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962B1 - 담즙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담즙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962B1
KR0166962B1 KR1019900014542A KR900014542A KR0166962B1 KR 0166962 B1 KR0166962 B1 KR 0166962B1 KR 1019900014542 A KR1019900014542 A KR 1019900014542A KR 900014542 A KR900014542 A KR 900014542A KR 0166962 B1 KR0166962 B1 KR 016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compound
mmol
substituted
alk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319A (ko
Inventor
크라머 베르너
베스 귄터
Original Assignee
벡크, 테르가우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벡크, 테르가우,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벡크, 테르가우
Publication of KR91000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9/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more than two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coprost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26Radicals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5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56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7/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having an oxygen-containing hetero ring not 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3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07J31/006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31/00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4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07J41/0005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cyclopenta(a)hydro phenanthrene skeleton
    • C07J41/0011Unsubstituted amin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4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07J41/0005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cyclopenta(a)hydro phenanthrene skeleton
    • C07J41/0027Az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4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07J41/0033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41/0005
    • C07J41/0055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41/0005 the 17-beta position being substituted by an uninterrupted chain of at least three carbon atoms which may or may not be branched, e.g. cholane or cholestane derivatives, optionally cyclised, e.g. 17-beta-phenyl or 17-beta-furyl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4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07J41/0033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41/0005
    • C07J41/0055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41/0005 the 17-beta position being substituted by an uninterrupted chain of at least three carbon atoms which may or may not be branched, e.g. cholane or cholestane derivatives, optionally cyclised, e.g. 17-beta-phenyl or 17-beta-furyl derivatives
    • C07J41/0061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41/0005 the 17-beta position being substituted by an uninterrupted chain of at least three carbon atoms which may or may not be branched, e.g. cholane or cholestane derivatives, optionally cyclised, e.g. 17-beta-phenyl or 17-beta-furyl derivatives one of the carbon atoms being part of an amid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4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07J41/0033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41/0005
    • C07J41/0088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41/0005 containing unsubstituted amin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43/00Normal steroids having a nitrogen-containing hetero ring spiro-condensed or not 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 C07J43/003Normal steroids having a nitrogen-containing hetero ring spiro-condensed or not 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not conden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51/00Normal steroids with unmodified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J1/00 - C07J4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9/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more than two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coprostane
    • C07J9/005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more than two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coprostane containing a carboxylic function directly attached or attached by a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to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0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6017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6026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 i.e. Gly or A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besit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Lubricant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ontrol Of Heat Treatment Process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담즙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담즙산 유도체,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지질 소화에서 이들의 약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약제의 경구 투여는 가장 통상적이며 약제투여의 가장 편리한 형태이다. 그러나, 활성 화합물이 혈류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흡수과정이 위장관에서 일어나야 한다. 약제는 이의 특이한 특성에 따라 신체에서 분산된다. 그러나, 많은 약제들이 단지 매우 적게 흡수되거나 실질적으로 전혀 흡수되지 않으므로 경구투여는 가능하지 않다.
비흡수성 약제를 비타민 B12에 커플링시켜 약제를 장내 흡수시킬 수 있음은 공지되어 있다[참조: Proceed. Symp. Control. Rel. Bioact. Mater. 15(1988) Controlled Release Society Inc., PCT/AU 86/0299].
비타민 B12를 통한 흡수경로의 용량이 매우 낮기 때문에, 단지 매우 소량의 약제만이 신체내로 도입될 수 있다.
불량하게 흡수되거나 비흡수성인 활성 화합물을 흡수가능하게 하여 이들 물징이 고용량에서도 경구 투여되도록 하기 위해 담즙산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우기, 활성화합물의 간-특이적 작용은 담즙산 유도체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식(I)의 담즙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W - X - G (I)
상기식에서, G는 담즙산 라디칼이고, W는 활성 화합물 잔기이고, X는 담즙산 라디칼과 활성 화합물 잔기 사이의 연결구성원이다.
일반식(I)에서, 담즙산 라디칼 G는 유리 천연 또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산, 에스테르 및 아미드, 염 형태 및 알콜 그룹에서 유도체화된 형태이며; 연결 구성원 X는 직접 결합 또는 중간 구성원, 특히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의 중간 구성원[여기서, R(1)은 H; (C1-C8)-알킬, 그룹
Figure kpo00005
F, Cl, Q,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R(2)는 H; (C1-C8)-알킬,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m은 0 내지 6이고; n은 1 내지 16이고; p는 1, 2 또는 3이고; r은 0 내지 2이고; M은 -(CH2)m-, (C=C)p, -C≡C-,
Figure kpo00006
또는
Figure kpo00007
이다]이며, G 및 W는 X의 어느쪽 말단에서도 결합될 수 있다. 활성 화합물 잔기 W는 약리학적 활성 라디칼, 약제 또는 약제의 잔기이다.
바람직한 일반식(I)의 화합물은 G가 입체적으로 가능한 모든 배위의 형태로 존재하는 일반식(II)의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3) 내지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W-X-에 대한 결합(총 2개의 W-X-단위가 결합될 수 있다)을 나타내거나; R(3)과 R(4), R(5)와 R(6), R(7)과 R(8)은 각각의 경우에 결합하여 카보닐 그룹의 산소를 나타내거나,
Figure kpo00009
[여기서, L은 H; 탄소수 1 내지 10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직쇄형 또는 측쇄형 알킬 라디칼; 탄소수 3 내지 8의 사이클로알킬;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라디칼 또는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질 라디칼이다]을 나타내거나; Y는 -OL, -HNL, -NL2(여기서, L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 그룹을 통해 결합된 아미노 설폰산, 이의 (C1-C4)-알킬 에스테르,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 염 또는 -OKa(여기서, Ka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 또는 4급 암모늄 이온 등의 양이온이다)이고; 연결 구성원 X는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여기서, R(1)은 H; (C1-C8)-알킬, 그룹
Figure kpo00012
핵이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R(2)는 H; (C1-C8)-알킬,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n은 1 내지 16이고; M은 -(CH2)m-(여기서, m은 2이다)이다]이며, G와 W는 X의 어느쪽 말단에서도 결합될 수 있다. 활성 화합물 W는 간 선택성 약제 작용이 요구되는 약제 또는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비흡수성 또는 흡수성이 불량한 약제이다.
예를 들면, W는 펩티드, 항생제, 항균제, 항암제(예: 클로람부실), 간보호제, 과질혈증 억제제(예: HMG-CoA 환원제 억제제), 이뇨제, 혈압강하제, 레닌 억제제, 간경변 치료용 물질(예: 프로릴하이드록실라제 억제제)또는 당뇨병 치료용 물질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반식(I)의 화합물은 G가 일반식
Figure kpo00013
의 라디칼[여기서, R(3) 내지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W-X-에 대한 결합 (여기서, 2개 이하의 W-X-단위가 결합될 수 있다),
Figure kpo00014
{여기서, L은 H;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형 또는 측쇄형 포화 알킬 라디칼 또는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라디칼이다}이고; Y는 OL, -HNL, -NL2또는 -OKa(여기서, Ka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또는 암모늄 이온이다),
Figure kpo00015
[여기서, R(9)는 메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2-부틸, 벤질, 4-하이드록시벤질, 하이드록시메틸, 1-하이드록시에틸, H3-CSCH2CH2-, HO2CCH2- 또는 HO2CCH2CH2-이다]이고; 연결 구성원 X(여기서, G와 W는 X의 어느쪽 말단에서도 결합될 수 있다)는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여기서, R(1)은 H; (C1-C8)-알킬;
Figure kpo00018
방향족 환이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R(2)는 H; (C1-C8)-알킬,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n은 1 내지 16이고; M은 -CH2-CH2- 또는 -CH=CH- 이다]인 화합물이다.
활성 화합물 W는 간 선택성 약제작용이 요구되는 약제 또는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비흡수성 또는 흡수성이 불량한 약제이다.
예를 들면, W는 펩티드, 항생제, 항균제, 항암제(예: 클로르암부실), 간보호제, 과지혈증 억제제(예: HMG-CoA 환원제 억제제), 이뇨제, 혈압 강하제, 레닌 억제제, 간경변 치료용 물질(예: 프로릴하이드록실라제 억제제)또는 당뇨병 치료용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a) X가 직접 결합인 경우, G와 W의 적당한 반응성 형태를 원칙적으로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서로 반응시키거나,
b) X가 중간 구성원인 경우,
α) G-X와 W의 반응성 형태 또는
β) W-X와 G의 반응성 형태를 원칙적으로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반응시키고,
c) 공지된 방법들 또는 공지되지 않은 경우, 아래에 상세히 기술되는 방법들에 의해 G-X 및 W-X를 제조함을 포함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X=직접 결합
담즙산은 유리형태 또는 보호된 형태로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보호그룹을 제거하고 C-24 카복실 작용기를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로 전환시키는 방법은 W에 결합시킨 후에 수행한다. 알콜 그룹에 대해 적합한 보호그룹은 편리하게는 아세틸,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t-부틸디메틸실릴 또는 벤질이다. C-24 카복실 그룹에 대해 가능한 보호그룹은 각종 알킬 또는 벤질 에스테르, 예를 들면, 오르토에스테르이다.
예를 들면, 담즙산은 바람직하게는 위치 3 및 위치 7에서 카복실산의 활성화된 형태(예: 산 클로라이드 또는 혼합 무수물)와 트리알킬아민, 피리딘, NaOH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적당한 용매[예: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디메톡시에탄(DME)] 중에서 반응한다.
다양한 이성체를,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할 수 있다. 적합한 보호그룹을 사용하여 반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적당한 아미노 담즙산을 상응하는 아미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은 보호된 담즙산 또는 유리 담즙산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르는 기타 화합물을 공지의 표준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b) X=중간 구성원
a)에서 제시된 방법을 W-X를 G에 또는 W를 X-G에 결합시키는데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편의상, 담즙산 잔기를 보호시키거나 보호시키지 않고 사용한다.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W의 반응 형태를 X-G의 반응성 형태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결합 후에 보호 그룹을 제거하고 C-24 카복실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반응성 담즙산 형성 블럭 X-G의 제조는, 예를 들면, 콜산을 사용하며 항목 c)의 반응 도식 1 내지 4에 제시되어 있다.
c) 예를 들면, 콜산을 사용하는 반응성 담즙산 형성 블럭 X-G의 제조, 반응도식 1 내지4.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3-OH 그룹은 상응하는 메실레이트를 바람직하게는 과량으로 사용하는 적당한 디올과 피리딘, 루티딘 또는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를 첨가하면서 반응시켜 디올, 즉 HO(CH2)nOH로 치환시킨다.
화합물(IV)과 (XI)의 1급 OH 그룹을 표준 방법으로 추가로 반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화합물(XI)을 산화제, 바람직하게는 크롬(VI) 시약 또는 각종 과망간산 칼륨계를 사용하여 상응하는 카복실산(XVI)[여기서, R(11)은 THP와 동일하다]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기타 보호그룹도 또한 적합하다.
Figure kpo00023
아민 (VII), (XIII) 및 (XV)를 적당한 용매(예: 메틸렌 클로라이드, 톨루엔, 또는 피리딘)중에서 숙신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카복실산(XVII)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Figure kpo00024
반응도식 4는 3α-배위를 갖는 담즙산 형성 블럭의 제조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각종 보란(예: BH3, 텍실보란 또는 9-BBN)은 화합물(XVIII)의 하이드로보란화에 적합하다. 화합물(XVIII)는 반응도식 4에서와 같이 알콜 그룹을 보호시키거나 THP, 아세틸, 벤질 등으로 보호시켜 사용할 수 있다.
[약제로서의 용도]
담즙산은 지질 소화에서 중요한 생리적 작용을 한다. 담즙산은 담낭을 경유하여 간으로부터 소장에 공급되며 여기서 지질 소화에서 이의 생리적 작용을 나타낸다. 분비된 담즙산의 대다수가 장간의 순환을 통해 다시 회수된다. 담즙산은 소장의 장간막 정맥과 문맥계를 경유하여 간에 다시 도달한다. 장에서의 재흡수에서 활성 및 비활성 수송 방법 모두가 작용한다. 장간순환에서 담즙산은 유리산 뿐만 아니라 글리신과 타우린과의 결합체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I)이 흡수되고 혈류를 통과함이 밝혀졌다. 이 방법에서 담즙산의 자연적 재흡수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비흡수성 또는 흡수성이 불량한 약제의 흡수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당해 시스템은 다른 중요한 특성을 갖는데, 이는 약제, 특히 비흡수성 또는 흡수성 약제가, 즉 담즙산에 대한 수송 메카니즘을 갖는 기관, 예를 들면, 장간 순환(예: 간굴성작용)하는 기관에 대해 기관 선택성 작용을 갖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많은 약제의 계통적 부작용은 특이적으로 감소되거나 방지되기도 한다.
개선된 흡수 또는 기관 선택성 작용은 펩티드, 항생제, 항균제, 항암제, 간보호제, 과지혈증 방지제, 이뇨제, 혈압 강하제, 레닌 억제제, 프롤릴하이드록실라제 억제제 및 당뇨병 치료제 같은 많은 약제에 바람직하다.
약리학적 활성 분자는 각종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결합된 형태 W-X-G로, 연결 구성원 X를 갖는 담즙산 라디칼 제거후의 형태로, X와 G가 없는 유리 형태로, 상기 언급한 3가지가 동시에 혼합된 형태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다양한 투여 형태, 바람직하게는 정제, 캅셀제 또는 액제 형태로 경구 투여된다. 1일 용량은 환자의 체중과 체질에 따라 3 내지 5000㎎의 범위에서 가변적이며, 1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은 기타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중합체 담체(예: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예: 전분,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다당류)의 존재하에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용매, 예를 들면, 1가 또는 다가 알콜(예: 에탄올 또는 글리세롤), 트리아세틴, 오일(예: 해바라기유, 대구간유), 에테르(예: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또는 폴리에테르(예: 폴리에틸렌 글리콜)중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을 기타 약제 물질과 배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체(XXII)에 관한 것이다.
SG-X-G (XXII)
상기식에서, SG는 H 또는 통상의 보호그룹,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벤질, t-BuMe2Si, 벤질옥시카보닐(Z) 또는 아세틸이고; G는 일반식(II)
Figure kpo00025
(여기서, R(3) 내지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R(3)과 R(4), R(5)와 R(6), R(7)과 R(8)은 각각의 경우 결합하여 카보닐 그룹의 산소를 나타내거나,
Figure kpo00026
[여기서, L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측쇄형 또는 비측쇄형 알킬 라디칼, 탄소수 3 내지 8의 사이클로알킬;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라디칼,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질 라디칼, -SiA(1)A(2)A(3)[여기서, A(1) 내지 A(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C1-C6)-알킬 또는페닐이다]이고, Y는 -OL, -HNL, -NL2(여기서, L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아미노 또는 아미노 그룹을 통해 결합된 아미노설폰산, 이의 (C1-C4)-알킬 에스테르 및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염 -OKa(여기서, Ka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 또는 4급 암모늄 이온 같은 양이온이다)이다]이고; 연결 구성원 X는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여기서, R(1)은 H; (C1-C8)-알킬 그룹
Figure kpo00029
핵이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R(2)는 H; (C1-C8)-알킬; F, Cl, Br, (C1-C4)-알킬,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n은 1 내지 16이고, M은 -(CH2)m-(여기서, m은 2이다)이다]이다.
이들 중간체들은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서 이들 중간체들을 반응시켜 일반식(I)의 W-X-G를 수득하고자 하는 경우, 유리 NH2또는 -OH 그룹 SG를 갖는 화합물(XXII)로서 사용된다.
보호그룹 SG는 화합물(I)과 (XXII)의 합성도중에 주로 존재하나, 통상 (XXII)가 반응하여 (I)를 제공하기 전에 수소인 이의 형태 SG로 전환된다.
중간체 SG-X-G는 화합물(I)의 제조와 기타 최종 생성물합성, 예를 들면, 그룹-X-G를 함유하는 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의 합성에 매우 중요하다.
바람직한 중간체(XXII)는 G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G는 H이고 X는 -O(CH2)2-10-O-, -NH-(CH2)2-10-0-, -O(CH2)2-4-0(CH2)2-4-O-, -HN-(CH2)2-4-O(CH2)2-4-O-,
Figure kpo00030
NH(CH2)2-10-O- 또는
Figure kpo00031
인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XXII)는 G가 위에서 정의한 바와같고 SG는 H이고 X는 -O(CH2)2-4-O- 및 -HN-(CH2)2-10-0-인 화합물이다.
[실시예]
1. W-X-G, X=직접결합
[실시예 1]
Figure kpo00032
데옥시콜산 20g(51mmol)을 디옥산 50ml와 피리딘 20ml중에 초기에 도입하고 아세트산 무수물 30ml를 실온에서 가한다. 3일 후에,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사를 아세트산 300ml에 용해시킨다. 산화시키기 위해 물 60ml중의 크롬산칼륨 14g을 가한다. 혼합물을 3일 동안 실온에서 정치시킨다. 후처리를 위해, 물 4l를 가하고, 혼합물을 에테르(3X)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모으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잔사를 1N 수성 KOH 200ml에 용해시킨다. 24시간후에, 생성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침전시킨다. 실리카 겔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아세트산=40:100:1)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을 14.0g(35.9mmol, 70%) 수득한다.
[실시예 2]
Figure kpo00033
실시예 1의 화합물 14.0g(35.9mmol)을 디옥산 100ml에 용해시키고, 트리-n-부틸아민 8.3ml를 가한다. 그후,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 3.75ml를 적기한다. 실온에서 30분 후에, 타우린 4.75g를 1N NaOH 38ml에 용해시켜 가한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사를 1N HCl 400ml와 에테르 사이에 분배한다. 수성층을 에테르(3X)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모아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뜨거운 에탄올에 용해시켜 용액을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생성물을 결정화한다. 수득량: 실시예 2의 화합물 9.5g
[실시예 3]
Figure kpo00034
디옥산 25ml중 클로르암부실 500mg을 분자체(4。A) 2g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옥살릴 클로라이드 1.5ml를 사용하여 산 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킨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사를 무수 디옥산 15ml에 용해시킨다. 당해 용액을 디옥산 60ml중 실시예 2의 화합물 900mg의 비등 용액에 30분에 걸쳐서 질소하에 적가한다. 5시간 동안 환류하고, 혼합물을 증발시킨 다음,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CHCl3/MeOH/HOAc=12:1:2)한다. 수득량: 실시예 3의 화합물 250mg
[실시예 4]
Figure kpo00035
실시예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클로로암부실 500mg으로부터 클로로암부실의 산 클로라이드 용액을 제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데옥시타우로콜산 400mg과 반응시킨다.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HOAc=100:90:1, 이어서, CHCl3/MeOH-5:1)하여 실시예 4의 화합물 350mg을 수득한다.
[실시예 5]
Figure kpo00036
실시예 3의 화합물 5mg을 디옥산 150㎕/pH 7.4 인산나트륨 완충액 15㎕(100mmol)에 용해시키고, Na[3H] BH4100mCi(11.8Ci/mmol)에 가한다. 실온에서 2시간 후에, 5N HCl 20㎕를 가한다. 예비 TLC(HPTLC TLC 판, 0.5mm, 부탄올/HOAc/H2O=9:1:2)하여 실시예 5의 화합물 2mCi를 수득한다.
[실시예 6]
Figure kpo00037
a) 나트륨 아지드 6.2g(95.4mmol)을 무수 DMF 1ℓ중 실시예 10의 화합물 43.6g(89.6mmol)의 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130 ℃에서 45분 동안 교반한다. 냉각시킨 후에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디에틸 에테르 (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으고,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b) 실시예 IIb와 유사하게 에스테르화시킨다.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하여 아지드 실시예 6의 화합물 18.9g(42.2mm
ol, 47%)을 수득한다.
C25H41N3O4(447) MS (FAB, 3-NBA/LiCi): 454(M+Li+)
[실시예 7]
Figure kpo00038
실시예 6의 화합물 3.0g(6.7mmol)을 MeOH 100ml에 용해시키고 실온 및 통상 압력하에 Pd/C 2g을 사용하여 수소화시킨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MeOH/NEt3=95:5)하여 아민 실시예 7의 화합물 1.6g(3.8mmol, 57%)을 수득한다.
C25H63NO4(421) MS (FAB): 422 (M+H+).
[실시예 8]
Figure kpo00039
무수 THF 25ml중 실시예 7의 화합물 500mg(1.19mmol), 트리에틸아민 10m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200mg(1.61mmol) 및 락톤 실시예 125의 화합물(제법 참조: DE 3,823,045-A, US 4,925,852) 520mg(1.20mmol)의 혼합물을 환류하에 48시간 동안 가열한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9:1)한다. 수득량: 실시예 8의 화합물 520mg(0.61mmol, 51%)
C52H69FN2O7(825), MS (FAB, 3-NBA/LiCl): 859 (M+Li+).
[실시예 9]
Figure kpo00040
실시예 9의 화합물은 실시예 79 내지 88과 유사하게 수득한다.
C51H67FN2O7(840), MS (FAB, 3-NBA/LiCl): 847 (M+Li+).
2. X-G, X=중간 구성원
[실시예 10]
Figure kpo00041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23.1ml(0.294mol)를 피리딘 500ml중 콜산 100g(0.245mol)에 0 ℃에서 적가한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0 ℃에서 교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물 3000ml/진한 황산 400ml에 부어넣고, 에틸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으고, MgSO 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HOAc=5:5:1)하여 실시예 10의 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수득한다. 예비 목적을 위해 추가의 정제는 필요하지 않다.
[실시예 11]
Figure kpo00042
a) 실시예 10의 화합물 119g(0.245mol)을 에틸렌글리콜 500ml/피리딘 100ml 중에서 10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혼합물을 물 1500ml/진한 황산 100ml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으고, 건조(MgSO4)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b) 에스테르화시키기 위해, 잔사를 메탄올성 HCl(메탄올 1000ml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100ml를 적가하여 제조) 1100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용액을 물 2000ml에 부어넣고, 에테르(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으고, 포화 NaHCO3수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MgSO4)시킨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MeOH=10:1)하여 실시예 11의 화합물을 37.1g(0.08mol, 33%) 수득한다.
C27H46O6(466), MS (FAB, 3-NBA/LiI): 473 (M+Li+).
생성물은 적절한 유도체화후 임의로 제거할 수 있는 3α-이성체를 10% 이하 함유한다.
표 1에 제시된 화합물은 실시예 11과 유사하게 제조된다 (β-이성체를 비교적 소량의 α-이성체와 함께 우세하게 수득한다).
Figure kpo00043
[실시예 19]
Figure kpo00044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6.6mol(0.084mol)을 피리딘 150ml중 실시예 11의 화합물 37.1g(0.08mol)에 0 ℃에서 적가한다.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1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 500ml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모은 유기상을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3:1)하여 메실레이트 실시예 19의 화합물을 37.7g(0.07mol, 87%) 수득한다.
C28H48O8S(544), MS (FAB, 3-NBA/LiI): 551 (M+Li+).
[실시예 20]
Figure kpo00045
메실레이트 실시예 19의 화합물 37.7g(0.07mol)을 무수 DMSO 150ml중에서 나트륨 아지드 4.95g((0.076mol)과 함께 7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으고, 건조시킨 다음(MgSO4), 증발시킨다. 잔사를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톨루엔을 회전증발기에서 제거한다(2X). 실시예 20의 수득량은 34.5g(정량적)이다. 아지드를 추가의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반응시킨다.
[실시예 21]
Figure kpo00046
실시예 20의 화합물 31.1g(0.063mol)을 실온 및 대기압에서 Pd/C(10%) 20g을 함유하는 에틸 아세테이트 500ml중에서 수소화시킨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NEt3=5:1:1)하여 아민 실시예 21의 화합물을 21.0g(0.045mol, 71%) 수득한다. C27H47NO5(465), MS (FAB, 3-NBA/LiI): 472 (M+Li+).
표 2에 제시된 화합물을 실시예 19 내지 21과 유사하게 제조한다.
Figure kpo00047
Figure kpo00048
콜산과 유사하게 기타 담즙산을 실시예 10 내지 28에 따라 반응시키고 표 3에 제시된 화합물을 수득한다.
a) 데옥시콜산에서 출발:
Figure kpo00049
b) 케노데옥시콜산에서 출발:
Figure kpo00050
c) 리토콜산에서 출발:
Figure kpo00051
[실시예 47]
Figure kpo00052
Figure kpo00053
실시예 21의 화합물 2.0g(4.3mmol)을 THF 25ml/트리에틸아민 5ml중에서 석신산 무수물 430mg(4.3mmol)과 함께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2N HCl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서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제거하여 실시예 47a의 화합물 [R(10)=H] 2.4g(4.2mmol, 98%)을 수득한다.
C31H51NO8(565): MS (FAB, 3-NBA/LiI): 578 (M+2Li+-H)
실시예 47 b) (R(10)=t-BuMe2Si)
실시예 47 b)의 화합물을 47a)와 완전히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58의 화합물로부터 수득한다.
실시예 47 c) (R(10)=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THP)
실시예 47 c)의 화합물을 실시예 47 a)와 완전히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55의 화합물로부터 수득한다.
[실시예 48]
Figure kpo00054
아세틸 클로라이드 20.3ml(0.248mol)를 피리딘 750ml중 메틸 콜레이트 100g(0.237mol)의 용액에 0 ℃에서 적가한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3.4ml(0.047mol)을 0 ℃에서 다시 가하고, 혼합물을 추가의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 건조시키고(MgSO4), 증발시킨다.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1.5:1)하여 실시예 48의 모노 아세테이트를 95.8g(0.206mol, 87%) 수득한다.
[실시예 49]
Figure kpo00055
실시예 48의 모노아세테이트 50.0g(0.108mol)을 디클로로메탄 250ml/디하이드로피란 250ml에 용해시키고, 피리디늄 톨루엔-4-설포네이트 10.0g을 실온에서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한다. 반응 용액을 디에틸에테르 1500ml로 희석시키고, 유기 상을 염화나트륨 반포화수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MgSO4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제거하여 실시예 49의 비스-THP 에테르를 75g(정량적) 수득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한다.
[실시예 50]
Figure kpo00056
탄산칼륨 37.8g(0.275mol)을 실온에서 무수 메탄올 300ml중 실시예 49의 화합물 46.6g(약 0.055 mol)의 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용매를 거의 제거하고, 잔사를 2N 염사/톨루엔에 부어넣는다. 수성상을 톨루엔(2X)으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모아서 물로 1회, NaHCO3포화 수용액으로 2회 세척한다. Mg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한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3:2)하여 실시예 50 28.8g(0.049mol, 89%)을 수득한다. C35H58O7(590), MS (FAB, 3-NBA/LiI): 597 (M+Li+).
[실시예 51]
Figure kpo00057
메실레이트 실시예 51의 화합물 30.3g(0.045mol, 94%)을 실시예 10과 유사하게 실시예 50의 화합물 28.8g(0.048mol)으로부터 수득한다.
[실시예 52]
Figure kpo00058
a) 메실레이트 실시예 51의 화합물 46.0g(0.068mol)을 에틸렌 글리콜 300ml/트리에틸아민 75ml중에서 2.5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을 1N HCl에 부어넣고, 디에틸에테르(2X)으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 물로 1회, 중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2회 세척하고, 건조(MgSO4)시킨 다음, 용매를 제거한다. 잔사를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증발시킨다(2X).
b) 잔사를 무수 메탄올 500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 40.0g을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메탄올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2N 염산/톨루엔에 부어넣는다. 수성상을 톨루엔으로 2회 추출하고, 유기상을 모아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1회 세척한 다음, Mg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 상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2:1)하여 실시예 52의 화합물 25.6g(0.040mol, 60%)을 수득한다.
C37H62O3(634), MS (FAB, 3-NBA, 3-NBZ.LiI): 641 (M+Li+).
[실시예 53]
Figure kpo00059
실시예 53의 화합물을 실시예 19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한다.
[실시예 54]
Figure kpo00060
실시예 54의 화합물을 실시예 20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한다.
[실시예 55]
Figure kpo00061
실시예 55의 화합물을 실시예 21과 유사하게 수득한다.
C37H63O7(633), MS (FAB, 3-NBA/LiI): 640 (M+Li+).
[실시예 56]
Figure kpo00062
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플레이트 31.2ml(0.136mol)을 0 ℃ 에서 실시예 19의 화합물 24.5g(0.045mol)및 디클로로메탄 150ml중 2,6-디메틸피리딘 26.4ml(0.227mol)의 용액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15분간 0 ℃에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NaHCO3포화 수용액에 부어넣고, 디클로로메탄(3X)으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 Mg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 상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1:3)하여 실시예 56의 화합물 23.5g(0.03mol, 67%)을 수득한다.
C40H76O8Si2S (772), MS (FAB, 3-NBA/LiI): 779 (M+Li+).
[실시예 57]
Figure kpo00063
실시예 56의 화합물 23.4g(0.03mol)을 실시예 20과 유사하게 아지드 실시예 57의 화합물로 정량적으로 전환시킨다.
[실시예 58]
Figure kpo00064
아지드, 실시예 57의 화합물을 실시예 21과 유사하게 수소화시킨다.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MeOH/NEt3=18:1:1)한 후 수득량은 실시예 56의 화합물 0.03mol에 비해 10.0g(0.014mmol, 48%)이다.
C39H75NO5Si2(693), MS (FAB, 3-BNA/LiI): 700 (M+Li+).
[실시예 59]
Figure kpo00065
실시예 21의 화합물 500mg(1.07mmol)과 무수 벤질 알콜 100ml중 테트라에틸 오르토티타네이트 76mg(0.33mmol)의 용액을 100 ℃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다. 냉각 후에, 에틸아세테이트 100ml을 가한다. 혼합물을 1N HCl(1X)과 8% NaHCO3용액(1X)으로 흔들어서 추출한다. 유기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NEt3=5:1:1)하여 벤질 에스테르 실시예 59 360mg(6.64mmol, 62%)을 수득한다.
C33H51NO5(541), MS (FAB): 542 (M+H+).
[실시예 60]
Figure kpo00066
[실시예 60a]
Figure kpo00067
실시예 11의 화합물 42g(0.09mol)을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270ml중 벤질 브로마이드 61.5g(0.36mol)와 100 ℃(욕조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생성물을 물 1.81 및 진한 황산 180ml의 혼합물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2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서 1N 염산, 물 및 NaHCO3포화 수용액으로 각각 1회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1:1)하여 실시예 60a 14.54g(0.026mol, 29.0%)을 수득한다.
C34H52O6(556), MS (FAB, 3-NBA/LiCl): 563 (M+Li+).
[실시예 60b]
Figure kpo00068
실시예 60a의 화합물 16.14g(0.029mol)을 메탄올 450ml에 용해시키고, 1N 수산화나트륨 용액 37ml(0.037mo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8시간 동안 환류하여 가열한다. 회전증발기에서 메탄올을 제거하고, 잔사를 물 320ml에 용해시킨 다음, 1N 염산 37ml(0.037mol)을 가한다. 생성된 산을 에틸아세테이트(2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 물로 2회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결정상 잔사를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50ml로 연마하고, 흡인여과한 다음, 진공건조시켜 융점이 144 내지 146 ℃인 실시예 60b 13.85g(0.025mol, 88.0%)을 수득한다.
C33H50O6(542), MS (FAB, 3-NBA/TFA): 565 (M+Na+).
[실시예 60c]
Figure kpo00069
a) 무수물 제조
실시예 60b의 화합물 13.8g(0.0254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0ml 및 트리에틸아민 7.69g(0.0762mol)에 용해시킨다. 2.6-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6.28g(0.03mol)을 실온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여 가열한다.
b) 에스테르 제조
a)에서 수득한 무수물 용액을 10 ℃로 냉각시키고, t-부탄올 28.12g(0.38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3.1g(0.0254mol)을 연속적으로 가한 다음, 혼합물을 1시간 동안 비정까지 가열하고, 4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진공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다음, 용액을 물로 3회 철저히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1:1)하여 융점이 79 내지 80 ℃ 인 실시예 60c의 화합물 6.85g(0.0114mol, 45.0%)을 수득한다.
[실시예 60d]
Figure kpo00070
에틸 아세테이트 250ml중 실시예 60c의 화합물 7.14g(0.0119mol)을 Pd/C 촉매(10%) 1.5g의 존재하에 실온 및 대기압하에서 수소화시킨다. 수소가 완전히 흡수된 후에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켜 실시예 60d의 화합물 6.0g(0.0117mol, 98.9%)을 수득한다.
C30H52O6(508), MS (FAB, 3-NBA.LiCl): 515 (M+Li+).
[실시예 60e]
Figure kpo00071
실시예 60e의 화합물을 실시예 60d의 화합물로부터 실시예 19 내지 28과 유사하게 제조한다.
C30H53NO5(507); MS (FAB, 3-NBA.LiCl): 514 (M+Li+).
[실시예 61]
Figure kpo00072
메틸 콜레이트 42.2g(0.1mol),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300ml(1.8mol) 및 알릴 브로마이드 10ml(0.12mol)을 환류하에 8시간 동안 가열한다. 매반응시간마다 알릴 브로마이드를 각각 5ml씩 가한다[TLC로 점검,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1:1)]. 반응 혼합물을 진한 H2SO4400ml/물 2000ml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서 1N HCl, 물 및 NaHCO3포화 용액으로 각각 1회씩 세척한다. 건조(MgSO4)시키고, 용매를 제거한다음,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n-헵탄/에틸 아세테이트=4:1→3:1→2:1)하여 실시예 61의 화합물 21.91g(0.047mol, 47%)을 수득한다.
C26H46O5(462), MS (FAB, 3-NBA/LiCl): 469 (M+Li+).
[실시예 62]
Figure kpo00073
(1) 텍실보란의 제조 :
1M 2,3-디메틸부텐 용액(THF) 85ml를 아르곤 대기하에 0 ℃에서 1M BH3THF 용액(THF) 85ml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0 ℃에서 교반한다.
(2) 하이드로보란화 :
THF 25ml중 올레핀, 실시예 61의 화합물 8.6g(18.59mmol)을 (1)에서 제조된 용액에 0 ℃에서 적가한다. 0 ℃ 에서 3시간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게 한다(TLC 첵킹). 실온에서 16시간 후에, 바로 제조된 텍실보란 용액(THF)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실온에서 교반한다. 출발물질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을때 아르곤 대기하에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반응 혼합물을 조심스럽게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동시킨다(보란 1당량당 NaOH 1당량). 30% 과산화수소 용액을 빙냉하면서 적사한다(보란 1당량당 2당량). 0 ℃에서 20분 후에, 혼합물을 50 ℃로 30분 동안 가온한다. 염화나트륨 포화 용액을 가하여 상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X)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모아서 중아황산나트륨 포화용액(2X)으로 세척한다음, 염화나트륨 용액(1X)으로 세척한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에틸 아세테이트/MgOH=20:1)하여 실시예 62의 화합물 5.0g(10.4mol, 56%)을 수득한다.
Rf(에틸 아세테이트): 0.18
C28H48O6(480); MS (FAB, 3-NBA/LiCl): 487 (M+Li+).
또한, 2급 알콜 1.0g을 수득한다.
Rf(에틸 아세테이트): 0.27
[실시예 63]
실시예 63의 화합물을 실시예 19 내지 28과 유사하게 실시예 62의 화합물로부터 수득한다.
Figure kpo00074
(3-C상에서 α-배위인 X-G)
C28H49NO5(479); MS (FAB, 3-NBA/LiCl): 486 (M+Li+).
[실시예 64]
Figure kpo00075
단계 a)
Figure kpo00076
실시예 11의 화합물 75g(0.161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500ml중 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26.7g(0.177mol)및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 21.6g(0.177mol)과 함께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서 건조(MgSO4)시키고, 증발시킨다. 실릴 에테르를 93.6g(정량적) 수득한다. 예비목적을 위해 추가의 정제는 필요치 않다.
C33H60O6Si (580); MS (FAB, 3-NBA/LiCl): 587 M+Li+).
단계 b)
Figure kpo00077
아세트산 무수물 4.1ml(0.043mol)를 무수 피리딘 100ml중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5.3g(0.043mol) 및 단계 a)에서 수득한 실릴에테르 10g(0.0172mol)에 0 ℃에서 적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서 NaHCO3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 시킨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1:3)하여 디아세테이트 10g(0.015mol, 87.7%)을 수득한다.
C37H54O8Si (664); MS (FAB, 3-NBA/LiCl): 671 (M+Li+).
단계 c)
Figure kpo00078
단계 b)에서 수득한 디아세테이트 10g(0.015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ml중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수화물 5.2g(0.0165mol)과 함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서 건조(MgSO4) 시키고 증발시킨다. 알콜을 정량적으로 수득한다. 예비목적을 위해 추가의 정제는 필요치 않다.
C31H50O8(550); MS (FAB, 3-NBA/LiCl): 557 (M+Li+).
단계 d)
Figure kpo00079
단계 c)에서 수득한 알콜 7.35g(0.0133mol)을 무수디메틸포름아미드 150ml중 피리디늄 디크로메이트 50g(0.0133mol)과 함께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디에틸 에테르(3X)로 추출한 다음, 유기상을 모아서 건조(MgSO4)시키고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9:1)하여 실시예 64의 화합물 5.1g(0.009mol, 58%)을 수득한다.
C31H48O9(564); MS (FAB, 3-NBA/LiCl): 571 (M+Li+).
3. W-X-G, X=중간 구성원
[실시예 65]
Figure kpo00080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62ml(6.44mmol)를 THF 100ml/트리에틸아민 20ml중 클로르암부실(Sigma) 1.96g(6.44mmol)의 용액에 0 ℃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한다. THF에 용해시킨 실시예 21의 화합물 3.0g(6.44mmol)을 0 ℃에서 적가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9:1)하여 실시예 65 3.9g(5.2mmol, 81%)을 수득한다.
융점: 45 - 50 ℃
C41H64Cl2N206(750), MS(FAB, 3-NBA/LiI): 751 (M+Li+).
[실시예 66]
Figure kpo00081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ml을 에탄올 20ml중 실시예 65의 화합물 1.96g(2.6mmol)의 용액에 적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ml를 추가로 가하고, 3시간 동안 다시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 200ml에 붓고 1N HCl으로 중화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서 건조(MgSO4)시키고 증발시킨다.
수득량: 실시예 66의 화합물 1.91g(2.6mmol 정량적).
융점: 60 - 70 ℃
C40H62Cl2N206(736), MS(FAB, 3-NBA/LiI): 743 (M+Li+).
[실시예 67]
Figure kpo00082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2ml(2.03mmol)를 실시예 66의 화합물 1.5g(2.03mmol) 및 디옥산 10ml중 트리-n-부틸아민 0.97ml(4.06mmol)의 용액에 0 ℃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한다. 1N 수산화타트륨 수용액 4ml중 타우린 0.508g(4.06mmol)의 용액을 0 ℃에서 적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 200ml에 부어넣고, 1N 수성 HCl로 중화시킨다. 소량의 메탄올을 가한 에틸 아세테이트(3X)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모아 건조(MgSO4)시킨 다음,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 겔 상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4:1, 이어서 2:1)하여 실시예 67의 화합물 1.59g(1.89mmol, 93%)을 수득한다.
융점: 130 - 140 ℃
C42H57Cl2N305S (843), MS (FAB, 3-NBA/LiI): 856 (M+Li+-H)
[실시예 68]
Figure kpo00083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2ml(2.03mmol)를 실시예 66의 화합물 1.5g(2.03mmol) 및 디옥산 10ml중 트리-n-부틸아민 0.97ml(4.06mmol)의 용액에 0 ℃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한다. 1N 수산화타트륨 수용액 4.0ml중 글리신 0.305g(4.06mmol)의 용액을 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 200ml에 부어넣고, 1N 수성 HCl로 중화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모아서 건조(MgSO4)시키고, 증발시킨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2:1)한다.
수득량: 실시예 68의 화합물 1.15g(1.45mmol, 71%).
융점: 75 - 85 ℃
C42H55Cl2N307(793), MS (FAB, 3-NBA/LiI): 806 (M+2 Li+-H).
[실시예 69 내지 78]
Figure kpo00084
[실시예 69]
Figure kpo00085
실시예 21의 화합물 750mg(1.61mmol), 트리에틸아민 5ml,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200mg(1.61mmol) 및 무수 THF 25ml 중의 메비놀린 651mg(1.61mmol)의 혼합물을 환류하에 48시간 동안 가열한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MgOH=19:1)한다.
수득량: 실시예 69의 화합물 900mg(1.30mmol), 64%
융점: 78 - 80 ℃
C51H83N010(869), MS(FAB, 3-NBA/LiI): 876 (M+Li+).
[실시예 70]
Figure kpo00086
실시예 70의 화합물을 실시예 21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69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융점: 70 - 75 ℃
C53H75F2H08(891), MS(FAB, 3-NBA/LiI): 898 (M+Li+).
[락톤 성분 제조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3,722,807-A호(Tetrahedron Letters 29, 929-930 [1988]) 참조, 여기선 F에 인접한 메틸 그룹이 없는 화합물이 기술된다].
[실시예 71]
Figure kpo00087
실시예 71의 화합물을 실시예 21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69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융점: 65 - 70 ℃
C51H76FNO9(865), MS(FAB, 3-NBA/LiI): 872(M+Li+).
(락톤 성분 제조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3,819,999-A호, 실시예 1 및 본 발명의 약리학적 부분 이전의 기재사항 참조).
[실시예 72]
Figure kpo00088
실시예 72의 화합물을 실시예 22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69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C52H78FNO9(879), MS(FAB, 3-NBA/LiI): 886(M+Li+).
[실시예 73]
Figure kpo00089
실시예 73의 화합물을 실시예 21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69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C54H73F2N09S(949), MS(FAB, 3-NBA/LiCl): 956(M+Li+).
(락톤 성분 제조시 독일연방공화구 특허원 제P 3,929,913호를 참조)
[실시예 74]
Figure kpo00090
실시예 74의 화합물을 실시예 22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69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C55H75F2N09S(963), MS(FAB, 3-NBA/LiCl): 970(M+Li+).
[실시예 75]
Figure kpo00091
실시예 75의 화합물을 실시예 21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69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융점: 74 - 76 ℃
C54H73FN208(896), MS(FAB, 3-NBA/LiI): 903(M+Li+).
[실시예 76]
Figure kpo00092
실시예 76의 화합물을 실시예 22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69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C55H75FN208(910), MS(FAB, 3-NBA/LiI): 917(M+Li+).
[실시예 77]
Figure kpo00093
실시예 77의 화합물은 실시예 63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69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C55H75FN208(910), MS(FAB, 3-NBA/LiCl): 917(M+Li+).
[실시예 78]
Figure kpo00094
실시예 78의 화합물은 실시예 28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69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C55H75FN208(910), MS(FAB, 3-NBA/LiCl): 917(M+Li+).
[실시예 79 내지 88]
공정 A
Figure kpo00095
[실시예 79]
Figure kpo00096
실시예 69의 화합물 250mg(0.29mmol)을 에탄올 5ml에 용해시키고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ml를 가한다.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1N 염산을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X)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실시예 79의 화합물 수득량 230mg(0.27mmol, 94%)
융점: 70 - 80 ℃
C50H81N010(855), MS(FAB, 3-NBA/LiI): 862 (M+Li+).
공정 B
Figure kpo00097
[실시예 80]
Figure kpo00098
a) 실시예 70의 화합물 400mg(0.45mmol) 및 p-톨루엔설폰산의 결정을 아세톤/디메톡시프로판(1:1) 2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한다. 15분 후에,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사를 실리카 겔(클로로포름/메탄올 19:1)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아세토나이드를 390mg(0.42mmol, 93%) 수득한다.
C56H79F2N08(931), MS(FAB, 3-NBA/LiCl): 938(M+Li+).
b) 아세토나이드 390mg(0.42mmol)을 에탄올 20ml에 용해시키고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ml를 가한다.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2N 염산을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X)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조 생성물을 추가로 정제시키지 않고 반응시킨다.
c) b)로부터의 조 생성물을 THF 20ml에 용해시키고 2N 염산을 가한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 100ml 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X)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상에서 섬광 크로마토 그래피하여 실시예 80 ℃의 화합물 250mg(0.29mmol, 68%)을 수득한다.
C52H73F2N08(877), MS(FAB, 3-NBA/LiCl): 884(M+Li+).
[실시예 81 내지 88]
실시예 81 내지 88의 화합물을 실시예 79 또는 80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71 내지 78로부터 제조한다.
Figure kpo00099
Figure kpo00100
Figure kpo00101
[실시예 89 내지 98]
Figure kpo00102
[실시예 89]
Figure kpo00103
실시예 79의 화합물 150mg(0.175mmol)을 에탄올 10ml에 용해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75ml를 가한다.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증발시킨다. 수득량 나트륨염(실시예 89) 150mg(정량적).
[실시예 90 내지 98]
실시예 90 내지 98의 화합물은 실시예 89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Figure kpo00104
Figure kpo00105
[실시예 99 내지 108]
Figure kpo00106
[실시예 99]
Figure kpo00107
실시예 69로부터의 아세토나이드 400mg(0.45mmol)(참조: 실시예 79 내지 88, 공정 B)을 무수 THF 4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0.12ml(0.90mmol)을 가한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킨다.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07ml(0.68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한다. 그런 다음 0.1N 수산화타트륨 수용액 12ml중의 글리신 100mg(1.3mmol)의 용액을 적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여 1시간 더 교반한다. 혼합물은 물에 붓고 2N 염산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3X)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잔사를 THF 50ml에 용해시키고, 1N 염산 10m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를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X)를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합한 유기상을 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클로로포름/메탄올 7:3)상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실시예 99의 화합물 230mg(0.25mmol, 56%)을 수득한다.
C52H84N2011(912), MS(FAB, 3-NBA/LiCl): 919(M+Li+)
[실시예 100 내지 108]
실시예 100 내지 108의 화합물을 실시예 99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Figure kpo00108
Figure kpo00109
Figure kpo00110
실시예 89 내지 98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100 내지 108의 화합물로부터 상응하는 Na염을 제조한다.
[실시예 109 내지 118]
Figure kpo00111
[실시예 109]
Figure kpo00112
실시예 69로부터의 아세토나이드 400mg(0.45mmol)(참조: 실시예 79 내지 88, 공정 B)를 무수 THF 4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0.12ml(0.90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킨다.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07ml(0.68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한다. 그런 다음 0.1N 수산화타트륨 수용액 12ml중의 타우린 160mg(1.3mmol)의 용액을 적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더 교반한다. 혼합물을 물에 붓고 2N 염산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X)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증발시킨다. 잔사를 THF 50ml에 용해시키고, 1N 염산 10m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를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X)를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합한 유기상을 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킨다. 실리카 겔(디클로로메탄/메탄올 7:3) 상에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실시예 109의 화합물 270mg(0.28mmol, 62%)을 수득한다.
C52H86N02O2S(962), MS (FAB, 3-NBA/LiCl): 969 (M+Li+).
[실시예 110 내지 118]
실시예 109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110 내지 118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113
Figure kpo00114
Figure kpo00115
실시예 89 내지 98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109 내지 118의 화합물로부터 상응하는 Na염을 제조한다.
W-X-G, W=모델 펩티드(D-알라닐 펩티드).
담즙산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모델 펩티드의 제조:
실시예 21의 화합물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N-말단 보호된 D-알라닐 펩티드(보호 그룹, 예를 들면, 벤질옥시카보닐 또는 Boc: 3급-부틸옥시카보닐) 또는 이의 활성 에스테르를 제조하며 이 제조방법은 펩티드 화학에 통상적인 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참조예: Houben-Weyl, Volumes 15/1 및 15/2).
N-말단 보호된 올리고-D-알라닐 펩티드를 담즙산 유도체의 아미노 작용기에 이의 활성 에스테르 형태(예: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OSu) 또는,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OBt)에스테르)로 결합시키거나 라세미화 억제제[예: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HOSu) 또는 1-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를 가하면서 축합제(예: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를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이어서, 담즙산 유도체의 펩티드 보호그룹 및 메틸에스테르 그룹을 제거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직교 보호 그룹방법으로 인해, -N-말단 보호그룹은, 예를 들면, 수소화(Z) 또는 산분해(Boc)에 이해 제거될 수 있으며, 한편 담즙산 유도체의 메틸 에스테르 그룹은 가수분해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보호된 담즙산 펩티드 공액체의 합성 또한 가능하다.
각각의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은 통상 칼럼크로마토프래피에 의해 정제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및 H-NMR 분광학으로 특성을 파악한다.
[실시예 119 내지 121]
Figure kpo00116
[실시예 119]
Z-D-Ala-D-Ala-NH-(CH2)2-GS-OCH3
실시예 21의 화합물 485mg(1.04mmol) 및 Z-D-Ala-D-Ala-OSu 467mg(1.14mmol)을 디클로로메탄 10ml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다. 용매를 진공중에서 제거한 후, 고체 잔사 930mg을 수득하여 실리카 겔 칼럼(50 × 2cm, 마트렉스 실리카 겔 70 내지 200㎛)을 통해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디클로로메탄/메탄올/아세트산 85:10:5)한다.
분획 3 및 4는 목적하는 생성물을 함유한다; 분획 4는 또한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를 함유하며, 이는 용매를 제거한 수 잔사를 물 또는 매우 묽은 염산으로 연마하여 제거할 수 있다.
위의 두 분획을 합한 후, 실시예 119의 화합물 450mg(5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한다.
Rf(디클로로메탄/메탄올/아세트산 85:10:5) : 0.76
Rf(n-부탄올/아세트산/물 40:40:10) : 0.89
[실시예 120]
H-D-Ala-D-Ala-NH-(CH2)2-GS-OCH3
Z-D-Ala-D-Ala-NH-(CH2)2-GS-OCH3280mg(0.37mmol)을 메탄올 5ml에 용해시킨다. 반응 용기를 불활성 기체로 수회 플러싱하고, 수소화 촉매 (필라듐/활성탄, 10%) 28mg을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수소화시킨다. 상기한 시간이지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아세트산 85:10:5)로 분석하면 출발물질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막여과 (Schleicher and Schuell, RC 58, 0.2㎛)하고, 여액을 회전 증발기 내에서 증발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를 잔사에 2회 가한 다음 혼합물을 회전 증발기 내에서 다시 증발시킨다. 담황색 분상고체 225mg(98%)를 수득하여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활성탄을 가하면서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다. 여과한 후, 용매를 진공 증발시킨 다음 건조시켜 실시예 120의 화합물 190mg(8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한다.
Rf(n-부탄올/아세트산/물 40:40:10) : 0.55
[실시예 121]
H-D-Ala-D-Ala-NH-(CH2)2-GS-OH
H-D-Ala-D-Ala-NH-(CH2)2-GS-OCH3120mg(0.19mmol)을 메탄올 2ml에 용해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ml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런 다음 반응 용액을 2N 수성 염산을 사용하여 pH 3으로 조정하고 회전 증발기 내에서 증발 건조시킨다.
잔사를 소량의 에탄올 중에서 연마하고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여액을 감압하에 건조시키고 에테르 및 펜탄으로 각각 1회씩 연마한 다음 여과시켜 건조시킨다. 실시예 121의 화합물 107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한다. (여전히 염화나트륨 약 10%를 함유한다).
수율 : 85%
Rf(n-부탄올/아세트산/물 40:40:10) : 0.54
실시예 122의 화합물을 실시예 121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한다.
[실시예 122]
Z-D-Ala-D-Ala-NH-(CH2)2-GS-OH
Z : 벤질옥시카보닐
[실시예 123]
Figure kpo00117
a) 메틸렌 클로라이드 5ml/트리에틸아민 1ml중의 실시예 21의 화합물 1.04g(2.23mmol)을 0 ℃ 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25ml중의 산 클로라이드(2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상응하는 카복실산을 티오닐 클로라이드/촉매량의 DMF와 반응시켜 제조한다) 500mg(2.23mmol)에 가한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붓고 수성상을 메틸렌 클로라이드(3X)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포화 NaHCO3용액(1X)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다(MgSO4).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 겔(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15:1)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생성물 314mg을 수득한다.
b) a)에 따라 수득한 생성물 100mg(1.49mmol)을 에탄올 20ml에 용해시키고 1N NaOH 4ml를 사용하여 밤새 교반한다. 중화를 위해 염산 4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시킨다. 용매를 제거하여 실시예 123의 화합물 89.1mg을 수득한다.
C36H55N3O8(657), MS (FAB, 3-NBA/LiI): 664 (M+Li+).
[실시예 124]
Figure kpo00118
실시예 124의 화합물을 실시예 123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C33H48N2O8(600), MS (FAB, 3-NBA/LiCl): 607 (M+Li+), 613(M+2Li-H)+, 619(M+3Li-2H)+.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3,819,999호에 따라 실시예 71의 화합물을 위한 락톤 성분을 제조하는 방법:
4(R)-하이드록시-6(S)-[2,4-디이소프로필-6-p-플루오로페닐)-페녹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온의 합성
[단계 1]
2,4-디이소프로필페놀
3,5-디이소프로필-2-하이드록시벤조산(XI) 145g (0.65mol), 퀴놀린 540ml(588g, 4.55mol)과 제1 크롬산구리(2CuO
Figure kpo00119
Cr2O3) 7.5g(0.024mol)으로부터 수득된 혼합물을 190 ℃ (225 ℃ 외부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를 약 10 ℃로 냉각시키고 추가로 냉각시키면서 반농축된 염산 약 1ℓ를 사용하여 pH 1 내지 2로 산성화시킨 다음 톨루엔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을 2N 염산에 이어 물로 세척한 다음 NaHCO3용액으로 세척한다. 이를 고진공하에 건조, 여과, 농축 및 증류시킨다. 표제 화합물(XIII)105g을 담황색 오일 (비점 81 내지 84 ℃/0.2torr)로서 수득한다.1H-NMR(CDCl3) : δ1.20(6H, d); 1.25(6H, d),; 3.00(2H, 2x hept.); 4.10(1H,s,br); 6.05-7.00(3H,mol).
[단계 2]
2,4-디이소프로필-6-브로모페놀
철 분말 1g 및 브롬 101g (32.2ml, 0.63mol)을 95 ℃ 에서 90분에 걸쳐 빙초산 900ml중의 2,4-디이소프로필페놀 102.3g(0.57mol)의 용액에 가한다(브롬은 적가한다). 혼합물을 100 ℃에서 1시간 더 교반하고 냉각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톨루엔과 물사이에 배분하고 톨루엔 상을 NaHCO3용액으로 세척한다. 이를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키고, 잔사를 고진공중에서 증류시킨다. 표제 화합물 125g을 담황색 오일(비점 85 ℃/0.15torr)로서 수득한다.
1H-NMR(CDCl3) : δ1.20(6H, d); 1.25(6H, d),; 2.80(1H, hept.); 3.25(1H, hept.); 5.33(1H, S); 6.87 - 7.20(2H, mol)
MS(70eV) : mol/e= 256/258(MOL+), 241/243(MOL+-CH3).
[단계 3]
1-벤질옥시-2,4-디이소프로필-6-브로모벤젠
상기 브로모페놀 124g(0.48mol)중의 탄산칼륨 166.5g(1.2mol), 벤질 클로라이드 91.52g(0.72mol) 및 2- 부탄올 2ℓ로부터 수득한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무기 고체를 흡인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다음 잔사를 톨루엔과 물사이에서 분배한다. 톨루엔 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여과하고 농축시킨다. 잔사를 사이클로헥산/톨루엔(9: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을 통해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 155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한다. 소량의 벤질 클로라이드를 고진공 중에서 제거한다. 증류에 의해 정제할 수도 있다.
(비점 150 ℃/0.15torr).
1H-NMR(CDCl3) : δ1.18(6H, d); 1.22(6H, d),; 2.80(1H, hept.); 3.32(1H, hept.); 4.90(2H, S); 6.93 - 7.60(7H, mol)
MS(70eV) : mol/e= 346/348(MOL+), 267,254/256,91.
[단계 4]
1-벤질옥시-2,4-디이소프로필-6-p-플루오르페닐벤젠
그리나드 화합물을 부수 THF 120ml중의 단계 3으로부터의 브롬화물 48.62g(0.14mol) 및 Mg 부스러기 3.53g(0.147mol)으로부터 제조한다(약 60 ℃, 1시간). 이 그리나드 용액을 무수 THF 140ml중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 팔라듐(O) 3.23g(2.8mmol) 및 4-플루오로요오도 벤젠 31.08g(0.14mmol)의 용액에 재빨리 가한다. 내부 온도는 15분에 걸쳐 55 내지 60 ℃로 상승한다. 7분 후에, 침전물이 형성된다. 혼합물을 50 내지 58 ℃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밤새 방치한 다음 에테르와 1N 염산 사이에서 분배하고 에테르상을 1N 염산에, 이어서 물, 그리고 포화 NaHCO3용액으로 세척한다. 이를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킨다. 필요한 경우, 생성물을 사이클로헥산/톨루엔(4: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또는 증류에 의해 정제한다(비점 180 ℃/0.3torr). 표제 화합물 49.3g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한다(융점 65 내지 67 ℃).
1H-NMR(CDCl3) : δ1.30(12H, d); 2.95(1H, hept.); 3.45(1H, hept.); 4.40(2H, S); 6.90 - 7.80(11H, mol)
MS(Cl) : mol/e= 363(MOL+H+), 362(MOL+), 285, 263.
[단계 5]
2,4-디이소프로필-6-p-플루오로페닐페놀
탄소상의 10% Pd 4g을 1ℓ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100ml의 빙초산중 단계 4의 벤질에테르 49.3g(0.136mol)의 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 중에서 (H2가 격렬하게 흡수된다) 20분 동안 진탕시킨다. 촉매를 여과하여 분리하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사를 톨루엔 중에 수회 용해시킨 다음 각 용액을 진공 농축시킨다. 표제 화합물 34.4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한다(비점 115 ℃/0.1torr).
1H-NMR (CDCl3, 270 MHz) : δ1.25(6H, d); 1.29(6H, d); 2.87 (1H, hept.); 3.31(1H, hept.); 4.95 (1H, s, br); 6.88 (1H, d); 7.08 (1H, d); 7.18 (2H, m); 7.45 (2H, m).
MS(70eV) : m/e = 272 (M+), 257 (M+-CH3).
[단계 6]
6(S)-{(2,4-디이소프로필-6-p-플루오로페닐)-페녹시케틸}-3,4,5,6-테트라하이드로-2-(R-S)-메톡시-4(R)-(t-부틸디페닐실릴옥시)-2H-피란
단계 5로부터의 페놀 27.2g(0.1mol)을 무수 DMSO 250ml중의 탄산 칼륨 27.6g(0.2mol) 및 하이드로퀴논 (스패튤과 한 숟갈 분)의 현탁액에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무수 DMSO 250ml중의 6(S)-요오도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R,S)-메톡시-4(R)-(t-부틸디페닐실릴옥시)-2H-피란(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유럽 특허원 제0,216,127호 참조, R=t-부틸디페닐실릴) 56g(0.11mol)으로부터 수득한 용액을 가한다. 혼합물을 50 내지 55 ℃의 내부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TLC(실리카 겔, 1차 전개는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 사용, 2차 전개는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5:1 사용)는 요오드화물 (Rf0.5)이 완전히 전환되었으며 일부 출발 페놀(Rf0.7)이 잔류하고 일반식 V (Rf0.6)의 주 생성물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에테르와 반포화 염화 나트륨 용액 사이에서 분배한다. 수성상을 에테르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여과하여 농축시킨다. 조 생성물을 톨루엔/사이클로헥산(2:1)에 이어 100% 톨루엔, 톨루엔/에틸아세테이트(30:1) 순서로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 51g을 무색 수지로서 수득한다.
1H-NMR (CDCl3) : δ1.10(9H, s); 1.28 (12H, d); 1.4-2.2 (4H, m); 2.93 (2H, 2 x hept.); 3.40(2H, m); 3.52 (3H, s); 3.97-4.40 (2H, qui+m); 4.87 (1H, dd); 6.87-7.90 (16H, m).
MS (CI) : m/e= 654 (M+), 597 (M+-tert.-Bu), 539, 519, 323, 283, 135, 127.
[단계 7]
6(S)-{(2,4-디이소프로필-6-p-플루오로페닐)-페녹시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R,S)-하이드록시-4(R)-(t-부틸디페닐실릴옥시)-2H-피란
THF 3ℓ 중의 단계 6으로부터의 락톨 에테르 40.2g(61.4mmol), 물 3ℓ 및 빙초산 4.2ℓ로부터 수득한 용액을 80 내지 85 ℃(외부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용매를 진공제거하고 잔사를 톨루엔을 사용하여 3회 진공 증발시킨다.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12:1)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2ℓ를 통해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 33.4g(수율 85%)을 무색 비결정성 분말로서 수득한다. MS(FAB) : mol/e= 640(MOL+), 519, 323, 283, 271, 257
[단계 8]
6(S)-{(2,4-디이소프로필-6-p-플루오로페닐)-페톡시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4(R)-(t-부틸디페닐실릴옥시)-2H-피란-2-온
N-요오도석신이미드 46.9g(208.4mmol)을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2.5ℓ중의 단계 7로부터의 락톨 33.4g(52.1mmo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19.25g (52.1mmol)의 용액에 교반 및 냉각시키면서 가한다. 혼합물을 10 ℃에서 1시간 동안 및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암실에서 질소하에 교반한다. 반응 용액을 물, NaHSO3용액(2회) 및 포화 NaCl 용액순으로 세척하며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킨다. 잔사를 소량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사이클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2:8)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을 통해 여과한다. 표제 화합물 32.1g을 무색 수지로서 수득한다.
1H-NMR (CDCl3, 270 MHZ) : δ1.06 (9H, s); 1.23 (6H, d); 1.26 (6H, d); 1.53 (2H, m); 2.41(1H, dd); 2.59 (1H, dm); 2.90 (1H, hept.); 3.36 (1H, hept.); 3.48 (2H, ABX의 AB); 4.29 (1H, qui); 4.80 (1H, m); 6.96 (1H, d); 7.03 (2H, m); 7.10 (1H, d); 7.36-7.52 (8H, m); 7.58-7.73 (4H, m).
MS (70eV, 70℃) : m/e = 638 (M+), 581 (M+-3급-Bu), 539, (581-프로펜), 283, 199.
[단계 9]
4(R)-하이드록시-6(S)-[2,4-디이소프로필-6-p-플루오로페닐)-페녹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 2H-피란-2-온
빙초산 11.65g(194mmol), 이어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수화물 45.92g(145.5mmol)을 (염기성 Al2O3를 통해 여과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ℓ중의 단계 8로부터의 실릴 화합물 31.0g(48.5mmol)의 용액에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사를 즉시 에테르와 물사이에 분배한다. 수성상을 에테르를 사용하여 2회 더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여과하여 농축시킨다. 잔사를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진공 농축한다. 조 생성물을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2Kg을 통해 크로마토그래피한다. 표제 화합물 15.7g(수율 81%)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한다(융점 145 내지 147 ℃).
1H-NMR (CDCl3, 270 MHz) : δ1.25 및 1.27 (12H, 2xd); 1.67 (1H, s, br.); 1.76 (1H, dtd); 1.87 (1H, ddd); 2.58(1H, ddd); 2.69 (1H, dd); 2.91 (1H, hept.); 3.39 (1H, hept.); 3.54 (2H, ABX의 AB); 4.38 (1H, qui); 4.68 (1H, m); 6.97 (1H, d); 7.10 (3H, d+m); 7.51 (2H, m).
MS (FAB) : m/e = 400 (M+), 257.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3,929,913호에 따라 실시예 73의 락톤 성분을 제조하는 방법]
[단계 1]
2-브로모-6-이소프로필페놀
브롬 198.1ml(3.85mol)를 -5 내지 0 ℃ 에서 물 2ℓ중의 수산화나트륨 470g의 용액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10분 더 교반한다. 생성된 차아브롬산나트륨 용액을 -5 내지 0 ℃ 에서 물 50ml중의 디메틸아민 수용액 (농도 40%) 464g의 용액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30분 더 교반한 다음,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750ml를 사용하여 2회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마크네슘 상에서 간단히 건조시켜 여과한다. 여액을 -10 ℃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900ml중의 오르토-이소 프로필페놀 500g(3.67mol)의 용액에 적가한다. 여액의 약 2/3를 가하면 고체가 형성되고 반응 혼합물은 점성을 띠며 교반하기 어려워진다. -10 ℃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500ml를 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더 교반한다. 고체를 흡인 여과하고, 소량의 차가운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세척하고, 2N 황산 1.5ℓ에 현탁시킨 다음 고체가 모두 오일로 변할때 까지 실온에서 교반한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염화 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제거한다. 잔사를 물 제트 진공하에 30cm 비그액스(vigreux)칼럼을 통해 증류시킨다. 무색 오일 391.7g(1.82MOL), 비점 122 내지 124 ℃/21torr; 수율 49.6%
NMR (60 MHz) :δ = 1.20 (d, 6H, CH3), 3.23 (sept., 1H, CH), 5.42 (s, 1H, OH), 6.4-7.2 (m, 3H, arom.H).
[단계 2]
2-(p-플루오로페닐)-6-이소프로필페놀
a) 3개의 요오드 결정을 마그네슘 부스러기 18.7g(0.77mol)에 가하고, 첨가 부위를 뜨거운 공기(hot air)장치
Figure kpo00120
를 사용하여 플라스크 내에 요오드 증기가 보일때까지 가열한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무수 THF 20ml를 가한다. p-브로모플루오로벤젠 131.3g(0.75mol)을 500ml들이 적하 깔대기에 붓고 이의 약 2ml를 반응 플라스크에 가한다. 반응 혼합물의 갈색이 급속히 사라지며 급격하게 열이 발생되어 환류된다. 추가로 무수 THF 50ml를 반응 혼합물에 즉시 가하고 적하 깔대기내의 p-브로모플루오로 벤젠을 THF 200ml로 희석시킨다. 그런 다음 이 용액을 완만한 환류가 유지되도록 적가한다. 계속하여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더 환류 가열한 다음 50 ℃로 냉각시킨다.
b) 제 2의 플라스크에서, 질소를 20분 동안 통과시킴으로써 무수 THF 150ml중의 2-브로모-6-이소프로필 페놀 52.0g(0.24mol)로부터 수득한 용액으로부터 용해된 산소를 방출시킨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1.7g(1.5mmol)을 산소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면서 가한다.
그런 다음 단계 a)로부터의 그리나드 용액을 이중침(
Figure kpo00121
Flex-needle, Aldrich)에 의해 질소 압력하에 이 용액에 옮기면 열이 방출된다. 이동 속도는 원만한 환류가 유지되게 정한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6시간 더 환류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농염산 100ml중의 얼음 500g상에 붓는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테르 100ml(3회)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 100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제거한다. 잔사를 펌프 진공하의 30cm 비록스 칼럼을 통해 증류시킨다. 예비수행(30 내지 65 ℃/0.2torr) 후에, 순수한 생성물 (비점 107 내지 109 ℃/0.5torr)을 무색 오일로서 증류시키면 수용기 내에서 결정화되며 증류 브릿지 내에서도 부분적으로 결정화된다(융점 44 내지 46 ℃). 브릿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약 50 ℃에서 온도 조절한다. 표제 화합물 37.8g(164mmol, 이론치의 68.4%)을 수득한다. GC 분석(30mol 융합 실리카 칼럼 DB-5 폴리디페닐디메틸실록산, 층 두께 0.25μmol, 내부 직경 0.32mmol, 180 ℃, 주사기 740 ℃, H21bar): tret: 4.46분; 순도 99.9%
NMR (270 MHz) : δ = 1.28 (d, 6H, CH3), 3.32 (sept., 1H, CH), 5.08 (s, 1H, OH), 6.9-7.5 (m, 7H, 방향족 -H).
MS (DCI, 이소부탄) : m/e = 231 (M+H+), 230 (M+), 215 (M+-CH3)
[단계 3]
2-(p-플루오로페닐)-4-티오시아네이토-6-이소프로필페놀
메탄올 200ml중의 나트륨 티오시아네이트 70.9g(838mmol, 5.0당량)으로부터 수득한 현탁액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다. 2-(p-플루오로페닐)-6-이소프로필페놀 40.0g (173.8mmol, 1.0당량)을 가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다. 브롬 14.32ml(277.8mmol, 1.6당량)를 메탄올 50ml에 용해시키고 (발열성)이 용액을 15 내지 20 ℃ 에서 20분에 걸쳐 상기 반응 용액에 적가한다. 반응 혼합물은 황색으로 변하며 페놀은 완전히 용해된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다. TLC(톨루엔/사이클로헥산 1:1)는 출발 물질(Rf=0.54)이 완전 전환되었음을 보여준다. 표제 화합물(Rf=0.32)외에 소량의 상응하는 파라-브로모 화합물 (이는 출발 물질(Rf=0.54)과 함께 크로마토그래피되지만 상이한 착색으로 해서 구분할 수 있다)이 불순물로서 생성된다. 반응 혼합물을 2N 염산 400ml중 얼음 400g상에 붓고 톨루엔 200ml(4회)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추출물을 아황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여과한 다음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 시킨다.
잔류하는 황색 고체는 뜨거운 사이클로헥산 500ml에 용해시키고 활성탄 5g을 가한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환류하에 5분 동안 가열하고 뜨거운 현탁액을 진공여과한다. 여과한 활성탄을 계속하여 뜨거운 사이클로헥산 20ml로 세척한다. 거의 무색의 여액을 서서히 냉각시킨 다음 10 ℃에서 12시간 더 냉각시킨다.
무색 결정(표제 화합물)을 흡인여과하여 진공 건조시킨다. 생성물 47.6g(165.7mmol)을 수득한다(95.3%에 상당): 융점 94.5 내지 96 ℃.
NMR (60 MHz) : δ = 1.26 (d, 6H, CH3), 3.32 (sept., 1H, CH), 5.46 (s, 1H, OH), 7.0-7.6 (m, 6H, 방향족 -H).
MS (DCI, 이소부탄) : m/e = 288 (M+H+), 272 (M+-CH3), 261.
[단계 4]
2-(p-플루오로페닐)-4-(p-플루오로페닐티오)-6-이소프로필페놀
p-플루오로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마그네슘 3.11g(128mmol) 및 p-브로모플루오로벤젠 22.0g[13.8ml, 126mmol)로부터]의 THF 용액(100ml)을 단계 2의 방법으로 제조한다. THF 50ml중의 2-(p-플루오로페닐)-4-티오시아네이토-6-이소프로필페놀(단계 3으로부터) 6.04g(21mmol)으로부터 수득한 용액을 50 ℃ 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40 내지 50 ℃에서 2시간 더 교반한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빙냉 2N 염산 500ml에 붓는다. 이를 에테르 200ml를 사용하여 3회 추출한다. 합한 추출물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한다.
잔류 오일(표제 화합물) (7.5g, 21mmol, 수율 거의 100%)은 TLC(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 및1H-NMR에 따르면 순수하다.
NMR (60 MHz) : δ = 1.25 (d, 6H, CH3), 3.31 (sept., 1H, CH), 5.22 (s, 1H, OH), 6.8-7.8 (m, 10H, 방향족 -H).
MS (DCI, 이소부탄) : m/e = 357 (M+H+), 356 (M+).
[단계 5]
3급-부틸(3R, 5S)-6-메틸설포닐옥시-3,5-O-이소프로필리덴-3,5-디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116.2g(1.01mol, 1.5당량)을 0 내지 5 ℃에서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1.7ℓ 및 무수 피리딘 1.7ℓ중의 3급-부틸(3R, 5S)-6-하이드록시-3,5,0-이소프로필리덴-3,5-디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참조:유럽특허원 제0,319,847호) 175.7g(676mmol)의 용액에 적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빙냉시키면서 90분 동안 교반한 다음, 30 ℃에서 진공 농축시키고 잔류 피리딘의 대부분을 톨루엔에 용해시킨 다음 진공 중에서 스트리핑시켜 제거한다. 자사를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물로 2회,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1회,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1회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진공 농축시킨다. 잔류 오일은 실온에서 수분 내에 사실상 완전히 결정화된다. 결정을 흡인여과하여 분리하고, 흡인 필터 상에서 분쇄하여 냉 석유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건조시킨다.
융점 75 내지 76 ℃의 무색 고체 192.0g(568mmol)을 수득한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결정을 흡인여과하여 소량의 차가운 석유 에테르로 세척하여 약간 불순한 생성물 34.8g(103mmol)을 수득한다(융점 69 내지 73 ℃). 표제 화합물 총 226.8g을 수득한다. (671mmol, 99.3%).
NMR (270 MHz, CD2Cl2) : δ= 1.18-1.33 (m, 1H, CH2, 축의), 1.36 (s, 3H, CH3), 1.42 (s, 9H, 3급 -Bu), 1.46 (s, 3H, CH3), 1.56 (dt, 1H CH2, equat.), 2.36 (ABX시스템의 AB부분, 2H, CH2), 3.03 (s, 3H, CH3-SO2), 4.09-4.23 (m, 3H, 0CH2및 O-CH), 4.24-4.37 (m, 1H, OCH).
MS (DCI, 이소부탄) : m/e = 283 (M+H+- = ).
[단계 6]
{2,2-디메틸-4(S)-[(2-p-플루오로페닐-4-p-플루오로페닐-티오-6-이소프로필)-페녹시메틸]-6-(R)-3급-부톡시카보닐메틸}-1,3-디옥솔란
분말 탄산칼륨 2.02g(14.6mmol, 1.3당량) 및 크라운 에테르 18-크라운-6-(알드리히) 10mg을 무수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HMPT)25ml중의 2-(p-플루오로페닐)-4-p-(플루오로페닐티오)-6-이소프로필페놀(단계 4) 4.0g(11.2mmol)의 용액에 가한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3급-부틸(3R,5S-6-메틸설포닐옥시-3,5-O-이소프로필리덴-3,5-디하이드록시 헥사노에이트(단계 5)) 4.55g(13.5mmol), 1.2당량)을 가하고 혼합물을 75 내지 80 ℃ 에서 2일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이 암색으로 변하며 점성이 더욱 높아진다. 이를 인산이수소나트륨 수용액 200ml에 붓고 에테르를 사용하여 수회 추출한다. 합한 추출물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진공 농축시키고 갈색 오일 8.64g을 수득한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0:1 + 트리에틸아민 1천분의 1부)하여 담황색 점성 오일(표제 화합물) 4.96g(8.28mmol, 수율 74.0%)을 수득한다.
NMR (270 MHz, C5D5) : δ= 0.98-1.07 (m, 2H, CH2), 1.19 + 1.20 (2xd, 6H, CH(CH3)2), 1.38 (s, 9H, 3급 -Bu), 1.39 + 1.41 (2xs, 6H, OC(CH3)2), 2.12 (dd, 1H, CH2CO2), 2.42 (dd, 1H, CH2CO2), 3.27 (dd, 1H, O-CH2), 3.37 (dd, 1H, 0-CH2), 3.65 (sept., 1H, CH(CH3)2), 3.65-3.76 (m, 1H, O-CH), 4.10-4.21 (m, 1H, O-CH), 6.60 + 6.82 (AA'BB', 방향족 4H, 방향족 H), 7.12-7.18 (m, 2H, 방향족. H), 7.22-7.29 (m, 3H, 방향족 H), 7.45 (d, 1H, 방향족 H).
MS (DCI, 이소부탄) : m/e = 598 (M+), 543 (M+H+- = ), 485.
[단계 7]
3급-부틸 3(R), 5(S)-디하이드록시-6-[2-p-플루오로페닐-4-p-플루오로페닐티오-6-이소프로필)페녹시]헥사노에이트
단계 6으로부터의 아세토나이드 4.47g(7.47mmol) 으로부터 수득한 용액을 실온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ml, 에탄올 50ml 및 2N 염산 5ml중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TLC(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1)은 출발 물질(Rf=0.78)이 거의 정량적으로 생성물(Rf=0.59)로 전환 되었음을 보여준다. 반응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에테르를 사용하여 수회 추출한다. 추출물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진공 농축시킨다. 잔사(갈색 오일 4.46g)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2:1)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37g(6.03mmol)을 무색 오일 (수율 80.8%)로서 수득한다.
NMR(270MHz, C6D6): δ=1.1-약 1.4(mol, 강한 단일선에 의해 부분적으로 커버됨 2H, CH2), 1.18 (d, 6H, CH(CH3)2), 1.31 (s, 9H, 3급-Bu), 2.00 (dd, 1H, CH2-CO2), 2.13 (dd, 1H, CH2-CO2), 3.15 (s, 넓음 1H, OH), 3.36 (ABX계의 AB 부분, 2H, 0CH2), 3.52 (s, 넓음 1H, OH), 3.56 (sept., 1H, CH(CH3)2), 3.76-3.96 (mol, 2H, 2x CHOH), 6.61 + 6.79 (AA'BB' 계 4H, 방향족 H), 7.14-7.27 (MOL, 5H, 방향족 H), 7.45 (d, 1H, 방향족 H).
MS (FAB, 3-NBA): mol/e=558 (MOL+), 519, 503 (MOL+-=+H+), 356(페놀빌딩 블럭의 MBL+)
[단계 8]
4(R)-하이드록시-6(S)-[2-p-플루오로페닐-4-p-플루오로페닐티오-6-이소프로필)페녹시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온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ml를 메틸렌 클로라이드 20ml중의 3급-부틸 에스테르 (단계 7) 5.59g (10.0mmol)의 용액에 적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TLC(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1)는 3급-부틸 에스테르(Rf=0.37)가 정량적으로 락톤 (Rf=0.12)으로 전환도었음을 보여주며 미량의 비극성 불순물이 존재함도 보여준다. 반응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 분말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중화시킨 다음 탄산나트륨 분말을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물에 부은 다음 에테르를 사용하여 수회 추출한다. 합한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여과하여 농축시킨다. 진사를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칼럼을 통해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무색 고체(표제 화합물: 융점 170 내지 172 ℃) 3.88g(8.0mmol, 수율 80%)을 수득한다.
NMR (270 MHz): δ= 1.30 + 1.32 (2xd, 6H, CH(CH3)2), 1.72-1.94 (m, 3H, CH2및 OH), 2.67 (ABX계의 AB부분, 2H, CH2CO2), 3.47 (sept., 1H, CH(CH3)2), 3.59 (ABX계의 AB부분, 2H, OCH2), 4.40 (m, 1H, CH-OH), 4.72 (m, 1H, CH-OCO), 6.80-7.55 (m, 10H, arom. H).
MS(DCI, 이소부탄: m/e=484 (M+), 467 (M+-OH).
Figure kpo00122
[약리학적 자료]
약제-담즙산 결합체의 기관 선택 작용
클로르암부실, [4-(비스-N-(2'-클로로에틸)-아미노페닐)]-부티르산은 악성 종양 치료용 세포증식억제제이다. 글로르암부실은 주로 신장을 통해 분비된다. 클로르암부실이 담즙산에 공유 커플링됨으로써 클로르암부실의 간특이적 작용이 얻어지는데, 이는 하기 실험에 의해 예시된다.
1. 간 세포내에서의 클로르암부실-담즙산 결합체와 담즙산용 결합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
담즙산은 간 실질 세포에 의해 문맥 혈액으로부터 흡수되며 담즙에서 다시 분비된다. 혈액 및 간세포의 담즙측부(bile side)로의 막을 통한 담즙산의 전달, 미토콘드리아, 내형질 세망 등과 같은 다양한 소기관에서의 담즙산의 전달 및 간세포의 세포질에서의 담즙산의 전달은 다양한 담즙산용 특히 결합 단백질에 의해 발생된다. 담즙산은 또한 조절 단백질 및 담즙산 대사의 효소에 결합한다.
이들 생리학적 관련 담즙산용 결합 단백질의 분자는 광친화 표지 방법에 의해 확인 및 특징화한다. 이 방법의 원리는 광반응성 방사능 표지된 담즙산 유도체를 천연 담즙산과 유사하게 생리학적 결합 단백질에 결합시키는데 있다. UV 광을 조사함으로써 카르벤, 니트렌 또는 라디칼과 같은 고반응성 화학 중간체가 이 유도체 내에서 생성되며, 이는 매우 높은 반응성때문에 이중 결합에 첨가되거나 단일 결합에 삽입됨으로써 결합 단백질과 즉시 반응하며 이들에 공유 결합된다. 이 방사능 담즙산 유도체와 결합 단백질의 공유 결합을 이용하여 결합 단백질을 또한 방사능 표지하여 간세포의 다양한 단백질의 분리를, 예를 들면, 전기 영동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의 분자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광친화 표지를 담즙산 결합 단백질에 결합하는 물질 X'의 존지하에 수행할 경우, X'는 담즙산 결합 단백질에 결합되기 위해 방사능 담즙산 유도체와 경쟁할 것이며, 따라서, 상응하는 결합 단백질의 방사능 표지는 X'의 존재하에 감소될 것이다. 한편, X'가 담즙산 결합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는 물질일 경우, 담즙산 결합 단백질의 표지는 X'의 존재하에서 감소되지 않을 것이다.
완충제 I(NaCl 118mmol, KCl 4.74mmol, KH2PO40.59mmol, Na2HPO40.59mmol × 2H2O, MgCl21.185mmol × 6H2O NaHCO324.87mmol, CaCl21.25mmol, D-글루코스 5.5mmol, pH 7.35, 완충제는 카르보젠(0295%/C025%)으로 1시간 동안 통기시킨다) 1.5ml중의 래트간 (단백질 약 3mg)으로부터 갓 분리한 간세포(3.6 × 106)를 실시예 3의 화합물 250μMOL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7,7-아조-3α-12α-디하이드록시-5β[3β-3H]콜란-24-오일)-2-아니노에탄설폰산 1.25μMOL(25μCi)과 함께 암실에서 37 ℃에서 배양시킨 다음 350nm에서 레이오네트(Rayonet)RPR-100 광반응기 내에서 5분 동안 16RPR 3500Å-램프를 사용하여 조사한다. 그런 다음 세포 현탁액을 빙냉 완충액 I 10ml로 희석시키고 세포를 1000 × g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시킨다. 세포를 완충액 I 10ml에 다시 재현탁시키고 원심분리에 의해 다시 침전시킨다. 침전물을 트리스/HCl 완충액(pH 6.8)/2% 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SDS)/5% 2-머캅토에탄올/ 10% 글리세롤/0.001% 브로모페놀 블루 600μl에 용해시키고, 90 ℃에서 5분 동안 가열한 다음 40,000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시킨다. 계속하여 가용화된 단백질을 함유하는 맑은 상등액을 사용한다. 각 경우에 100μl (단백질 500μg)를 불연속 SDS 슬랩겔(200 × 170 × 2.7mm, 총 아크릴 아미드 농도 12%)에 도포하고 단백질을 50V의 전압에서 전기영동에 의해 분리한다. 전기영동 후에, 겔은 12.5%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용액 중에 고정시키고 25% 에탄올 /8% 아세트산/67%물중의 0.08% 서바(serva) 블루 R 250 용액을 사용하여 염색한다. 탈염시킨 후, 겔을 70% 메탄올 중의 1mol 나트륨 실리실산 용액에 20분 동안 평형시킨 다음 건조시킨다. 방사능 표지된 단백질의 분산은 건조된 겔을 코닥-X-오매트(Kodak-X-Omat) AR X-선 필름상에 놓고 -80 ℃에서 14일 동안 노출시키는 형광사진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흑화된 필름을 밀도측정법에 의해 측정한다. 광친화 표지 동안 실시예 3의 화합물이 존재함으로 인해 다양한 담즙산 결합 단백질의 표지의 감소를 대조용에 대한 %로 나타낸다.
Figure kpo00123
2. 실시예 5의 화합물에 의한 간세포 단백질의 알킬화
완충액 I 2ml중의 갓 분리한 간세포(2 × 106)를 실시예 5의 화합물 3μCi를 사용하여 37 ℃에서 배양시킨다. 10, 30, 40 및 60분 후에, 각 경우에 세포 현탁액 500μl(단백질 500μg)을 분리하여 빙냉 완충액 I 10ml를 사용하여 희석시킨다. 1000 × g에서 3분동안 원심 분리시킨 후, 침전물을 완충액 I 10ml중에 재현탁시키고 현탁액을 다시 원심분리한다. 세포 침전물을 각각 62.5mmol 트리스/HCl 완충액(pH 6.8)/2% SDS/5% 2-머캅토에탄올/10% 글리세롤/0.001% 브로모페놀 블루 100μl에 용해시키고, 48,000 × g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시킨다음 맑은 상등액을 불연속 SDS 슬랩 겔(200 × 170 × 2.7mm)에 도포한다. 전기영동 분리한 후, 겔을 고정시켜 염색한다. 방사능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개객의 겔 트랙을 2mm 절편으로 나누고, 단백질을 0.5ml의 바오루트(Biolute) S로 배양시켜 용해시키고, 퀵스진트(Quickszint) 501 신틸레이터 5ml를 가한후, 샘플을 액체 섬광 계수기내에 측정한다.
Figure kpo00124
실시예 5의 화합물은 막, 세포질 및 세포 소기관에서 간 세포 단백질의 방사능 표지를 유도한다. 공지된 생리학적으로 관련된 담즙산 결합 단백질 (54, 48, 33 kDa) 외에, 다른 간세포 단백질(예: 122, 35, 28 kDa) 또한 표지한다.
이들 실험은, 약리학적 작용과 관련된 클로르암부실의 알킬화 특성 또한 활성 화합물이 담즙산에 커플링된 후에 얻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방사능 표지는 방사능 표지가 담즙산 잔기에 국한되기 때문에 완전한 클로르암부실 담즙산 결합체에 의한 담백질의 표지로부터 기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 W-X-G는 간세포에 의해 흡수되고 단백질을 알킬화시킬 수 있다. 클로르암부실 분자(알킬화 작용) 및 담즙산 (담즙산용 특히 운반 경로의 사용)둘 모두의 특성이 W-X-G에 내포되어 있다.
3. 새로 분리한 간세포에 의한 실시예 5의 화합물의 대사
완충액 I 750μl중의 갓 분리한 간세포(1.8 × 106)를 37 ℃에서 5.5μCi의 실시예 5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배양시킨다. 10, 20, 30, 40 및 60분 후에, 세포 현탁액 100μℓ를 각 경우에 대해 분리하고 빙냉 완충액 10ml로 희석시킨 다음 1000 × g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한다. 세포 침전물을 매번 클로로포름/메탄올 용액(1/1, v/v)100μℓ로 2회 처리하여 담즙산을 추출한다. 유기 추출물을 N2스트림중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디옥산 20μℓ에 용해시킨 다음 HPTLC 박층 플레이트에 도포한다. 용출제로서 n-부탄올/아세트산/물(9:1:2, v/v/v)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램을 전개한 후, 플레이트를 건조시키고 메탄올 중의 1mol 나트륨 실리실레이트 용액으로 분무하고 건조시킨 후 코닥-X-오매트 AR X-선 필름 상에 놓는다. -80 ℃ 에서 1주일동안 노출시킨 후, 필름을 전개시키고 방사능 분포를 밀도측정법으로 측정한다. 개개 대사물질의 방사능 분포를 %로 나타낸다.
Figure kpo00125
대사물질 1 : (3α, 12β-디하이드록시-5β[12α-3H]콜란-24-오일)-2-아미노에탄설폰산
대사물질 2 : (3α, 12α-디하이드록시-5β[12α-3H]콜란-24-오일)-2-아미노에탄설폰산
대사물질 3 : 확인되지 않음
실시예 5의 화합물을 간세포에 의해 세포 내부에 흡수시키고 대사의 세포간 위치에 도달하게 한다. 클로르암부실 담즙산 결합체를 활성 화합물이 함유되지 않은 클로르암부실 및 담즙산으로 가수분해에 의해 급히 절단시킨다. 이렇게 하여 클로르암부실이 담즙산 전달 시스템을 함유하는 세포내에서 담즙산 결합체 형태로 되어 약리학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한다.
담즙산에 커플링된 세포증식억제제는 특히 담즙산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는 세포의 악성 종양 및 이의 전이의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4. 담즙산 유도체와 말단 소장의 장 담즙산 전달 시스템과의 상호작용
4.1 래비트의 회장으로부터의 솔변연 막 소포의 제조
소장의 장 세포로부터의 솔변연 막 세포의 세포 제조를 소위 Mg2+침전법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수컷 뉴질랜드 래비트(체중 2 내지 2.5kg)를 T-61R0.5ml를 정맥 주사하여 절명시킨다. 소장을 꺼내어 빙냉 생리 식염수로 세정한다. 말단 3/10의 소장(경구-직장 방향으로 측정, 즉, 활성 Na+-의존성 담즙산 전달 시스템을 함유하는 말단 회장)을 사용하여 솔변연 막 소포를 제조한다. 장을 플라스틱 주머니 내의 질소하에서 -80 ℃에서 동결시킨다. 동결된 장을 30 ℃에서 수조 내에서 해동시켜 막 소포를 제조한다. 점막을 긁어내고 빙냉 12mmol 트리스/HCl 완충액(pH 7.1)/ 300mmol 만니톨, 5mmol EGTA/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 10mg/1/대두 트립신 억제제 1mg/1 (32u/mg)/ 소의 폐트립신 억제제 0.5mg/1ℓ(193u/mg)/바시트라신 5mg/1에 현탁시킨다. 빙냉 증류수로 300ml로 희석시킨 후, 현탁액을 빙냉시키면서 3분 동안 울트라투랙스(Ultraturrax)(18 rod IKA Werk staufen, Federal Republic of Germany) 을 사용하여 최대 출력의 75%로 균질화시킨다. 1mol MgCl2용액 3ml를 가한 후 (최종 농도 10mmol), 균질물을 0 ℃에서 정확하게 1분동안 정치한다. Mg2+를 가한 결과, 세포막이 응집되어 솔변연 막을 제외하고는 침전된다. 3,000 × g(5,000 rpm, SS-34 로터)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버리고 솔변연 막을 함유하는 상등액을 26,700 × g(15,000 rpm, SS-34 로터)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물을 포터 엘베젬(Potter Elvejhem)균질화기(Braun Melsungen, 900 rpm, 10 strokes)를 사용하여 12mmol 트리스/ HCl 완충액 (pH 7.1)/60mmol 만니톨, 5mmol EGTA 60ml중에서 재균질화시킨다. 1MOL MgCl2용액 0.1ml를 가하고 0 ℃에서 15분 동안 배양시킨 후, 혼합물을 3,000 × g에서 15분동안 다시 원심분리시킨다. 그런다음 상등액을 46,000 × g(15,000rpm, SS 34 로터)에서 30분 동안 다시 원심분리 시킨다. 침전물을 10mmol 트리스/헤페스 완충액(pH7.4)/300mmol 만니톨 30ml에 용해시키고, 1,000rpm에서 포터 엘베젬 균질화기 내에서 20 스트로크에 의해 균질하게 재현탁시킨다. 48,000 × g(20,000rpm, SS-34 로터)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트리스/헤테스 완충액(pH 7.4)/ 280mmol 만니톨(최종 농도 20mg/ml) 0.5 내지 2ml에 용해시키고 27 게이지 침을 사용하여 투베르쿨린 주사기를 이요하여 재현탁시킨다. 소포는 전달 조사를 위해 제조후 즉시 사용하거나 4mg 분량을 액제 질소 내에서 -196 ℃에서 저장한다.
4.2 회장의 솔변연 막 소포내로의 Na+-의존성[3H]타우로콜레이트의 흡수의 억제
솔변연 막 소포내로의 기질의 흡수를 소위 막 여과기술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소포 현탁액(단백질 100㎍) 10㎕를 상응하는 리간드(90㎕)와 함께 배양 매질을 함유한 방울로서 폴리스티렌 배양튜브(11 × 70mm)의 벽 상에 피펫팅한다. 배양 매질은 실험에 따라 Na-T 완충액 또는 K-T 완충액 중에 0.75㎕=0.75μCi [3H (G)]-타우로콜레이트 (고유 활성 : 2.1Ci/mmol), /0.5㎕ 10mmol 타우로콜레이트/8.75㎕의 나트륨 전달 완충액(10mmol) 트리스/헤페스, (pH 7.4)/100mmol 만니톨/100ml NaCl) (Na-T-B) 또는 칼륨 전달 완충액(10mmol 트리스/헤페스(pH 7.4)/100mmol 만니톨/100mmol KCl) (K-T-B) 8.75㎕ 및 관계되는 억제제 용액 80㎕를 함유한다. 배양 매질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막 필터(SYHV LO 4NS, 0.45μmol, 4mm ψ, Millipore, Eschborn, Federal Republic of Germany)를 통해 여과한다. 전달 측정은 소포를 배양 매질과 혼합하여 시작한다. 배양 배치 중의 타우로콜레이트의 농도는 50μmol이다. 원하는 배양 시간(통상 1분) 후에, 전달을 빙냉 중지 용액(10mmol 트리스/헤페스(pH 7.4)/150mmol KCl)을 가하여 중단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즉시 셀룰로즈 질산염으로 된 막 필터 (ME 25, 0.45㎛, 직경 25mm, Schleicher Schuell, Dassell, Federal Republic of Germany)를 통해 25 내지 35mbar의 진공하에 흡인여과한다. 필터를 계속하여 빙냉 중지 용액 5ml로 세척한다.
방사능 표지된 타우로콜레이트의 흡광치를 측정하기 위해, 막 필터를 신틸레이터 퀵스진터(scintillator Quickszint)361 (Zinsser Analytik GmbH, Frankfurt, Federal Republic of Germany) 4ml를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방사능을 TriCarb 2500 계수기 (Canberra Packard GmbH, Frankfurt, Federal Republic of Germany)내에서 액체 섬광 계수법에 의해 측정한다. 측정된 값을 표준 샘플을 이용하여 장치를 검정한 후에 및 화학발광을 보저한 후에 dpm(분당 분해능)으로서 측정한다.
대조치를 각 경우에 Na-T-B 및 K-T-B 내에서 측정한다. Na-T-B와 K-T-B 내에서 흡광도의 차이는 Na+의존성 전달 성분을 제공한다. IC50Na+는 Na+의존성 전달 성분이 대조물에 비해 50% 억제되는 억제제의 농도로 정혀며, 이는 IC25및 IC75값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Figure kpo00126
5. 간에 의한 문맥 혈액으로부터의 담즙산 유도체의 흡수 및 담즙 내로의 분비
담즙산 유도체의 간내로의 선택적 흡수 및 이의 간친화성 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적합한 유도체를 거환으로 마취된 래트의 장간막 정맥에 주사하고 이들 유도체 및 상응하는 활성 화합물 또는 활성 화합물 대사물질의 담즙 내로의 분비를 분석한다.
5.1 생체내에서 관류된 간
수컥 스프라크-돌리(Sprague-Dawley) 래트(체중 300 내지 500g)를 음식을 주지 않고 물은 마음대로 먹게 한다. 기관절개 후에, 복부를 우레탄 마취 (5mg/kg i.m. 우레탄 30%)하에 중앙부를 절개하여 개복한다. 유문을 결찰하고 담즙선을 폴리에틸렌 튜브(직경 0.05mm)를 간에 까지 밀어 넣어 캐뉼레이트화하여 담즙을 빼낸다. 분비량을 15분 간격으로 측정한다. 60분의 예비 시간 후에, 물질 (0.9% NaCl 용액 중의 1mmol 용액 0.5ml)을 30초에 걸쳐 장간막 정맥내에 투여하고 담즙을 예정된 시간 간격(2, 4, 6, 8 10, 15,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및 120분)으로 수집한다. 먼저 담즙산 유도체를 투여하고, 적합한 활성 화합물을 2시간의 수집 시간 후에 투여한다. 시험 물질의 투여한지 120분 후, 방광 체적을 측정하고 또한 요를 수집한다. 담즙 및 요 샘플을 실험 동안 얼음상에 저장한 다음 급속 냉동시킨다.
5.2 담즙내의 담즙산 유도체의 분석
담즙 샘플 각 10㎕를 마이크로캅스(Microcaps)(Drummond, Broomall, USA)를 사용하여 TLC 플레이트(10 × 20cm, 실리카 겔 60 특이층 두께 0.25mm, No. 37581과 Riedel de Haen, Seelze, Federal Republic of Germany)에 도포하고 박층 플레이트를 20분 동안 공기중에서 건조시킨다.
플레이트를 하기 이동상 중에서 전개시킨다.
물질 이동상
클로르암부실 클로로포름/메탄올(10:1, v/v)
실시예 67 부탄올/빙초산/물(9:2:1, v/v)
실시예 125 부탄올/방초산/물(9:2:1, v/v)
K
실시예 85 부탄올/빙초산/물(9:2:1, v/v)
실시예 87 클로로포름/메탄올 (3:1, v/v)
실시예 86 클로로포름/메탄올 (3:1, v/v)
이동상의 성분은 가능한 가장 고순도의 등급으로 통상의 제조자로부터 구입한다. 플레이트를 전개 및 건조시킨 후, 활성 화합물 및 담즙산 유도체 또는 이의 대사물질의 분포를 밀도 측정법(CD 50 densitometer, DESAGA; Heidelverg)에 의해 측정한다. 252nm(클로르암부실/클로르암부실 결합체) 또는 260nm(잔류 물질)의 파장에서 선형 샘플링으로 반사 모드로 검출한다.
크로마토그램을 평가하기 위해, 크로마토그램 상의 담즙산 유도체, 활성 화합물 또는 활성 화합물 대사물질의 상대강도를 표면적 단위로 나타낸다.
Figure kpo00127
Figure kpo00128
Figure kpo00129

Claims (8)

  1. 일반식(I)의 담즙산 유도체.
    W - X - G (I)
    상기식에서, G는 유리산,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또는 염의 형태이거나 알콜 그룹에서 유도체화된 형태인 담즙산 라디칼이며, X는 직접 결합인 연결 구성원이거나,
    Figure kpo00130
    Figure kpo00132
    Figure kpo00133
    의 중간 구성원[여기서, R(1)은 H; (C1-C8)-알킬; 그룹
    Figure kpo00134
    ,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R(2)는 H; (C1-C4)-알킬;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며, m은 0 내지 6이고, n은 1 내지 16이며, p는 1, 2 또는 3이고, r은 0 내지 2이며, M은 -(CH2)m-, (C=C)p, -CaC-,
    Figure kpo00135
    또는
    Figure kpo00136
    이다]이고, W는 약리학적 활성 라디칼, 약제 또는 약제의 잔기인 활성 화합물 잔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G가 일반식
    Figure kpo00137
    의 라디칼[여기서, R(3) 내지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W-X-에 대한 결합(여기서, 총 2개 이하의 W-X-단위가 결합될 수 있다)을 나타내거나, R(3)과 R(4), R(5)와 R(6) 및 R(7)과 R(8)은, 각각의 경우, 결합하여 카보닐 그룹의 산소를 나타내거나, H, -OL, -SL, -NHL, -NL2,
    Figure kpo00138
    또는
    Figure kpo00139
    {여기서, L은 H; 탄소수 1 내지 10의 측쇄형 또는 비측쇄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 탄소수 3 내지 8의 사이클로알킬;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라디칼; 또는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질 라디칼이다}을 나타내며, Y는 -OL, -HNL, -NL2(여기서, L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아미노 그룹을 통해 결합된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설폰산 및 이의 (C1-C4)-알킬 에스테르 및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또는 -OKa(여기서, Ka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 또는 4급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양이온이다)이다]이고,
    Figure kpo00140
    Figure kpo00141
    [여기서, R(1)은 H; (C1-C8)-알킬;
    Figure kpo00142
    , 핵이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며, R(2)는 H; (C1-C8)-알킬;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M은 -(CH2)m-(여기서, m은 2이다)이다]이며, G 및 W가 X의 말단의 어느 한쪽에 결합될 수 있고, W가 간 선택성 약제의 작용이 요구되는 목적하는 약제이거나, 흡수를 개선시키기 위한 비흡수성 약제 또는 흡수성이 불량한 약제인 일반식(I)의 담즙산 유도체.
  3. 제1항에 있어서, G가
    Figure kpo00143
    [여기서, R(3) 내지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W-X-에 대한 결합(여기서, 2개 이하의 W-X-단위가 결합될 수 있다), H, -OL, -NHL,
    Figure kpo00144
    또는 L {여기서, L은 H, 탄소수 1 내지 6의 측쇄형 또는 비측쇄형 포화 알킬 라디칼,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라디칼이다}이며, Y는 OL, -HNL, -NL2또는 -OKa(여기서, Ka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또는 암모늄 이온이다), -NHCO2H, -NHSO3H,
    Figure kpo00145
    {여기서, R(9)는 메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2-부틸, 벤질, 4-하이드록시벤질, 하이드록시메틸, 1-하이드록시에틸, H3-CSCH2CH2-, HO2CCH2- 또는 HO2CCH2CH2-이다}이다]이고, 연결 구성원 X(여기서, G 및 W는 X의 말단 어느 한쪽에 결합될 수 있다)가
    Figure kpo00146
    Figure kpo00147
    [여기서, R(1)은 H; (C1-C8)-알킬;
    Figure kpo00148
    또는 방향족 환이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R(2)는 H; (C1-C8)-알킬; 또는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며, n은 1 내지 16이고, M은 -CH2-CH2- 또는 -CH=CH-이다]이며, W가 간 선택성 약제의 작용이 요구되는 목적하는 약제 또는 흡수를 개선시키기 위한 비흡수성 약제 또는 흡수성이 불량한 약제로서 펩티드, 항생제, 항균제, 항암제, 간 보호제, 과지혈증 치료제, 이뇨제, 혈압강하제, 레닌 억제제, 간경변증 치료제 또는 당뇨병 치료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일반식(I)의 담즙산 유도체.
  4. a) X가 직접 결합인 경우, G 및 W의 적합한 반응성 형태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서로 반응시키고, b) X가 중간 구성원인 경우, α) G-X 및 W의 반응성 형태 또는 β) W-X 및 G의 반응성 형태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서로 반응시키며, c) G-X 및 W-X를 공지된 방법으로, 또는 공지되지 않은 경우,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함을 포함하여, 제1항에서 청구한 일반식(I)의 담즙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5. 일반식(XXII)의 화합물.
    SG-X-G (XXII)
    상기식에서, SG는 H 또는 보호 그룹이며, G는
    Figure kpo00149
    [여기서, R(3) 내지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R(3)과 R(4), R(5)와 R(6), R(7)과 R(8)은, 각각의 경우, 결합하여 카보닐 그룹의 산소를 나타내거나, H, -OL, -SL, -NHL, -NL2,
    Figure kpo00150
    Figure kpo00151
    {여기서, L은 H; 탄소수 1 내지 10의 측쇄형 또는 비측쇄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 탄소수 3 내지 8의 사이클로알킬;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라디칼 또는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질 라디칼이다}, SiA(1)A(2)A(3) {여기서, A(1) 내지 A(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C1-C6)-알킬 또는 페닐이다}이고, Y는 -OL, -HNL, -NL2(여기서, L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 그룹을 통해 결합된 아미노설폰산 및 이의 (C1-C4)-알킬 에스테르 및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OKa(여기서, Ka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 또는 4급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양이온이다)이다]이고, 연결 구성원 X는
    Figure kpo00152
    Figure kpo00153
    [여기서, R(1)은 H; (C1-C8)-알킬; 그룹
    Figure kpo00154
    또는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핵에서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고, R(2)는 H; (C1-C8)-알킬; 또는 F, Cl, Br,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삼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 또는 벤질이며, n은 1 내지 16이고, M은 -(CH2)m(여기서, m은 2이다)이다]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SG가 수소이고 X가 -O(CH2)2-10-O-, -NH-(CH2)2-10-0-, -O(CH2)2-4-0(CH2)2-4-O- 또는 -HN-(CH2)2-4-O(CH2)2-4-O-인 일반식(XXII)의 화합물.
  7. 제5항에 있어서, SG가 수소이고 X가 -O(CH2)2-4-O- 또는 -HN-(CH2)2-10-0-인 일반식(XXII)의 화합물.
  8. 펩티드, 항생제, 항균제, 항암제, 간 보호제, 과지혈증 치료제, 이뇨제, 혈압 강하제, 레닌 억제제, 간경변증 치료제 또는 당뇨병 치료제를 포함하는 다수의 약제의 흡수 또는 기관 선택적 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성 성분으로서의 제1항에서 청구한 일반식(I)의 담즙산 유도체를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중합체 담체 또는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900014542A 1989-09-14 1990-09-14 담즙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0166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930696.8 1989-09-14
DE3930696A DE3930696A1 (de) 1989-09-14 1989-09-14 Gallen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E39306968 1989-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319A KR910006319A (ko) 1991-04-29
KR0166962B1 true KR0166962B1 (ko) 1999-01-15

Family

ID=638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542A KR0166962B1 (ko) 1989-09-14 1990-09-14 담즙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3) US5462933A (ko)
EP (1) EP0417725B1 (ko)
JP (3) JP2568306B2 (ko)
KR (1) KR0166962B1 (ko)
AT (1) ATE152117T1 (ko)
AU (1) AU637822B2 (ko)
CA (1) CA2025294C (ko)
CY (1) CY2112B1 (ko)
DE (2) DE3930696A1 (ko)
DK (1) DK0417725T3 (ko)
ES (1) ES2100858T3 (ko)
FI (1) FI105155B (ko)
GR (1) GR3024095T3 (ko)
HU (1) HU213395B (ko)
IE (1) IE903329A1 (ko)
IL (1) IL95668A (ko)
NO (1) NO303450B1 (ko)
NZ (1) NZ235285A (ko)
PT (1) PT95299B (ko)
TW (1) TW199097B (ko)
ZA (1) ZA9073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08B1 (ko) * 2008-03-31 2013-03-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일산 유도체 및 그의 응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0696A1 (de) * 1989-09-14 1991-03-28 Hoechst Ag Gallen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verwendung als arzneimittel
EP0540580B1 (en) * 1990-07-26 1994-04-13 G.D. Searle & Co. Polymeric drug delivery system
US5795870A (en) * 1991-12-13 1998-08-18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ell transformation
US5693769A (en) * 1991-12-13 1997-12-02 Transcell Technologies, Inc. Glycosylated steroid derivatives for transport across biological membranes and proces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5338837A (en) * 1991-12-13 1994-08-1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Glycosylated steroid derivatives for transport across biological membran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EP0548793A3 (en) * 1991-12-20 1995-11-02 Hoechst Ag Ethylenic-unsaturated bile acid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preliminary processes therefor
FI108451B (fi) * 1991-12-20 2002-01-31 Hoechst Ag Menetelmõ polymeeristen ja oligomeeristen sappihappojohdannaisten valmistamiseksi
US5639866A (en) * 1993-02-23 1997-06-17 Princeton University Single-step formation of multiple glycosidic linkages
JPH08511234A (ja) * 1993-02-23 1996-11-26 ザ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プリンストン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グリコシド結合の溶液及び固相形成
TW289020B (ko) * 1993-05-08 1996-10-21 Hoechst Sktiengesellschaft
TW289757B (ko) * 1993-05-08 1996-11-01 Hoechst Ag
TW289021B (ko) * 1993-05-08 1996-10-21 Hoechst Ag
IT1269839B (it) * 1994-05-26 1997-04-15 Bracco Spa Coniugati di acidi biliari, loro derivati con complessi metallici e relativi usi
US5585470A (en) * 1994-06-23 1996-12-17 Transcel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3-amino-substituted glycosylated bile acids
US6262277B1 (en) 1994-09-13 2001-07-17 G.D. Searle And Company Intermediat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benzothiepines having activity as inhibitors of ileal bile acid transport and taurocholate uptake
US6268392B1 (en) 1994-09-13 2001-07-31 G. D. Searle & Co. Combination therapy employing ileal bile acid transport inhibiting benzothiepines and HMG Co-A reductase inhibitors
US6107494A (en) * 1994-09-13 2000-08-22 G.D. Searle And Company Substituted 5-aryl-benzothiepines having activity as inhibitors of ileal bile acid transport and taurocholate uptake
US5994391A (en) * 1994-09-13 1999-11-30 G.D. Searle And Company Benzothiepines having activity as inhibitors of ileal bile acid transport and taurocholate uptake
US6642268B2 (en) 1994-09-13 2003-11-04 G.D. Searle & Co. Combination therapy employing ileal bile acid transport inhibiting benzothipines and HMG Co-A reductase inhibitors
DE4432708A1 (de) 1994-09-14 1996-03-21 Hoechst Ag Modifizierte Gallensä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L142650A (en) * 1998-04-08 2007-06-03 Galmed Int Ltd Use of bile acid conjugates or bile salts and fatty acids or fatty acids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s for lowering cholesterol, for the treatment of fatty liver and for the treatment of hyperglycemia and diabetes
IL123998A (en) * 1998-04-08 2004-09-27 Galmed Int Ltd Conjugates of bile salt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IL139241A0 (en) * 1998-05-13 2001-11-25 Novo Nordisk As Meiosis regulating compounds
CN1342090A (zh) 1998-12-23 2002-03-27 G·D·瑟尔有限公司 适用于心血管疾病的回肠胆汁酸转运抑制剂和贝酸衍生物的组合
WO2000038722A1 (en) 1998-12-23 2000-07-06 G.D. Searle & Co. COMBINATIONS OF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INHIBITORS AND HMG CoA REDUCTASE INHIBITORS FOR CARDIOVASCULAR INDICATIONS
JP2002533408A (ja) 1998-12-23 2002-10-08 ジー.ディー.サール エルエルシー 心臓血管に適用するためのコレステリルエステル転送タンパク質阻害剤およびニコチン酸誘導体の組み合わせ
DE69908645T2 (de) 1998-12-23 2004-05-13 G.D. Searle Llc, Chicago Kombinationen von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inhibitoren und fibronsäure derivaten für kardiovaskuläre indikationen
IT1304501B1 (it) * 1998-12-23 2001-03-19 Bracco Spa Uso di derivati di acidi biliari coniugati con complessi metallicicome "blood pool agents" per l'indagine diagnostica tramite risonanza
JP2002533414A (ja) 1998-12-23 2002-10-08 ジー.ディー.サール エルエルシー 心臓血管に適用するための回腸胆汁酸輸送阻害剤および胆汁酸隔離剤の組み合わせ
ES2203239T3 (es) 1998-12-23 2004-04-01 G.D. Searle Llc Combinaciones de inhibidores de la proteina de transferencia de ester de colesterilo y de agentes secuestrantes de acidos biliares para indicaciones cardiovasculares.
JP2002533412A (ja) 1998-12-23 2002-10-08 ジー.ディー.サール エルエルシー 心臓血管に適用するための回腸胆汁酸輸送阻害剤およびコレステリルエステル転送タンパク質阻害剤の組み合わせ
GB9907048D0 (en) * 1999-03-27 1999-05-19 Karobio Ab Novel glucocorticoid receptor ligands for the treatment of meta bolic disorders
GB2355009A (en) * 1999-07-30 2001-04-11 Univ Glasgow Peptides conjugated to bile acids/salts
ATE363074T1 (de) 1999-09-14 2007-06-15 Xenoport Inc Substrate und screeningverfahren für transportproteine
DE19950686B4 (de) * 1999-10-21 2006-06-29 Martin-Luther-Universität Halle-Wittenberg Multifunktionelle Spacer
US6794544B2 (en) 2000-03-10 2004-09-21 Pharmacia Corpora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etrahydrobenzothiepines
AU2002211863A1 (en) * 2000-10-06 2002-04-15 Xenoport, Inc. Bile-acid derived compounds for providing sustained systemic concentrations of drugs after oral administration
EP1361847A2 (en) * 2000-10-06 2003-11-19 Xenoport, Inc. Bile-acid conjugates for providing sustained systemic concentrations of drugs
WO2002028411A1 (en) 2000-10-06 2002-04-11 Xenoport, Inc. Compounds for sustained release of orally delivered drugs
US8975246B2 (en) 2001-04-17 2015-03-10 Galmed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Bile acid or bile salt fatty acid conjugates
US7053076B2 (en) * 2001-08-29 2006-05-30 Xenoport, Inc. Bile-acid derived compounds for enhancing oral absorption and systemic bioavailability of drugs
CA2464685A1 (en) 2001-11-02 2003-05-15 G.D. Searle Llc Novel mono- and di-fluorinated benzothiepine compounds as inhibitors of apical sodium co-dependent bile acid transport (asbt) and taurocholate uptake
JP2005521653A (ja) 2002-01-17 2005-07-21 ファルマシア コーポレイション 先端ナトリウム同時依存性胆汁酸輸送(asbt)およびタウロコール酸塩取込みの阻害剤としての新規アルキル/アリールヒドロキシまたはケトチエピン化合物
US7141559B2 (en) 2002-06-19 2006-11-28 Karo Bio Ab Glucocorticoid receptor ligan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ES2278195T3 (es) * 2002-06-19 2007-08-01 Karo Bio Ab Ligandos de receptores de glucocorticoides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metabolicos.
AU2003293423A1 (en) 2002-12-06 2004-06-30 Xenoport, Inc. Carbidopa prodrugs and uses thereof
ATE435035T1 (de) * 2003-01-13 2009-07-15 Bracco Imaging Spa Verbesserte linker für radiopharmazeutische verbindungen
GB0307918D0 (en) 2003-04-05 2003-05-14 Astrazeneca Ab Therapeutic use
WO2005066150A1 (en) * 2004-01-02 2005-07-21 Hetero Drugs Limited A nove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imvastatin
ATE442865T1 (de) * 2004-04-08 2009-10-15 Jado Technologies Gmbh Dreigeteilte konjugate mit einer struktur, die mit zellmembran-rafts interagieren und ihre verwendung
JP4896870B2 (ja) * 2004-04-08 2012-03-14 ヤード・テヒノロギース・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細胞膜ラフトと相互作用する構造を含む三者複合体およびその使用
WO2005113008A1 (en) * 2004-05-21 2005-12-01 Mediplex Corp. Delivery agents for enhancing mucosal absorption of therapeutic agents
WO2005118612A1 (en) * 2004-06-04 2005-12-15 Sonus Pharmaceuticals, Inc. Cholesterol/bile acid/bile acid derivative-modified therapeutic anti-cancer drugs
US7323585B2 (en) * 2004-06-04 2008-01-29 Xenoport, Inc. Levodopa prodrugs, an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AU2005252220B2 (en) * 2004-06-04 2011-06-02 Xenoport, Inc. Levodopa prodrugs, an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DK1959948T3 (da) * 2005-12-05 2012-08-20 Xenoport Inc Levodopa prodrug-mesylat, sammensætninger deraf og anvendelser deraf
EP2125702A1 (en) * 2006-12-21 2009-12-02 Xenoport, Inc. Levodopa dimethyl-substituted diester prodrug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W200843731A (en) * 2006-12-21 2008-11-16 Xenoport Inc Catechol protected levodopa diester prodrug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01367859B (zh) * 2007-08-17 2011-05-11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脂肪酸胆汁酸偶合物及其医药用途
CA2733200A1 (en) * 2008-08-06 2010-02-11 Novo Nordisk Health Care Ag Conjugated proteins with prolonged in vivo efficacy
US9290445B2 (en) * 2008-10-20 2016-03-22 Xenoport, Inc. Methods of synthesizing a levodopa ester prodrug
US8399513B2 (en) 2008-10-20 2013-03-19 Xenoport, Inc. Levodopa prodrug mesylate hydrate
MX2011007736A (es) 2009-01-22 2011-09-06 Novo Nordisk Healthcare Ag Compuestos de hormona del crecimiento estables.
CN102612376A (zh) 2009-08-06 2012-07-25 诺沃-诺迪斯克保健股份有限公司 具有延长的体内功效的生长激素
WO2011056240A2 (en) 2009-11-09 2011-05-12 Xenoport,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oral dosage forms of a levodopa prodrug and methods of use
JP5875527B2 (ja) 2010-01-22 2016-03-02 ノヴォ・ノルディスク・ヘルス・ケア・アーゲー in−vivoにおける効力が延長された成長ホルモン
CA2787895A1 (en) 2010-01-22 2011-07-28 Novo Nordisk Health Care Ag Stable growth hormone compounds
EP4137137A1 (en) 2010-05-26 2023-02-22 Satiogen Pharmaceuticals, Inc. Bile acid recycling inhibitors and satiogens for treatment of diabetes, obesity, and inflammatory gastrointestinal conditions
WO2013063512A1 (en) 2011-10-28 2013-05-02 Lumena Pharmaceuticals, Inc Bile acid recycling inhibitors for treatment of pediatric cholestatic liver diseases
US20130108573A1 (en) 2011-10-28 2013-05-02 Lumena Pharmaceuticals, Inc. Bile Acid Recycling Inhibitors for Treatment of Hypercholemia and Cholestatic Liver Disease
RU2015139731A (ru) 2013-03-15 2017-04-20 ЛУМЕНА ФАРМАСЬЮТИКАЛС ЭлЭлСи Ингибиторы рециркуляции желчных кислот для лечения первичного склерозирующего холангита и воспалительн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кишечника
AU2014229050A1 (en) 2013-03-15 2015-10-22 Lumena Pharmaceuticals Llc Bile acid recycling inhibitors for treatment of Barrett's esophagu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US11045523B2 (en) 2013-04-05 2021-06-29 Novo Nordisk Healthcare Ag Formulation of growth hormone albumin-binder conjugate
CN104693264B (zh) * 2015-02-09 2016-09-21 华南理工大学 一种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046101B (zh) * 2016-05-25 2018-01-05 华南理工大学 一种糖原磷酸化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496300B (zh) * 2016-10-19 2018-05-18 上海博志研新药物技术有限公司 花生胆酸及其中间体的制备方法
MX2021009622A (es) 2019-02-12 2021-11-04 Mirum Pharmaceuticals Inc Metodos para tratar la colestasis.
WO2023105494A1 (en) 2021-12-10 2023-06-15 Universidade Do Porto Cationic steroid compounds, method of obtaining thereof, formulations comprising thereof and their us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1129A (en) * 1942-05-23 1948-05-11 Berczeller Arpad Bile acid derivatives of aryl sulfonamides
US3937815A (en) * 1975-12-05 1976-02-10 SPA--Societa Prodotti Antibiotici S.p.A. Lysozyme derivatives
FR2457302A1 (fr) * 1979-05-23 1980-12-19 Roussel Uclaf Nouveau procede de purification de l'acide ursodesoxycholique
JPS5754151A (en) * 1980-09-18 1982-03-31 Takeda Chem Ind Ltd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b-52653 and its preparation
JPS57131735A (en) * 1981-02-09 1982-08-14 Takeda Chem Ind Ltd Preparation of quinones
US4418059A (en) * 1981-07-20 1983-11-29 Montefiore Medical Center Nucleoside ester compositions
US4499020A (en) * 1981-07-21 1985-02-12 Montefiore Hospital And Medical Center, Inc. Mixed anhydrides and processes thereof
FR2511007A1 (fr) * 1981-08-07 1983-02-11 Roussel Uclaf Procede de preparation de l'acide ursodesoxycholique a partir de l'acide 3a, 7b, 12a-trihydroxycholanique et produit intermediaire utilises
NL8201492A (nl) * 1982-04-07 1983-11-01 Rijksuniversiteit Werkwijze ter bereiding van een op de 4-plaats equatoriaal gesubstitueerde symmetrisch-polycycloethyleenverbinding; op de 4-plaats equatoriaal gesubstitueerde symmetrisch-polycycloethyleenverbinding alsmede een op basis van de verbinding bereid thermochemiluminescerend merkmateriaal of thermochemiluminescerend sondeermateriaal.
EP0105404A1 (en) * 1982-09-30 1984-04-18 Merck & Co. Inc. Derivatives of steroid compounds linked to cyotoxic agent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DE3432094A1 (de) * 1984-08-31 1986-03-06 Hoechst Ag, 6230 Frankfurt Ester der pyridin-2,4- und -2,5- dicarbonsaeure als arzneimittel zur inhibierung der prolin- und lysinhydroxylase
JPS62175497A (ja) * 1986-01-28 1987-08-01 Wakunaga Pharmaceut Co Ltd 胆汁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US5238948A (en) * 1987-02-10 1993-08-24 Hoechst Aktiengesellschaft Pyridine-2,4- and -2,5-di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medicaments based on these compounds
PT87929B (pt) * 1987-07-10 1995-03-01 Hoechst Ag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derivados de acido 3-desmetil-mevalonico e de composicoes farmaceuticas que os contem
US4968790A (en) * 1988-08-12 1990-11-06 American Cyanamid Company Antidiabetic phosphates
DE3930696A1 (de) * 1989-09-14 1991-03-28 Hoechst Ag Gallen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E3931432A1 (de) * 1989-09-21 1991-04-04 Hoechst Ag Pyrimidin-4,6-dicarbonsaeurediam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derselben sowie arzneimittel auf basis dieser verbind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08B1 (ko) * 2008-03-31 2013-03-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일산 유도체 및 그의 응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25294A1 (en) 1991-03-15
EP0417725B1 (de) 1997-04-23
US5668126A (en) 1997-09-16
JP2642089B2 (ja) 1997-08-20
JP2568306B2 (ja) 1997-01-08
US5462933A (en) 1995-10-31
US5646272A (en) 1997-07-08
HU905893D0 (en) 1991-03-28
IE903329A1 (en) 1991-04-10
PT95299B (pt) 1997-06-30
IL95668A0 (en) 1991-06-30
NO903999L (no) 1991-03-15
CA2025294C (en) 2001-11-27
JPH0892277A (ja) 1996-04-09
TW199097B (ko) 1993-02-01
EP0417725A3 (en) 1992-03-18
JPH03109396A (ja) 1991-05-09
CY2112B1 (en) 2002-04-26
HU213395B (en) 1997-06-30
NZ235285A (en) 1993-05-26
JPH0892276A (ja) 1996-04-09
IL95668A (en) 1995-03-30
AU637822B2 (en) 1993-06-10
DE3930696A1 (de) 1991-03-28
DK0417725T3 (da) 1997-11-03
DE59010706D1 (de) 1997-05-28
JP2642090B2 (ja) 1997-08-20
NO303450B1 (no) 1998-07-13
GR3024095T3 (en) 1997-10-31
FI904497A0 (fi) 1990-09-12
KR910006319A (ko) 1991-04-29
ES2100858T3 (es) 1997-07-01
EP0417725A2 (de) 1991-03-20
FI105155B (fi) 2000-06-30
AU6244190A (en) 1991-03-21
ZA907300B (en) 1991-06-26
ATE152117T1 (de) 1997-05-15
HUT56115A (en) 1991-07-29
PT95299A (pt) 1991-05-22
NO903999D0 (no) 199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962B1 (ko) 담즙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0333150B1 (ko) 노르-담즙산유도체및이를포함하는약제
KR100221690B1 (ko) 담즙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3149B1 (ko) 담즙산의테트라졸유도체및이를포함하는약제
KR100319562B1 (ko) 담즙산유도체,이의제조방법및이를함유하는저지질혈증제
KR100333151B1 (ko) 단량체성담즙산유도체
JPS62175497A (ja) 胆汁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CA2144166A1 (en) Derivatives of triterpenoid acids as inhibitors of cell-adhesion molecules elam-1 (e-selectin) and lecam-1 (l-selectin)
CA3095146A1 (en) Conjugate of cytotoxic drug and prodrug form of said conjugate
JPH01156995A (ja) 新規なアンドロスタン17−カルボン酸エステル、その製法及びそれを含む薬剤
CA2346085A1 (en) Propanolamine derivatives linked with bile acid used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lipid metabolism
GOTO et al. Synthesis of disulfates of unconjugated and conjugated bile acids
Toshifumi et al. Synthesis of N-acetylglucosaminides of unconjugated and conjugated bile acids
CA1313864C (en) Phospholipid conjugates and their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