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200B1 -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200B1
KR0135200B1 KR1019950001359A KR19950001359A KR0135200B1 KR 0135200 B1 KR0135200 B1 KR 0135200B1 KR 1019950001359 A KR1019950001359 A KR 1019950001359A KR 19950001359 A KR19950001359 A KR 19950001359A KR 0135200 B1 KR0135200 B1 KR 013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utting
sheet
support surfac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490A (ko
Inventor
도시아끼 모리따
아끼히로 오오따니
Original Assignee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끼가이샤 시마 세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끼가이샤 시마 세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시마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95002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8Holding the work by s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재단기에의 생지 반입시에 공기 불투과성 생지 피복 시트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급 장치(26)은 재단기(21)의 재단 테이블(25)의 상류측의 에어 테이블(24) 상방에 설치된다. 에어 테이블(24)에서는 에어 노즐(34)로부터 공기를 재단 테이블(25)측으로 불어 낸다. 재단 테이블(25)는 콘베이어(35)상에 적재되는 생지의 적층 시트(22)를 반송 가능하다. 콘베이어(35)의 표면의 재단 지지면(37)은 강모 브러시(36)의 선단에서 형성된다. 강모 브러시(36)은 공기 불투과성이며, 재단 테이블(25) 내부의 흡인실(39)에 연통하고, 진공 흡인된다. 생지의 적층 시트(22)가 반입되면 생지 센서(33)에 의해 검출되고, 인출 롤러(29)가 회전 구동되어 생지 피복 시트(23)이 피복 시트 원반(31)로부터 인출된다. 생지의 반입이 종료되면 절단 장치(32)에 의해 생지 피복 시트(23)을 절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및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면으로부터 본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절단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절단 장치의 부분적인 평면도.
도 4는 절단 장치의 부분적인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공급 장치의 부분적인 배면도.
도 6은 도 5의 공급 장치를 도 5의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재단기를 전개기와 함께 시스템화한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 선도.
도 9는 도 7의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은 도 7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부의 연동 상태를 도시하는 타임 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12는 도 1 및 도 11의 가압 롤러에 관련된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13은 도 1 및 도 11의 가압 롤러에 관련된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14는 선행 기술을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재단기2,22:가공 테이블
3,4:전송 테이블5:재단 캐리지
6:재단 헤드7:라벨 캐리지
8:핀치 장치10:직물 시트 롤
11:피봇 시트 롤12:적층 시트
21:재단기23:직물 피복 시트
24:에어 테이블26:공급 장치
25:재단 테이블27,28:지지 롤러
29:인출 롤러30:가압 롤러
31:피봇 시트 롤32:절단 장치
35:콘베이어36:강모 브러시
38:흡인 모터39:흡인실
40:레일41:커터 다이
43:캠59:통합 제어 장치
60:전개기61:전개 테이블
62:캐리지63:시트 롤
64:리프터65:적층 시트
66:깔개 시트67:푸트 프레서
70:중앙 처리 장치71:데이타
72:블로워 모터82:주행 모터
83:해제 모터84:인출 모터
85:커터
본 발명은 재단 테이블 상에 재단할 직물을 진공 흡인하여 보유하면서 재단 데이타에 따라서 부분(parts)의 재단을 행하는 재단기에, 진공 유지 특성을 증진하기 위한 공기 불투과성 피복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재단기, 특히 자동 재단기에 있어서는 재단 테이블 상에 적재된 재단할 직물을 하방으로부터 진공 흡인하면서 유지하고, 재단 테이블 상을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재단용 칼날에 의해 재단 데이타에 따라 부분의 외형 등을 재단하고 있다. 재단할 직물은 일반적으로 비통기성은 아니므로 직물을 단순히 재단 테이블 상에 적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유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직물을 다시 공기 불투과성 시트로 덮고, 진공 유지를 확실하게 행하고 있다. 직물 피복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염화 비닐 등의 합성 수지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도 14는 일본국 특허 공고 소 62-2578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선행 기술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도시한다. 재단기(1)는 가공 테이블(2), 상류측 전송 테이블(3) 및 하류측 전송 테이블(4)로 이루어지는 재단 테이블을 갖는다. 재단 캐리지(5)는 가공 테이블(2) 및 전송 테이블(3,4)의 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2a,3a,4a)상을 주행 이동 가능하다. 재단 캐리지(5)에는 재단 캐리지(5)상을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재단 헤드(6)가 설치되고, 직물의 재단을 행하기 위한 칼날(6a)이 구비되어 있다. 라벨 캐리지(7)는 재단 캐리지(5)와 마찬가지로 가공 테이블(2) 및 전송 테이블(3,4)의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2a,3a,4a)상을 주행 이동 가능하다. 라벨 캐리지(7)는 주행 이동하면서 직물 부분의 식별을 위한 라벨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라벨 캐리지(7)에는 또 직물 시트 등의 핀치 장치(8; pinching device)가 설치된다. 가공 테이블(2)과 상류측 전송 테이블(3)의 경계 부근의 상방에는 절단 장치(9)가 설치된다.
상류측 전송 테이블(3)의 단부에는 직물 시트 및 직물 피복 시트를 각각 감은 직물 시트 롤(10) 및 피복 시트 롤(11)이 각각 피봇 지지되어 있다. 라벨 캐리지(7)에 설치되는 핀치 장치(8)는 직물 시트 롤(10)로부터 되감기는 직물 시트의 선단을 핀치하고, 전송 테이블(3)로부터 직물 시트 롤(10)로 이동하면서 직물 시트를 가공 테이블(2)상에 소정 길이 만큼 넓어지게 전개(spread)시킨다. 한 쌍의 직물 시트의 전개가 종료되면 재단 장치(9)에 의해 절단하고, 또 직물 시트의 전개를 반복하여 시트(12)를 가공 테이블(2)상에 적층시킨다. 소정 맷수의 시트(12)가 적층된 후, 라벨 캐리지(7)의 핀치 장치(8)는 피복 시트 롤(11)로부터 되감기는 직물 피복 시트의 선단을 핀치하고, 가공 테이블(2)상에 적재되어 있는 적층 시트(12)상을 피복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에서는, 동일 라벨 캐리지(7) 및 핀치 장치(8)를 사용하여 가공 테이블(2)에 직물 시트를 펴서 적층하여 적층 시트(12)를 형성한 후에 직물 피복 시트로 덮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개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는 재단 캐리지(5)를 가동시켜 재단을 행할 수 없다. 이 선행 기술에서는 전송 테이블(3,4)이 각각 가공 테이블(2)과는 독립적으로 도 14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복수의 가공 테이블(2)를 이용하여 하나의 가공 테이블(2) 상에 형성된 적층 시트(12)를 전개시키면서 다른 가공 테이블(22)상에 이미 형성된 적층 시트(12)에 대해 재단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평 5-6938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재단 테이블을 콘베이어 구동 방식으로 한 자동 재단기에서는 재단 테이블의 비용이 상승한다. 이와 같은 재단기에서는 재단 테이블 상에서의 전개를 행하지 않고, 전용 전개기(special spreading machine)에 의해 전개된 직물을 반입하여 효율적으로 재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콘베이어 구동 방식의 재단 테이블을 갖는 자동 재단기에 있어서는 시트재를 펴는 기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공기 불투과성 시트를 피복하는 작업은 사람의 손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재단 테이블의 상류측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지주에 롤형으로 감긴 직물 피복 시트를 피복 지지하고, 재단용 직물의 반입시 등 필요에 따라서 작업자가 직물 피복 시트를 인출하여 직물을 피복한다. 직물을 충분히 덮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물의 양쪽에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으며, 두 명의 작업자가 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베이어 구동 방식의 재단 테이블을 갖는 자동 재단기에 있어서도 자동적으로 피복 시트의 공급이 가능한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직물을 콘베이어로서 구성되는 재단 지지면 상에서 흡인하여 유지하면서 재단 데이타에 따라서 직물로부터 부분을 재단하는 자동 재단기에 직물의 표면을 덮는 공기 불투과성 피복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재단 지지면에의 직물의 반입측에서 자동 재단기의 폭방향의 양측에 세워 설치되고, 피복 시트가 감긴 롤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콘베이어로서 구성된 재단 지지면으로 직물의 반입에 따라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롤로부터 피복 시트를 인출하는 인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인출 수단의 하방으로 인출되는 피복 시트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인출 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피복 시트를 재단 지지면의 콘베이어의 반송 방향으로 유도 안내하는 유도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인출 수단의 하방으로부터의 공기를 재단 지지면의 방향으로 분출시켜서 피복 시트를 유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유도 수단은 인출된 피복 시트와 접촉하면서 재단 지지면의 방향으로 유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자동 재단기의 반입측 상류에는 전개된 직물의 반출 수단을 갖는 전개기가 설치되고, 전개기로부터 반입되는 직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직물이 검출될 때 전개기의 반출 속도에 관련하여 콘베이어의 구동과 인출 수단으로부터의 피복 시트의 인출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직물을 콘베이어로서 구성되는 재단 지지면 상에서 흡인하여 유지하면서 재단 데이타에 따라서 직물로부터 부분을 재단하는 자동 재단기에, 직물의 표면을 덮는 공기 불투과성의 피복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재단 지지면으로의 직물의 반입 경로 상방에서 피복 시트가 감긴 롤을 지지하고, 롤로부터 피복 시트를 인출하여 재단 지지면의 방향으로 유도 안내하면서 직물의 반입 속도에 관련하여 인출 속도로 직물을 피복 시트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유도 안내는 재단 지지면을 하방으로부터 흡인하면서 콘베이어로서 반송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유도 안내는 인출된 피복 시트에 직물의 반입 경로의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분출시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직물의 반입 경로의 상류측에 전개된 직물을 반출시키는 전개기를 설치하고, 재단 데이타에 따라서 전개 조건 및 재단 조건을 설정하고, 전개기 및 자동 재단기를 설정된 전개 조건 및 재단 조건에 따라서 연동시키고, 전개된 직물을 전개기로부터 반출시켜서 재단 지지면에서 흡인하여 반입하면서 직물 전면에 덮어 씌우도록 피복 시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불투과성 피복 시트가 감긴 롤은 콘베이어로서 구성되는 재단 지지면에의 직물의 반입측에서 자동 재단기의 폭방향의 일측에 세워 설치된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인출 수단은 콘베이어로서 구성되는 재단 지지면으로의 직물의 반입에 따라서 롤로부터 피복 시트를 인출된다. 재단 지지면상에 직물이 반입되면 직물의 위는 피복 시트에 의해 덮인 상태로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인출 수단의 하방으로 인출되는 피복 시트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재단 지지면으로의 직물의 반입에 따라서 인출되어 직물을 덮은 피복 시트의 종단을 절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인출 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피복 시트는 유도 수단에 의해 콘베이어로서의 반송 방향으로 유도 안내되므로, 반입되는 직물의 위에 주름 등을 생기지 하게 않고 원활하게 피복 시트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인출 수단에 의해 인출되는 피복 시트의 유도 안내를 하방으로부터의 공기를 재단 지지면의 콘베이어로서의 반송 방향으로 분출시켜서 행한다. 재단기의 방식에 따라서는 재단 지지면으로의 직물 반입시에 공기의 분출을 이용하여 직물의 반송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재단기에 있어서는 공기의 분출을 피복 시트의 유도 안내에도 이용할 수 있다. 피복 시티를 유도 안내할 필요가 특히 큰 것은 직물의 선단이 콘베이어 상에 반입되기 까지의 기간이며, 그와 같은 기간에 피복 시트를 공기의 분출에 의해 충분히 유도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인출된 피복 시트는 유도 수단과 접촉하면서 재단 지지면의 방향으로 유도 안내된다. 피복 시트를 접촉하여 펴게 되므로 피복 시트를 확실하게 유도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반입측의 상류에는 전개된 직물의 반출 수단을 갖는 전개기가 설치된다. 전개기로부터 반입되는 직물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제어 수단에 의해 전개기의 반출 속도에 관련하여 콘베이어의 구동과 인출 수단으로부터의 피복 시트의 인출을 행한다. 이로써 전개기와 자동 재단기를 연속하여 가동시키면서 직물 상에 피복 시트를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재단 지지면으로의 직물의 반입 경로 상방에서 피복 시트가 감긴 롤을 지지하고, 롤로부터 피복 시트를 인출하여 재단 지지면 방향으로 유도 안내하면서 직물의 반입 속도와 관련된 인출 속도로 직물을 피복 시트로 덮는다. 예를 들면 직물의 반입 속도에 대략 동기시키거나 약간 늦추거나 하여 인출하고, 유도 안내하면서 피복 시트로 직물을 덮음으로써 용이하게 피복 시트의 공급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재단 지지면을 하방으로부터 흡인하면서 콘베이어로서 반송함으로서 시트 재료의 유도 안내를 행한다. 피복 시트는 공기 불투과성이므로 재단 지지면상에서의 흡인력이 크고, 그 콘베이어 구동에 의해 인장되고, 용이하게 유도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의 반입 경로의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하여 피복 시트의 유도 안내를 행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분출 기능은 직물의 반입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의 반입 경로의 상류측에 전개된 직물을 반출가능한 전개기를 설치하고, 전개기와 자동 재단기를 재단 데이타에 따라서 연동시키고, 전개된 직물을 반출하여 재단 지지면에서 흡인하여 반입하면서 직물 전면에 덮어 씌우도록 피복 시트를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단 지지면으로 직물의 반입 시에 재단 지지면의 콘베이어 구동에 따라 피복 시트를 인출하고, 피복 시트를 자동적으로 공급하여 직물의 표면을 피복 시트로 덮을 수 있다. 재단 지지면에 직물이 반입된 시점에서 피복 시트도 덮여 있으므로 신속하게 재단을 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 수단에 의해 직물의 표면을 덮은 피복 시트의 후단을 자동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 시트는 재단 지지면의 콘베이어로서의 반송 방향으로 유도 안내되므로 직물이 반입될 때 원활하게 직물 표면을 덮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 시트는 하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재단 지지면의 콘베이어 구동 방향으로 유도 안내된다.
직물의 반입 경로로 직물을 반입하기 위한 에어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을 때는 그 구성을 피복 시트의 유도 안내에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 수단이 피복 시트에 접촉하면서 재단 지지면의 방향으로 피복 시트를 확실하게 유도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기와 자동 재단기를 연동시켜서 직물의 전개기로부터의 반출과 관련시켜서 피복 시트의 인출을 행하면서 재단 지지면 상에 피복 시트로 덮은 직물을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 시트가 감긴 롤로부터 피복 시트를 직물 반입 속도와 관련하여 인출하면서 피복 시트를 재단 지지면의 방향으로 유도 안내하여 직물을 피복 시트로 덮는다.
콘베이어로서 구성되는 재단 지지면에 직물이 반입될 때 피복 시트로 원활하게 덮을 수 있으므로 사람 손을 요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피복 시트의 공급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불투과성 피복 시트를 흡인하여 콘베이어로서의 반송에 용이하게 유도 안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의 반입 경로로부터 공기를 분출시켜서 인출된 피복 시트의 유도 안내를 행한다. 공기의 분출 기구가 직물을 반입하기 위해 에어 테이블 등으로서 설치되어 있을때는 그 이용에 의해 피복 시트의 유도 안내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된 직물을 반출 가능한 전개기와 자동 재단기를 연동시켜 재단 데이타에 따라 전개와 전개된 직물의 재단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 특색,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재단기에의 피복 시트 공급 장치의 주요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다. 재단기(21)는 직물 시트를 적층한 적층 시트(22)상을 공기 불투과성의 직물 피복 시트(23)로 덮은 상태에서 재단한다. 적층 시트(22)는 상류측 전개기에 의해 형성되고, 에어 테이블(24) 상으로 반송되어 재단 테이블(25)의 재단 지지면(37)상으로 반입된다. 에어 테이블(24) 상방에는 직물 피복 시트(23)를 반송 중의 적층 시트(22)상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26)가 설치된다. 공급 장치(26)내에는 한쌍의 지지 롤러(27,28)가 설치된다. 지지 롤러(27,28)의 하방에는 직물 피복 시트(23)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 롤러(29)가 설치된다. 인출 롤러(29)에 직물 피복 시트(23)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롤러(30)가 설치된다. 지지 롤러(27,28)상에는 롤러형의 피복 시트 롤(31)이 적재된다. 인출 롤러(29)의 하방에는 절단 장치(32)가 설치되고, 또 그 하방에는 상류측으로부터 반입되는 적층 시트(22)를 검출하기 위한 직물 센서(33)가 설치된다.
에어 테이블(24)에는 복수개의 에어 노즐(34)이 배치되고, 재단 테이블(25)를 향해서 화살표(34a)로 표시한 바와 같은 경사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 낸다. 에어 노즐(34)은 에어 테이블(24)에 일정 간격으로 지그 재그형으로 배치된다. 재단 테이블(25)은 콘베이어(35)에 의해 적재된 적층 시트(22)나 재단된 부분을 반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콘베이어(35)는 복수개의 강모 브러시(36)를 갖고, 강모 브러시(36)의 선단이 재단 지지면(37)을 형성한다. 강모 브러시(36)는 통기성을 갖고, 흡인 모터(38)에 의해 진공 흡인되는 흡인실(39)에 연통한다.
절단 장치(32)는 인출 롤러(29)의 하방에 설치되는 레일(40)을 갖는다. 레일(40)은 지지 롤러(27,28) 및 인출 롤러(29)와 함께 재단기(21)의 폭 방향, 즉 도 1의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들은 폭 방향의 양측에서 에어 테이블(24)의 양측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지주(26a)에 의해 지지된다. 레일(40)을 따라서 커터 다이(41)가 주행 가능하다.
도 2는 절단 장치(32)의 정면도, 도 3은 부분적인 평면도, 도 4는 부분적인 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커터 다이(41)에는 절단을 행하기 위한 날(42)과 밀어 올리기 캠(43)이 설치된다. 밀어 올리기 캠(43)은 레일(40)의 일단에서 레버(44)의 일단에 설치되는 종동 롤러(45)를 밀어 올리고, 레버(44)의 선단(44a)에서 직물 피복 시트(23)를 레일(40)측으로 민다. 커터 다이(41)에는 레일(40)로 안내되는 주행 롤러(46)가 피봇 지지되고, 구동 벨트(47)가 접속된다. 구동 벨트(47)는 지주(26a)에 설치되는 지지 풀리(48)로 지지된다. 커터 다이(41)가 재단 테이블(25)의 일측부로 이동한 때는 위치 센서(49)에 의해 검출된다. 위치 센서(49)는 근접 센서이며, 센서 부착판(49a)에 의해 레일(40)의 일단에 부착된다. 레일(40)은 양단에서 브래킷(50)에 의해 지지된다. 레버(44)는 레버 부착대(51)에 세워 설치되는 축(51a)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변위 가능하다. 레버(44)의 종동 롤러(45)측의 아암은 스프링(51b)에 의해 레일(40)측으로 가압된다. 커터 다이(41)가 레버 부착대(51)의 위치까지 이동한 때 밀어 올리기 캠(43)에 의해 선단(44a)을 레일(40)측으로 밀어 붙인다. 선단(44a)은 날(42)에 의하여 직물 피복 시트(23)의 절단을 행하기 위해 절입의 최초의 단계에서 직물 피복 시트(23)를 레일(40)측으로 밀어서 구속한다. 커터 다이(41)가 레일(40)의 중앙 근처로 이동하여 밀어 올리기 캠(43)에 의해 레버(44)의 선단(44a)의 가압을 해제하면 직물 피복 시트(23)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지만 일단 절입이 되어 있으므로 후의 절단은 용이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 다이(41)가 일단측의 대기 위치에 있을 때도 구속 상태는 해제되고 재단 테이블(25)측으로부터 인장될 때나 피복 시트 롤(31)의 교환시 등에 직물 피복 시트(23)를 자유로이 인출하거나 되감거나 할 수 있다. 또, 레버(44)의 가압 상태 및 그 해제 상태는 도 3에 이점 쇄선 및 실선으로 각각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인출 롤러(29)의 구동에 관련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를 지면 좌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다. 구동을 위한 인출 롤러(52)에는 감속을 위한 치차가 내장되어 있으며, 그 출력축에는 풀리(53)가 설치된다. 풀리(53)로부터 벨트(54)를 거쳐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고, 인출 롤러(29)의 축에 설치되는 풀리(55)에 전달된다. 커터 다이(41)를 레일(40)에 따라 주행시키기 위한 절단 모터(56)는 마찬가지로 벨트에 의해 풀리(48)를 회전 구동시키고, 벨트(47)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재단기(21)의 상류 측에 전개된 직물을 자동적으로 반출 가능한 전개기가 접속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재단기(21)에는 도 7에서 좌우 방향인 X방향으로 재단 테이블(25)상을 이동 가능한 재단 캐리지(57)가 설치된다. 재단 캐리지(57)에는 도 7의 지면에 수직인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재단 헤드(58)가 설치되고, 직물을 재단하기 위한 칼날이 구비된다. 재단기(21)는 전체적으로 제어를 행하는 통합 제어 장치(59)에 의해 전개기(60)와 함께 연동하여 제어된다. 통합 제어 장치(59)는 재단용 디자인 시스템이나 생산 관리 시스템 등과 온라인 회선으로 결합되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에어 테이블(24)에 설치되는 공급 장치(26)으로부터의 직물 피복 시트(23)가 반입된 적층 시트(24)상에 공급된다. 또, 재단 종료 후에는 재단 캐리지(57)에 설치되는 롤(57a)와, 재단 테이블(25)의 종단 상의 스탠드(25a)사이에서 직물 피복 시트(23a)가 추가된다. 적층 시트(24)와 함께 공기 불투과성 피복 시트(23)도 재단되어 통기성이 되므로, 다시 공기 불투과성인 직물 피복 시트(23a)로 피복하여 유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전개기(60)에는 전개 테이블(61)상을 도 7의 좌우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전개 캐리지(62)가 구비된다. 전개 캐리지(62)는 롤형의 직물 시트 롤(63)을 탑재하고, 리프터(64)로부터 해제된 직물 시트를 인출하여 전개 테이블(61)상에 소정 길이 만큼 편다. 리프터(64)내에는 커터가 구비되고, 소정 길이 인출된 직물 시트로 재단한다. 직물 시트는 적층되고, 적층 높이에 따라 리프터(64)는 상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적층 시트(65)가 전개 테이블(61)상에 형성된다. 직물 시트가 유연한 재료이거나 눈이 거친 재료인 경우에는 재단 테이블(25)의 재단 지지면(37)을 형성하는 강모 브러시(36)의 선단에 꽂히므로 깔개 시트(66)가 깔린다. 깔개 시트(66)는 일정 간격으로 구멍이 뚫린 크래프트지(craft paper) 등을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적층 시트(64)보다 면적이 크다.
전개 캐리지(62)에는 푸트 프레서(67) 등에 의해 실현되는 포획 수단(capturing means)이 설치되어 있다. 푸트 프레서(67)는 실린더(68)에 의해 승강 변위 가능하다. 전개 테이블(61)의 하면으로부터는 공기가 분출하고, 전개된 적층 시트(65)의 반출을 용이하게 한다. 우선 전개 캐리지(62)가 주행하여 적층 시트(65)의 선두를 기준으로 한 소정 위치로 이동하고, 푸트 프레서(67)에 의해 깔개 시트(66)의 표면을 가압하여 포획한다.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분출시킨 상태에서 적층 시트(65)를 재단기(21)의 재단 테이블(25)측으로 반출할 수 있다. 깔개 시트(66)는 롤형의 깔개 시트 롤(69)로부터 공급되고, 전개 캐리지(62)의 푸트 프레서(67)를 이용하여 전개 테이블(61)상에 전개 개시 전에 펼쳐진다. 또, 반출은 전개 테이블(61)을 재단 테이블(25)과 마찬가지로 콘베이어 구동 방식으로서 행하게 해도 좋다.
도 8은 도 7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다. 재단기(21)에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여 실현되는 중앙 처리 장치(70)가 포함되고, 재단 캐리지(57), 재단 헤드(58), 콘베이어(35), 흡인 모터(38), 에어 테이블(24) 및 공급 장치(26)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서는 공급 장치(26)내의 직물 센서(33)로부터의 반입 직물 검출 신호가 이용된다. 통합 제어 장치(59)는 컴퓨터화된 디자인 시스템에 의해 작성된 재단 전개 데이타(71)에 따라서 재단기(21), 전개 테이블(61)에 공기를 분출시키기 위한 블로워 모터(72), 전개 캐리지(62)를 제어한다. 전개 캐리지(62)내에도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여 실현되는 중앙 처리 장치(80)가 포함되고, 캐리지 위치 검출기(81)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캐리지 주행 모터(82), 해제 모터(83), 인출 모터(84), 리프터(64)의 승강, 리프터(64)에 내장되는 커터(85), 푸트 프레서(67)의 실린더(68) 등을 제어한다.
도 9는 도 7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스텝 a1로부터 전개를 개시하고, 스텝 a2에서 전개를 종료한다. 스텝 a3에서는 포획 위치로 전개 캐리지(62)가 이동하고, 스텝 a4에서 실린더(68)를 작동시켜서 푸트 프레서(67)에 의해 적층 시트(65)를 포획한다. 스텝 a5에서는 블로워 모터(72)를 작동시켜서 전개 테이블(61)의 하면으로부터 공기를 분출시킨다. 스텝 a6에서는 전개 캐리지(62)를 재단기(21)측으로 주행시켜서 전진시키고, 적층 시트(65)의 반출을 행한다. 스텝 a7에서는 공급 장치(26)의 직물 센서(33)가 전개기로부터 반출된 적층 시트의 선단을 검출한다. 스텝 a8에서는 인출 모터(52)를 작동시켜서 피복 시트(23)을 인출한다. 스텝 a9에서는 에어 테이블(24)를 작동시켜서 에어 노즐(34)로부터 공기를 분출시키고, 콘베이어(35)를 작동시켜서 콘베이어 구동을 행하면서 흡인 모터(38)을 작동시켜서 진공 흡인을 행한다. 이에 의해 적층 시트(22)는 표면을 직물 피복 시트(23)로 덮힌 상태에서 재단 지지면(37)상에 유지되고, 스텝 a10의 재단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종방향을 시간축으로 하여 도7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관련한 동작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다. 스텝 b1에서는 전개기(60)의 전개 캐리지(62)가 기준 위치인 원점에서 대기한다. 스텝 b2에서는 깔개 시트 롤(69)이 세트된다. 스텝 b3에서는 실린더(68)가 하강하도록 작동되고, 푸트 프레서(67)가 ON으로 된다. 푸트 프레서(67)는 깔개 시트를 포획하고, 스텝 b4에서 전개 캐리지(62)를 주행 이동시키면 스텝 b5의 깔개 시트의 반입이 행해진다. 소정 길이 만큼 깔개 시트(66)를 반입하면 스텝 b6에서 실린더(68)를 상승시키고, 푸트 프레서(67)를 OFF한다.
다음에, 스텝 b7에서 직물 시트의 전개가 행해진다. 전개가 종료하면 스텝 b8에서 전개 캐리지(62)는 소정 위치에서 대기한다. 이 소정 위치는 전개되어 적층된 직물을 포획하는 위치이다. 스텝 b9에서는 실린더(68)를 하강시켜서 푸트 프레서(67)를 ON으로 한다. 스텝 b10에서는 전개 캐리지(62)를 주행시킨다. 이리하여 푸트 프레서(67)에서 직물을 포획한 상태로 스텝 b10, b11에서 직물을 재단기로 반입한다. 전개 캐리지(62)는 스텝 b12에서 정지하고, 실린더(68)를 상승시켜서 푸트 프레서(67)를 OFF한다. 스텝 b14에서 전개 캐리지(62)는 원점으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한편, 스텝 b1과 동시에 재단기(21)에서는 스텝 b20에서 재단 캐리지(57) 및 재단 헤드(58)를 예정 원점 위치에서 대기시켜 둔다. 공급 장치(26)는 스텝 b21에서 피복 시트 롤(31)을 세트하고, 스텝 b22에서 가압 롤러(30)를 개방하고, 스텝 b23에서 직물 피복 시트(23)를 지지 롤러(27,28) 사이로 늘어뜨리고, 스텝 b24에서 가압 롤러(30)를 폐색한다. 스텝 b30에서는 재단기(21에 설치되는 반입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스텝 b31에서는 에어 테이블(24)로부터 에어를 불어 낸다. 스텝 b23에서는 인출 모터(52)에 의해 인출 롤러(29)를 회전시켜 직물 피복 시트(23)를 인출한다. 스텝 b33에서는 인출된 직물 피복 시트(23)가 에어 테이블(24)의 전면을 덮을 정도의 길이로 된 위치에서 인출 롤러(29)를 정지한다. 에어 테이블(24)에서는 재단 테이블(25) 쪽을 향해 에어가 송풍되므로, 인출된 직물 피복 시트(23)의 선단이 재단 테이블(24) 쪽으로 유도 안내되어 경사진 상태로 된다. 다음 스텝 b34에서 흡인 모터(38)를 구동하여 흡인을 개시하고, 콘베이어(35)를 가동한다.
전개기(60) 측으로부터 적층 시트(65)가 반출되어 재단기(21)측으로 반입되면, 공급 장치(26)의 직물 센서(33)에 의해 검지된다. 스텝 b35에서는 에어 테이블(24)의 길이, 예를 들면 0.5mm만큼 반입하는데 요하는 시간, 즉 0.5를 직물 반입 속도(m/초)로 계산한 시간의 경과 후, 인출 롤러(29)를 콘베이어(35)의 반송과 관련시켜 회전시키고, 또 직물 피복 시트(23)를 인출한다. 인출 속도는 반입 속도 이하로 하고, 대략 같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테이블(24) 상에서 직물 피복 시트(23)가 적층 시트(22)를 충분히 피복한 상태에서 스텝 b36에서는 인출 롤러(29)를 정지한다. 적층 시트(22)는 또 콘베이어(35) 상으로 반송되고, 스텝 b37에서 선단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반입 완료되며, 스텝 b38에서 콘베이어(35)를 정지한다. 적층 시트(22)의 반입 완료 시점에서 직물 피복 시트(23)의 피복도 자동적으로 완료되고, 재단 가능하게 된다.
스텝 b40에서는, 정지한 콘베이어(35)상에 적층 시트(22) 및 직물 피복 시트(23)가 진공 흡인되어 유지되고, 스텝 b20에서 원점에 대기하고 있던 재단 헤드(58)를 이용하여 재단을 실행한다. 재단 중 혹은 재단 완료 후, 스텝 b41에서 직물 피복 시트(23)의 후단을 절단 장치(32)에 의해 절단한다. 또, 연속 재단의 경우에는 직물 피복 시트(23)의 절단을 최후 재단이 종료되기까지 실시하지 않는다. 스텝 42에서는 콘베이어(35)를 구동하여 재단된 적층 시트(22)를 반출하는 재단 직물 반출을 행한다.
스텝 b33에서, 직물 피복 시트(23)를 에어 테이블(24)의 전체를 덮을 정도의 길이 보다 더욱 길게 인출해 두고, 스텝 b34에서 선단을 재단 테이블(25)에서 흡인하고, 콘베이어(35)를 가동시키면, 직물 피복 시트(23)는 콘베이어(35)에 의해 유도 안내되어 인장되는 상태로 된다. 이때, 직물 피복 시트(23)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출 롤러(29)의 축에는 일방 클러치가 설치되고,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클러치가 분리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재단 테이블(85)에 도 1의 실시예와 같은 에어 테이블(24)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콘베이어(35)가 거의 전면에 걸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 장치(26)로부터 인출된 직물 피복 시트(23)의 선단을 콘베이어(35)의 표면에서 흡인하고, 콘베이어(35)를 반송시켜서 직물 피복 시트(23)의 유도 안내를 행한다. 반입된 적층 시트는 곧바로 콘베이어(35) 상에 진공 흡인에 의해 유지되고, 콘베이어(35)에 의해 반입을 계속하면서 공급되는 직물 피복 시트(23)에 의해 덮인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 및 도 1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압 롤러(30)에 관련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인출 롤러(29)에 의해 확실하게 직물 피복 시트(23)의 인출이 가능해지도록 가압 롤러(30)가 설치된다. 가압 롤러(30)의 축(91)에는 전술한 일방 클러치가 설치되고, 아암(92)의 자유 단부에 피봇 지지되고, 자중으로 직물 피복 시트(23)를 인출 롤러(29)측으로 가압한다. 도 12는 가압하고 있는 폐쇄 상태를 도시한다. 새로운 피복 시트 롤(31)을 세트하거나 세트할 때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30)를 인출 롤러(29)로부터 이격시킨다. 그 조작은 수동으로 행하고, 도 13과 같이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가압 롤러(30)의 중력은 아암(92)의 기단부의 지지점(93) 보다도 도 13의 우측으로 움직이므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가압 해제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수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94)이 설치된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공급 장치(26)내에는 특히 인출된 직물 피복 시트(23)을 유도 안내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경사진 판 등을 절단 장치(32)의 하방에 설치하고, 연직 하방으로 늘어지는 직물 피복 시트(23)에 접촉하면서 정리하여 재단 테이블(25) 측으로 유도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공급 장치(26)내에 공기 분출 노즐이나 소형 팬 등을 설치하고, 공기에 의해 인출된 직물 피복 시트(23)를 재단 테이블 측으로 유도 안내하게 해도 좋다. 또, 공급 장치(26)도 직물의 반입에 동기하여 재단 테이블 상을 주행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간단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도시한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Claims (10)

  1. 직물을 콘베이어로서 구성되는 재단 지지면 상에서 흡인하여 유지하면서 재단 데이타에 따라 직물로부터 부분을 재단하는 자동 재단기에 직물의 표면을 덮는 공기 불투과성 피복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재단 지지면에서 직물의 반입측에서 자동 재단기의 폭방향의 양측에 세워설치되고, 피복 시트가 감긴 롤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롤로부터 피복 시트를 콘베이어로서 구성되는 재단 지지면으로 직물의 반입에 따라서 인출하는 인출 수단과 상기 자동 재단기의 반입측의 상류에 설치되고 전개된 직물의 반출 수단을 갖는 전개기와, 상기 전개기로부터 반입되는 직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직물이 검출될 때 전개기의 반출 속도에 관련하여 콘베이어의 구동과 인출 수단으로부터의 피복 시트의 인출을 행하게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수단의 하방에, 인출되는 피복 시트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피복 시트를, 콘베이어로서의 재단 지지면의 반송 방향으로 유도 안내하는 유도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인출 수단의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재단 지지면의 방향으로 분출시켜서 피복 시트를 유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수단은 인출된 피복 시트에 접촉하면서 재단 지지면의 방향으로 유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6. 직물을 콘베이어로서 구성되는 재단 지지면 상에서 흡인하여 유지하면서 재단 데이타에 따라서 직물로부터 부분을 재단하는 자동 재단기에 직물의 표면을 덮는 공기 불투과성 피복 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재단 지지면에의 직물의 반입 경로 상방에서 피복 시트가 감긴 롤을 지지하는 단계와, 롤로부터 피복 시트를 인출하여 재단 지지면의 방향으로 유도 안내하면서 직물의 반입 속도에 관련된 인출 속도로 직물을 피복 시트로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안내는 인출된 피복 시트에 재단 지지면을 하방으로부터 흡인하면서 콘베이어로서 반송함으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안내는 인출된 피복 시트에 직물의 반입 경로의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분출시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반입 경로 상의 상류측에 전개된 직물을 반출 가능한 전개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재단 데이타에 따라서 전개 조건 및 재단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전개기 및 자동 재단기를 설정된 전개 조건 및 재단 조건에 따라서 연동시키고, 전개된 직물을 전개기로부터 반출시켜서 재단 지지면에서 흡인하여 반입하면서 직물 전면에 덮어 씌우도록 피복 시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은, 자동 재단기의 폭방향으로 가설되는 레일과, 레일 상을 왕복 주행 가능한 커터와, 레일의 적어도 일단측에 설치되고, 커터의 주행에 연동하여 피복 시트에 절입을 넣기 위해 단부 모서리를 구속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KR1019950001359A 1994-01-27 1995-01-26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및 방법 KR0135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7949A JP2585190B2 (ja) 1994-01-27 1994-01-27 裁断機への生地被覆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方法
JP94-7949 1994-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490A KR950023490A (ko) 1995-08-18
KR0135200B1 true KR0135200B1 (ko) 1998-07-01

Family

ID=1167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359A KR0135200B1 (ko) 1994-01-27 1995-01-26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668231B1 (ko)
JP (1) JP2585190B2 (ko)
KR (1) KR0135200B1 (ko)
CN (1) CN1057061C (ko)
DE (1) DE69517065T2 (ko)
ES (1) ES214835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28226B1 (es) * 1995-12-28 1999-12-16 Basells Ventura Angel Maquina para extender productos laminares.
DK0839615T3 (da) * 1996-10-31 2003-08-11 Ima Spa Apparat til fremstilling af genstande af vævet stof med en i forvejen fastlagt størrelse
DE19654796A1 (de) * 1996-12-31 1998-07-02 Schultes Robert W Zuführvorrichtung für eine Stoffzuschneideanlage, Stoffzuschneideanlag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JP2004131215A (ja) * 2002-10-09 2004-04-30 Ushio Inc 帯状ワークの搬送装置
ITUD20030027A1 (it) * 2003-02-05 2004-08-06 G M P Spa Apparecchiatura per la sostituzione di una bobina di alimentazione di una pellicola di rivestimento, per la stesura e per il taglio della pellicola, e relativo metodo.
ITUD20030036A1 (it) * 2003-02-14 2004-08-15 G M P Spa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in materiale plastico, relativo procedimento e manufatti cosi' ottenuti.
JP5033194B2 (ja) * 2007-11-07 2012-09-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裁断機のコンベアテーブル
JP2009166232A (ja) * 2007-12-20 2009-07-30 Shima Seiki Mfg Ltd 裁断機および裁断機での密閉シート被覆方法
CN101634089B (zh) * 2009-05-18 2013-06-05 新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布料格纹对齐装置
CN102672736B (zh) * 2011-12-25 2015-09-02 河南科技大学 打印机充电辊自动切割机
CN102602107B (zh) * 2012-03-09 2014-06-25 埃克森塞弗(苏州)电梯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气压和软刷的包覆方法
EP2657005B1 (de) 2012-04-27 2014-06-25 MULTIVAC Sepp Haggenmüller GmbH & Co KG Abblasbaugruppe für eine Siegeleinheit einer Verpackungsvorrichtung
CN103668934B (zh) * 2012-09-18 2017-05-31 长园和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自动裁剪机边走边裁功能的机构
CN102922553B (zh) * 2012-11-08 2014-12-10 浙江精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切割机
CN103407845A (zh) * 2013-08-13 2013-11-27 江苏闳业机械有限公司 自动裁剪机的再覆盖膜传动机构
CN103878806B (zh) * 2014-04-03 2016-08-17 徐州富阳能源科技有限公司 木塑复合材料型材切割机
KR101696823B1 (ko) * 2015-07-21 2017-01-17 (주)소명실업 개량 v홈 절삭 가공 장치
CN105110045A (zh) * 2015-09-08 2015-12-02 苏州吉森智能科技有限公司 数控裁剪机的吸附裁切传送机构
JP6541544B2 (ja) * 2015-10-14 2019-07-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生地の積層裁断装置
CN106426323B (zh) * 2016-09-23 2018-09-25 王珍丽 一种家具保护胶膜的剪裁器具
CN106625809B (zh) * 2016-12-22 2018-09-04 周胡琴 一种布条的自动送料切断输送设备
CN111778701A (zh) * 2020-06-10 2020-10-16 李艳枚 一种布料加工用分量剪切装置
CN113186708B (zh) * 2021-05-28 2022-09-02 珠海市永春服饰有限公司 一种纺织服装加工用裁切机及其裁切方法
CN114197193B (zh) * 2021-12-27 2022-12-30 海安凯文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纺织面料印染用裁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2750A (en) * 1969-12-09 1972-08-08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Cutting apparatus with vacuum hold-down and cut sealing means
US3949918A (en) * 1974-08-05 1976-04-13 Borden, Inc. Machine for dispensing uniform lengths of thick plastic film
US4476756A (en) * 1982-04-12 1984-10-16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working limp sheet material on a conveyor
US4434691A (en) * 1982-04-12 1984-03-06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cut sheet material
US4514246A (en) * 1982-11-03 1985-04-30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Method of cutting and labeling sheet material
US4527346A (en) * 1983-09-14 1985-07-09 Macpherson, Inc. Sheet material stacking, conveying and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US4542672A (en) * 1983-12-02 1985-09-24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Sheet material conveyor loading apparatus
US4542673A (en) * 1984-07-03 1985-09-24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sealing cut sheet material
DE3744427A1 (de) * 1987-12-29 1989-07-13 Krauss & Reichert Maschf Stofflegemaschine mit schneideinrichtung
US5141572A (en) * 1990-09-19 1992-08-25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Labe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sheet material cutting system and a supply of labels for use therewith
JP2897016B2 (ja) * 1991-10-08 1999-05-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自動裁断機におけるリーク防止装置
IT1255349B (it) * 1992-07-17 1995-10-31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tessuti in rotolo per tavoli da tagliodi tessuto in singoli strati
DE4344814A1 (de) * 1993-12-28 1995-06-29 Bullmer Spezialmaschinen Gmbh Zuschneidevorrichtung mit Schnittfugenabd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8231B1 (en) 2000-05-24
CN1057061C (zh) 2000-10-04
JP2585190B2 (ja) 1997-02-26
EP0668231A2 (en) 1995-08-23
JPH07214496A (ja) 1995-08-15
CN1114284A (zh) 1996-01-03
ES2148354T3 (es) 2000-10-16
DE69517065D1 (de) 2000-06-29
DE69517065T2 (de) 2000-09-07
EP0668231A3 (en) 1996-10-02
KR950023490A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200B1 (ko) 재단기에의 직물 피복 시트 공급 장치 및 방법
CA1232534A (en) Apparatus for joining sheet ends
JP2756327B2 (ja) 衣類品用のセクションの如き材料ウエブから切断したセクションの製造装置
US4483527A (en) Sheet material handling device
JPH04122551U (ja) 取出し装置を備えたシート材料支持コンベヤ
KR950007407B1 (ko)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US5941431A (en) Sock boarding apparatus
US6913045B2 (en) Process for selectivity lacing filaments on multidimensional textile preforms and device for practicing the same
US5168686A (en) Formation, maintenance and tensioning of a tying loop
US3568898A (en) Everting apparatus and method
US6439143B1 (en) Garment portion processing assembly
JPH0867414A (ja) 延反機
KR200201124Y1 (ko) 원단포장기의 원단 외부포장장치
US56302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fabric from cloth spreading machine
CN111051592B (zh) 布料自动展开机
JPH05311569A (ja) 自動生地切断重ね合わせ装置
JP3462530B2 (ja)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2961645B2 (ja) 裁断機での原反生地の裁断方法
US3331224A (en) Unitary equipment for decatizing fabrics in autoclave
JP3594665B2 (ja) 延反方法および延反装置ならびに下敷シートへのマーク付与装置
KR20240036879A (ko) 현수막 원단 자동 절단 및 접기장치
CN211569522U (zh) 一种服装加工布料放卷装置
US20230391023A1 (en) Tape Deposition Head
JP3069804B2 (ja) 自動生地解反装置
CN114145526A (zh) 一种服装设计打版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