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817B1 -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817B1
KR101858817B1 KR1020160100000A KR20160100000A KR101858817B1 KR 101858817 B1 KR101858817 B1 KR 101858817B1 KR 1020160100000 A KR1020160100000 A KR 1020160100000A KR 20160100000 A KR20160100000 A KR 20160100000A KR 101858817 B1 KR101858817 B1 KR 10185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end joint
assembly
me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695A (ko
Inventor
최인락
정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0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기둥부재의 제1 기둥접합철물에 접합되는 제1 단부접합철물; 제2 기둥부재의 제2 기둥접합철물에 접합되는 제2 단부접합철물;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 및,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걸쳐서 설치되는 앵글조립체; 내부에 상기 앵글조립체가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유닛; 및,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측에 상기 거푸집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유닛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철물;을 포함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되면서 상기 앵글조립체와 콘크리트부재가 일체화된 후, 상기 하부지지철물과 상기 거푸집유닛은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INSTALLA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NECTING BEAM UNIT}
본 발명은 시공과정의 하중을 스스로 지지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된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인장 저항성능과 연성능력이 우수한 철근과 압축 저항성능, 조형성, 내화성능 및 경제성이 우수한 콘크리트를 결합한 구조형식이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가 굳어서 구조체로 사용되기 전까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및 작업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와 동바리 설치 등의 가설작업이 수반되고 이 때문에 현장시공이 복잡하고 현장 작업량이 증가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현장작업에 대한 시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철근 공장가공, 선조립 철근, 공장제작 등과 같은 방안이 시도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철골조와 같이 자립형 구조로 시공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방안은 없는 실정이다.
철골구조는 부재 자체로 시공하중 및 극한하중에 저항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요구되는 동바리 설치 및 거푸집 설치를 생략하여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기단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부재 단부를 고정단으로 연속된 부재로 설계할 경우 부재 단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가 일반적으로 중앙부 보다 2배 정도 크기 때문에 부재 단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부재 전체를 설계하게 되면 비 경제적인 설계가 될 여지가 있다.
또한 강재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내화성능이 문제될 수 있어 내화피복에 대한 별도의 고려가 필요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된 강재 자체에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별도의 마감처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철근콘크리트구조와 강구조의 중간 형태인 합성구조 형식이 활용되고 있다.
일례로 강판을 상부 개방형으로 성형가공 및 용접하여 제작한 후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강재를 영구거푸집 및 철근대체 구조체로 이용하는 합성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보는 하부 철근배근 및 거푸집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작업을 줄이면서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효과로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단일 부재에 대해 동일한 단면을 적용하므로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비해 강재량이 증가하고 단부가 U자 형태이기 때문에 보-기둥 접합부 구성이 복잡해지며, 상부 개방형 구조로 작업자가 이동할 작업공간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강구조와 마찬가지로 강재가 노출되는 부분에 대한 내화피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동바리 설치와 같은 시공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공사에 대한 시공성 개선 및 현장 시공품질 확보, 그리고 부재 하중분포에 따른 철근배치 등으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시공과정의 하중을 스스로 지지하여 시공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공사를 생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기둥부재의 제1 기둥접합철물에 접합되는 제1 단부접합철물; 제2 기둥부재의 제2 기둥접합철물에 접합되는 제2 단부접합철물;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 및,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걸쳐서 설치되는 앵글조립체; 내부에 상기 앵글조립체가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유닛; 및,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측에 상기 거푸집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유닛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철물;을 포함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되면서 상기 앵글조립체와 콘크리트부재가 일체화된 후, 상기 하부지지철물과 상기 거푸집유닛은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단부접합철물은, 상기 하부지지철물이 거치되는 하부플랜지; 및, 상기 하부플랜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앵글조립체의 설치공간부 및, 상기 하부지지철물의 철물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웨브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바람직하게, 앵글조립체는, 상기 앵글조립체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앵글부재; 상기 앵글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앵글부재; 및, 상기 상부앵글부재의 제1 설치공간부와 상기 하부앵글부재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되는 절곡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바람직하게, 하부지지철물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부접합철물에 거치되는 한 쌍의 지지앵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앵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철물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철물삽입부에 상기 단부접합철물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바람직하게, 지지앵글부재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ㄷ자형 단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지철물은, 상기 지지앵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지지앵글부재의 ㄷ자형 단면의 내면에 접합되어 상기 지지앵글부재를 보강하는 앵글보강판;을 더 포 함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바람직하게, 하부지지철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유닛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바람직하게, 지지브라켓은, 상기 하부지지철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합플랜지; 상기 접합플랜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유닛의 하부거푸집을 지지하는 거치바; 및, 상기 거치바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거푸집유닛의 측면거푸집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바;를 구비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바람직하게, 거푸집유닛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앵글조립체와 연계되어 설치되는 조립철근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철근망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주철근; 상기 주철근 및, 상기 앵글조립체를 함께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스트럽;을 구비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바람직하게, 앵글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일부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고, 중간보가 관통하는 중간보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단부접합철물과 제2 단부접합철물을 이격시켜 배치하는 단부접합철물 배치단계;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하부지지철물을 거치하여 설치하는 하부지지철물 설치단계; 상기 하부지지철물의 상측에 거푸집유닛을 거치하여 설치하는 거푸집유닛 설치단계; 조립된 앵글조립체를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고정하여 상기 거푸집유닛의 내부에 설치하는 앵글조립체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유닛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앵글조립체와 일체화시키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및,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되면서 상기 앵글조립체와 콘크리트부재가 일체화된 후, 상기 하부지지철물 및, 거푸집유닛을 제거하는 탈거단계;를 포함하는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앵글조립체 설치단계 이전에 조립된 앵글조립체에 조립철근망을 연계시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글조립체는, 상기 앵글조립체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앵글부재; 상기 앵글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앵글부재; 및, 상기 상부앵글부재의 제1 설치공간부와 상기 하부앵글부재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되는 절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철근망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주철근; 상기 주철근 및, 상기 앵글조립체를 함께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스트럽;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유닛 설치단계는, 상기 기둥접합철물과 상기 단부접합철물을 둘러싸고 상기 거푸집유닛과 연계되도록 단부거푸집유닛을 설치하는 단부거푸집유닛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유닛과 상기 단부거푸집유닛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과정의 하중을 스스로 지지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푸집의 지지를 위한 동바리의 설치를 생략하거나 최소화하여 현장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 상기 하부지지철물과 상기 거푸집유닛은 탈거되도록 구성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에 의해 설치된 연결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을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4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40)은 제1 단부접합철물(101), 제2 단부접합철물(103), 앵글조립체(300) 및, 거푸집유닛(40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조립철근망(600), 중간보설치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둥부재(10)의 제1 기둥접합철물(11)에 접합되는 제1 단부접합철물(101)과, 제2 기둥부재(10)의 제2 기둥접합철물(11)에 접합되는 제2 단부접합철물(103)과,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101)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103)에 거치되도록 설치되어, 거푸집유닛(400)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철물(200)과,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101) 및,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103)에 걸쳐서 설치되는 앵글조립체(300) 및, 상기 하부지지철물(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앵글조립체(3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 상기 하부지지철물(200)과 상기 거푸집유닛(400)은 탈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접합철물(101)은 제1 기둥부재(10)의 제1 기둥접합철물(11)에 접합되고, 제2 단부접합철물(103)은 제2 기둥부재(10)의 제2 기둥접합철물(11)에 접합될 수 있다.
이때, 기둥접합철물(11)과 단부접합철물(100)는 기둥접합철물(11)과 단부접합철물(100)의 접합부분에 보강판(P)을 덧댄 상태에서 볼트체결하거나 용접하여 접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철물(200)은 제1 단부접합철물(101)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103)에 거치되도록 설치되어, 거푸집유닛(40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하부지지철물(200)는 단부접합철물(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거푸집유닛(4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철물(200)은 단부영역에서 단부접합철물(100)에 볼트부재(미도시)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하부지지철물(200)은 중앙부영역에서 상측에 거푸집유닛(400)을 거치한 상태에서, 하부지지철물(200)의 하측을 지지하고 하부지지철물(200)의 철물삽입부(230)를 관통하여 앵글조립체(300) 또는 조립철근망(600)과 연계되어 설치되는 설치철물(D)이 설치될 수 있다.
설치철물(D)에 의해 하부지지철물(200)이 앵글조립체(300) 또는 조립철근망(600)과 연계되면서 거푸집유닛(400)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철물(200)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유닛(400)은 하부지지철물(200)의 상측에 거치되고,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거푸집유닛(400)은 내부에 상기 앵글조립체(300)가 설치되고 콘크리트부재(C)의 타설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 상기 하부지지철물(200)과 상기 거푸집유닛(400)은 탈거될 수 있다.
즉, 하부지지철물(200) 및 거푸집유닛(400)은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유닛(400)의 내부에 앵글조립체(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부재(C)가 타설될 수 있고, 콘크리트부재(C)와 연계되어 슬라브(S)가 타설될 수 있다.
거푸집유닛(4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앵글조립체(300)와 콘크리트부재(C)가 일체화된 후 하부지지철물(200) 및, 상기 거푸집유닛(400)은 제거될 수 있다.
단부접합철물(100)과 하부지지철물(200)의 접합은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될 수 있고, 단부접합철물(100)과 하부지지철물(200)은 양측의 부재에 형성된 볼트홀에 볼트부재(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하부지지철물(200)은 단부접합철물(100)의 하부플랜지(110)에 거치된 상태에서, 단부접합철물(100)의 웨브부재(130)에 볼트부재(미도시)로 체결될 수 있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 볼트부재(미도시)를 해체하여 단부접합철물(100)에서 탈거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유닛(20)은 제1 단부접합철물(101), 제2 단부접합철물(103), 앵글조립체(300) 및, 콘크리트부재(C)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보유닛(20)은 제1 기둥부재(10)의 제1 기둥접합철물(11)에 접합되는 제1 단부접합철물(101)과, 제2 기둥부재(10)의 제2 기둥접합철물(11)에 접합되는 제2 단부접합철물(103)과,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101) 및,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103)에 걸쳐서 설치되는 앵글조립체(300) 및, 상기 앵글조립체(300)를 둘러싸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부재(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보유닛(20)은 강재로 구성된 앵글조립체(300), 단부접합철물(100)가 1차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거푸집유닛(400) 및, 상기 단부거푸집유닛(미도시)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앵글조립체(300), 단부접합철물(100)이 접합된 강구조체가 콘크리트와 강합성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철물(200)은 지지앵글부재(210) 및, 철물삽입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지지철물(20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부접합철물(100)에 거치되는 한 쌍의 지지앵글부재(210)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앵글부재(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철물삽입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철물삽입부(230)에 상기 단부접합철물(100)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단부접합철물(100)의 웨브부재(130)가 철물삽입부(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되거나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조립체(300)는 상부앵글부재(310), 하부앵글부재(330) 및, 절곡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다.
앵글조립체(300)는, 상기 앵글조립체(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앵글부재(310)와, 상기 앵글조립체(3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앵글부재(330) 및, 상기 상부앵글부재(310)의 제1 설치공간부와 상기 하부앵글부재(330)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되는 절곡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다.
절곡부재(350)는 상부앵글부재(310)의 제1 설치공간부 및 상기 하부앵글부재(330)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도록 사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앵글부재(210)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ㄷ자형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지지철물(200)은, 상기 지지앵글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지지앵글부재(210)의 ㄷ자형 단면의 내면에 접합되어 상기 지지앵글부재(210)를 보강하는 앵글보강판(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앵글부재(210)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ㄷ자형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앵글보강판(250)은 지지앵글부재(210)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앵글보강판(250)은 지지앵글부재(210)가 개방된 부분을 형성하면서 저하된 지지앵글부재(2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보강판(250)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브라켓(500)이 하부지지철물(200)에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앵글보강판(250)에는 지지브라켓(500)의 접합플랜지(510)가 맞대진 상태에서 볼트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되면서 지지브라켓(500)은 하부지지철물(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부접합철물(100)에 거치되는 지지앵글부재(210)의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글보강판(250)이 설치되고, 지지앵글부재(210)의 중앙영역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앵글보강판(250)이 30cm 이하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앵글부재(210) 상부앵글(211), 하부앵글(213) 및, 상기 상부앵글(211)과 하부앵글(213)의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웨브(215)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웨브(215)의 단부영역에는 복수 개의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앵글부재(210)의 개방된 영역을 통해 지지웨브(215)의 볼트홀과 단부접합철물(100)의 웨브부재(130)의 볼트홀을 관통하여 볼트부재(미도시)를 체결하여 단부접합철물(100)의 웨브부재(130)와 지지앵글부재(210)의 지지웨브(215)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접합철물(100)은 하부플랜지(110) 및, 웨브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단부접합철물(100)은, 상기 하부지지철물(200)이 거치되는 하부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플랜지(110)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앵글조립체(300)의 설치공간부 및, 상기 하부지지철물(200)의 철물삽입부(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웨브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단부접합철물(100)은 웨브부재(130)의 상측에 접합되는 상부플랜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40)은 하부지지철물(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유닛(400)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브라켓(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부접합철물(100)과 상기 지지브라켓(500)의 접합은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 지지브라켓(500)은 하부지지철물(200)에서 탈거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500)은 접합플랜지(510), 거치바(530), 측면지지바(5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500)은, 기 하부지지철물(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합플랜지(510)와, 상기 접합플랜지(510)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유닛(400)의 하부거푸집(410)을 지지하는 거치바(530) 및, 상기 거치바(530)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거푸집유닛(400)의 측면거푸집(430)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바(5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접합플랜지(510)의 일츠과 거치바(530)의 일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경사지지바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플랜지(510)는 하부지지철물(200)의 앵글보강판(250)에 탈착 가능하게 접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부접합철물(101) 측에서 가깝게 설치된 접합플랜지(510)는 앵글보강판(250)보다 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맞대지고 볼트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 및 해체되면서 지지브라켓(500)은 하부지지철물(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부접합철물(103) 측에서 가깝게 설치된 접합플랜지(510)는 앵글보강판(250)보다 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맞대지고 볼트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 및 해체되면서 지지브라켓(500)은 하부지지철물(2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거푸집유닛(400)은 하부지지철물(200)에 볼트부재(미도시)로 체결된 지지브라켓(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 볼트부재(미도시)를 해체하여 지지브라켓(500)은 하부지지철물(200)에서 탈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40)은 거푸집유닛(400)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앵글조립체(300)와 연계되어 설치되는 조립철근망(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철근망(60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주철근(610)과, 상기 주철근(610) 및, 상기 앵글조립체(300)를 함께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스트럽(630)을 구비할 수 있다.
스트럽(630)은 상부앵글부재(310) 및, 하부앵글부재(330)와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40)은 앵글조립체(300)의 길이방향의 일부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보유닛(20)과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중간보(30)가 관통하는 중간보설치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연겨보유닛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접합철물(100) 설치단계, 하부지지철물(200) 설치단계, 거푸집유닛(400) 설치단계, 앵글조립체(300) 설치단계, 콘크리트 타설단계 및, 탈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부접합철물 배치단계는 제1 단부접합철물(101)과 제2 단부접합철물(103)을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다.
도 8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철물 설치단계는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101)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103)에 하부지지철물(200)을 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8의 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유닛 설치단계는 상기 하부지지철물(200)의 상측에 거푸집유닛(400)을 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8의 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조립체 설치단계는 조립된 앵글조립체(300)를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101)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103)에 고정하여 상기 거푸집유닛(40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단계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거푸집유닛(4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앵글조립체(300)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탈거단계는 상기 하부지지철물(200) 및, 거푸집유닛(400)을 제거할 수 있다.
도 8의 ① 및,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조립체(300) 설치단계 이전에 앵글조립체(300)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앵글조립체(300)에 조립철근망(60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방법은 상기 앵글조립체(300) 설치단계 이전에 조립된 앵글조립체(300)에 조립철근망(600)을 연계시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글조립체(300)는, 상기 앵글조립체(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앵글부재(310)와, 상기 앵글조립체(3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앵글부재(330) 및, 상기 상부앵글부재(310)의 제1 설치공간부와 상기 하부앵글부재(330)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되는 절곡부재(350)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철근망(60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주철근(610)과, 상기 주철근(610) 및, 상기 앵글조립체(300)를 함께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스트럽(6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거푸집유닛(400) 설치단계는 기둥부재(10)의 기둥접합철물(11)과 상기 단부접합철물(100)을 둘러싸고 상기 거푸집유닛(400)과 연계되도록 단부거푸집유닛(미도시)을 설치하는 단부거푸집유닛(미도시)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푸집유닛(400)과 단부거푸집유닛(미도시)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앵글조립체(300), 단부접합철물(100), 기둥접합철물(11)을 콘크리트부재(C)와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4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시공방법에서 활용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40)의 제1 단부접합철물(101), 제2 단부접합철물(103), 앵글조립체(300), 거푸집유닛(400) 등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4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기둥부재 11: 기둥접합철물
20: 연결보유닛 30: 중간보
40: 연결보유닛 설치시스템
100: 단부접합철물 110: 하부플랜지
130: 웨브부재 150: 상부플랜지
101: 제1 단부접합철물 103: 제2 단부접합철물
200: 하부지지철물 210: 지지앵글부재
211: 상부앵글 213: 하부앵글
215: 지지웨브 230: 철물삽입부
250: 앵글보강판 300: 앵글조립체
310: 상부앵글부재 330: 하부앵글부재
350: 절곡부재 400: 거푸집유닛
410: 하부거푸집 430: 측면거푸집
500: 지지브라켓 510: 접합플랜지
530: 거치바 550: 측면지지바
600: 조립철근망 610: 주철근
630: 스트럽 700: 중간보설치부
C: 콘크리트부재 D: 설치철물
P: 보강판 S: 슬라브

Claims (12)

  1. 제1 기둥부재의 제1 기둥접합철물에 접합되는 제1 단부접합철물;
    제2 기둥부재의 제2 기둥접합철물에 접합되는 제2 단부접합철물;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 및,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걸쳐서 설치되는 앵글조립체;
    내부에 상기 앵글조립체가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유닛; 및,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측에 상기 거푸집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유닛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철물;
    을 포함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되면서 상기 앵글조립체와 콘크리트부재가 일체화된 후, 상기 하부지지철물과 상기 거푸집유닛은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접합철물은,
    상기 하부지지철물이 거치되는 하부플랜지; 및,
    상기 하부플랜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앵글조립체의 설치공간부 및, 상기 하부지지철물의 철물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웨브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조립체는,
    상기 앵글조립체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앵글부재;
    상기 앵글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앵글부재; 및,
    상기 상부앵글부재의 제1 설치공간부와 상기 하부앵글부재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되는 절곡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철물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부접합철물에 거치되는 한 쌍의 지지앵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앵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철물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철물삽입부에 상기 단부접합철물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앵글부재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ㄷ자형 단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지철물은,
    상기 지지앵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지지앵글부재의 ㄷ자형 단면의 내면에 접합되어 상기 지지앵글부재를 보강하는 앵글보강판;을 더 포 함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철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유닛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하부지지철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합플랜지;
    상기 접합플랜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유닛의 하부거푸집을 지지하는 거치바; 및,
    상기 거치바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거푸집유닛의 측면거푸집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바;를 구비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유닛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앵글조립체와 연계되어 설치되는 조립철근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철근망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주철근;
    상기 주철근 및, 상기 앵글조립체를 함께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스트럽;을 구비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일부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고, 중간보가 관통하는 중간보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10. 제1 단부접합철물과 제2 단부접합철물을 이격시켜 배치하는 단부접합철물 배치단계;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하부지지철물을 거치하여 설치하는 하부지지철물 설치단계;
    상기 하부지지철물의 상측에 거푸집유닛을 거치하여 설치하는 거푸집유닛 설치단계;
    조립된 앵글조립체를 상기 제1 단부접합철물과 상기 제2 단부접합철물에 고정하여 상기 거푸집유닛의 내부에 설치하는 앵글조립체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유닛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앵글조립체와 일체화시키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및,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되면서 상기 앵글조립체와 콘크리트부재가 일체화된 후, 상기 하부지지철물 및, 거푸집유닛을 제거하는 탈거단계;를 포함하는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11. 제10항 있어서,
    상기 앵글조립체 설치단계 이전에 조립된 앵글조립체에 조립철근망을 연계시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글조립체는,
    상기 앵글조립체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앵글부재;
    상기 앵글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앵글부재; 및,
    상기 상부앵글부재의 제1 설치공간부와 상기 하부앵글부재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되는 절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철근망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주철근;
    상기 주철근 및, 상기 앵글조립체를 함께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스트럽;을 구비하는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거푸집유닛 설치단계는,
    기둥부재의 기둥접합철물과 상기 단부접합철물을 둘러싸고 상기 거푸집유닛과 연계되도록 단부거푸집유닛을 설치하는 단부거푸집유닛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유닛과 상기 단부거푸집유닛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KR1020160100000A 2016-08-05 2016-08-05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KR10185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00A KR101858817B1 (ko) 2016-08-05 2016-08-05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00A KR101858817B1 (ko) 2016-08-05 2016-08-05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695A KR20180016695A (ko) 2018-02-19
KR101858817B1 true KR101858817B1 (ko) 2018-05-18

Family

ID=6138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00A KR101858817B1 (ko) 2016-08-05 2016-08-05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129B1 (ko) * 2020-06-09 2020-08-27 (주)씨지스플랜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2149128B1 (ko) * 2020-06-09 2020-08-27 (주)씨지스플랜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2484193B1 (ko) * 2020-11-02 2023-01-02 삼성물산 주식회사 거푸집 일체형 가로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일체형 가로보의 시공방법
KR102424623B1 (ko) * 2020-11-13 2022-07-22 삼성물산 주식회사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철골 매입형 합성 가로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과 철골 매입형 합성 가로보를 연결하는 방법
CN112681616B (zh) * 2020-12-14 2022-05-27 许琦 以型钢取代部分钢筋来组立钢筋混凝土构造的加劲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586B1 (ko) * 2011-03-09 2012-05-09 김영호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1208207B1 (ko) * 2012-04-25 2012-12-04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1483362B1 (ko) * 2013-07-09 2015-01-15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621972B1 (ko) * 2015-12-12 2016-05-17 경서중공업(주) 철골구조용 시스템 에이치 형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586B1 (ko) * 2011-03-09 2012-05-09 김영호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1208207B1 (ko) * 2012-04-25 2012-12-04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1483362B1 (ko) * 2013-07-09 2015-01-15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621972B1 (ko) * 2015-12-12 2016-05-17 경서중공업(주) 철골구조용 시스템 에이치 형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695A (ko) 201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817B1 (ko)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FI85745C (fi) Brandsaeker prefabricerad staolbalk
KR100946940B1 (ko)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KR100918983B1 (ko) 대형 티에스씨 보 및 그 제조방법
JP6484209B2 (ja) 連結部材、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JP2008266910A (ja) 緊張材の定着部または偏向部の突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104382B1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100203016B1 (ko) 일체식 보거푸집
JPH03250130A (ja) 建築物躯体の施工法
KR100775359B1 (ko)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100540625B1 (ko) 하부플랜지 매립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일체 타설방식의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시공방법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JP3999591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系材料によるコンクリート系構造物の制震構造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CN112065447A (zh) 隧道用支模以及施工方法
KR101566932B1 (ko) 복합보
JP3878546B2 (ja) 横桁一体型コンクリート床版の施工方法
KR102234463B1 (ko) 전단보강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보강 구조
KR102585526B1 (ko) 단부 매립형 거더 접합 구조를 갖는 합성 프레임
KR101398435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공법 및 그에 의한 구조
KR100579543B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철근 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200166886Y1 (ko) 강콘크리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