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294A -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 Google Patents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294A
KR20220086294A KR1020200176613A KR20200176613A KR20220086294A KR 20220086294 A KR20220086294 A KR 20220086294A KR 1020200176613 A KR1020200176613 A KR 1020200176613A KR 20200176613 A KR20200176613 A KR 20200176613A KR 20220086294 A KR20220086294 A KR 20220086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lab
web
steel plate
suppor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주)경서
김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서, 김종근 filed Critical (주)경서
Priority to KR1020200176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294A/ko
Publication of KR2022008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하부측에 각각 설치되는 상,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한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의 웨브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부플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보조강판빔과,
상기 지지빔의 보조강판빔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웨브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콘크리트슬라브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콘크리트슬라브에 매립되어 지지짐과의 결속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킨 스터드볼트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An interfloor structure that reduces encroachment in the height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층간높이의 잠식을 줄일 주 있도록 콘크리트슬라브와 지지빔의 구조가 개선 된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건축함에 있어서, 기둥과 기둥 사이에 강판보를 설치하고 상기 강판보 내에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양생하여 콘크리트슬라브 일체형 강판보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강판보의 경우, 콘크리트보 성형방법과 비교하면 거푸집과 철근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공기가 단축될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강판보의 경우, 하부강판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 구성되는 웨브 즉, 측면 수직강판이 강판보 내에 충진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타설 압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사용되는 강판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내부에 별도의 간격유지용 버팀대를 등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9-0062699호에는 콘크리트 성형용 보강판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콘크리트 성형용 보강판은 상하부강판 사이에 요철이 형성된 측면수직강판을 나란히 용접하여, 내면에 공간부가 구성되게 하되, 측면수직강판 양측 단부에 수직보강판을 용접하고, 상부강판에는 등간격으로 개방공을 구성하고, 상면에 복수개의 스터드 볼트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803947호에는 건물의 높이 절감 층간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층간구조는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단 및 하단에 수평적으로 배치되면서 일체로 각각 형성된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플랜지의 양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직립된 수직벽과 상기 수직벽의 하단에서 외측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를 가지는 지지앵글을 가지는 지지보와; 상기 지지보의 상부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슬라브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43531호에는 경간의 거리연장과 천정높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지지빔구조체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1066 99호에는 경간거리연장 및 층고 높임이 가능한 철골콘크리트 주차장 구조체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97964호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천정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천장의 높이의 잠식을 줄이기 위한 구조는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슬라부의 구조를 상대적으로 약화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9-0014424호에는 층간높이를 향상시킨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주름강판보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7364호에는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제10-2013-0080528호에는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합성보가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제10-2013-008052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9-00144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979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435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빔이 층간높이를 잠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슬라브와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슬라브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빔의 웨브에 지지된 보조강판빔에 의해 콘크리트슬라브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슬라브의 지지력과 지지빔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하부측에 각각 설치되는 상,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한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의 웨브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부플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보조강판빔과,
상기 지지빔의 보조강판빔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웨브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콘크리트슬라브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콘크리트슬라브에 매립되어 지지짐과의 결속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킨 스터드볼트들을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크리트슬라브의 하면에는 단부가 상기 보조강판빔에 지지되며 콘크리트슬라브를 지지하는 강판보르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빔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보조강판빔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들과,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보조강판빔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2지지부재들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는 콘크리트슬라브의 두께변화 즉, 슬라브의 손상 없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에서 층들의 사이를 구획하는 층간의 구조체의 빔에 의해 층간의 높이가 잠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건물 각 층의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층 건물의 층간구조체를 이루는 지지빔에 의해 층간높가 잠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10)는 건물의 기둥과 기둥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슬라브(100)와, 상기 콘크리트슬라브(100)을 지지하며 소정의 깊이로 매립되는 지지빔(20)과, 지지빔(20)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슬라브(1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콘크리트슬라브의 하면을 지지하는 보조강판빔(30)과, 상기 보조강판빔(30)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슬라브(1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터드볼트(40)들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이기 위한 층간구조체의 지지빔(20)은 콘크리트슬라브(100)에 상부측이 매립되는 것으로, 판상의 웨브(web; 21)와, 상기 웨브(21)의 상단부측에 그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프레이트(22)와, 상기 웨브(2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3)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2)와 하부플레이트(23)의 폭은 상기 웨브(21)의 높이 보다 좁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빔(2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강 또는 콘크리트빔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보조강판빔(30)은 상기 지지빔(20)의 웨브(21)의 양측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슬라브(30)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빔(20)의 상판플레이트(22)의 폭보다 넓은 판상의 부재가 상기 웨브(21)의 측면에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강판빔(30)의 웨브(21)의 양측면에 각각 판상의 부재가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상부플레이트(22)와 나란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강판빔(30)의 폭은 콘크리트슬라브(30)의 구조 및 지지력과 후술하는 강판빔(50)의 지지력을 감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강판빔(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슬라브(100)에 매립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콘크리트슬라브(10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거나 단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강판빔(20)의 단부의 절곡된 형상은 콘크리트슬라브(10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방으로 절곡되거나 앵글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니은자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웨브(21)과 보강판빔(30)의 접합부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 1,2지지부재(31)(35)가 설치된다. 상기 제 1지지부재(31)는 상기 보강판빔(30)과 상부플레이트(22)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지지부재(35)는 보강판빔(30)의 하면과 하부플레이트(23)에 설치된다. 상기 제1,2지지부재에는 콘크리트슬라브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관통홀 또는 제1지지부재(31)의 사이 또는 제 2지지부재(35)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슬라브(100)의 하면에는 상기 보조강판빔에 단부가 지지되는 강판빔(11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강판빔은 코러게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슬라브(100)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근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조강판빔(30)의 상부측의 지지빔(20)이 매립될 수 있는 두게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강판빔(30)의 상면과 상기 상부플레이트(22)의 하면사이에 콘크리트몰탈의 공간없이 충전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는 건축의 기둥들의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지지빔(2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판빔(30)의 단부에 강판빔(110)의 단부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콘크리트슬라브(100)를 시공한다.
상기 강판빔(11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콘크리트슬라브(10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판빔의 높이로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빔(20)에 지지된 보조강판빔(2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웨브(21)와 상부플레이트(21) 및 스터드볼트(40)가 콘크리트슬라브(100)에 매립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지지빔(20)이 콘크리트슬라브(100)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기둥들을 연결하는 지지빔(20)에 건축물의 층간의 사이의 공간이 잠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층간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시공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강판빔(110)과 규격화 된 형강 즉, I빔, H빔 등의 형강을 지지빔(20)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빔(20)에 지지된 보조강판빔(30)은 콘크리트슬라브(100)의 하면을 받치고 있으므로 지지빔(20)에 의한 콘크리트슬라브(100)의 지지력을 높이고, 지지빔(20)에 작용하는 콘크리트슬라브(100)의 하중이 지지빔(20)의 특정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강판빔(30)은 지지빔(20)의 웨브(21)에 의해 연결되는 부위가 제 1,2지지부재(31)(35)가 설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조강판빔(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1지지부재(31)은 콘크리트슬라브(100)에 매립되는데, 이들에 형성된 관통공 또는 제1지지부재(31)을 연결하는 연결바에 의해 콘크리트슬라브(100)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는 건물들 사이의 층간공간이 콘크리트슬라브를 받치는 지지빔의 노출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층간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면 나아가서는 다층건물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층고가 높아짐에 따른 시공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

  1.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하부측에 각각 설치되는 상,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한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의 웨브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부플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보조강판빔과,
    상기 지지빔의 보조강판빔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웨브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콘크리트슬라브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콘크리트슬라브에 매립되어 지지짐과의 결속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킨 스터드볼트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슬라브의 하면에는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되며 콘크리트슬라브를 지지하는 강판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들과,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2지지부재들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KR1020200176613A 2020-12-16 2020-12-16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KR20220086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613A KR20220086294A (ko) 2020-12-16 2020-12-16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613A KR20220086294A (ko) 2020-12-16 2020-12-16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94A true KR20220086294A (ko) 2022-06-23

Family

ID=8222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613A KR20220086294A (ko) 2020-12-16 2020-12-16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29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531B1 (ko) 2008-09-29 2011-06-23 김충기 경간의 거리연장과 천정높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지지빔구조체
KR20130080528A (ko) 2012-01-05 2013-07-15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윤축 조향장치
KR101597964B1 (ko) 2015-10-05 2016-02-26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천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531B1 (ko) 2008-09-29 2011-06-23 김충기 경간의 거리연장과 천정높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지지빔구조체
KR20130080528A (ko) 2012-01-05 2013-07-15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윤축 조향장치
KR101597964B1 (ko) 2015-10-05 2016-02-26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천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46120B2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KR101001208B1 (ko) 샌드위치 피씨-월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EA007917B1 (ru) Строительство большепролетных зданий с самораскреплением из составных несущих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и перекрытий
KR100770023B1 (ko) 전단머리를 이용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무량판의 접합구조
KR101116073B1 (ko) 층고절감형 합성보
CN108060789B (zh) 一种既有砌体结构隔震加固的墙体托换方法
KR100694493B1 (ko)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KR20170120259A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KR100631365B1 (ko) ㄱ형강 콘크리트구조
KR102319792B1 (ko) 2방향 프리캐스트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49828B1 (ko) 층고절감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KR101407502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시공방법
WO2007131115A1 (en)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and method of erection
KR100796216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KR100705560B1 (ko) 고강도 콘크리트에 의해 압축대가 보강된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무량판의 접합구조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2470160B1 (ko) Pc 벽체를 이용한 램프 시공 구조
KR101324884B1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KR20220086294A (ko) 건물의 층간높이 잠식을 줄인 층간구조체
CA2592820A1 (en) Composite floor and composite steel stud wall construction systems
KR100588193B1 (ko) 슬림형 바닥 시스템을 위한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 복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578641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 기둥, 이를 이용한 복합 구조 시스템및, 이의 시공방법
KR100301305B1 (ko) 초고층건물의 합성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612179B1 (ko) 철골 콘크리트 합성보와 경량 콘크리트 패널이 합성된 바닥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