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979B1 -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979B1
KR0166979B1 KR1019910017905A KR910017905A KR0166979B1 KR 0166979 B1 KR0166979 B1 KR 0166979B1 KR 1019910017905 A KR1019910017905 A KR 1019910017905A KR 910017905 A KR910017905 A KR 910017905A KR 0166979 B1 KR0166979 B1 KR 016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engine
fuel injection
start tim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326A (ko
Inventor
마모루 네모또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호시 지스기
히다찌오토모티브엔지니어링컴파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호시 지스기, 히다찌오토모티브엔지니어링컴파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92000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the corrections being time depend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5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what is learned or calibrated
    • F02D41/2464Characteristics of actuators
    • F02D41/2467Characteristics of actuators for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4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the learn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 내연엔진의 작동상태가 검출되고, 내연엔진의 연료분사치는 검출된 작동상태에 의하여 연산되고, 연산된 연료 분사치는 메모리에 기억되는 엔진시동시 연료보정치에 의해 보정되고, 엔진 시동시 보정된 연료분사치에 대응하는 연료인젝터의 연료분사 펄스가 발생되고, 내연엔진의 시동시간은 발생된 연료분사 펄스에 의해 결정되는 연료분사로 시동되고, 검출된 시동시간의 시동시간 랭크는 시동시간의 길이에 따라 지정되고, 새로운 연료보정치는 엔진시동시 공/연비에 영향을 주는 도표 1에서의 함수의 변수를 합계함으서 연산되고 지정된 시동시간 랭크에 의하여 모든 시동시간 랭크에 결정되고, 현재 엔진시동에 사용되는 연료보정치는 엔진시동시 연산된 새로운 연료보정치를 가산함으로서 경신되고 다음 엔진시동의 사용을 위해 메모리에 기억되는 내연엔진용 전자연료 분사장치.

Description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연료분사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내연엔진 시스템의 개요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제어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개략작동을 설명하는 블럭도.
제4도와 제5도는 엔진시동시간을 설정하는 엔진시동동안 시간과 엔진회전수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엔진시동시 수온과 엔진시동시간 보정계수 KTM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7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완전 연료 폭파시까지의 엔진회전 각도와 엔진시동시간 보정계수 KREV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준시동시간과 시동시간 랭크(rank) SR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9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정회수와 보정계수 KCNT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10도는 시동펄스 보정계수 KSTART와 시동시간 랭크 사이의 관계에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솔린 성상 결정맵(map).
제11도는 제3도에 표시된 블럭도에 시동시간 검출작동을 상세히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2도는 제3도에 표시된 블럭도에 시동랭크 판정작동을 상세히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3도는 제3도에 표시된 블럭도에 보정회수 연산작동을 상세히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4도는 제3도에 표시된 블럭도에 연료성상 결정작동을 상세히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5도는 제3도에 표시된 블럭도에 엔진시동 기간동안 작동상태 출, 연료분사 연산, 상기 보정, 및 연료분사펄스 발생작동을 상세하게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6도는 제3도에 표시된 블럭도에서의 연료성상 결정에 의거한 엔진 시동기간후 작동상태 검출, 연료분사 연산, 상기의 보정 그리고 연료분사펄스 발생작동을 상세히 표시하는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크리너 2 : 입구부
3 : 열선식 공기유량계 4 : 닥트
5 : 트로틀 보디 6 : 코렉터
7 : 엔진본체 8 : 흡기파이프
9 : 연료탱크 10 : 연료펌프
11 : 연료댐퍼 12 : 연료필터
13 : 인젝터
본 발명은 내연엔진용 전자연료분사 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엔진시동동안 공/연비를 표시하는 내연 기관의 시동시간이 검출되고 그리고 검출된 시동시간이 적합한 제어를 실현하는 다음 엔진시동에 분사되는 연료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엔진시동제어에 적합한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 장치와 그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제어 연료분사 장치에서의 내연엔진의 시동동안 분사되는 연료량은 실린더(cylinders)에의 흡입공기량과는 관계없이 구해진 연료인젝터(injectors)에 고정펄스폭을 가지는 펄스를 출력함으로서 결정되었다.
그리하여, 고정펄스폭을 가지는 펄스가 엔진수온과 엔진회전수에 의해 실린더에 흡입공기를 추정함으로서 보정되었고 그리고 모든 조건으로 엔진시동 가능한 값에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내연엔진의 그러한 종래의 전자제어 연료분사 장치에 있어서는 연료인젝터와 엔진작동 등의 산란 또는 불균일성과 그리고 중질유와 경질유와 같은 연료성상차 등에 대해서는 고려되어있지 않으므로 상기 용인에 의해 시동시의 공연비가 산란(불균일)으로 차량마다, 또는 차량사용 지역마다에 내연엔진의 시동성에 차이를 생기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로서 공개된 JP-B-63-21816(1988)호 공보등은 엔진 시동동안의 공연비는 초기폭발까지의 시간T1과 초기폭발에서 완전폭발까지의 시간 T2와의 사이에 소정의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여기서 완전폭발의 시간은 엔진시동시간을 결정한다.
엔진시동동안 검출된 엔진수온에 대응하는 저장된 연료 보정계수는 엔진 시동때에 재생되고 엔진시동에 이용된다.
시동시의 초폭, 완폭까지의 시간 T1, T2도 역시 검출되어 동일한 엔진수온의 이전값과 비교되어, 엔진시동동안의 본 엔진시동에 사용된 연료 보정 계수는 증명된 상관관계를를 참조로 비교결과에 의하여 수정되고 다음 엔진 시동을 위하여 대응 엔진수온으로 저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실험에 따라, 상기에 표시된 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 시동시간은 적정공연비에 있어서도 0.3초 정도의 산란하고 공연비가 희박한 경우는 산란이 더욱 증가한다.
또, 초폭까지의 시간 T1이 길고 완폭가지의 시간 T2가 짧은 경우의 상기 제어장치에서 엔진시동동안 공연비는 희박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연료 인젝터에서의 연료 구멍과 같은 것에 의해 연료가 흡기관내에 남을 때, 엔진 시동시 공연비는 과농하게 되어 초폭은 상기 연료 잔존분이 소기되어 가연공연비로 되기전에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는 엔진 시동동안 공연비가 짙은 경우에도 초폭까지의 시간 T1이 길고 완폭까지의 시간 T2가 짧은 경우가 있는 것을 표시하여 상기 제어장치가 엔진시동 동안의 공연비를 오판단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엔진시동시간은 엔진오일의 점성 및 배터리 전압이 엔진시동시 수온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엔진시동시 수온에 의해 크게 변화한다.
상기 이유로 상기 제어장치에서 엔진시동시 수온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T1, T2및 연료보정치의 많은 설정값은 증가하는 기억용량을 필요로 하는 RAM(메모리)에 기억되어야 한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엔진용 전자연료분사 제어장치 및, 엔진 시동시간이 산란이 제거되고 적은 메모리 용량을 가지는 RAM으로서 엔진시동 및 현재 사용된 연료성상이 검출된 엔진시동 시간 및 수정된 연료 보정치를 사용함으로서 결정되는 동안의 공연비를 나타내는 엔진시동 시간을 사용함으로서 수정되고 엔진 시동후 공연비를 보정하는데 사용되어 내연엔진용 적정 작동조건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장치에서, 연료분사장치는 작동상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엔진작동 상태에 의한 연료분사치 연산수단에서 연산된다.
한편, 시동시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시동시간은 시동시간 랭크판정수단에 의해 분류되고 시동시간 랭크에 배당되고, 연료보정치의 배당된 시동시간에 의하여 연료보정치 연산수단에서 연산되고,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연료보정치는 경신수단에 의해 수정되어 경신되고 그리고 경신된 보정치는 다음 엔진시동 작동동안 보정수단을 통하여 연료분사치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성상 판별수단에서 경신된 연료보정치와 결정된 시동시간 랭크를 사용함으로서 현재 사용되는 연료의 성상이 결정되고, 엔진 시동후 연료분사치는 결정된 연료성상에 의거하고 보정되고 연료분사펄스의 폭은 연료분사펄스 발생수단에서 보정된 연료분사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장치에 따라서, 내연엔진의 시동중 공연비를 표시하는 시동시간을 이용할 때, 시동시간이 엔진시동중 같은 공연비에 있어서도 산란하는 문제는 시동시간을 분할함으로서 결정되는 각각의 시동시간 랭크용 소정시간 범위를 제공함으로서 보정되고 그리고 더욱, 각각의 시동시간 랭크에서 엔진시동시 공연비에 영향을 주는 각 요인은 엔진시동중 정확한 공연비 보정이 실현되는 변수에 의해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장치로서, 엔진시동후 일정한 엔진시동특성과 바람직한 차량작동성이 연료분사의 산란, 엔진성능 및 현재 사용되는 연료성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항상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연료분사 제어장치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내연엔진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면에서, 엔진본체(7)로의 흡입공기는 에어크리너(air cleaner)(1)의 입구부(2)로부터 유입되고, 흡입공기유량을 검출하는 열선식 공기유량계(3), 닥트(4) 및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트로틀 밸브(throttle valve)를 가지는 트로틀 보디(5)를 통하여 콜렉터(collector)(6)에 이송된다.
콜렉터(6)에서, 공기는 엔진(7)으로 직통하는 각 흡기파이프(8)에 분해되고 각각의 실린더(cylinders)내로 채워진다.
연료는 연료탱크(9)로부터 연료펌프(10)에 의해 흡인되고 가압되어, 연료댐퍼(11)과 연료필터(12)를 통하여 통과하고 그리고 각 흡기파이프(8)내에 설치된 인젝터(injector)(13)로부터 최종적으로 분사된다.
한편, 열선식 공기유량계로부터의 출력신호 Qa, 온도를 검출하는 엔진(7)에 장착된 수온센서(19)의 출력신호 Tw,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16)에 내장된 크랭크(crank) 각센서로 부터의 출력신호 그리고 트로틀센서(18)의 개방정도를 검출하는 트로틀보디에 장착된 트로틀센서(18)의 출력신호 Q와 같은 엔진(7)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는 제어장치(15)로 입력된다.
제어장치(15)는 연료분사치를 연산하여 인젝터의 밸브개방 시간을 제어함으로서 연료분사치를 실현한다.
제2도는 제어장치(15)의 내부구성을 표시하고 MPU(100)은 버스(104)를 통하여 접속되는 I/O LSI(103)에서 보내진 각종 입력신호에 의한 연료분사치와 점화시기를 처리하고, 처리에 필요한 처리순서와 고정정보가 기억되는 ROM(101)으로 버스(104)를 통하여 접속된다.
RAM(102)는 MPU(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그리고 점화키가 메모리 내용을 유지하기 위해 오프(off)가 되더라도 전력이 항상 공급되는 판독/기록 가능한 LSI이다.
I/O LSI(103)은 열선식 공기유량계(3), O2센서, 수온센서(19), 배터리 전압 검출기 및 트로틀센서(18)로부터의 아나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통하여 MPU(100)으로 보내지는 A/D 변환기를 내장한다.
크랭크 각 센서, 아이들(idle)스위치 및 스타터(starter) 스위치로부터의 온오프(on-off) 신호도 역시 I/O LSI(103)에서 처리된다.
한편 I/O LSI은 MPU(100)에서 처리된 연료분사 정보를 수신하고 인젝터(13)에 밸브개방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연료분사 제어장치의 작동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작동상태 검출수단 SI에서, 내연엔진(7)의 작동상태는 상기에 언급된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처리함으로서 검출된다.
분사밸브 연산수단 S2는 상기 수단에서 검출되는 내연엔진의 작동상태에 의한 소정의 연산식을 참조하여 연료인젝터(13)을 통하여 엔진(7)의 각각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연료분사치를 연산한다.
연료분사치 연산수단 S2에서 연산된 연료분사치는 후에 설명될 메모리로부터와 같은 보정치에 의해 보정수단 S3에서 보정되고, 그후 보정수단 S3으로 부터의 보정치는 연료분사펄스 발생수단 S4내의 연료인젝터(13)에서 밸브를 개방하는 펄스신호로 변환되어 연료인젝터로 공급된다.
한편, 엔진시동시간 검출수단 S5에서, 엔진의 시동시간은 제4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완폭판정 회전수 Nc와 소정시간 Tdelay을 참조하여 얻어진다.
완폭판정 회전수 Nc는 엔진(7)이 스타터 모터의 도움없이 자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값이 설정된다.
상기 수단에서, 시동중 엔진회전이 완폭판정 회전수 Nc를 초과하는 시간 t1은 기억되고, 소정시간 Tdelay가 경과된 후 엔진회전수가 완폭판정 회전수 Nc이상으로 여전히 남으면 수단은 완폭을 판정하고 시동시간으로서 기억시간 t1을 결정하고, 상기 소정시간 Tdelay는 t3이 시동시간인 제5도에 표시된것과 같이 초폭시에 엔진회전수가 우연히 완폭판정 회전수 Nc를 초과할 때 시동시간으로서 t1또는 t2를 결정하는 것과 같은 시동시간의 오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검출된 시동시간은 제6도에 표시된것과 같이 엔진시동기간에서 수온 Twst에 의하여 얻어지는 시동시간 보정계수 Ktm을 곱하는 것에 의해 표준화 된다.
다시 말해서, 엔진시동기간에서 수온에 의하는 시동시간의 변화는 보정된다. 시동시간은 배터리 전압저하에 의해 발생되는 크랭킹 회전수의 저하에 기인하는 연장된 시동시간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7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완폭 REV까지 엔진회전각에 의하여 얻어지는 또하나의 시동시간 보정계수 KREV에 의해 곱해진다.
다시 말해서, 시동시간은 제7도에 표시된 좌표에서 횡축으로 나타나는 완폭까지 엔진회전 각도에 의해 표시되는 연료공급 시간 회수에 의하여 표준화 된다.
결과로서, 표준시동시간 Stime이 얻어진다.
다음은 시동시간 랭크판정수단 S6에서, 시동시간 랭크는 제8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시동시간 랭크와 표준시동시간 사이의 관계를 참조로 결과 표준시동시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시동시 공연비가 적을 때 표준시동시간이 연장되고 산란하는 문제는 제8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시동시간 랭크의 증가에 의하는 표준시동시간 밴드를 신장함으로서 해결된다.
보정치 연산수단 S7에서, 보정치는 표준시동시간을 표시하는 얻어진 시동시간 랭크에 의하여 연산된다.
시동시간 랭크에 영향을 주는 도표 1에서 표시하는 것과 같은 주요인은 그들의 영향의 관점에서 시동시간 랭크의 함수로서 변수에 의해 표시된다.
각각의 요인의 보정을 위한 각각의 변수는 결정되고, 시동기간에서의 최적 공연비가 접근되도록, 즉, 각각의 변수는 차량의 표준시동 시간이 시동시간 랭크2 또는 3에 대응하는 것에 최종적으로 수렴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수단에서, 각 요인의 변수의 총계는 얻어진 시동시간 랭크에 의하여 연산된다.
시동기간동안 보정치를 결정하기 위해 설정되는 주요인자 및 약간의 변수가 설명된다.
생산시에 결정되는 연료인젝터에 산란하는 유량은 시동시간 랭크에서 표준 시동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중의 하나이고, INJ에 의해 작은 유량을 가지는 연료인젝터의 함수를 표시하며 엔진시동 특성에 관한 이 함수 INJ의 영향을 고려할때, 엔진시동기간 동안 공연비를 적게 추정하면, 시동시간은 정의 보정치 1%(0.01)는 시동시간 랭크3에 할당되고 시동시간 랭크 4에 3%(0.03)가 할당되어 다음 시동기간에서 연료량은 증가하게 보정된다.
많은 INJ의 유량을 가지는 연료인젝터의 함수를 표시하고 엔진시동 특성에 관한 상기 함수 INJ의 영향을 고려하고 엔진시동 기간동안 공연비가 크다고 추정하면, 시동시간은 짧게되므로 부의 보정치 -3%(-0.03)가 시동시간 랭크 1에 할당되고 시동시간 랭크 2에 -1%(0.01)가 할당되는 식으로 짧게 된다.
연료의 유량을 감소하는 연료인젝터의 막힘에 관한 함수 POI에 관하여, 연료인젝터의 막힘 정도가 증가할 때, 연료의 공급량은 감소하고 엔진시동에서의 공연비는 적게되어 더큰 정의 보정치는 도표 1에 표시된것같이 시동시간 랭크의 증가에 의하여 할당된다.
연료인젝터로부터 연료누출에 관한 다른 영향함수에 부가하여, 중질 가솔린과 경질 가솔린도 역시 도표 1에 표시된 것같이 LEAK, HGAS 그리고 LGAS로서 설정된다.
함수 LEAK의 실질적인 영향은 엔진시동시 수온범위 50-75℃에서 나타난 것이 알려져 함수 LEAK는 상기 온도범위동안만 활성화 되어지게 된다.
얻어진 시동시간 랭크에 의한 영향함수에 관한 각각의 변수를 합계하여 얻어진 총보정계수 K은 제9도에 표시된것과 같이 보정계산 CNT에 의해 결정되는 보정계수 K에 의해 곱해진다.
보정계수 K는 상기 값이 과보정을 방지하기 위해 보정계산의 증가에 의하여 감소하도록 결정된다.
상기 작동후, 다음 엔진시동기간의 시동펄스보정치 K는 본 엔진시동기간 K(used) 및 K× K실제로 사용되는 보정치를 이용하여 다음식에 따라 최종적으로 연산된다.
K= K(used) + K× K
메모리 S9에 기억되고 본 엔진시동기간에 사용된 시동펄스보정치 K는 다음 엔진시동에서 사용하기 위해 경신수단 S8을 통하여 연산되는 최신 시동 펄스 보정치에 의해 경신된다.
연료성상 판별수단 S10에서, 중질 가솔린 또는 경질 가솔린이 사용되는가는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시동시간 랭크와 시동펄스 보정계수 K에 의해 규정되는 맵(map)에 의해 결정된다.
중질 가솔린은 경질 가솔린과 비교할 때 증발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소에 기여하는 비율이 작아지고 인공시동시 공연비가 적게되어 엔진 시동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시동시간이 길게되면 시동 시간랭크가 시동펄스 보정계수 K는 큰 값으로 보정되는 식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높은 시동랭크 및 큰 시동펄스 보정계수 K에 의해 규정된 영역은 사용된 가솔린이 중질 가솔린인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오판단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 판정이 몇번 확인된 후에 제어 용으로 사용된다.
가솔린이 연료성상 판별수단 S10에서 중질 가솔린이라고 판별된 경우, 시동 기간후 차량작동시 연료 분사치는 연료분사량을 증가되게하여 연소에 기여하는 공연비를 적정화하고 엔진작동을 안정화하도록 상기 보정수단 S3에 의하여 보정된다.
한편, 경질 가솔린이라 판별되면, 중질의 경우와 반대 보정이 수행된다.
상기의 적합한 제어를 통하여, 중질 가솔린의 생산 및 사용동안 결정된 엔진의 성능 및 연료 인젝터 유량의 산란에 의한 엔진 시동성의 약화는 보정되어 엔진시동동안 그리고 시동후 항상 안정된 작동성을 얻는다.
제11도 ∼ 제16도는 제3도에 표시된 각 수단을 더욱 상세하게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제11도는 모든 소정시간에서 개시되는 제3도의 시동시간 검출수단 S5의 프로우차트를 표시한다.
스텝 1000에서, 크랜킹이 스타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신호에 의해 개시되었는가 아닌가가 확인된다.
스타터 스위치가 온일 때, 크랜킹이 개시되고 처리는 스텝 1001로 진행하는 것이 확인된다.
스텝 1001에서, 시동개시 프래그(flag) START는 현재상태는 시동모드라는 것을 표시하는 I가 설정된다.
시동개시 프래그는 완폭이 스텝 1009에서 판정될때까지 1가 유지되고, 다음 시간에서의 상기 루틴개시에서 스타터 스텝 1002에서 시동개시 프래그는 스타터 스위치가 오프로 되어도 체크된다.
시동개시 프래그가 1일 때, 처리는 스타터 스위치가 온일 때의 처리 루틴과 같은 스탭 1003으로 진행하여 스타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 신호에 의한 완폭 판정이 방지된다.
그후, 스텝 1003에서, 시동시간 T는 연산된다.
본 루틴은 모든 소정시간에서 개시되므로, 본 스텝에서는 T를 인크 리먼트(increment)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처리는 엔진회전수 N과 엔진회전 각도 REV가 연산되는 스텝 1004 으로 진행한다.
그후, 처리는 스텝 1005으로 진행하여 현재의 엔진회전수 N가 완폭판정회전수 Nc를 초과하고 있는가가 체크된다.
판정결과에 따라서, 엔진회전수 N가 완폭판정회전수 Nc를 초과할 때, 처리는 스텝 1006으로 진행하고, 완폭시간 t가 설정되지 않을 때, 현재가지의 시동시간 T는 스텝 1007에서 완폭시간 t에 설정되고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완폭시간이 스텝 1006에 설정되었으면, 처리는 스텝 1008로 진행하고 현재의 엔진회전수 N가 완폭판정 회전수 Nc를 초과한 후 시간이 소정시간 T를 경과했는가를 체크한다.
상기 시간이 소정의 시간 T를 초과하면, 처리는 스텝 1009로 진행하고 상기에서 완폭이 결정되고 그리고 시동개시 프래그 START는 0으로 리세트된다.
이후, 본 루틴이 기동될 때, 스텝 1002에서 NO가 판정되어, 스텝 1003이후의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으므로, 완폭시간 t는 엔진정지까지 유지된다.
현재의 엔진회전수 N가 완폭판정회전수 Nc를 초과하지 않을 때, 처리는 스텝 1010으로 진행하고, 제5도에 표시된 것과같은 완폭시간 t또는 t는 제5도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프 세트(if set)가 다음 완폭시간, 일례로 제5도의 t를 기다리도록 크리어된다.
제12도는 완폭판정후 한 번 실행되는 시동시간랭크 판정수단 S6의 플로차트를 표시한다.
우선, 스텝 2002에서, 제6도에 표시된것과 같이 시동시간 보정계수 K이 검색된다.
시동시간 보정계수 K의 검색을 위해 제6도에 표시된 데이터가 도표의 형태로 배열되어 ROM에 기억된다.
다음, 처리는 스텝 2003으로 진행하여 완폭까지의 엔진회전각도 REV가 판독된다.
엔진회전각도 REV의 판독은 제11도의 스텝 1004에서 연산결과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스텝 2004에서, 연산이 K의 검색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7도에 표시된 통계표를 참조로 실행되는 또하나의 시동시간회전 보정계수 K가 검색된다.
스텝 2005에서, 시동시간 보정계수 K과 K에 의해 제11도의 스텝 1007에서 얻어지는 완폭시간 t를 곱하므로서 연산되는 표준 시동시간 Stime이 얻어진다.
스텝 2006 스텝은 제8도에 표시된 관계를 이용하는 시동시간 랭크를 연산하는 루틴이다.
우선, 스텝 2006에서, 시동시간랭크 SR가 1로서 추정되고, 표준시간 S이 스텝 2007에서 0.5초 미만으로 확인되면, 루틴은 종료하고 시동시간랭크 SR는 1로서 결정된다.
스텝 2007이 NO를 표시하면, 시동시간랭크 SR은 스텝 2008에서 2로서 추정되고, 표준시동시간 S이 스텝 2009에서 1.0초 미만으로 확인되면, 본 루틴은 종료하고 시동시간랭크 SR은 2로서 결정된다.
시동시간 랭크를 결정하기 위해 스텝 2020까지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및 2019에 표시한 각 시동시간 랭크용 표준시간 0.5, 1.0, 1.25, 1.5, 2.0, 3.0, 및 4.0초는 연소실형상, 스파크 프라그(spark plugs)의 위치, 및, 스월(swirl)의 유무와 같은 엔진특성에 의해 변화하고, 상기 값은 대상엔진의 각각의 타입에 의하여 실험으로 얻어져야 한다.
제13도는 제12도의 처리에서 얻어진 시동시간랭크 SR에 의한 제3도에 표시된 보정치 연산수단 S7에서 시동펄스 보정계수 K를 연산하는 루틴을 표시한다.
우선, 스텝 3000에서, 결정된 시동시간 탱크가 판독된다.
스텝 3001에서 3005까지의 스텝에서, 함수 INJ, INJ, POI, HGAS, LGAS의 각각의 변수가 도표 1에 의하여 검색되고 다음, 처리는 스텝 3006으로 진행하고 연료 인젝터로부터 연료누출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엔진시동시 수온 T은 판독되고, 수온 T이 스텝 3007에서 50℃와 75℃ 사이에서 결정될 때, 처리는 스텝 3008으로 진행하고, 결정된 시동시간 랭크에 의한 함수 LEAK의 변수는 도표 1을 참조하여 검색된다.
스텝 3007에서, 답이 NO이면, 함수 LEAK에 관한 연산은 실행되지 않고 처리는 스텝 3009으로 진행하여 INJ에서 LEAK까지의 함수에 관해서 검색되는 각각의 변수는 총보정계수 K을 얻기 위해 합산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지는 상기 합계 보정계수 K는 다음 시동기간동안 공급되는 연료량을 보정하기 위해 상용된다.
스텝 3010-3012는 총보정계수 K에 의해 과보정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된다.
우선, 스텝 3010에서 지금까지의 보정회수 CNT가 판독되고 초기치는 0이다.
다음 스텝 3011에서 보정회수 CNT를 인크리먼팅(incrementing)함으로서, 총보정계수 K, 실제적으로는 시동펄스 보정계수 K가 몇번 보정되었는가 인식된다.
스텝 3012에서 보정계수 K는 제9도에 표시된 관계를 참조로 검색되고, 스텝 3013에서 다음 시동기간용 연료량의 시동펄스 보정 계수 K가 연산되고 다음 본 루틴은 종료한다.
제14도는 결정된 시동시간랭크 SR과 시동펄스 보정계수 K를 사용함으로서 제3도의 연료성상 판정수단 S10에 대응하여 사용된 가솔린 성상을 판정하는 루틴을 표시하고, 스텝 4000과 4001에서, 각 시동시간탱크 SR과 시동펄스 보정계수 K가 판독된다.
다음, 스텝 4002에서, 사용된 가솔린의 성상이 제10도에 설명된 가솔린 성상맵(map)을 참조로 상기 2개 데이터에 의하여 판정된다.
스텝 4003에서, 판정결과에 의하여, 사용된 가솔린이 중질 가솔린일때, 처리는 스텝 4004으로 진행하고, 만약 아니면 처리는 스텝 4009으로 진행한다.
스텝 4004 및 스텝 4009이후의 스텝은 상기 판정의 신뢰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이고 동일판정 결과가 소정회수로 반복된 후, 판정은 제어에 적용된다.
우선, 스텝 4004에서, 전의 판정이 중질 가솔린인가가 체크되고, YES이면 처리는 스텝 4005으로 진행하여 신뢰도 카운터 SCNT를 인크리먼트(increment)한다.
다음, 스텝 4006에서, 신뢰도 카운터가 5이상을 표시하고, 중질 가솔린 프래그가 스텝 4007에서 1로 설정되고 현재 사용되는 가솔린은 중질 가솔린이라는 것이 결정된다.
한편, 스텝 4004에서, 전의 판정이 중질 가솔린이 아니면 가솔린 성상에 관한 판정이 역전되어 판정결과의 신뢰성은 낮게 처리되는 것을 나타내고, 처리는 스텝 4008으로 진행하고 신뢰도 카운터 SCNT는 0에 리세트되고 본루틴은 종료한다.
스텝 4007이후의 스텝은 경질 가솔린에 관한 것이고, 중질 가솔린과 동일하게 처리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5도는 제13도에 관하여 설명된 루틴에서 얻어진 시동펄스 보정계수 K가 다음시동기간에 시동펄스에 실제로 반영되는 플로우차트를 표시하고, 스텝 5000과 5001은 종래의 시동펄스 연산 루틴에서 사용되어 왔다.
우선, 스텝 5000에서, 시동전 엔진의 수온은 판독되고, 데이터 베이스 시동펄스 T에 따라 검색된다.
상기 베이스 시동펄스 T는 수온의 함수로서 집계되고, 그리고 수온이 낮을수록 베이스 시동펄스치 T는 더욱 크게 설정된다.
스텝 5002에서 시동펄스 보정계수 K가 판독되고, 스텝 5003에서 시동펄스 T는 베이스 시동펄스 T와 시동펄스 보정계수 K의 곱으로 연산된다.
상기 시동펄스 TS는 연료인젝터용 구동펄스폭을 표시하고 제2도에 표시된 I/O LSI 103을 통하여 소정의 전압은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시동펄스 T의 지속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에 연료인젝터에 인가된다.
제16도는 제14도에 표시한 루틴에서 결정된 가솔린 성상에 의한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연료공급량을 보정함으로서 최적 연소상태를 유지하기위해 엔진시동후 실행되는 루틴을 표시한다.
스텝6000에서 스텝 6002까지의 스텝은 정상작동 상태중의 분사펄스폭이 결정되는 종래의 루틴이고, 상기에서, 스텝 6000에서 베이스 분사펄스 T가 연산되고, 다음, 스텝 6001에서 시동 K후 연료증가 계수가 연산되고, 스텝 6002에서 수온 K에 의한 연료증가가 연산된다.
그후, 스텝 6003에서 제14도에 표시된 루틴에서 결정된 가솔린 성상 프래크가 체크되고, 사용된 가솔린이 체크 결과 중질 가솔린일 때, 처리는 스텝 6004으로 진행하여 연료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분사펄스 보정계수 K=1.2가 결정된다.
역으로, 스텝 6003에서의 체크결과는 사용된 가솔린이 경질 가솔린인 것을 표시할 때, 처리는 스텝 6005으로 진행하여 연료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분사 펄스 보정계수 K=0.8이 결정된다.
사용된 가솔린의 성상에 의한 연료량의 보정은 다음 스텝 6006에서 연료증가계수 KTW로 분사펄스 보정계수 K를 넣으므로서 특별히 성취된다.
스텝 6007에서, 기타 각종의 보정계수 COEF가 연산되고, 스텝 6008에서 분사펄스폭 T이 표시된 방정식에 의하여 연산된다.

Claims (9)

  1. 내연엔진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작동상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작동상태에 의한 내연엔진용 연료분사를 연산하는 수단과, 메모리에 기억되는 엔진시동시 연료보정치에 의해 연산된 연료분사치를 보정하는 수단과, 상기 보정수단에서 얻어진 엔진시동시 보정된 연료 분사치에 대응하는 연료인젝터용으로 연료분사 펄스를 발생하는 수단과, 발생된 연료분사 펄스에 의해 결정되는 연료분사량으로 내연엔진의 시동시간을 검출하는 수단과, 시동시간의 길이에 의해 검출된 시동시간의 시동시간 랭크를 지정하는 수단과, 지정된 시동시간 랭크에 의한 엔진시동시 새로운 연료보정치를 연산하는 수단 및, 다음 엔진시동에 사용하기 위해 엔진시동시 연산된 새로운 연료보정치를 가지는 메모리에 기억된 엔진시동시 연료보정치를 경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시동시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시동시간은 엔진시동시 수온과 완폭까지의 엔진회전 각도에 의해 각각 결정되는 시동시간 보정계수에 의해 더욱 표준화되는 내연엔진용 전자연료분사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시동시간 랭크용 새로운 연료보정치는 엔진시동시 공/연비에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2개 함수에 관련하는 변수를 가지는것에 의해 결정되는 내연엔진용 전자연료분사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엔진시동시 연산된 새로운 연료보정치는 보정카운트수에 따라 감소하는 보정계수에 의해 수정되는 내연엔진용 전자연료분사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정된 시동시간 랭크에 의하는 내연엔진에 사용되는 연료성상과 다음 엔진시동에 사용하도록 연산된 새로운 연료보정치를 가짐으로서 수정되는 연료보정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추가 구비하고 상기 연료분사치 연산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연산된 연료분사치는 상기 연료성상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연산된 연료분사치는 상기 연료성상 결정수단의 결정결과에 의한 엔진시동후 보정되는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엔진시동시 공/연비에 영향을 주는 함수는 연료인젝터의 유량, 연료인젝터의 막힘, 사용하는 가솔린의 성상 및 연료인젝터에서 연료 누출을 포함하는 내연엔진용 전자연료분사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연료인젝터에서의 연료누출의 함수는 50℃에서 75℃까지의 엔진시동시 수온범위에만 포함되는 내연엔진용 전자연료분사 제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연료성상의 결정은 동일한 결정을 몇번 한 후 확인되고 그 확인된 결과는 상기 연료분사치 연산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연산된 연료분사치를 보정하기 위하여 엔진시동후 사용되는 내연엔진용 전자연료분사 제어장치.
  9. 내연엔진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스텝, 그 검출된 작동상태에 의한 내연엔진용 연료분사치를 연산하는 스텝, 메모리에 기억되는 엔진시동시 연료보정치로 연산된 연료분사치를 보정하는 스텝, 발생된 연료분사 펄스에 의해 결정되는 연료분사로 시동되는 내연엔진의 시동시간을 검출하는 스텝, 시동시간 길이에 의해 검출된 시동시간의 시동시간 랭크를 지정하는 스텝, 지정된 시동시간 랭크에 의한 엔진시동시 새로운 연료보정치를 연산하는 스텝 및, 다음 엔진시동의 사용을 위해 엔진시동시 연산된 새로운 연료보정치를 가짐으로서 메모리에 기억되는 엔진시동시 연료보정치를 경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방법.
KR1019910017905A 1990-10-19 1991-10-11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0166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79053 1990-10-19
JP2279053A JP2796419B2 (ja) 1990-10-19 1990-10-19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326A KR920008326A (ko) 1992-05-27
KR0166979B1 true KR0166979B1 (ko) 1999-02-18

Family

ID=1760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905A KR0166979B1 (ko) 1990-10-19 1991-10-11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63408A (ko)
JP (1) JP2796419B2 (ko)
KR (1) KR0166979B1 (ko)
DE (1) DE413452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5145A (en) * 1993-05-04 1995-05-16 Chrysler Corporation Start fuel decay for a flexible fuel compensation system
DE4329448B4 (de) * 1993-09-01 2007-08-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messen von Kraftstoff im Startfall eines Verbrennungsmotors
EP0643214B1 (de) * 1993-09-15 1997-08-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rrektur der Starteinspritzzeit
JP3784080B2 (ja) * 1994-06-16 2006-06-07 株式会社デンソー 暖機過程時の燃料噴射量補正方法
DE19728721A1 (de) * 1997-07-04 1999-0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Zumessen einer Kraftstoffmenge im Startfall einer Brennkraftmaschine
CZ302627B6 (cs) 1999-04-06 2011-08-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ídicí jednotka otácek spalovacího motoru
JP3454182B2 (ja) * 1999-04-06 2003-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1152936A (ja) * 1999-11-29 2001-06-05 Isuzu Motors Ltd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405729B1 (ko) * 2001-09-11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누출 모니터링 제어방법
DE102007025925B4 (de) * 2007-06-02 2019-0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ungseinheit zur Steuerung eines Einschaltvorgangs eines Fahrzeugtriebwerks
JP4835520B2 (ja) * 2007-06-15 2011-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673692B2 (ja) * 2010-12-27 2015-02-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始動制御方法及び始動制御装置
JP5742682B2 (ja) * 2011-11-18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WO2014116805A2 (en) * 2013-01-25 2014-07-31 Laars Heating Systems Company Heat exchanger having a compact design
WO2015006677A2 (en) 2013-07-12 2015-01-15 Laars Heating Systems Company Heat exchanger having arcuately and linearly arranged heat exchange tub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7028A (en) * 1980-12-04 1982-06-16 Nippon Denso Co Ltd Electronic control fuel injector
JPS6081246U (ja) * 1983-11-09 1985-06-05 日本電子機器株式会社 電子制御燃料噴射式内燃機関の始動時噴射量の学習制御装置
JPS61223240A (ja) * 1985-03-27 1986-10-03 Fujitsu Ten Ltd 内燃機関の始動時バイパス空気量制御装置
US4705004A (en) * 1985-09-12 1987-11-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100148B2 (ja) * 1987-04-30 1994-12-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4875452A (en) * 1987-07-06 1989-10-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uel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666198B2 (ja) * 1987-08-25 1997-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H01151739A (ja) * 1987-12-09 1989-06-1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2990704B2 (ja) * 1989-08-29 1999-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US5092301A (en) * 1990-02-13 1992-03-03 Zenith Fuel Systems, Inc. Digital fuel control system for small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34522A1 (de) 1992-04-23
JPH04159432A (ja) 1992-06-02
DE4134522C2 (de) 1996-12-12
JP2796419B2 (ja) 1998-09-10
US5163408A (en) 1992-11-17
KR920008326A (ko)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979B1 (ko) 내연엔진용 전자 연료분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56051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ortioning fuel upon the start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08223B1 (ko) 내연기관용제어시스템
WO2006129198A1 (en) Fuel injection quantity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835676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6235347A (ja) 内燃機関の燃料性状検出装置
JP3326000B2 (ja) 内燃機関の燃料性状検出装置
US6053036A (en) Fuel supply amount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0216291B1 (en) A process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956455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3056382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5033437A (en) Method of controlling air-fuel ratio for us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the same
JPH08170557A (ja)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2008014169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CA2377640C (en) Method of gasoline assisted gaseous fuel engine starting
JPH11182292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746914B1 (ko) 차량의 연료량 보정방법
JPH06307283A (ja) 燃料性状判別装置及び内燃機関制御装置
JPH07286547A (ja) 内燃機関の燃料性状検出装置
JP2917194B2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供給装置
JP3141222B2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供給装置
JPH0719089A (ja) エンジンの安定度制御装置
JPH03249345A (ja)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2002138891A (ja) 燃料性状検出装置
JP2846023B2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