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580B1 - 의자의 경사작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경사작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580B1
KR0171580B1 KR1019900021956A KR900021956A KR0171580B1 KR 0171580 B1 KR0171580 B1 KR 0171580B1 KR 1019900021956 A KR1019900021956 A KR 1019900021956A KR 900021956 A KR900021956 A KR 900021956A KR 0171580 B1 KR0171580 B1 KR 017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weight
torsion spring
actuato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192A (ko
Inventor
순이찌 다카마쯔
히로지 구보
가쯔노리 하마
히로시 이와부찌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쿄오지
가부시기가이샤 이도오기 크레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2882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779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911109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9876Y2/ja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쿄오지, 가부시기가이샤 이도오기 크레비오 filed Critical 가게야마 쿄오지
Publication of KR91001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있어서의 경사작동체의 후경사시의 하중(체중의 일부)에 대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에 의한 지지반력 모멘트의 모멘트 팔길이를 경사작동체 위에 배치하여 설치한 앉는 부분에 앉는 사람의 체중이 커짐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커지도록 하고, 체중변경의 넓은 범위에 걸쳐 경사작동체의 후경사시의 탄성지지력을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의 경사작동 제어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도에서 제6도까지는 실시예 1을 표시하고,
제1도는 중요부분 사시도(斜視圖),
제2도는 제1도의 II-II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V-V 일부 잘린 평면도.
제6도는 작용설명도.
제7도는 실시예 2의 중요부분측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VIII-VIII 단면도.
제9도는 제3실시예의 중요부분측 단면도.
제10도에서 제13도까지는 제4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0도는 종단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XII-XII 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XIII-XIII 평면도.
제14도는 제4실시예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중요부분 사시도.
제15도는 제5실시예의 종단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XVI-XVI 단면도.
제17도에서 제20도까지는 제6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7도는 종단측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XVII-XVII 단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XIX-XIX 단면도,
제20도는 작용설명도.
제21도에서 제24도까지는 제7실시예를 표시하고,
제21도는 종단측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XXII-XXII 단면도.
제23도는 제21도의 XXIII-XXIII 단면도.
제24도는 작용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 고정틀체 3, 33 : 경사작동체
4, 32 : 횡지축 5 : 등받이부
6, 34 : 앉는 부분 26 : 평행링크 기구
30 : 볼트 40, 79 : 비틀림스프링체
82 : 탄성 부재(部材) 85 : 변환장치
88 : 평행링크 기구
본 발명은 사무용등의 의자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앉는 부분 또는 앉는 부분과 경사작동체가 후(後)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의 탄성변형력에 항거하여 뒤로 경사작동할 수 있게 한 의자에 있어서의 경사작동 제어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무용 등의 의자에 있어서의 앉는 부분에 사람이 걸터 앉을 때 그 앉는 부분과 또는 앉는 부분과 등(허리)을 기대는 지지체가 작어도 하나의 스프링체의 탄성변형력에 항거하여 뒷방향으로 경사작동하도록 한 의자의 경사작동장치는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류의 경사작동장치에서는, 등받이부가 붙어 있는 앉는 부분 또는 앉는 부분과 등받이 지지체가 스프링체에 항거하여 뒷방향으로 경사작동할 때 그 경사작동각도는 스프링체에 있어서의 스프링정수(스프링체에 어떤 단위의 변형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힘)에 반비례한다.
이런 이유에서 앉는 부분에 앉는 사람의 체중이 동일할 때, 스프링체의 스프링정수를 큰 것으로 설정하면, 앉는 부분 등의 뒷방향으로의 경사작동각도가 작게 된다. 반대로, 스프링체의 스프링정수를 작은 것으로 설정하면 앉는 부분 등의 뒷방향으로 경사작동각도가 커진다.
종래의 이 종류의 경사작동장치는 앉는 부분 또는 등받이 지지체를 스프링정수가 일정한 코일형상의 압축스프링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였으므로, 앉는 부분에 앉는 사람의 체중이 무거우면 앉는 부분 및 등받이 지지체의 뒷방향으로의 경사작동각도는 필연적으로 큰 것으로 되며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 앉으면 상기한 경사작동각도는 작은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 앉는 사람의 체중에 의하여 앉는 부분 등의 뒷방향으로의 경사작동각도가 가지각색으로 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제4077596호 명세서에서는 등받이부가 달린 앉는 부분의 후경사작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장치를 판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이 판스프링의 기단부(基端部)룰 고정틀체에 고정시켜, 그 판스프링의 자유단을 의자의 뒷방향으로 연장하며 앉는 부분에 앞이 이동조절 가능하게 설치한 누름체를 상기한 판스프링의 긴쪽 방향의 중도부(中途部) 뒷면에 눌러서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하여 이 판스프링의 스프링정수를 수동조작으로 증감조절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비행기등의 교통기관에 있어서의 좌석등과 같이 하나의 의자에 앉는 사람이 여러번 바꾸게 될 때, 상기한 판스프링의 스프링정수를 앉는 사람의 체중에 맞춰서 하나하나 변경조절 조작하는 것은 번거롭고 귀찮다.
또, 상기한 스프링정수의 조절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예컨대 스프링정수를 작게 조절한 의자에 체중이 무거운 사람이 앉으면 그 사람에 있어서는 후경사작동에 대한 저항감이 지나치게 작아져서 불안정감을 주며, 반대로 스프링정수를 크게 조절한 의자에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 앉으면 앉는 부분의 후경사작동각도가 지나치게 작아져서 이른바 앉는 기분이 나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한 어느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 등의 스프링장치의 설치장소는 위치가 고정적이고, 또한, 스프링장치의 형상치수는 일정한것이므로, 그 스프링정수를 변경조절할 수 있는 범위는 좁고 한정되는 것으로 되며, 차이가 큰 체중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예컨대 체중 100㎏에서 40㎏정도까지의 체중인 사람들에게 적합시켜서, 의자의 후경사작동을 대략 일정하도록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의자에 있어서의 경사작동체의 윗방향에 배치하여 설치한 앉는 부분에 착석하는 사람의 체중변화에 불구하고, 경사작동체의 후경사시의 탄성지지력을 자동적으로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경사작동체 뒷부분에 부착하는 등받이부에 기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에 의한 지지반력(支持反力) 모멘트의 모멘트 팔길이를, 상기한 앉는 부분에 앉는 사람의 체중이 커지는데 따라서 자동적으로 커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체중변동이 광범위에 걸쳐서 경사작동체의 후경사시의 탄성지지력을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즉, 의자에 있어서의 고정틀체 등의 지지장치와, 그 지지장치에 황지축(橫支軸)을 개재하여 후경사작동 가능하게 장착된 경사작동체와, 체중을 걸칠 때 이것에 의하여 하강하여 이동하는 앉는 부분을 구비한 의자를 위한 경사작동 제어장치가 있고, 경사작동체의 뒷방향으로의 경사작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와, 상기한 앉는 부분에 걸치는 체중에 응답하여 상기한 체중이 커지는데 따라서 상기한 경사작동체에 대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의 하중작용점을 상기한 횡지축에서 의자의 뒷쪽에 자동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변환장치등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앉는 부분에 앉는 사람의 체중(하중)이 아랫방향으로 걸쳐지면 그 앉는 부분의 윗방향으로 가해진 힘에 항거하여 경사작동체와의 빈틈이 작게되도록 앉는 부분이 침몰하며, 이때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는 앉는 부분에 관련시킨 변환장치를 개재하여 횡지축에서 멀어지게 의자의 뒷쪽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가 횡지축에서 멀어지도록 의자의 뒷쪽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한 체중이 커짐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커진다.
상기한 이동된 위치에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경사작동체의 뒷방향으로의 경사작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므로, 이 경사작동체에 대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의 하중작용점(하중 지지점)을, 경사작동체 위의 앉는 부분에 앉는 사람의 체중이 커짐에 따라서, 상기한 횡지축에서 의자의 뒷쪽에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지지장치의 앞부분에 상기한 횡지축을 개재하여 경사작동체의 앞부분을 후경사작동 가능하게 피보팅하고, 상기한 횡지축보다 후방에 있어서 지지장치 위에 설치한 상기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에서 경사작동체를 지지하면, 상기한 횡지축에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까지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후경사작동체의 뒷쪽 하향 경사작동각도 더 나아가서는 등받이부의 후경사각도를 소정의 각도까지 변위시키는데, 휘는 양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체중이 무거운 사람이 착석하면, 큰 기대를 하중을 거치지 않으면, 상기한 경사작동각도까지 후경사작동체가 후경사하지 않는다.
바꿔서 말하면, 경사작동체의 후경사작동 성능은 딱딱한 것으로 된다.
반대로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 앉는 부분에 착석할때에는,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위의 자유단부측과 경사작동체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과의 작용점은 횡지축에 가까운 곳으로 되므로 상기한 등받이부를 상기한 것과 동일각도만큼 후경사시키는데 필요한 힘, 더 나아가서는 비틀림스프링체의 반력은 작게되고, 이른바 푹신한 경사작동장치를 구비한 의자에 앉아서 등받이부에 기대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되는 것이다.
또,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의 스프링정수를 변동시키는 경우에는 그 변동범위는 좁지만 본 발명과 같이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의 하중작용점(하중지지점)을 변동시키면 그 변동범위를 크게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착석하는 사람의 체중이 크게 변동하는 의자에 대한 경사작동제어도 정확하게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와 변환장치는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를 코일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하여 상하로 자유단부를 구비한 비틀림스프링체의 형태로 한다.
이 비틀림스프링체의 상하 자유단부의 방향을 의자의 뒷쪽으로 연장할 때에는 그 비틀림스프링체의 아래 자유단부를 지지장치에 전후 회전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한편, 체중의 크기에 따라서 하강하여 이동하는 앉는 부분에 연이어 움직이는 변환장치를 개재하여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의 윗자유단부를 경사작동체에 있어서의 미끄럼이동접촉부재에 미끄럼이동접촉시키면서 횡지축에서 의자의 뒷쪽에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면, 경사작동체에 걸치는 기대는 하중을 비틀림스프링체의 윗자유단부와 상기한 미끄럼이동접촉부재와의 맞닿는 장소(작용점)에서 지지하게 되어서 이 비틀림스프링체는 경사작동체의 하강량에 비례하는 휘는 변형을 받아서 이 휘는 변형량에 비례하는 반력으로 경사작동체를 지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체중이 무거운 사람이 앉는 부분에 앉는 상태에서 등받이부에 기대면, 경사작동체의 뒷쪽 하향 경사작동각도 더 나아가서는 등받이부의 후경사각도를 소정의 각도까지 변위시키는데 휘는 양의 큰, 즉 반력이 큰 비틀림스프링체를 사용한 것으로 되며 큰 기대는 하중을 걸치지 않으면 상기한 경사작동각도까지 등받이부가 후경사하지 않는다. 바꿔서 말하면, 경사작동체의 후경사작동 성능은 딱딱한 것으로 된다.
반대로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 앉는 부분에 착석할 때에는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 윗자유단부측과 경사작동체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과의 작용점은 횡지축에 가까운 곳으로 되므로 상기한 등받이부를 상기한 것과 동일각도만큼 후경사시키는데 필요한 힘, 더 나아가서는 비틀림스프링체의 반력은 작은 것으로 되고, 이른바 푹신한 경사작동장치를 구비한 의자에 앉아서 등받이부에 기대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되는 것이다.
또, 상기한 변환장치는 복수의 링크편으로 된 것이라도 좋고 평행링크기구라도 좋다. 더욱이, 상기한 변환장치는 상기한 앉는 부분과 경사작동체와의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한 경사가이드면을 구비한 누름체와 상기한 다른쪽으로 설치하여 상기한 누름체의 경사가이드면에 맞닿는 피누름체로 이루어지고, 앉는 부분의 하강이동에 따라서 상기한 누름체 또는 피누름체 중 어느 한쪽이 상기한 횡지축에서 멀어지게 뒷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이동하는 누름체 또는 피누름체와 후경사작동제어 tm프링장치의 상단부에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자에 사람이 앉아서 앉는 부분에 하중(체중)이 걸리면, 앉는 부분이 체중감응용의 앉는 부분용 스프링체의 탄성에 항거하여 경사작동체와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강하여 이동함과 아울러, 누름체와 피누름체와의 상대적인 가이드작용으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가 의자의 뒷쪽으로 향해서 이동하며, 그결과,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에 대한 하중의 작용점인 윗자유단부가 의자의 뒷쪽으로 향해서 끌어당겨지며, 비틀림스프링체는 그 윗자유단부를 경사작동체의 하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아랫자유단부 장소를 중심으로 뒷쪽으로 향해서 회전운동할 수가 있다.
결국, 앉는 부분으로의 사람의 착석에 의하여, 경사작동체의 후경사작동을 지지하기 위한 비틀림스프링체에 대한 하중의 작용점이 의자의 뒷쪽으로 향해서, 환언하면, 경사작동체의 원추형 부착부인 횡지축에서 멀어지게 이동한다.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의 설치위치를 지지장치에 대하여 위치를 고정적으로 장착하고, 비틀림스프링체의 윗자유단부를 상기한 횡지축에 접근하도록 앞으로 향해서 연장하고, 변환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체중에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누름체가 비틀림스프링체의 윗자유단부를 아랫방향으로 누르게 구성하면, 비틀림스프링체의 윗자유단부에 대한 누름체의 접촉점(작용점)은, 상기한 체중의 증대에 비례하여 상기한 횡지축에서 멀어지므로 상기한 등받이부 하중의 모멘트에 마주보는 반력모멘트의 아암길이도 커지며, 따라서 반력모멘트도 커진다. 이런 현상과 동시에, 상기한 윗자유단부에 대한 누름체의 접촉점(작용점)이 비틀림스프링체의 코일중심축으로 이동하여 이 비틀림스프링체의 비틀림 탄성변평에 대한 저항력도 커지므로 상기한 반력모멘트가 커진다.
상기한 결과, 체중의 변동범위가 큰 상태라도 그것에 대응하는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인 비틀림스프링체에 의한 반력모멘트의 변동범위도 커질수 있다. 따라서, 차이가 큰 체중의 광범위에 걸쳐서 의자의 후경사작동각도를 대략 일정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성취하는 것이다.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를 지지장치 윗면에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이동자체에 적재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때에는,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에 입히게 하는 윗이동체를 링크로 이루어진 변환장치에 의하여, 체중의 크기에 대략 비례하여 상기한 횡지축에서 떨어지도록 뒷방향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 경우는 압축코일스프링 전체의 위치가 체중의 증대에 따라 상기한 횡지축에서 떨어지게 이동하므로, 의자에 앉는 사람의 체중이 클수록 후경사해야할 등받이부에 대한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한 지지반력의 모멘트를 자동적으로 크게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6도까지는 실시예 1을 표시한다.
부호(1)은 의자의 다리지탱기둥(2)의 상단에 고정된 지지장치인 고정틀체를 표시하고, 부호(3)은 상기한 고정틀체(1)의 앞부분에 횡지축(4)을 개재하여 상하로 회전운동하도록 장착된 경사작동체이고, 횡지축(4)의 외주에 끼워맞춰진 비틀림코일스프링(도시하지 않음)으로 경사작동체(3)를 상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그 경사작동체(3)는 딱딱한 부재(금속판이나 글라스섬유강화 플라스틱판 등의 휘기 어려운 부재)로 이루어진 쉘형상이며, 측면에서 보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작동체(3)의 상부 앞면은 앉는 부분(6)후부의 등받이부(5)에서의 하중(기대는 하중)을 누름부재(5a)를 개재하여 받을 수 있도로 구성한다.
측면에서 보면 L자 형상인 앉는 부분(6)는 상기한 경사작동체(3)의 위쪽에 배치하여 설치하고, 복수의 체중감응용 스프링장치인 코일스프링(압축스프링)(7)으로 상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경사작동체(3)와 앉는 부분(6)는 상단을 앞상향으로 경사하여 설치한 앞링크체(8)와 뒷링크체(9)로 구성하는 전후 쌍의 평행링크기구(10)를 개재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앞링크체(8) 및 뒷링크체(9)의 상단이 앉는 부분(6)에 핀(11), (12)로 연결되고, 이 각 핀(11), (12)보다 뒤위치에 앞링크체(8)의 중도부 및 뒷링크체(9)의 하부를 핀(13), (14)으로 연결한다. 이것에 의하여, 앉는 부분(6)에 아랫방향 하중(사람의 체중)이 작용할 때 이 앉는 부분(6)이 앞방향 하향으로 이동한다.
부호(15)는 상기한 경사작동체(3)의 후부와 고정틀체(1)를 연결한 굴곡이 자유로운 규제링크이다.
부호(16), (16)은 고정틀체(1)와 경사작동체(3)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설치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로서의 좌우 한쌍의 비틀림스프링체이며, 그 각 비틀림 스프링체(16)는 스프링막대를 코일형상으로 감아서 성형하고, 그 각 상하 자유단부(16a), (16b)를 뒷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며, 상기한 횡지축(4)과 평행하게 연장시킨 각 아랫자유단부(16b)를 고정틀체(1)에 부착하고 쇠장식(17)을 개재하여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피보팅한다.
상기한 앉는 부분(6)의 아랫방향 이동에 따라서 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으로서의 비틀림스프링체(16), (16)의 윗자유단부(16a), (16a)가 횡지축(4)에서 떨어져 뒷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운동)변환장치는 상기한 평행링크기구(10)와 상기한 양 비틀림스프링체(16), (16)의 윗자유단부(16a), (16a)에 관련시켜 설치한다.
제1도에서 제6도까지에 표시하는 실시예 1에서는 변환장치는 상기한 평행링크기구(10)에 있어서의 앞링크체(8)와 그 앞링크체(8)와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도록 연결하는 링크(18)와 경사작동체(3)의 하면측에 설치한 미끄럼이동접촉부재(22)로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한 좌우1쌍의 비틀림스프링체(16), (16)의 윗자유단부(16a), (16a)는 2개로 나눠진 링크(18)로서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도록 끼워서 나사(19)로 링크(18)를 이탈하지 않게 고정하고 핀(20)으로 링크(18)의 하단을 상기한 앞링크체(8)의 하단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도록 원추형 접합한다.
또한, 상기한 경사작동체(3)에 뚫은 구멍(21)부분에 설치한 미끄럼이동접촉부재(22)를 측면에서 보면 원호형상등의 윗방향 볼록만곡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미끄럼이동접촉부재(22)의 하면에 상기한 링크(18)의 상단이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맞닿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앉는 부분(6)에 앉는 사람의 체중(하중)이 하향으로 기대어지면 경사작동체(3)와의 사이의 코일스프링(7)의 가해진 힘에 대항하여 그 경사작동체(3)와의 간극이 작아지도록 앉는 부분(6)가 약간 앞쪽으로 내려앉고, 이때 평행링크기구(10)에 있어서의 앞링크체(8)의 하단이 뒷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앞링크(8)의 하단에서 핀(20)으로 연결된 링크(18)를 개재하여 비틀림스프림체(16)의 윗자유단부(16a)를 중심으로 하여 뒷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또한 이 링크(18)의 상단은 원호형상인 미끄럼이동접촉부재(22)의 하면에 맞닿으면서 뒤로 이동한다.
제6도에서 표시하듯이 이 뒷방향이동량(ℓ1)은 상기한 앉는 부분(6)에 가중되는 사람의 체중의 크기에 대략 비례하게 된다. 경사작동체(3)에 대한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측 (링크(18)의 상당)의 맞닿는 장소(A)는 앉는 부분(6) 위로 부터의 하중을 받는 지지점(작용점)이 되고,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 앉는 부분(6)에 앉았을 경우, 제6도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맞닿는 장소(A)가 되며 체중이 무거운 사람이 앉으면 제6도의 1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맞닿는 장소(A)는 후방으로 벗어난다.
그와 같이 앉는 부분(6)에 앉는 사람의 체중이 커짐에 따라서 비틀림스프링체(16)가 경사작동체(3)를 지지하는 지지점은 횡지축(4)부터의 거리가 뒷방향으로 커지도록 변위시킨다.
또 이 맞닿는 장소(A)의 위치는 상기한 체중이 일정하면 대략 같은 위치로 유지된다.
이어서 등받이부(등을 기대는부)(5)에 뒷방향의 기대는 하중이 걸리게 되면 경사작동체(3)는 그 앞부분의 횡지축 4장소를 중심으로 하여 후하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때 경사작동체(3)에 걸리게 되는 기대는 하중을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측(링크(18)의 상단)과 상기한 미끄럼이동접촉부재(22) 하면과의 상기한한 맞닿는 장소(A)에서 지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비틀림스프링체(16)는 경사작동체(3)의 하강량에 비례하는 휘어진 변형을 받고 그 휘어진 변형량에 비례하는 반력으로 경사작동체(3)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한 경사작동체(3)를 후하향 회전운동각도(θ1)만큼 후경사시킬 때 상기한 맞닿는 장소(A)가 횡지축(4)보다 거리(L)만큼 멀어진 위치에 있으면 그 거리(L)에 비례하여 경사작동체(3)의 하강량은 증대하기 때문에 이 하강량에 비례하는 굽힘량을 받는 비틀림스프링체(16)의 반력은 커진다.
다시 바꾸어 말하자면 경사작동체(3)의 등받이부(5)에 작용하는 기대는 하중에 의한 모멘트와 횡지축(4)부터 맞닿는 장소(A)까지의 거리(모멘트의 팔길이)에 비틀림스프링체(16)의 반력을 실은 모멘트(반력의 모멘트)는 서로 같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앉는 부분(6)에 작용하는 아랫방향 하중(체중)이 증대함에 따라서 상기한 횡지축(4)부터 맞닿는 장소(A)까지의 거리(모멘트의 팔길이)가 커지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 앉는 부분(6)에 앉을 때에는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측과 경사작동체(3)에 있어서의 미끄럼이동접촉부재(22)와의 맞닿는 장소(A)의 위치는 횡지축(4)에 가까운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한 등받이부(5)를 각도(θ1)만큼 후경사시키는데에 필요한 힘, 나아가서는 비틀림스프링체(16)의 반력은 작은 것이 되어, 소위 푹신한 후경사작동 성능인 의자에 앉아서 등받이부에 기댄것과 같은 것이 된다.
반대로 체중이 무거운 사람이 앉는 부분(6)에 앉은 상태로 등받이부(5)에 기대면 경사작동체(3)의 후하향 경사작동각도, 나아가서는 등받이부(5)의 후경사각도(θ1) 상기한 가벼운 체중의 사람의 경우와 같은 것만큼 변위시키는데도, 비틀림스프링체(16)의 반력은 큰 것이 되어, 소위 딱딱한 후경사작동 성능의 의자에 앉아서 등받이부에 기댄것과 같은 것이 된다.
제7도 및 제8도의 실시예 2에서는 고정틀체(1)에 아랫자유단부(25b)를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피보팅한 비틀림스프링체(25)의 윗자유단부(25a)를 앉는 부분(6)과 경사작동체(3)를 연결하기 위한 평행링크기구(26)에 있어서의 앞링크(27)의 하단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피보팅한다. 이 비틀림스프링체(25)의 윗자유단부(25a)를 경사작동체(3)의 구멍(21)부터 하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또한 볼트(30)로 고정한 미끄럼이동접촉부재(28)의 하면에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맞닿게 하는 구조이다.
경사작동체(3)에 대하여 윗방향 스프링 힘이 가해진 앉는 부분(6)은 그 하향 하중(체중)에 의해 평행링크기구(26)에 있어서의 앞링크(27)와 뒷링크(29)가 경사작동하기 때문에 앞링크(27)의 하단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비틀림스프링체(25)의 윗자유단부(25a)는 강제적으로 후향으로 소정량(체중에 비례하여)만틈 이동하고, 이 윗자유단부(25a)와 상기한 미끄럼이동접촉부재(28)와의 맞닿는 장소(A)에서 등받이부(5)로의 시대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그 작용효과는 상기한 실시예 1과 대략 같다.
제9도는 실시예 3을 표시하고, 고정틀체(31)의 앞부분의 횡지축(32)을 개재하여 경사작동체(33)의 앞부분을 상하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경사작동체(33)의 윗쪽에 배치하여 설치한 앉는 부분(34)를 전후1쌍의 평행링크기구(35)(앞링크(35a), 뒷링크(35b))로 연결한다. 또, 경사작동체(33)에 굳게 붙인 규제스토퍼(36)로 뒷링크(35b) 또는 앞링크(35a)를 후상향 회전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앉는 부분(34)를 후하향으로 회전운동시키지 않고, 앉는 부분(34)를 전하향방향으로만 하강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한다.
체중감응용 스프링장치로서의 판스프링(37)은 그 기단부를 고정틀체(31)의 앞부분에 볼트(38)로 고정하고 또한 후상향으로 연장시킨다. 판스프링(37)의 자유단측(후측)에서 앉는 부분(34)의 하면돌기부(34a)를 지지하여 윗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경사작동체(33)와 고정틀체(31)와의 사이에도 경사작동체(33)를 윗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보조스프링(39)를 설치한다.
부호(40)는 고정틀체(31)와 경사작동체(33)와의 사이에 후향으로 배치하여 설치한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인 비틀림스프링체이고, 그 비틀림스프링체(40)의 아래자유단부(40b)를 고정틀체(31)에 있어서의 부착쇠장식(41)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지지시킨다.
앉는 부분(34)의 하향이동을 비틀림스프링체(40)의 윗자유단부(40a)의 후향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장치는 앉는 부분(34)의 상단을 핀(43)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피보팅한 측면에서 본 L자형상의 링크(42)와 그 링크(42)의 하단과 상기한 자유단부(40a)와를 연결하는 걸림용링크(46)로 된다.
링크(42)의 중도부(내각측)을 경사작동체(33)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한 걸어맞춤핀(44)에 지지시키고, 링크(42)의 하단의 핀(45)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연결한 걸림용링크(46)의 윗면을 경사작동체(33)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한 앞뒤로 긴 미끄럼이동접촉부재(47)에 있어서의 상향 볼록만곡형상의 맞닿는 면(47a)에 맞닿게 하여 상기한 걸림용링크(46)의 걸어맞춤부(46a)를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40)의 윗자유단부(40a)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걸어맞춘다.
또한, 부호(48)는 경사작동체(33)를 소정량이상 상향 회전운동시키지 않기위한 규제핀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앉는 부분(34)에 체중이 걸리면 평행링크기구(35)를 개재하여 앉는 부분(34)는 경사작동체(33)에 접근하도록 전하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링크(42)의 하단측이 후향으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링크(42)에 연결된 걸림용링크(46)를 개재하여 비틀림스프링체(40)의 윗자유단부(40a)는 강제적으로 후향으로 이동되며, 이 이동량은 대략 체중에 비례한다.
그리하여, 상기한 윗자유단부(40a)축에 위치하는 걸림용링크(46)는 미끄럼이동접촉부재(47)와의 맞닿는 장소도 뒤로 이동한 위치로 유지되므로 비틀림스프링체(40)에 의한 경사작동체(33)에 대한 반력의 작용점도 상기한 체중에 비례하여 뒤로 이동한 위치에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경사작동체(33)에 기대는 하중이 작용하여 경사작동체(33)가 소정각도만큼 후하향으로 경사작동할 때, 그 비틀림스프링체(40)에 의한 반력은 상기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대략 동일하게, 상기한 횡지축(32)로부터 뒤에 멀리 떨어진 위치의 작용점에 대해서는 크게 할 수 있고, 반대로 횡지축(32)에 가까운 작용점에서는 비틀림스프링체(40)에 의한 반력을 작게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체중이 무거운 사람이 앉으면 후경사 성능이 딱딱해진 의자에 앉은 셈이 되고, 반대로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 앉으면 상기한 후경사 성능이 푹신한 의자에 앉은 셈이 되듯이 의자의 후경사 성능이 체중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제10도에서 제13도는 실시예 4를 표시하고, 부호(1)은 의자의 다리지탱기둥(2)의 상단에 부착된 단면 상향 ⊃자형상의 고정틀체이다.
부호(3)은 금속판등의 강성판으로 형성한 경사작동체를 표시하고, 그 경사작동체(3)의 후단에 등받이 부착기둥을 세워서 설치하여 그 전면에 쿠션이 부착된 등받이부(5)를 설치하는 한편 경사작동체(3)의 앞끝부분에 구부려서 형성한 좌우 양측판(3a)을, 상기한 고정틀체(1)에 있어서의 좌우 양 측판(1a)의 앞부분에 횡지축(4)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원추형 접합한다.
상기한 경사작동체(3)의 위쪽에 배치하여 설치한 앉는 부분(6)는 그 상면에 쿠션재(50)을 목적한 형상을 갖추도록 설치하고, 앉는 부분(6)의 하면에 상기한 경사작동체(3)의 좌우 양 측면에 따라서 하향으로 뻗어나가는 브래킷(51)을 전후 한쌍씩 설치하고, 이들 브래킷(51)에 뚫은 상하로 긴 가이드구멍(52)에 경사작동체(3)에 구부려서 형성한 측판(3a) 및 하향브래킷핀(3b)에 관통한 가이드핀(53)을 끼워서 통하게 하는 한편, 앉는 부분(6)와 경사작동체(3)와의 사이에 체중감응용 스프링장치으로서의 압축코일스프링(7)을 적당한 갯수 사이에 끼워넣어 이들 압축스프링(7)의 탄성에 대항하여 앉는 부분(6)가 경사작동체(3)에 대하여 하강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로서의 좌우 한쌍의 비틀림스프링체(16)(16)은 고정틀체(1)의 저면과 경사작동체(3)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설치한다.
이들 좌우 양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를 일체적으로 연달아 접하게 하여 그 윗자유단부(16a) 및 좌우 양 아랫자유단부(16b)가 의자의 후방으로 뻗도록 배치하여 설치하여, 좌우 양 아랫자유단부(16b)를 상기한 지축(4)과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굴곡하여 이들 좌우 양 아랫자유단부(16b)를 누름부재(54)로서 고정틀체(1) 아랫판 상면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피보팅함으로서, 좌우 양 비틀림스프링체(16)이 아랫자유단부(16b)를 중심으로 하여 의자의 후방으로 향하여 회전운동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비틀림스프링체(16)은 그 상하 양 자유단부(16a)(16b)를 의자의 앞방향으로 향하여 뻗도록 배치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앉는 부분(6)의 하강이동을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의 후방향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운동)변환장치는 앉는 부분(6)의 하면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누름체(55)와, 그 누름체(55)로 눌러져서 후하향으로 회전운동하는 피누름체로서의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과, 그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과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를 연결하는 연결기둥(57)과, 상기한 윗자유단부(16a)를 가이드하기 위한 미끄럼이동접촉부재(62)로 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한 경사작동체(3)중에 비틀림스프링체(16)의 후방에 위치한 부위에 구멍(58)을 뚫어서 그 구멍(58)의 장소에 후방으로 향해 윗쪽으로 경사한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을 배치하여 설치하여, 그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의 후단을 경사작동체(3)의 브래킷(59)에 수평핀(60)으로 원추형 접합하는 한편,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의 선단에 평면에서 본 ⊃자 형상으로 형성한 연결기둥(57)의 좌우 양 후단부를 핀(61)으로 상하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원추형 접합하여 그 연결기둥(57)의 선단부(57a)를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끼워지게 하는 동시에 연결기둥(57)의 선단부(57a)를 경사작동체(3)에 굳게 붙인 상향 원호형상의 미끄럼이동접촉부재(62)의 하면에 따라서 전후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되도록 맞닿게 구성한다.
또 한편, 상기한 앉는 부분(6)의 하면중에 상기한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의 위쪽에 위치한 장소에 하단후면을 측면에서 보면 원호면(55a)으로 형성한 누름체(55)를 하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하여 그 누름체(55)의 원호면(55a)을 상기한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의 상면에 맞닿게 한다.
또 상기한 연결기둥(57)의 선단부(57a)는 2개로 쪼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2개로 쪼갠 조각으로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를 끼운 다음, 양 쪼갠조각을 용접 또는 나사채결등으로 굳게 붙이도록 하고 있다.
또, 좌우 양 비틀림스프링체(16)의 스프링정수보다도 각 압축스프링(7)의 전체로서의 스프링정수가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부호(64)는 경사작동체(3)의 앞경사를 규제하는 규제링크기구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의자에 사람이 앉으면 앉는 부분(6)는 압축스프링(7)의 탄성에 대항하여 하강하여 이동하여 앉는 부분(6)와 경사작동체(3)와의 사이의 상하간격이 좁아짐으로서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이 누름체(55)에 의한 누름작용으로 후방으로 향한 회전운동하여 그에 따라서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가 원호형상의 미끄럼이동접촉부재(62)의 하면에 따라서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비틀림스프링체(16)는 아랫자유단부(16b)를 중심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경우, 압축스프링(7)의 스프링정수가 일정한 것에 의해 앉는 부분(6)이 경사작동체(3)에 대하여 하강하는 양의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에 비례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ℓ)도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즉 경사작동체(3)에 대한 비틀림스프링체(16)의 반력작용점은 앉는 부분(6)에 앉는 사람의 체중이 커짐에 따라서 횡지축(4)으로부터 떨어져서 후방으로 이동하는(반력모멘트의 팔길이가 증대한다) 것이다.
그리하여 의자에 앉은 사람이 등받이부(5)에 기대면, 경사작동체(3)는 제1도에 1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횡지축(4)을 중심으로 하여 비틀림스프링체(1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경사작동한다.
이 경우 사람이 등받이부(5)에 기댐으로서 경사작동체(3)에 작용한 하중에 의한 모멘트는 비틀림스프링체(16)에 작용하지만 횡지축(4)부터 등받이부(5)까지의 거리는 일정하기 때문에 비틀림스프링체(16)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 즉 비틀림 스프링체(16)를 단위길이만큼 변형시키는 데에 필요한 하중의 크기는 횡지축(4)부터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게 된다. 그러나,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ℓ)가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에 대응하여 변화함으로서 횡지축(4)으로부터의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까지의 거리도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에 대략 비례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경사작동체(3)에 대한 하중이 변화해도,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의 이동에 의해 경사작동체(3)에 대한 하중의 변화를 상쇄하여 비틀림스프링체에 대한 모멘트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이며, 그 결과 경사작동체(3)의 후경사각도를,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누름체(55)를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상면에 맞닿게 함으로서 비틀림스프링체(16)를 이동시키도록 한 경우였지만 제14도의 실시예에 표시하듯이 경사작동체(3)에 있어서의 구멍(58)의 좌우내측 가장자리의 장소에 형성한 좌우 한쌍의 브래킷(64), (64)의 긴구멍(64a), (64a)에 피누름체의 일예로서의 미끄럼이동핀(65)을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및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끼워 통하게 하는 한편, 앉는 부분(6)의 하면에, 후면을 후방으로 향해 윗쪽으로 경사한 가이드면(66a)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좌우 한쌍의 누름체(66), (66)를 굳게 붙이고, 이들 좌우 양 누름체(66)의 가이드면(66a)을 상기한 미끄럼이동핀(65)에 맞닿게함으로서, 앉는 부분(6)의 하강이동에 의해 미끄럼이동핀(66)이 의자의 후방으로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한 미끄럼이동핀(65) 또는 그 지축과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와를 와이어(67)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누름체(55)(66)를 경사작동체(3)에 설치하여 앉는 부분(6)의 하면에 흔들려서 움직이는 기둥(56) 또는 미끄럼이동핀(65)등의 피누름체를 설치하여도 좋다.
제15도 및 제16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5에 있어서는 고정틀체(1)의 앞부분에 비스듬히 후방으로 향해 뻗는 판스프링(68)을 굳게 붙여 그 판스프링(68)의 후단측에 앉는 부분(6)을 굳게 붙임으로서 앉는 부분(6)이 경사작동체(3)에 대하여 하강이 자유롭고 또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한 앉는 부분(6)의 하면에 앞끝부분면을 후방으로 향하여 비스듬히 하향한 경사가이드면(69a)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좌우 한쌍씩의 가이드체(69)(69)를 전후방으로 적당한 열로 하향 돌출하여 설치하여 이들 각 가이드체(69)를 경사작동체(3)에 뚫은 구멍(70)에 관통하는 한편, 경사작동체(3)에 있어서의 상면에 가이드체(69)의 경사가이드면(69a)에 맞닿는 부분으로서의 가이드로울러(71)를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축받이한다.
그리하여, 좌우 양 가이드체(69)의 하단 사이를 연결봉(72)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체(69)가 구멍(70)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고, 임의의 연결봉(72)과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와를 와이어(73)등의 적당한 연결수단으로 연결한 것이다.
또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에 끼워지는 슬라이드(75)는 경사작동체(3)에 있어서의 판형상의 미끄럼이동접촉부재(74)에 맞닿으면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의자에 사람이 앉으면 앉는 부분(6)가 판스프링(68)의 탄성에 대항하여 하강하여 이동하는 동시에 가이드체(69)의 경사가이드면(69a)에 의한 가이드작용으로 앉는 부분(6)가 의자의 후방하향으로 이동하므로 와이어(73)를 개재하여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앉는 부분(6)의 하강량은 이것에 얇은 사람의 체중크기에 대략 비례하여 증대하고, 앉는 부분(6)의 수평이동거리, 나아가서는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의 이동거리도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에 대략 비례한다.
그 결과 등받이부(5)에 기대는 하중에 대응하는 반력을 상기한 체중에 따라서 이동한 비틀림스프링체(16)의 윗자유단부(16a)에서 지지하므로 경사작동체(3)의 후경사각도가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앉는 부분(6)를 판스프링(68)에 부착하는 대신에 앉는 부푼(6)를 경사작동체(3)에 대하여 적당한 가이드장치로 하강하여 이동 및 후방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연결하고, 경사작동체(3)와의 사이에 압축스프링(7)을 사이에 끼워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또 가이드체(69)는 경사작동체(3)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17도에서 제20도까지는 실시예 6을 표시하고 의자의 다리지탱기둥(2)상단에 고정된 고정틀체(1)는 단면 상향 ⊃자형의 부재로서 구성한다.
고정틀체(1)의 앞부분측에는 횡지축(4)을 개재하여 경사작동체(3)의 앞부분를 상하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피보팅하여 경사작동체(3)의 앞단에 부착되는 스토퍼(76)가 고정틀채(1)의 상면에 맞닿음으로서 경사작동체(3)의 전하향 경사작동을 규제하지만 그 경사작동체(3)후부의 등받이부(3)에 기대는 하중에 의하여 경사작동체(3)의 후방향으로의 경사작동을 허용한다.
상면에 쿠션재(50)를 목적한 형상을 갖추도록 설치한 앉는 부분(6)은 경사작동체(3)의 위쪽에 배치하여 설치하고, 체중감응용 스프링장치인 복수의 코일스프링(7)을 경사작동체(3)의 좌우를 연결하는 전후쌍의 지지판(77), (78)과 앉는 부분(6)와의 사이에 목적하는 형으로 되게 걸쳐서 이 코일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앉는 부분(6)이 하강하여 이동하는 구성이다.
경사작동 제어장치은 상기한 앉는 부분(6)에 착석하는 사람의 체중의 경중에 상관없이 경사작동체(3)의 후방향으로의 경사작동각도가 대략 일정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와, 상기한 앉는 부분(6)의 하강이동을, 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에 대한 하중의 작용점(하중부하장치)이 횡지축(4)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는 고정틀체(1)와 경사작동체(3)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설치한 비틀림스프링체(79)이며 그 비틀림스프링체(79)는 막대기형상 강재(鋼材)를 코일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하고, 그 상하 자유단부를 코일부의 원주부터 대략 접선방향으로 연장한 것이다.
고정틀체(1)의 후부상면 좌우 양측의 브래킷(80)(80)에 지지한 지축(81)에 고무제들의 통형상의 탄성부재(82)를 끼우게 하고, 그 탄성부재(82)에 비틀림스프링체(79)의 코일부(79c)를 유동가능하게 끼워 지지한다.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는 횡지축(4)에 접근하도록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편, 아랫자유단부(79b)는 고정틀체(1)의 맞닿는 지지부(83)에 맞닿게 된다.
부호(84)는 경사작동체(3)에서 하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한 규제돌기체이고, 규제돌기체(84)를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의 선단부(전단부) 상면에 눌러서 맞닿게 한다.
이에 의하여 앉는 부분(6)에 사람이 착석한 상태에서 경사작동체(3)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략 수평형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환장치(85)은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에 대한 하중부하장치인 누름로울러(86)가 부착된 이동체(87)를 고정틀체(1)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평행링크기구(88)가 되고, 이동체(87)에는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 상면에 미끄럼이동접촉하는 누름로울러(86)를 구비한다.
평행링크기구(88)에 있어서의 측면에서 본 대략 L자형상의 전후 한쌍의 링크(89)(89)(90)(90)는 그 각 하단부에 있어서의 긴홈(91)(92)에 이동체(87)의 좌위 양측면의 전후부위에 부착된 핀(93)(94)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서 각 링크(89)(90)의 상하 중도부를 지지핀(95)(96)으로 경사작동체(3)의 측면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피보팅하여, 각 링크(89)(90)의 상단부를 앉는 부분(6)에 핀(97)(98)으로서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원추형 접합한다.
부호(99)는 상기한 이동체(87)에 구비된 자세유지용의 로울러이며 상기한 누름로울러(86)보다 후부위에 설치한 로울러(99)의 상면을 경사작동체(3)의 하면에 항상 맞닿도록 구성한다.
경사작동체(3)의 등받이부(5)에 기대는 하중을 걸치지 않고 단지 앉는 부분(6)에 체중을 걸쳐서 링크(89)(90)가 회전운동할 때, 상기한 로울러(99)와 상기한 규제돌기체(84)로서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상면과 경사작동체(3)와의 상하간격을 유지하고, 이동체(87)의 누름로울러(80)로서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 상면을 누르는 일없이 원활히 이동체(87)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경사작동체(3)의 등받이부(5)에 기대는 하중을 걸치지 않고 단지 앉는 부분(6)에 체중을 걸친 상태에 있어서 이동체(87)에 있어서의 누름로울러(86)의 하면과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 상면과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보유하며, 경사작동체(3)가 후경사작동할 때, 비로소 누름로울러(86)의 하면에서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 상면을 누르도록 설정하여도 되는 것이다.
스토퍼(100)를 링크(89) 또는 링크(90)에 맞닿게 하여, 평행링크기구(88)의 회전운동범위를 규제하여, 앉는 부분(6)를 필요이상으로 상승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앉는 부분(6)에 사람이 착석하면, 체중감응용 스프링장치인 코일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하강하여 이동한다.
그 하강량은 착석하는 사람의 체중크기에 비례하고, 평행링크기구(88)의 회전운동을 통해서 이동체(87)를 횡지축(4)에서 멀어지도록 뒤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이동체(87)에 있어서의 누름로울러(86)는 비틀림스프링체(79)를 누르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한 착석한 사람이 경사작동체(3)의 등받이부(5)에 기대는 하중을 걸치면 횡지축 4장소를 중심으로 하여 경사작동체(3)가 후경사작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한 뒤로 이동한 이동체(87)에 있어서의 누름로울러(86)가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를 하향으로 눌러서 그 윗자유단부(79a)가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비틀림스프링체(79)가 소정의 탄성변형을 하여 그 반력을 상기한 등받이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제20도 참조).
이 경우, 비틀림스프링체(79)의 윗자유단부(79a)에 대한 누름로울러(86)의 접촉점(작용점)은 상기한 체중의 증대정도에 비례하여 상기한 횡지축(4)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상기한 등받이 하중의 모멘트에 마주보는 반력 모멘트의 팔길이(L)도 커지고, 따라서 반력모멘트도 커진다.
상기한 현상과 동시에 윗자유단부(79a)에 대한 누름로울러(86)의 접촉점(작용점)이 비틀림스프링체(79)의 코일중심측으로 이동하여 이 비틀림스프링체(79)의 비틀림탄성변형에 대한 대항력도 커지므로 상기한 반력 모멘트가 커진다.
상기의 결과, 체중의 범위변위가 큰 상대일지라도, 그것에 대응하는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인 비틀림스프링체(79)에 의한 반력모멘트의 변동범위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이가 큰 체중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의자의 후경사작동각도를 대략하게 일정하게 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즉, 경사작동체(3)의 후경사각도가 의자에 앉은 사람이 체중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21도∼제24도까지는 실시예 7을 표시하고 의자의 다리지탱기둥(2)상단에 고정된 고정틀체(1)는 단면 상향 ⊃자형의 부재로서 구성한다. 고정들체(1)의 앞부분측에는 횡지축(4)을 개재하여 경사작동체(3)의 앞부분을 상하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피보팅하여, 경사작동체(3)의 앞부분에 부착되는 스토퍼(76)가 고정틀체(1)의 상면에 맞닿음으로서 경사작동체(3)의 전하향 경사작동을 규제하지만, 그 경사작동체(3)후부와 등받이부(5)에 기대하는 하중에 의해 뒷방으로의 경사작동을 허용한다.
상면에 쿠션재(50)를 목적한 형상을 갖추도록 하여 설치한 앉는 부분(6)은 경사작동체(3)의 상방에서 배치하여 설치하여 체중감응용 스프링장치인 복수의 코일스프링(7)을 경사작동체(3)의 좌우를 연결하는 전후쌍의 지지판(77)(78)과 앉는 부분(6)와의 사이에 목적의 형이 되게 걸쳐서, 이 코일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대항여 앉는 부분(6)는 하강하여 이동하는 구성이다.
킥스프링체(101)은 앉는 부분(6)에 사람이 착석한 상태로 경사작동체(3)를 전후방향에 있어서 대략 수평형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스프링막대기를 감아서 형성하여 이루어진 킥스프링체(101)는 그 상하 자유단부(101a)(101b)가 후향으로 뻗어지도록 고정체(1)와 경사작동체(3)의 앞부분측에 배치하여 설치한다. 킥스프링체(101)의 코일부(101c)의 내경측에 위치시키는 규제횡봉(102)과 동일한 코일부(101c)의 외경측을 지지하는 고무제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침체(枕體)(103)와를 고정틀체(1)에 설치하여 킥스프링체(101)가 조심성없이 앞뒤로 이치가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 킥스프링체(101)의 아랫자유단부(101b)를 고정틀체(1)에 있어서의 지지부(104)에 지지시키고, 윗자유단부(101a)를 경사작동체(3)에 있어서의 앞지지판(77) 하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누름돌기(105)에 눌러서 맞닿게 한다.
경사작동 제어장치는 상기한 앉는 부분(6)에 착석하는 사람의 체중의 경중에 상관없이 경사작동체(3)의 뒷방향으로의 경사작동각도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와 상기한 앉는 부분(6)의 하강이동을 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가 횡지축(4)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은 고정틀체(1)와 경사작동체(3)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설치한 상하방향으로 뻗어나온 압축코일스프링체(106)이다. 상기한 변환장치는 상기한 압축코일스프링체(106)를 탑재하여 고정틀체(1)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으로 대략 수평한 미끄럼이동부(107)에 따라서 전후 이동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한 로울러(108)가 부착된 이동차체(109)와 압축코일스프링체(106)의 상단에 끼워진 상부이동체(110)와 그 상부이동체(110)와 앉는 부분(6)에 연관시켜 설치한 평행링크기구(111)로 이루어진다.
평행링크기구(111)에 있어서의 측면에서 보면 대략 L자 형상의 전후 한쌍의 링크(89)(89)(90)(90)는, 그 각 하단부의 긴홈(91)(92)에 상부이동체(110)의 좌우 양측면의 전후부위에 부착되는 핀(93)(94)를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끼워넣고, 각 링크(89)(90)의 상하 중도부를 지지핀(95)(96)으로 경사작동체(3)의 측면에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피보팅하고, 각 링크(89)(90)의 상단부 앉는 부분(6)에 핀(97), (98)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원추형 접합한다. 또 상부이동체(110)하면과 이동자체(109)의 상면에는 각각 압축코일스프링체(106)의 상하단부가 끼워지는 오목부(112)(113)를 설치하여 압축코일스프링체(106)의 상부이동체(110) 및 이동차체(109)에 대한 상대적 이탈을 저지하도록 구성한다.
또 스토퍼(114)를 링크(89) 또는 링크(90)에 맞닿게하여 평행링크기구(111)의 회전운동범위를 규제하여, 앉는 부분(6)를 필요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앉는 부분(6)에 사람이 착석하면 체중감응용 스프링장치인 코일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하강이동한다. 그 하강량은 착석하는 사람의 체중크기에 비례하여 평행링크기구(111)의 회전운동을 개재하여 상부이동체(110)를 횡지축(4)에서 멀어지도록 뒤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서 이동자체(109)와 함께 압축코일스프링체(106)도 뒤로 이동하는 것이며, 그 이동량, 나아가서는 횡지축(4)에서 압축코일스프링체(106)의 중심(작용점)까지의 거리(L)는 상기한 체중의 증대에 따라서 대략 비례적으로 증대하는 것이다(제21도의 일점쇄선 참조).
따라서 상기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사작동체(3)후부의 등받이부(5)에 기대는 하중에 대응하는 반력을 상기한 체중에 따라서 이동한 압축코일스프링체(106)의 장소에서 지지하므로 경사작동체(3)의 후경사각도가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중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해지도록 자동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제24도 참조).
상기한 결과, 체중의 변동범위가 큰 상태라도 그것에 대응하는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인 비틀림스프링체에 의한 반력모멘트의 변동범위도 커질수 있다. 따라서, 차이가 큰 체중의 광범위에 걸쳐서 의자의 후경사작동각도를 대략 일정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성취하는 것이다.
후경사작동제어 스프링장치를 지지장치 윗면에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이동 차체에 적재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때에는,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에 입히게 하는 윗이동체를 링크로 이루어진 변환장치에 의하여, 체중의 크기에 대략 비례하여 상기한 횡지축에서 떨어지도록 뒷방향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 경우는 압축코일스프링 전체의 위치가 체중의 증대에 따라 상기한 횡지축에서 떨어지게 이동하므로, 의자에 앉는 사람의 체중이 클수록 후경사해야할 등받이부에 대한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한 지지반력의 모멘트를 자동적으로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의자에 있어서의 고정틀체(1)(31)의 지지장치와, 그 지지장치에 횡지축(4), (32)을 개재하여 후경사작동 가능하게 장착한 경사작동체(3)(33)와, 체중을 가했을때 하강하여 이동하는 앉는 부분(6)(34)를 구비한 의자를 위한 경사작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경사작동체(3)(33)의 뒷방향으로의 경사작동을 상기한 지지장치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후경사작동 제어스프링장치와, 후경사작동 제어스프링장치의 스프링력으로 상기한 경사작동체(3)(33)를 지지하는 위치를 상기한 앉는 부분(6)(34)에 기대는 체중에 대응하여 상기한 체중이 커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한 횡지축(4)(32)에서 의자의 후방으로 자동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변환장치(8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경사작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경사작동체(3)(33)의 위쪽에 상기한 앉는 부분(6)(34)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경사작동체(3)(33)의 후부에는 등받이부(5)를 설치하는 의자의 경사작동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경사작동 제어스프링장치는 막대기형상의 스프링재로서 코일부가 감겨져 형성되며, 그 코일부에서 상하 한쌍의 자유단부를 연이어 설치한 비틀림스프링체(40)(79)의 형태인 의자의 경사작동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40)(79)가 좌우 한쌍인 의자의 경사작동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40)(79)에 있어서의 상하자유단부를 의자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비틀림스프링체(40)(79)에 있어서의 양 자유단부중의 한쪽 자유단부를 의자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한 지지장치에 지지시켜 비틀림스프링체(40)(79)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의 자유단부를 경사작동체(3)(33)에 의자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맞닿게하고, 상기한 변환장치(85)은, 상기한 앉는 부분(6)(34)에 기대는 체중에 대응하여 상기한 체중이 커지는 것에 따라서 상기한 다른 한쪽의 자유단부를 상기한 횡지축(4)(32)에서 의자의 후방으로 자동적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하는 의자의 경사작동 제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40)(79)에 있어서의 양 자유단부중, 한쪽 자유단부를 상기한 지지장치에 걸리게 하고, 비틀림스프링체(40)(79)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의 자유단부를 의자의 앞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하고, 상기한 앉는 부분(6)(34)에 기대는 체중에 대응하여, 상기한 체중이 커짐에 따라서 상기한 비틀림스프링체(40)(79)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의 자유단부에 대한 하중작용점을 상기한 횡지축(4)(32)에서 의자의 후방으로 자동적으로 변위시키는 변환장치를 구비하는 의자의 경사작동 제어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경사작동체(3)(33)의 후방향으로의 경사작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후경사작동 제어스프링장치를 압축코일스프링체 등의 압축탄성체로 하는 의자의 경사작동 제어장치.
KR1019900021956A 1989-12-27 1990-12-27 의자의 경사작동제어장치 KR0171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2882 1989-12-27
JP15288289U JPH0537791Y2 (ko) 1989-12-27 1989-12-27
JP9111090U JPH0729876Y2 (ja) 1990-08-29 1990-08-29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ロッキング装置
JP2-91110 1990-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92A KR910011192A (ko) 1991-08-07
KR0171580B1 true KR0171580B1 (ko) 1999-02-18

Family

ID=2643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956A KR0171580B1 (ko) 1989-12-27 1990-12-27 의자의 경사작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24758A (ko)
EP (1) EP0435297B1 (ko)
KR (1) KR0171580B1 (ko)
DE (1) DE6902135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2861U1 (ko) * 1991-10-16 1992-01-02 Sifa Sitzfabrik Gmbh, 8458 Sulzbach-Rosenberg, De
JP2919131B2 (ja) * 1991-10-22 1999-07-12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椅子の傾動制御装置
EP0857444A3 (en) * 1992-06-15 2000-08-30 Herman Miller, Inc. Tilt control mechanism for a chair
DE4312113C1 (de) * 1993-04-14 1994-10-27 Mauser Waldeck Ag Sitzmöbel
US5370445A (en) * 1993-06-10 1994-12-0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Chair control
US5782536A (en) * 1995-02-17 1998-07-21 Steelcase Inc. Modular chair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y
US5765914A (en) * 1995-06-07 1998-06-16 Herman Miller, Inc. Chair with a tilt control mechanism
US5871258A (en) * 1997-10-24 1999-02-16 Steelcase Inc. Chair with novel seat construction
US6250715B1 (en) 1998-01-21 2001-06-26 Herman Miller, Inc. Chair
WO2001070073A1 (en) 2000-03-17 2001-09-27 Herman Miller, Inc. Tilt assembly for a chair
CA2310349A1 (en) * 2000-05-22 2001-11-22 Todd D. Krupiczewicz Office chair
DE10126001A1 (de) * 2001-05-18 2002-11-21 Bock 1 Gmbh & Co Vorgespannte Federanordnung, insbesondere zur Federbeaufschlagung von Synchronmechaniken von Bürostühlen
US6585320B2 (en) 2001-06-15 2003-07-01 Virco Mgmt. Corporation Tilt control mechanism for a tilt back chair
DE10356190B4 (de) * 2003-12-02 2007-10-04 Christian Erker Sitzlehnenregulierung
US7500718B2 (en) * 2004-05-14 2009-03-10 Haworth, Inc. Tilt tension mechanism for chair
PT1855566E (pt) * 2005-03-01 2015-02-12 Haworth Inc Mecanismo de ajuste de tensão
DE202005004880U1 (de) * 2005-03-26 2006-08-03 Sander, Armin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KR100654918B1 (ko) * 2005-10-14 2006-12-06 김선환 골반 보호용 의자
MX2008012255A (es) * 2006-03-24 2008-10-07 Miller Herman Inc Pieza de mobiliario.
DE202007006762U1 (de) * 2006-10-13 2008-02-14 Bock 1 Gmbh & Co. Kg Mechanik für einen Bürostuhl
CN102151026B (zh) 2007-01-29 2016-05-18 赫尔曼米勒有限公司 座位结构及其使用方法
BRPI0817111A2 (pt) * 2007-09-20 2015-03-31 Miller Herman Inc Estrutura de suporte de corpo
US8577711B2 (en) * 2008-01-25 2013-11-05 Herman Miller, Inc. Occupancy analysis
WO2009134451A1 (en) 2008-05-02 2009-11-05 Haworth, Inc. Tension mechanism for a weight-responsive chair
US7681952B2 (en) * 2008-06-06 2010-03-23 Pro-Cord S.P.A. Chair with tiltable backrest
US8002351B2 (en) * 2009-01-26 2011-08-23 Knoll, Inc. Support member
DE102009009287A1 (de) * 2009-02-17 2010-09-09 Uhlenbrock, Christel Sitzmöbel, insbesondere Bürodrehstuhl
USD697726S1 (en) 2012-09-20 2014-01-21 Steelcase Inc. Chair
US9706845B2 (en) 2012-09-20 2017-07-18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US11304528B2 (en) 2012-09-20 2022-04-19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9801471B2 (en) 2014-04-17 2017-10-31 Hni Technologies Inc. Chair and chair control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JP6840675B2 (ja) * 2015-03-14 2021-03-10 ハーマン、ミラ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Herman Miller Incorporated 椅子用の機械的組立体及びその機械的組立体を有する椅子
US10194750B2 (en) 2015-04-13 2019-02-05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JP6826043B2 (ja) 2015-04-13 2021-02-03 スティールケー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着座用構成体
US11259637B2 (en) 2015-04-13 2022-03-01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ITUB20154688A1 (it) * 2015-10-15 2017-04-15 Co Fe Mo Ind S R L Meccanismo di oscillazione per sedie regolabile
DE102016104638A1 (de) 2016-03-14 2017-09-14 Burkhard Schmitz Stuhl
IT201600071468A1 (it) 2016-07-08 2018-01-08 Co Fe Mo Ind S R L Meccanismo di oscillazione per sedie
IT201700112144A1 (it) * 2017-10-06 2019-04-06 Co Fe Mo Ind S R L Sistema di oscillazione per sedie
WO2019204714A1 (en) * 2018-04-19 2019-10-24 Cramer Llc Chair having pliable backrest and methods for same
US11109683B2 (en) 2019-02-21 2021-09-07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11357329B2 (en) 2019-12-13 2022-06-14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11617444B2 (en) 2020-03-02 2023-04-04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11812870B2 (en) 2021-02-10 2023-11-14 Steelcase Inc. Body suppor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5531C3 (de) * 1969-11-05 1980-12-11 Stabilus Gmbh, 5400 Koblenz Verstelleinrichtung für das Sitzteil von Stühlen
DE3139448C2 (de) * 1981-10-03 1984-06-07 Kusch & Co Sitzmöbelwerke KG, 5789 Hallenberg Stuhl
IT1161499B (it) * 1983-07-12 1987-03-18 Castelli Spa Sedia con dispositivo di regolazione automatica sensibile al peso della persona seduta
CA1184108A (en) * 1984-04-09 1985-03-19 David W. Smith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tilting chair
DE3616475C1 (de) * 1986-05-15 1987-06-11 Kusch Co Sitzmoebel Hoehenverstellbarer,mit Gasdruckfeder ausgestatteter Drehstuhl,insbesondere Buerostuhl oder -sessel
DE8614185U1 (de) * 1986-05-26 1986-07-17 Drabert Söhne GmbH & Co, 4950 Minden Stuhl
DE3700447A1 (de) * 1987-01-09 1988-07-21 Vogt Bueromoebel Sitzmoebel
US4834454A (en) * 1987-05-15 1989-05-30 Faultless-Doerner Manufacturing Inc. Office chair with tiltable seat and back
US5018787A (en) * 1990-06-20 1991-05-28 Shepherd Products U.S. Inc. Chair seat tilt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24758A (en) 1993-07-06
KR910011192A (ko) 1991-08-07
DE69021353T2 (de) 1996-01-11
EP0435297A1 (en) 1991-07-03
EP0435297B1 (en) 1995-08-02
DE69021353D1 (de) 199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1580B1 (ko) 의자의 경사작동제어장치
KR0166077B1 (ko) 의자의 로킹장치
JPH0375165B2 (ko)
EP2004020B1 (en) Seating arrangement
EP0827863B1 (en) Vehicle seat with height adjustable seat cushion
US8272693B2 (en) Tension mechanism for a weight-responsive chair
EP0107627A1 (en) Chair having a b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ulated segments
USRE34354E (en) Chair for an office or the like
WO2003105633A1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EP0284272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hairs
US20060284461A1 (en) Chair with recline control mechanism, recline limit control and back tilt mechanism
JPH10179315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US8172324B2 (en) Preference control mechanism
US4718725A (en) Support-and adjusting device for seat and backrest on a work chair
MX2007008192A (es) Silla con asiento y respaldo con movimiento sincronizado.
JPH07223475A (ja) シート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85637Y2 (ja) 椅子の傾動制御装置
JPH1071043A (ja) 椅子座部の傾動調整機構
JP2531391Y2 (ja) 椅子の傾動制御装置
JPH085638Y2 (ja) 椅子の傾動制御装置
JPH0618532Y2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ロッキング装置
JP2562808Y2 (ja) 椅子のロッキング装置
JPH0729876Y2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ロッキング装置
JPH085636Y2 (ja) 椅子の傾動制御装置
JPH085635Y2 (ja) 椅子における傾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