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566B1 - 공기조절이불 - Google Patents
공기조절이불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1566B1 KR0141566B1 KR1019940034625A KR19940034625A KR0141566B1 KR 0141566 B1 KR0141566 B1 KR 0141566B1 KR 1019940034625 A KR1019940034625 A KR 1019940034625A KR 19940034625 A KR19940034625 A KR 19940034625A KR 0141566 B1 KR0141566 B1 KR 01415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passage
- ventilation
- blanket
- clot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97—Blankets with active heating or cooling sour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15—Blankets; Duvet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61F2007/00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목적]
새털이불이나 그 밖에 보온재를 충진하는 이불(주로 덮는 이불)에 있어서 온·냉풍을 이용하여 온도 및 습도의 양면에서 쾌적한 취침조건에서 취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불이 습하지 아니하고 사용후에 일일이 건조할 필요가 없는 공기조절이불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구성]
윗 껍데기(1)과 아래껍데기(2)의 주연을 접합하여 포대상으로 하고 그 내부에 새털이나 양모 또는 솜 등의 보온재를 충진한 이불에 있어서 아래껍데기에 통풍포(3)를 접합하여 이불의 갓부에서 중앙부에 이르는 송풍통로(4)를 형성한다. 송풍통로(4)는 이불의 갓부분에 개구토록하고 이에 따라 온 냉·풍을 송풍하기 위한 송풍구(7)을 설치한다.송풍구에서 송풍통로에 공급시킨 온풍이 취침공간이나 보온재가 충진돼 있는 이불안을 통과함으로서 저습도이고, 쾌적한 온도의 취침공간을 만들어 냄과 아울러 이불 그 자체를 건조시킨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중앙 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중앙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중앙 횡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중앙 종단면도
제7도는 제4도에 표시한 제2실시예를 체형 입체킬트의 새털이불에 응용한 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중앙 횡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제1통풍포의 평면도
제12도는 제9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제2통풍포의 평면도
제13도는 제9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분해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중앙 횡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에 표시한 이불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표시하는 중앙 횡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중앙 횡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이불 껍데기를 이면에서 본 평면도
제20도는 제18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이불 껍데기의 정면도
제21도는 제18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상부 통풍포의 평면도
제22도는 제18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하부 통풍포의 평면도
제23도는 제18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아래 껍데기의 평면도
제24도는 제18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제25도는 어깨이불을 장착한 본 발명이 제7의 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중앙 횡단면도
제27도는 하나의 송풍통로를 구획한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중앙 횡단면도
제29도는 제27도에 표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송풍통로를 이불내부에 형성한 실시예를 표시한 횡단면도
제30도는 송풍통로로의 송풍구를 이불 단부의 좌·우양측 연부에 설치하여 하나의 온·냉 송풍기에 의하여 2조의 이불에 온풍을 송풍하는 사용상태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윗껍데기 2:아래껍데기
3:통풍포 3a:제1통풍포
3b:제2통풍포 4:송풍통로
4a:제1송풍통로 4b:제2송풍통로
5:보온재 6:접합선
6a:제1통풍포접합선 6b:제2통풍포접합선
7:송풍구 7a:제1송풍구
7b:제2송풍구 8:칸막이포
9:구획실 10:온·냉풍송풍기
11,12:접합선 13:어깨이불
14:지지포 15:센서주머니
31:상부통풍포 32:하부통풍포
41:족부송풍체류부 41a:제1족부송풍체류부
41b:제2족부송풍체류부 42:중앙송풍통로
43:측부송풍통로 43a,43b:세폭측부송풍통로
44:중간송풍통로 45:중앙송풍체류부
45a,45b:세폭중앙송풍통로 46:통기부
61,62:송풍통로구획독킹테이프 81:윗껍데기독킹테이프
82:아래껍데기독킹테이프 83:상부통풍포독킹테이프
84:하부통풍포독킹테이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윗 껍데기와 아래 껍데기의 주연을 접합하여 포대 형태로 한것(이불측)의 내부에 새털(본 발명에서 새털이라함은 오리털, 닭털 등 기타 조류의 털을 포함한 것임)이나 양모 또는 솜(이하 보온재라함)을 충진한 이불에 관한 것으로 이불내부에 온풍이나 냉풍을 송풍하여 쾌적한 취침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공기 조절 이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는 온도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불은 없었으며 한냉지등에서는 전기 모포나 기타 전기 기구등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온풍을 이용하여 이불 그 자체를 따뜻하게하는 것으로서는 고무관으로된 송풍관과 홉기관을 침상내에 배관하는 사상(일본특공소 40-16512)이나 염화비닐수지등의 기밀성을 갖는 주머니에 온풍을 공급하여 가열하는 사상(일본실공소 43-21375, 동실공소 43-21378∼21380)등이 알려져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 공지의 온풍을 이용한 이불은 그 어느것이나 가열만은 고려한 것으로 보온재(솜)를 사용한 덮는 이불에는 응용할 수가 없었다.
예를들면 염화비닐수지의 주머니 형태로된 이불에서는 흡습성이 없음과 동시에 새털이나 양모와 같은 보온재를 사용한 덮은 이불의 부드러운 질감을 얻을수가 없다.
또 사람은 취침중에 다량의 수분(땀)을 방출하기 때문에 침상의 온도만을 높이는 것은 침상내에서 방출된 수분에 의하여 과습 상태가 되므로 쾌적한 취침을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인등의 연구에 의하면 가장 쾌적한 취침 조건은 침상의 온도가 섭씨 31℃ 습도 35∼45% 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와같은 실정을 감안할때 본 발명은 온풍 또는 냉풍을 이용하여 폭신폭신한 보온재를 충진한 것으로서 최적온도와 저습도의 취침조건을 실현할 수 있는 공기조절이불을 발명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윗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의 주연을 봉착 기타 수단으로 접합하여 포대형태로 하고, 그 내부에 새털이나 양모 또는 솜등 보온재(5)를 충진하는 이불을 만들고 이불을 구성하는 아래껍데기(2)의 내면 또는 외면에 통기성을 갖는 통풍포(3)를 접합하여 이불의 이면(아래껍데기쪽)에 송풍통로(4)를 형성한다.
이 송풍통로(4)는 이불의 끝부분에서 중앙부에 이르게 한 것으로 그 끝부를 개구하여 여기에 온냉풍을 송풍하기 위한 송풍구(7)를 설치한다.
통풍포(3)에 의하여 형성되는 송풍통로(4)는 이불 아래껍데기의 중앙부 전면에 펼쳐지도록 크게하여도 좋으나 적당한 온냉풍의 송풍분포가 되도록 통로를 구획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이 송풍통로(4)의 구획은 송풍구(7)와 연통된 족부 송풍체류부(41)에서 중앙송풍통로(42)와 그 좌우 양측의 측부 송풍통로(43)(43)으로 분기시키는 외에 이불의 중심부로의 송풍이 제한되도록 좌우로 분기시킴과 아울러 주위의 측부 송풍통로(43)에서 이를 우회시키기 위하여 중간 송풍통로(44)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 그리고 그들 사이에 배치되는 통기성을 갖는 제1통포(3a)와 제2통풍포(3b)로 구성하고, 제1통풍포(3a)와 제2통풍포(3b)의 통풍포를 접합함으로서 이불의 갓부분에서 중앙부에 이르는 송풍통로(4)를 형성함과 동시에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 그리고 제1통풍포(3a) 및 제2통풍포(3b)의 주연을 접합하여 윗 껍데기(1) 및 제1통풍로 (3a)의 사이와 제2통풍로(3b)와 아래껍데기(2) 사이의 각 공간에 새털이나 양모 또는 솜등의 보온재(5)를 충진하여 이불 내부에 송풍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통풍포(3)에 의하여 형성하는 송풍통로는 각히 하나의 중앙 송풍체류부(45)나 측부 송풍통로(43)를 접합선(11)(12)에 의하여 세폭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또 이불의 어깨부에는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 그리고 통풍포(3)로 구성되는 이불은 독립한 어깨이불(13)을 아래껍데기(2)의 외표면에 장착하여도 좋다.
[작용]
제1도∼제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온냉풍 송풍기(10)에서 온냉풍을 송풍구(7)를 통해 송풍통로(4)로 보내면 그 보내진 온냉풍은 아래껍데기(2)와 통풍포(3)을 통과하여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취침공간인 하방 또는 이불의 보온재(5)내에 보내지며, 이것이 대기중에 확산되어간다. 이에따라 취침공간이 적당한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됨과 동시에 취침공간이나 보온재 중의 수분이 증발되어 최적의 습도, 예를들면 습도 35∼40%를 유지한다.
송풍통로를 형성하는 통풍포(3)는 아래껍데기(2)의 내외면 어느면에 설치하여도 좋으나 통풍포(3)을 아래껍데기(2) 내면에 설치하면 아래껍데기(2)의 촉감이나 외관이 손상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이불이 입체킬트식의 새털이불일때, 통풍포(3)로서 새털을 통과시키지 아니하는 생지를 사용하고, 윗 껍데기(1)와 통풍포(3)사이에 칸막이포(8)를 설치하면 입체킬트식의 새털이불로서의 기능이 손상되지 아니한다.
이불 갓부에서 중앙부에 이르는 송풍통로(4)를 중앙 송풍통로(42)와 좌우 양측 송풍통로(43)(43)으로 분기시키면 송풍통로에 도입된 온냉풍이 이불의 전면에 균등하게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송풍통로를 좌우의 측부송풍통로(43)로 분기시키거나 측부 송풍통로(43)에서 중간 송풍통로(44)로 우회시킨것에 있어서는 온풍이 이불의 주위에서 감싸는 것과같이 공급되어 외풍이 직접 사람몸에 닿지 아니하고 간접적인 가열 및 건조가 행하여지게 된다. 측부 송풍통로(43)와 송풍체류부(45)의 사이에 작은 통기부(46)를 설치하였을 때에는 침상내에서의 온냉풍의 공급 분포가 사람몸의 중앙부에는 적어서 취침자에게 주는 자극이 적어진다.
상부 통풍포(31)과 하부 통풍포(32)의 2장의 통풍포로 이불 내부에 송풍통로(4)를 형성하는 것에서는 온냉풍이 반드시 보온재를 통과해서 침상내로 공급된다. 또한 이불의 어깨위에 어깨이불(13)을 설치하는 것에서는 침상내에 공급된 온냉풍이 침상의 공간이나 이불 내부를 통하야 취침자의 입언저리에 흐르는 것이 저지된다. 송풍통로에 온냉풍을 공급하면 송풍통로가 터널과 같이 팽배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하나의 통로를 접합선에 의하여 세폭으로 구획하면 송풍에 의한 팽배의 크기가 제한되고, 이불 전체가 필요 이상으로 크게 팽배되는 일이 없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공기조절 이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을 입체킬트식의 새털이불에 응용한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로 구성되는 이불의 아래껍데기(2)에 통풍포(3)를 접합하여 송풍통로(4)를 형성한다.
도면 중 통풍포(3)에 의하여 형성되는 송풍통로(4)를 실선으로 그리고 입체킬트를 구성하는 칸박이포(8)를 2점 쇄선으로 또한 칸막이포 중 통기성이 적은 생지로 만드는 칸막이포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제2도와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아래껍데기(2)의 내면에 평면 형상이 혀의 형태이며 이불의 갓부에서 중앙에 이르는 통풍포(3)를 봉착하여 아래껍데기(2)와 통풍포(3)의 사이에 송풍통로(4)를 형성하며 송풍구(7)가 이불의 끝부분에 개구하도록 하여 이 송풍구(7)에서 온냉 송풍기(10)에 의하여 송풍통로(4) 안으로 온풍 또는 냉풍을 송풍하도록 하고있다. 송풍통로(4)에 공급하는 바람은 겨울에는 온풍으로하여 이불 내부와 취침공간의 가열과 제습을 그리고 여름에는 냉풍(상온)을 공급하여 주로 제습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하 단순히 온풍이라고 칭하는 경우 양자를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송풍통로(4)에 공급된 온풍은 제1도∼제3도에서의 화살표와 같이 이불의 하방(취침공간)이나 보온재가 충진된 이불 내부로 이동하여 취침공간이나 이불 내부를 가온함과 동시에 몸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증발시켜 취침공간이나 이불 내부를 적당한 온도와 습도로 조정한다.
이불 내부로 이동한 온풍은 바로 대기중에 방출되는 것도 있으나 일부는 이불 내부에서 이동되어 이불 전체를 가열하고 또 건조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제1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불 내부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통기성이 작은 칸막이포(8)를 써서 이불 내부에서의 온풍통로를 형성하여 공급된 온풍이 이불 중앙부에서 주연부로 순회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가슴이나 얼굴에 가까운 이불어깨부(도면의 상부)의 이불어깨구획실에서는 되도록 온풍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열기나 건조에 의하여 취침중에 답답하거나 입이 마르는 것이 자각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있다.
제4도와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접합선(6),(6)에 의하여 송풍통로(4)를 중앙 송풍통로(42)와 측부 송풍통로(43)(43)으로 구획하여 송풍구(7)에서 송풍통로에 공급된 온풍이 족부 송풍체류부(41)에서 중앙 송풍통로(42)와 2개의 측부 송풍통로(43)(43)에 공급되게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불 중앙부 전면에 온풍이 가급적 공급되게 된다,
입체킬트식의 새털이불에서는 칸막이포(8)는 유럽킬트라고 통칭되는 종획 격자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자들은 칸막이포(8)가 비교적 세폭이고,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새털이 자연적으로 체형에 알맞는 분포를 보이는 것(체형 입체킬트라고 칭함)이나 칸막이포(8)의 형상이 외방향이 하측으로 내려가 중앙부가 팽창되는 킬트(입체킬트라고 칭함)를 발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들 각종 킬트의 새털이불이나 일반의 솜이불 또는 양모 이불에 응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도∼제3도와 제7도에 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체형 입체돔킬트에 그리고 제4도∼제6도에 표시한 실시예는 유럽킬트의 입체돔킬트에 응용한 실시예를 표시한다.
통풍포(3)는 아래껍데기(2)의 외면에 봉착하여도 되나 내면에 봉착하는 편이 보기가 좋다.
따라서 통풍포(3)를 아래껍데기(2)의 내면에 봉착하고, 또한 이불을 입체킬트식의 새털 이불로하는 도시 실시예는 통풍포가 있는 범위에서는 칸막이포(8)는 윗 껍데기(1)와 통풍포(3) 사이에 형성하여 그 구획실(9)내에 보온재(5)로서 새털을 충진한다.
제8도는 제7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제8도에 따라 그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윗 껍데기(1)의 하면에는 입체킬트의 칸막이포(8)의 일부로되며, 칸막이포(8) 또는 아래껍데기(2)의 독킹테이프(82)와 봉착시키는 윗 껍데기(1)의 독킹테이프(81)을 봉착하여 둔다. 통풍포(3)의 상면에는 칸막이포(8)를 그리고 통풍포(3)의 하면에는 접합선(6)을 형성하기 위한 송풍통로 구획의 독킹테이프(61)(61)을 봉착하여 둔다, 또한 아래껍데기(2)의 내면에는 칸막이포의 일부가 되는 아래껍데기의 독킹테이프(82)(82)와 접합선(6)을 형성하기 위한 송풍통로 구획의 독킹테이프(62)(62)를 봉착하여 둔다.
우선 통풍포(3)의 송풍통로 구획의 독킹테이프(61)와 아래껍데기(2)의 송풍통로 구획의 독킹테이프(62)를 봉착하고, 통풍포(3)의 주연부를 아래껍데기(2)의 소정위치에 봉합하므로서 양자를 일체화 한다.
그리고 윗 껍데기의 독킹테이프(81)(81)와 칸막이포(8) 및 아래껍데기의 독킹테이프(82)(82)을 봉합함으로서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 또는 통풍포(3)의 사이에 구획실(9)를 형성한다. 이때 통풍포(3)의 주연부는 독킹테이프의 일부로서 활용할수 있다. 더우기 칸막이포를 봉착할때에는 구획실(9)에 새털을 충진하기 위한 간격을 남겨둔다. 끝으로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의 주연을 봉착하고 구획실에 새털을 충진하여 제7도의 공기조절이불을 완성한다.
제9도∼제13도는 2계통의 송풍통로를 형성한 것으로서 체형 입체돔킬트의 새털이불에 응용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취침자의 신체에 직접 덮는 이불의 중심부에 가급적 온풍이 송풍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1송풍구(7a)에 연통되는 제1송풍통로(4a)와 제2송풍구(7b)에 연통되는 제2송풍통로(4b)의 2계통의 송풍통로를 갖게하여 제1송풍구(7a)에 연통되는 제1송풍통로(4a)와 제1 족부 송풍체류부(41a)에서 중앙부의 좌우양측에 분기시킴과 동시에 제2송풍구(7b)에 연통되는 제2송풍통로(4b)는 제2족부 송풍체류부(41b)에서 제1송풍통로(4a)의 외주에 따라 대체로 ㄷ자상을 형성한다. 약간 큰 면적을 정하는 제1족부 송풍체류부(41a)에는 통기의 저항이 되지 아니하도록 대단히 통기성이 양호한 생지를 써서 송풍에 따라 그 부분이 크게 팽창하지 아니하도록 지지포(14)(14)를 설치한다.
제9도와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1송풍통로(4a)에 공급되는 온풍은 흰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이불 중앙부의 좌우 양측방에 분기된 송풍통로에 직접 공급된다. 취침공간에는 대부분의 온풍이 제1송풍통로(4a) 부분의 아래껍데기(2)를 통과하여 취침자의 신체 측방에 공급됨과 동시에 일부의 온풍은 제1송풍통로의 제1통풍포(3a)를 통과하여 이불 내부의 구획실(9)내에 도입된다. 이 온풍이 이불 내부의 보온재를 가열하고 건조시키며 또한 그 일부는 이불의 중심부 상방에서 취침공간에 간접적으로 공급된다. 한편 제2송풍통로(4b)에 공급된 온풍은 흑색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이불의 주연위에서 이불 내부를 통하여 서서히 취침공간이나 이불 내부를 가열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취침직전이나 직후에 제1송풍통포에서 송풍하여 빨리 원하는 취침조건으로 가열하고 취침후에는 제2송풍통로에서 송풍하여 빨리 원하는 취침조건으로 가열하고 취침후에는 제2송풍통로에서 천천히 그리고 유연하게 자극이 적은 상태로 온풍을 공급하여 안정된 취침환경을 실현할 수 있도록 이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9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공기조절이불의 송풍통로는 제1송풍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통풍포(3a)와 제2송풍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통풍포(3b)를 아래껍데기(2)에 봉착함으로서 만들 수 있다.
제11도는 제1통풍포(3a)의 평면도를 표시한 것으로 통기성을 갖는 것으로서 새털을 통과시키지 아니하는 생지를 써서 이불의 중앙부 전체를 덮는 크기의 대체로 장방형으로하고 제1송풍구(7a)를 끝부분에 형성하고 있다. 제1통풍포(3a)의 상면에는 칸막이포(8)(8)(도면상 중앙부의 칸막이포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를 봉착함과 동시에 하면에는 지지포(14)(14)를 봉착한다.
제11도에서 아래껍데기(2)와 봉착하는 제1통풍포 접합선(6a)를 2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제1통풍포 접합선(6a)의 형상에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아래껍데기(2)와 제1통풍포(3a)를 봉착하므로서 형성되는 송풍통로는 좌우양측방에 분기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기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어용 센서를 투입하기 위한 센서주머니(15)를 제1통풍포(3a)에 봉착하도록 하고 있다.
제12도는 제2통풍포(3b)의 평면도로서 그 전체 형상은 전기한 제1송풍포(3a)의 외주에 따른 크기의 ㄷ자 형상으로서 상하 2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제2송풍포(3b)의 전둘레중 제1송풍포와 접하는 끝이외의 외주연을 2점 쇄선으로 표시한 제2통풍 접합선(6b)에 따라 봉착하여 둔다. 또 상하 2중으로 한 제2송풍포(3b)의 윗껍데기와 아래껍데기에는 각각 이불의 측부에 위치하는 칸막이포(8)(8)를 봉착함과 동시에 갓부에는 제2송풍구(7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2통풍포(3b)는 제1통풍포(3a)의 외주에 따라 대치되어 제1통풍포(3a)와 접하는 내주연이 제1통풍포(3a)와 함께 아래껍데기에 봉착되어 있는 것이다.
제13도는 제9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분해단면도로서 제13도에 따라 그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윗 껍데기(1)의 하면에는 입체킬트의 칸막이포의 일부가 되며 칸막이포(8)와 봉착되는 윗 껍데기 독킹테이프(81)를 봉착한다. 한편 제1통풍포(3a)의 상면에는 이불중앙부 칸막이포(8)를 제2통풍포(3b)에는 상하 양껍데기에 각각 이불 측부에 위치하는 칸막이포(8)(8)를 그리고 또 아래껍데기(2)의 상면에는 이불의 측부에 위치한 칸막이포의 아래껍데기 독킹테이프(82)를 봉착하여 둔다. 이 상태로 제11도의 제1통풍접합선(6a)에 따라 제1통풍포(3a)와 아래껍데기(2)를 봉착한다.
다시 말하면 제2통풍포와 접하는 부분에서는 제1통풍포(3a)와 제2통풍포(3b)를 함께 아래껍데기(2)에 봉착하여 제1통풍포(3a)와 제2통풍포(3b) 그리고 아래껍데기(2)의 3자를 일체화한다. 이때 제2통풍포(3b)의 칸막이포(8)와 아래껍데기 독킹테이프(82)를 봉착하여 둔다. 그 다음 제1통풍포(3a) 및 제2통풍포(3b)의 칸막이포(8)와 윗 껍데기(1)의 독킹테이프(81)를 봉착하여 이불내의 칸막이포를 완성함과 동시에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의 외주연을 봉착하여 칸막이포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획실(9)에 새털을 충진함으로서 제10도에 표시한 단면구조를 갖는 새털이불이 완성된다.
제14도~제16도는 얇은 이불의 아래껍데기 표면에 중합시킨 통풍포(3)를 배치하여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를 포함하는 이불전체를 직접 봉합하여서 공기조절식의 이불로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봉합선에 따라 임의의 송풍통로(4)를 형성할 수가 있으며 제14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송풍구(7)에서 족부송풍체류부(41)에 도입된 온풍이 측부송풍통로(43)을 통하여 이불의 가슴부로 이동하여 이들이 내측쪽으로 우회하여 중간송풍통로(44)를 거쳐 이불중앙부에 있는 중앙송풍통로(45)에 이르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로 취침자의 신체쪽에서 온풍이 취침공간에 분출하게 된다. 제16도에 표시한 실시예는 송풍구(7)에서 송풍통로의 족부송풍체류부(41)에 도입된 온풍이 좌우 양측의 측부송풍통로(43)(43)에 분기됨과 동시에 통풍포의 봉합선을 생략함으로서 형성되는 작은 통기부(46)(46)에서 중앙송풍체류부(45)에 온풍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입된 온풍의 흐름의 양은 통기부(46)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사람의 몸에 자극을 가하지 아니할뿐 아니라 원하는 취침환경이 실현되도록 온풍이 중앙송풍체류부(45)에 공급되도록 통기부(46)의 크기를 결정하면 좋다.
제14도∼제16도에 표시한 이불은 가장 간단하게 제조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비교적 가격이 싼 공기조절이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4도∼제16도에 표시한 이불은 그 자체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것을 보통의 이불과 함께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는 통풍포(3)의 면을 아래로 하지만 다른 이불과 조합하여 사용할 때에는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표면과 이면을 역으로 하여 통풍포(3)의 면을 위로 한 다음 그 위에 보통의 이불 A를 덮어서 사용한다. 이 경우 송풍통로(4)에 도입된 온풍은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이불의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를 통과하여 취침공간에 공급되는 한편 통풍포(3)를 통과한 온풍은 이불 A를 통과하여 대기중에 방출된다.
이때, 온풍에 의하여 이불 A를 가온하고 건조시킨다. 취침공간에 공급되는 온풍은 이불(속이불) 보온재를 통과한 간접적인 것이기 때문에 자극이 적은 소프트한 취침환경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제18도∼제24도는 온 냉풍의 송풍통로(4)를 이불 내부에 형성하고 공급되는 온풍은 언제나 상하 어느 하나의 보온재를 통과하여 취침공간 또는 대기중에 방출되도록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 즉. 언제나 제17도에 표시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조절이불은 제19도와 제20도에 표시하는 윗 껍데기와 제21도에 표시하는 상부통풍포(31)과 제22도에 표시하는 하부 통풍포(32) 및 제23도에 표시하는 아래껍데기(2)등 4매의 생지로 구성된다.
다시말하면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 사이에서 상부통풍포(31)와 하부통풍포(32)를 소정의 형상으로 접합함으로서 이불 내부의 송풍통로(4)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통로(4)는 측부 송풍통로(43)(43)와 중앙송풍체류부(45)로 구획되어 있다. 이불을 구성하는 윗 껍데기(1) 아래껍데기(2) 상부통풍포(31) 하부통풍포(32)의 4매의 생지 어느 것이나 통기성을 갖지만 새털을 통과시키지 아니하는 짜임새의 생지를 사용한다.
제24도는 제18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분해단면도이며, 제19도에서 제24도에 따라 그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제19도와 제2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윗 껍데기(1)의 하면에는 소정의 배치(도시된 실시예는 입체 체형돔킬트로 입체킬트의 칸막이포(8)와 윗 껍데기 독킹테이프(81)의 일측단을 봉착한다. 또한 제21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상부통풍포(31)의 상면에는 윗 껍데기(1)의 칸막이포(8)와 윗 껍데기 독킹테이프(81)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통풍포 독킹테이프(83)(83)을 봉착함과 동시에 제22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하부통풍포(32)의 하면에는 소정의 배치(도면상 이불의 중앙부가 격자상인 유럽킬트로 하고 있다)로 하부통풍포 독킹테이프(84)(84)의 일측단을 각각 봉착하여 둔다. 상부통풍포(31)와 하부통풍포(32)는 접합선(6)에 따라 접합함으로서 원하는 형상의 송풍통로(4)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봉착선(6)을 제21도에서는 접선으로 제22도에서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표시한 송풍통로는 송풍구(7)에서 좌우 양측방에 분기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하부통풍포(32)의 상면에는 송풍의 (7)에서 이불의 대략 중앙에 이르는 센서주머니(15)를 봉착하고 있다.
아래껍데기(2)의 상면(내면)에는 제23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하부통풍포(32)에 봉착한 하부통풍포 독킹테이프(84)(84)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아래껍데기 독킹테이프(82)의 일측단에 봉착하고 있다.
제2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부통풍포(31)와 하부통풍포(32)는 접합선(6)으로 봉착하여 송풍통로(4)를 형성한다. 그 다음 윗 껍데기(1)에 봉착한 칸막이포(8)이나 윗 껍데기 독킹테이프(81)를 상부통풍로(31)에 봉착한 상부통풍포 독킹테이프(83)(83)와 봉합함과 동시에 하부통풍포(32)에 봉착한 하부통풍포 독킹테이프(84)(84)와 아래껍데기(2)에 봉착한 아래껍데기 독킹테이프(82)(82)를 봉합한다. 끝으로 윗 껍데기(1), 상부통풍포(31), 하부통풍포(32), 그리고 아래껍데기(2)등 4매의 포 주위를 함께 봉합하여 윗 껍데기(1)와 상부통풍포(31)의 사이 및 하부통풍포(32)와 아래껍데기(2) 사이의 구획실에 새털을 충진 함으로서 제18도에 표시한 이불 내부에 송풍통로가 형성된 공기조절이불이 완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송풍통로(4)의 상방에 체형입체돔킬트가, 그리고 송풍통로의 하방에 격장상의 입체킬트가 형성되는 새털이불로 하고 있으나 송풍통로의 상방·하방 어느 곳에도 동일한 형태와 모양의 체형킬트 혹은 격자상의 킬트가 형성되는 새털이불로 하는 외에 솜이불이나 양모이불로도 할수 있다. 요는 윗 껍데기(1)와 상부통풍포(31)의 사이, 그리고 하부통풍포(32)와 아래껍데기(2)의 사이에 각각 보온재(5)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부통풍포(31)와 하부통풍포(32)의 사이에 송풍통로(4)가 형성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인등의 연구결과, 실내온도가 20℃일때 송풍통로(4)에 28℃의 온풍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 취침자의 체온과의 관계에서 취침공간은 31℃ 전후이고, 습도는 35% 전후의 이상적인 조건으로 안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취침자의 두부 부근에 건조한 공기가 충만되기 때문에 취침중에 목이 마르고 건조감을 자각하는 일이 있음도 판명되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25도와 제26도에서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불의 갓부와 대향하는 어깨부에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 그리고 통풍포로 구성되는 이불과는 별도로 이불 상부만의 작은 어깨이불(13)을 아래껍데기(2)의 외표면에 봉착하여 취침자의 가슴과 어깨부분을 어깨이불(13)이 덮어 주도록 하였다. 그러므로서 이불내에 투입된 온풍이 취침자의 머리부분 주변에 충만하는 일이 없게 되어 취침의 건조감이나 목마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었다.
제25도와 제26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어깨이불(13)을 폭방향의 전길이에 걸쳐서 아래껍데기(2)에 봉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으나, 폭방향의 중앙부분만을 봉착하여 두도록 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이에따라 어깨이불(13)은 제25도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좌우 양측을 상방으로 치우치게 하여 사용함으로서 취침중에 식기 쉬운 어깨부분을 주위에서 감쌓아 주도록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송풍통로에 온풍을 공급하면, 통풍포가 통기성을 갖는 것이라 하더라도, 그 내압에 따라 송풍통로(4)는 터널과 같이 부풀어 오르는 경향이 있다. 이때 송풍통로가 너무나 커지면 이불전체가 부풀어 올라서 둥글게 되어 사용하기 힘들게 되는 경향을 이르킨다.
제27도∼제29도에서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송풍구(7)에 연통되는 족부송풍체류부(41)에서 좌우 양측방으로 분기되는 측부송풍통로(43)와 중앙송풍체류부(45)를 접합선(11)(12)에 의하여 세폭측부송풍통로(43a)(43b) 그리고 세폭중앙송풍체류부(45a)(45b)로 구획하고 있다. 세폭중앙송풍통로(45a)(45b)에는 접합선(12)에 접근한 위치에 형성한 통기부(46)(46)에서 적당량의 온풍이 도입된다. 이에따라 송풍통로의 부푸름이 작은 단면 형상의 송풍통로의 부푸름으로 제한되어 이불전체의 부푸름을 비교적 작게 할수 있는 것이다.
제28도는 이불 아래껍데기(2)에 형성한 측부송풍통로와 중앙송풍체류부를 접합선(11)(12)에 의하여 세폭측부송풍로(43a)(43b)와 세폭중앙송풍통로(45a)(45b)로 구획한 실시예를 그리고 제29도는 이불내부에 형성한 세부송풍통로와 중앙송풍체류부를 세폭측부송풍통로(43a)(43b)와 세폭중앙송풍통로(45a)(45b)로 구획한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송풍통로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송풍구(7)는 반드시 이불 갓부의 중심부분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제3도는 송풍구(7)를 이불 갓부의 좌우 양측에 개구시킨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우측연부에 송풍구를 개구시킨 이불과 좌측연부에 송풍구를 개구시킨 이불과를 한 벌로 하여 함께 펴놓은 2조의 이불에 하나의 온냉풍송풍기(10)에서 온풍을 송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본 발명 공기조절이불에 의하면, 이불의 아래껍데기 부분에 형성한 송풍통로에 온냉풍을 공급함으로서 침상의 취침공간을 쾌적한 온도로 조정함과 동시에 공급된 온냉풍이 이불 안을 통과하여 대기중에 방출될때에 수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겨울에는 온풍을 그리고 여름에는 냉풍(실내온도의 바람)을 공급함으로서 저습도이고 최적온도의 이상적인 취침환경을 만들어 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불 그 자체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종래와 같은 사용후의 이불을 건조시킬 필요가 없다.
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불 외부에는 통풍포가 나타나지 아니하여 이불의 외관을 해치지 아니한다.
청구범위 제3항의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불전체에 가급적 균등하게 온풍을 공급하여 치우침이 없는 온도와 습도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1 송풍통로와 제2송풍통로에 공급하는 송풍을 바꾸어 주므로써 취침직전과 직후에는 급속히 최적의 취침환경으로 함과 동시에 취침중에는 가급적 자극이 없는 안정된 간접적인 송풍조건이 되도록 선택적인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5항과 제6항의 발명에 의하면, 온풍은 되도록 취침자의 발쪽이나 양측에서 공급되어 가슴부근 등에 공급되는 온풍이 많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에따라 취침자에 주는 자극이 적게되어 안락하고 잔잔한 취침환경을 만들어 낼수 있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7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송풍통로가 이불의 내부에 형성되어 공급된 온풍이 반드시 보온재를 통과하여 간접적으로 취침공간에 공급되므로 취침자에게 외풍이 공급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보다 자극이 적은 안정되고 잔잔한 취침환경을 만들어 낼수 있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8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공급된 온풍이 취침자의 입 부근에 배출되는 일이 없어서 취침중에 목이 마르다든가 숨이 차는 것이 자각되지 않도록 할수 있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9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송풍에 따라 송풍통로가 부풀어져서 이불전체가 과도하게 부풀어짐으로서 사용하기가 불편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의 주연을 접합하여 포대형태로 하고 그 내부에 새털이나 양모 또는 솜 등의 보온재(5)를 충진하는 이불에 있어서, 통기성을 갖는 통풍포(3)를 아래껍데기(2)에 접합하여서 이불의 끝 부분에서 중앙부에 이르는 송풍통로(4)를 형성하며 이 송풍통로(4)는 이불의 끝 부분에서 개구되게 한 다음 이에 온·풍을 송풍하기 위한 송풍구(7)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이불은 내부에 칸막이포(8)에 의하여 복수의 구획실(9)을 구획하고 그 내부에 새털을 충진하는 입체킬트식의 새털이불로 하며, 송풍통로(4)를 형성하는 통풍포(3)는 새털을 통과시키지 아니하는 생지를 써서 이불내에 면하는 아래껍데기의 내면에 접합한 다음 통풍포(3)가 접합되는 범위에서의 칸막이포(8)은 윗 껍데기(1)와 통풍포(3)와의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이불.
- 이불의 중앙부에 이르는 송풍통로(4)는 송풍구(7)에 연통되는 족부송풍체류부(41)에서 중심부의 중앙송풍통로(42)와 그리고 그 좌우 양측의 측부송풍통로(43)(43)와에 분기시켜서 되는 제1항 기재의 공기조절이불.
- 이불의 중앙부에 이르는 제1송풍구(7a)에 연통하는 제1족부송풍체류부(41a)에서 좌·우 양측방에 분기하는 제1송풍통로(4a)와 제1송풍구(7b)에 연통하여 전기 제1송풍통로(4a)와 제2송풍구(7b)에 연통하여 전기 제1송풍통로(4a)의 외주연에 따라 배치되는 제2송풍통로(4b)와로 구성되는 제1항 기재의 공기조절이불.
- 이불의 중앙부에 이르는 송풍통로(4)는 송풍구(7)에 연통하는 족부송풍체류부(41)에서 이불의 가슴방향으로 송풍되는 좌·우 양측의 측부송풍통로(43)을 형성하고 이 측부송풍통로(43)을 내측방향으로 우회시켜서 이불의 흉부에서 끝 방향으로 송풍되는 중간송풍통로(44)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중간 송풍통로(44)를 이불의 중심부에 있는 중앙송풍체류부(45)에 연통시켜서 된 제1항 기재의 공기조절이불.
- 이불의 중앙부에 이르는 송풍통로(4)는 송풍구(7)에 연통되는 족부송풍체류부(41)에서 좌·우 양측의 측부송풍통로(43)(43)와 독립한 중앙송풍체류부(45)를 형성하고 중앙송풍체류부(45)에는 족부송풍체류부(41) 또는 측부송풍통로(43)에 연통하는 작은 통기부(46)을 설치하여서 되는 제1항 기재의 공기조절이불.
-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 그리고 이들 중간에 배치한 통기성을 갖는 포지로 이루어진 상부통풍포(31)와 하부통풍포(32)로 구성되고 상부통풍포(31)와 하부통풍포(32) 2매로 통풍포를 접합하므로서 이불의 갓부분에서 중앙에 이르는 송풍통로(4)를 형성함과 동시에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 그리고 상부통풍포(31)와 하부통풍포(32)의 주연을 접합하며, 윗 껍데기(1)와 상부통풍포(31)의 사이 그리고 하부통풍포(32)와 아래껍데기(2) 사이의 각각의 공간에 새털이나 양모 또는 솜등의 보온재를 충진하여 상부통풍포(31)와 하부통풍포(32) 사이에 형성되는 송풍통로는 이불의 갓부에 개구되게 하고 이에 온·냉풍을 송풍하기 위한 송풍구(7)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이불.
- 이불 갓부와 대향하는 어깨부에는 윗 껍데기(1)와 아래껍데기(2) 그리고 통풍포(3)으로 구성되는 이불과는 독립하여 어깨이불(13)을 아래껍데기(2)의 외표면에 장착하여서된 제1항 및 제6항 기재의 공기조절이불.
- 송풍포에 의하여 형성되는 송풍통로는 송풍구(7)에 연통되는 족부송풍체류부(41)에서 중심부의 중앙송풍통로 혹은 중앙송풍체류부(45)와 그리고 좌·우 양측의 측부송풍통로(43)(43)으로 분기시킴과 동시에 중앙송풍통로 또는 중앙송풍체류부(45)와 측부송풍통로(43)(43)을 각각 접합선(11)과 (12)에 따라 세폭중앙송풍통로 또는 세폭중앙송풍통로(45a)(45b) 그리고 세폭측부송풍통로(43a)(43b)로 구획하여 되는 제1항 및 제6항 기재의 공기조절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345203A JP2630733B2 (ja) | 1993-12-20 | 1993-12-20 | エアーコントロールふとん |
JP1993-345203 | 1993-12-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6622A KR950016622A (ko) | 1995-07-20 |
KR0141566B1 true KR0141566B1 (ko) | 1998-07-15 |
Family
ID=1837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4625A KR0141566B1 (ko) | 1993-12-20 | 1994-12-16 | 공기조절이불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5596778A (ko) |
EP (1) | EP0659373B1 (ko) |
JP (1) | JP2630733B2 (ko) |
KR (1) | KR0141566B1 (ko) |
DE (1) | DE69410963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9610233D0 (en) * | 1996-05-16 | 1996-07-24 | Kci Medical Ltd | Mattress cooling system |
US6176870B1 (en) | 1997-08-13 | 2001-01-23 | Augustine Medical, Inc. | Inflatable thermal blanket with surgical access for use with patients in the lithotomy position |
US5824025A (en) * | 1997-08-20 | 1998-10-20 | Augustine Medical, Inc. | System for convective warming of a patient during cardiac surgery |
US6102936A (en) * | 1998-07-21 | 2000-08-15 | Augustine Medical, Inc. | Inflatable thermal pad with drainage |
GB2343377B (en) | 1998-11-06 | 2003-07-23 | Kci Medical Ltd | Patient cooling enclosure |
US7555792B2 (en) * | 1998-11-06 | 2009-07-07 | Kci Licensing, Inc. | Patient cooling enclosure |
US6171333B1 (en) * | 1999-04-29 | 2001-01-09 | Merle D. Nelson | Heating and cooling comforter |
US6363551B1 (en) * | 1999-12-13 | 2002-04-02 | Mark A. Flores | Air-flow containment and distribution assembly |
ATE422317T1 (de) | 2000-05-11 | 2009-02-15 | Empa | Flächige wärmeisolier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den menschlichen körper |
US6487739B1 (en) * | 2000-06-01 | 2002-12-03 | Crown Therapeutics, Inc. | Moisture drying mattress with separate zone controls |
WO2002062185A1 (en) * | 2001-02-08 | 2002-08-15 | Acrobio Technology Co., Ltd. | Heat exchanging system |
KR100377326B1 (ko) * | 2001-03-29 | 2003-03-26 | 함의신 | 멀티셀튜브 및 그 제조방법 |
CH693401A5 (de) * | 2002-04-02 | 2003-07-31 | Schoeller Textil Ag | Wärme und Feuchte regulierende Bettware. |
US6709447B1 (en) * | 2002-11-20 | 2004-03-23 | Adroit Development, Inc. | Inflatable thermal blanket |
AU2002953185A0 (en) * | 2002-12-09 | 2002-12-19 | Colin Dunlop | Patient warming system |
JP3869820B2 (ja) * | 2003-06-10 | 2007-01-17 | 三洋電機株式会社 | 布団送風機 |
JP2005137869A (ja) * | 2003-11-07 | 2005-06-02 | Yoshio Suzuki | 褥瘡治療用の「体圧分散マツト」 |
US7291163B2 (en) * | 2003-11-14 | 2007-11-06 | Adroit Development, Inc. | Inflatable thermal blanket having air flow channels for directing a conditioned gas |
JP2005168621A (ja) * | 2003-12-09 | 2005-06-30 | Sanyo Electric Co Ltd | エアーコントロールふとん |
US8470012B2 (en) | 2004-09-08 | 2013-06-25 | Arizant Healthcare Inc. | Inflatable convective pad for surgery |
DE202006017369U1 (de) * | 2006-11-13 | 2007-01-25 | Moeck, Lidia | Wärmedecke mit Sensoren |
US7918103B1 (en) | 2006-12-07 | 2011-04-05 | Hugh Purvis | Air flow comfort system |
US7707840B1 (en) | 2009-06-10 | 2010-05-04 | Flores Mark A | Portable air-conditioning unit |
US20110024076A1 (en) * | 2008-04-15 | 2011-02-03 | Hill-Rom Services, Inc. | Microclimate management system |
DE102009005783B4 (de) | 2009-01-22 | 2011-07-28 | Krämer, Pascal, 32130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ssettensteppbettes und Kassettensteppbett |
US8177828B2 (en) * | 2009-07-27 | 2012-05-15 | Arizant Healthcare Inc. | Underbody convective warming blanket constructions |
CN102028365A (zh) * | 2009-09-25 | 2011-04-27 | 霍兰德家纺有限公司 | 具有乳胶衬里的床垫垫 |
US20110094029A1 (en) * | 2009-10-26 | 2011-04-28 | Michael Johnson | Comforter With Low Heat Retention Characteristic And Method Of Making |
CN103561698B (zh) * | 2011-05-23 | 2016-11-09 | 皇家飞利浦有限公司 | 温度控制的多区床垫型支承件 |
US9131781B2 (en) | 2012-12-27 | 2015-09-15 | Select Comfort Corporation | Distribution pad for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
CH713465B1 (de) | 2017-07-18 | 2018-08-15 | Sigl Kurt | Vorrichtung zur Schaffung eines klimatisierten Hohlraums zwischen Matratze und Bettdecke eines Betts und deren Verwendung. |
JP2020075047A (ja) * | 2018-11-09 | 2020-05-21 | 株式会社エアウィーヴ | 掛布団 |
CN110333678A (zh) * | 2019-07-11 | 2019-10-15 | 南京林业大学 | 一种儿童防踢被装置及其控制系统 |
CN111281644B (zh) * | 2020-03-09 | 2022-02-11 |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 一种多功能太阳能防撞复温毯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149244A (de) * | 1930-05-26 | 1931-08-31 | August Popp Karl | Heissluftmatte. |
US2093834A (en) * | 1934-04-30 | 1937-09-21 | Gen Motors Corp | Refrigerating apparatus |
US2110022A (en) * | 1935-07-15 | 1938-03-01 | Internat Engineering Corp | Cover |
US2601189A (en) * | 1949-08-22 | 1952-06-17 | Theodore Backer | Air comforter bed covering |
US2711546A (en) * | 1952-11-15 | 1955-06-28 | Lewis F Schleifer | Convertible comforter-blanket |
US2708235A (en) * | 1954-07-26 | 1955-05-10 | Kaplan Julius | Electrically heated comforter |
US3839756A (en) * | 1973-02-02 | 1974-10-08 | Atlantic Prod Corp | Sleeping bag design |
US3951127A (en) * | 1973-06-28 | 1976-04-20 | Kay Laboratories, Inc. | Constant temperature device |
US4132262A (en) * | 1977-01-17 | 1979-01-02 | Joan Wibell | Heating and cooling blanket |
DE3235088A1 (de) * | 1982-09-22 | 1984-03-22 | Ibu Betten-Union Gmbh & Co Kg, 5600 Wuppertal | Zudecke |
GB8521315D0 (en) * | 1985-08-27 | 1985-10-02 | Dreamland Electrical Appliance | Duvets |
US4777802A (en) * | 1987-04-23 | 1988-10-18 | Steve Feher | Blanket assembly and selectively adjustable apparatus for providing heated or cooled air thereto |
DE3869721D1 (de) * | 1987-10-05 | 1992-05-07 | Augustine Medical Inc | Waermedecke. |
US5030495A (en) * | 1989-08-14 | 1991-07-09 | Neu Stephen T | Temperature controlled sheet |
US5300100A (en) * | 1990-08-22 | 1994-04-05 | Advanced Warming Systems, Inc. | Body warmer |
JPH0646941A (ja) * | 1992-07-30 | 1994-02-22 | Hiroko Suzuki | 温冷風が入る羽毛ふとんの構造 |
-
1993
- 1993-12-20 JP JP5345203A patent/JP263073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12-16 EP EP94119976A patent/EP065937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12-16 KR KR1019940034625A patent/KR01415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12-16 DE DE69410963T patent/DE69410963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2-19 US US08/359,069 patent/US559677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
- 1996-07-16 US US08/680,609 patent/US5655237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655237A (en) | 1997-08-12 |
US5596778A (en) | 1997-01-28 |
EP0659373B1 (en) | 1998-06-10 |
EP0659373A3 (en) | 1996-07-24 |
JP2630733B2 (ja) | 1997-07-16 |
EP0659373A2 (en) | 1995-06-28 |
DE69410963D1 (de) | 1998-07-16 |
DE69410963T2 (de) | 1999-01-21 |
KR950016622A (ko) | 1995-07-20 |
JPH07171041A (ja) | 1995-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41566B1 (ko) | 공기조절이불 | |
US5336250A (en) | Thermal blanket with transparent upper body drape | |
US4787105A (en) | Sleeping bag with snorkel hood and draft curtain | |
US9907407B2 (en) | Blanket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ditioned air into zones of a bed | |
JP3061360B2 (ja) | エアーコントロール敷ふとんカバー | |
JPH1156537A (ja) | 布団用またはベッド用マット | |
JP2616857B2 (ja) | 羽毛ふとん | |
JP3186632B2 (ja) | 寝床エアーコントロール装置 | |
JPH07313306A (ja) | 強制通気ふとん | |
US20230210279A1 (en) | Blanket with ventilation holes | |
KR200418715Y1 (ko) | 냉난방 송풍 이불 | |
CN210539225U (zh) | 一种鞋面 | |
CN109907428A (zh) | 一种鞋面 | |
JP2616893B2 (ja) | エアーコントロール羽毛ふとん | |
IT9020691A1 (it) | Dispositivo biocondizionatore per oggetti, come sedili, divani, indumenti particolari e simili, con superfici suscettibili di entrare in contatto con parti corporee | |
CN213939759U (zh) | 一种舒适透气的大衣 | |
CN216454260U (zh) | 一种透气性好的绗缝层 | |
JPH0118576Y2 (ko) | ||
JP2905713B2 (ja) | 敷布団 | |
CA3033294C (en) | Bed covering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ditioned air into zones of a bed | |
JP5264358B2 (ja) | 羽毛布団及びその羽毛布団が用いられた組み合わせ布団 | |
CN208180398U (zh) | 一种新型保温透气防水面料 | |
KR0164445B1 (ko) | 공기도입부재를 내장하는 이불 및 그 제조방법 | |
JPH0453715Y2 (ko) | ||
CN115721138A (zh) | 一种透气型枕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24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