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291B1 - 다공성 중합체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중합체 물질 - Google Patents

다공성 중합체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중합체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291B1
KR0153291B1 KR1019980001735A KR19980001735A KR0153291B1 KR 0153291 B1 KR0153291 B1 KR 0153291B1 KR 1019980001735 A KR1019980001735 A KR 1019980001735A KR 19980001735 A KR19980001735 A KR 19980001735A KR 0153291 B1 KR0153291 B1 KR 015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lymer
acid
mixture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글라스 라이온스 포드
크린톤 비르길 코프
로버트 죤 윌리암 스트레톤
Original Assignee
멤텍 리미티드
포드 더글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멤텍 리미티드, 포드 더글러스 filed Critical 멤텍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2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selective elimination of components, e.g. by le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5Details relating to the spinner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2Inducing phase separation by thermal treatment, e.g. cooling a sol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i)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및 (ii) 4.0 ∼ 6.0 의 친수-친유 균형을 갖는 양이온계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혼화하고; (b) 상기 혼합물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 동안 가열하여 중합체와 계면 활성제가 서로 용해되어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이 되도록하고; (c)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중공사 형으로 압출하고 균일한 혼합물인 루멘-지지 유체를 성형된 상기 중공사의 루멘내로 도입하고; (d) 상기 균일한 혼합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온도에서, 성형된 상기 중공사의 주위에 연속적으로 균일한 혼합물인 피복 유체를 공-압출하고; (e) 피복 유체 주위에 연속적으로 냉각 유체를 공압출하고, 상기 혼합물의 비평형 액상-액상 분리가 일어나는 온도로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냉각하여, 중합체와 계면 활성제가 공유 면적이 큰 2 종류의 혼합된 분리상을 형성하도록 중합체와 계면 활성제와의 2 상 연속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f) 또한 상기 두 개의 혼합된 분리상을 적어도 상기 중합체가 상기 중공사 형에서 고상을 형성하는 온도로 냉각하여 상기 2 상 연속 매트릭스의 한상으로 배열하고; (g) 상기 폴리 올레핀 중공사로부터 계면 활성제상을 제거하여 상기 다공성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다공성 중합체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중합체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중합체 물질
본 발명은 다공성 중합체 구조 및 이러한 다공성 구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0.01 ∼ 10 미크론 범위내의 공극을 갖는 다공성 중합체 구조는 마이크로여과에 통상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막구조는 침전 기술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으며, 중공사 (hollow fibres) 및 편평한 시이트를 포함하는 각종 형태로 성형시킬 수 있다.
막 형성을 위한 열 침전 기술은 고온에서 용매에 용해시킨 열가소성 중합체의 용액의 형성을 시작으로 한다. 그후에, 용액을 중합체, 용매, 용매중의 중합체의 농도 및 냉각율에 따라 특정 온도로 냉각하면 상분리가 일어나고 액체 중합체가 용매로부터 분리된다.
모든 실질적인 침전법은 스몰더스 등 (Smolders et al) 이 재검토한 문헌 [Kolloid Z.u.Z. Polymere 43, 14 ∼ 20 (1971)] 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일반적인 공정에 따른다. 이 문헌은 중합체 용액의 스피노달 (spinodal) 및 쌍절 (binodal) 분해를 구별하고 있다.
용매중의 중합체 용액을 무한히 느린 속도로 냉각시키면, 온도가 상분리가 일어나고 액체 중합체가 용매로부터 분리되는 점에 도달한다. 이것은 중합체 용액의 쌍절 분해라고 부른다.
냉각율이 유한한 경우에는, 상분리가 일어나는 온도가 쌍절 분해의 경우에서 보다 일반적으로 낮다. 이것을 중합체 용액의 스피노달 분해라고 부른다.
실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침전 공정은 이치에 맞게 빨라야 하며 따라서 스피노달 분해의 범주안에 든다.
거의 모든 공정에 있어서, 상대적 중합체 및 용매 농도는, 상분리에 의해 중합체의 연속상에 용매의 미세 소적이 형성되고 이들 미세소적이 막의 공극을 형성하도록 하는 값이다. 냉각이 연속적이기 때문에, 중합체는 용매 소적 근처에서 동결된다. 상분리가 일어나도, 아직 어느 정도는 중합체가 용매중에 용해될 수 있고 용매가 중합체중에 용해될 수 있다.
온도를 낮춤에 따라, 이러한 용해도는 감소하고 더욱 많은 용매 소적이 중합체 매트릭스 중에 나타난다. 중합체 중에서 소적이 결정화되면 수축 및 균열이 발생하여 공극간에 상호접속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공극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다.
공지의 다공성막 형성의 침전법은, 용매로부터 분리된 후 고화 중합체를 용매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냉각되는 액체 중합체에 의존한다. 용매가 중합체로부터 제검될때 액체인가 또는 고체인가하는 것은 조작을 행하는 온도 및 용매의 융점에 의존한다.
진용액 (ture solution) 은 용매 및 용질을 필요로한다. 용매는 연속상을 구성하고, 용질은 용매중에 분자상태로 임의 (randomly)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중합체 용액에 대하여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긴 중합체 사슬은 자체가 굽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들이 접촉하게 되는 다른 중합체 사슬과 일시적으로 상호 작용하거나 결합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연속적으로 생성 및 파괴되며, 새로운 것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중합체 용액은 거의 진용액일 수 없지만 어느곳에서는 진용액과 혼합물 사이에 놓여 있기도 하다.
많은 경우에, 어떤 것이 용매이고 어떤 것이 용질인지를 언급하는 것도 어렵다. 당해 기술에서는 각각이 다른 상을 분명히 포함하고 있지 않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경우에는, 중합체와 용매의 혼합물을 용액이라고 한다. 이렇게되면, 통상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분리가 있는 점이 상분리점이 된다.
덧붙여, 중합체, 용매 및 있는 경우에 다른 성분의 가열 혼합물은 통상적인 의미의 용액도 혼합물도 아닌 다른 경우가 있다. 이는 계면활성제가 충분한 농도로 존재하여 미셀 (micell) 같은 질서 잡힌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3,378,508 호에서는 중합체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용매와 함께 가열한다. 그후에, 용매를 가열하면 막형성이 발생하는데 이는 스피노달 분해 기술의 가르침과 일치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용매가 실온에서 고체이기 때문에, 용매 제거는 공극으로부터 고체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미합중국 특허 제 4,247,48 호에는 광범위한 중합체 및 용매와 관련하여, 용액의 저속 냉각을 이용한 스피노달 분해기술의 이용이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247,498 호에 따르면, 용액의 저속 냉각은 중합체가 용매 소적 주변에서 동결되기 어느정도전에 용매소적이 유합되도록 한다. 용매가 냉각됨에 따라, 더욱 많은 용매 소적이 형성된다. 그들의 응집 (coalescence)속도는 중합체 액체 매트릭스를 통한 용매의 확산율에 의해 결정된다. 고온에서의 보다 긴 시간은 용매가 더 많이 확산되도록 한다. 저속 냉각도 중합체중에 결정 핵이 형성되는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결과는 미세 채널에 의해 상호 접속된 큰 셀 (cell) 을 포함하는 막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4,247,498 호의 다공성 물질은 공기중으로 압출되어 나와 그의 표면에 걸쳐 스킨을 갖는 블록을 형성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564,448 호에는 용액을 형성하는데 사용되고 상전이가 발생하는 온도를 갖는 용매욕 중에 중합체 용액을 압출시키는 기술에 의해 달성한 다공성 표면이 기술되어 있고,
영국 특허 명세서 제 2,115,425 호에는, 중합체용 용매가 한종류는 중합체에 대한 매우 양호한 용매이고, 다른 한 종류는 빈용매인 용매의 혼합물인 변형된 스피노달 분해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두 종류의 용매의 비율을 조정하여 소기 온도가 중합체에 있어서 용매 효과에 관련되는 복합 용매를 수득한다. 두 종류 용매의 비율변화는 수득된 막의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 3,378,508 호에 개시된 방법은,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탄화수소의 열가소성 고체상 중합체 및 수용성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중합체 및 계면활성제가 상호 용해하는 온도로 가열하고, 혼합물을 중합체 및 계면활성제가 두종류 혼합된 분리상을 형성하는 온도로 냉각하고 중합체로부터 계면활성제상을 용해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제 3,378,508 호에 따라서, 탄화수소 및 계면활성제는, 2 종류 물질이 상호 용해하여 중합체 중에 계면활성제의 완전히 균일한 분포를 수득하는 온도인 고온에서 혼합한다. 상기 명세서에는 임의의 수용성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탄화수소의 고체상, 열가소성 중합체가 계면활성제의 용융점이나 중합체의 연화점 보다 높게 결정된 온도에서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한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3,378,507 호에는, 노닐 페녹시폴리(옥시에틸렌)에탄올, 폴리옥시에틸화 지방 알코올, 폴리옥시에틸화 지방산, 폴리옥시에틸화식물성유,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알킬기내에 평균 18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혼합 알킬 아민염과 같은 비이온계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폴리에틸렌에 함유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과 비혼화성 임을 발견하였고 폴리에틸렌과 혼합되지 않는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내로 분해하여 포함시킬 수 있지만 이후에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물, 에탄올 또는 기타 용매에 의해 세척할 수 없다.
미합중국 특허 제 3,378,507 호의 교시와는 반대로, 특정 양이온계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다공성 물질을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명세서에는 노닐페녹시폴리 (옥시에틸렌) 에탄올을 사용할 수 없다고 기재되어 있는 반면에, 적어도 일부의 상기 군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계면활성제의 친수-친유 균형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과 관련하여 기재할 수 있는 양이온계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극성이다. 일정한 친수-친유(親水-親油)균형 범위내에서, 중합체 용액으로부터 다공성막을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면 계면활성제의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 따라서,
a) (i) 열가소성 중합체 및
(ii) 친수-친유 균형 범위가 4.0 내지 6.0 인 양이온계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중합체 및 계면활성제가 상호 용해하는데 충분한 시간 및 온도에서 가열하고,
b) 혼합물을 비평형 액상-액상 분리가 일어나는 온도로 냉각하여 중합체 및 계면활성제가 공유 표면적 (interfacial surface area) 이 큰 2 종류의 혼합된 분리상을 형성하는, 중합체 및 계면활성제의 2 상 연속 매트릭스를 형성하게 하고,
c) 중합체로 부터 계면활성제상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 다공성 중합체 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친수-친유 균형 값은 계면활성에 있어서는 비교적 낮은 값이다. 즉, 적당한 계면활성제는 비교적 소수성 (즉, 친유성) 이다. 바람직한 범위보다 낮은 친수-친유 균형값을 갖는 계면활성제는 도우프(dope) 를 급냉할때 막에 대한 용해성이 너무 양호하기 때문에 막을 형성할 수 없고, 보다 높은 친수-친유 균형값을 갖는 계면활성제는 중합체를 용해하지 않는다.
제 1 도는 일반화한 중합체/용매개의 상 다이아그램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공중합체 물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식적 현미경 사진이다.
노닐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 (또한, 노닐페녹시폴리 (옥시에틸렌) 에탄올이라한다.) 은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구조식 (I) 에 의해표시된다.
(I)
n=2 인 상기 계열의 제 2 화합물인 노닐페녹시에톡시에탄올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계면활성제이고,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 글리콜류의 혼합물중 시판용 용매테릭 (TERIC) N2 (TERIC 는 등록상표이다.) 를 구성하는 상기 계열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노닐페녹시에톡시에탄올은 하기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구조식 (II) 에 의해 표시된다.
(II)
상기 계열의 용매는 노닐페녹시 폴리에틸렌글리콜류의 분포를 나타낸다.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류는 처음에는 포이소니안 (Poissonian) 분포에 의해 표시되는 혼합물이지만, 최종 생성물의 정확한 분포는 공급자에 의해 공급되는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저비점 성분의 증류와 같은 공정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계열의 제 2 변을 사용하면 다공성 구조를 얻을 수 있지만 n 이 2 이상이 됨에 따라 재질은 더욱 더 극성이 되어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하면 다공성 구조를 얻지 못한다.
TERIC N2 의 경우에 친수-친유 균형의 바람직한 범위는 5.6 내지 5.8 이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용매는 다음 일반식의 아민 에톡실레이트인 SYNPROLAM 35X2 이다.
상기식에서,
x + y 는 2 내지 50 이고,
R 은 비율이 70 : 30 인 C13과 C15의 지방성 라디칼의 혼합물이고, 이것의 반정도는 선형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측쇄이다.
SYNPROLAM 35X2 의 경우에 x + y 는 2 이다. 그러나 사용될수 있는 또다른 용매는 폴리옥시에틸렌(2) 올레일알콜인 BRIJ 92 이다. SYNPROLAM 과 BRIJ 는 등록상표이다.
본 발명의 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친수-친유 균형의 범위가 4.0 내지 6.0 인 다른 용매는 다음과 같다 :
a) TERIC 17A2 와 같은 세틸-올레일 알콜의 에톡실화 유도체
b) TERIC T2 와 같은 산화에틸렌과 톨오일의 축합물
c) TERIC 124 와 같은 고분자량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자기-유화 유도체
d)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f)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g) POE 헥시탄 지방산 에스테르
h) ATLAS G-70140 과 같은 POE 세틸올레일 알콜
i) ATMER 685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j) POE (2) 세틸 알콜
k) POE (2) 스테아릴 알콜
l) CIRRASOL EN-MB 및 CIRRASOL EN-MB 와 같은 POE 지방 알콜
m) RENEX 702 와 같은 POE (2) 합성 1 차 C13/C15알콜
ATLAS, ATMER, CIRRASOL 및 RENEX 는 등록상표이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이지만,
다음 중합체도 사용될 수 있다 :
a) 폴리부틸렌
b)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c) 폴리비닐리덴 디클로라이드
d) 폴리아미드
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f) 폴리스티렌
g)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h) 폴리페닐렌옥사이드
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j) 폴리아크릴로니트릴
k)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다공성 중합물질은 4 집중 경로를 갖는 4 중 공압출 헤드의 사용에 의해 중공섬유로서 형성된다. 측경로는 루우멘 형성 유체를 받으며, 다음 외향 경로는 막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체와 계면활성제 용매의 균일 혼합물을 함유하며, 다음 외향 집중 경로는 피복 유체를 보유하며 최외부 경로는 냉각 유체를 보유한다. 루멘, 피복유체 및 냉각 유체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각 유체는 개별적인 측정 펌프에 의하여 압출 헤드로 이송된다. 4 가지 성분은 개별적을 가열되고 열적으로 단열된 열수축파이프를 따라 이송된다. 압출헤드는 일련의 온도 영역을 갖는다. 루멘 유체, 막 도오프 및 피복유체는 도오프를 형성하는 중합체 용액이 이루어지는 근접하게 감지되는 온도 영역에서 동일한 온도로 된다. 냉각 유체는 냉각 영역에 도입되는데, 여기서 도오프는 비평형액-액상 분리가 일어나 액체의 큰 내부 표면적의 이중 연속성 메트릭스를 형성하며 중합체상은 작은 내부 표면적의 고유상으로 응고 분리가 일어날 수 있기 전에 고형화된다.
중공 섬유막은 완전히 형성되어 압출헤드를 통과하므로 막 제조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사후 압출 조작중에 막으로 부터 계면활성제 용매를 제거하는 것외에는 더 이상의 형성 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최종 마무리된 막으로부터 중합체용 계면활성제 용매를 제거하는데에는, 중합체를 용해시키지 못하는 휘발성 용매가 사용된다.
루멘 형성유체는 대두유와 같은 다양한 물질과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피복 및 냉각 유체도 동일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냉각 유체로 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루멘 형성물질, 피복 유체 및 냉각 유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은 다음과 같다.
a) 파라핀 유
b) 피너츠 유
c) 티일 (teel) 유
d) 볼레코 (boleko) 유
e) 머스타드 유
f) 올리브유
g) 세네카 (seneca) 유
h) 코코넛유
i) 커피유
j) 평지씨유
k) 옥수수유
l) 면실유
m) 글리세롤
n) 글리세틸 트리올레에이트
o) 트리미리스틴
p) 조조바 (jojoba) 유
q) 마카사르 (macassar) 유
r) 니임 (neem) 유
s) 피마자유
t) 오리스 루우트 (orris root) 유
u) 사플로워 (safflower) 유
v)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아라키돈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리놀레산, 리놀레산, 엘라이드산, 바센산 및 이들의 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나트륨, 칼슘과 칼륨염과의 혼합물
w)탄소수 6 이상의 알콜의 디옥틸프탈레이트 및 다른 프탈레이트에스테르
열가소성 중합체 및 계면활성제 용매 (예 : 도오프) 의 균일 혼합물은 산화방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바람직한 산화 방지제는 화학명이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인 ETHANOX 330 (ETHANOX 는 등록상표이다) 이다. 도오프에 용해되는 특정한 방해 페놀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이르러, 폴리프로필렌/TERIC N2 시스템의 경우에 도우프중의 중합체 농도는 15 내지 50 % (W/W),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 (w/w) 일수 있다.
용매점도는 10 내지 1,000 mPa.s, 냉각 액체 점도는 20 내지 100 mPa.s,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mPa.s 일수 있다. 상기한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중공 섬유를 40 내지 120 m/min,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m/min 의 속도로 압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 섬유막은 레이시 (lacey) 또는 필라멘트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레이시 라는 용어는 막이 각각의 스트랜드를 따른 다수의 위치에서 함께 연결된 다수의 중합체 스트랜드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각각의 연결점은 스트랜드의 단면 보다 약간 더 큰 치수만을 갖는다. 각각의 스트랜드의 길이는 스트랜드 직경의 5 내지 50 배이고, 스트랜드는 환형 내지 타원형의 단면 형태로 변화하며, 후자의 경우에 타원형의 주요측은 타원형의 미소축의 5 배 이하일 수 있다. 레이시 또는 필라멘트 구조 라는 표현은 2 연속상 구조로부터 유도된 3 차원의 둥근 레이스필렛으로서 가시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중공 섬유막은 루멘 가스상의 확대 복사 방법을 섬유를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할 경우, 간격의 특정 지수는 간격중에 있는 특정 재료가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평균적으로 증가하도록 섬유의 축 방향으로 스트랜드의 약간의 배향성인 레이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 틈새는 통상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신된 형태이고, 가스상의 확대 복사가 행하여질 경우, 틈새는 축방향으로 연신된 형태로부터 통상의 정사각형 형태로 변형되어 틈새의 최소 치수를 확대시킨다. 가스상 확대 복사는 섬유를 연신시켜 틈새의 최소 치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더욱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제 사용키 위하여 도면을 첨부한다.
제 1 도는 액-액 및 고-액상 분리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중합체/용매계에 대한 온도-조성물상 다이어그램이다. 가로 좌표는 좌측에서 중합체 없음으로부터 우축에서의 모든 중합체까지 범위의 혼합물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세로 좌표는 온도를 나타낸다. 다이아그램의 우측에 대하여 빗각으로 상향으로 기울어진 라인 10 은 라인상의 완전 용액과 라인아래의 고-액 분리간의 영역을 나타낸다. 라인 10 위의 영역은 라인 10 및 11 우의 다이어그램의 상부 모두가 용매중에서 중합체의 완전 용액이 되는 조건을 나타내도록 곡선 11 또는 상방향 불록 라인의 상부상에서 다이아그램의 좌측까지 연장된다.
곡선 11 아래는 라인 12 위의 액-액 비평형상 분리와 라인 12 아래 액-액 평형상 분리간의 영역을 나타낸다. 라인 12 는 라인의 실제 위치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점선으로 나타낸다.
대시선 12 와 실선 11 사이의 영역은, 그의 윗부분에서는 성분이 하나의 상을 형성해야만 하고 그의 아래부분에서는 성분이 명확한 액상들을 형성해야만 하는 준안정 영역이다. 수평 대시-점선 13 과 실선 11 간의 영역은 혼화성 갭이다. 실선 11 은 온도가 무한적으로 서서히 낮아지는 경우의 상분리를 나타내고, 대시선 12 는 온도가 무한적으로 급히 낮아지는 경우의 상분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공정이 비평형 공정이기 때문에 쌍절 곡선 (실선 11) 을 통한 혼화성 갭상의 점으로부터 수직 방향의 준안정 영역중으로 통과하며, 상기 영역에서 어딘가에 액-액 2 연속상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스피노달 곡선 (대시선 12) 을 통하여 하부로 수직적으로 액-액 영역중으로 계속되며, 또한 중합체가 풍부한 상이 고화되는 대시-점선13을 지나 하부로 계속되어 고-액 영역중의 어딘가의 점에 도달한다.
냉각이 수행되는 수평축에 따른 위치가 어느 구조가 얻어질 것인가를 결정한다. 과립 구조는 보통 위치에서부터 쌍절 및 스피노달 곡선의 정점의 왼편까지 나타난다. 과립 구조는 기체상 역세척을 사용하는 미세 다공성 막에 대해 경제적 가치가 별로 없다. 본 방법은 레이시 구조를 생성하는 쌍절 및 스피노달 곡선의 정점의 오른편에 대한 조건을 사용한다. 레이시 구조를 갖는 열침전에 의해 제조된 모든 막은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제조되어야 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바람직한 다공성 중합체 물질의 3 차원 현미경 사진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어두운 부분 (14) 은 상의 표면에서의 고체 중합체 물질을 나타낸다. 줄쳐진 부분 (15) 은 상의 표면 약간 아래의 고체 중합체 물질을 나타낸다. 점찍힌 부분 (16) 은 상의 표면에서 꽤 아래의 중합체 다리를 나타낸다. 빈 부분은 세공 (alveolar)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이제 다공성 중공 섬유막의 제조를 참고로 하여 기술한다.
실시예 1
2600 g 의 폴리프로필렌펠릿, 7300 g 의 TERIC N2 및 100 g 의 산화방지제 ETHANOX 330 을 혼합한 후에 가열하여 도우프를 형성한다. 진공하에 진탕하여 도우프의 온도를 약 220 ℃ 까지 올려 혼합물을 균질하게 한다. 다음에 도우프를 220 ℃ 온도의 4 중 통로 다이를 통해 압출한다.
루멘 형성유체로서 질소를 사용하고 피복 유체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한다.
도우프 유속 22cc/분, 루멘 펌프 유속은 7.6cc/분, 피복펌프 유속 5.0cc/분이고 냉각펌프 유속은 175cc/분이다.
용매 추출 이전에 섬유의 둥글기는 95 % 이고 파쇄 신장은 175 % 이다. 용매를 추출한 후, 섬유의 물리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
루멘 340 미크론
외직경 640 미크론
둥글기
집중도
기포점 170 kPa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 % 50 %
평균공극크기 0.20 미크론
50 kPa 에서 투수성 40cc/분/m
항복력 0.8N
파쇄력 1.0N
파쇄신장 150%
표면공극
나비(공칭) 1미크론
그렇게해서 형성된 섬유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레이시형이다.
본 레이시 구조는 셀 및 공극등과 같은 종래 기술의 막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 상세한 정성적 묘사를 할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519,909 호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셀은 구형을 가리키며 공극은 실린더를 가리킨다. 어느 면으로는, 하나의 공동이 또 다른 것과 교차하는 레이시 구조의 부분은 셀 에 해당하고 실질적인 교차부분 그 자체는 공극 일수 있다. 위상 기하학적으로, 레이시 구조의 그러한 셀 은 인접구를 가리키고 그러한 공극 은 그들의 교차로써 형성된 원을 가리키는 반면에 종래의 기술에서는 셀은 분리된 구를 가리키고 공극은 연결하는 실린더를 가리킨다.
이러한 공극 및 셀 뿐아니라, 레이시 구조는 셀보다 더 큰 공동인 세공을 가지며 이들은 수많은 셀 에 연결된다. 레이시 구조는 세공 사이의 공간을 점유한다.
전형적인 레이시 구조는 셀들을 서로 상호 연결하는 0.1 ∼ 0.5 미크론의 거의 원형인 공극 을 갖는 0.1 ∼ 5 미크론의 거의 구형인 셀 을 갖는다. 공극 은 또한 셀을 약 8 ∼ 20 미크론의 세공에 연결한다.
투수성 시험결과, 전형적인 섬유의 외부에서부터 루멘까지의 투수성은 루멘에서부터 외부까지의 투수성의 3 분의 1 이다.
본 발명을 폴리프로필렌/TERIC N2 용액과 관련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대두유 또는 피마자유를 조용매로서 용액에 첨가할 수 있으며 SYNPROLAM 35X2 또는 BRIJ 92 를 TERIC N2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용매는 피복유체에 첨가될 수 있다.
표면 공극 변형은 피복 유체의 온도 조절 및 조성 변경 둘다에 의해 이를 수 있다. 축 방향으로 신장되고 방사 및 원주방향으로 대칭적 형태인 공극을 갖는 막을 제조할 수 있다. 표면 다공도는 방사 다공도 내에서 스킨 에서 부터 방사형 동방성을 완성하고 나아가 막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욱 다공성인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역 대칭).
압출 동안, 피복 유체와 용융 중합체 용액은 피복 유체가 누락되었을때 냉각액이 혼합되는 것 보다 훨씬 더 현저하게 혼합된다. 피복유체는 막의 표면 다공도를 조절한다. 고온 피복유체는 냉각액의 도우프에 대한 갑작스런 냉각효과를 개선한다.
피복유체는 개별적인 공-압출을 하고, 막압출의 부분이나 냉각 공-압출이 아니다.
구조 형성의 정확한 메카니즘은 분명하지 않지만,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된 경우에 두개의 분리층이된 액-액 2상 연속시스템이 형성되는 것을 알수 있다. 이 반응시에 시스템은 레이시 구조 다음에 상호 연결 공극을 갖는 구형에 가까운 셀의 단계를 통과할 수 있다. 수득된 중합체와 용매의 혼합물에 있어서, 셀의 크기 범위는 냉각 속도 및 중합체-풍부상과 중합체-결핍상 간의 공유 표면 장력에 의존하는 반면에 공극 크기는 냉각 속도에 어느 정도 의존하며, 중합체의 분자량에도 의존한다.
섬유는 냉각 유체와는 현저하게 다른 선형 속도로 냉각 튜브로 이동한다. 압출된 섬유는 냉각 유체의 평균 속도보다 3 배 내지 4 배가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 또한 평균 속도로 산출된 그러한 속도의 차이는 섬유가 냉각 유체의 최대 속도의 2 배 정도의 속도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냉각 유체의 평균 속도와 최대속도는 섬유가 존재하지 않을때의 속도로 간주한다.
상기 실시예가 루멘 형성 유체로서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포화된 증기도 각종 액체처럼 사용될 수 있다. 질소 (또는 포화증기) 가 사용될 경우에, 보다 큰 비대칭성을 부여하는 루멘의 표면 공극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포화 증기를 사용하면 루멘에서 냉각유체를 냉각시키면서 포화증기를 응축시켜 다공질 벽을 통해 통과시키고, 고체화된 막에 약간의 기계적 압력을 가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실시예 2
5.2 kg 의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을 0.2 kg 의 산화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14.6 kg 의 TERIC N2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230 ℃ 의 온도에서 압출한다. 냉각 유체 온도는 31.3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이 322 미크론이고, 외경이 671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의 투수성은 96 kPa 에서 106 ml/min/m, 398 kPa 에서 367 ml/min/m, 599 kPa 에서 478 ml/min/m 이고, 평균공극 크기는 0.301 미크론이며,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은 90.7 % 이다.
실시예 3
5.2 kg 의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를 0.2 kg 의 산화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14.6 kg 의 TERIC N2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230 ℃ 의 온도에서 압출한다. 냉각 유체 온도는 29.9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직경이 324 미크론이고, 외경이 652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의 투수성은 96 kPa 에서 126 ml/min/m, 398 kPa 에서 430 ml/min/m, 599 kPa 에서 543 ml/min/m 이고, 평균 공극 크기는 0.380 미크론이며,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95.2 % 이다.
실시예 4
5.2 kg 의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를 0.2 kg 의 산화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14.6 kg 의 TERIC N2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230 ℃ 의 온도에서 압출한다. 냉각 유체 온도는 31.7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이 323 미크론이고, 외경이 640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의 투수성은 95 kPa 에서 94 ml/min/m, 396 kPa 에서 330 ml/min/m, 598 kPa 에서 448 ml/min/m 이고, 평균 공극 크기는 0.310 미크론이며,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87.9 % 이다.
실시예 5
5.2 kg 의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를 0.2 kg 의 산화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14.6 kg 의 TERIC N2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230 ℃ 의 온도에서 압출한다. 냉각 유체 온도는 31.8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이 320 미크론이고, 외경이 627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의 투수성은 98 kPa 에서 80 ml/min/m, 399 kPa 에서 288 ml/min/m, 600 kPa 에서 393 ml/min/m 이고, 평균공극크기는 0.260 미크론이며,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80.9 % 이다.
실시예 6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5.2 kg 을 산화방지제 Ethanox 330 0.2 kg 을 지닌 TERIC N2 14.6 kg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230 ℃ 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 온도는 30.5 ℃ 이다.
섬유크기는 루멘 직경이 325 미크론이며 외경이 642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의 투수성은 98 kPa 에서 73 ml/min/m, 399 kPa 에서 288 ml/min/m, 및 600 kPa 에서 393 ml/min/m 이며, 평균 공극 크기가 0.260 미크론이고,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80.9 % 이다.
실시예 7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6.75 kg 을 산화방지제 Ethanox 330 0.25 kg 과 함께 TERIC N2 18.25 kg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230 ℃ 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 온도는 30.1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이 320 미크론이며, 외경이 650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의 투수성은 96 kPa 에서 68 ml/min/m, 402 kPa 에서 288 ml/min/m, 및 600 kPa 에서 347 ml/min/m 이며, 평균 공극 크기가 0.270 미크론이며,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80.1 % 이다.
실시예 8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5.2 kg 을 산화방지제 Ethanox 330 0.2 kg 과 함께 TERIC N2 14.6 kg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230 ℃ 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 온도는 31.5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이 310 미크론이며, 외경이 599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의 투수성은 96 kPa 에서 52 ml/min/m, 397 kPa 에서 241 ml/min/m, 및 598 kPa 에서 305 ml/min/m 이며, 평균 공극 크기가 0.322 미크론이고,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65.7 % 이다.
실시예 9
쉘 (Shell) 폴리프로필렌 LY 6100 5.2 kg 을 산화방지제 Ethanox 330 0.2 kg 과 함께 대두유 9.8 kg 및 피미자유 4.6 kg 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해서 195 ℃ 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 온도는 26.2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이 320 미크론이며, 외경이 650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는 기포점이 175 kPa, 평균 공극 크기가 0.3 미크론이고,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87.4 % 이다.
실시예 10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R 1070 5.2 kg 을 산화방지제 Ethanox 330 0.2 kg 과 대두유 9.8 kg 및 피마자유 4.6 kg 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197 ℃ 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온도는 26.0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이 320 미크론이며, 외경이 650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는 기포점이 133 kPa, 평균 공극크기가 0.45 미크론이며,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100.0 % 이다.
실시예 11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R 1060F 5.2 kg 을 대두유 10.8 kg 및 피마자유 5.0 kg 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186 ℃ 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 온도는 27.5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이 320 미크론이며, 외경이 650 미크론이다.
결과로 생성된 섬유는 기포점이 245 kPa 이며, 평균 공극 크기가 0.19 미크론이고,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86.2 % 이다.
실시예 12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70 5.2 kg 을 산화방지제 Ethanox 330 0.2 kg 과 함께 TERIC N2 14.6 kg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 196 ℃ 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온도는 25.4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직경이 320 미크론이며, 외경이 650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는 기포점이 140 kPa 이며, 평균 공극 크기가 0.24 미크론이고, 0.16 미크론 이상의 공극이 89.6 % 이다.
실시예 13
4.8 kg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70 을 0.2 kg 산화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15.0 kg TERIC N2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 유체로서 대두유를 사용하여 198 ℃ 의 온도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온도는 20.7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 320 미크론 및 외경 650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는 175 kPa 의 기포점, 0.23 미크론의 평균 공극 크기 및 0.16 미크론 이상의 82.8 % 공극을 갖는다.
실시예 14
5.2 kg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를 0.2 kg 산화 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14.6 kg TERIC N2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유체로 대두유를 사용하여 238 ℃ 의 온도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 온도는 21.4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 320 미크론 및 외경 650 미크론 이다.
생성된 섬유는 280 kPa 의 기포점, 0.18 미크론의 평균 공극 크기 및 0.16 미크론 이상의 83.4 % 공극을 갖는다.
실시예 15
5.2 kg 셀폴리프로필렌 LY 6100 을 0.2 kg 산화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14.6 kg TERIC N2 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유체로 디옥틸 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190 ℃ 의 온도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 온도는 26.5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직경 320 미크론 및 외경 650 미크론이다.
생성된 섬유는 310 kPa 의 기포점, 0.24 미크론의 평균 공극 크기 및 0.16 미크론 이상의 79 % 공극을 갖는다.
실시예 16
350 g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를 1 g 의 산화 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100 g 피마자유 및 550 g 디옥틸프탈레이트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루멘 및 피복 유체로 디옥틸 프탈레이트와 피마자유의 혼합물 및 냉각유체로 디옥틸 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190 ℃ 의 온도에서 압출시킨다. 냉각유체온도는 28.9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직경 320 미크론 및 외경 650 미크론이며, 미세공극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17
300 g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를 1 g 산화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올레산 450 g 과 유니켐사의 다이머산 프리폴 1017 250 g 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루멘 및 피복유체로 올레산, 및 냉각유체로 560 센티포아즈의 점도를 갖는 에틸셀로솔브와 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190 ℃ 온도에서 압출시킨다. 냉각유체온도는 32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직경 320 미크론 및 외경 650 미크론이며, 미세공극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18
525 g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를 1.5 g 산화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975 g 피마자유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유체로 디옥틸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190 ℃ 의 온도에서 압출시킨다. 냉각유체 온도는 일반적으로 25 ℃에서 33 ℃ 로 증가한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 320 미크론 및 외경 650 미크론이며, 미세공극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19
450 g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를 1.5 g 산화방지제 Ethanox 330 와 함께 1.05 kg 디부틸프탈레이트에 용해시키고, 루멘, 피복 및 냉각유체로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200 ℃ 에서 230 ℃ 로 점차 증가하는 온도에서 압출시킨다. 냉각유체 온도는 점차 25 ℃ 에서 33 ℃ 로 상승한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직경 320 미크론 및 외경 650 미크론이며 미세공극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20
500 g 훽스트 폴리프로필렌 PPN 1060F 을 10 kg 산화방지제 Ethanox 330 과 함께 350 g 디옥틸프탈레이트와 1050 g 디부틸프탈레이트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루멘 및 피복유체로 디옥틸프탈레이트 및 냉각유체로 99 % 디부틸프탈레이트 및 1 % 디옥틸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230 ℃ 의 온도에서 압출시킨다. 냉각 유체 온도는 32.6 ℃ 이다.
섬유의 크기는 루멘 직경 320 미크론 및 외경 650 미크론 이다.
생성된 섬유는 460 kPa 의 기포점, 0.10 미크론의 평균 공극 크기 및 0.16 미크론 이상의 15 % 공극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다공성 중합체 물질이 효과적으로 제조된다.

Claims (14)

  1. (a) (i)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및
    (ii) 4.0 ∼ 6.0 의 친수-친유 균형을 갖는 양이온계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혼화하고;
    (b) 상기 혼합물을 충분한 온도 및 시간 동안 가열하여 중합체와 계면 활성제가 서로 용해되어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이 되도록하고;
    (c)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중공사 형으로 압출하고 균일한 혼합물인 루멘-지지 유체를 성형된 상기 중공사의 루멘내로 도입하고;
    (d) 상기 균일한 혼합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온도에서, 성형된 상기 중공사의 주위에 연속적으로 균일한 혼합물인 피복 유체를 공-압출하고;
    (e) 피복 유체 주위에 연속적으로 냉각 유체를 공압출하고, 상기 혼합물의 비평형 액상-액상 분리가 일어나는 온도로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냉각하여, 중합체와 계면 활성제가 공유 면적이 큰 2 종류의 혼합된 분리상을 형성하도록 중합체와 계면 활성제와의 2 상 연속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f) 또한 상기 두 개의 혼합된 분리상을 적어도 상기 중합체가 상기 중공사 형에서 고상을 형성하는 온도로 냉각하여 상기 2 상 연속 매트릭스의 한상으로 배열하고;
    (g) 상기 폴리 올레핀 중공사로부터 계면 활성제상을 제거하여 상기 다공성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다공성 중합체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의 직경을 중공사형의 형성후에 감소시키고, 섬유의 초기 직경에 대한 최종 직경의 비를 0.25 ∼ 0.10 의 범위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 형성 혼합물이 냉각 유체로부터 다른 선형 속도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섬유 형성 혼합물이 냉각 유체의 평균 속도 보다 3 ∼ 4 배 빠른 속도로 통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루멘 지지 유체가 질소 기체 또는 포화 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피복 유체가 대두유, 파라핀유, 피너츠유, 티일유, 볼레코유, 머스타드유, 올리브유, 세네카유, 코코넛유, 커피유, 평지씨유, 옥수수유, 면실유, 글리세롤, 글리세릴 트리올레에이트, 트리미리스틴, 조조바유, 마카사르유, 니임유, 피마자유, 오리스 루우트유 및 사플로워유, 및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아라키돈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엘라이드산, 바센산 및 이들의 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나트륨, 칼륨 및 칼슘염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냉각 유체가 대두유, 물, 파라핀유, 피너츠유, 티일유, 볼레코유, 머스타드유, 올리브유, 세네카유, 코코넛유, 커피유, 평지씨유, 옥수수유, 면실유, 글리세롤, 글리세릴 트리올레에이트, 트리미리스틴, 조조바유, 마카사르유, 니임유, 피마자유, 오리스 루우트유 및 사플로워유, 및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아라키돈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엘라이드산, 바센산 및 이들의 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나트륨, 칼륨 및 칼슘염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냉각 유체가 피복 유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루멘지지 유체가 피복 유체 및 냉각 유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노닐페녹시에톡시에탄올, 아민 에톡실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 올레일 알코올, 세틸-올레일 알코올의 에틸옥시화유도체, 톨유와 에틸렌옥시드와의 축합물, 고분자량 지방산의 자기-유화 유도체,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POE 세틸-올레일 알코올, ATMER 685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POE (2) 세틸알코올, POE (2) 스테아릴 알코올, POE 지방 알코올 및 POE (2) 합성 1 차 C13/C15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 형성 혼합물이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벤젠 및 용해성 장해 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프로필렌이고, 계면 활성제가 노닐페녹시에톡시에탄올이며, 혼합물에서 중합체 농도가 15 중량 % ∼ 50 중량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중합체 물질.
KR1019980001735A 1988-11-10 1998-01-21 다공성 중합체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중합체 물질 KR0153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J1395 1988-11-10
AUPJ139588 1988-11-10
KR1019890016407A KR0153450B1 (ko) 1988-11-10 1989-11-10 다공성 중합체 물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407A Division KR0153450B1 (ko) 1988-11-10 1989-11-10 다공성 중합체 물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3291B1 true KR0153291B1 (ko) 1999-10-15

Family

ID=37734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407A KR0153450B1 (ko) 1988-11-10 1989-11-10 다공성 중합체 물질
KR1019890016408A KR0154525B1 (ko) 1988-11-10 1989-11-10 중공 섬유막의 압출
KR1019980001735A KR0153291B1 (ko) 1988-11-10 1998-01-21 다공성 중합체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중합체 물질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407A KR0153450B1 (ko) 1988-11-10 1989-11-10 다공성 중합체 물질
KR1019890016408A KR0154525B1 (ko) 1988-11-10 1989-11-10 중공 섬유막의 압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2) EP0423249B1 (ko)
JP (2) JP2981752B2 (ko)
KR (3) KR0153450B1 (ko)
CN (2) CN1030169C (ko)
BR (2) BR8907138A (ko)
CA (2) CA2002798C (ko)
DE (2) DE68914156T2 (ko)
DK (2) DK173864B1 (ko)
HK (2) HK129694A (ko)
IE (2) IE62001B1 (ko)
MX (2) MX173564B (ko)
NO (2) NO178610C (ko)
PT (2) PT92293B (ko)
WO (2) WO1990005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8331A (ja) * 1989-02-08 1990-08-17 Asahi Chem Ind Co Ltd 改質したセルロース多孔体
JPH02208330A (ja) * 1989-02-08 1990-08-17 Asahi Chem Ind Co Ltd 糸状またはフィルム状セルロース多孔体及びその製造方法
CA2082511C (en) * 1990-05-09 2002-09-10 Thomas W. Beck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US5489406A (en) * 1990-05-09 1996-02-06 Memtec Limited Method of making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EP0965610A4 (en) * 1997-03-06 2002-04-24 Asahi Chemical Ind MICROPOROUS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JP4623780B2 (ja) * 1999-09-21 2011-02-0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溶融製膜方法
JP4775984B2 (ja) * 1999-09-21 2011-09-2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中空糸状多孔膜の溶融製膜方法
JP4605840B2 (ja) * 1999-09-21 2011-01-0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中空糸状多孔膜の製膜方法
CN1214854C (zh) * 2000-06-03 2005-08-17 门布拉内有限公司 具有改进的水解稳定性的聚酰胺膜及其生产方法
US7140496B2 (en) 2001-08-01 2006-11-28 Asahi Kasei Medical Co., Ltd.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WO2010096601A1 (en) * 2009-02-20 2010-08-26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Hydrophilic apertured formed film
AU2010269488B2 (en) 2009-07-06 2013-07-11 Sekisui Chemical Co., Ltd. Polymer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CN103189131A (zh) * 2010-08-06 2013-07-0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多孔材料的制造方法
DE102010035698A1 (de) * 2010-08-27 2012-03-01 Innowa Gmbh Mehrkanalmembran
KR20120111990A (ko) * 2011-03-31 2012-10-11 유인식 식물 지방산이 함유된 합성섬유의 제조방법
CN106938526B (zh) * 2011-09-02 2020-06-30 3M创新有限公司 结网
JP6529260B2 (ja) 2011-10-05 2019-06-1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三次元ポリマーストランドネット、ダイ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89876B2 (en) 2014-02-28 2019-08-20 Ultratec, Inc. Semiautomated relay method and apparatus
CN105561812A (zh) * 2014-10-09 2016-05-1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耐氧化聚丙烯腈超滤膜及其制备方法
CN104786472A (zh) * 2015-03-20 2015-07-22 巢湖市荷花渔网有限公司 一种鱼线牵伸冷却液
AU2017272761B2 (en) 2016-05-31 2021-12-23 Toray Industries, Inc. Porous hollow-fiber membran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CN106521654B (zh) * 2016-10-21 2019-04-12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中空纤维膜纺丝喷头及制备中空纤维膜的方法
WO2018079807A1 (ja) * 2016-10-31 2018-05-03 東洋紡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系非対称中空糸膜
US11007490B2 (en) 2016-10-31 2021-05-18 Toyobo Co., Ltd. Cellulose acetate-based hollow fiber membrane
US10889915B2 (en) * 2018-01-31 2021-01-12 Saudi Arabian Oil Company Producing fibers using spinnerets
CN112267300B (zh) * 2020-09-11 2021-10-26 东华大学 一种静电纺纤维基超薄连续纳米蛛网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248892B (zh) * 2023-11-16 2024-02-13 东营长缨石油技术有限公司 亲油疏水性油田用示踪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8507A (en) * 1961-12-20 1968-04-16 Gen Electric Producing microporous polymers
US4020230A (en) * 1975-10-03 1977-04-26 The Dow Chemical Company Microporous polyethylene hollow fibers and process of preparing them
IL52259A (en) * 1976-06-22 1981-02-27 Akzo Nv Dialysis membrane and its manufacture
JPS603842B2 (ja) * 1976-09-03 1985-01-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非対称孔径薄膜材料とその製造方法
US4110153A (en) * 1977-09-08 1978-08-29 Ppg Industries, Inc. Method of forming a microporous diaphragm
NO153879C (no) * 1978-07-31 1986-06-11 Akzo Nv Fremstilling av en membran med poroes overflate.
DE3026718A1 (de) * 1980-07-15 1982-02-04 Akzo Gmbh, 5600 Wuppertal Hohlfasermembran fuer die plasmaseparation
JPS5766114A (en) * 1980-10-14 1982-04-22 Mitsubishi Rayon Co Ltd Porous polyethylene hollow fiber and its production
DE3205289C2 (de) * 1982-02-15 1984-10-31 Akzo Gmbh, 5600 Wupperta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rösen Körpern mit einstellbarem Gesamtporenvolumen, einstellbarer Porengröße und einstellbarer Porenwandung
EP0133882B1 (de) * 1983-07-30 1990-04-04 Akzo Patente GmbH Poren aufweisende Formkörper
US4778601A (en) * 1984-10-09 1988-10-18 Millipore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s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S4726989A (en) * 1986-12-11 1988-0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Microporous materials incorporating a nucleating agent and methods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02026D0 (no) 1990-05-08
CA2002798A1 (en) 1990-05-10
EP0423249A1 (en) 1991-04-24
EP0408688A1 (en) 1991-01-23
EP0423249B1 (en) 1994-03-23
BR8907138A (pt) 1991-02-13
CN1043636A (zh) 1990-07-11
EP0408688B1 (en) 1994-03-23
PT92293B (pt) 1995-08-09
PT92292B (pt) 1995-08-09
EP0408688A4 (en) 1991-04-17
DK166390A (da) 1990-07-10
IE62001B1 (en) 1994-12-14
CN1035927C (zh) 1997-09-24
IE893629L (en) 1990-05-10
HK129794A (en) 1994-12-02
NO902027L (no) 1990-07-05
CN1049108A (zh) 1991-02-13
IE893628L (en) 1990-05-10
DE68914149T2 (de) 1994-08-11
PT92293A (pt) 1990-05-31
EP0423249A4 (en) 1991-05-22
DK173864B1 (da) 2002-01-07
CA2002799A1 (en) 1990-05-10
MX173564B (es) 1994-03-16
BR8907137A (pt) 1991-02-13
DE68914156T2 (de) 1994-08-25
NO902027D0 (no) 1990-05-08
IE62012B1 (en) 1994-12-14
NO902026L (no) 1990-07-09
KR0153450B1 (ko) 1998-12-01
CN1030169C (zh) 1995-11-01
KR900007928A (ko) 1990-06-02
DK166490A (da) 1990-07-10
DE68914156D1 (de) 1994-04-28
NO178610B (no) 1996-01-22
PT92292A (pt) 1990-05-31
DK166490D0 (da) 1990-07-10
WO1990005006A1 (en) 1990-05-17
DK174738B1 (da) 2003-10-13
NO178289C (no) 1996-02-28
DE68914149D1 (de) 1994-04-28
NO178289B (no) 1995-11-20
DK166390D0 (da) 1990-07-10
KR0154525B1 (ko) 1998-11-16
WO1990005007A1 (en) 1990-05-17
MX171938B (es) 1993-11-24
JP2981770B2 (ja) 1999-11-22
NO178610C (no) 1996-05-02
KR900007461A (ko) 1990-06-01
CA2002799C (en) 2001-01-30
JPH03502180A (ja) 1991-05-23
JPH03502661A (ja) 1991-06-20
HK129694A (en) 1994-12-02
CA2002798C (en) 2000-08-01
JP2981752B2 (ja) 199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291B1 (ko) 다공성 중합체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중합체 물질
US5318417A (en) Extrusion head for forming polymeric hollow fiber
US5698101A (en) Hollow fiber membranes
US5489406A (en) Method of making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US4399035A (en) Polyvinylidene fluoride type resin hollow filament microfil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734759B1 (en)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US5277851A (en) Process of making a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EP0037730B1 (en) Asymmetric ultrafiltration membrane and production thereof
AU621428B2 (en) Porous membranes
AU621164B2 (en) Extrusion of hollow fibre membranes
AU653528B2 (en) Porous PVdF membranes
JPS61132323A (ja) 組織化した発泡フイ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JPH05220361A (ja) 多孔質ポリスルホン中空糸膜の製造法
AU2003245463B2 (en) Halar membr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