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575B1 -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575B1
KR0165575B1 KR1019940031616A KR19940031616A KR0165575B1 KR 0165575 B1 KR0165575 B1 KR 0165575B1 KR 1019940031616 A KR1019940031616 A KR 1019940031616A KR 19940031616 A KR19940031616 A KR 19940031616A KR 0165575 B1 KR0165575 B1 KR 0165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exhaust valv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530A (ko
Inventor
마사시 요코야마
미츠오 구사
가오루 하야시
미키오 사가라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656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22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693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201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5001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hand, foot, or like operator controlled initi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4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only, e.g. for sucking-off combustion gases
    • F02B27/0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only, e.g. for sucking-off combustion gas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4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control link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4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65Mechanical control linkage between an actuator and the flap, e.g. including levers, gears, springs, clutches, limit stops of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작동기구는 스로틀 케이블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내연기관용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회동체와, 상기 내연기관용 기기를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회동체의 회동을 부분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로스트 모션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가 장착 가능한 자동2륜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자동2륜차에 있어서의 접속상자 및 그 관련기기의 상호 접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개략도.
제3도는 엔진출력에서 요구되는 배기밸브의 개방도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배기밸브장치의 개략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배기밸브장치의 개략 측단면도.
제7(a)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배기밸브장치에 있어서, 스로틀 케이블이 느슨해짐에 따른 배기밸브의 완전닫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7(b)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배기밸브장치에 있어서, 소로틀 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른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7(c)도는 제7(b)도에 도시된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상태를 도시했으나, 스로틀 케이블이 좀더 당겨져서 로스트모션 상태로 이행된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
제8(a)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로서, 배기밸브가 완전폐쇄된 상태인 경우의 개략측면도.
제8(b)도는 제8(a)도에 도시된 배기밸브의 스로틀 케이블의 인장에 따른 완전개방 상태를 도시했으나, 스로틀 케이블이 좀더 당겨져서 로스트 모션상태로 이행된 경우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의 개략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의 개략측면도.
제11(a)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로서, 배기밸브가 완전개방 상태인 경우의 개략평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에 도시된 배기밸브의 스로틀 케이블의 인장에 따른 완전개방 상태를 도시했으나, 스로틀 케이블이 좀더 당겨져서 로스트 모션상태로 이행된 경우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12(a)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로서, 배기밸브가 완전폐쇄된 상태인 경우의 개략측면도.
제12(b)도는 제12(a)도에 도시된 배기밸브장치의 배기밸브가 완전개방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제13도는 본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가 조립된 접속상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접속상자내에 인접배치된 다수의 드럼의 분해사시도.
제15(a)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완전폐쇄시를 a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5(b)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완전폐쇄시를 b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5(c)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완전폐쇄시를 c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5(d)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완전폐쇄시를 d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6(a)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완전개방시를 a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6(b)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완전개방시를 b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6(c)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완전개방시를 c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6(d)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완전개방시를 d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7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제7실시예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가 조립된 접속상자의 기화기 밸브와 배기밸브의 개방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제18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제7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접속상자에 일부 변경을 가한 경우의 일부 변경 실시예에 관한 접속상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19도는 제13도 혹은 제18도에 도시된 접속상자를 채용한 경우의 스쿠터의 핸들 주변 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2륜차 2 : 전륜
3 : 머플러 4 : 프론트 포크
5 : 핸들 6 : 헤드파이프
7 : 카울링 8 : 시이트
9 : 스윙아암 10 : 후륜
11 : 엔진 12 : 실린더블록
13 : 배기관 14 : 배기팽창관
15,140,160,170,190 : 배기밸브장치 17 : 기화기 밸브장치
18 : 오일펌프 21 : 스로틀 글립
22,322 : 스로틀 하우징 23 : 스로틀 케이블
24 : 기화기밸브장치용 케이블 25 : 오일펌프용 케이블
26 : 배기밸브장치용 케이블 120,141,161,171,181,191 : 파이프
121,142,162,172,183,192 : 샤프트 122,143,163,184,173,193 : 배기밸브
123,185,194,234∼236 : 드럼 124,233 : 베어링
125,126,128 : 브래킷 129,134 : 너트
130,168,186 : 스프링 131 : 리턴스프링
132a,132b : 스프링삽입부재 133 : 스프링후크
135 : 스토퍼핀 136 : 와셔
137 : E링 144 : 링크기구
145,164,174 : 아암 146,165,177,237,238 : 핀
147,176 : 가이드홀 148 : 가이드부재
149 : 축 150 : 장착부재
166,178 : 장착부재 167,175 : 스토퍼
182a,182b : 장착브래킷 230,230' : 접속상자
231 : 케이스 232 : 지지축
239,241 : 캠홈 243 : 로스트모션스프링
301 : 핸들커버 302 : 윙커스위치
303 : 스쿠터 스위치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저부하 운전시에 연소실내의 새로운 공기의 블로우-바이를 방지하여 완전 연소시키도록한 2사이클 엔진에 적용 가능한 내연기관용 배기밸브나 기화기 밸브, 혹은 오일펌프의 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부하 운전시에 연소실내 새로운 공기의 블로우-바이를 방지하고 완전 연소시키도록 한 2사이클 엔진에 적용된 배기밸브 또는 배기 교축 밸브의 개방도는 전동 모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있었다.
또, 스로틀 하우징내에 배설된 조작장치에 의해 배기밸브에 소정의 개방도 특성을 갖게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50-153306호 공보 참조). 또, 이 공보에 개시된 자동2륜차에는 기화기 밸브 또는 기화기 교축밸브와 배기밸브가 구비되며, 기화기 밸브를 와이어를 통해 제1와이어릴로 조작하고, 배기 교축밸브를 와이어를 통해 제2와이어릴로 조작하고, 이들 제1·제2와이어릴을 모두 스토틀 글립과 인접한 케이스에 수납하고, 스로틀 글립회동에 의해 제1·제2와이어릴을 적당히 회동시키는 것이다. 제1·제2와이어릴을 수납한 케이스를 일반적으로 스로틀 하우징이라 부른다.
상기 공보에 의하면 기화기 밸브와 연동하는 제1와이어릴의 움직임과 일체적으로 제2와이어릴이 움직여지기 때문에 제1와이어릴에는 항상 제2와이어릴의 하중이 부가되게 된다. 그 때문에 급격하게 제1와이어릴을 복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와이어릴도 함께 공회전되며, 배기밸브에 걸리는 배압에 따라서는 제1와이어릴을 돌려서, 즉 기화기 밸브의 폐방향으로의 신속한 움직임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공보에서는 핸들의 우측 글립에 그 스로틀 하우징이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스로틀 하우징내에 제1·제2와이어릴이 작은 직경과 큰 직경의 릴로 되어 배치되고, 그밖에 스프링, 핀을 내장한 아주 복잡한 구조물이다. 이것은 기화기 밸브와 배기밸브의 개폐 사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자동2륜차, 특히 소형 스쿠터는 핸들이 소형이고, 그 핸들의 스로틀 글립 주위에 각종 스위치류가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1·2와이어릴을 내장한 복잡하고 대형인 스로틀 하우징을 핸들에 장착하기가 곤란하다.
이렇게 해서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것 중, 전자에 있어서는 기계 계통 및 전기 계통의 구성요소가 여분으로 필요해짐과 동시에 구성이 복잡해져서 코스트상승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후자에 있어서는 구성부품을 스로틀 하우징내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며, 레이아웃상 자유도가 없고, 특히 스쿠터의 경우에는 핸들커버내에 스로틀 하우징을 수납할 필요가 있으므로 구성부품의 레이아웃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내연기관의 엑셀조작자로서, 예를들면 스로틀 글립의 회전동작과 연동하는 스로틀 케이블의 움직임에 의해 내연기관용 각종 기기를 스로틀 개방도에 대해 소망하는 특성을 따라 스무스하고 간소한 기계적 구성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는 기화기 밸브 장치용 케이블과 배기 밸브 장치용 케이블을 연동시키는 스로틀 케이블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서 상기 내연기관용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회동체와, 내연기관용 기기를 작동시킴으로서 이루어 지는 상기 회동체의 회동을 스로틀 케이블의 동작과 상관없이 구정시켜 부분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로스트 모션수단을 구비하여, 배기밸브와 회동체가 상호 상이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연기관용 기기로는, 예를들면 배기밸브장치를 들 수 있다. 그 배기밸브장치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통로가 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를 상기 파이프부재의 축선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적어도 한쪽 단부가 상기 파이프부재로부터 돌출된 샤프트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내에서 상기 샤프트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배기밸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파이프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기 한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럼이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이 감겨져 있는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드럼과 상기 샤프트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기 한쪽 단부에 고정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상기 드럼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이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드럼의 회동에 의한 상기 배기밸브의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의 회동이동시에 상기 배기밸브를 그 완전개방상태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수단을 추가로 가진다. 이 스토퍼수단으로서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축선방향과는 직각으로 배설되고 또 상기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상태가 되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파이프 부재와 당접할 수 있는 스토퍼핀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밸브장치는 상기 배기밸브를 개방상태에서 완전폐쇄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해 상기 샤프트부재를 역회전시킬 수 있는 복귀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상기 내연기관용 기기로는, 상기 스로틀 케이블을 다수의 분기케이블로 분할하는 접속상자여도 되고, 이 경우의 접속상자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양단이 지지된 지지축과, 상기 케이스체내에서 상기 지지지축에 제1드럼으로서의 상기 스로틀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회동체와 함께, 상기 회동체와 순차적으로 인접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드럼 및 제3드럼과, 상기 제1드럼을 상기 지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1드럼에 연결된 제1분기케이블과, 상기 제2드럼을 상기 지지지축을 중심으로하여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2드럼에 연결된 제2분기 케이블과, 상기 제3드럼을 상기 지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3드럼에 연결된 제3분기 케이블을 포함하고 구성된다.
한편, 이 경우의 로스트 모션수단으로서는 상기 제1드럼의 측면에 돌설된 제1핀과, 상기 제1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상기 제2드럼에 형성된 제1원호홈과, 상기 제2드럼의 측면에 돌출설치된 제2핀과, 상기 제2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상기 제3드럼에 형성된 제2원호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스로틀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제1드럼이 상기 한쪽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1 및 제2핀은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및 3드럼의 상기 제2 및 제3원호홈의 한쪽 단부와 계합하여 이들 제2 및 제3드럼을 상기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이 느슨해졌을 때 상기 제1드럼이 상기 제1분기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핀은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및 제3드럼의 상기 제2 및 제3원호홈의 다른쪽 단부를 향해 이동한 후에 이들 다른쪽 단부와 각각 계합하여 상기 제2 및 제3드럼을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가 장착 가능한 자동2륜차(1)의 측면도이다. 이 2륜차(1)는 전륜(2), 프론트 포크(4), 핸들(5), 헤드 파이프(6), 카울링(7), 상기 카울링(7)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차체 프레임, 시이트(8), 스윙 아암(9), 후륜(10)을 포함하는 대략 차체의 중앙에 엔진(11)을 현가하고 있다. 이 엔진(11)의 앞쪽으로 기운 실린더 블록(12)(제2도)으로부터 배기관(13)이 뻗어나오고, 이 배기관(13)과 이것에 이어진 배기팽창관(14)(차체 우측에 위치하며 그 후미에 머플러를 구비함)의 대략 중간에 배기교축밸브장치 또는 배기밸브장치(15)를 끼워서 설치하는 한편, 엔진(11)의 흡기 통로에 기화기 교축밸브장치 또는 기화기 밸브장치(17)를 배치하고, 이 기화기 밸브 장치(17) 근방에 오일펌프(18)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1도중 부호 30은 접속상자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차체프레임에 직접 혹은 브래킷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제2도는 접속상자 및 그 관련기기의 상호 접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스로틀 글립(21)(액셀조작자)에 인접한 스로틀 하우징(22)으로부터 스로틀 케이블(23)이 연장되어 접속상자(30)에 이르고, 또 이 접속상자(30)로부터 3개로 분기된 기화기 밸브장치용 케이블(24), 오일펌프용 케이블(25) 및 배기밸브장치용 케이블(26)이 각각 연장되고 각각 기화기 밸브장치(17), 오일펌프(18) 및 배기밸브장치(15)에 이르도록 구성되어 각각을 조작작동하고 있다(각종 케이블은 튜브로 커버되며, 직접 보이지 않지만 편의상 튜브를 포함하여 케이블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또, 배기밸브장치(15)에 있어서의 배기밸브에 요구되는 개방도특성(스로틀 글립 개방도와 배기밸브 개방도의 관계)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 글립(21)의 개방도가 소정개방도θa(완전개방도의 30∼50%)에서 배기밸브가 완전개방상태로 되기 까지는 배기밸브는 대략 선형적으로 개방도를 증가시켜 나가면서, 다시 스로틀 글립(21)의 개방도가 완전개방이 되기 까지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로스트 모션 상태).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실시예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는 이와 같은 특성을 실현하는 로스트 모션수단을 구비한 배기밸브용 작동기구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15)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배기밸브장치(15)는 엔진(11)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통로가 되어 배기가스가 흐르는 파이프(120)와, 파이프(120)를 관통하고 상기 파이프(120)의 축선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양단부를 상기 파이프(120)로부터 돌출시킨 샤프트(121)와, 파이프(120)내에서 샤프트(121)에 고정된 배기밸브(122)와, 파이프(120)로부터 돌출된 샤프트(121)의 한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럼(또는 회동체)(123)을 구비한다.
샤프트(121)는 제어링(124)(124)을 통해 파이프(120)에 감합된 브래킷(125)(12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배기밸브(122)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120)를 소정 각도θb(예를들면, 파이프(120)의 축선방향과 30도)로 비스듬하게 절단한 경우의 단면적과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된 평판형상 밸브이며, 완전폐쇄상태에서 파이프(120)의 축선방향과 소정각도(θb)가 되어,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완전폐쇄상태)로의 회동이 그 이상 행해지지 않도록 샤프트(121)에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121)의 한쪽 단부에는 분기 스로틀 케이블 또는 배기밸브장치용 케이블(26)의 한쪽 단이 고정되어 감겨 있는 드럼(123)이 베어링(127)을 통해 먼저 장착되고, 그위에 브래킷(128)이 차례로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128)은 나사고정된 너트(129)에 의해 샤프트(121)에 고정되어 있다. 드럼(123)과 브래킷(128) 사이에는 드럼(123)을 압압하기 위한 스프링(130)이 압축장착되어 있다.
또, 샤프트(121)의 다른쪽 단부에는 배기밸브(122)를 완전폐쇄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서의 리턴 스프링(131)이 샤프트(121)에 감합된 스프링 삽입부재(132a)(132b) 사이에 끼워져 있다. 리턴 스프링(131)은 그 일단을 파이프(120)측의 브래킷(126)에 고정한 스프링후크(133)에 계착시키고, 다른쪽을 스프링 삽입부재(132a)의 후크(도시생략)에 계착시켜서 배설되어 있다. 스프링 삽입부재(132a)(132b)는 나사고정된 너트(13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121)에는 스토퍼핀(135)이 샤프트(121)의 축선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핀(135)이 배기밸브(122)의 완전폐쇄상태가 되는 샤프트(121)의 회전위치에서 브래킷(125)의 소정 부위에 당접됨으로서 배기밸브(122)가 완전개방상태에서 고정된다. 또, (136)은 워셔, (137)은 E링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작용을 제7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7(a)도는 스로틀 글립(21)을 조작하지 않은 경우에 배기밸브(122)의 완전폐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리턴 스프링(131)의 탄성력이 샤프트(121)에 고정된 스프링 삽입부재(132a)에 화살표 A방향의 회전력을 주고, 이 회전력에 의해 샤프트(121)가 회전되면 샤프트(121)에 고정된 스토퍼핀(135)이 브래킷(125)의 소정 부위에 당접해서 샤프트(121)에 고정된 배기밸브(122)는 완전폐쇄상태가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완전폐쇄상태라 해도 파이프(120)와 배기밸브(122)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7(b)도는 스로틀 글립(21)을 소정 개방도(완전개방의 30∼50% 전후)까지 조작하였을 경우(제3도에 도시한 스로틀 글립개방도가 θa의 상태)로서, 배기밸브(122)의 완전개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제7(a)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스로틀 글립(21)을 소정 개방도(30∼50% 전후)까지 조작하여, 리턴 스프링(131)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분기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드럼(123)이 베어링(127)을 통해 샤프트(121)에 끼워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압축장착된 스프링(130)의 압압력에 의해 드럼(123)과 샤프트(121)가 일체적으로 화살표 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샤프트(121)는 스토퍼핀(135)이 브래킷(125)의 소정 부위에 당접하기 까지 각도 θb만큼 회전하여, 배기밸브(122)는 완전폐쇄상태에서 완전개방상태가 된다.
제7(c)도는 스로틀 글립(21)을 완전개방하기 까지 조작했을 경우에도 배기밸브(122)가 완전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7(b)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다시 스로틀 글립(21)을 완전개방이 되도록 조작하여, 분기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B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드럼(123)은 스프링(130)의 압압력에 대항해서 샤프트(121) 주변을 회전한다.
그동안, 분기 스로틀 케이블(26)의 인장 동작에도 불구하고, 배기밸브(122)가 동작되지 않은 로스트 모션상태(제3도에 도시한 스로틀 글립개방도가 θa에서 완전개방에 이르는 상태)가 되어 배기밸브(122)는 완전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이 경우의 드럼(123) 회동은 배기밸브(122)에 대해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움직이게 된다.
또, 스로틀 글립(21)의 개방도를 완전폐쇄로 복귀시키면 복귀수단으로서의 리턴 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배기밸브(122)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해 샤프트(121)는 강제적으로 역회전되어, 배기밸브(122)는 제7(a)도에 도시한 완전폐쇄상태가 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140)의 개략측면도이다.
배기밸브장치(140)는 상기 배기밸브장치(15)와 같이, 파이프(141)와, 파이프(141)의 축선방향과 직각으로 양단부를 상기 파이프(141)로부터 돌출시킨 샤프트(142)와, 파이프(141)내에서 샤프트(142)에 고정된 배기밸브(143)와, 파이프(14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샤프트(142)의 한쪽 단부에 계합된 링크기구(144)를 구비하고 있다.
링크기구(144)는 샤프트(142)에 고착되어 있는 일단부와 핀(146)이 배설되어 있는 타단부를 가진 아암(145)과, 아암(145)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핀(146)을 안내하는 가이드홀(147)이 형성되어 한쪽 단부와 분기 스로틀 케이블(26)의 한쪽단이 접속되어 있는 다른쪽 단부를 가진 가이드부재(148)(회동체)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48)는 대략 그 중앙부에 파이프(141)에 고정되어 있는 축(149)이 삽입되어 파이프(141) 외주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분기 스로틀 케이블(26)은 분기 스로틀 케이블(26)의 한쪽 단부에 배치된 장착부재(150)가 가이드부재(148)의 다른쪽 단부에 고착되어 있는 축(151)에 회동 가능하게 감합됨으로서 가이드부재(148)와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 제2실시예의 작용을 제8(a)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8(a)는 스로틀 글립(21)의 개방도가 완전폐쇄되었을 경우로서, 배기밸브(143)가 완전폐쇄상태(파이프(141)의 축선방향과 각도 θb)인 것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스로틀 글립(21)을 조작해서, 분기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C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에 대항해서 가이드부재(148)가 축(149)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그러면, 가이드부재(148)의 가이드홀(147)에 샤프트(142)로 고착된 아암(145)의 핀(14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으므로, 핀(146)이 가이드홀(147)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홀(147)의 일단부(147a)로부터 타단부(147b)를 향해 이동함과 동시에 아암(145)이 회동한다. 그렇게 해서 샤프트(142)가 이 아암(145)의 회동과 함께 회전하여 핀(146)이 가이드홀(147)의 코너부(147c)에 이르렀을 때 밸브(143)는 완전개방상태(제3도에 도시한 스로틀 글립개방도가 θa의 상태)가 된다.
또한, 스로틀 글립(21)을 완전개방이 되도록 조작하고, 분기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C방향으로 잡아당겨도 코너부(147c)로부터 타단부(147b)에 이르는 가이드홀(147)의 형상에 의해 아암(145)은 회전하지 못하고 밸브(143)의 완전폐쇄상태를 유지한다.
즉, 가이드홀(147)은 그 일단부(147a)로부터 코너부(147c)까지를 가이드부재(148)의 회동중심(축(149)의 중심)으로부터 점차 이간시켜 형성된 제1 긴 홀 범위로해서 가짐과 동시에, 코너부(147c)로부터 타단부(147b)까지를 회동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사이를 두고 형성된 제2 긴 홀 범위로해서 가지게 된다.
제8(b)도는 스로틀 글립(21)의 개방도가 제3도에 도시된 θa로부터 완전개방에 이르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며, 배기밸브(143)의 로스트 모션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또, 스로틀 글립(21)이 완전개방이 되면 가이드부재(148)가 축(149)을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홀(147)의 타단부(147b)가 핀(146)에 근접된다.
한편, 스로틀 글립(21)을 완전폐쇄로 복귀시키면 일단부를 파이프(141)측에, 타단부를 가이드부재(148)측에 계착한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에 의해 배기밸브(143)는 제8(a)도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된다.
링크기구(144)에서 배기밸브(43)의 로스트 모션수단을 구성하면 가이드홀(147)의 형상에 의해 배기밸브(143)의 개방도 특성을 간편한 기구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실시예에서의 배기밸브장치(140)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리턴스프링의 구성예로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배기밸브장치(15)에서와 같이 파이프(120)를 축선방향과는 직각으로 돌출한 샤프트(121)의 타단부에 배설된 리턴스프링(131)과 대략 동일한 리턴스프링구성을,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샤프트(142)(링크기구(144)가 배설되어 있는 샤프트(142)의 한쪽 단부측과는 반대쪽)의 타단부쪽에 배설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160)를 도시한 개략측면도이다.
배기밸브장치(160)는 상술한 배기밸브장치와 같이, 파이프(161)와, 파이프(161)의 축선방향과 직각으로 양단부를 상기 파이프(161)로부터 돌출한 샤프트(162)와, 파이프(161)내에서 샤프트(162)에 고정된 배기밸브(163)와, 파이프(141)로부터 돌출된 샤프트(162)의 단부에 중앙부를 고정한 아암(164)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164)은 일단부에 핀(165)을 고착하고, 핀(165)에 분기 스로틀 케이블(26)의 장착부재(166)를 회동 가능하게 감합시키고 있다. 또 아암(164)의 타단부는 배기밸브(163)가 완전개방상태로 되는 상기 아암(164)의 소정 회동위치에서 파이프(161)측(또는 파이프(161)의 외주면상)에 형성한 스토퍼(167)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스로틀 케이블(26)의 단부를 고정하는 장착부재(166) 근방에는 스로틀 케이블(26)과 직렬로 스프링(168)을 배설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작용을 제9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9도는 스로틀 글립(21)의 개방도가 완전폐쇄의 경우로서, 배기밸브(163)가 완전폐쇄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스로틀 글립(21)을 조작해서,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E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에 대항해서 아암(164)이 샤프트(162)를 따라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아암(164)의 타단부가 스토퍼(167)에 당접하면, 배기밸브(163)는 완전개방상태(제3도에 도시한 스로틀 글립의 개방도가 θa의 상태)가 된다. 또 스로틀 글립(21)을 완전개방이 되도록 조작하여,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E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스프링(168)이 연장된다. 이 연장에 따라 배기밸브(163)가 완전개방후의 스로틀 케이블(26)의 스트록을 흡수하고, 스로틀 케이블(26)의 인장동작에도 불구하고, 배기밸브(163)가 동작되지 않는 로스트 모션상태(제3도에 도시한 스로틀 글립 개방도가 θa으로부터 완전개방에 이르는 상태)로 되며 배기밸브(163)는 완전개방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스로틀 글립(21)을 완전폐쇄로 복귀시키면, 일단부를 파이프(161)측에, 타단부를 아암(164)측에 계착한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에 의해 배기밸브(163)는 제9도에 도시한 완전폐쇄상태로 복귀된다.
스프링(168)을 스로틀 케이블(26)의 도중에 배설함으로서, 배기밸브(163)의 로스트 모션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제3실시예에서의 배기밸브장치(160)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의 구성예로서는, 일단부를 파이프(161)측에, 타단부를 아암(164)측에 계착한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 구성예 외에,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예의 배기밸브장치(15)에 있어서의 리턴 스프링(131)의 구성예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10도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의 제4실시예가 조립된 배기밸브장치(170)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배기밸브장치(170)도 또한 상술한 배기밸브장치와 같이 파이프(171)와, 파이프(171)의 축선방향과 직각으로 양단부를 상기 파이프(171)로부터 돌출시킨 샤프트(172)와, 파이프(171)내에서 샤프트(172)에 고정된 배기밸브(173)와, 파이프(171)로부터 돌출된 샤프트(172)에 일단부 근방을 고정한 아암(174)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174)의 일단부(174a)는 파이프(171)측(또는 파이프(171)의 외주상)에 배설한 스토퍼(175)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아암(174)의 타단부(174b)에는 긴 홀 형상의 가이드홀(17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로틀 케이블(26)의 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선단에 가이드홀(17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된 핀(177)을 고착한 장착부재(178)가 배설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의 작용을 제10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10도는 스로틀 글립 (21)의 개방도가 완전폐쇄되었을 경우로서, 배기밸브(173)가 완전폐쇄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스로틀 글립(21)을 조작하고,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G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에 대항해서 아암(174)이 샤프트(172)를 따라 화살표 H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아암(174)의 일단부(174a)가 스토퍼(175)에 당접하면 밸브(173)는 완전개방상태(제3도에 도시한 스로틀 글립개방도가 θa의 상태)로 된다.
더욱이, 스로틀 글립(21)을 완전개방이 되도록 조작하고,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G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핀(177)이 가이드홀(176)의 단(176a)을 향해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배기밸브(173)의 완전개방후의 스로틀 케이블(26)의 스트록을 흡수하고, 스로틀 케이블(26)의 인장동작에도 불구하고, 배기밸브(173)가 동작되지 않은 로스트 모션수단(제3도에 도시한 스로틀 글립 개방도가 θa로부터 완전개방에 이르는 상태)가 되며, 배기밸브(173)는 완전개방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스로틀 글립(21)을 완전페쇄로 복귀시키면, 일단부를 파이프(171)측에, 타단부를 아암(174)측에 계착한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에 의해 배기밸브(173)는 제10도에 도시한 완전개방 상태로 복귀된다.
가이드홀(176)과 핀(177)에 의해 배기밸브(73)의 로스트 모션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제4실시에에서의 배기밸브장치(170)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의 구성예로는, 일단부를 파이프(171)측에, 타단을 아암(174)측에 계착한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의 구성예 외에,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예의 배기밸브장치(15)에서의 리턴 스프링(131)의 구성예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를 조립한 배기밸브장치(18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배기밸브장치(180)도 또 상술한 배기밸브장치와 같이 파이프(181)와, 파이프(181)의 축선방향과 직각으로 양단부를 장착브래킷(182a)(182b)을 통해 상기 파이프(181)로부터 돌출된 샤프트(183)와, 파이프(181)내에서 샤프트(183)에 고정된 배기밸브(184)와, 파이프(181)로 부터 돌출된 샤프트(183)에 끼워 설치하여 스로틀 케이블(26)이 감겨 있는 드럼(185)과, 장착 브래킷(182a)과 드럼(185) 사이에 압축장착된 스프링(186)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이 스프링(186)은 그 양단부를 장착브래킷(182a) 및 드럼(185)에 각각 연결시키고 있다.
또, 화살표 I방향에서 소정 이상의 장력이 스로틀 케이블(26)에 걸렸을 경우에, 드럼(185)은 스프링(186)에 대항해서 화살표 J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샤프트(183)와 계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5실시예의 작용을 제11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11(a)도는 스로틀 글립(21)의 개방도가 제3도에 도시한 θa의 상태이며, 배기밸브(184)가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당접하여 상기 배기밸브(184)의 완전개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스로틀 글립(21)을 완전개방이 되도록 조작하여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I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드럼(185)이 스프링(186)에 대항해서 화살표 J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배기밸브(184)가 완전개방후의 스로틀 케이블(21)의 스토록을 흡수하여, 스로틀 케이블(26)의 인장동작에도 불구하고, 배기밸브(184)가 동작되지 않은 로스트 모션상태(제3도에 도시한 스로틀 글립 개방도가 θa에서 완전개방에 이르는 상태)가 되며, 배기밸브(184)는 완전개방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스로틀 글립(21)을 완전폐쇄로 복귀시키면, 일단부를 파이프(181)측에, 타단부를 드럼(185)측에 계착한 스프링(186)에 의해 배기밸브(184)는 완전폐쇄상태로 복귀된다.
소정 이상의 장력이 스로틀 케이블(26)에 걸렸을 경우에, 슬라이딩되는 드럼(185)에 의해 배기밸브(184)의 로스트 모션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에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를 조립한 배기밸브장치(19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배기밸브장치(190)는 파이프(191)와, 파이프(191)의 축선방향으로 직각으로 양단부를 파이프(191)로부터 돌출시킨 샤프트(192)와, 파이프(191)내에서 샤프트(192)에 고정된 배기밸브(193)와, 파이프(191)로부터 돌출된 샤프트(192)에 고정된 드럼(194)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194)은 상기 드럼(194)에 감겨 있는 스로틀 케이블(26)의 권취 직경이 배기밸브(193)의 완전개방 상태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6실시예의 작용을 제12(a)도 및 제12(b)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12(a)도는 스로틀 글립(21)의 개방도가 완전폐쇄인 경우이며, 배기밸브(193)가 완전폐쇄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스로틀 글립(21)을 조작해서 스로틀 케이블(26)을 화살표 K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에 대항해서 드럼(194)이 샤프트(192)를 따라 화살표 L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드럼(194)이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당접하면 제1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밸브(193)는 완전개방 상태(제3도에 도시한 스로틀 글립 개방도가 θa의 상태)가 된다.
이 제6실시예에 있어서, 배기밸브(193)가 완전개방된 후에 스로틀 케이블(26)의 스트록을 흡수하기 위한 로스트 모션수단으로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드럼(123), 브래킷(128) 및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진 구성중 드럼(123)만을 본 실시예의 드럼(194)으로 교체하는 것이나, 상술한 제5실시예에서의 드럼(185), 브래킷(182a) 및 스프링(166)으로 이루어진 구성중 드럼(185)만을 본 실시예의 드럼(194)으로 교체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스로틀 글립(21)을 완전폐쇄로 복귀시키면 일단부를 파이프(191)측에, 타단부를 드럼(194)측에 계착한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에 의해 배기밸브(193)는 제12(a)도에 도시한 완전폐쇄상태로 복귀된다.
드럼(194)의 스로틀 케이블(26) 권취 직경의 중심과 드럼(194)의 회전중심을 편심시킴으로서 스로틀 하중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이 제6실시예의 경우에도 배기밸브장치(190)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그 리턴 스프링의 구성예로는 일단부를 파이프(191)측에, 타단부를 드럼(194)측에 계착한 도시하지 않은 리턴 스프링 구성예 외에 상술한 제1실시예의 배기밸브장치(15)에 있어서의 리턴 스프링(131)의 구성예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상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기종이나 엔진출력 등에 따라 스로틀 글립 개방도와 배기밸브 개방도의 관계(개방도특성)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으나, 그 변화에 대응 가능한 기구를 낮은 제조코스트로 기계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작동기구가 배기밸브의 내부 및 그 주변에 집약되므로, 스로틀 케이블(26)이나 스로틀 하우징(22) 등 기존 부품의 유용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및 그 일부 변경 실시예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를 설명한다. 상술한 제1 내지 제6실시예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는 주로 배기밸브장치에 직접적으로 대응시키는 것이었으나,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서는 배기밸브장치 외에, 기화기 밸브장치나 오일펌프에도 동시에 대응 가능한 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들 각 기기에 분기 스로틀 케이블을 길게 배설시키고 있는 접속상자에 본 발명에 따른 작동기구를 조립하여 개량을 가한 것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가 조립된 접속상자(230)의 내부구조도로서, 접속상자(230)는 케이스(231)와, 상기 케이스(231)에 양단이 지지된 지지지지축(232)과, 이 지지지지축(232)에 메탈 또는 베어링(23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인접한 상태에서 장착된 기화기 밸브용 케이블(224)의 드럼(234), 오일펌프용 케이블(225)의 드럼(235) 및 배기밸브용 케이블(226)의 드럼(236)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드럼(234∼236)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나, 기화기 밸브용 케이블(224)의 드럼(234)과 오일펌프용 케이블(225)의 드럼(235)에 각각 핀(237)(238)이 상기 드럼 각각의 측면에 배설되어 있으며, 오일펌프 장치용 케이블(228)의 드럼(235)과 배기밸브용 케이블(226)의 드럼(236)에 상기 핀(237)(238)이 수납되고 또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캠홈(239)(24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동 도면중 부호 242는 부세스프링으로서, 드럼(234∼236)간 상호의 덜컹거림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각종 드럼(234∼236)의 분해사시도이며, 드럼(234)에는 바로 앞에 기화기 밸브용 케이블(224)이 장착되며, 안에 스로틀 케이블(2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드럼(235)에는 오일펌프용 케이블(225)이, 드럼(236)에는 배기밸브용 케이블(22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케이블(224)(225)(226)에는 그 대응하는 드럼(234)(235)(236)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힘을 가하는 장력이 가해지게 한다. 또, 부호 243은 배기밸브용 케이블(226)의 도중에 배설된 로스트 모션 스프링으로서, 그 작용은 후술한다.
그리고, 캠홈(239)(241)은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호홈으로서, 상기 핀(237)(238)과 함께 본 제7실시에에 있어서의 로스트 모션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접속상자(230) 내부의 각 드럼(234)(235)(236)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또, 제2도에 도시된 기화기 밸브장치(17), 오일펌프(18) 및 배기밸브장치(15)는 각각 대응하는 케이블(224∼226)을 느슨하게 하면 폐 혹은 감속이 되는 기구(토션 스프링 등)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제15(a)∼(d)도는 제13도를 a∼d에서 보았을 때의 안전폐쇄시의 작용도이다.
(b)는 스로틀 케이블(23)을 완전히 느슨하게 한 상태를 나타내며, 그 개방도 기준선(L2)은 Y축에서 시계방향으로 θ2회전한 위치에 있다.
(c)는 핀(237)이 캠홈(239)의 도면 좌측단에 있으며, 그것의 개방도 기준선(L3)은 Y축에서 시계방향으로 θ3회전한 위치에 있다.
(d)는 드럼(235)으로부터 뻗은 핀(238)이 캠홈(241)의 도면 좌측단에 있으며, 그것의 개방도 기준선(L4)은 Y축에서 시계방향으로 θ4회전한 위치에 있다. 이때 로스트 모션 스프링(243)은 압축되고 있다.
(a)는 (b)와 완전히 동조하고 있으므로, 그것의 개방도 기준선(L1)은 Y축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θ1(=θ2)회전한 위치에 있다.
제16(a)~(d)도는 제13도를 화살표 a~d에서 보았을 때의 완전개방시의 작용도이다.
(b)에서 스로틀 케이블(23)로 당겨진 드럼(234)은 개방도 기준선(L2)으로부터 각도 θ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a)의 기화기 밸브용 케이블(224)은 동시에 당김 상태로 되어 도시하지 않은 기화기 밸브를 열게 된다.
(c)의 드럼(235)은 핀(237)에 의해 개방도 기준선(L3)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도 θ만큼 회동되어 오일 펌프용 케이블(225)을 당겨서, 도시하지 않은 오일펌프를 증속하게 된다.
(d)의 드럼(236)은 핀(238)에 의해 개방도 기준선(L4)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각도 θ(θ4142)만큼 회동되어 있다.
제17도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기화기 밸브와 배기밸브의 개방도 특성도로서, 횡축은 드럼회전각, 종축은 밸브개방도이다.
배기밸브는 저속·저출력시에 교축되며 그 후에는 열릴 필요가 있다. 그래서, 기화기 밸브는 당해 드럼의 회전각에 비례하여 대략 밸브 개방도를 변화시키지만, 배기밸브는 θ41(예를들면 30°)에서 완전개방이 되고, 그 후에는 완전개방을 유지한다.
그 때문에, 제6(d)도에 있어서 각도 θ41에서 배기밸브는 완전개방이 되며, 그 이후에는 로스트 모션 스프링(243)이 상장되어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을 유지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제16도의 밸브개 상태에서 제15도의 상태로 복귀시키려면 제16(b)도의 스로틀 케이블(23)을 느슨하게 해도 된다.
다음에, 로스트 모션수단을 구성하는 핀(237)(238) 및 캠홈(239)(241)의 작용을 설명한다.
예를들면, 제16(c)도의 오일펌프용 케이블(225)의 드럼(235)이 어떤 이유에 의해 도면의 위치에 고정되었다고 하자.
이 때, 제16(b)도의 스로틀 케이블(23)을 느슨하게 하면 기화기 밸브용 케이블(224)의 드럼(234) 핀(237)은 제16(c)도의 캠홈(239)을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당해 드럼(234)만이 제15(a)(b)도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것은 드럼(234)의 복귀 움직임이 드럼(235)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또, 제16(d)도의 배기밸브용 케이블(226)의 드럼(236)이 어떤 이유에 의해 고정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오일펌프용 케이블(225)의 드럼(235) 및/또는 배기밸브용 케이블(226)의 드럼(236)이 고정되더라도 핸들 글립(21)의 조작만으로 기화기 밸브장치(17)에 있어서의 밸브를 완전폐쇄할 수 있어, 적당히 엔진(11)의 출력을 교축할 수 있다.
제18도는 제13도 내지 제16도에 도시한 제7실시예의 작동기구에 일부 변경을 가한 일부 변경 실시예이다. 이 일부 변경 실시예에 관한 접속상자(230')에서는 제13도에 도시된 핀(237)(238)을 1개의 긴 핀(245)으로 치환함과 동시에, 원호홈(239)(241)은 동일 형상의 원호형상 관통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도 제7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가 생긴다. 특히 이예에서는 오일펌프용 케이블(225)의 드럼(235)과 배기밸브용 케이블(226) 드럼(236)을 같은 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공용화와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19도는 제13도 또는 제18도에 도시한 접속상자(230)(230')를 채용하였을 경우의 스쿠터 핸들 주변의 후면도이다. 이 스쿠터에서 핸들 글립(321)에 인접한 스로틀 하우징(322)은 핸들커버(301)의 내부에 수납되고, 그 근방에 예를들면 윙커 스위치(302)나 스쿠터 스위치(303)가 장착된다. 그래서 상술한 제7실시예에 관한 작동기구가 조립된 접속상자(230)를 이 스쿠터에 적용시키면, 상기 접속상자(230)와 스로틀 하우징(322)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스로틀 하우징(322)은 매우 소형이 되어, 상기 웡커 스위치(302)나 스쿠터 스위치(303)의 레이아웃이 용이해져서 바람직하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에에 의하면 스로틀 글립을 역회전하여, 스로틀 케이블을 복귀시킴으로서, 기화기 밸브용 케이블 드럼을 역회전하여 기화기 밸브를 교축할 때, 이 기화기 밸브의 교축동작을 오일펌프용 케이블 드럼이나 배기밸브용 케이블 드럼과는 무관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기화기 밸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3개의 케이블 드럼을 분할 배치했으므로, 예를들면 그 안의 1개를 교환하거나 치수를 변경하는 것이 간단하고, 제조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기화기 밸브장치, 오일펌프 및 배기밸브장치를 각각 케이블을 통해 조작하기 위한 3개의 드럼을 내장한 접속상자를 스로틀 글립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핸들 글립에 통상 인접한 스로틀 하우징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이 스로틀 하우징 주변에 스위치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Claims (15)

  1.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에 있어서, 기화기 밸브 장치용 케이블과 배기 밸브 장치용 케이블을 연동시키는 스로틀 케이블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서 상기 내연기관용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회동체와, 내연기관용 기기를 작동시킴으로서 이루어 지는 상기 회동체의 회동을 스로틀 케이블의 동작과 상관없이 구성시켜 부분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로스트 모션수단을 구비하여, 배기밸브와 회동체가 상호 상이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용 기기는 배기밸브장치이고, 상기 배기밸브장치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통로가 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흐르는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를 상기 파이프부재의 축선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관통해서 적어도 한쪽 단부가 상기 파이프부재로부터 돌출된 샤프트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내에서 상기 샤프트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파이프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기 한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드럼이고, 상기 스로틀케이블이 감겨있는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드럼과 상기 샤프트부재 사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기 한쪽 단부에 고정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상기 드럼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드럼 회동에 의한 상기 배기밸브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의 회동 이동시에 상기 배기밸브를 그 완전개방상태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수단을 추가로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샤프트부재의 축선방향과는 직각으로 배설되고, 또 상기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상태가 되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파이프부재와 당접할 수 있는 스토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장치는 상기 배기밸브를 개방상태에서 완전폐쇄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해 상기 샤프트부재를 역회전시킬 수 있는 복귀수단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파이프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중심부와, 상기 스로틀 케이블이 연결된 일단부를 적어도 가진 가이드부재이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며,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파이프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기 한쪽 단부에 고착된 일단부와 핀이 돌출설치된 타단부를 가진 아암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아암부재의 상기 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가이드홀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기 중심부로부터 점차 이간되어서 형성된 제1 긴 홀과, 상기 제1 긴 홀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부로부터 일정거리 사이를 두고 형성된 제2 긴 홀을 가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파이브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기 한쪽 단부에 그 중심부를 고정한 아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아암부재의 한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스로틀 케이블에 연결된 장착부재와, 상기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아암부재의 회동위치에서 상기 아암부재의 다른쪽 단부와 당접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부재에 배설된 스토퍼부재와, 상기 스로틀 케이블 도중에 이것과 직렬로 배설된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파이프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기 한쪽 단부에 그 중심부를 고정한 아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아암부재의 회동위치에서 상기 아암부재의 한쪽 단부와 당접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부재에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상기 아암부재의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긴 홀과, 상기 긴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하는 핀을 가지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에 연결된 장착부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파이프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기 한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드럼이고, 상기 스로틀케이블이 감겨 있는 드럼과,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기 한쪽 단부에 고정된 장착브래킷과, 상기 장착브래킷과 상기 드럼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이고, 이들 장착브래킷 및 드럼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된 스프링과, 상기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배기밸브의 회동위치에서 상기 배기밸브와 당접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부재에 형성된 스토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밸브가 완전개방상태로 되어 상기 스토퍼부재에 당접했을 때 상기 스로틀 케이블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상기 드럼은 상기 스로틀 케이블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압하면서 상기 장착 브래킷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 부재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12. 제3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스로틀케이블의 권취 직경이 상기 배기밸브의 완전개방상태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용 기기는 상기 스로틀 케이블을 다수의 분기 케이블로 분할하는 접속상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상자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양단이 지지된 지지축과, 상기 케이스체내에서 상기 지지지축에 제1드럼으로서의 상기 스로틀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회동체와 함께, 상기 회동체와 순차적으로 인접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드럼 및 제3드럼과, 상기 제1드럼을 상기 지지지축을 중심으로해서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1드럼에 연결된 제1분기케이블과, 상기 제2드럼을 상기 지지지축을 중심으로해서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2드럼에 연결된 제2분기 케이블과, 상기 제3드럼을 상기 지지지축을 중심으로해서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3드럼에 연결된 제3분기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제1드럼의 측면에 돌출설치된 제1핀과, 상기 제1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상기 제2드럼에 형성된 제1원호홈과, 상기 제2드럼의 측면에 돌출설치된 제2핀과, 상기 제2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상기 제3드럼에 형성된 제2원호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스로틀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제1드럼이 상기 한쪽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동되어졌을 때 상기 제1 및 제2핀은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및 3드럼의 상기 제2 및 제3원호홈의 한쪽 단부와 계합해서 이들 제2 및 제3드럼을 상기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이 느슨해졌을 때 상기 제1드럼이 상기 제1분기 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되고 또 상기 제1 및 제2핀은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및 제3드럼의 상기 제2 및 제3원호홈의 다른쪽 단부를 향해 이동한 후에 이들 다른쪽 단부와 각각 계합하여 상기 제2 및 제3드럼을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15.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상자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양단이 지지된 지지지축과, 상기 케이스체내에서 상기 지지지축에 제1드럼으로서의 상기 스로틀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회동체와 함께, 상기 회동체와 순차적으로 인접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드럼 및 제3드럼과, 상기 제1드럼을 상기 지지지축을 중심으로해서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1드럼에 연결된 제1분기 케이블과, 상기 제2드럼을 상기 지지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2드럼에 연결된 제2분기 케이블과, 상기 제3드럼을 상기 지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3드럼에 연결된 제3분기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스트 모션수단은 상기 제1드럼의 측면에 돌설된 핀과, 상기 제1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상기 제2 및 제3드럼에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형상 관통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KR1019940031616A 1993-11-26 1994-11-26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KR0165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96937 1993-11-26
JP29656993A JP3242240B2 (ja) 1993-11-26 1993-11-26 内燃機関用排気バルブの作動機構
JP93-296569 1993-11-26
JP29693793A JP3172017B2 (ja) 1993-11-26 1993-11-26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530A KR950014530A (ko) 1995-06-16
KR0165575B1 true KR0165575B1 (ko) 1999-01-15

Family

ID=2656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616A KR0165575B1 (ko) 1993-11-26 1994-11-26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0165575B1 (ko)
CN (1) CN1055519C (ko)
DE (1) DE4442109C2 (ko)
FR (1) FR2712924B1 (ko)
IT (1) IT1275346B (ko)
TW (1) TW2863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4074A1 (de) * 2003-03-28 2004-10-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inrichtung zur Betätigung wenigstens einer Drosselklappe
DE10315414A1 (de) * 2003-04-04 2004-10-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inrichtung zur Betätigung wenigstens einer Drosselklappe
DE102006048616B4 (de) * 2006-10-13 2020-09-03 Emcon Technologies Germany (Augsburg) Gmbh Ventilvorrichtung
DE102007003314B4 (de) * 2007-01-17 2010-04-08 Küster Automotive Control Systems GmbH Abgaseinrichtung eines Verbrennungsmotors
US9897014B2 (en) 2008-10-15 2018-02-20 Motion Pro, Inc. Variable rate push/pull twist throttle
FR2943114B1 (fr) * 2009-03-13 2013-05-31 Faurecia Sys Echappement Vanne pour ligne d'echappement
DE102009016597C5 (de) 2009-04-08 2023-03-23 Küster Holding GmbH Abgasklappen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8108Y2 (ko) * 1974-06-07 1980-11-11
JPS5760091Y2 (ko) * 1977-07-08 1982-12-22
IT1119092B (it) * 1979-06-05 1986-03-03 Fiat Auto Spa Comando della oscillazione ad apertura differenziata della farfalla particolarmente per motore di autoveicoli
DE3103732A1 (de) * 1981-02-04 1982-09-02 Martin 7156 Wüstenrot Schmidt Abgas-stroemungsrueckstau-anlage
AU530845B3 (en) * 1983-03-09 1983-06-30 Rintel, David E. Multi tension spring device for petrol engine
DE3403760A1 (de) * 1984-02-03 1985-08-29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Stellvorrichtung fuer die schwenkachse einer drosselklappe
US4602602A (en) * 1984-07-27 1986-07-29 Outboard Marine Corporation Control device interconnecting throttle valve, exhaust valve, and spark timing linkages
DE3503951A1 (de) * 1985-02-06 1986-08-07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Stelleinrichtung fuer ein flugzeug-vortriebsaggregat
DE3729973A1 (de) * 1986-09-20 1988-03-31 Volkswagen Ag Leistungsstellvorrichtung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US4896504A (en) * 1986-12-03 1990-01-30 Yamaha Matsudoki Kabushiki Kaisha Exhaust gas control device for engines
JPH0646010B2 (ja) * 1988-07-14 1994-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ル制御装置
US5035212A (en) * 1990-04-02 1991-07-30 Caterpillar Inc. Engine flow restriction control
JP3148398B2 (ja) * 1992-09-02 2001-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2サイク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DE9215611U1 (de) * 1992-11-17 1993-01-21 Speed Products Motorcycle Equipment Handelsgesellschaft mbH, 4400 Münster Abgasanlage für Verbrennungsmotoren
DE4300337C2 (de) * 1993-01-11 1995-10-19 Meta Motoren Energietech Restgassteuerung bei Brennkraft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42109A1 (de) 1995-06-08
ITRM940774A0 (it) 1994-11-25
FR2712924A1 (fr) 1995-06-02
DE4442109C2 (de) 2002-03-07
ITRM940774A1 (it) 1996-05-25
KR950014530A (ko) 1995-06-16
CN1055519C (zh) 2000-08-16
TW286341B (ko) 1996-09-21
FR2712924B1 (fr) 1996-10-11
IT1275346B (it) 1997-08-05
CN1107938A (zh) 1995-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3206B2 (en) Outboard motor
KR0165575B1 (ko) 내연기관용 기기의 작동기구
JP2629871B2 (ja) 車両用変速機
US4526056A (en) Choke lever device for a two-wheeled motor vehicle
US4898039A (en) Throttle lever holding device
US4860608A (en) Control device for a vertical shaft type engine
CA2034565A1 (en) Anti-after-burning system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WO2014188527A1 (ja) 鞍乗り型車両の操作部構造
CA2679781C (en) Throttle valve drive mechanism of outboard engine unit
JPH1134985A (ja) 船外機
US4369741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losure of the decompression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172017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構造
JP3242240B2 (ja) 内燃機関用排気バルブの作動機構
JPH1047091A (ja) ハンドレバー装置
JPS60243326A (ja) 車両におけるスロツトル弁開度検出装置
JP2587949Y2 (ja) エンジンの始動性向上機構
JP2000351395A (ja) 船外機の制御装置
JP3783437B2 (ja) 船外機
JPS6038032Y2 (ja) 内燃機関のガバナレバ−装置
JPH10205423A (ja) エンジン
JPH088263Y2 (ja) 多連気化器のスロットル弁連結装置
JP2571932B2 (ja) 自動二輪車用気化器の開閉操作機構
JP4307159B2 (ja) 船外機のシフト操作装置
JPS6314048Y2 (ko)
JPH02315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