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025B1 -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수성 농축 용액 - Google Patents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수성 농축 용액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025B1
KR0149025B1 KR1019900005553A KR900005553A KR0149025B1 KR 0149025 B1 KR0149025 B1 KR 0149025B1 KR 1019900005553 A KR1019900005553 A KR 1019900005553A KR 900005553 A KR900005553 A KR 900005553A KR 0149025 B1 KR0149025 B1 KR 014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isothiazolin
glutaraldehyde
composition
solution
aqu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612A (ko
Inventor
제임스 제루식 러셀
프랜시스 매혼 파울
Original Assignee
.
제네카 리미티드
제네카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제네카 리미티드, 제네카 아이엔씨 filed Critical .
Publication of KR90001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iphatically bound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으로 수성농축용액
본 발명은 물내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으로 구성되고 조성물의 PH를 약3.0-7.0이 되도록 하는 완충제 및 글루타르알데히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용액에 존재하는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보다 더 많은 양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이 용액에 존재하도록 하는 충분한 양의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더 구성된 수성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저장안정성을 나타내는 본 조성물은 희석되어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살균(iocidal) 조성물로서 사용될수 있다.
글루타르알데하이드 및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둘다는 각각 바람직한 살균작용을 나타낸다고 공지되었다.
그러므로 payne과 그의 동료(미합중국 특허 제4,188,376호)는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이 특히 미생물에 의한 감염에 대해 수성 매체를 보호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살균제라고 공지되었음을 기술한다. 유사하게 clifford와 그의 동료(미합중국 특허제 4,539,071)는 글루타르알데하이드 단독의 살균효능을 예시한다.
과거에 글루타르알데하이드를 2-메틸-4-이소리아졸린-3-온 및 5-클로로-2-메틸-4-이소리아졸린-3-온과 같은 기타 살균제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와 함께 성취되었지만 (예를들어 clifford와 그의 동료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 4,539,071호 참조), 유사한 결과가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의 혼합물에 대해 예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것은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의 인지된 비상용성으로부터 일부분 유래된다고 믿어진다.
그러므로 글루타르알데하이드는 알칼리 환경내에서 빠르게 중합하기 때문에 이 화합물을 산성조성물로 제제화해야만 하는 것이 받아들여진다.
예를 들어 K-E Rasmunen과 그의 동료, Glutaraldehyde. The Influence of ph , Temperature and Buffering on the polymerization rate, Histochemistry , vol. 38, pp. 19-26 (979);s. Thomas와 그의 동료Temperature -Induced Change in the sporicidal Activ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Glutaraldebyde, Applied Microbiology, vol . 28. No. 3, pp. 331-335(1974년 9월)참조. 약 알카리성의 수성 글루타르알데하이드 용액이 일본특허 공개 제 63-112532호에 기재되어 있지만 , 이러한 결과는 단지 살균작용에 의해 성취된다.
역으로 산성조건하에서 물내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화합물을 알칼리 조건하에서 제제화하여 농축 수성용액을 제조해야 한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적당한 아민이나 아민 혼합물의 부가로 안정화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수성제제가 미합중국 특허 제 1,171,253호 및 제 1,330,531호 둘다에 기재되어있다.
따라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글루타르알데하이드의 농축 수성용액이 제조될수 있고 이것을 수성에 기초한 공업용 생성물에 부가하여 희석했을 때 이러한 결합체가 상승적인 살균작용을 나타냄을 완전히 의외이다.
하나의 특징으로 본 발명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물로 구성되고 조성물의 PH를 약 3.0-7.0이 되도록 하는 완충제 및 글루타르알데하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용액에 존재하는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보다 더 많은 양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이 용액에 존재하도록 하는 충분한 양의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 더 구성되는 농축 수성 용액에 관한 것이다.
다른 특징으로 본 발명은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으로 구성된 상승작용의 살균 조성물 및 효과적인 양의 이러한 상승작용을 하는 조성물로 구성된 수성에 기초한 공업용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농축 수성 용액은 4개의 성분 즉 글루타르알데하이드,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물 및 완충제로 구성 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완충제라 함은 상기 조성물의 PH를 약 3.0-7.0 바람직하게 약3.2-6.8 및 가장 바람직하게 약 3.2-4.8로 유지시키고 상기 조성물의 살균작용을 불리하게 방해하지 않을 어느 화합물 및 또는 화합물들의 결합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완충 조성물은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으며 비록 부가된 염기나 산과 결합할수 있을지라도 산과 적당한 염기와의 부분적으로 중화된 혼합물을 특징적으로 함유할 것이다. 이러한 완충제의 예로는 아세트산, 포름산, 크로로아세트산 또는 프로피온산등과 같은 약산과 수산화나트륨 또는 아세트산나트륨등과 같은 적당한 염기와의 결합체가 있다. 본 발명의 농축 조성물에 사용하는데 특히 바람직한 완충제는 아세트산과 아세트산나트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완충제내 각 성분의 상대량은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 Inc . D-144페이지부터WP 66VLS (1985-86)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완충제표로부터 당 업계의 숙련자에 의해 용이하게 계산될수 있다.
본 발명은 농축 수성용액 고반하에서 어는 순서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함에 이해 만들어질수 있다. 그러나 특징적으로 적당한 양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이 고반하에서 글루타르알데히드 의 용액에 부가된다. 다음에 계속 고반하면서 완충제가 부가된다. 이러한 고반은 기계적 고반기. 자기고반기, 초음파고반수단등을 포함해서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어느 수단에 의해 성취될수 있다.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더 많이 농축된 용액이 필요한 경우에 과량의 이러한 화합물을 적당하게 완충된 수성글루타르알데히드용액에 부가하고 혼합물을 여과시켜 용해되지 않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불용성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글루타르알데하이드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중량비는 약 50:1내지 약 5:1범위일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약 20:1내지 약 10:1가장 바람직하게 약 15:1내지 약 13:1일 것이다.
바람직하게 글루타르알데하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용액에 존재하는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보다 더 많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이 용액에 존재하는한 더 크거나 더 작은 중량비가 사용될수 있을지라도 활성 물질 (즉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을 합한 것)대 물의 중량비는 약 1.0:1 내지 1.2:1범위일 것이다.
어느 특정한 농축 조성물에 사용해야 하는 완충제의 양은 당 업계의 숙련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수 있다. 비록 글루타르알데하이드의 농축용액이 특징적으로 약 3.0-7.0의 PH를 갖는 다 하더라도 극도의 온도에서 이러한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PH변화를 막기 위해 완충제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글루타르알데하이드 혼합물에 필요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농축 수성 용액은 살균적 효과량의 활성물질이 수성에 기초한 공업용 생성물내에 존재하도록 적당한 양의 농축수성용액을 상기생성물에 부가함에 의해 특징적으로 상기 생성물내 살균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결합체를 사용할수 있는 공업용 생성물의 예로는 탄산칼슘 슬러리, 카올린 슬러리, 테이프 접합화합물 및 라텍스가 있다. 이러한 수성에 기초한 공업용 생성물의 조성물이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다.
이들 농축 조성물은 오랜 기간의 우수한 안정성뿐 아니라 바람직한 온도 내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농축용액과 함께 인지되었던 예기치 않은 이점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이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함께 사용될 때 상승적인 살균작용이 얻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승작용이 상기 기술된 농축 액체 조성물의 농도이하인 활성 물질의 농도에서 관찰되므로 이러한 상승작용은 완충제가 존재하지 않는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의 비농축제제에서 존재할 것임을 알 것이다.
따라서 또 다른 특징으로 본 발명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 구성된 상승 작용을 하는 살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상승 작용적인 조성물에 사용된 글루타르알데하이드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중량비는 약 17:1내지 약12.5:1더욱 바람직하게 약 15:1내지 약 13:1의 범위일수 있다. 이러한 결합체에 의해 나타난 억제 정도는 포함된 부가적인 결과로서 기대됐던 것보다 더 크다.
이러한 상승작용을 하는 조성물은 상승작용을 하는 양, 즉 단지 부가적인 억제가 기대된다면 완전한 억제정도 미만의 억제정도가 단독으로 사용된 성분이나 또는 두 개의 성분에 대해 기대되었던 양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상기 기술된 공업용 생성물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다음 실시에는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어느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1]
탈 이온수와 완충제로 구성되고 PH가 각기 3.2, 4.8 및 6.8인 여러 용액을 제고했다. 특히 0.2아세트산과 0.2 아세트산나트륨을 이용했다. 12.5㎖의 0.2M아세트산을100㎖의 탈 이온수에 부가하여 PH3.2인 용액을 얻었다.
22.5㎖의 0.2M아세트산과 27.5㎖의 0.2M아세트산나트륨을 합한 것을 총 부티가 100㎖이 되도록 하는 탈 이온수에 부가하여 PH4.8인 용액을 제조했다. 마지막으로 4.1㎖의 0.2M아세트산나트륨과 1방울의 0.2M아세트산을 합한 것을 100㎖의 탈이온수에 부가하여 PH6.8인 용액을 제조했다.
알고 있는 양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BIT)을 부가하면서 용액을 고반하고 용해되지 않은 BIT와 어느 불용성 불순물을 여과해낸 다음 여과액의 중량을 재어 얼마나 많은 BIT가 용액내에 있었는가를 측정함에 의해 공업용 접은 분말로서 73% BIT를 함유하는 Proxel Press Paste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로부터 입수 가능)형태인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각 용액 내 25℃에서의 용해도를 측정했다.
상기와 동일한 완충제를 사용해 50% 수성클루타르알데하이드를 함유하고 PH가 각기 3.2, 4.8 및 6.8인 용액을 제조했다. PH가 3.2인 20㎖의 용액을 1.45㎖의 아세트산으로서 얻었으며 PH가 4.8인 20㎖의 용액은 3:1의 중량비로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나트륨을 함유했고, PH가 6.8인 20㎖용액은 1.25g의 아세트산나트륨을 함유했다. 각 용액내 BIT 용해도를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했다. 이러한 테스트 결과를 용매 100그램당 가용성 BIT의 그램으로 다음 표1에 요약하였다.
Figure kpo00001
상기 조건하에서 글루타르알데하이드를 부가함에 의해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용해도가 상당히 증가함을 상기 결과로써 알았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조성물과 미합중국 특허 제 4,539,071(Lifford와 그의 동료)에 기재되어 있는 이소티아졸온의 안정한 수성 조성물을비교하기 위해 다음 실험을 행하였다. 0.2중량%의 질산 제 2구리, 9중량%의 염화마그네슘 및 15중량% 질소 마그네슘을 탈 이온수에 부가했다.
이러한 용액내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용해도가 기본적으로 0임이 관찰되었는데 이것으로서 이소티아졸온의 안정한 수성용액을 제공하는 선행 업계의 방법이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안정한 수성용액을 제조하는데 비효과적임을 알았다.
[실시예3]
미생물 증식이 없었던 탄산칼슘 슬러리(Gamma-Fil 90. Georgia Marble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의 40g 샘플 여러개를 제조했다. 이들 샘플은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그룹을 여러 가지 양의 글루타르알데하이드(50%수성용액형태)로 처리하고 두 번째 그룹을 여러 가지양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으로 처리하며 세 번째 그룹을 글루타르알데하이드:BIT의 중량비가 14:1인 여러 가지 양의 글루타르알데하이다(50%수성용액의 형태) 및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은 (Proxel Press Paste형태)으로 처리하고 네 번째 그룹을 대조물로서 처리하지 않고 두었다.
Acinetobacter Calcoaceticus, Pseudomanas aeruginosa, Ecterobacter cloacae 및 Escherichia coil를 함유한 접종물을 1주에 한번씩 3번 상기 각 샘플에다 접종 시켰다. 우선 3개의 그룹에 대해 오염시키는 미생물을 ㎖당 10미만의 클로니형성단위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부 수준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값을 측정했다.
대조그룹에서 ㎖당 클로니 형성단위수를 또한 측정했다.
이러한 평가결과를 다음 표2에 요약했다.
Figure kpo00002
[실시예4]
미생물에 의해 상당히 손상된 카올린 슬러리의 샘플을 일정한 농도으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글루타르알데하이드, 및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글루타르알데하이드를 합한것(1:14의 중량비)으로 처리했다. ㎖당 클로니 형성 단위를 측정하는 것과 함께 대조목적을 위해 항균제가 없는 샘플을 포함시켰다. 미생물오염정도를 ㎖당10미만의 클로니 형성단위로 감소시키는 MIC값(활성성분의 ppm)을 희석플래이트에 검사 가능한 증식이 없는 것으로써 측정했다. 이러한 테스트 결과를 다음표 3에 요약한다.
Figure kpo00003
Berenbaum M. C. A methood for Testing for Synergy with Any Number of Agents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vol 137, No. 2 pp 122-130(1978년 2월)에 기재된 방정식을 적응 시킴에 의해 나타난 상승작용에 대해 실시예3 및 4에 대한 결과를 계산했다. 관련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식중 Ac는 결합체내 효과적인 수준의 첫 번재 항균성 성분
Ae는 독립적이며 효과적인 작용 수준의 첫 번재 항균성성분
Bc는 결합체내 효과적인 수준의 두 번째 항균성성분
Be는 독립적이며 효과적인 작용 수준의 두 번째 항균성 성분
만약 Z가1미만이라면 상승작용이 존재한다.
Z가 1이라면 부가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한다. Z가 1보다 크다면 길항작용이 존재한다. 이러한 계산 결과를 다음표4에 기록한다.
Figure kpo00005
*무엇보다 크다는 기호인()이 존재하는 경우처럼 실제의 MIC가 더 높을지라도 BIT값은 표 2 및 3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용했다.
탄산칼슘 슬러리의 경우 미생물을 가지고 두 번째 및 세 번째 시도를 하는동안 글루타르알데하이드는 항균 작용을 감소시키지만 결합체는 결과와는 상승작용과 함께 그것의 항균효과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았다.
1주에 대한 결과로써 약간의 길항 작용이 관찰될수 있음을 알았지만 이러한 결과가 실험적인 오차와 생물학적 변이성내에 있어서 사실상 실제적인 길항 작용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어진다
카을린, 슬러리의 경우 BIT 경우 글루카르알데하이드간에 일치하는 상승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에 3 및 4에 대한 결과는 수성에 기초한 공업용 조성물내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글루타르알데하이드의 결합체에 의해 나타난 의외의 상승적인 살균작용을 설명한다.

Claims (14)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과 물로 구성되고 조성물의 PH응 약 3.0-7.0이 되도록 하는 완충제 및 글루타르알데하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용액에 존재하는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보다 더 많은 양의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이 용액에 존재하도록 하는 충분한 양의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 더 구성되는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가 약 3.2-6.인 조성물
제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가 약 3.2-4.8인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제가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 나트륨으로 구성된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글루타르알데하이드 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중량비가 약 50:1내지 5:1인 조성물
제 5항에 있어서 글루타르알데하이드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중량비가 약 20:1내지 약 10:1인 조성물
제 6항에 있어서 글루타르알데하이드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중량비가 약 15:1내지 약 13:1인 조성물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으로 구성된 상승작용을 하는 효과량의 살균 저성물을 부가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수성에 기초한 조성물을 생물학적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이다.
제 8항에 있어서 글루타르알데하이드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중량비가 약 17:1내지 약 12.5:1인 방법
제 9항에 있어서 글루타르알데하이드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중량비가 약 15:1내지 약 13:1인 방법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에 기초한 공업용 조성물 탄산칼슘 슬러리인 방법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에 기초한 공업용 조성물이 카을린 슬러리인 방법
제 8항에 있어서 상기수성에 기초한 공업용 조성물이 테이프 접합 화합물인 방법
제 8항에 있어서 수성에 기초한 공업용 조성물이 라텟스인 방법
KR1019900005553A 1989-04-20 1990-04-20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수성 농축 용액 KR0149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40,935 US5004749A (en) 1989-04-20 1989-04-20 Concentrated aqueous solution of glutaraldehyde and 1,2-benzisothiazolin-3-one
US340.935 1989-04-20
US340,935 1989-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612A KR900015612A (ko) 1990-11-10
KR0149025B1 true KR0149025B1 (ko) 1998-08-17

Family

ID=2333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553A KR0149025B1 (ko) 1989-04-20 1990-04-20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수성 농축 용액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004749A (ko)
EP (1) EP0393948B1 (ko)
JP (1) JP2868839B2 (ko)
KR (1) KR0149025B1 (ko)
AR (1) AR247804A1 (ko)
AT (1) ATE114406T1 (ko)
AU (1) AU626658B2 (ko)
BR (1) BR9001837A (ko)
CA (1) CA2014721C (ko)
DE (1) DE69014389T2 (ko)
DK (1) DK0393948T3 (ko)
ES (1) ES2064622T3 (ko)
FI (1) FI103860B (ko)
IE (1) IE64985B1 (ko)
MX (1) MX163810B (ko)
NO (1) NO179852C (ko)
NZ (1) NZ233271A (ko)
PT (1) PT93803B (ko)
ZA (1) ZA9027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3085A (ja) * 1989-11-16 1993-05-27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粘性物を形成する微生物の制御
US5384326A (en) * 1991-11-12 1995-01-24 Rohm And Haas Company Girondalones
AU5522594A (en) * 1993-03-03 1994-09-08 W.R. Grace & Co.-Conn. A method of directly monitoring the concentrations of microbiocides in aqueous systems
US5348666A (en) * 1993-03-31 1994-09-20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stabilizing glutaraldehyde in aqueous systems
US5373016A (en) * 1993-05-28 1994-12-13 Zeneca, Inc. Protection of isothiazolinone biocides from free radicals
ES2152861B1 (es) * 1998-10-23 2001-08-16 Miret Lab Composicion biocida-fungicida y procedimiento para su obtencion.
GB9823247D0 (en) 1998-10-24 1998-12-16 Ciba Geigy Ag A process for the contro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water-based solids suspensions
US20040247626A1 (en) * 2001-10-16 2004-12-09 Carsten Berg Stable aqueous dispersion of 1, 2-benzisothiazoline-3-one (bit)
DE102005001566A1 (de) * 2005-01-13 2006-07-27 Lanxess Deutschland Gmbh Antimikrobiell ausgerüstete Feststoff-Zubereitungen
CN101489391B (zh) * 2006-07-25 2014-09-03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稳定、低voc、低粘度的杀生制剂及制备这种制剂的方法
US7652048B2 (en) * 2007-05-04 2010-01-26 Troy Corporation Water-based, antimicrobially active, dispersion concentrates
PL2157862T3 (pl) * 2007-06-05 2016-12-30 Kompozycja biocydu zawierająca aldehyd glutarowy i co najmniej jeden izotiazolinon
CN101909601B (zh) * 2008-01-18 2013-06-26 陶氏环球技术公司 使用甲氧基聚乙二醇增强难溶性活性剂的水溶解度的方法
EP2531034A4 (en) * 2010-01-07 2013-08-21 Isp Investments Inc BIOCIDAL COMPOSITIONS FREE OF VOLATILE, MISCIBLE OR DISPERSIBLE ORGANIC COMPOUNDS IN WATER, CAPABLE OF MORE EFFICIENTLY INHIBITING NEGATIVE GRAM BACTERIAL STRAIN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6040381B2 (ja) * 2013-09-13 2016-12-07 株式会社片山化学工業研究所 高炉水砕スラグの固結防止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固結防止剤の水溶液
US10743535B2 (en) 2017-08-18 2020-08-18 H&K Solutions Llc Insecticide for flight-capable pes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784934B (en) * 1977-09-30 1979-10-31 Ici Ltd Solutions of benzisothiazolinones
DE3144137A1 (de) * 1981-11-06 1983-05-19 Schülke & Mayr GmbH, 2000 Norderstedt Flaechendesinfektionsmittel
DE3313689A1 (de) * 1982-04-19 1983-10-27 Dearborn Chemicals Ltd., Widnes, Cheshire Biocide
JPS60234860A (ja) * 1984-05-08 1985-11-21 Hitachi Ltd 熱転写プリンタ
DE3600271A1 (de) * 1986-01-08 1987-07-09 Cassella Ag Waessrige zubereitung von 1,2-benzisothiazolin-3-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68839B2 (ja) 1999-03-10
MX163810B (es) 1992-06-22
PT93803A (pt) 1990-11-20
DK0393948T3 (da) 1995-01-16
JPH0363204A (ja) 1991-03-19
NO179852C (no) 1997-01-02
US5004749A (en) 1991-04-02
IE901402L (en) 1990-10-20
IE64985B1 (en) 1995-09-20
FI103860B1 (fi) 1999-10-15
NZ233271A (en) 1991-08-27
CA2014721A1 (en) 1990-10-20
AU5317390A (en) 1990-10-25
ZA902754B (en) 1991-02-27
NO901703D0 (no) 1990-04-18
EP0393948A1 (en) 1990-10-24
DE69014389D1 (de) 1995-01-12
ES2064622T3 (es) 1995-02-01
NO901703L (no) 1990-10-22
DE69014389T2 (de) 1995-04-20
FI901988A0 (fi) 1990-04-20
CA2014721C (en) 2000-05-30
BR9001837A (pt) 1991-06-18
AU626658B2 (en) 1992-08-06
KR900015612A (ko) 1990-11-10
PT93803B (pt) 1996-09-30
EP0393948B1 (en) 1994-11-30
ATE114406T1 (de) 1994-12-15
NO179852B (no) 1996-09-23
AR247804A1 (es) 1995-04-28
FI103860B (fi)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025B1 (ko) 글루타르알데하이드와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 수성 농축 용액
AU654192B2 (en) Glycine anhydride dimethylol as a biocide and preservative
JP4382175B2 (ja) 安定な殺微生物剤配合物
JPH08503209A (ja) 改良された酸殺菌剤組成物
US4163798A (en) Stabilized aqueous amide antimicrobial composition
JPH022845B2 (ko)
AU774232B2 (en) Disinfectants
JPH09502974A (ja) 2−(チオシアノメチルチオ)ベンゾチアゾール及び有機酸を含有する相乗効果のある抗微生物用組成物
US4232041A (en) Aqueous antimicrobia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US4061750A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WO1995020321A1 (en) Synergistic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methylene-bis(thiocyanate) and an organic acid
JP3853410B2 (ja) 硝酸塩を含まない3−イソチアゾロンの臭素酸安定化
KR0151951B1 (ko) 안정화 이소티아졸론 살균조성물
KR920003209B1 (ko) 살진균 조성물
US5603866A (en) Stabilized isothiazolinone formulations
JP2903582B2 (ja) 工業用防菌・防藻組成物
US4071628A (en) Synergistic antimicrobial mixtures
US5017592A (en) Stable biocide composition for industrial use
GB1581527A (en) Fungicidal formulations
KR101074036B1 (ko) 메틸 이소티아졸론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2157269A (ja) 殺菌剤組成物
KR100975374B1 (ko) 이소티아졸론 조성물 및 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 방법
JPS59101402A (ja) 殺菌剤
JPH0565205A (ja) 農園芸用殺菌組成物
JPH04270203A (ja) 工業用殺菌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