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637B1 - 잉크젯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637B1
KR0164637B1 KR1019940013866A KR19940013866A KR0164637B1 KR 0164637 B1 KR0164637 B1 KR 0164637B1 KR 1019940013866 A KR1019940013866 A KR 1019940013866A KR 19940013866 A KR19940013866 A KR 19940013866A KR 0164637 B1 KR0164637 B1 KR 0164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p
recording
recording hea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395A (ko
Inventor
가즈야 이와따
오사무 아사꾸라
마사스미 나가시마
요시유끼 시마무라
겐지 가와조에
세이지 다까하시
유지 가노메
테쯔야 이시가와
다까히로 오데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0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3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by applying vacuum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Landscapes

  • Ink Jet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토출 회복 프로세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잉크 탱크의 대체 후에 자동 회복 프로세싱과 수동 회복 프로세싱의 이중 사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폐잉크 소모를 방지함으로써 폐잉크 탱크의 짧은 수명과 실행 비용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복을 포함하여 헤드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회복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고안정성 및 고신뢰성을 잉크젯 기록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잉크젯 기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를 구비한 문서 작성 장치의 외관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캐리지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캐리지 상에 있는 와이퍼 크리너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캐리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회복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회복 장치 내의 폐잉크 시일의 상세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폐잉크 탱크의 분해 사시도.
제9a도 및 제9b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폐잉크 탱크 통기막 용착부의 단면 상세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의 회복 장치 및 폐잉크 탱크의 배치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에서 캡으로부터의 잉크 범람 발생시의 잉크 경로 설명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회복 장치의 캠 차트.
제13a도 내지 제13b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회복 장치 내의 펌프 동작 상태 설명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회복 장치 내의 블레이드의 OFF 위치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회복 장치 내의 블레이드의 ON 위치 설명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회복 장치 내의 블레이드의 클리닝 위치 설명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캐리지의 캡핑 위치 설명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캐리지의 와이핑 준비 위치 설명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캐리지의 블레이드 클리닝 준비 위치 설명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캐리지의 블레이드 클리닝 완료 위치 설명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용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제22a도, 제22b도 및 제23도는 본 발명의 기록 장치에서 클리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24도는 본 발명의 기록 장치에서 와이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25도는 본 발명의 기록 장치에서 독립적인 흡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26도, 제27도, 제28도 및 제29도는 본 발명의 기록 장치에서 기록 인쇄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30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에서 폐잉크 탱크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3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헤드용 잉크 탱크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의 모식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따른 기록 헤드의 장착을 감지하는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3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헤드의 탈착시에 클리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3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타이머 클리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3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헤드의 장착을 감지하는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3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클리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37a도 및 제3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용 캐리지의 초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3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용 캐리지의 홈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표.
제39도는 와이퍼 크리너를 갖고 있는 종래의 기록 장치용 캐리지의 분해 사시도.
제40도는 종래의 기록 장치용 와이퍼 크리너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41도는 통기막을 갖고 있는 종래의 폐잉크 탱크의 분해 사시도.
제42도는 종래의 기록 장치의 외관 사시도.
제43도는 종래의 기록 장치용 폐잉크 시일의 상세 분해 사시도.
제44도는 종래의 모터의 초기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제45도는 종래의 문제점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모터의 초기 동작에 관한 타임 차트.
제46도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기록 장치 및 그 주변부에 대한 제어 블록들의 블록도.
제47도는 초기 신호 수신시에 기록 장치의 초기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4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49도는 본 발명의 실시 후에 모터의 초기 동작에 관한 타임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보드 2 : 디스플레이부
3 : 보호 덮개 5 : 용지 받침대
11 : 캐리지 49 :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
51 : 캡 53 : 펌프
55 : 폐잉크 탱크 519 : 펌프 축
521 : 폐잉크 시일 523 : 폐잉크 캡
본 발명은 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종이, OHP 기록지와 같은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소위, 기록 장치 또는 프린터)의 실용화에는 여러 가지 기록 방식이 제공되어 왔다.
이러한 기록 방식들에는 타격 기록 방식인 와이어 도트 방식, 가열에 의해 용융된 잉크를 전사하는 잉크 리본을 사용하는 열 전사 방식, 기록 헤드를 가열시키는 반응에 따라 컬러화되는 감열 기록지를 사용하는 열 기록 방식, 및 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기록 방식이 있다.
여러 종류의 기록 방식들 중에서, 특히 관심이 가는 잉크젯 기록 방식은 기록 매체 상에 직접 잉크를 토출시키기 때문에 운전비가 저렴한 정적인 방식이다.
이러한 잉크젯 기록 방식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기록 헤드와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저장소(잉크 탱크)가 기록 장치에 교체가능하게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1회용 기록 헤드를 사용하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다. 또한, 영구 또는 긴 수명의 형태로서 기록 헤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잉크 저장소만이 기록 헤드와 교체되는 형태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기록 헤드의 저렴한 가격 때문에 실용화되어 왔다.
상기 잉크젯 기록 장치들에 있어서, 기록 헤드의 잉크 토출 상태를 양호하고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기록 헤드의 잉크 토출구(노즐)들을 커버함으로써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캡핑 수단이 제공되거나, 점성이 증가된 잉크 또는 내부에 먼지 또는 오물이 있는 잉크를 제거하기 위해 노즐들을 통해 잉크를 토출시키는 토출 회복 처리가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상기 캡핑 수단의 모범적인 예로는 기록 헤드의 노즐 형성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된 캡이 있는데, 이 캡은 캡핑하기 위한 위치에서 노즐 형성면과 접촉 또는 이탈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 동작과는 다른 선정된 시간 이상으로 또는 기록 동작 중이라도 잉크의 토출이 실행되지 않을 때, 노즐들의 내부에서 또는 근처에서의 잉크 건조를 캡핑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토출 회복 처리의 모범적인 예로는, 기록 헤드의 노즐들 내에 제공된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에너지 발생 소자들을 구동시키므로서 모든 토출구들을 통한 잉크 토출의 처리(예비 토출)가 있는데, 기록 헤드의 노즐 형성면과 접촉 또는 이탈가능한 캡을 기록 헤드의 노즐 형성면과 대향하게 제공하므로서, 토출 불량 요인인, 기포 또는 먼지 및 오물, 또는 기록에 부적합한 점성이 증가된 잉크를 제거하며; 또 다른 예로는, 토출구 형성면이 캡으로 커버되어 있는 상태에서 흡인 펌프를 사용하여 모든 토출구들을 통해 잉크를 강제로 토출시켜 토출 불량 요인을 제거하는 처리(흡인 회복 처리)가 있다.
일체화된 기록 헤드와 잉크 탱크가 기록 장치 상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잉크 탱크가 교체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에, 새롭게 장착된 기록 헤드가 양호하지 않은 기록 상태에 있을 수 있는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기록 헤드의 노즐 또는 노즐 내로의 잉크 공급로 내에서 수송시의 진동 또는 기포의 침입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는 잉크 공급을 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잉크가 노즐 또는 잉크 흐름 통로 내에 적당히 채워지지 않는다. 또한, 교체가능 잉크 탱크가 사용되는 구성에 있어서, 새로운 잉크 탱크의 장착시에 우수한 기록 상태가 달성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공기가 잉크 탱크와 노즐 내로의 잉크 공급로 사이에 있는 조절부(fitting portion) 내로 혼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록 동작이 잉크가 적절히 채워지지 않은 경우에 실행되면,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에너지 발생 소자는 잉크가 없는 상태에서 토출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발생 소자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토출 에너지로서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잉크의 열에 의한 상태 변화에 의해 발생된 압력을 사용하므로서 잉크를 토출시키는 형태의 잉크젯 시스템에 있어서, 열 에너지 발생 소자는 잉크가 없는 상태에서 열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끔 열 에너지 발생 소자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기록 장치의 조작자가 기록 헤드의 교체시에 토출 회복 동작을 실행하려고 하거나, 기록 헤드의 교체가 자동적으로 감지되어 기록 동작 이전에 토출 회복 처리를 실행하는 메카니즘이 최근에 개발되어 왔다.
또한, 캡핑 수단에는 토출 회복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흡인 펌프가 자주 제공되는데, 토출 회복 처리는 노즐 형성면이 캡으로 커버된 상태에서 흡인 펌프를 작동시켜 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실행된다. 또한, 토출 회복 처리에 있어서, 캡을 향해 예비 토출을 실행시키고 이 예비 토출로 토출된 폐잉크를 캡 내에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는데, 그 이유는 폐잉크 수용 부재가 필요 없고 수용된 폐잉크가 쉽게 처리되기 때문이다.
상기 처리에 의해 토출된 잉크가 캡 내에 남아 있는 경우, 기록에 부적합한 잉크가 기록 헤드의 노즐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흡인 펌프가 캡핑 동작 또는 토출 회복 처리를 위해 작동될 때, 후속 기록 동작시에 부적합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캡이 수직으로 배치되면, 캡 내의 잉크가 떨어지기 때문에 기록 장치 또는 기록지를 오염시키는 부적합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부적합성의 방지를 위해, 캡 내의 잉크를 잉크 수용 부재(폐잉크 탱크) 내에 수용하기 위해서는, 흡인 펌프에 의한 기록 헤드로부터의 잉크 토출 후에 캡을 기록 헤드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흡인 펌프를 작동시키거나, 한번의 예비 토출에 의한 잉크의 토출량과 캡 내에 수용가능한 잉크량으로부터 캡 내에 수용가능한 예비 토출 회수를 계산하며, 예비 토출이 소정 회수에 이른 경우에 캡을 기록 헤드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흡인 펌프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캡 내의 잉크를 폐잉크 탱크에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39도는 종래의 캐리지 상에 부착된 블레이드 크리너의 구성을 도시하는데, 블레이드 크리너는 기록 헤드의 토출구의 표면을 와이핑하는 방식으로 와이퍼(와이퍼 블레이드)를 세척한다.
참조 번호(49)는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인데, 이는 요철(embossed) 형태로 배치되어 클로(claw)의 스냅-인 작동에 의해 캐리지(11)에 고정되어 있다.
제30도는 종래의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차트이다.
참조 번호(49a)는 와이퍼 크리너인데, 이는 흡수력이 크고 잉크의 흡수 후에 팽창 등의 변형이 적은 흡수 부재이며, 블레이드에 부착되는 잉크는 블레이드와 접촉되어 있는 크리너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Rubycerclean(Toyo Polymer Cl., Ltd)가 사용될 수 있다. 참조 번호(49b)는 와이퍼 크리너(49a)를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퍼 크리너 홀더이다. 와이퍼 크리너(49a)는 와이퍼 크리너 홀더(49b) 내에 제공된 돌기부(boss portion)에의해 위치선정되고, 압력판(49c)에 따라 내부에서 회전된다. 압력판(49c)는 와이퍼 크리너(49a)를 건조를 촉진하고, 블레이드(59)가 제4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을 와이핑한 후에 와이퍼 크리너(49a) 쪽으로 비산된 잉크를 수용하도록 다수의 개구부들을 제공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41도는 통기막을 갖는 종래의 폐잉크 탱크(55)의 구성을 도시한다.
통기막(55c)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폐잉크 탱크의 개구부에 부착된다. 통기막(55c)는 잉크 용제 증기를 통과할 수 있지만, 액체로 되어 있는 잉크는 통과하지 못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Vaporload(Teijin Limited)가 사용된다.
압력판(55f)는 통기막을 용착시키도록 준비되고, 통기막(55c)가 그 사이에 끼워진다.
제42도는 종래의 기록 장치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폐잉크 탱크(55)가 캡(51)과 펌프(53)을 포함하는 헤드 회복 유니트에 인접하여 있는 용지 팬(37)의 아래에 배치되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종래의 배치에 있어서는, 그 주변부 뿐만 아니라, 헤드 회복 유니트와 폐잉크 탱크의 아래에 있는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 내에서도 공간 관계상 전기 부품들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했다.
제43도는 종래의 폐잉크 시일(521)의 상세 분해 사시도이다.
고무 부재로 되어 있는 폐잉크 시일(521)은 펌프(53)의 잉크 흐름 통로 끝 부분인 펌프 축(519)와 펌프 축(519) 내의 잉크 흐름 통로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잉크 흐름 통로(도시안됨)를 연결시키기 위한 시일 부재이다. 펌프 축(519)는 지지판(520)에 의해 지지되고, 도면에서의 축 a 주위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 또는 스윙된다. 펌프 축(519) 주위에 견고하게 고정된 원통형 보어는 폐잉크 시일(521) 내에 제공된다. 또한, 폐잉크 시일(521)의 외형은 사실상 원통형이고 상기 원통형 보어와 동축상에 있다. 내부에 폐잉크 시일(521)이 고정되어 있는 폐잉크 캡(523)에는 폐잉크 시일(521)의 외형보다는 크기가 약간 작고 외형상으로는 유사한 보어가 제공된다.
또한, 잉크젯 시스템의 프린터는 인쇄되지 않을 때, 노즐을 보호하기 위한 메카니즘(캡 수단)을 일반적으로 갖기 때문에, 건조로 인한 잉크 토출 노즐의 막힘을 방지한다. 그리고, 내부에 헤드 캐리지가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캐리지 홈 센서의 On 위치, 및 노즐 보호 메카니즘이 작동되는 캡핑 위치는 정해진 치수로 기계적으로 설정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치수에 상당하는 캐리지 모터의 구동 단계들의 수(일정수)가 ROM 내에 사전 기록되고, 캡핑시에는, 프린터 온도와 같은 조건과 관계없이, 캐리지 홈 센서의 On 위치로부터 ROM 내에 저장된 선정된 단계 수를 구동시키므로서 캡핑 위치(즉, 캐리지 홈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캐리지 홈 위치에서 정지하는 때에는, 캐리지는 캐리지 홈 센서의 On 위치와 ROM 내에 기입된 단계 수로부터 산출된 캐리지 홈 위치에서 캐리지 모터의 여기 위상에 가장 근접한 안정 위상(stable phase)(즉, 여기되지 않을 때에 안정하게 정지되는 위상)에서 정지된다. 그리고, 캐리지가 재구동될 때에는, 미리 산출된 여기 위상으로부터 구동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예에 있어서, 다음의 문제점들이 존제한다.
먼저, 기록 헤드 및 잉크 탱크의 교체시에 토출 회복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기록 장치의 조작자에게 해당 처리를 요구하는 것은 동작에 방해가 되고, 토출 회복 처리가 조작자에 의해 확실하게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아는 것이 어렵다.
기록 헤드 및 잉크 탱크의 교체가 자동으로 감지되어 기록 동작 이전에 토출 회복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기록 헤드 또는 잉크 탱크의 교체 직후에 기록 장치의 조작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토출 회복 처리가 실행될 때, 교체의 감지에 기초한 토출 회복 처리가 실행되어, 기록 헤드로부터의 폐잉크 토출을 행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폐잉크 토출은, 토출 회복 처리를 포함하는 일련의 기록 동작들에 걸리는 시간이 증가되는 외에도, 기록을 위한 잉크량의 감소로 인해 기록에 필요한 비용 또는 운전비를 증가시키며, 또한 기록 장치의 수명 뿐만 아니라, 토출된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폐잉크 탱크의 수명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기록 헤드 또는 잉크 탱크의 교체 후에 우수한 기록 상태를 얻는데 요구되는 토출 회복 처리는 교체되지 않을 때보다 더 큰 효과를 갖기 위해 일반적으로 일련의 토출 회복 처리를 복수회 반복한다. 이 경우, 토출 회복 처리가 조작자에 의해 실행되면, 폐잉크 토출량은 한번의 자동 토출 회복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비해 더 증가된다.
반면에, 캡 내의 잉크를 폐잉크 탱크 내로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흡인에 의한 잉크의 토출 후에 캡 내의 잉크가 수용되는 경우, 후속 캡핑 동작까지 실행될 예비 토출, 또는 캡 내의 잉크의 시간 경과에 의한 이동 때문에, 부적합한 잉크가 노즐 또는 그 주변과 접촉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제3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에 있어서, 이를 캐리지(11)에 부착하는 것은 블레이드 크리너 홀더(49b) 이외에도, 압력판(49c) 및 2개의 나사가 필요한데, 이는 너무 많은 부품 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적합하였다. 또한,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는 캐리지(11)에 대해서 스냅-인 작동에 의해서만 고정되므로, 약간 헐거움이 있고, 특히 블레이드 측의 블레이드 크리너의 상부 위치에서의 분산이 크며, 이는 클리닝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에 유용한 Rubycerclean(Toyo Polymer Co., Ltd)는 특수한 재료로서 고가이며, 기록 장치의 예정 인쇄 매수가 많은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의 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폐잉크 탱크에 있어서, 통기막용으로 사용된 Vaporload는 방수 습기 투과층이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진 천의 이면에 얇게 코팅된 것인데, 이는 통기막(55c)가 폐잉크 탱크(55)에 제공된 개구부 위에 용착될 때, 주름이 생기기 쉬우며, 단독으로 용착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부재를 준비하여, 이를 그 사이에 샌드위치된 다른 부재와 함께 용착시킬 필요가 있고, 압력판(55f)가 필요하며, 부품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또한,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부품이 헤드 회복 유니트 및 폐잉크 탱크 아래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비정상 상태, 예를 들면 폐잉크 탱크 내로 폐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튜브(57)이 분리되는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 헤드로부터 흡인된 잉크가 아래에 있는 전기 부품에 떨어질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잉크로부터 전기 부품을 격리시키기 위한 덮개, 전기 부품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장소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스루(through)로서 작용하는 부품, 또는 잉크를 흡수하기 위한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의 비용을 크게 상승시키므로, 부적합하다.
종래의 폐잉크 시일은 원통의 외형 곡면에 잉크 흐름 통로용의 홀(521c)가 제공되고, 폐잉크 시일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시일면에 대응하는 면의 마무리 가공 레벨을 높이는 것이 어려우므로, 부적합하다.
폐잉크 캡 측에 시일면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있어서, 잉크 흐름 통로를 성형하도록 금형을 분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시일면이 곡면이기 때문에, 금형의 분할에 의해 생성된 시일면의 단차를 감소시키도록 금형을 변형시켜 곡면을 평활하게 만드는 것이 어려우므로, 이는 부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노즐 보호 메카니즘이 있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노즐 보호 메카니즘과 같은 회복 장치의 부품, 회복 장치 및 캐리지 홈 센서가 고정되어 있는 프린터 샤시, 캐리지에 일체로 형성된 캐리지 홈 센서용 센서 차광판 등의 프린터 온도 변화에 의한 치수 변화, 또는 프린터 온도의 변화에 따른 캐리지 홈 센서의 감도 변화에 의해 캡핑 위치는 이동되므로, 정확한 캡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노즐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산출된 캐리지 홈 위치에서의 캐리지 모터의 여기 위상과 실제 정지 위상이 다를 때, 캐리지의 재구동시에 제1 여기에서의 구동량이 1 단계 이상이 되며, 이러한 단계가 커지면 재구동시에 충격 잡음이 생성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파워-온 및 재설정시에 잉크젯 프린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록 방법들을 구비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초기 상태 설정 신호(이후, 초기 신호)가 호스트 컴퓨터 또는 호스트 프로세서(이후, 호스트)로부터 송신되고 기록 장치에 의해 수신되면, 초기 설정(이후, 초기 동작)이 실행된다. 초기 동작들 중 하나는 기록 장치와 관련된 모터의 초기 동작이다.
제44도는 모터의 초기 동작과 관련된 타임 차트이다. 설명을 위해, 모터는 코일에 한 방향의 전류만이 흐르는 유니폴라 시스템의 4상 펄스 모터로 하고, 제어 시스템은 항상 1개의 위상만으로 흐르는 I-상 여기로 하며, 모터는 초기 동작시에 고정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모터의 초기 동작시에 여기(이후, 통전) 개시 위상은 반드시 동위상(도면에서 A 위상)으로부터 개시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드로서 인용되는 동작이 제1 여기시에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모터 구동시에, 정상적으로 비-여기 상태(상태 a-0)에 있는 모터가 여기되어, 선정된 속도에 이를 때까지 점진적으로 속도 또는 소위 가속(상태 a-2)을 증가시킨 후에, 일정 속도(상태 a-3)로 구동된다. 그러나, 모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수단에 의해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실제 제어 동작과는 별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터의 로터 정지 위치는 고정되지 않고, 기록이 실제로 개시되는 경우에도 모터가 여기되며, 여기 위상과 로터가 실제로 정지되는 경우의 위상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로터가 추종되지 않는, 소위 스텝-아웃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보통 제1 여기 시간은 길어지고, 로터가 여기 위상과 일치된 후에, 여기 위상이 전환되기 때문에 모터는 회전을 위해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제1 여기 시간의 연장을 홀드라고 하고, 이러한 시간을 홀드 시간이라 한다.
제4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장치가 초기 신호를 수신한 후에, 모터는 홀드 동작(상태 a-1), 가속(상태 a-2), 일정 속도 구동(상태 a-3), 그후 감속(상태 a-4), 및 초기 동작의 완료(상태 a-5)가 행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각각의 소정의 위상으로 초기 통전은 모터 개시라 한다.
그런데, 도면에서 Δt1은 기록 장치의 초기 동작의 시작부터 실제로 모터 개시의 시작까지의 시간이고, 이 시간은 상태 a-1과 상태 a-2에 대한 시간 Δt2와 Δt3보다 적다. 이후에는, Δt1= 5 ㎲, Δt2= 10 ㎳, 및 Δt3= 1 ㎳로 하여 설명한다.
제45도는 호스트 기능 장애 때문에 초기 신호가 연속적으로 매 9.005 ㎳마다 송신되며, 기록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모터의 초기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제4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는 상태 a-1로 반복적으로 이행되고, A 위상은 9000 : 5의 비율로 여기된다. 즉, 이러한 상태는 연속 여기 상태 또는 소위, 모터 잠금 상태와 거의 동등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모터의 내부 온도는 상승하고, 발연 또는 화재의 가능성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상태 a-1에만 한정되지 않고, 상태 a-2 내지 a-4에 대해서도 똑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 신호가 동일 간격으로 수신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토출구를 통해 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젯 기록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잉크의 토출 성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회복 수단; 상기 잉크젯 기록 장치 상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된 잉크 공급 수단; 상기 기록 장치에 상기 잉크 공급 수단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상기 회복 수단과 함께 잉크의 토출 동작을 수동으로 규제하기 위한 수동 회복 수단; 및 상기 기록 장치 상에의 상기 잉크 공급 수단의 장치에 감지되면, 이 장착의 감지 후에는 제1 기록 동작 이전에 상기 회복 수단을 사용하여 잉크의 토출이 복수회 실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자동 회복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잉크의 토출이 상기 기록 장치 상에 상기 잉크 공급 수단의 장착의 감지 이후에 및 상기 자동 회복 제어 수단의 동작 이전에 상기 수동 회복 수단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자동 회복 제어 수단을 사용한 잉크의 토출이 감소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상기 토출구들을 커버하기 위한 캡 수단; 상기 토출구들을 커버하기 위한 캡 위치 및 상기 토출구들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위치로 상기 캡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캡 이동 수단; 및 상기 캡 수단에 부압(negative pressure)을 가하기 위해, 상기 캡 수단에 연결되는 부압 발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캡 수단이 상기 토출구들을 커버하는 캡 위치에서 상기 캡 수단에 부압을 가하기 위한 상기 부압 수단의 동작 이전에, 상기 부압 수단은 상기 캡 수단이 상기 토출구들을 해제시키는 해제 위치에서 상기 캡 수단에 부압을 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캡 수단이 토출구들을 커버하는 캡 위치로의 이동 이전에, 상기 캡 수단이 토출구들을 해제시키는 해제 위치에서 상기 캡 수단에 부압을 가하므로서 실행되도록 사익 회복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상기 기록 헤드의 토출구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 수단; 상부에 상기 기록 헤드를 장착시키기 위한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와이핑 부재에 직접 접촉가능하며, 상기 와이핑 수단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수단에는 흡수 부재가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상기 토출구들을 통해 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잉크의 토출 성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회복 수단; 및 상기 회복 수단으로부터 토출된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수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수용 수단에는 방수 습기 투과막 및 네트형(net-like) 부재가 외부에서 중첩되는 습기 투과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 장치 내에서 회복 동작으로 토출된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수용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잉크 수용 수단에는 방수막 및 네트형 부재가 외부에서 중첩되는 습기 투과 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본발명의 잉크젯 기록장치는, 토출구들을 통해 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록 헤드; 상기 토출구들을 통해 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잉크의 토출 성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회복 수단; 상기 장치의 저부 상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회복 수단으로부터 토출된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수용 수단; 및 상기 잉크 수용 수단 주위의 원둘레를 둘러싸는 형태(form)를 포함하고, 잉크 흐름 통로는 잉크가 상기 회복 수단으로부터 상기 잉크 수용 수단의 공간에 자연스럽게 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 상에 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기록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록 헤드; 회전가능하고 원통 외부 형태이며, 회전축으로서 원통 외부 형태의 중심 주위를 회전가능하고, 그 끝이 해제되는 제1 흐름 통로; 및 상기 제1 흐름 통로 끝으로부터 회전축에 수직인 제2 흐름 통로에 연결하기 위한 시일(seal)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 수단은 상기 제1 흐름 통로 내부, 및 자신과 동축 상에 있는 원통 외부 형태의 외부를 갖는 원통 보어형이고, 상기 시일 수단 중에서 상기 제2 흐름 통로에 연결되는 쪽의 외부 형태의 일부분이 평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주위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검출 수단; 및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기록 헤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스캐닝 수단으로 스캔량을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altering)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헤드는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된 스캔량에 기초하여, 보호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로 스캔되고, 잉크는 상기 토출구들이 상기 보호 수단에 의 보호된 상태에서 회복 수단에 의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록 헤드; 스텝핑(stepping) 모터를 구동시키므로서 기록 매체에 대해 기록 헤드의 홈 위치를 포함하는 스캔 범위 내에서 상기 기록 헤드를 스캐닝하기 위한 스캐닝 수단; 및 상기 기록 헤드가 상기 홈 위치에서 정지될 때에 상기 스텝핑 모터의 여기 위상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storage)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헤드가 정지되는 상기 홈 위치로부터 스캔될 때, 상기 스텝핑 모터의 구동이 상기 기억 수단 내에 기억된 여기 위상으로부터 시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트로부터의 초기 상태 설정 신호를 갖고 있는 기록 장치, 및 상기 신호에 따라 펄스 모터의 선정된 위상으로 초기 통전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을 제공하며, 상기제어 수단은 초기 상태 설정 신호가 기록 장치 내에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도 초기 통전이 선정된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의 예로서 문서 작성 장치(이후, 워드프로세서)의 외부 구성 사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참조 번호(1)은 입력 디바이스인 키보드이다. 참조 번호(2)는 입력된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인데, 이는 키보드(1) 상의 수평축 주위를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시가 아닐 때에는 키보드(1)를 커버하도록 접힌다. 참조 번호(3)은 기록 헤드의 교체를 위해 개구부 상에 제공된 개폐가능한 보호 덮개이다. 참조 번호(4)는 스퍼(spur)를 유지하기 위한 스퍼 덮개이다. 참조 번호(5)는 기록 용지의 공급 또는 배출시에 기록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종이 받침대이다. 참고 번호(6)은 기록 용지의 공급 및 배출을 수동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손잡이이다. 상술한 각각의 장치는 하부 케이스라고 불리우는 외부 패키지 부품에 부착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프린터 장치)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잉크젯 기록 장치는 제2도의 워드프로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는 프린터부이다.
여기에서, 참조 번호(9)는 잉크젯 기록 헤드를 갖는 헤드 카트리지이고, 참조 번호(11)은 헤드 카트리지가 화살표 S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이다. 참조 번호(13)은 캐리지(11) 상에 헤드 카트리지(9)을 부착시키기 위한 후크이고, 참조 번호(15)는 후크(13)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이다. 이 레버(15)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덮개 위에 제공된 메모리를 지지하는 마커(17)이 제공되어, 헤드 카트리지의 기록 헤드에 의해 기록 위치 또는 설정된 위치를 판독할 수 있게 해준다. 참조 번호(19)는 헤드 카트리지(9)에 대한 전기 접속부를 나타내기 위한 지지판이다. 참조 번호(21)은 본체 디바이스의 제어 장치에 대한 전기 접속부를 위한 유연성 케이블이다.
참조 번호(23)은 화살표 S 방향으로 캐리지(11)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축이고, 이 안내축은 캐리지(11)의 베어링(25)를 통해 삽입된다. 참조 번호(27)은 화살표 S 방향으로 캐리지(11)을 이동시키도록 원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캐리지(11)이 고정되어 있는 타이밍 벨트이고, 이 타이밍 벨트는 장치의 양측 상에 배치된 풀리(pulley; 29A, 29B)들 주위에서 연장된다. 1개의 풀리(29B)에 대해서, 구동력은 기어와 같은 전달 메카니즘을 통해 캐리지 모터(31)로부터 전달된다.
참조 번호(33)은 종이와 같은 기록 매체의 기록면을 규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록시에 기록 매체를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 롤러이고, 이러한 반송 롤러는 반송 모터(35)에 의해 구동된다. 참조 번호(37)은 기록지를 용지 공급 트레이로부터 기록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용지 팬이고, 참조 번호(39)는 기록지를 반송 롤러(33)에 대해 압착시키는 동안에 기록지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롤러이며, 공급 롤러는 기록지를 공급하는 과정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참조 번호(34)는 헤드 카트리지(9)의 토출구에 대향하고 있는 동안에 기록 매체의 기록면을 규제하기 위한 가압판(platen)이고, 참조 번호(41)은 용지 배출구(도시안됨) 내에 기록지를 배출하기 위해, 기록지의 반송 방향으로 기록 위치의 하류측에 배치된 용지 배출 롤러이다. 참조 번호(42)는 용지 배출 롤러(41)로 치우치는 기록지의 반송력을 생성하도록 기록지를 개재해서 롤러(41)을 압착시키기 위해 용지 매출 롤러(41)에 대응하여 제공된 스퍼이다. 참조 번호(43)은 공급 롤러(39), 압력판(45) 및 스퍼(42) 각각에 가해진 힘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레버이다.
참조 번호(45)는 기록 위치 부근에서 기록지의 플로팅을 억제하여 반송 롤러(33)에 대해 밀착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압력판이다. 본 실시예에서, 채택된 기록 헤드는 잉크의 토출에 의한 기록 실행을 위한 잉크젯 기록 헤드이다. 따라서, 기록 헤드의 토출구 형성면과 기록지의 기록면과의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작고, 따라서 토출구 형성면과 기록지와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엄격히 관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압력판(45)의 배치가 효과적이다. 참조 번호(47)은 압력판(45) 상에 제공된 스케일이다.
참조 번호(51)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홈 위치에서 기록 헤드의 잉크 토출구 형성면과 대향되어 있는 캡이며, 이 캡은 기록 헤드에 대해서 접촉 또는 이탈되도록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캡(51)은 비기록시에는 기록 헤드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거나, 기록 헤드의 흡인 회복 처리를 실행시킬 때에 사용된다. 흡인 회복 처리에는, 캡(51)을 토출구 형성면에 대향 배치시켜, 잉크 토출구 내부쪽에 제공된 잉크의 토출을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 발생 소자를 구동시키므로서 모든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포 또는 먼지, 기록에 부적합한 굳은 잉크 등과 같은 토출 불량 요인을 제거시키는 예비 토출 처리와, 토출구 형성면이 캡(51)로 커버된 상태에서 토출구를 통해 잉크를 강제로 토출시키므로서 토출 불량 요인을 제거시키는 처리가 있다.
참조 번호(53)은 잉크의 강제 토출을 위한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펌프이고, 이는 강제 토출의 흡인 회복 처리 또는 예비 토출의 흡인 회복 처리시에 캡(51) 내로 보내진 잉크를 흡인하는 데 유용하다. 참조 번호(55)는 흡인에 의해 토출된 폐잉크를 저장하기 위하 폐잉크 탱크이고, 펌프(53)은 튜브(57)을 통해 폐잉크 탱크(55)와 연결된다.
참조 번호(59)는 기록 헤드의 토출구 형성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 부재와 같은 블레이드이고, 이 블레이드는 헤드 이동시에 와이핑을 실행시키도록 기록 헤드 쪽으로 돌출되는 제1 위치, 블레이드(59)가 클리닝되는 제2 위치 및 블레이드가 토출구 형성면과 계합되지 않은 후퇴 위치 중 어느 한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캠 메카니즘(63)은 모터(61)로부터 전달된 동력원을 수신함에 따라 펌프(53)을 구동시켜 캡(51) 및 블레이드(63)을 이동시킨다. 또한, 블레이드 크리너(49)는 제1 부재인 블레이드(59)를 클리닝시키기 위한 제2 부재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1)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번호(613)은 후술하는 것과 같은 롤러 스프링이고, 참조 번호(615)는 캐리지(11) 상의 고정구(617)에 조작 레버(15)를 부착시키기 위한 레버 패스너이며, 참조 번호(610)은 코일 스프링이다. 참조 번호(619)는 유연성 케이블(21)의 한 단부를 구성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된 유연성 기판(604)와 고무 패드(605)의 상단 연부를 지지판(19)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이며, 참조 번호(621)은 마찬가지로 하단 연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이다.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의 주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상기 구성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 카트리지(9)의 미장착시에 캐리지측의 유연성 기판(604)를 커버하고, 조작자의 손에 의한 접촉 또는 이에 의한 파괴 및 정전기력의 작용으로부터 유연성 기판(604)와 이에 연결된 본체측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기판 덮개(623)이 제공된다. 이러한 기판 덮개(623)은 하단 연부측 상에 있는 기판 고정 부재(621)의 핀(621A)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참조 번호(625)는 유연성 기판(604)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기판 덮개(623)을 회전적으로 밀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고, 참조 번호(627)은 헤드 카트리지(9)의 장착시에 기판 덮개(623)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이다.
제4도는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참조 번호(49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하에 헤드 카트리지(9)를 와이핑하므로서 블레이드(59)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 크리너이다. 특히, 예를 들면, Rubycerclean(Toyo Polymer Co., Ltd)가 사용될 수 있다. 블레이드 크리너(49a)에는 캐리지(11)과 일체로 형성된 크리너 홀더부(49b) 상에 제공된 2개의 돌기부들 위에 고정 배치된 둥근 홀 및 둥글고 긴 홀이 제공된다. 참조 번호(49d 및 49e)는 잉크 저장소인데, 이들은 블레이드 크리너(49a)에 의해 와이핑된 넘치는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 부재들이다. 특히, 예를 들면 Hatosheet(상표명, Honshu Paper Co., Ltd.)가 사용될 수 있다. 참조 번호(49a, 49d 및 49e)들은 흡수 부재와 같은 특성을 갖는 부재들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약 4.5g의 잉크를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다. 참조 번호(49c)는 상기 부재(49a, 49d 및 49e)들을 보유 및 고착시키기 위한 크리너 홀더 리드이며, 하부에 제공된 클로는 캐리지(11) 상에 제공된 홀 내에 고정되고 2개의 나사에 의해 각각 캐리지(11)에 고착된다.
제5도는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헤드 카트리지(9)를 와이핑하는 블레이드(59)는 헤드 카트리지(9)로부터 떠나는 순간에 잉크를 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잉크는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의 측면에 수용되고, 이에 부착되어, 장치 내의 다른 부분들을 거의 오염시키지 않는다. 참조 번호(49f)는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 내에 제공된 홈(trough)이다. 장치의 사용이 계속되고 부착된 잉크량이 증가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잉크는 아래로 떨어진다. 홈(49f)는 캐리지(11) 위에서 잉크가 화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부착 잉크가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49g)는 홈(49f) 내에 저장된 잉크를 블레이드 크리너(49a)의 잉크 저장소(49d, 49e)들로 유도한다.
제6a도는 캡(51), 펌프(53), 블레이드(50). 모터(61) 및 캠 메카니즘(63)으로 구성된 회복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번호(501)은 캡(51) 내에 배치된 잉크 흡수 부재이고, 참조 번호(503)은 캡(51)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이며, 참조 번호(505)는 핀(507)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핀(507)에 가해진 힘에 의해 캡(51)을 토출구 형성면에 접촉 또는 이탈시키기 위한 캡 레버이다.
제6b도는 캡(51)의 구성을 도시한다. 캡(51)은 흡수 부재(501)의 낙하 또는 유지 위치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리브(rib; 51b)를 포함한다. 참조 번호(51a)는 헤드의 표면을 견고하게 커버하기 위해 캡(51) 상에 제공된 리브이다. 참조 번호(51c)는 캡으로부터 펌프(53)으로 유도되는 잉크 흐름 통로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캡 내의 잉크가 퇴적되도록 잉크 흐름 통로(51c)가 수직 하향 배치되기 때문에, 잉크는 펌프 작동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캡 내의 흡수 부재(501)은 잉크 흐름 통로(51c)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펌프 동작에 의해, 펌프로부터 캡으로 잉크가 일시적으로 역류되더라도, 헤드 내의 잉크의 이동은 최소한도로 억제될 수 있다.
제6a도에 있어서, 참조 번호(511)은 캡 레버(505)의 단부 (509)와의 계합에 의한 캡 레버(505)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핀이다.
참조 번호(513)은 캡 레버(505)의 핀(507)이 고정되어 있는 보어를 갖고 있으며, 펌프(53) 상에 제공된 지지부(515)에 캡 레버(505)를 부착시키는데 유용한 지그(jig)이다. 참조 번호(510)은 장착 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고정구 부재이다. 참조 번호(517)은 토출구 형성면에 접촉되도록 캡(51)에 힘을 가해서 캡(51)의 후측부의 거의 중앙에 계합시키기 위한 작용부이다. 이 작용부는 흡인된 잉크를 위한 토출구를 갖고 있고, 잉크 흐름 통로는 캡 레버(505)의 내부, 핀(507)의 내부, 지그(513)의 내부 및 지지부(515)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53)이 흡인력을 가하면,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는 이들 잉크 흐름 통로를 통해 펌프(53) 내로 유도된다.
참조 번호(519)는 펌프(53)의 단부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잉크 흐름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펌프 지지판(52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축이다. 펌프(53)의 회전력은 지지부(515)를 통해 캡 레버(505)로 가해짐에 따라, 캡(51)은 진퇴된다.
참조 번호(521)은 펌프 축(519)에 연결되는 흐름 통로 형성 부재이고, 폐잉크 시일이라고 칭해진다. 참조 번호(523)은 튜브(57)의 고정구 부재이고, 폐잉크 캡이라고 칭해진다. 즉, 잉크 흐름 통로는 축(519), 폐잉크 시일(521) 및 폐잉크 캡(523) 내부에 형서되므로,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53)에 의해 흡인된 잉크는 튜브(57)을 거쳐 이들 흐름 통로를 통해 제1도의 잉크 탱크(55) 내로 유도된다.
참조 번호(525)는 펌프(53)의 피스톤이고, 참조 번호(527)은 그 축으로 되어 있는 피스톤 축이며, 참조 번호(529)는 팩킹이고, 참조 번호(531)은 펌프(53)의 캡이다. 참조 번호(533)은 피스톤 축(527)에 부착되어, 피스톤(525)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의 전달을 수용하는 핀이다. 참조 번호(535)는 블레이드(59)에 부착된 블레이드 레버이고, 이는 펌프(53)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한 축의 주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을 따라 블레이드(59)를 기록 헤드로 또는 이로부터 돌출 또는 후퇴시킨다. 참조 번호(537)은 블레이드 레버(535)에 대해 블레이드(59)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시키기 위한 인장(tension)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참조 번호(539)는 기록 헤드 측으로 향하는 캡(51)의 방향으로 펌프(53)을 회전시키기 위한 인장 코일이다.
참조 번호(541)은 모터(61)의 회전을 캠 메카니즘(63)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 트레인이다. 캠 메카니즘(63)은 펌프(53) 상에 제공된 계합부(545)를 계합 및 회전시키기 위한 캠(547), 피스톤 축(527) 상에 제공된 핀(533)을 계합시키고 펌프를 회전시키기 위한 캠(549), 블레이드 레버(535) 상에 제공된 계합부(551)을 계합 및 회전시키기 위한 캠(553), 및 캠 메카니즘(63)의 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555)에 계합하는 캠(557)을 포함한다. 이들 캠의 동작은 제12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7도는 폐잉크 시일(521)을 상세히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폐잉크 시일(521)의 재료는 NBR이다. 이것의 외형은 거의 원통형이지만, 어느 부분(521a)은 역 장착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 형태이고, 그 반대측(521b)은 내부에 잉크 흐름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형이다. 평평한 형태는 부품의 성형 공정에서 마무리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폐잉크 캡(523)에는 외형에 있어서 유사하고 폐잉크 시일(521)보다 약간 작은 홀이 제공되고, 그 내부에 폐잉크 시일(521)이 삽입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폐잉크 시일(521)의 잉크 흐름 통로(52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잉크 흐름 통로가 제공되어, 도시안된 튜브(57)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것은 폐잉크 시일(521)의 평면(521b)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된다. 또한, 이는 평면의 마무리 가공 레벨을 높이기 위해서 유리한 형태로 되어 있다.
폐잉크 시일(521)의 내경은 펌프 축(519)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펌프 축(519)는 펌프 지지판(52) 내로 삽입되어 지지되며, 펌프 지지판(520)으로부터 돌출된다.
내부에 폐잉크 시일(521)이 삽입되어 있는 폐잉크 캡(523)이 스냅-인 작동에 의해 펌프 지지판(520)에 부착되고, 폐잉크 시일(521)의 내경과 펌프 축(519)의 외경이 끼워져 흐름 통로를 완성한다.
제8도는 폐잉크 탱크(55)의 분해 사시도이다.
참조 번호(55a)는 폐탱크이고, 참조 번호(55b)는 폐탱크 리드이며, 참조 번호(55c)는 통기막이고, 참조 번호(55d)는 탱크 흡수 부재이다.
먼저, 통기막(55c)는 폐탱크 리드(55b)에 초음파 용착된다. 다음에, 탱크 흡수 부재(55d)는 폐탱크(55a) 내에 배치되고, 폐탱크 리드(55b)는 초음파 용착되어, 폐잉크 탱크(55)을 완성한다.
제9a도는 통기막(55c)의 초음파 용착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통기막(55c)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Microtex(상표명, Nitto Denko Co., Ltd.)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의 상부는 용착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α는 용착을 위한 수용 지그이고, β는 용착 혼(welding hone)이다. 수용 지그는 폐탱크 리드(55b)를 수용하지만, 통기막을 위한 개구부의 일부는 오목 형태로 되어 있다. 그 높이는 폐탱크 리드(55b)의 두께보다 약간 낮고, 혼 β가 최하점에 이를 때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다. 오목부의 효과로 인해, 용착시에 개구부의 공간으로 삐져 나가 생길 수 있는 통기막(55c)의 주름이 감소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폐탱크 리드(55b)의 용착부에는, 높이가 약 0.5mm이고, 폭이 약 1 mm인 용착 리브(55e)가 제공된다. 또한, 그 상부 정점들이 통기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모따기된다(chamfer).
통기막(55c)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두께가 수 10 ㎛인,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로 만들어진 다공질막(55f)이고, 다른 하나는 두께가 수 100 ㎛이고, 2개의 층들로 적층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 네트(55g)이다. 초음파 용착은 폴리프로필렌 네트(55g)를 혼 β와 직면하게 한다.
제9b도는 제9a도의 용착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용착 리브(55e)와 폴리프로필렌 네트(55g)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로 만들어진 다공질막(55f) 내로 침입된 상태, 즉 용착된 상태에서 혼 α의 진동에 의해 용해된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로 만들어진 다공질막(55f)는 매우 얇고 약하지만, 폴리프로필렌 네트(55g)를 통한 진동 때문에, 손상은 작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네트(55g)가 폐잉크 탱크(55)의 외측으로 향하기 때문에, 통기막이 조립시에 접촉되더라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로 만들어진 다공질막(55f)는 손상이 작다.
제10도는 워드프로세서 내에서 폐잉크 탱크(55) 및 회복 장치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워드프로세서의 하부 케이스(7) 상에서, 키보드(1) 및 프린터 장치는 사용자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배치된다. 하부 케이스(7)의 좌측 배면 상에는 리브(7a)에 의해 둘러싸인 폐잉크 탱크 공간이 제공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폐잉크 탱크(55)가 배치된다. 폐잉크 탱크의 공간의 저면 또는 배면 상에서 루버(louver; 7b)가 개방되므로, 폐잉크 탱크(55)의 밀폐성이 불충분하여, 폐잉크의 누출이 발생되더라도, 폐잉크는 장치 내의 전기 부품들과 접촉없이, 워드프로세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프린터 장치의 회복 장치는 폐잉크 탱크 공간 상에 직접 배치되고, 회복 장치 하부의 샤시에는 개구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폐잉크 탱크(55)가 캡(51)로부터의 폐잉크가 넘치게 채워지더라도, 폐잉크는 장치 내에서 전기 부품들과 접촉되는 위험없이, 워드프로세서 외부로 유도된다.
제11도는 캡(51)로부터 폐잉크가 넘칠 때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폐잉크 탱크(55)가 채워지는 상태에서 흡인 동작이 행해지면, 헤드 카트리지(9)로부터 흡인된 잉크는 수용 용량이 모자라기 때문에 캡(51)로부터 넘쳐서 펌프(53)으로 떨어진다. 개구부는 회복 장치 부품의 저면 상에 제공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샤시 내에도 개구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폐잉크는 폐잉크 탱크 공간으로 떨어지고, 루버(7b)에 의해 워드프로세서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회복 장치의 특정 동작은 제12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2도는 회복 장치의 특정 동작을 나타내는 캠 차트이다. 4개의 동작 포인트가 제공되는데, 이들은 회복 홈 위치 검출 스위치(H.P.SW)(제6a도), 캡(51), 펌프(53) 및 블레이드(59)를 포함한다. 상기 회복 장치의 동작 이외에도, 회복 동작의 설명에 있어서는, 헤드 카트리지(9) 및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가 조합된 캐리지(11)의 이동이 관련되어 있다. 회복 홈 위치 검출 스위치(55)는 캠 차트 상의 (B) 상태에서 스위치 off 상태로 되는 36.6˚내지 54.1˚의 범위 이외에는, 스위치 on 상태로 된다.
캡(51)은 40˚내지 145˚의 범위에서 on으로 표시되는 헤드 카트리지(9)에 대한 당접 상태이고, 그 이외에는 off로 표시되는 이탈 상태이다.
제13a도 내지 제13e도는 회복 장치 내의 펌프(53)의 동작 상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면은 인식을 쉽게 하기 위해, 구성 각 부분의 단면에서의 해칭을 제거한다.) 펌프(53)의 상태는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제6a도에 도시된 캠(549)가 핀(533)을 작동시키지만, 제13a도 내지 제13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중요한 5개의 위치들이 제공된다. 제13a도는 상사점(upper dead center)이라 칭해지는 위치를 나타내고, 제13b도는 하사점(lower dead center)이라 칭해지는 위치를 나타내며, 제13c도는 제12도의 캠 차트 상에서 (C)로 표시된 상태에서 흡인 후의 정지 위치를 나타낸다. 제13d도는 캠 차트 상에서 (H)로 표시된 상태에서 공흡인(idle suction)을 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는 공흡인 준비 위치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제13e도는 캠 차트 상에서 (G)로 표시된 상태에서 공흡인 후의 정지 위치를 나타낸다.
제14도는 본 실시예에서 회복 장치 내의 블레이드(59)의 off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것은 블레이드가 헤드 카트리지(9) 및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로부터 완전히 물러난 상태이며, 이는 제12도의 캠 차트 상에서 off로 표시된다.
제15도는 블레이드(59)의 on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것은 헤드 카트리지(9)가 와이핑도리 수 있는 위치이며, I로 표시된 침입량은 약 1 mm이다. 이러한 상태는 제12도의 캠 차트 상에서 on으로 표시된 (J) 위치에서 발생된다.
제16도는 블레이드(59)의 클리닝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것은 on 상태로부터 헤드 카트리지(9) 또는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으로 다시 돌출하는 상태인데, 이는 제12도의 캠 차트 상에서 클리닝으로 표시된 (I) 위치에서 발생한다. 캐리지(11)은 블레이드(59)을 클리닝 상태로 해서 동작되고,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가 블레이드(59)에 대해 압착됨에 따라, 잉크가 블레이드(59)의 상단부에서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59)의 넓은 영역에서도 제거될 수 있다.
제17도는 회복 장치에 대한 캐리지(11)의 캡핑 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회복 장치 및 헤드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이것은 헤드 카트리지(9)의 잉크 토출구가 캡(51)의 전면에서 마주보는 위치이므로, 캡(51)이 접촉해서 보호하거나, 펌프(53)과 연동해서 잉크를 흡인하다. 이러한 위치는 캡핑 위치라고 칭해진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는 캐리지(11) 상에 헤드 카트리지(9)의 좌측으로 수 mm 떨어져서 배치된다. 또한,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의 상단부(화살표 A)는 헤드 카트리지(9)의 상단부(화살표 B)와 거의 같은 높이에 있다. 이것은 블레이드 클리닝의 성능을 최대화시키고 인쇄 중에 간섭에 의해 기록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복 장치가 캐리지(11)의 위치에서 캡핑 상태에 놓이게 되며, 회복 장치의 잠금 메카니즘은 작동되어, 캐리지(11)의 이동을 작은 범위로 규제한다.
제18도는 본 실시예의 회복 장치에 대한 제17도의 캐리지(11)의 와이핑 준비 위치를 도시한다. 이것은 블레이드(59)가 헤드 카트리지(9)의 와이핑을 준비하기 위해 on 상태로 되는 위치이다. 도면에서, 블레이드(59)가 먼저 on 상태로 되므로, 이 상태에서 캐리지(11)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와이핑은 실행된다. 이러한 위치는 와이핑 준비 위치라고 칭해진다.
제19도는 회복 장치에 대한 제17도의 캐리지(11)의 블레이드 와이핑 위치를 도시한다. 이것은 헤드 카트리지(9)의 와이핑이 완료되고, 다음에 블레이드 클리닝을 실행시키기 위해 블레이드(59)가 클리닝 상태에 있는 위치이다. 도면의 블레이드(59)는 이미 클리닝 상태에 있으므로, 캐리지(11)이 이 상태에서 우축으로 이동하면, 블레이드 클리닝은 실행된다. 이 위치는 블레이드 클리닝 준비 위치라고 칭해진다.
와이핑시에, 블레이드(59)가 헤드 카트리지(9)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일시에 해제되기 때문에 블레이드(59)에 부착된 잉크가 좌측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잉크는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에 의해 수용될 수 있으므로, 프린터 장치의 외부까지 비산되는 잉크량은 매우 작게 된다.
제20도는 회복 장치에 대한 제19도의 캐리지(11)의 블레이드 크리너 완성 위치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가 블레이드(59)로부터 좌측으로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 위치에서, 블레이드 클리닝이 완료된다. 블레이드(59)가 이 상태로부터 스위치 off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잉크의 비산은 방지된다. 이러한 위치는 블레이드 클리닝 완료 위치라고 칭해진다.
제21도는 본 실시예의 상기 구성에 의한 기록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캐리지(11)의 캡 위치 또는 이동 위치는 회복 홈 센서(65) 또는 캐리지 홈 센서(67)의 검출 값에 기초하여 알 수 있다. 동일 도면에서, 마이크로 컴퓨터(999)를 구성하는 MPU(1000)은 제어 절차를 실행시키고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므로서 각각 유니트를 제어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ROM(1001)은 각각의 제어 절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1002)는 제어 절차를 수행하는 작업 영역으로 사용된다. 또한, 참조 번호(1003)은 클럭킹을 위한 타이머이다.
제22a, 22b 및 제23도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MPU(1000)의 제어하에 회복 장치 및 캐리지(11)에 의해 실행될 토출 성능 회복 처리(이후, 클리닝)를 위한 동작 순차의 한 예가 도시된다. 도면에서 회복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의 좌측의 알파벳 (A) 내지 (J)는 제12도의 캠 차트에서의 것들과 대응한다.
먼저, 캐리지(11)이 캡(51)의 전면에 배치되는 캡핑 위치(이후, 캐리지 위치)에서, 회복 위상은 캡핑 상태(단계 S1)로부터 개시된다. 그 다음에, 캐리지 초기화가 실행되어 캐리지 홈 위치를 설정한다. 캐리지 초기화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된다. 이것은 상술한 캡핑 상태시에 캐리지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회복 시스템의 잠금 메카니즘을 정확히 작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후속적으로 수행되는 와이핑 동작중에 캐리지(11)의 위치 선정을 정밀하게 하기 위해 실행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독립적인 공흡인을 실행한다(단계 S3).
단계 S3에서, 동작은 (C) 상태로 복귀되므로, 53으로 부압(negative pressure)이 발생해서 헤드 카트리지(9)가 잉크를 흡인하게 한다. 동작은 이 상태에서 3 초간 정지되어(단계 S5), 잉크의 이동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한다.
흡인 완료 후에, 동작은 (D) 상태로 이행되며(단계 S6), 캡(51)은 작은 공흡인을 수행하는 동안, 반만 개방된다. 흡인을 약하게 하면, 캡(51) 내에 남아 있는 잉크는 캡이 개방될 때 펌프(53)으로 떨어지므로, 회복 장치 외부에는 잉크가 떨어지지 않는다. 다음 1 초간의 정지(단계 S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은 공흡인을 확실하게 실행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동작이 (F) 상태로 이행되면(단계 S8), 캡(51)이 완전 개방되고, 예비 토출이 실행된다(단계 S9). 본 실시예에서는, 500 Hz의 구동 주파수에서 노즐당 100번의 예비 토출이 행해진다.
그 다음,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흡수된 잉크를 헤드 카트리지(9)로 부터 폐잉크 탱크(55)로 공급하기 위한 공흡인 공정 이전에, 캐리지(11)은 블레이드 클리닝 준비 위치로 이동되어(단계 S10), 캡(51)의 전면으로부터 헤드 카트리지(9)와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를 후퇴시킨다. 이것은 공흡인 공정 중에 캡(51)로부터 잉크가 소량으로 비산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헤드 카트리지(9)와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의 오염을 방지한다.
그 다음, 동작은 공흡인 공정으로 들어간다. 먼저, 동작은 공흡인 준비 위치(단계 S11)로 이행되고, 이로부터 (G)의 중간 공흡인 위치로 이행되며, 0.3 초간의 정지(단계 14)된 다음에, 동작은 계속하여 3회 반복된다. 4번째 공흡인에서, 동작은 (E)의 큰 공흡인 위치로 이행되며(단계 S17), 피스톤(52)는 이 위치에서 하사선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펌프(53) 내의 잉크는 폐잉크 탱크(55) 내로 충분히 공급된다.
그 다음에, 회복 시스템은 (A) 상태로 이행되고(단계 S19), 캐리지는 캡(51)이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핑 준비 위치로 이동된다(단계 S20). 여기에서, 회복 시스템은 (J) 상태로 되어(단계 S21), 블레이드(59)를 와이핑 가능 상태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캐리지 위치는 블레이드 클리닝 준비 위치로 이동되며(단계 S22), 블레이드(59)는 헤드 카트리지(9)의 표면을 와이핑한다. 또한, 회복 시스템은 캐리지 위치에서 (I) 상태로 되어(단계 S23), 블레이드(59)를 블레이드 클리닝 위치로서 한 단계 더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캐리지 위치는 블레이드 클리닝 완료 위치로 이동되며(단계 S24), 블레이드(59)는 클리닝된다.
최종적으로, 회복 시스템은 (A) 상태로 되어 (단계 25), 블레이드(59)를 off시키며, 캐리지 위치는 캡핑 위치로 복귀된다(단계 S26). 그 다음, 회복 시스템은 (B) 상태로 되며(단계 S27), 캡핑은 폐쇄되어 종료된다.
제24도는 제21도의 MPU(1000)의 제어하에 회복 장치 및 캐리지(11)에 의해 실행될 와이핑 동작 순차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와이핑에는 블레이드(59)를 클리닝하는 동작 외에, 헤드 카트리지(9)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동작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블레이드(59)에 부착된 잉크가 와이핑의 목적에 상반되게 헤드 카트리지(9)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우수한 와이핑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회복 시스템은 캐리지(11)이 캡(51)의 전면에 대향하는 캡핑 위치에서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A)의 캡 개방 상태로부터 개시되며(단계 S28), 캐리지 위치는 와이핑 준비 위치로 이동된다(단계 S29). 여기에서, 회복 시스템은 (J) 상태로 되며, 블레이드(59)는 와이핑 가능 상태로 돌출된다. 그리고, 캐리지 위치는 블레이드 클리닝 준비 위치로 이동되며(단계 S31), 블레이드(59)는 헤드 카트리지(9)의 표면을 와이핑한다. 또한, 회복 시스템은 캐리지 위치에서 (I) 상태로 되어(단계 32), 블레이드(59)를 블레이드 클리닝 위치로서 한 단계 더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캐리지 위치는 블레이드 클리닝 완료 위치로 이동되며(단계 S33), 블레이드(59)는 클리닝된다.
최종적으로, 회복 시스템은 (A) 상태로 되어 (단계 34), 블레이드(59)를 off시키며, 캐리지 위치는 캡핑 위치로 복귀된다(단계 S35). 그러므로서, 회복 동작은 종료된다.
제25도는 제21도의 MPU(1000)의 제어하에 회복 장치 및 캐리지(11)에 의해 실행될 독립적인 공흡인 동작 순차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독립적인 공흡인 동작은 인쇄 동작 중에 예비 토출에 의한 캡 내에 축적된 잉크를 제거하며, 또한 헤드를 캡 내의 잉크 또는 캡에 부착된 잉크와 접촉시키지 않도록 잉크를 폐잉크 탱크(55)로 공급시킨다.
먼저, 회복 시스템은 캐리지(11)이 캡(51)의 전면에 대향하는 캡핑 위치에서 (A)의 캡 개방 상태로부터 개시된다(단계 S36). 그 다음, 캐리지는 블레이드 클리닝 준비 위치로 이동되어(단계 S37), 캡(51)의 전면으로부터 헤드 카트리지(9)와 블레이드 크리너 장치(49)를 후퇴시킨다. 그 다음, 캐리지 위치는 공흡인 준비 위치로 이동된 다음(단계 S38), 중간 공흡인 위치 (G)로 이동되며(단계 S39), 0.3 초간의 정지 이후에(단계 S40), 한번의 중간 공흡인이 실행된다. 그 다음, 회복 시스템은 다시 (H)의 공흡인 준비 상태로 되고(단계 S41), 이로부터 (E)의 큰 공흡인 위치까지 이동되며(단계 S42), 0.3 초간 정지된다(단계 S43). 이 위치에서, 피스톤(525)는 하사점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펌프(53) 내의 잉크는 폐잉크 탱크(55) 내로 충분히 공급된다.
최종적으로, 회복 시스템은 (A) 상태로 되어 (단계 44) 캡을 개방시키고, 캐리지 위치는 캡핑 위치로 복귀로 복귀된다(단계 S45). 그러므로서, 회복 동작은 종료된다.
제26, 27, 28 및 29도는 본 실시예의 기록 동작 순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와이핑 및 독립적인 공흡인은 이미 제24도 및 제25도에서 각각 도시되었고, 설명되었다.
단계 S101에서는, 전원이 on되고, 회복 시스템은 먼저, 홈 위치 (A) 상태로 설정된다(단계 S52). 이러한 상태는 캡(51) 및 블레이드(59)가 헤드 카트리지(9)로부터 후퇴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캐리지(11)의 이동이 자유로워진다. 그 다음, 단계 S53에서는, 캐리지 초기화(추후 설명)가 수행되어, 캐리지(11)을 홈 위치, 또는 캡(51)의 전면에 대향하는 캡핑 위치로 설정한다. 그 다음, 제25도의 독립적인 공흡인이 캡의 폐쇄 이전의 공흡인으로서 실행된다.
차트에서의 N1은 독립적인 공흡인의 초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예비 토출들의 수에 대한 계수이다. 단계 S54에서는, N1은 재설정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잉크 탱크(55)의 잉크 수용 상태는 단계 S56에서 검사된다. 단계 S57 및 S58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클리닝 동작 순차가 수행된다.
기록 신호가 단계 S59에서 입력되고, 용지는 단계 60에서 공급되며, 캡(51)은 단계 S61에서 개방되고, 캐리지 초기화는 단계 S62에서 수행되며, 와이핑은 단계 S63에서 실행되고, 예비 토출은 단계 S64에서 실행된다. 그 다음, N1은 +1씩 증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을 위한 예비 토출이 매 30초마다 실행되며, 타이어 T1은 이 시간을 관리한다. 예비 토출이 실행된 후에, 타이어 T1은 단계 S65에서 재설정되고, 다음 예비 토출을 준비하기 위해 개시된다. 또한, 단계 S78에서 한 라인분의 기록이 실행된다.
단계 S79에서는, 기록 후에, 매번, 타이어 T1의 값이 30초를 초과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동작은 단계 S80 및 S81, 마찬가지로 단계 S64 및 S65, 그 다음 단계 S82로 이행된다. 반면에, 부정 판정이면, 동작은 직접 단계 S82로 이행된다. 즉, 이러한 흐름을 통해, 기록 중에 예비 토출이 매 30초마다 실행된다. 단계 S82에서는, 계수 N1의 값이 8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긍정 판정이면, 단계 S83에서 한 페이지의 기록 중에 독립적인 공흡인이 실행된다. 이 겅우, 제25도에 도시된 절차가 개시된다. 그 후, 계수 N1은 재설정되고, 단계 S84에서 다시 개시되며, 동작은 단계 S85로 이행된다. 단계 S82에서 부정 판정이 되면, 동작은 직접 단계 S85로 이행된다.
단계 S85에서는, 한 페이지의 기록이 종료된 후에, 다음 페이지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이 부정이면, 동작은 단계 S86으로 이행되어, 인쇄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에서 판정이 긍정이면, 기록의 종료에 대한 END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이 부정이면, 동작은 단계 S78로 복귀되어, 다음 라인의 기록을 실행한다. 이러한 동작은 기록이 완료될 때까지 한 페이지 내에서 반복된다.
반면에, 단계 S88에서 입력된 기록 신호가 없으면(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 내에서의 처리가 시간이 걸리면), 동작은 단계 S66으로 이행되며, 이 경우 선정된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30초) 동안에 입력된 기록 데이타가 없으면, 캡핑시에 유용한 타이어 T2가 재설정되고 다시 개시된다. 그 다음, 단계 S67에서는, 소정의 기록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이 긍정이면, 동작은 단계 S78로 복귀되어, 다음 라인의 기록을 실행한다.
반면에, 판정이 부정이면, 단계 S68에서 타이어 T2의 클럭킹 계수가 30초를 초과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이 부정이면, 동작은 단계 S69로 이행되며, 이 경우 END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동작은 단계 S67로 복귀된다. 30초가 경과될 때까지, 이러한 루틴은 주기적으로 계속해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단계 S68에서 판정이 긍정이면, 즉 기록 데이터를 갖지 않는 상태가 30초를 초과하면, 동작은 단계 S70으로 이행되고, 이 경우 캡의 폐쇄 이전에 공흡인이 실행되며, 그 다음, 단계 S71에서는 N1이 재설정되어 개시된다. 그 후, 동작은 단계 S72로 이행되어 와이핑을 실행하고, 단계 S73으로 이행되어 캡(51)을 폐쇄한다. 그 다음, 단계 S74에서 END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동작은 단계 S75로 이행되어, 기록 신호의 존재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이 부정이면, 동작은 단계 S74로 복귀된다. 그러므로서, 루틴은 기록 신호가 도착할 때까지 순환되며, 캡(51)이 폐쇄되는 상태에서 동작은 대기된다. 단계 S75에서 판정이 긍정이면, 즉 기록 신호가 도달하면, 단계 S76에서 캡(51)은 개방된다. 그 다음, 동작은 단계 S63으로 복귀된다. 또한, 기록은 기록의 개시때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 재개시된다.
또한, 단계 S85에서 다음 페이지 지시가 입력되면, 단계 S87에서 캡의 폐쇄이전에 공흡인이 실행된다. 단계 S88에서, 계수 N1이 재설정되어 다시 개시되고, 단계 S89에서,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핑 동작은 실행된다.
그 다음, 단계 S90에서, 캡(51)은 폐쇄되고, 단계 S91에서 기록지가 배출된다. 동작은 단계 S57로 복귀되어 다음 기록 신호를 대기한다.
단계 S77 또는 S74에서, END 신호가 검출되면, 단계 S92의 종료 동작이 실행된다. 제2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처리는, 캐리지 초기화 독립 공흡인(단계 S93, S94), 계수 N1이 재설정, 재개시(단계 S95), 와이핑(단계 S96), 캡(51)의 폐쇄(단계 S97), 및 기록지의 배출(단계 S98)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들을 요약하면, 예비 토출이 먼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예비 토출은 와이핑 후, 및 기록 개시 직전에 실행되고, 그 후, 매 30초마다 예비 토출이 실행된다. 또한, 캡핑이 기록 중에 실행되면(예를 들어, 기록 신호가 30초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지 않은 중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예비 토출은 또한 와이핑 후에 및 기록의 재개시 직전에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잉크가 예비 토출에 의해 캡(51) 내에 남는다. 따라서, 예비 토출의 반복시에, 캡 내에 축적된 잉크를 폐잉크 탱크(55)로 보내기 위해 독립적인 공흡인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독립 공흡인이다. 기본적으로, 반복된 예비 토출로 인해 잉크가 캡(51) 내에 축적되면, 캡(51)은 폐쇄되고, 클리닝 동작이 실행되기 직전에, 독립적인 공흡인이 수행된다.
N1이 8보다 크거나 같으면, 즉 긴 기록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서에서, 인쇄 중에 페이지의 중간에서 공흡인(c)가 실행되면, 캡의 폐쇄 직전의 공흡인(d)가 캡의 폐쇄 직전에 실행되며, 클리닝 직전의 공흡인이 클리닝 동작 전에 실행된다. 또한, 기록 동작이 종료되면, 독립적인 공흡인이 항상 실행된다.
본 동작의 주 목적은 캡핑 또는 회복 동작시에 캡으로부터 헤드로 잉크의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제25도에서는 독립적인 공흡인이 2개의 흡인 공정으로 구성되지만, 4개의 흡인 공정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흡인 고정들의 수가 제한되지 않는다.
그 다음, 와이핑은 인쇄 개시 전에 및 캡이 캡핑 상태로부터 개방된 후에 반드시 실행된다. 또한, 이것은 기록 상태로부터 캡의 폐쇄 전에 반드시 실행된다.
헤드 카트리지(9)는 기록 중에 기록지 상에 노즐을 통해 잉크를 토출시키며, 잉크의 상당량이 표면 자체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기록 후에는, 와이핑으로 표면의 노즐 주변으로부터 잉크를 제거하여, 다음 기록을 준비하고, 잉크가 캡(5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으로부터 잉크에 의한 캡(51)의 오염은 방지되더라도, 예비 토출 또는 클리닝에 의해 캡(51)에 잉크가 약간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잉크는 캡이 캡핑 상태로부터 개방될 때 표면 상에 가끔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전에 와이핑에 의한 잉크의 제거가 필요하다.
다음에, 다양한 클리닝 동작들이 설명되는데, 이들은 폐잉크 탱크 상태 검사(단계 S56), 헤드 교체 클리닝(단계 S57), 및 자동 타이머 클리닝(단계 S58)을 포함하며,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신호 대기(단계 S59) 이후에 실행된다.
제30도는 폐잉크 탱크 상태 검사(단계 S56)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폐잉크 탱크 상태 검사는, 예비 토출 또는 흡인 동작과 같은 토출 회복 처리에 의해 기록 헤드로부터의 잉크가 정상적으로 수용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클리닝 동작들의 수를 계수하므로서 실행된다.
특히, 클리닝 동작당 잉크 토출량과 폐잉크 탱크 내에 수용가능한 잉크량으로부터 허용되는 클리닝 회수를 미리 구하고, 현시점까지의 클리닝 동작들의 누적된 회수 R0와 허용되는 회수를 비교하므로서 폐잉크의 정상적인 수용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의 허용가능 회수는 950회와 1000회이다. 잉크의 토출을 수반하는 클리닝 동작이 수행될 때마다 클리닝의 회수가 계수되고 누적되어, 그 결과는 EEPROM과 같은 불휘발성 데이터 보유 수단(1005)에 저장된다. 즉, 첫 번째로, 누적된 클리닝 수 R0는 데이터 보유 수단(1005)로부터 판독된(단계 S100) 다음에, 제1 허용가능 클리닝 수와 비교된다(단계 S101).
여기에서, 폐잉크의 정상적인 수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R0가 제1 허용가능 클리닝 수보다 작으면, 이러한 루틴은 종료된다(단계 S106).
단계 S201에서, R0가 더 크면, R0는 제2 허용가능 클리닝 수와 비교된다(단계 S102). 여기에서, R0가 제2 허용가능 클리닝 수를 초과하면, 비정상적인 상태의 발생이 프린터 사용자에게 알려지고, 그 후에 프린터에 의한 기록 동작이 금지된다(단계 S104, S105). R0가 제2 허용가능 클리닝 수보다 작으면(단계 S102), 경고가 발생되고 동작은 종료된다.
폐잉크 탱크 상태 검사 후에, 헤드 교체 클리닝 동작으로 가입된다(단계 S57). 이러한 루틴은, 헤드가 다 소모되고 새로운 헤드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기록 동작 실시 전에 클리닝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은 기록 헤드의 노즐 또는 액실에 잉크가 채워지지 않은 경우의 기록 동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31도는 잉크 탱크와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1회용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다. 참조 번호(70)은 노즐부이며, 각각의 노즐에 대해 히터(도시안됨)가 배치되고, 이 히터로의 통전에 의해 잉크 방울은 노즐을 통해 토출된다. 참조 번호(71)은 각각의 노즐에 공급될 잉크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공통 액실이고, 참조 번호(72)는 칩 탱크로 칭해지는 잉크 탱크를 공통 액실(71)에 연결시키기 위한 튜브이다. 참조 번호(73)은 잉크 누출을 막기 위한 잉크 탱크 내의 스폰지이다. 참조 번호(74)는 먼지 또는 기포가 칩 탱크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이다. 헤드 카트리지가 장시간 동안 방치되어 있으면, 기포는 필터(74)부터 노즐부(70)까지의 잉크 경로로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 경로는 팽창되어 잉크가 다 채워지지 않게 된다. 또한, 수송 중에 진동이 헤드 카트리지에 가해지면, 유사한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히터부가 잉크로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히터로의 통전에 의한 공-가열(empty-heating) 상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발포(bubbling)가 정상적으로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공-가열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헤드 카트리지가 교체되어 장착되면, 클리닝 동작이 실행된다(단계 S57).
헤드 교체의 감지는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 카트리지 내에 배치된 전기적 접점을 CPU(1000)으로 모니터링하므로서 행해진다.
제33도는 단계 S57의 헤드 교체 동작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단계 S107에서, 헤드 교체가 감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진다. 교체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이러한 루틴은 즉시 종료된다. 교체된 것으로 감지되면, 클리닝 동작이 헤드 장착 상태에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진다(단계 S108).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동작이 헤드 장착 상태에서 실행되면, 클리닝 동작 후에 장착된 헤드는 다음 헤드 교체가 감지될 때가지 단색 헤드로 판단된다. 단색 헤드가 장착되면, 클리닝 동작에 수반되는 혼색 방지를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헤드 교체 클리닝 또는 자동 타이머 클리닝은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헤드없는 클리닝이 확정되면(단계 S108), 이 루틴은 종료된다. 단계 S108에서, 판정이 부정되면, 현재 클리닝 회수가 불휘발성 데이터 보유 수단으로부터 판독되어 +1씩 증분된 다음, 다시 불휘발성 데이터 보유 수단(1005)에 저장되는데, 이는 클리닝 동작들의 누적된 수를 계수하여, 클리닝 동작이 실행되기 전에 폐잉크 탱크의 정상적인 잉크 수용이 가능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다음, 단계 S110에서, 불휘발성 데이터 보유 수단에 저장된 이전의 헤드 장착 상태에서의 클리닝 실행 시간이 판독되고 갱신된 다음, 클리닝 수와 같게 불휘발성 데이터 보유 수단에 다시 저장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 타이머 클리닝을 실행한다. 단계 S111에서, 클리닝 동작이 실행되고, 이러한 루틴은 종료된다. 그 다음,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은 단계 S58의 자동 타이머 클리닝으로 이행된다.
제34도는 자동 타이머 클리닝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러한 자동 타이머 클리닝 동작은 공-가열 상태를 방지하도록 실행되는 데, 그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가 장시간 동안 프린터 상에 방치되어 있으면 잉크가 채워지지 않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의 클리닝 시간으로부터 72 시간 이상이 경과되면, 클리닝 동작이 실행된다. 먼저, 단계 S112 및 단계 S113에서, 현재 시간 및 이전 클리닝 동작 시간이 판독되고, 단계 S114에서, 이전 클리닝 동작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계산된다. 단계 S115에서는, 경과된 시간이 판정되며, 경과된 시간이 72 시간 이하이면, 이 루틴은 종료되고; 반면에 72 시간 이상이면, 동작은 단계 S11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16에서, 헤드없는 클리닝 동작이 실행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클리닝이 실행되었다면, 72 시가 S이상이 경과되었더라도, 클리닝은 행해지지 않고 종료된다. 단계 S116에서 판정이 부정이면, 클리닝들의 수는 계수되어(단계 S117) 폐잉크 탱크의 잉크 수용 상태를 판정하고, 클리닝 실행 시간이 갱신되며(단계 S118), 그 다음에 클리닝 동작이 실행된다(단계 S119).
상술한 헤드 교체의 감지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 교체가 제35도에 도시된 흐름에 따라 메 1초마다 감지된다.
제35도에 있어서, 먼저, 단계 S120에서는, 헤드 미장착 시간이 측정된다. 헤드 미장착 상태가 3초 이상 감지되면(단계 S121), CPU에 의한 판단용 헤드 교체 플래그는 설정되고(단계 S122), 그 다음에 동작은 단계 S1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3에서, 헤드 장착 상태 및 헤드 교체 플래그를 참조하고, 헤드 교체 플래그가 설정되어 헤드가 장착되는 경우, 긍정 판정되어 동작은 단계 S124로 진행된다. 단계 S124에서는, 이전 클리닝 실행 시간이 판독된 다음에, 후술하는 이유로 인해 72 시간을 감한 현재 시간으로 갱신되어(단계 S125), 불휘발성 데이터 보유 수단(1005)에 저장된다(단계 S126). 단계 S123에서, 미장착 시간이 2초 이하이거나, 헤드 교체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더라도 헤드가 미장착 상태이면, 판정은 부정으로 되며, 헤드 교체 플래그는 재설정되고(단계 S127), 루틴은 종료된다.
제26도에 있어서, 기록 장치는 파워-온되고, 헤드 카트리지(9)가 교체되며, 기록 신호를 수신하고, 용지 공급 동작(단계 S64)이 고려된다. 헤드가 교체된 후, 기록 신호가 송신되고, 폐잉크 상태 검사가 수행되며(단계 S56),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은 프린터 잠금 상태 이외에는 단계 S57 및 S58로 이행된다. 여기에서, 헤드없는 클리닝이 실행되면, 헤드 교체 클리닝이 한번 실행되고, 동작은 단계 S58로 이행된다. 단계 S58에서, 자동 타이머 클리닝이 실행되고, 헤드가 교체되면, 제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실행 시간이 72 시간으로 갱신되었기 때문에 판정이 긍정으로 되며(단계 S115)(제34도), 클리닝 동작은 한번 실행된다. 즉, 헤드가 교체되고 헤드없는 클리닝이 실행되지 않으면, 2가지 클리닝 동작들이 자동으로 실행된 다음에, 기록 동작이 실행된다. 동작이 2번 실행되어, 잉크의 채움 상태를 보장한다. 헤드없는 클리닝이 실행되면, 헤드는 단색 헤드로 판정되고, 자동 타이머 클리닝 동작은 실행되지 않으므로, 혼색을 방지한다.
다음에, 헤드가 교체되면, 클리닝 동작 또는 수동 클리닝 동작과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한 자동 클리닝 동작과의 사이에서의 관계가 기술된다.
먼저, 제36도는 수동 클리닝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클리닝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검사가 먼저 행해져서 캐리어가 이동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28). 캐리어가 이동되면, 동작은 캐리어 이동의 종료까지 대기한다. 그 다음, 단계 S129에서, 헤드 장착 상태가 검사된다. 헤드가 장착되지 않았으면, 클리닝 동작은 직접 실행된다. 헤드가 장착되면, 클리닝의 누적된 수가 계수되고(단계 S130), 폐잉크 탱크 상태 검사가 실행된다(단계 S131). 그 다음, 헤드 교체의 존재 여부가 헤드 교체 클리닝를 참조하므로서 판정되고(단계 S122), 이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으면, 동작은 단계 S134로 진행되며, 크리닝 시간이 갱신된다. 그리고, 클리닝 동작이 실행된다. 단계 S132에서, 교체가 설정되면, 판정은 긍정으로 되고, 단계 S133에서, 교체 플래그는 재설정된다. 클리닝 시간을 갱신하지 않은 채, 클리닝 동작은 단계 S135로 이행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헤드 교체후, 사용자에 의한 수동 클리닝이 한번 실행되고, 그 후, 기록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가 설명된다. 먼저, 헤드 교체 플래그가 제35도에 도시된 헤드 교체 검사 루틴에 의해 설정되고(단계 S122), 클리닝 시간은 현재 시간 이전의 72 시간으로 갱신된다(단계 S224, S225 및 S226). 여기에서, 수동 클리닝이 실행되면, 제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교체 플래그가 설정되었기 때문에 판정은 긍정으로 된다(단계 S13). 그리고, 교체 플래그는 재설정되고, 클리닝 동작이 실행된다. 그 다음, 제26도에 도시된 단계 S56의 폐잉크 탱크 검사가 행해지고, 단계 S57의 헤드 교체 클리닝이 실행된다. 여기에서, 헤드 교체 플래그가 이전의 수동 클리닝 동작에서 재설정되었기 때문에, 클리닝은 실행되지 않는다. 그 다음, 단계 S58에서, 자동 타이머 클리닝이 실행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시간이 72 시간 전으로 갱신되었기 때문에, 판정은 긍정으로 되고(단계 S115), 클리닝 동작이 실행된다. 따라서, 2가지 클리닝 동작들이 전체적으로 실행된 다음에, 기록 동작이 실행된다.
다음에, 헤드 교체후에 2가지 수동 클리닝 동작들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가 설명된다.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제1 수동 클리닝이 실행되지만, 제2 수동 클리닝시에는, 판정이 부정으로 되고, 교체 플래그가 재설정되었기 때문에(단계 S132), 클리닝 시간이 갱신되고(단계 S134), 클리닝 동작이 실행된다. 그 후,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은 단계 S56, S57 및 S58로 이행된다. 단계 S57에서, 헤드 교체 플래그가 재설정되었기 때문에, 클리닝은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단계 S58에서, 클리닝 실행 시간이 이전 수동 클리닝시에 갱신되었기 때문에, 클리닝이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2가지 수동 클리닝 동작들이 실행되고, 기록 동작이 실행된다.
상기 동작을 요약하면, 먼저, 헤드없는 클리닝이 실행된 후에 헤드가 장착되면, 자동 클리닝 동작은 실행되지 않는다. 반면에, 헤드없는 클리닝이 실행도지 않은 채, 헤드 교체가 실행되면, 수동 클리닝이 한번 실행된 다음에, 자동 클리닝이 다시 한번 실행되고; 수동 클리닝이 2번 실행되면, 자동 클리닝은 실행되지 않으며; 수동 클리닝이 실행되지 않으면, 클리닝은 자동적으로 2번 실행된다. 따라서, 2가지 클리닝 동작들이 기록 동작 전에 반드시 실행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헤드 교체후에 2가지 클리닝 동작들이 설정되지만, 이것은 필요에 따라, 다른 수가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단색 헤드의 경우에, 클리닝은 실행되지 않고 흑색 헤드만이 클리닝되지만, 이러한 설정은 그다지 제한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동일한 흑색 헤드들 중에, 몇몇 헤드는 제조시의 분산으로 인해 잉크가 태워지지 않기 쉬우므로, 헤드 판정 수단이 다시 제공된다. 여기에서, 잉크가 채워지기 쉬운 헤드가 장착되면, 클리닝은 실행되지 않으며, 잉크가 채워지지 않기 쉬운 헤드가 장착되면, 클리닝은 실행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토출 제어 수단을 사용하여, 환경 온도, 및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기록 헤드에 인가된 에너지량이 검출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기록 헤드의 토출 제어가 행해진다. 헤드 교체가 감지되면, 인가된 에너지량은 다른 헤드가 장착된 것에 대해 판정되고, 재설정이 행해진다.
다음에, 캐리지 초기화가 제37a도 및 제37b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단계 S301에서, 캐리지 홈 센서(67)의 출력은 on 또는 off로 판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 홈 센서(67)은 투과형 광센서인데, 이는 캐리지와 일체로 형성된 차광판(도시안됨)이 센서(67)의 광로를 차단하지 않을 때 턴온되고, 그렇지 않으면 턴오프되는데, 다시 말하면 캐리지(11)이 홈 위치(또는 캡핑 위치)에 배치될 때 턴온되거나, 인쇄 중에 턴오프된다. 동작은 on 상태에서 단계 S305로 이행되거나, off 상태에서 단계 S302로 이행되며, 캐리지(11)은 센서가 확실하게 턴온되도록 우방향으로 300 스텝 이동된다. 여기에서, 캐리지의 이동 단위로서의 스텝은 캐리지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텝핑 모터인 캐리지 모터(31)의 구동 단위이다(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의 이동량에 대한 1 스텝은 약 0.070 mm이다). 단계 S303에서, 캐리지 홈 센서(67)의 출력은 on 또는 off로 판정된다. 센서 출력이 off이면(단계 S303), 캐리지 홈 센서는 비정상이고, 프린터 에러가 디스플레이되며(단계 S304), 동작은 중단된다. 센서 출력이 on이면(단계 S303), 캐리지(11)은 1 스텝 좌방향으로 이동되고(단계 S305), 캐리지 홈 센서(67)의 출력은 on 또는 off로 판정된다(단계 S306). 센서 출력이 on이면(단계 S306), 동작은 단계 S307로 이행되고, 반면에 센서 출력이 off이면, 동작은 단계 S307로 이행되며, 캐리지는 좌방향으로 70 스텝 이동된다. 단계 S308에서, 캐리지는 다시 우방향으로 1 스텝 이동된다. 단계 S309에서, 캐리지 홈 센서(67)의 출력은 on 또는 off로 판정된다. 센서 출력이 off이면(단계 S309), 동작은 단계 S308로 이행되고, 반면에 센서 출력이 on이면(단계 S309), 동작은 단계 S310으로 이행되며, 프린터 온도는 써미스터와 같은 온도 검출 수단(도시안됨)에 의해 검출된다. 단계 S311에서, 검출된 온도에서의 캐리지 홈 위치 보정치 f는 제38도의 표에서 얻어진다. 단계 S312에서, 캐리지 홈 위치에서의 캐리지 모터의 여기 위상 No. PH가 계산되고, 단계 S313에서, 캐리지 홈 위치에서의 캐리지 모터의 여기 위상 No. PH가 EEPROM와 같은 불휘발성 데이터 보유 수단(1005)에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 S314에서, 캐리지는 우방향으로 225 스텝 이동되고, 단계 S315에서 반대로, 캐리지(11)이 좌방향으로 300+f 스텝 이동되므로, 캐리지 초기화는 종료된다. 이 시점의 캐리지 정지 위치를 캐리지 홈 위치(캡핑 위치)로 설정하므로서, 프린터의 온도 변화에 의한 샤시/캐리지(11)/회복 장치(제6a도 및 제6b도)의 팽창 또는 수축, 및 캐리지 홈 센서(67)의 감도 변화로 인한 캐리지 홈 센서(67)의 on 위치로부터 캐리지 홈 위치(또는 캡핑 위치)까지의 치수 변화를 교정할 수 있으므로, 캡핑은 확실하게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지 초기화는 파워-온시에, 각 페이지의 인쇄 전에, 캡핑전에, 및 클리닝 후에 실행된다. 그러나, 1페이지의 인쇄 동안에, 캐리지 초기화가 캡핑 및 클리닝 전에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헤드 카트리지가 캡핑된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방치되면, 캐리지 초기화는 반드시 실행되며, 헤드 카트리지는 어떠한 사건으로 캡핑되지 않은 채로 장시간 방치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11)이 캐리지 홈 센서(67)의 on 위치로부터 좌방향으로 75 스텝 이동되는 위치는 캐리지의 홈 위치로 되도록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 모터는 마이크로-스텝(micro-step) 구동이라고 칭해지는 모터의 기계적 분해능을 전기적으로 6배 향상시키도록 구동한다. 종래에는, 모터의 구동을 재개시할 때의 여기 위상은 캐리지 홈 위치(즉, 캡핑 위치)에서의 여기 위상 PH에 가장 가까운 안정 위상(즉, 기계적 분해능으로 분해된 위상)으로부터 초기화되었지만, PH와 안정 위상 사이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제1 여기에서의 구동량은 통상의 구동량보다 더 크며, 이로 인해 충격음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파워-온상태에서, 캐리지 홈 위치에서 캐리지(11)의 대기 상태로부터 캐리지(11)을 재구동시키면, 단계 S313에서 EEPROM에 저장된 캐리지 모터(31)의 전지 위상 No. PH로부터 구동을 개시하여 충격음의 발생을 억제시킬 필요가 있다.
[실시예 2]
제46도는 기록 장치와 이에 접속된 호스트의 제어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번호(1100)은 컴퓨터 또는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호스트 머신이다. 참조 번호(1101)은 호스트 머신(1100) 전체를 제어하는 MPU로서, 제어 동작시의 클럭킹을 위한 타이머(1102)를 포함한다. 이 호스트 머신(1100)은 ROM(1103)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참조 번호(1104)는 제어가 실행될 때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RAM이다. 참조 번호(1105)는 기록 정보(1300)을 기록 장치(1200)에 송신하거나, 기록 장치(1200)로부터 기록지가 없는 상태와 같은 기록 장치의 상태 정보(1301)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이다. 그런데, ROM(1103) 및 RAM(1104)는 MPU(1101) 내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호스트 머신(1100)과 같은 기록 장치(1200)은 기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MPU(1201), 타이머(1202), ROM(1203), RAM(1204) 및 인터페이스부(1205)를 포함한다.
기록시에, 호스트 머신(1100)의 MPU(1101)로부터 송신된 기록 정보(1300)은 인터페이스부(1105, 1205)를 통해 송수신되고, 기록 장치(1200)의 RAM(1204) 내에 저장된다. 그 후, 기로 장치(1200)의 각 부분은 MPU(1201) 및 타이어(1202)에 의해 제어되어 기록을 실행한다. 또한, 초기 신호와 같은 제어 정보(1302)는 동일 경로를 통해 송수신된다. 기록 장치(1200)의 기록시에, 헤드 카트리지(1207), 캐리어 모터(1208), 반송 모터(1209) 및 회복 모터(1210)은 MPU(1201)에 의해 제어되고, 헤드 카트리지(1207)은 토출 히터 구동기(1211) 및 캐리어 모터(1208)에 의해 구동되며, 반송 모터(1209) 및 회복 모터(1210)은 모터 구동기(1212, 1213, 1214)들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또한, 캐리어 홈 센서(1215), 용지 센서(1216) 및 회복 홈 센서(1217)의 검출에 기초하여, MPU(1201)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1)의 위치, 용지의 존재 여부, 캡 위치를 인식한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호스트(1100)의 MPU(1101)은 기록 장치(1200)을 제어하지만, 기록 장치(1200)의 MPU(1201)이 존재하지 않는 형태, 즉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록 장치의 제어 블록도의 제1 실시예가 채택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는 없다.
제47도는 초기 신호가 수신될 때 기록 장치의 초기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초기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40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MPU(1201)과 관련된 초기 동작이 실행된다. 초기 동작들은 각 포트의 초기 동작(S402), RAM(1204)의 초기 동작(S403), 각 플래그의 초기 동작(S404), 타이머(1202)의 초기 동작(S405), 및 A/D 컨버터의 초기 동작(S406)을 포함한다. 시간 Δt1은 단계 S401에서 걸린 시간, 및 호스트로부터 초기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그 후, 동작은 단계 S407로 이행되며, 초기 동작이 개시된다. 단계 S408, S40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홈 센서(1215) 및 회복 홈 센서(1217) 각각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모터의 초기 동작은 캐리어 모터(1208) 및 회복 모터(1210) 각각을 각자의 홈 위치로 설정한다. 이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선정된 위상으로의 초기 통전을 포함하며, 보유 동작을 포함한다. 물론, 모터의 초기 동작(S407)은 단계 S408과 단계 S409 중 어느 한 동작만으로도 문제가 없다. 단계 S410에서 에러가 없다면, 동작의 종료 후에, 동작은 기록 정보(1300)의 수신을 대기하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초기 동작을 완료한다. 상술한 초기 동작을 수행하는 기록 장치 내의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작(S401)에서 동작(S407)까지의 ROM(1203) 내의 데이터에 기초한, 타이머(1202)를 사용하여, 대기 시간 W가 제공한다(제48도 참조). 대기 시간 W는 공지된 값인 Δt2과 Δt3에 기초하여 판정되지만, 이 시간은 모터가 한 위상으로 계속 통전되더라도, 내부 온도가 모터가 발연 또는 발화되지 않을 때까지는 계속 허용될 수 있다. 제49도는 모터의 초기 동작에 관한 타임 차트이며, 제4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가 인가되면, 초기 신호는 계속 송신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장치는 초기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의 초기 동작을 실행시키며, 특정 위상이 연속적으로 여기되더라도, Δt1은 제45도에서와 비교하여 Δt1+W로 연장된다. W=100ms로 가정하면, 모터의 A 위상은 약 1 : 10 이하의 비율로 여기되므로, 초기 신호가 연속적으로 발생되더라도, 모터의 비정상 온도 상승, 발연,또는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잉크젯 기록 장치 중에서, 특히 열 에너지를 사용한 잉크 토출 시스템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전기 기계 변화 소자(압전 소자)를 사용하여 잉크에 압력을 가하므로서 잉크를 토출하는 시스템, 또는 잉크에 전류를 통하므로서 생긴 잉크의 저항을 이용하여 토출에 필요한 압력을 얻는 시스템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잉크젯 기록 시스템들 중에서,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플라잉 미세(flying fine) 잉크 방울들을 형성하므로서 기록을 실행시키기 위한 잉크젯 시스템의 기록 헤드를 사용하는 기록 장치에 특히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구성 및 이론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723,129호 및 제4,740,796호에 기재된 기본 원리를 사용하여 실행된 것이 양호하다. 이 시스템은 소위, 온-디맨드형과 연속형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응용가능하다. 특히, 온-디맨드형의 경우가 효과적인데, 그 이유는 용지, 또는 액체(잉크)를 보유하는 액체 채널에 대응하여 배열된 전기열 변환 소자들에 기록 정보에 대응하는 핵 비등 초과 고속 온도 상승(rapid temperature elevation exceeding nucleus boiling)을 제공하는 최소한 구동 신호를 공급하므로서, 열 에너지가 전기열 변환 소자에 발생도어 기록 헤드의 열 작용면에서의 막 비등을 실행시키고, 계속해서, 구동 신호에 하나씩 응답하여 액체(잉크) 내의 기포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포의 성장 및 수축에 의한 토출을 위해 개구부를 통해 액체(잉크)를 토출시키므로서, 최소한 1 방울의 잉크가 형성된다. 구동 신호를 펄스 형태로 만듬으로써, 기포의 성장 및 수축은 즉시 실행될 수 있고, 응답 특성에 특히 우수한 액체(잉크)의 토출을 더 양호하게 적절히 달성한다. 이러한 펄스 형태의 구동 신호에 있어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463,359호 및 제4,345,262호에 기재된 것들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열 작용면의 오도 상승율에 관한 미합중국 특허 제4,313,124호에 기재된 조건을 채택하므로서 우수한 기록이 실행될 수 있다.
기록 헤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명세서에 기재된 토출구, 액체 채널 및 전기열 변환 소자(선형 액체 채널 또는 직각 액체 채널)의 조합 이외에도, 열 작용부가 굴곡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구성을 기술하는 미합중국 제4,558,333호 또는 제4,459,600호에 의한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전기열 변환 소자의 토출 포트로서 다수의 전기열 변환 소자들에 공통인 슬릿을 사용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는 일본국 공개 특허 출원 제59-123670호, 또는 토출 포트에 대응하는 열 에너지의 압력파를 흡수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는 일본국 공개 특허 출원 제59-138461호에 기재된 구성을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록이 실행될 수 있고, 어떠한 형태의 기록 헤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디바이스에 의해 기록될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최대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전(full) 라인 형태의 기록 헤드에 효과적으로 응용가능하다. 이러한 기록 헤드에 있어서, 다수의 기록 헤드들의 조합에 의한 길이를 충족시키는 구성, 또는 일체로 형성된 기록 헤드의 구성 중 어느 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술한 직렬형 기록 헤드들 중에서, 본 발명은 본체에 고정된 기록 헤드, 본체에 전기적 접속을 가능케 하고 본체에 장착되어 본체로부터 잉크를 공급하는 자유롭게 교체가능한 형태의 기록 헤드, 또는 기록 헤드 자체에 잉크 탱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형태의 기록 헤드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디바이스의 구성으로서는 기록 헤드용 토출 회복 수단, 예비 보조 수단 등이 제공되어 있는 것이 양호한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효과가 더 안정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특정 예들은, 예를 들어 기록 헤드, 캡핑 수단, 클리닝 수단, 가압 또는 흡인 수단, 전기열 변환 소자 또는 다른 형태의 가열 소자, 또는 이들 조합에 의한 예비 가열 수단, 및 기록과는 별개의 토출을 수행하는 예비 토출 수단을 포함한다.
장착된 기록 헤드의 형태 또는 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이한 기록 색 또는 농도를 갖는 다수의 잉크들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기록 헤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즉, 기록 디바이스의 기록 모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은 흑색 등과 같은 원색만으로 된 기록 모드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이한 색들 중 최소한 1가지 색 또는 색 혼합에 의한 순색(純色;full color)이 갖춰져 있는 디바이스에 매우 효과적이며, 기록 헤드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복수로 조합된다.
이 외에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잉크가 액체라고 해도, 실온 이하에서는 고체이고, 실온 또는 그 이상에서는 유연해져서 액화되거나, 잉크의 온도를 30 내지 70℃ 범위로 조절하므로서 안정된 토출의 특정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잉크의 점도를 제어하기 위해 잉크젯 디바이스에 공통적인 기록 신호가 발생되면 액화되는 다른 종류의 잉크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태 변화를 위해 열 에너지를 확실하게 사용하므로서 생긴 온도 상승을 방지하거나, 잉크의 증발을 막기 위해서, 방치 상태로 굳어지고 가열에 의해 액화되는 잉크가 사용가능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는, 액체 잉크가 토출되거나, 기록 매체에 이르기 전에 미리 고체화될 수 있도록, 기록 신호에 따라 열 에너지의 인가에 의한 액화와 같이, 열 에너지의 인가에 의한 액화 특성을 갖는 잉크가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일본국 공개 특허 출원 제54-56847호 및 제60-7126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잉크는 다공성 용지의 리세스 또는 전체 홀 내에서 액체 또는 고체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전기열 변환 소자에 대행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잉크에 관한 최상의 효과적인 방법은 막 비등에 기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장비, 판독기와 결합되어 있는 복사 기계, 또는 송수신 특성이 있는 팩시밀리 터미널 장비에서 화상 출력 터미널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 탱크 또는 이와 같은 잉크 공급 수단과 일체로 기록 헤드가 장착된 것이 감지되고, 탈착이 감지되면, 잉크 흡인 동작은 원하는 수에서 수동으로 실행된 흡인 동작들의 수가 감해진 회수만큼 실행되기 때문에, 원하는 회수의 잉크 흡인 동작만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양으로 원하는 회수의 잉크 흡인 동작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폐잉크 토출이 발생되지 않고, 운전비의 증가뿐만 아니라, 잉크 토출 동작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들에 필요한 시간의 증가, 및 폐잉크 탱크 또는 기록 장치의 단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헤드로 인한 적당한 기록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기록 헤드의 노즐을 커버하는 캡 수단에 있어서, 부압 발생 수단은 캡 수단이 노즐을 커버하는 캡 위치에서 부압의 인가 전에, 캡 수단이 노즐을 해제시키는 해제 위치에서 부압을 인가하고, 캡 수단이 캡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해제 위치에서 캡에 부압을 인가하므로서, 기록에 부적합한 잉크를 기록 헤드의 노즐 및 매체의 주변과 접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이퍼 클러너부의 잉크 흡수 용량은 비용의 추가없이도,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와이퍼 클리너의 상단부에서의 정밀도는 향상될 수 있다.
통기막의 용착에 필요했었던 압력판은 필요치 않아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덮개, 폐잉크가 흐르기 위한 유로와 같은 스루, 및 폐잉크 누출로부터 전기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했었던 흡수 부재와 같은 부품들이 필요치 않아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폐잉크 시일 또는 폐잉크 캡의 시일면의 마무리 가공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고신뢰성, 부품들의 성형시에 고생산성을 제공하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캐리지는 조용하게 구동될 수 있고, 캡핑은 화실하게 행해지므로, 신뢰성 있는 잉크젯 프린터는 노즐의 막힘없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장치는 호스트로부터 초기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의 초기 통전은 모터의 초기 동작, 즉 선정된 위상으로의 초기 통전 전에 충분한 대기 시간을 제공하므로서 정해진 시간 동안 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신호가 호스트 기능 장애로 인해 연속적으로 송신되면, 모터 내의 비정상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높은 안정도의 기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2)

  1. 잉크를 토출(discharge)시키기 위한 토출 포트(discharge ports)를 갖는 기록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포트를 통하여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 포트를 커버(cover)하기 위한 캡 수단(cap means)과, 상기 캡 수단을 상기 기록 헤드가 상기 토출 포트를 커버하기 위한 상기 캡 위치(cap position) 및 상기 토출 포트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위치(release position)로 이동시키기 위한 캡 이동 수단(cap moving mans)과, 상기 캡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캡 수단에 부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부압 발생 수단(negative pressure generating means)과, 상기 기록 헤드의 상기 토출 포트를 통해 잉크를 배출(expel)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control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캡 수단이 상기 캡 위치에 있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부압 발생 수단이 부압을 발생한 후에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부압 발생 수단 및 상기 캡 이동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캡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캡 수단이 상기 캡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 포트가 상기 캡 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공간에서 부압을 발생하도록 하게 하여 잉크가 상기 토출 포트를 통해 흡인(suck) 및 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를 갖는 기록 영역(recording area) 및 상기 캡 위치로 상기 기록 헤드를 스캐닝할 수 있는 스캐닝 수단(scanning mean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는 상기 토출 포트를 통하여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수단(discharge mea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수단은 잉크에 열 에너지를 인가시키기 위한 열 에너지 발생 수단(heat energy generating means)이고, 상기 기록 헤드는 열에 의한 잉크 내의 상태 변화를 일으키고 상기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5.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포트를 갖는 기록 헤드를 사용하여 상기 토출 포트를 통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 포트를 커버하기 위한 캡 수단과, 상기 캡 수단을 상기 토출 포트를 커버하기 위한 캡 위치 및 상기 토출 포트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캡 이동 수단과, 상기 캡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캡 수단에 부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부압 발생 수단과, 상기 캡 수단이 상기 토출 포트를 커버하는 상기 캡 위치로 이동하기 이전에, 상기 캡 수단이 상기 토출 포트를 해제시키는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캡 수단에 부압을 인가시키도록 상기 부압 발생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를 갖는 기록 영역 및 상기 캡 위치로 상기 기록 헤드를 스캐닝할 수 있는 스캐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는 상기 토출 포트를 통해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수단은 잉크에 열 에너지를 인가시키기 위한 열 에너지 발생 수단이고, 상기 기록 헤드는 열에 의한 잉크 내의 상태 변화를 일으키고 상기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스캐닝 수단이 상기 기록 헤드를 상기 캡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캡 이동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캡 수단을 상기 캡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게 하여, 상기 부압 발생 수단이 부압을 발생하여 상기 잉크가 흡인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캡 수단에 대향하는 상기 위치로의 상기 기록 헤드의 이동 개시와 상기 캡 이동 수단에 의한 상기 캡 위치로의 상기 캡 수단의 이동 종료와의 사이에서 상기 캡 수단이 상기 기록 헤드의 상기 토출 포트를 커버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부압 발생 수단으로 하여금 부압을 발생하도록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가 상기 캡 수단에 대향하는 상기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detecting mean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의 토출 포트의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 부재(wiping memb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를 스캐닝할 수 있는 스캐닝 수단과, 상기 스캐닝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기록 헤드를 상기 와이핑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를 포함한 소정 영역 내로 이동시키도록 하게 하는 와이핑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KR1019940013866A 1993-06-21 1994-06-20 잉크젯 기록 장치 KR0164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49164 1993-06-21
JP14916493A JP3262410B2 (ja) 1993-06-21 1993-06-2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395A KR950000395A (ko) 1995-01-03
KR0164637B1 true KR0164637B1 (ko) 1999-03-30

Family

ID=1546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866A KR0164637B1 (ko) 1993-06-21 1994-06-20 잉크젯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62670A (ko)
EP (1) EP0630755B1 (ko)
JP (1) JP3262410B2 (ko)
KR (1) KR0164637B1 (ko)
CN (1) CN1093795C (ko)
AT (1) ATE241472T1 (ko)
DE (1) DE69432725T2 (ko)
HK (1) HK1011645A1 (ko)
TW (1) TW31239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1378B2 (en) * 1994-10-20 2004-08-03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hich obtains information concerning residual ink amount from an attached ink jet printer
US6325479B1 (en) 1995-02-06 2001-12-04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change control method therefor
JP4138981B2 (ja) 1998-01-16 2008-08-27 オセ−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エー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ヘッドをクリー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0936071B1 (en) * 1998-01-16 2003-09-03 Océ-Technologies B.V.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 ink jet printhead
JP2001071534A (ja) 1999-09-03 2001-03-21 Canon Inc プリント装置
EP1110733A1 (en) * 1999-12-20 2001-06-27 Xerox Corporation Ink jet printer including a printhead and a method of removing bubbles from ink jet printheads
JP2001347686A (ja) * 2000-04-05 2001-12-18 Nitto Denko Corp インク容器用通気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容器
JP2003237092A (ja) * 2002-02-15 2003-08-2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19829B2 (ja) * 2002-07-10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66088B2 (ja) * 2003-01-31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池残量検出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記録装置
KR100544459B1 (ko) * 2003-02-21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메인터넌스 자동 수행장치 및 그 방법
JP2004314351A (ja) * 2003-04-14 2004-11-1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その吸引動作管理方法
JP2008114400A (ja) * 2006-11-01 2008-05-22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及び気泡排出方法
JP4944631B2 (ja) * 2007-02-0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回復処理方法
JP2008213219A (ja) * 2007-03-01 2008-09-1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183121B2 (ja) * 2007-08-10 201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274115B2 (ja) * 2008-06-12 2013-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233190B2 (en) * 2008-12-11 2012-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defined associations of colors to cartridges for color printers
JP5268623B2 (ja) * 2008-12-24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の記録ヘッド回復方法
JP5509028B2 (ja) 2010-10-19 2014-06-04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リンタ、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723390B2 (ja) * 2013-01-17 2015-05-27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355477B2 (ja) 2014-08-21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444096B2 (ja) 2014-08-22 2018-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9796177B2 (en) * 2016-03-01 2017-10-24 Ricoh Company, Ltd. Temperature uniformity across an inkjet head using piezoelectric actuation
JP7463112B2 (ja) 2020-01-15 2024-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7227A (en) *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936879B2 (ja) * 1977-10-14 1984-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媒体
US4330787A (en) * 1978-10-31 1982-05-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4345262A (en) * 1979-02-19 1982-08-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4463359A (en) * 1979-04-0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313124A (en) * 1979-05-18 1982-0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DE3041187A1 (de) * 1980-11-03 1982-06-03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Vorrichtung zum elastischen abdecken der duesen eines tintenschreibkopfes
US4558333A (en) * 1981-07-09 1985-12-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88666A (ja) * 1981-07-10 1983-01-18 Ricoh Co Ltd シリアルドツトプリンタの双方向印字方式
JPS58194567A (ja) * 1982-05-11 1983-11-1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S59123670A (ja) * 1982-12-28 1984-07-17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
JPS59138461A (ja) * 1983-01-28 1984-08-08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JPS6071260A (ja) * 1983-09-28 1985-04-23 Erumu:Kk 記録装置
JPH0632925B2 (ja) * 1984-03-09 1994-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廃インク溜め及び該廃インク溜めを有する記録装置
DE3633239A1 (de) * 1985-10-01 1987-04-16 Canon Kk Verfahren zum betrieb einer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JP2522770B2 (ja) * 1986-08-05 1996-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装置
US5182582A (en) * 1986-10-31 1993-01-26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cleaning means that cleans lighter-ink discharge portions before darker-ink discharge portions
JPS63242671A (ja) * 1987-03-31 1988-10-07 Toshiba Corp プリンタ装置
JPS63282808A (ja) * 1987-05-15 1988-11-18 Brother Ind Ltd 原点割出装置
JPS6460860A (en) * 1987-08-31 1989-03-07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1103478A (ja) * 1987-10-16 1989-04-20 Brother Ind Ltd 印字装置
JP2737166B2 (ja) * 1988-09-07 1998-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キャッピング装置
JP3066867B2 (ja) * 1988-10-31 2000-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記録ヘッド、インクカ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販売セット
EP0375407B1 (en) * 1988-12-21 1995-06-14 Canon Kabushiki Kaisha Recovery mechanism of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H0322113A (ja) * 1989-06-20 1991-01-30 Nec Corp 印刷位置制御方式
JP2761069B2 (ja) * 1989-12-29 199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DE69026360D1 (de) * 1989-12-29 1996-05-09 Canon Kk Mit Ansaugung arbeitende Rückgewinnungsvorrichtung und damit versehenes Farbstrahlaufzeichnungsgerät
JP3222454B2 (ja) * 1990-02-02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US5170186A (en) * 1990-02-13 1992-12-08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dry absorption control of recording head cap
US5164748A (en) * 1990-02-13 1992-11-17 Canon Kabushiki Kaisha Suction recovery device with a cap having a communicating member to aid suction
US5245362A (en) * 1990-02-13 1993-09-14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discharge recovery apparatus having varying driving force
ATE122611T1 (de) * 1990-02-13 1995-06-15 Canon Kk Aufzeichnungsgerät mit tintenstrahlaufzeichnungskopf.
US5103244A (en) * 1990-07-05 1992-04-07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printheads
JPH0499680A (ja) * 1990-08-20 1992-03-31 Nec Corp プリンタ装置の横送り用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装置
CN1066102C (zh) * 1990-09-19 2001-05-23 佳能株式会社 墨水喷射记录装置
AU1016992A (en) * 1991-01-11 1992-07-16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5184147A (en) * 1991-04-22 1993-02-02 Tektronix, Inc. Ink jet print head maintenance system
JPH0588666A (ja) * 1991-09-30 1993-04-09 Oki Electric Ind Co Ltd 画像合成装置
CA2085550C (en) * 1991-12-19 1999-07-06 Kentaro Yano Method of controlling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recording head information,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 which the method is implemented
JPH099680A (ja) * 1995-06-22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バ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1645A1 (en) 1999-07-16
EP0630755A2 (en) 1994-12-28
EP0630755A3 (en) 1996-07-24
JPH07137282A (ja) 1995-05-30
EP0630755B1 (en) 2003-05-28
DE69432725D1 (de) 2003-07-03
DE69432725T2 (de) 2004-03-04
ATE241472T1 (de) 2003-06-15
TW312397U (en) 1997-08-01
US6062670A (en) 2000-05-16
KR950000395A (ko) 1995-01-03
JP3262410B2 (ja) 2002-03-04
CN1093795C (zh) 2002-11-06
CN1104583A (zh) 199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637B1 (ko) 잉크젯 기록 장치
CA2035090C (en) Ink jet apparatus and ink jet cartridge therefor
EP0314513B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801409B2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及び記録系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
KR20020068465A (ko) 잉크젯 헤드 및 잉크젯 프린터
JP401982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RE36279E (en) Ink jet apparatus and ink jet cartridge therefor
US79976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EP0478244B1 (en) Ink cartridge and ink jet apparatus usable with ink cartridge
US6938981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038682B1 (en) Ink-jet recorder
KR20030097712A (ko) 잉크 카트리지
JP3931698B2 (ja) クリーニング部材及びヘッドクリーニング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360225B2 (ja) 液体吐出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JP296287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2217255A (ja) 液体噴射記録装置の清浄装置および清浄装置付きの液体噴射記録装置
JPH0412625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24854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17504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66712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ヘッドクリーニング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960008963Y1 (ko) 잉크제트장치 및 이를 위한 잉크제트카트리지
JP2003266746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ヘッドクリーニング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17504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614360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該ヘッド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467029B2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