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488B1 - 접촉창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접촉창 형성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488B1
KR0147488B1 KR1019950006196A KR19950006196A KR0147488B1 KR 0147488 B1 KR0147488 B1 KR 0147488B1 KR 1019950006196 A KR1019950006196 A KR 1019950006196A KR 19950006196 A KR19950006196 A KR 19950006196A KR 0147488 B1 KR0147488 B1 KR 014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pattern
photosensitive layer
contac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818A (ko
Inventor
황준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5000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488B1/ko
Publication of KR96003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시 반도체 기판(11)의 소정 활성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금속층(13)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접촉창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층(13)에서 접촉창을 형성하기 위해 예정된 부위에 잔류하는 감광층(14) 패턴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감광층(14) 패턴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전체구조 상부에 층간절연층(15)을 형성한 다음, 상기 감광층(14) 패턴을 제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세패턴 형성이 용이하고, 접촉저항값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촉창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촉창 형성방법
제1a도 및 제1b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금속 배선의 형성 과정도.
제2a도 내지 제2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금속 배선의 형성 과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실리콘 기판 12 : 절연층
13,16 : 금속층 14 : 감광층
15 : SOG(Spin On Glass)층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시 접촉창(Contact hole)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금속(Double Level Metal; 이하 DLM이라 칭함)이나 삼중 금속(Triple Level Metal; 이라 TLM이라 칭함) 배선 형성을 위한 접촉창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DLM 배선의 형성 과정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종래에는 먼저,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2)을 사이에 두고 실리콘 기판(1)에 형성된 활성영역(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체구조 상에 알루미늄층이나 알루미늄 합금층과 같은 금속층(3)을 형성한다. 이어 금속층(3) 상에 산화층(4)을 형성한 다음, 접촉창 형성을 위한 감광층(5) 패턴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층(5) 패턴을 이용해서 산화층(4)에 접촉창을 형성한 다음, 전체구조 상부에 금속층(6)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접촉창이 형성될 부위를 노광시키는 종래기술로는 하부층에 의한 빛의 반사로 인하여 접촉창을 미세하게 형성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금속층간 절연층으로 사용하는 산화층 형성시 금속층 표면에 금속 산화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후 접촉저항값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접촉창이 형성될 부위에 감광층 패턴을 잔류시킨 후, 금속층간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미세패턴 형성이 용이하고, 접촉저항값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촉창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시 반도체 기판의 소정 활성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금속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접촉창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층에서 접촉창을 형성하기 위해 예정된 부위에 잔류하는 감광층 패턴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감광층 패턴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전체구조 상부에 층간절연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감광층 패턴을 제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2a도 내지 제2d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 내지 제2d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M 배선의 형성 과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먼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12)을 사이에 두고 실리콘 기판(11)에 형성된 활성영역(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체구조 상에 알루미늄층이나 알루미늄 합금층과 같은 금속층(13)을 형성한다. 이어, 금속층(13) 상부중 접촉창이 형성될 부위에 잔류하는 감광층(14)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감광층(14)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접촉창이 형성될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노광되며, 이에 따라 하부층의 광 반사도가 크더라도 미세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이어서,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절연층인 SOG(Spin On Glass)층(15)을 도포한 다음, 1차 큐어링(Curing)을 수행하여 액상의 SOG층을 고상으로 변환시킨다. 이때, SOG층(15)은 감광층(14) 패턴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1차 큐어링은 170내지 230℃의 온도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감광층(14)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에 효과적이다. 여기서, 접촉창이 형성될 부위에 형성한 감광층(14) 패턴은 그 하부의 금속층(13)의 산화를 최소화하여 이후 형성될 금속층간 접촉저항값의 증대를 방지한다.
계속해서,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층(14) 패턴을 제거한 다음, SOG층(15)의 2차 큐어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2차 큐어링은 1차 큐어링에 비해서 높은 온도하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일예로 350 내지 450℃의 온도하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하여, SOG층(15)의 절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층간 절연층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구조 상부에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으로 금속층(16)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미세패턴 형성이 용이하고, 접촉저항값을 저하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시 반도체 기판의 소정 활성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금속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접촉창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층에서 접촉창을 형성하기 위해 예정된 부위에 잔류하는 감광층 패턴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감광층 패턴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전체구조 상부에 층간절연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감광층 패턴을 제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창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절연층은, SOG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창 형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감광층 패턴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전체구조 상부에 SOG(Spin On Glass)층을 도포한 다음, 1차 큐어링(Curing)을 수행하여 액상의 상기 SOG층을 고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감광층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창 형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큐어링은, 170 내지 230℃의 온도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창 형성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수행후, 2차 큐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SOG층의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창 형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큐어링은, 350 내지 450℃의 온도하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창 형성방법.
KR1019950006196A 1995-03-23 1995-03-23 접촉창 형성방법 KR0147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196A KR0147488B1 (ko) 1995-03-23 1995-03-23 접촉창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196A KR0147488B1 (ko) 1995-03-23 1995-03-23 접촉창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818A KR960035818A (ko) 1996-10-28
KR0147488B1 true KR0147488B1 (ko) 1998-11-02

Family

ID=1941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196A KR0147488B1 (ko) 1995-03-23 1995-03-23 접촉창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617B1 (ko) 2001-02-13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Sog막 패터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818A (ko) 199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8374B2 (en) Thin film pattern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08442B1 (ko) 반도체 소자의 비아홀 형성방법
JPH06204347A (ja) コンタクトホールを形成する方法
KR0147488B1 (ko) 접촉창 형성방법
JPH11337973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H0823102A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77184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JPH08254714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5523187A (en)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6326130A (ja) 平坦化方法と平坦化素子
JPH07176525A (ja) 低抵抗配線の形成方法
KR10019753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방법
JPH02295132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0471765B1 (ko) 단일막게이트라인을갖는박막트랜지스터기판및그제조방법
KR0137981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960008561B1 (ko) 배선층 스텝커버리지 특성 개선방법
KR100265835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0151224B1 (ko) 반도체 소자의 전도층간 연결방법
KR0137813B1 (ko) 모스 트랜지스터(mosfet)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0167604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0166028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H05206086A (ja) 薄膜のエッチング方法
JPH01136124A (ja) 液晶表示パネル用電極基板の製造方法
KR0139570B1 (ko) 금속배선층 및 배선간 절연층 형성방법
KR0137619B1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