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951B1 - 안정화 이소티아졸론 살균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화 이소티아졸론 살균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951B1
KR0151951B1 KR1019890019551A KR890019551A KR0151951B1 KR 0151951 B1 KR0151951 B1 KR 0151951B1 KR 1019890019551 A KR1019890019551 A KR 1019890019551A KR 890019551 A KR890019551 A KR 890019551A KR 0151951 B1 KR0151951 B1 KR 015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thiazolone
anhydride
composition
parts
isothiazol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391A (ko
Inventor
로버트 매톡스 죤
Original Assignee
윌리암 이. 람베르트 3세
롬 앤드 하스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이. 람베르트 3세, 롬 앤드 하스 캄파니 filed Critical 윌리암 이. 람베르트 3세
Publication of KR900011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smetic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정화 이소티아졸론 살균조성물
본 발명은 미생물 및 생유기체 구제에 유용한 3-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 조성물 및 그 사용에 관한 것이다. 안정화된 이소티아졸론류로는 미국특허 제3,523,121호 및 3,761,488호 등에 개시된것들이 포함되며, 다음 일반식(IA)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Y는 탄소수 1-18개의 치환또는 비치환 알킬기, 탄소수 2-8개 (바람직하게는 2-4개)의 비치환또는 할로겐치환 알케닐기또는 알키닐기, 탄소수 5-8개의 비치환또는 치환시클로알킬기, 비치환 또는 치환알알킬기, 또는 비치환또는 치환아릴기이고: R과 R1은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C1-C4)알킬기임.
Y의 대표적인 예들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헥실, 옥틸, 시클로헥실, 벤질, 3,4-디클로로벤질, 4-메톡시벤질, 4-클로로벤질, 3,4-디클로로페닐, 4-메톡시페닐, 히드록시메틸, 클로로메틸, 클로로프로필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이소티아졸론은 5-클로로-2메틸-3-이소티아졸론, 2-메틸-3이소티아졸론,2-옥틸-3이소티아졸론, 4,5-디클로로-2-시클로헥실-3-이소티아졸론 및 4,5-디클로로-2-옥틸-3-이소티아졸론이다. 일본특허 제 12243/83호에는 이소티아졸론과 2-히드록시메틸-2-니트로-1, 3-프로판디올의 혼합물을 디올용매와 함께 안정화시키는 것이 개시되어있다. 2-히드록시메틸-2-니트로-1, 3-프로판디올은 포름알데히드방출제인데, 이는 이소티아졸론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 미국특허제4,165,318호 및 제 4,129,448호) 유럽특허출원제 194,146호에는 여러 가지 수산기 용매, 특히, 디프로필렌 글리콜에 의하여 비수성, 무염 (salt-free)의 시스템 내에서 이소티아졸론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개시되어있다. 버크등에 주어진 일련의 미국특허들에는, 일반적으로는 약간의 물 존재하에서, 다양한 유기안정화제(organic stabilizer)와 함께 2,2-디브로모니트릴로피로피온아미드같은 할로겐화아미드항미생물제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제시되어있다. USP 4241080에는 산 또는 산무수물 안정화제가 기재되어있으나, 그러한 안정제의 어느 것도 이소티아졸론의 순수(neat) 또는 비수성 안정화에 유용한 것이라고 제안되지는 않았다.
이제까지, 열에 의한 물성저하 또는 저장중 물성 저하에 대한 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방법은 일반적으로 금속염,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방출제(releaser)에 의한 것이었다.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방출제 및 금속염에 의한 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는 몇가지 결점을 갖는다. 포름알데히드는 의사발암물질로서, 인체피부 또는 폐와의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적용에서는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1)물이 실질적으로 배제되고, (2)염 중화(salt neutralization)가 제외되고, (c) 질산염 안정화제의 필요성이 배제된, 안정한 살균성 이소티아졸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소티아졸론 안정화는 유기산무수물의 첨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산무수물은 다음 일반식 (I)내지(IV)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상기 식들에서 R2와 R3는 각각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및 -C(O)-OR4(R4는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아릴알킬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라이칼이고,
X는 CR5=CR5, CR5R6-CR5=CR6또는 (CR5R6)n[여기서, R5와 R6는 각각 R2, R3, 수소 또는 Cl이고, n은 2 또는 3임]이고,
Z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R5또는 R6기로 치환될 수 있는, 4,5,6 또는 7원자고리의 포화고리, 불포화고리 또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는 라디칼이며,
W는 방향족 핵(nucleus)임.
본 발명의 안정화 조성물은 약 0.1-99.9부(parts)의 하나 또는 둘이상의 이소티아졸론: 및 약0.1-99.9부의, 상기일반식 Ⅰ-Ⅳ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산무수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Y가 C1-C18알킬 또는 C3-C12시클로알킬이고, R이 수소 또는 할로겐이며, R1이 수소 또는 할로겐인, 일반식(IA)의 이소티아졸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농축조성물 및 용매희석 조성물에 대한 전형적인 조성비(중량을 기준으로한 부(parts)로 표기)가 하기 도표에 요약되어 있다. 대량 선적과 같은 일련의 경우에는 진한농축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저장중 도달 할 수도 있는 약 55℃ 이상의 온도에서 산무수물이 고체인 경우에서는, 고체 혼합물로서 이소티아졸론과 산무수물을 상호혼합한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그러한 산무수물로는 말레인산무수물 (mp. 60℃), 숙신산무수물(mp, 120℃) 및 프탈산무수물(mp, 132℃)등이었다.
Figure kpo00006
다른 유기용매또는 물의 존재없이 단지 산무수물 안정제만을 포함하여 이소티아졸론을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사용되는 안정제 또는 안정제 혼합물의 양은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소티아졸론은 비포장형태, 적당한 방법으로 포장 또는 캡슐화된 형태, 또는 제어된 방출을 위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산무수물과 이소티아졸론의 바람직한 혼합비는 약1:7 내지 1.5:1이다.
산무수물이외에 용매가 이소티아졸론을 용해시키기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소티아졸론을 용해시키고, 의도된 사용목적에 적합하며, 이소티아졸론을 불안정화시키지않고, 산무수물의 안정화작용을 감소시키는 식으로 산무수물과 반응하지않는 어떠한 유기용매도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예를들면 글리콜, 알코올과 같은 폴리올은 덜 바람직하다. 어떤 조합물에 있어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가 유용한 용매이다. 바람직한 용매는 자유수산기가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작용기로 대체 되어진 캡폴리올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또는 트리글림으로 통상 알려진 2,5,8,11-테트라옥사데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통상 알려진 4,7-디옥사운데칸올-1-아세테이트이다.
사용되는 산무수물의 양은 사용조건 및 혼합물내 이소티아졸론 농도에 따라 변화된다. 보다 농축된 용액에서, 산무수물의 효과적인 양은 이소티아졸론을 기준으로 약 1/4 내지 1/2이다. 용매내에 1-2%의 이소티아졸론의 함유된 것과 같은 저농도 희석액에 있어서는, 안정화제(산무수물)대 이소티아졸론의 비가 약 1:7 내지 2:1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필수적인 안정화염들이 충분히 감소되거나 배제된, 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를 제공한다.
공지의 유용한 안정화염들은 미국특허 제 3,870,795호 및 제 4,067,878호 등에 개시된 것들로서, (1)금속이 바륨, 카드뮴, 칼슘, 크롬, 코발트, 구리, 철, 납, 리듐, 마그네슘, 망간, 수은, 니켈, 나트륨, 은, 스트론튬, 주석, 아연등인 금속질산염: 및 (2)음이온이 할라이드, 술페이트, 니트레이트, 니트라이트, 아세테이트, 클로레이트, 퍼클로레이트, 바이술페이트, 바이카보네이트, 옥살레이트, 말레에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포스페이트등인 구리(2+)염이다.
안정화살균제들은 박테리아, 진균 또는 조류(algae)에 의하여 오염되어지는 영역(locus)에서 적용된다. 그러한 대표적인 영역은, 미생물이 치사되거나 그 생장이 억제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수냉각시스템과 세탁소세척수등과 같은 수성시스템: 및 절삭유와 같은 오일시스템에서이다.
본 발명의 안정화살균 조성물은 공지기술의 염안정화 이소티아졸론보다 나은 것이며, 염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서는 최상의 살균제이다.
예를 들면, 염의 부가에 의하여 어떠한 에멀션은 응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며, 따라서, 표면이 피복되거나 보호되어질 필요가 있는 전자회로, 목제품, 금속, 플라스틱, 섬유, 격막, 카페트배킹, 세라믹등과 같은 고체보호 또는 장식필름을 형성하기위한 코팅 에멀션(즉, 페인트), 인화에멀션, 접착제, 콜크 및 감광에멀션같은 에멀션에 사용될 수 있다.
공지기술은 많은 염안정화(salt stabilized) 살균 조성물에 있어서는, 조성물 내의 다른 염들과의 상호반응, 유기물을 형성하는 어떤 염과의 상호반응, 유기염으로의 전환에 의하여 또는 조성물과의 비혼화성에 의하여 발생되는 고체형성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안정화살균제는 그러한 시스템에서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분상의 염침적(salt deposits) 가능성을 배제시키므로 디이젤, 가솔린, 등유, 알코올과 같은 연료시스템에 유용하다. 염을 제외시키는 다른 이유는 부식이 발생될 수 있는 여건을 배제하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염소염류는 많은 금속상에 부식작용을 가지므로, 가능한한 배제되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것은 낮은 양이온 및 음이온 농도수준이 중요한수처리(water treatment)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하다. 미생물생장이 제어되어야할 필요가 있는 여러분야의 기술에 정통한 사람들은 염의 충분한 감소 또는 배제가 소망되는 적용분야를 쉽게 인식할 것이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안정화염과 조성물의 다른성분 또는 조형화성분들 사이의 상호반응을 배제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그렇지않으면 그러한 상호작용이 당해 조성물의 성능 또는 가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티아졸론 안정화제는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다른 적용 분야를 갖고 있다. 예를들면, 산무수물은-OH-, -NH, -SH 및 기타 친핵성기들을 함유하는 분자들의 반응스캐빈저로서 작용함이 알려져있다. 산무수물로 안정화된 살균조성물은 살균활성화 및 스캔비저작용의 이중기능이 바람직한 결과를 유도할 수도 있는 경우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이소티아졸론 살균제들은 매우 활성적이므로, 안정화성취에 요구되는 낮은 농노수준이 다른 공지살균제들에 비하여 보다 이상적이다. 즉, 그런한 낮은 수준에서, 그들은 보호가 요구되는 시스템내의 다른 성분 또는 보호된 시스템상에 적용되어진 시스템과 상충되는 경향이 거의 없다.
본 조성물의 일반적용의 잠재영역들로는 살균제, 위생처리제, 세제, 탈취제, 액체 또는 분말비누,스킨제거제, 오일 및 그리스제거제, 식품처리화학약품, 낙농화학약품, 식품방부제, 동물사료방부제, 목재 보존제, 페인트, 라져, 염색약, 살곰팡이제, 소독제, 금속가공액, 수냉각처리, 공기세정제, 석유산물, 종이처리, 제지공장스림제거제, 접착제, 직물, 안료슬러리, 라텍스, 피혁 및 가죽처리, 석유연료, 세탁위생처리제, 농약, 잉크, 비직조섬유, 석유저장, 고무, 설탕처리, 담배, 수영푸울, 화장품, 화장수, 의약, 가정세탁물, 디지젤연료첨가제, 왁스, 광택제, 및 바람직하지못한 미생물의 생장을 허용하는 조건하에 물 및 유기물질들이 놓이게되는 기타의 적용들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물품의 안정화제 있어서는, 이소티아졸론에 염들을 배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염들은 광학성질을 저하시키고 흡습성 및 안개서림수준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떤 화장품소정물에 있어서는, 낮은 물 및 염함량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질산염을 제외시킴으로써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어떤 아민과의 니트로스아민 형성을 막을 수 있다. 살균제로부터 다가 양이온을 제거함으로써 또한, 염 또는 착물의 침전에 의하여 유도하는 화장품조성물 내에서의 물리적비친화성 발생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하나의 살균제를 다른 살균제와 조합함에 의하여 그의 활성이 증가 될 수 있음은 당분야 공지의 사실이며, 그러한 상승조성물의 여러예들이있다. 그러므로, 기타공지의 살균제가 본 발명의 안정화 이소티아졸론에 유리하게 연합될 수 있다.
이소티아졸론은 유중수 처리에서의 살균제, 수냉각시스템 항미생물제, 수성분산액 또는 유기중합체용 보존제, 목재펄프백수 슬림제거제, 화장품방부제, 및 절삭유, 제트유 또는 가열유(heating oil) 보존제등으로 사용된다. 이소티아졸론의 용액은 섬유, 가죽 또는 목재와 같은 고체기질에 방부제로서 적용되거나 또는 플라스틱에 혼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방부제로서 다음과 같은 적용들에 특히 유용하다.
1. 화장품에의 적용 : 아민 또는 아민전구물질이 존재하는 어떤조건하에서 니트로스아민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질산염이온의 존재를 배제하거나 또는 충분히 감소시킴.
2. 오일 및 연료에의 적용 : 첨가염 및 습기가 배제 또는 감소되므로 잠재성 부식, 염침착 또는 슬러지형성이 방지됨.
3. 에멀션 또는 디스퍼션에의 적용 : 페인트, 화장품, 마루광택제 및 접착제와 같은 다양한 제품에 포함되는 이가 양이온을 배제 또는 감소시킴.
4. 플라스틱에의 적용 : 표면에서의 안개서림, 광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열화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침전염들을 배제 또는 감소시킴.
이하에서 실시예들과 함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부(parts) 및 퍼센트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온도는 섭씨온도이다.
공지물질들과 본 발명 조성물들의 안정성 대비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 유리병 수장용 천공홀 및 지시온도제어기가 장치된 열제어 고체금속블록을 사용하여, 안정화제, 용매 및 이소티아졸론 혼합물을 구성하고 정해진 시간동안 소정온도 가열하였다.
최초 이소티아졸론에 대한 잔존 이소티아졸론의 퍼센트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로 측정하였다. 가열온도는 40℃, 55℃ 및 70℃ 가 사용되었다. 대상 이소티아졸론 또는 이소티아졸론혼합물에 대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실질적인 잔류물 손실이 거의 없는 경우 허용될 수 있는 안정성의 지표로서 간주되었다.
[실시예 1]
[5-클로로-2-메틸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티아졸린-3-온에대한 안정성시험]
5-클로로-2-메틸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티아졸린-3-온의 3 :1 혼합물(16.2%)을 14% 활성동급(AI)에서 트리글림(76.8%) 및 선택된 안정화제(7%)와 혼합하였다.
40℃에서 4주 및 70℃에서 1주와 2주후 HPLC를 사용하여 AI 유보율을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안정화제를 포함하지않은 혼합물, 및 질산마그네슘(15%)과 함께 안정화된 5-클로로-2-메틸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티아졸린-3-온의 3:1 혼합물에 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다음 결과가 얻어졌다.
Figure kpo00007
[실시예 2]
[선택된 용매에서의 아세트산 무수물에 대한 안정성평가]
5-클로로-2-메틸이소티아졸린-3-온(14%)과 아세트산무수물 안정제(7%) 및 나머지의 선택용매로 구성된 조성물을 70℃에서 2주간 처리한후, 용매내에 잔존하는, 아세트산 무수물로 안정화된 이소티아졸론의 퍼센트가 다음에 요약되어 있다. 두 번째 선의 값은 안정제를 포함하지않은 대조표준에 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매우 심한 조건하에서, 산무수물이 수산기와 반응하여 안정화제로서 탈활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kpo00008
[실시예 3]
[혼합비 3:1의 3-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론과 2-메틸이소티아졸론의 순수혼합물의 안정화]
금속염 안정제를 함유하지않은 상기 이소티아졸론 혼합물을 하기안정화제 (5% 또는 10%)와 함께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40℃에서 4주간 보관하고, 앞서에서와 같이 활성 성분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9
[실시예 4]
[헤어샴푸]
96.5%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내에 1.5%의 N -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 N -메틸이소티아졸린-3-온(약 3:1)혼합물 및 2.0%의 피로멜레트산 무수물을 용해시킨 용액을 15ppmAI 수준으로, 헤어샴푸용 보존제로서 사용하였다. 평가결과, 만족할만한 효능을 나타냈다.
[실시예 5]
[에멀션의 염쇼크(salt shock)]
본 실시예는 중합체 에밀션에서의 염쇼크를 충분히 감소시키는 본 발명조성물의 장점을 설명하는 것이다. 염쇼크는 이가 금속이온(Mg ,Cu 등) 화합물로된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이소티아졸론이 보존제로서 첨가되는 경우 중합체내에 형성되는 침전물 또는 젤라틴상 덩어리로서 관찰된다.
염쇼크 시험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제조공정으로부터 존재할 수 있는 어떠한 겔을 제거하기 위하여, 우선 중합체 에멀션을 325메쉬 스크린을 통하여 걸러낸다.중합체에멀션 총중량을 기준으로 총 30ppm AI 수준의 이소티아졸론이 첨가된다.
핀트(pint)용기내에서 250g의 에멀션시료에 소정량의 이소티아졸론을 피펫첨가 한후 시료를 천천히 교반한다. 시료를 두 번 거꾸로 돌려 혼합하고 실온에서 6분간 방치한 다음, 다시 325메쉬 스크린을 통하여 통과시킨다. 스크린상의 어떠한 겔 또는 침전물을 탈이온수로 씻어내어 잔류하는 비응결중합체에멀션을 제거한다. 스크린상에 잔류하는 물질을 수집하여 50℃에서 하룻밤동안 건조시킨다음 150℃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여 잔류습기를 제거한다. 잔류물의 무게를 잰다. 한편, 사용되는 산무수물 안정화제의 양은 이소티아졸론의 양과 같게하고 용매는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로 한다.
시험결과, 에멀션이 무염(salt free) 산무수물로 안정화된 이소티아졸론으로 보존되는 경우 소량의 겔만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페인트, 콜크등과 같은 다양한 적용에서의 에멀션사용에 해롭지않을 것이다. 그러나 염으로 안정화된 이소티아졸론이 보존제로 사용된 경우에는 쉽게 관찰되는 다량의 겔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허용될 수 없는 것이다.
[실시예 6]
[세균치사율]
다음시험은, 질산염으로 안정화된 이소티아졸론과 비교하여 산무수물로 안정화된 이소티아졸론의세균치사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것으로서, 질산염 또는 산무수물 안정화제가 사용되는 경우의 해당 살균활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치사율시험은 유기물이 없는 물속에서의 살균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것은 물속에서 세균(박테리아)세포들이 정해진 농도의 시험 화합물과 접촉되는 경우에 있어서, 세균세포들의 수성현탁액내에서의 세포생존률손실을 시간의 함수로서 측정한다. 이 시험은 적당한 시간 간격에서 세포현탁액의 정제분 (aliquots)을 취하고, 플레이트카운트 또는 최대 확률수 (MPN) 방법론에 의하여 생존세포수를 분석하여 행한다. 이러한 측정들은 시험화합물을 함유하지않은 세포현탁액에 대하여도, 행하여진다. 시험샘플의 생존세포수와 대조표준샘플의 생존세포수를 비교하여 세포치사율을 결정한다.
본 시험에서, 산무수물 안정화제의 첨가는, 상대적으로 높은수준(14% AI) 및 낮은 수준(1.5% AI)의 이소티아졸론 농도 각각에서, 유기용매내 금속염-비함유 이소티아졸론 신선용액의 효능을 감소시키지않는다. 한편, 비안정화용액에 대한 비교시험 및 동일 AI 수준에서의 금속염안정화제 첨가수성 이소티아졸론용액에 대한 비교시험도 행하였다.
[실시예 7]
[최소억제농도시험]
최소억제농도(MIC, minimum inhibtory concetration) 시험은 보존제 적용에서 시험화합물의 항미생물활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MIC 값은 다음방법으로 얻어진다.
1%AI를 함유하는 다량의 모액을 농축육즙내에 분산시켜 250ppm화합물 농도의 최초출발시험시료를 마련하다. 시험출발에서, 제 1 용기를 제외하고는, 희석시 리이즈로서의 각용기는 화합물비함유육즙 동일 부피를 포함하도록한다.
제1용기는 기타용기에서의 부피2배에 해당하는, 출발 농도의 시험화합물을 함유한, 육즙을 함유하도록한다.
제1용기의 육즙반을 제 2 용기에 옮겨 혼합하고 결과용액부피의 반을 다시 제3용기에 옮기는 방식으로,소망희석액수에 따라 총 8-12번 반복하여 시험화합물농도가 2배씩으로 희석된 일련의 농축육즙시료들을 만든다.
그다음, 각각의 용기를 적당한 시험유기체의 세포현탁액으로 접종시킨다. 박테리아는 육즙내에서, 진균은 한천 슬랜트상에서, 시험될 종에 대해 적당한 온도에서 적당한 시간동안 생장된다. 생장기의 종료점에서 육즙을 와동시켜 세포들을 분산시킨다. 진균의 경우, 슬랜트상으로 물을 피펫팅하고 무균루우프로 포자들을 이동시킴으로서 포자들을 거두어들인다. 세포/포자 현탁액들은 배양시관과온도 및 희석액부피를 조절함에 의하여 표준화된다. 일단 접종이 끝나면, 용기들은 적당한 온도에서 배양된 다음, 생장/비생장(growth/no growth)에 대하여 검사된다. 최소억제농도는 시험 유기체의 완전한 생장억제를 가져오는 화합물의 최소농도로서 정의 된다.
본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수성염 안정화시스템들에 대한 대표적인 MIC 값은 밑에 요약된바와같다.
시스템 1:14%AI 수용액, 15% 질산마그네슘(Mg(NO)).
시스템 2:1.5%AI 수용액, 1.6%(NO), 0.15% 질산구리.
여기서 AI는 일반식 IA에서(R'=Cl, R=H, Y=CH) 3부와(R'=R=H, Y=CH) 1부의 혼합물임.
Figure kpo00010
유사한 AI 수준에서 새로 마련된 무염(salt-free)용액들에 대한값들도 상기한 바에 근사할 것이며, 이러한값들은 근본적으로 여기 제시된 사용수준(주어진 AI농도에 대한수준)에서 본 발명의 무수물안정화제 존재에 의하여 영향받지않을 것이다. 유용한 조성은 1.5%AI, 2%말레산무수물, 96.5%디에틸렌글리콜부틸 에테르아세테이트혼합물 또는 14% AI,9% 숙신산무수물 및 77%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혼합물이다.

Claims (7)

  1. 하기식의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Figure kpo00011
    (단, Y는 탄소 원자가 1-18개인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알킬, 탄소원자가 2-8개인 비치환 또는 할로 치환된 알케닐 혹은 알키닐, 탄소 원자가 5-8개인 비치환 또는 치환된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랄킬 혹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기이며; R은 수소, 할로 혹은 (C1-C4)알킬이며; R1은 수소, 할로 혹은 (C1-C4)알킬이다); 및 아세트산 무수물, 피발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모노클로로말레산 무수물, 디클로로말레산 무수물, 글루타르산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퓨란-말레산 무수물 첨가제,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및 프탈산 무수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무수물: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살균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0.1-99.9부, 상기 무수물 0.1-99.9부 및 유기 용매 99.8부 이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조성물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1-50부, 상기 무수물 1-25부 및 유기 용매 25-98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조성물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 1-25, 상기 무수물 1-10부 및 유기 용매 65-98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Y는 C1-C18알킬 또는 C5-C12시클로알킬이고; R은 수소 또는 할로이고; R1은 수소 또는 할로;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클로로-2-메틸-3-이소티아졸론, 2-메틸-3-이소티아졸론, 2-옥틸-3-이소티아졸론 및 4,5-디클로로-2-옥틸-3-이소티아졸론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14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클로로-2-메틸-3-이소티아졸론, 2-메틸-3-이소티아졸론, 2-옥틸-3-이소티아졸론 및 4,5-디클로로-2-옥틸-3-이소티아졸론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1.5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890019551A 1989-01-03 1989-12-26 안정화 이소티아졸론 살균조성물 KR0151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92,681 US5198455A (en) 1989-01-03 1989-01-03 Organic stabilizers
US292,681 1989-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391A KR900011391A (ko) 1990-08-01
KR0151951B1 true KR0151951B1 (ko) 1998-10-01

Family

ID=2312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551A KR0151951B1 (ko) 1989-01-03 1989-12-26 안정화 이소티아졸론 살균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198455A (ko)
EP (1) EP0377487B1 (ko)
JP (1) JPH02225477A (ko)
KR (1) KR0151951B1 (ko)
AT (1) ATE102435T1 (ko)
AU (1) AU624888B2 (ko)
BR (1) BR9000009A (ko)
CA (1) CA2006333A1 (ko)
DE (1) DE69007128T2 (ko)
DK (1) DK0377487T3 (ko)
ES (1) ES2062315T3 (ko)
FI (1) FI95190C (ko)
HU (1) HU208469B (ko)
IL (1) IL92807A0 (ko)
SG (1) SG64094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514B1 (ko) * 2005-03-24 2007-05-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 접촉 장치의 미생물 오염 방지용 항균 코팅제 및 상기항균 코팅제가 코팅된 수 접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7111A (en) * 1987-07-23 1994-02-27 Bromine Compounds Ltd Method for stabilizing compositions of isothiazolinones
CA1328175C (en) * 1988-05-16 1994-04-05 John Robert Mattox Epoxide stabilizers for biocidal compositions
US5118699A (en) * 1990-12-10 1992-06-02 Rohm And Haas Company Use of hydrazide stabilizers for 3-isothiazolones
US5142058A (en) * 1990-12-14 1992-08-25 Rohm And Haas Company Halogen-containing organic stabilizers for 3-isothiazolones
US6417211B1 (en) * 1999-08-30 2002-07-09 Rohm And Haas Company Isothiazolone concentrates
BR112020013160A2 (pt) 2017-12-28 2020-12-01 DDP Specialty Electronic Materials US, Inc. composição aquosa.
BR112020013179A2 (pt) * 2017-12-28 2020-12-01 DDP Specialty Electronic Materials US, Inc. dispersão e composição aquos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3121A (en) * 1967-03-09 1970-08-04 Rohm & Haas Certain 2-carbamoyl-3-isothiazolenes
AR207229A1 (es) * 1973-08-20 1976-09-22 Rohm & Haas Composicion de recubrimiento estabilizada con formaldehido y metodo para su preparacion
TR19938A (tr) * 1977-07-06 1980-05-02 Hoechst Ag Fosforik asit esterlerinin stabilizasyonu
US4165318A (en) * 1977-09-06 1979-08-21 Rohm And Haas Company Formaldehyde stabilized coating compositions
US4241080A (en) * 1979-05-29 1980-12-23 The Dow Chemical Company Stabilized aqueous antimicrobial composition
CH659931A5 (de) * 1982-04-19 1987-03-13 Dearborn Chemicals Ltd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kuehlwassersystems oder eines bei der papierherstellung verwendeten wassersystems.
DK166644B1 (da) * 1985-03-08 1993-06-28 Rohm & Haas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stabil 5-chlor-4-isothiazolin-3-onoploesning og anvendelse af denne oploesning som biocid eller konserveringsmiddel
US4954338A (en) * 1987-08-05 1990-09-04 Rohm And Haas Company Microbicidal microemulsion
JPH01318306A (ja) * 1988-06-17 1989-12-22 Aichi Denshi Kk 高周波増幅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514B1 (ko) * 2005-03-24 2007-05-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 접촉 장치의 미생물 오염 방지용 항균 코팅제 및 상기항균 코팅제가 코팅된 수 접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25477A (ja) 1990-09-07
EP0377487B1 (en) 1994-03-09
AU624888B2 (en) 1992-06-25
HU208469B (en) 1993-11-29
SG64094G (en) 1995-04-28
US5198455A (en) 1993-03-30
BR9000009A (pt) 1990-10-09
CA2006333A1 (en) 1990-07-03
FI95190C (fi) 1996-01-10
ES2062315T3 (es) 1994-12-16
DE69007128D1 (de) 1994-04-14
AU4731089A (en) 1990-07-12
HU900011D0 (en) 1990-03-28
ATE102435T1 (de) 1994-03-15
EP0377487A1 (en) 1990-07-11
FI900012A (fi) 1990-07-04
DE69007128T2 (de) 1994-07-07
IL92807A0 (en) 1990-09-17
KR900011391A (ko) 1990-08-01
FI95190B (fi) 1995-09-29
FI900012A0 (fi) 1990-01-02
DK0377487T3 (da) 1994-04-11
HUT53481A (en) 1990-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6274A (en) Organic stabilizers
KR0136103B1 (ko) 안정된 3-이소티아졸론 조성물 및 그 이용방법
US5142058A (en) Halogen-containing organic stabilizers for 3-isothiazolones
JP3119672B2 (ja) 3−イソチアゾロンの安定化方法
KR0151951B1 (ko) 안정화 이소티아졸론 살균조성물
US5049677A (en) Bismuth salt stabilizers for 3-isothiazolones
EP1084619B1 (en) Stable biocidal compositions
US5242893A (en) Use of hexamethylenetetramine as a stabilizer for 3-isothiazolones
CA2036621A1 (en) Use of hexamethylenetetramine as a stabilizer for 3-isothiazolones
US5145981A (en) Use of antimony salt stabilizers for 3-isothiazolones
KR100385714B1 (ko) 안정화된 이소티아졸론 용액 및 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 방법
US5118699A (en) Use of hydrazide stabilizers for 3-isothiazolones
IE64269B1 (en) Organic stabilizers for isothiazolones
KR100383098B1 (ko)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침전형성 방지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324907B1 (ko) 안정화된 이소티아졸론 조성물
KR100975373B1 (ko) 이소티아졸론 조성물 및 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 방법
KR100421127B1 (ko) 3-이소티아졸론및안정화제를함유한수성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