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019B1 -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019B1
KR0164019B1 KR1019960001219A KR19960001219A KR0164019B1 KR 0164019 B1 KR0164019 B1 KR 0164019B1 KR 1019960001219 A KR1019960001219 A KR 1019960001219A KR 19960001219 A KR19960001219 A KR 19960001219A KR 0164019 B1 KR0164019 B1 KR 0164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map image
displayed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765A (ko
Inventor
야노 후미코
고토 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02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00Measuring ang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Abstract

기계적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않고, 표시화면을 친자화면으로부터 일매화면으로, 또는 그 반대로 쉽게 절체할 수 있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매표시 또는 친자표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표시화면을 밑으로 눌르므로서, 이 눌름압력을 검지한 터치패널로부터의 발생신호에 근거하여,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축척데이타에 근거하여 표시화면을 베이스화면과 윈도우화면의 모자표시 또는 일매표시로 절체하는 제어수단(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지도정보장치의 터치감응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터치감응패널의 터치스위치의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본 실시예의 내비게이션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표시부의 표시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표시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표시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표시부의 표시상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표시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표시상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의한 표시유닛화면상의 터치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의한 표시유닛화면상의 터치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실시예의 내비게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5도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표시상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표시상태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2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표시상태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윈도우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표시상태도.
제32도는 종래의 실시예에 의한 지도화상디스플레이유닛의 표시상태도.
제33도는 종전의 장치인 제32도의 디스플레이유닛상의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4도는 종래의 장치인 제32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이로(각속도검출수단) 2 : 차량속도센서(차량속도검출수단)
3 : 위치검출부(위치검출수단) 4 : 제어부(제어수단)
5 : 지도메모리(지도데이타기억수단)
6 : 메모리드라이브(메모리구동수단)
7 : 표시부(표시수단) 8 : 광학식터치패널(터치패널)
9 : 조작부
본 발명은 지도표시화면상에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2도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특공평 2-4608호)에 표시된 종래의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32도에 있어서, 11은 표시수단으로의 CRT디스플레이, 12는 지도데이타기억수단으로서의 ROM패키지, 13은 매뉴얼조작부, 14는 이동체로서의 차량의 주행거리를 검출하는 거리센서, 16은 MPU(Main Procesor Unit)17, ROM 18, RAM 19. I/O(Input/Output) 20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컴퓨터(21)과 표시콘트롤러(22)와를 구성되며, 상기 CRT디스플레이(11)상에서 표시제어 등의 기능을 행하도록 하는 전자제어장치이다.
제33도는 상기 CRT디스플레이(11)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11a는 메인표시에어리어, 11b는 서브표시에어리어를 나타낸다.
다음에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4도는 이 장치의 전원투입후의 플로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전자제어장치(16)은 방위센서(14)로부터의 이동체의 진행방향데이타, 거리센서(15)로부터 이동체의 주행거리데이타에 근거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구하고, 이 현재위치 부근의 지도를 ROM패키지(12)에서 읽어낸다.
내비게이션장치는 매뉴얼조작부(13)으로 사전 설정한 스케일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항상 가르키는 지도화상과 표시화면의 메인디스플레이(11a) 표시화면의 메인디스플레이(11a)상에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가르키는 현재 위치마크를 표시한다.
이러한 다음에 스텝(ST402)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의 서브에어리어(116)에 메인표시에어리어(11a)보다 큰 축척으로 이동체의 현재지점을 포함한 현재지점 부근의 확대도면을 표시한다.
이 종래의 예에서는, 표시되는 지도는 표시화면에 대해서 고정이고, 이동체의 현재위치마크만이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서부터 표시에어리어(11b)의 표시영역으로부터 이동체의 현재지가 벗어나면, 서브에어리어(11b)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재차 지도표시의 갱신을 행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메인표시에어리어(11a)와 서브표시에어리어(11b)를 모자(Parent and Child)화면으로서, 동일의 CRT디스플레이(11)에 표시하지만, 사용자측으로서는 친자화면을 보고 싶은 경우와 일매화면을 보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 그 화면 절체를 위해서는 전용의 절체스위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주위에 화면절체스위치용 조작버튼을 마련하는 것은 장소가 필요하고 구성상의 제약이 된다. 또, 화면절체스위치를 터치패널인 터치스위치로해서 CRT디스플레이(11)에 표시하게 구성하면, 장소를 필요치 않으나, 그 화면절체스위치의 부분으로 화면이 가로막혀서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화면을 방해치않고, 친자화면과 단일화면을 쉽게 절체할 수 있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에게 서로 관련된 2개 지도화상이 서로 연관되어서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되는 부모표시방식과 단일지도화상이 표시화면상에 표시되는 단일표시방식사이에서 절처가 가능하도록 해주고, 나아가 스크로울링과 마지막으로는 고정모드 지도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고, 지도화상의 중심은 터치화면의 터치된 위치를 가르키도록 해주자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이동체용 지도표시장치는, 차량의 현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검출수단과 복수레벨의 축척으로 분류되는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지도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유닛으로 검지되는 차량의 현재위치에 근거한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유닛과, 사용자의 터치오퍼레이션에 상응해서 표시장치상에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생성하는 표시위치검지유닛과, 또 표시유닛의 소정에어리어가 표시되었다는 것을 통보하는 신호에 상응해서,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절체하는 제어유닛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일 지도화상은 스크로울방식으로 화면을 채우며, 이때 지도화상의 중심은 위치검지유닛에 의해 검지되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끊임없이 가르키며, 또 이 지도화상은 차량이 앞의 지도화상의 축척과 마찬가지의 축척을 가지고 제1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이 된다. 이 앞의 지도화상은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의 화면 및 화면의 윈도우화면영역을 축척으로 채운다.
이때 양쪽영역을 위해 스크로울방식이 계속해서 유지된다.
단일지도화상은 소정지역이 표시유닛상에 표시되었다고 통보하는 신호에 응해서 스크로울방식으로 표시유닛의 화면상에 단일지도화상이 표시되면 제어유닛은 표시유닛을 앞에서 말한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으로 제1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한다.
앞의 지도는 베이스화면영역의 화면을 채우고, 또 제2지도화상은 윈도우영역의 축적으로 채우며, 이때 양쪽영역을 위해 스크로울방식이 계속 유지상태로 있어야 한다. 이와같이 단일지도화상이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우는 단일표시방식을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에 각각 표시된, 서로 연관된 2개 지도화상이 부모표시방식으로 절체하는 것은 기계적스위치를 쓸 필요없이 이루어질 수가 있기 때문이다.
소정의 에어리어는 표시유닛표면의 어느곳에라도 정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유닛표면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표시유닛은 단일지도화상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단일표시모드로부터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에 2개의 화상이 표시되는 부모표시방식으로 절체된다.
2개의 지도화상이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에 일치하는 지역을 통보하는 신호에 상응해서,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될 때에는, 제어유닛은 표시유닛을 단일지도정보로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베이스화면영역에서 표시되는 제1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을 가지고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운다. 번갈아서, 제어유닛의 화면상의 윈도우화면영역에 일치하는 지역을 통보하는 신호를 받으면 제어유닛은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이 단일지도화상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되는 제2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을 가지고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운다.
이와같이하여, 표시유닛은 2개의 지도화상이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되는 부모표시방식으로부터 단일지도화상이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우는 단일표시방식으로 절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소정의 에어리어는 오로지 표시유닛의 중심부근의 에어리어이며, 이 중심은 표시유닛의 화면의 중심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다만 화면의 중앙에어리어가 표시되는 때에는 표시유닛은 단일지도화상이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우는 단일표시방식으로부터 2개의 지도화상이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되는 부모표시모드로 절체된다. 더욱이 화면의 중심에어리어를 제외한 에어리어가 표시될때는, 제어유닛은 스크로울방식으로 단일지도화상을 표시시키는 상태로 표시유닛을 제어하도록 적응시키며, 이때 단일지도화상은 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게끔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우고 마지막으로는 지도화상의 중심이 항상 지도화상의 한점을 나타내는 고정방식으로 지도화상을 표시하며, 이 지도화상은 화면의 표시된 에어리어와 일치하며 지도화상은 차량이 설사 주행한다해도 스크로울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제어유닛이 화면의 중앙에어리어가 표시되었다고 통보하는 신호를 계속 받으면, 표시유닛은 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도록 콘트롤한다.
이때 지도화상은 고정된 방식으로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우고, 그리고 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차량의 현재위치를 가르키는 스크로울방식으로 절체되고, 또 지도화상은 차량의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된다. 이와같이 하여 단일지도화상이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우는 단일표시방식으로부터 2개의 지도화상이 각각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되는 부모표시모드로의 절체가 기계적스위치를 쓸 필요없이 성취된다. 그외에 화면의 중심을 제외한 임의의 장소를 타칭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화상을 쉽게 스크로울할 수 있다. 더욱이, 표시유닛은 지도화상의 중심이 지도화상상의 터치된 위치를 가르키는 고정방식으로 절체될 수 있다.
될 수 있으면, 2개의 지도화상이 각각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으로 표시될때에는, 제어유닛은 표시된 화면상의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소정에어리어에 일치한 화면의 에어리어를 통보하는 신호에 상응하여 표시유닛은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한다. 이 단일지도화상은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되는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운다.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소정에어리어는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의 중심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표시유닛상에서 가르키는 에어리어가 화면사의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에 일치할때에만, 제어유닛은 단일지도화상을 스크로울방식으로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한다.
이 단일지도화상은 베이스 혹은 윈도우에 표시된 제1 혹은 제2지도화상과 동일의 축척을 가지고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운다.
이와같이, 연관된 2개의 지도화상이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되는 부모표시방식으로부터 단일지도화상이 표시유닛의 화면을 채우는 단일표시방식으로 절체함으로 기계적스위치를 쓸 필요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일 표시유닛상의 표시된 에어리어가 화면상의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중심부가 아닌 에어리어와 일치하면 제어유닛은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고 그 다음, 제어유닛은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을 고정모드로 절체한다. 이때 베이스와 윈도우화면영역의 제1 혹은 제2 지도화상의 중심은 표시유닛상에 표시된 에어리어와 일치한 제1 및 제2의 지도화상의 점을 항상 가르키며, 제1 및 제2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한다고 해도 스크로울되지 않는다.
제어유닛이 화면상의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가 표시되었다는 것에 상응한 표시유닛상의 에어리어를 통보하는 신호를 계속해서 받으면, 이 제어유닛은 표시유닛을 스크로울모드로 절체하며, 이때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제1 및 제2 지도화상은 항상 차량의 현재위치를 가르키며, 제1 및 제2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중심을 제외한 임의의 위치를 터칭하는 것은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된 지도화상을 용이하게 스크로울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은 고정모드로 절체될 수 있으며 지도화상의 중심은 화면의 터치된 부분에 상응한 지도화상의 점을 가르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소정에어리어는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에서 어디라도 된다.
이 경우에 만일 표시유닛상의 표시된 에어리어가 화면상의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과 일치하면, 표시유닛을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이 단일지도화상은 표시유닛의 화면을 고정방식으로 채운다.
이때에 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표시유닛상의 표시된 에어리어와 일치하는 지도화상의 점을 가르킨다. 따라서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한다고 해도 스크로울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베이스 혹은 화면내의 임의의 장소를 터치함으로써 베이스 혹은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된 지도화상과 연관된 스크로울된 지도화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서 표시유닛은 고정모드로 절체될 수 있으며, 이때 지도화상의 중심은 화면의 터치된부분과 일치한 지도상의 점을 가르킨다. 제어유닛이 화면의 중심에어리어가 표시되었다고 통보하는 신호를 계속 수신하면, 제어유닛을 단일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고, 또 그것은 표시유닛을 단일지도화상을 고정모드로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단일지도화상을 스크로울방식으로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단일지도화상은 실지상 표시유닛으로 화면을 채우며, 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차량의 현재위치를 가르키며, 또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이 된다.
본 발명은 더 이상의 목표와 장점을 첨부한 도면에서 설명하듯 다음의 설명들로 자명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 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차량의 선회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검출수단으로서의 자이로(Gyro), 2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도검출수단으로서의 차속센서, 3은 자이로(1)로부터 받은 선회각속도를 소정시간을 거쳐서 적산하여 구한 차량의 방위변화량과 차속센서(2)로부터 받은 속도를 소정시간에 걸쳐서 적산하여 구한 차량의 이동거리로부터 당해차량의 현재위치를 구하는 위치검출수단으로서의 위치검출부, 4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부, 5는 복수단계의 축척의 지도데이타를 기억하는 지도데이타기억수단으로서의 CD-ROM(Compact Disk Read-only-Memory) 등으로 구성된 지도메모리, 6은 지도메모리(5)로부터 지도데이타를 읽어내기 위해서의 메모리구도수단으로서의 메모리드라이브, 7은 지도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의 표시부이다.
상기 제어부(4)는 CPU(4a), ROM(4b), RAM(4c), 표시부(7)의 표시제어를 행하는 표시제어부(4d), 제어부(4)와 외부와의 입출력을 행하는 I/O(4e)와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도메모리(5)에는 1/400,000, 1/100,000, 1/25,000, 1/12,500의 4단계의 축척의 지도데이타가 기억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용도 또는 기호(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따라 적당한 축척을 선택할 수가 있다.
각 지도 축척의 스케일은 순위로 4km, 1km, 250m, 100m로 된다.
8은 표시수단(7)에 구비한 광학식터치패널(Light Touch Panel)이며,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발광소자(Light-Emitting Element) Da~Di, D1~D5와 수광소자(Photoreceptors) Ta~Ti, T1~T5가 서로 마주보면서 병렬로 설치되어 있으며, 발광소자로부터 발사된 적외선은 수광소자로 받아서 멈춤을 당한다. 그래서 수광소자에 이르는 빛을 손가락 등으로 가루므로서 터치패널의 접수가 확인된다.
제2도에서는 적외선은 세로가 9가닥, 가로가 5가닥 있으며, 제3도에 나타내듯이 가로 9×세로 5개의 접수(흑색반동그라미)를 가능케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1번좌상(Most Upper Left)을 터치스위치 1a, 1번우하(Most Lower Right)를 터치스위치 5i라 부르기로 한다.
제1도의 9는 내비게이션장치의 ON/OFF, 지도의 확대/축소 및 스크로울등의 조작지령신호의 입력을 행하는 조작부이다.
다음에 본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부(9)의 조작에 의해 본장치를 ON으로하면,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위치가 중심인 지도를 표시한다. 화면을 터치하면 제6도에 나타내듯이 윈도우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베이스화면의 지도축척은 1/12,500이고, 윈도우화면의 지도축척은 1/25,000이다.
또, 제7도와 같이, 베이스화면의 일부를 터치하면,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위치가 중심의 1/25,000축척의 단일지도를 표시한다. 또, 제9도와 같이 윈도우화면의 일부를 터치하면,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차량위치가 중심의 1/25,000축척의 단일지도를 표시한다.
다음에 제어부(4)의 기본동작을 제4도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로 설명한다. 우선, 조작부(9)의 조작으로 내비게이션장치를 ON으로하면(스텝 ST101), 제어부(4)는 위치검출부(3)가 검출한 차량위치데이타를 접수하고, 그 위치데이타를 메모리드라이브(6)로 송신한다. 메모리드라이브(6)은 수신한 위치데이타에 의해 차량위 주변의 지도데이타를 지도메모리(5)로부터 읽어낸다.
지도데이타의 축척은 조작부(9)의 조작으로 설정한 라스트메모리(끝의 메모리)의 축척이며, 예컨대 1/12,500축척지도이다.
읽어낸 지도데이타를 제5도의 표시부(7)에 표시하는 것 같이 차량위치가 중앙이 되도록 표시하고, 그 중앙에 차량위치마크를 진행방향이 판별될 수 있는 3각 마크로 표시한다(스텝 ST102).
알기쉽게 보기위해 제5도에 제3도의 터치패널을 씌운 상태를 나타내면 제11도와 같이 된다(제11도의 흑색원은 시각상 실지 존재하지 않음).
상기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터치패널(8)의 표면을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터치패널을 ON으로하면(스텝 ST103), 메모리드라이브(6)은 지도메모리(5)로부터 베이스화면의 지도축척의 차량위치주변의 지도데이터를 읽어낸다. 이 축척은 전희(전번)의 베이스화면에서 설정한 라스트메모리의 축척이며, 예컨대 1/12,500축척지도이다. 읽어낸 지도데이타를 표시부(7)에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차량위치가 베이스화면의 중앙이 되도록 표시하고, 그 중앙에 차량위치마크를 진행방향이 판발할 수 있는 3각 마크로 표시된다(스텝 ST104).
다음에 메모리드라이브(6)으로부터 윈도우화면의 지도축척의 차량위치주변의 지도데이타를 읽어낸다. 이 축척은 전희의 윈도우화면에서 설정한 라스트메모리의 축척이며, 예컨대 1/25,000축척지도이다. 읽어낸 지도데이타를 표시부(7)에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차량위치가 윈도우화면의 중앙이 되도록 표시하고, 그 중앙에 차량위치마크를 진행방향이 판별할 수 있는 3각 마크로 표시한다(스텝 ST105). 알기쉽게 보기 위해서 제6도에 제3도의 터치패널을 씌운상태로 보면 제12도와 같이 된다(제12도의 흑색원은 시각상 실제 존하지 않음).
상기 제6도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터치패널(8)의 표면을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터치패널을 ON하면(스텝 ST106), 눌른 터치위치가 어디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T107). 제12도의 1a~5f인 경우는, 즉 제7도와 여히 베이스화면의 일부를 터치하면, 축척메모리에 베이스화면의 축척을 기록하고(스텝 ST108), 스텝(ST102)로 되돌아와서 제8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차량위치가 중심의 1/12,500축척의 단일화면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하여 단일화면과 모자화면을 교호로(교차로) 절체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본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의 블록도는 전기실시예(실시예 1)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부(9)의 조작에 의해, 내비게이션을 ON하면 제5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차량위치가 중심인 지도를 표시한다. 제15도와 여히 화면의 중앙을 터치하면, 제16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윈도우화면을 표시한다. 이때에, 베이스화면의 지도축척은 1/12,500이며, 윈도우화면의 지도축척은 1/25,000이다.
다른 한편, 제17도와 여히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곳을 터치하면, 제18도와 여히 터치한 곳이 화면의 중앙이 되도록 지도가 스크로울하여 중앙을 나타내는 십자마크를 표시한다. 이하, 중앙이외의 곳을 터치할때마다 지도가 스크로울을 하나, 중앙의 십자마크를 터치하면 제17도와 같은 차량위치가 중심의 지도화면으로 되돌아온다.
모자화면에서 제19도와 여히 베이스화면의 중앙을 터치하면,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위치가 중심의 1/12,500축척의 단일지도를 표시한다. 다른한편, 제21도와 여히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곳을 터치하면, 제22도와 여히 터치한 곳이 화면의 중앙이 되도록 지도가 스크로울하여, 중앙을 나타내는 십자마크를 표시한다. 이하, 중앙이외의 곳을 터치할때마다 지도가 스크로울을 하나, 중앙의 십자마크를 터치하면 제21도와 같은 차량위치가 중심의 지도화면으로 되돌아온다.
또, 제23과 같이, 윈도우화면의 중앙을 터치하면, 제24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차량위치가 중심의 1/25,000축척의 단일지도를 표시한다. 다른한편, 제25도와 여히 중앙으로부터 벗어난곳을 터치하면 제26도와 여히 터치한 곳이 화면의 중앙이 되도록 지도가 스크로울하며, 중앙을 나타내는 십자마크를 표시한다.
이하, 중앙이외의 곳을 터치할때마다 지도가 스크로울하지만, 중앙의 십자마크를 터치하면 제25도와 같은 차량위치가 중심의 윈도우화면에 되돌아온다.
다음에, 제어부(4)의 기본동작을 제13도, 제14도에 나타내는 플로챠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조작부(9)의 조작으로 내비게이션장치를 ON하면(스텝 ST201), 제어부(4)는 위치검출부(3)가 검출한 차량위치데이타를 수신하여, 그 위치데이타를 메모리드라이브(6)으로 송신한다. 메모리드라이브(6)을 수신한 위치데이타에 근거하여 지도메모리(5)로부터 차량위치주변의 지도데이타를 읽어낸다. 지도데이타의 축도는 전회에서 설정한 라스트메모리의 축척이며, 예컨대 1/25,000축척지도이다. 읽어낸 지도데이타를 표시부(7)에 제5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차량위치가 중앙이 되도록 표시하고, 그 중앙에 차량위치마크를 진행방향이 판별할 수 있는 3각마크로 표시한다(스텝 ST202). 이후, 차량이 주행하며 차량위치가 변화하면, 차량위치가 중심이 되도록 지도가 자동적으로 스크로울하는 차량위치 중심모드로 된다.
상기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터치패널(8)의 표면을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터치패널을 ON으로하면 스텝(ST 203), 눌른터치의 위치가 어디인가를 판단한다(ST 204).
제15도에 표시하듯이 터치패널의 중앙에 상당하는 제11도의 터치위치(3e)를 눌르면, 제16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모자화면으로 절체되며, 메모리드라이브(6)은 지도메모리(5)로부터 베이스화면의 지도축척의 차량위치주변의 지도데이타를 읽어낸다. 이 축척은 전회베이스화면에서 설정한 라스트메모리의 축척이며, 1/12,500축척지도이다. 읽어낸 지도데이타를 표시부(7)에 제16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차량위치가 베이스화면의 중앙이 되도록 표시하여, 그 중앙에 차량위치마크를 진행방향이 판별할 수 있는 3각마크로 표시한다(스텝 ST205).
다음에 메모리드라이브(6)으로부터 윈도우화면의 지도축척의 차량위치주변의 지도데이타를 읽어낸다. 이 축척은 전회의 윈도우화면에서 설정한 라스트메모리의 축척이며, 1/25,000축척지도이다. 읽어낸 지도데이타를 표시부(7)에 제16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차량위치가 윈도우화면의 중앙이 되도록 표시하고, 그 중앙에 차량위치마크를 진행방향이 판별할 수 있는 3각마크로 표시한다(스텝 ST206). 이후, 차량이 주행하며 차량의 위치가 변화하면 차량위치가 중심이되도록 베이스화면, 윈도우화면의 공통지도가 자동적으로 스크로울하는 차량위치 중심모드로 된다.
다른 한편, 스텝(ST204)에서 제17도에 표시하는 것 같이 중앙의 터치위치(3e)이외를 눌르면, 제18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터치위치가 표시화면의 중앙에 오게끔 표시지도를 스크로울하여(스텝 ST207), 표시지도의 중앙을 나타내는 십자마크를 표시한다. 이후, 지도는 고정으로 되고, 지도상의 차량위치마크가 차량위치의 변화와 더불어 지도상을 이동하는 지도고정모드로 된다.
상기의 지도고정모드에 있어서, 터치패널(8)의 표면을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터치패널을 ON으로 하면(스텝 ST208), 터치위치검지부(8)은 눌른 터치위치가 어디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T209). 터치패널의 중앙이외의 곳을 눌른 경우는, 스텝(ST207)로 되돌아와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터치위치가 표시화면의 중앙에 오도록 표시지도를 스크로울한다.
또, 터치패널의 중앙에 상당하는 터치위치(3e)를 눌렀을 경우는, 스텝(ST202)로 되돌아와 차량위치와 중심표시지도를 도화함과 동시에 차량위치마크를 표시하고, 다시 차량위치중심모드로 되돌아와,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다른 한편, 모자화면의 표시에 있어서, 터치패널(8)의 표면을 손가락 등으로 눌러 터치패널을 ON으로 하면(스텝 ST210), 눌은 터치위치가 어디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T211).
제12도의 1a~5f인 경우는, 베이스화면을 눌렀다고 판단하고, 그것이 베이스화면의 어느 터치위치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T213). 제19도와 같이 눌른 터치위치가 베이스화면의 중앙의 경우는 즉, 터치스위치(3c) 또는 (3d)인 경우는, 베이스화면이 차량위치중심모드인가 혹은 지도고정모드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T214). 차량위치중심모드이면 스텝(ST202)로 되돌아와, 제20도와 여히 단일화면의 차량위치중심모드로 된다.
다른 한편, 지도고정모드인 경우는, 베이스화면의 중앙이 차량위치가 되도록 표시지도가 스크로울하여, 차량위치중심모드로 되고(스텝 ST215), 스텝(ST210)로 되돌아온다.
상기 스텝(ST213)에서 접수한 터치워치가 제21도와 여치 베이스화면의 중앙이외의 곳이라고 판단한 경우는, 제22도와 여히 터치위치가 중앙에 오도록 표시하도록 스크롤하여, 지도고정모드로 되어(스텝 ST216)에서 스텝(ST210)로 되돌아온다(스텝 ST215), 또는 스텝(ST216)에서, 베이스화면이 차량위치중심모드, 혹은 지도고정모드 등, 변화한 경우는, 윈도우화면이 어느쪽의 모드일지라도, 베이스화면의 변화에는 영향을 받지않는다).
상기 스텝(ST21)에서 접수한 터치위치가 제12도의 1g~5i인 경우는, 윈도우화면을 눌렀다고 판단하고, 그것이 윈도우화면의 어느 타치위치인가를 판단하다(스텝 ST217). 눌른 타치위치가, 제23도와 여히 윈도우화면의 중앙인 경우는, 즉 터치스위치(3h)인 경우는, 윈도우화면이 차량위치중심모드인가 혹은 지도고정모드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T218).
차량위치중심모드이면 스텝(ST202)로 되돌아와, 제24도와 여히 단일화면의 차량위치중심모드로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스텝(ST28)의 판단결과가 지도고정모드인 경우는, 윈도우화면의 중앙이 차량위치가 되도록 표시지도가 스크로울하여, 차량위치중심모드로 되어 스텝(ST219), 스텝(ST210)로 되돌아온다. 스텝(ST217)에서 접수한 터치위치가, 제25도와 여히 윈도우화면의 중앙이외의 곳이라고 판단한 경우는, 제26도와 여히 터치위치가 중앙에 오게끔 표시지도가 스크로울하여, 지도고정모드로 되어 스텝(ST220), 스텝(ST210)로 되돌아온다(스텝(ST219). 또는 스텝(ST220)에서 윈도우화면이 차량위치중심모드, 혹은 지도고정모드 등으로 변화한 경우, 베이스화면이 어느쪽의 모드라해도, 윈도우화면의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실시예 3에 해당)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체용지도정보표시장치의 구조는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것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여기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부(9)의 조작에 의해, 이내비게이션장치를 ON하면, 제5도에 표시하는 것 같이, 차량위치가 중심의 지도를 표시한다. 제15도와 여히 화면의 중앙을 터치하면, 제16도에 표시하듯이, 윈도우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베이스화면의 지도축척은 1/12,500이며, 윈도우화면의 지도축척은 1/25,000이다. 다른 한편, 제17도와 여히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곳을 터치하면, 제18도와 어해 터치한 곳이 화면의 중앙이 되게끔 지도가 스크로울하여, 중앙을 나타내는 십자마크를 표시한다. 이하, 중앙이외의 곳을 터치할 때마다 지도가 스크로울하지만, 중앙의 십자마크를 터치하면 제17도와 여히 차량위치가 중심의 지도화면으로 되돌아온다. 즉, 단일화면에 있어서의 동작을 앞의 실시예(실시예 2에 해당)와 마찬가지이다.
모자화면에 있어서 제28도와 같이, 베이스화면을 타치하면, 제29도에 표시하는 것 같이 1/12,500축척의 단일지도를 표시한다. 이때에, 제28도에서 타치한 곳이 중심으로 되어 있으며, 화면의 중앙을 가르키는 십자마크를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제어부(4)의 기본동작을 제27에 표시하는 프로챠트로 설명한다. 단일화면에서의 동작(스텝ST301~ST309)은, 전기실시예(실시예 2에 해당)에 있어서의 단일화면에서의 동작(스텝ST201~ST209)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부모화면의 표시에 있어서, 터치패널(8)의 표면을 손가락 등으로 밑으로 눌러서 터치패널을 ON하면(스텝 ST310), 밑으로 눌른 터치위치가 어디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T311). 제28도와 여히 접수한 타치위치가 제12도의 1a~5f인 경우는, 베이스화면을 밑으로 눌렀다고 판단하고, 그것이 베이스화면의 어느 타치위치인가를 판단한다. 축척메모리에 베이스화면의 지도축척을 기억하고(스텝 ST312), 밑으로 눌른 터치위치에 상당하는 지도의 위치좌표를 산출하고, 메모리드라이브(6)은 산출한 위치좌표주변의 지도데이타를 지도메모리(5)로부터 읽어낸다. 지도데이타의 축척은 스텝(ST312)에서 메모리한 베이스화면의 지도축척이며, 1/12,500축척지도이다. 읽어낸 지도데이타를 제29도와 여히 산출한 위치좌표를 중심으로하여 메모리한 베이스화면의 지도축척으로 지도를 도화하여, 단일화면의 지도공정모드로 되어(스텝 ST314), 스텝 ST(308)로 되돌아온다.
한편, 스텝(ST311)에서 접수한 터치위치가 제30도에 표시하는 것 같이 제13도의 1g~5f인 경우는, 윈도우화면을 밑으로 내렸다고 판단하고, 그것이 윈도우화면의 어느 타치위치인가를 판단한다. 축척메모리에 윈도우화면의 지도축척을 기억하고(스텝 ST313), 눌러내린 터치위치에 상당하는 지도의 위치좌표를 산출하여, 메모리드라이브(6)은 산출한 위치좌표주변의 지도데이타를 지도메모리(5)로부터 읽어낸다. 지도데이타의 축척은 스텝(ST313)에서 메모리한 윈도우화면의 지도축척이며, 1/25,000축척지도이다. 읽어낸 지도데이타를 제31도와 여히 산출한 위치좌표를 중심으로하여 메모리한 윈도우화면의 지도축척으로 지도를 도화하여, 단일화면의 지도고정모드로 되어(스텝 ST314), 스텝(ST308)로 되돌아온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표면화면을 밑으로 누름으로서 당해 표시화면을 베이스화면과 윈도우화면에 의한 모자표시로 절체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므로, 단일표시로부터 모자표시로의 절체에 기계적 스위치를 쓰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중앙부근을 밑으로 눌르므로서 당해 표시화면을 베이스화면과 윈도우화면에 의한 모자표시로 절체하고, 상기 표시화면의 중앙이외를 밑으로 눌르므로서 밑으로 눌름위치를 중심으로하는 단일표시로 절체하게끔 구성하였으므로, 단일화면으로부터 모자화면으로의 절체를 기계적 스위치를 쓰는 일 없이 쉽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시화면의 중심위치이외를 터치스크로울에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위에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화면과, 윈도우화면으로 인한 모자표시의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화면을 밑으로 누르면 베이스화면의 축척의 일매표시로, 또 윈도우화면을 밑으로 눌르면 윈도우화면의 축척의 일매표시로 표시화면을 절체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모자표시로부터 일매표시로의 절체에 기계적 스위치를 쓰지않고 쉽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화면과 윈도우화면에 의한 모자표시의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화면의 중앙부근을 밑으로 눌르면 베이스화면의 축척의 일매표시로, 또 윈도우화면의 중앙부근을 밑으로 눌르면 윈도우화면의 축척의 일매표시로 표시화면을 절체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일매화면으로부터 모자화면으로의 절체를 기계적 스위치를 쓰지않고 쉽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시화면의 중심위치이외를 터치스크로울로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차량의 현재위치를 구하는 위치검출수단과, 복수단계의 축척(縮尺)으로 분류되는 지도데이타를 지정하는데 요하는 지도데이타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지도정보 읽어내기부에 근거하여 지도화상과 그의 화면상의 상기위치검지수단으로 검지되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데 요하는 표시수단과, 사용하는 터치패널의 동작으로 어느 부분이 표시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데 요하는 표시위치검지수단과, 소정에어리어가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었다고 통보하는 신호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위치검지수단으로 검지되는 현재의 차량의 중심을 항상 가르키는 스크로울방식으로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의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와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되는 것으로부터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지도화상의 같은 축척을 가진 제1지도화상과 화면상의 윈도우영역의 축척을 가진 제2지도화상으로 절체하는 것을 필요로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스크로울방식은 양 영역을 위해 유지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의 소정영역은 스크린표면의 어느데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화면상의 베이스화면 영역에 표시된것과 일치한 상기 표시수단을 표시하는 신호에 상응해서 상기 표시수단을 스크로울방식으로 베이스 및 윈도우화면영역으로 제1 및 제2의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베이스화면영역으로 표시되는 제1지도화면과 같은 축척으로 단일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고, 또, 상기 제어수단은 화면상의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된것과 일치한 상기 표시수단을 표시하는 신호에 상응해서 상기 표시수단을 스크로울방식으로 베이스 및 윈도우화면영역으로 제1 및 제2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윈도우화면영역으로 표시되는 제2지도화면과 같은 축척으로 단일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상기 과정동안 스크로울방식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지도정보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의 상기 소정에어리어는 상기 표시수단의 중심부근의 중앙에 어리어만을 말하며 이것은 상기 표시수단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단일지도화상이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에 표시되고 또 상기 제어수단이 표시수단의 중앙에어리어를 제외한 에어리어에 표시되었다는 통보를 받을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은 화면상에 표시된 지도화상을 스크로롤하고 그리고 상기 표시수단을 스크로울방식인 지도화상을 표시의 상태로부터 고정방식인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이때 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지도화상의 한점을 가르키며 이것은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에어리어와 일체하며 또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한다해도 스크로울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표시수단상의 제어에어리어를 표시하는 것이라고 통보하는 신호를 계속해서 받을때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단일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며, 상기 표시수단을 상기 표시수단의 단일지도화상을 고정모드로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단일지도화상을 스크로울방식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되며 이때 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차량의 현재의 위치를 가르키며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지도화상이 각각 베이스와 윈도우영역에서 스크로울방식으로 표시될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을,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의 소정에어리어와 일치한 상기 표시수단의 에어리어가 표시되었다고 통보하는 신호에 상응해서, 상기 표시수단을 지도화상과 마찬가지의 축척으로 단일지도정보를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이는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베이스화면영역의 소정에어리어가 베이스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이고, 그리고 다만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에어리어가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을 지도화상과 마찬가지의 축척으로 스크로울방식으로 단일지도화상을 표시의 상태로 절체하며, 이는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며, 또 만일 상기 표시수단상에 표시된 에어리어가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를 제외한 에어리어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베이스화면영역의 제1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며, 그 다음에 베이스화면영역을 고정모드로 절체하며, 여기서 베이스화면영역의 제1 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제1 지도화상의 한점을 가르키며 이는 상기 표시수단상에 표시된 에어리어와 일치하며 또 제1 지도화상은 차량의 주행한다해도 스크로울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지도화상이 베이스화면영역에서 고정모드로 표시될때에는, 상기 제어수단은,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와 일치한 상기 표시수단상의 한 에어리어를 통보하는 신호에 상응하여, 베이스화면영역의 제1 도지화상을 스크로울하며 그리고 난 다음 상기 제어수단은 베이스화면영역을 스크로울방식으로 절체하며, 베이스화면영역의 제1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베이스화면영역의 소정에어리어는 베이스화면영역중의 어디엔가이고, 또 만일 상기 표시수단상의 표시된 에어리어가 화면상의 베이스화면영역과 일치하면, 상기 제어수단이 고정모드로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상의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이때 단일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지도상의 한점을 가르키며, 이것은 상기 표시수단상에 표시된 에어리어와 일치하며 단일지도화상은 설사 차량이 주행한다고 하더라도 스크로울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표시수단상의 중심에어리어가 표시되었다고 통지하는 신호를 받을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은 화면상의 단일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고 또 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상의 단일지도화상을 고정모드로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단일지도화상을 스크로울방식으로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이때 단일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가르키며 또 단일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지도화상이 각각 베이스 및 윈도우화면영역에서 스크로울방식으로 표시될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은, 화면상의 윈도우화면영역의 소정에어리어가 표시된 것과 일치하는 상기 표시수단의 에어리어를 통보하는 신호에 상응해서, 상기 표시수단을 제2 지도화상과 같은 축척으로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사이로 절체하며 이는 상기 표시수단상의 윈도우화면영역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윈도우화면영역의 소정에어리어가 윈도우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이고 또 다만 상기 표시수단상의 표시된 에어리어가 화면상의 윈도우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을 제2 지도화상과 같은 축척으로 스크로울방식으로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제2 지도화상은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상의 윈도우화면영역에 표시되어있으며 또 만일 상기 표시수단상의 표시된 에어리어가 화면상의 윈도우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를 제외한 에어리어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윈도우화면영역의 제2 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며 그리고나서 윈도우화면영역을 고정모드로 절체하며 이때 윈도우화면영역의 제2 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제2 지도화상의 한점을 가르키며 이 제2 지도화상은 상기 표시수단상에 표시된 에어리어와 일치하며, 이 제2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한다고 해도 스크로울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지도화상이 윈도우화면영역에 고정방식으로 표시될때에는, 상기 제어수단은 화면상의 윈도우화면영역의 중심에어리어와 일치하는 상기 표시수단의 에어리어가 표시되었다고 통보하는 신호에 사용해서, 윈도우화면영역의 제2 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고 그리고 윈도우화면영역을 스크로울방식으로 절체하며 이때 윈도우화면영역의 제2 지도화상의 중심은 차량의 현재위치를 가르키며 제2 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윈도우화면영역의 소정에어리어는 윈도우화면영역의 어디엔가이고, 또 상기 표시수단상에 표시된 에어리어가 화면상의 윈도우화면영역과 일치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을 고정모드로 상기 표시수단의 화면상의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이때 단일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에어리어와 일치되는 지도상의 한점을 가르키며, 상기 단일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한다해도 스크로울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표시수단상의 중심에어리어가 표시되었다고 통보하는 신호를 계속 받을 때는, 단일지도화상을 스크로울하며 또 상기 표시수단을 고정방식으로 상기 표시의 화면상의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스크로울방식으로 단일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절체하며, 이때 단일지도화상의 중심은 항상 차량의 현재위치를 가르키며 이단일지도화상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스크로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KR1019960001219A 1995-01-20 1996-01-20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KR0164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07782 1995-01-20
JP00778295A JP3753753B2 (ja) 1995-01-20 1995-01-20 移動体用地図情報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765A KR960029765A (ko) 1996-08-17
KR0164019B1 true KR0164019B1 (ko) 1999-05-01

Family

ID=1167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219A KR0164019B1 (ko) 1995-01-20 1996-01-20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31979A (ko)
JP (1) JP3753753B2 (ko)
KR (1) KR0164019B1 (ko)
CN (1) CN1103983C (ko)
DE (1) DE1954973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972B1 (ko) * 1996-08-21 2001-01-15 모리 하루오 네비게이션장치
JP3623239B2 (ja) * 1997-06-20 2005-02-23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用地図情報表示装置
JPH1164010A (ja) * 1997-08-11 1999-03-05 Alpine Electron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地図表示方法
US6088649A (en) * 1998-08-05 2000-07-11 Visteon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destination in a vehicle navigation system
GB2363507A (en) * 2000-04-10 2001-12-19 Trevor Evan Parry Multi-scale location maps.
US6735516B1 (en) 2000-09-06 2004-05-11 Horizon Navigati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elephoning a destination in vehicle navigation
US6718176B2 (en) * 2001-03-01 2004-04-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al data associated with mobile stations of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721655B1 (en) * 2001-03-14 2004-04-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ehicle travel guide device and vehicle travel guide method
JP3465702B2 (ja) * 2001-07-04 2003-1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EP1450132A4 (en) * 2001-08-10 2009-09-02 Panasonic Corp REPORTING SYSTEM, CENTRAL APPARATUS, TERMINAL, MAP DATA TRANSMISSION SYSTEM, CENTRAL APPARATUS AND TERMINAL
JP2003075167A (ja) * 2001-09-04 2003-03-12 Sony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の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053351A (ja) * 2002-07-18 2004-02-19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769540B2 (en) * 2003-02-26 2010-08-03 Tomtom International B.V.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imulated navigation data
GB0304358D0 (en) * 2003-02-26 2003-04-02 Palmtop Software B V Navigator 2.0 features
CN100573624C (zh) * 2003-08-22 2009-12-2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地图显示方法
US20080150709A1 (en) * 2004-02-20 2008-06-26 Sharp Kabushiki Kaisha Onboard Display Device, Onboard Display System and Vehicle
JP2005257819A (ja) * 2004-03-09 2005-09-22 Clarion Co Ltd 地図表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261829A1 (en) * 2004-05-19 2005-11-24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ff route processing
US7292936B2 (en) * 2004-05-19 2007-11-06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7719523B2 (en) 2004-08-06 2010-05-18 Touchtable, Inc. Bounding box gesture recognition on a touch detecting interactive display
JP2006138742A (ja) * 2004-11-12 2006-06-01 Aisin Aw Co Ltd 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情報収集方法のプログラム
JP4642497B2 (ja) 2005-02-10 2011-03-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663405B1 (ko) * 2005-06-03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국가간 이동경로 자동 탐색 방법 및 장치
JP2007133041A (ja) * 2005-11-08 2007-05-31 Denso Corp 地図表示制御装置および地図表示制御プログラム
DE102006037154A1 (de) 2006-03-27 2007-10-18 Volkswagen Ag Navigation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Navigationsgeräts
JP5232370B2 (ja) * 2006-08-11 2013-07-1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
CN101169325B (zh) * 2006-10-27 2011-04-20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调节导航系统地图显示窗口的方法
US8195383B2 (en) * 2006-11-29 2012-06-05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moving map and aeronautical context display
US7966125B2 (en) * 2006-11-29 2011-06-21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erminal charts, airport maps and aeronautical context display
JP5003309B2 (ja) * 2007-06-28 2012-08-15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表示装置
KR101362764B1 (ko) * 2007-07-02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파일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90040186A1 (en) * 2007-08-07 2009-02-12 Esenther Alan W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ultiple Synchronized Images
KR101430445B1 (ko) * 2007-08-20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크기 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을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US8270669B2 (en) * 2008-02-06 2012-09-18 Denso Corpora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operating object and apparatus for projecting operating hand
JP5428189B2 (ja) * 2008-04-17 2014-02-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DE102008025122A1 (de) * 2008-05-26 2009-12-03 Volkswagen Ag Anzeigeverfahren für ein Anzeigesystem, Anzeigesystem und Bedienverfahren für ein Navigationssystem eines Fahrzeugs
KR101534109B1 (ko) * 2008-12-23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용량형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용량형 터치 시스템
DE112010001396T9 (de) * 2009-03-27 2013-05-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Navigationssystem
DE102009040255A1 (de) * 2009-09-04 2011-03-10 Volkswagen Ag Verfahren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bei einem Bildlauf und Vorrichtung hierfür
DE102009051202A1 (de) 2009-10-29 2011-05-12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und Bedienvorrichtung
JP2011145609A (ja) * 2010-01-18 2011-07-28 Clarion Co Ltd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CN101996488B (zh) * 2010-11-04 2013-05-22 上海美慧软件有限公司 一种适合交通信息表达的示意图绘制方法
JP5387556B2 (ja) * 2010-12-24 2014-01-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
CN102798396B (zh) * 2011-05-26 2016-01-27 阿尔派株式会社 地图显示装置及方法、导航装置及其显示方法
US9404767B2 (en) * 2011-06-10 2016-08-02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charting tasks
GB2492381A (en) * 2011-06-30 2013-01-02 Tomtom Int Bv Controlling a map displayed on a navigation apparatus in order to maximise the display of a remaining route
US8971928B2 (en) * 2012-04-10 2015-03-03 Here Global B.V.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geographic information displayed on a mobile device
CN103379141B (zh) * 2012-04-17 2016-10-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地图的显示方法、系统和gis服务器
US9569059B2 (en) * 2012-11-01 2017-02-14 Blackberry Limited Reference-point-based static-scale mapping application
EP2772726B1 (en) * 2013-02-28 2019-04-10 BlackBerry Limited Repositionable graphical current location indicator
US9031783B2 (en) 2013-02-28 2015-05-12 Blackberry Limited Repositionable graphical current location indicator
CN106201252A (zh) * 2016-06-30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地图显示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6086A (ja) * 1988-08-08 1990-02-15 Canon Inc 色補正回路
US5031104A (en) * 1988-12-05 1991-07-0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daptive in-vehicle route guidance system
JPH0792388B2 (ja) * 1989-04-17 1995-10-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US5093669A (en) * 1989-10-20 1992-03-03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JPH0827593B2 (ja) * 1989-10-24 1996-03-21 マツダ株式会社 移動体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611592B2 (ja) * 1991-12-09 1997-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H05241506A (ja) * 1992-02-28 1993-09-21 Nec Home Electron Ltd 地図表示装置
US5323152A (en) * 1992-04-15 1994-06-2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vehicle
JP2584564B2 (ja) * 1992-04-15 1997-02-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位置検出装置
JP2593999B2 (ja) * 1992-05-13 1997-03-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668383A (ja) * 1992-08-19 1994-03-11 Aisin Aw Co Ltd 車両用経路誘導装置
EP0580167B1 (en) * 1992-07-23 1999-10-20 Aisin Aw Co., Ltd. Vehicle route guidance apparatus for researching for a route when vehicle goes out of route
JPH06110385A (ja) * 1992-09-30 1994-04-22 Nec Home Electron Ltd 地図表示装置
JPH06137882A (ja) * 1992-10-28 1994-05-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経路誘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01071A (ja) 1996-08-09
CN1103983C (zh) 2003-03-26
DE19549737B4 (de) 2008-09-11
US5731979A (en) 1998-03-24
JP3753753B2 (ja) 2006-03-08
KR960029765A (ko) 1996-08-17
CN1130777A (zh) 199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019B1 (ko) 이동체용 지도정보표시장치
JP4645299B2 (ja) 車載用表示装置
JP5259898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US4757455A (en) 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JP3618303B2 (ja) 地図表示装置
EP1293756B1 (en) Navigation device
USRE45411E1 (en) Method for entering commands and/or characters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tilt sensor
US8300068B2 (en) Map displ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display of facilities and moving images associated therewith
US71062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play of detailed map information
JP2008209208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6137882A (ja) 車両用経路誘導装置
KR100474842B1 (ko) 항법장치
JP5158512B2 (ja) 地図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84417A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program
JPH1030931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455122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H09152353A (ja) 地点登録機能付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6266503A (ja) 直接入力装置
JP2005128791A (ja) 表示装置
JP3069661B2 (ja) 移動体の地図表示装置
JPH06138817A (ja) 地図表示装置
JPH0668383A (ja) 車両用経路誘導装置
JP279646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95372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5190203A (ja) タッチ入力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