도 8에서는 매립용 너트(160)와 연결부재(60)의 결합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들을 실선으로 도시하여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거푸집 측벽(120)(130)의 상단부가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래브를 축조할 경우 효과적으로 층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거푸집 조립체(100)가 H형강(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결부재(60)에 의해 매립용 너트(160)가 지지되고, 상기 매립용 너트(160)는 지지부재(140)를 결합시키는 체결볼트(150)와 결합되므로, 결과적으로 거푸집 본체(100)가 하부로 처지지 않고 지지부재(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100)는 연결부재(60)에 의해 H형강(20)에 지지되므로 그 하부에 동바리와 같은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거푸집 하부의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할 때 측벽(120)(130)이 벌어지거나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횡보강부재(190)가 조립될 수 있다. 즉, 거푸집 본체의 일측 측벽(1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횡보강부재(190)를 삽입하여, 그 타단이 H 형강(20)의 웹(23)에 형성된 관통공(도 6의 23a 참조)을 통과한 후 타측 측벽(130)에 형성된 관통공을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횡보강부재(190)의 양단에 너트(191)를 체결한다. 바람직하게,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측벽(120)(130)과 너트(191) 사이에 보강부재(192)를 개재시킬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H형강(20)의 웹(23)에 형성된 관통공(23a)을 통과해 상기 측벽(120)(13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호 연결하도록 매립튜브가 설치되고, 여기에 철근과 같은 횡보강부재를 삽입하고 그 양단을 너트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에 횡보강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H형강(20)에 대한 거푸집 조립체(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조립체(100) 위에 데크 플레이트(300)를 거치시킨다(단계 S400).
상기 데크 플레이트(300)는 통상적으로 스틸 소재로 제작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거푸집 본체의 측벽(120)(130)의 상단부 에지에 있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 위에 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300)와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는 상호 체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185)가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170)의 지지부(172)에 형성된 결합공(172a)과 데크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관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 매립용 너트(186)에 결합된다. 상기 매립용 너트(18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185)의 콘크리트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고,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너트이다.
다음으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300)의 설치와 함께,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보강철근을 배근한다(단계 S500). 본 실시예 따르면, 슬래브에 배근되는 철근은 바람직하게, H형강(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철근(310)과, 상기 H형강(2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철근(3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철근(320)은 지지 철근(310)과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일측의 지지 철근(310)에 미치는 압축력을 타측에 있는 지지 철근(3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철근들이 서로 소정 간격 이내로 접근되어 있을 경우에 철근들 사이에서 응력이 상호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다.
또한, 슬래브 및 기둥의 적어도 일부를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추가 거푸집(도 8의 305)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 플레이트(300) 위에는, 보의 양측에 있는 슬래브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메탈래스(metal lath)(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 기둥 및 슬래브 형성부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한다(단계 S600). 콘크리트가 타설됨에 따라 매립용 너트(160)(181)(186)와 횡보강부재(190)도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 이때, 상기 횡보강부재(190)는 콘크리트 무게에 의해 거푸집 조립체(100)가 측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의 양측에 있는 슬래브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메탈래스(metal lath)(미도시)를 설치한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기둥과 기둥 사이의 보 및 그 양측에 있는 슬래브의 일부만 타설되어 소위 "T"자 단면의 보 구 조물이 형성된다. 그 사이의 나머지 영역은 추후 슬래브가 타설되어야 할 영역으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보 및 슬래브와 함께 지하외벽의 일부도 동시에 타설된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300)는 해체되지 않고 영구 구조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보의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이러한 보가 토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스트러트와 같은 별도의 가설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와 콘크리트의 타설 공정은 지하층 바닥까지 연속적으로 행해지며, 예컨대 지하층의 바닥까지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이 완료되면, 이어서 지하 바닥층에서부터 위로 올라오면서 슬래브와 지하 벽면을 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지하층의 보 구조물을 전층이 아닌 일부층에만 듬성듬성하게 시공하고 바닥층의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에 나머지 층에 대한 슬래브와 보 시공을 할 수도 있다. 이때, 바닥층에서부터 위로 올라오면서 슬래브와 지하 벽면을 시공하는 동시에 지상층의 공사도 함께 진행함으로써 소위 '업-업(Up-Up) 공법'에 따라 시공을 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지상층의 바닥에 대한 보와 일부 슬래브 시공이 완료된 후, 지하층 터파기와 지하층 시공을 하면서 동시에 지상층 시공을 병행함으로써, 소위 '탑-다운(Top-Dopwn) 공법'에도 적용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지하층 터파기와 보 시공을 진행하면서 지상층의 보와 슬래브 시공이 병행된다.
이러한, 시공법이 가능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하여 보를 시공할 경우 토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거푸집 조립체(100)를 탈형하여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단계 S700). 즉, 체결볼트(150)(180)(185)는 콘크리트와 접촉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풀어서 해체할 수 있으며, 이때 매립용 너트(160)(181)(186)는 양생된 콘크리트 속에 매립된 채로 남아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너트와 체결볼트를 풀면 거푸집 조립체(100)는 쉽게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거푸집 조립체(1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거푸집 본체의 외측에 해체고리(미도시)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거푸집 조립체(100)의 탈형을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에 앞서 미리 거푸집 본체의 바닥(110) 및 측벽(120)(13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거푸집 조립체가 H형강에 조립된 상태의 복합형강보가 제공된다. 이러한 복합형강보의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복합형강보는 H형강(20)과 상기 H형강(20)을 지지하도록 하부에 결합되는 거푸집 조립체(10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거푸집 조립체(100)가 건축물 시공과정에서 H형강(2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작 현장에서 미리 H형강(20)에 결합된 상태로 생산된다.
상기 거푸집 조립체(10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지지부재(140)는 체결볼트(150)와 매립용 너트(160)에 의해 거푸집에 고정된다.
또한, 연결부재(60)의 일단은 상기 거푸집 조립체의 매립용 너트(16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H형강(20)의 하부 플렌지(22)의 양단부에 고정됨으로써 거푸집 조립체(100)가 H형강(20)을 감싸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 측벽(120)(130)의 상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H형강(20)의 상부 플렌지(21)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H형강(20)의 주위에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되었던 보강철근이 배근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복합형강보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H형강(20)의 양단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이 될 형강(200)에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데크 플레이트(300)와 슬래브용 보강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거푸집 조립체와 복합형강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타설시에 거푸집 조립체가 받게되는 하중으로 인해 형강보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그 형상이 위로 볼록하도록 만곡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 및 복합형강보가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해 다소 처지더라도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 발명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휨응력 및 압축 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해준다.
셋째,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H형강에 별도의 내화 피복을 할 필요가 없다.
넷째,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는 미리 제작되어 H형강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거푸집을 간단하게 탈형시켜 재활용할 수 있다.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결합되는 강관이며,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단부 에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거푸집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그 위에 놓여지는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횡보강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된 철근의 양단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을 관통한 뒤 너트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조립체.
  9. (a) 기둥이 되는 형강에 보 축조를 위해 H형강을 연결하는 단계;
    (b) 보를 구성하는 보강철근을 상기 H형강 주위에 배근하는 단계;
    (c) 상기 보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거푸집 본체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를 상기 H형강에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거푸집 조립체 위에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거푸집 조립체와 데크 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
    (f) 상기 체결볼트를 풀어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를 탈형시키는 동시에 상기 매립용 너트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남아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매립용 너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 측벽의 상단부가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결합되는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횡보강부재에 의해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조립체는,
    상기 거푸집 본체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그 단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의 지지부 위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상기 거푸집 본체 측벽의 상단부 에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데크 플레이트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상기 지지부와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공을 통과하여 매립용 너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배근되는 보강철근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 및
    상기 스터럽 철근에 H형강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은,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보강철근을 배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가 형성되는 영역에 배근되는 보강철근은,
    상기 H형강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 철근; 및
    상기 지지 철근과 인접하도록 상기 H형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에는, 보의 양측에 있는 슬래브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메탈래스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시공방법.
  22.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
    상기 H형강 주위에 배근된 보강철근;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바닥과, 상기 바닥의 양측에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주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본체;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과 접촉하여 거푸집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해 그 나사단부가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을 차례로 관통하여 거푸집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볼트;
    상기 돌출된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모두 감싸도록 결합되는 매립용 너트; 및
    상기 H형강을 지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매립용 너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 본체의 바닥 하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결합되는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단부 에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거푸집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그 위에 놓여지는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 및
    상기 스터럽 철근에 H형강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은,
    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
  30.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본체의 측벽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강보.
KR1020050072515A 2005-08-08 2005-08-08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KR10074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15A KR100741431B1 (ko) 2005-08-08 2005-08-08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15A KR100741431B1 (ko) 2005-08-08 2005-08-08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873A KR20070017873A (ko) 2007-02-13
KR100741431B1 true KR100741431B1 (ko) 2007-07-20

Family

ID=4163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515A KR100741431B1 (ko) 2005-08-08 2005-08-08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4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47B1 (ko)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0957591B1 (ko) 2009-08-24 2010-05-14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WO2011049260A1 (ko) * 2009-10-23 2011-04-28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KR101078049B1 (ko) 2009-04-03 2011-10-31 전호건 교량 기초의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기초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19Y1 (ko) * 2012-11-23 2013-10-08 이규봉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200484978Y1 (ko) * 2012-12-17 2017-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탈부착 가능한 스퍼드 캔을 가지는 잭업 플랫폼
KR101512944B1 (ko) * 2014-08-27 2015-04-16 강병구 조립식 대형 합성보
KR102116934B1 (ko) * 2019-02-28 2020-05-29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 점검시설 고정용 가압식 선매립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74295B1 (ko) * 2020-04-23 2022-03-16 주식회사 포스코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CN113250379B (zh) * 2020-09-29 2023-10-2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位置可调的拉结筋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4960747B (zh) * 2022-06-13 2024-02-27 北京韩建河山管业股份有限公司 一种大口径pccp排气阀室及其施工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015A (ja) * 1993-05-10 1994-11-15 Fujita Corp 梁型枠の組立方法
JPH1030333A (ja) 1996-07-18 1998-02-03 Hidetsugu Hamad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仮設足場の構築方法及び梁足場装置
JPH10325173A (ja) 1997-05-27 1998-12-08 Kobayashi Jun 梁の構築方法及び梁型枠装置並びに側板用のキャップ
JP2000336929A (ja) 1999-05-27 2000-12-05 Nippon Kokan Light Steel Kk 梁型枠構造とその形成方法
JP2002364170A (ja) 2001-06-12 2002-12-18 Kasumi Komuten Kk 型枠装置および型枠工法
KR200383490Y1 (ko) 2005-02-17 2005-05-03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015A (ja) * 1993-05-10 1994-11-15 Fujita Corp 梁型枠の組立方法
JPH1030333A (ja) 1996-07-18 1998-02-03 Hidetsugu Hamad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仮設足場の構築方法及び梁足場装置
JPH10325173A (ja) 1997-05-27 1998-12-08 Kobayashi Jun 梁の構築方法及び梁型枠装置並びに側板用のキャップ
JP2000336929A (ja) 1999-05-27 2000-12-05 Nippon Kokan Light Steel Kk 梁型枠構造とその形成方法
JP2002364170A (ja) 2001-06-12 2002-12-18 Kasumi Komuten Kk 型枠装置および型枠工法
KR200383490Y1 (ko) 2005-02-17 2005-05-03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049B1 (ko) 2009-04-03 2011-10-31 전호건 교량 기초의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기초 시공방법
KR100957591B1 (ko) 2009-08-24 2010-05-14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WO2011049260A1 (ko) * 2009-10-23 2011-04-28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과 이의 제조방법 및 공간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골보와 이의 시공방법
KR100954447B1 (ko)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873A (ko)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431B1 (ko)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복합형강보 및 건축물시공방법
KR100747661B1 (ko)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62278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
KR101776129B1 (ko) 슬래브 및 벽체 겸용 조립형 프리캐스트 이중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구조 pc 벽체의 시공 방법
KR100761785B1 (ko)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KR100761786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20090068536A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120140386A (ko) 내부중공재를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0894650B1 (ko) 프리플렉션 하중이 도입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775359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0789319B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395627Y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20090043625A (ko) 변단면 철골보를 이용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391986Y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KR100540625B1 (ko) 하부플랜지 매립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일체 타설방식의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시공방법
KR100640244B1 (ko)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KR102140407B1 (ko) 단부 거푸집 강판을 이용한 psc 거더의 제작 방법
KR100203012B1 (ko) Pc 슬라브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664965B1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70035183A (ko) 흙막이 합벽과 외곽 보의 이격 공법
KR100694763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0757710B1 (ko) 역타설 시공되는 지하구조물의 다월 철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