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407B1 -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 Google Patents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407B1
KR950007407B1 KR1019930006643A KR930006643A KR950007407B1 KR 950007407 B1 KR950007407 B1 KR 950007407B1 KR 1019930006643 A KR1019930006643 A KR 1019930006643A KR 930006643 A KR930006643 A KR 930006643A KR 950007407 B1 KR950007407 B1 KR 950007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piece
conveyor
rectangula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860A (ko
Inventor
아쯔시 우에다
히데토시 이시하라
코이치 진노
카즈오 키타지마
토시오 핫토리
키미하루 후지하시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33812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9932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2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endless chain or like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2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endless chain or like apparatus
    • D06C3/04Tentering cli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7/00Details of ironing machines provided for in groups D06F61/00, D06F63/00, or D06F65/00
    • D06F67/04Arrangements for feeding or spreading the lin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직사각형상 천조각 전개장치의 사시도로서, 주로 기계부분을 표시하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천조각 재치대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천조각 재치대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천조각 전개장치의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천조각의 귀퉁이 끝불어모으기 노즐기구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노즐기구의 정면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시이트 전개장치의 사시도로서, 주로 천조각의 검출기구를 표시하는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J부 확대도.
제9도는 제7도의 G 사시도.
제10도는 제7도의 H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 시이트 전개장치의 작동타이밍을 표시한 설명도.
제12도는 종래의 직사각형상 천조각 전개장치의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XIV-XIV 단면도.
제15도는 제12도와 작동상태를 달리하는 동장치의 사시도.
제16도는 또 제15도와 다른 작동상태의 사시도.
제17도는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각부의 부호를 표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시이트 16 : 붙잡는기구
17 : 클립 18 : 차륜
25 : 가이드레일 26 : 체인
27 : 클립붙잡음해제기구 28,60 : 공압작동기
29 : 레버 30 : 압압판
35 : 재치대 36 : 볼록형앞가장자리부
38,39 : 프레임 40 : 풀리
45 : 모터 46 : 평벨트(컨베이어)
46a,48 : 소구멍 47 : 흡입덕트
49,85,87 : 광전센서 50 : 제어장치
55,67 : 흡입블로워 56,66 : 관
58 : 압압롤러 59 : 축
65 : 에어스프레더 65a : 펼침판
65b : 흡입슬릿 68 : 마찰롤러
69 : 송출컨베이어 75 : 가이드
76 : 도입바아 80 : 다림질장치
83 : 근접센서 84 : 기어
86,88 : 반사판 101 : 오목형앞가장자리부
102 : 노즐케이스 103 : 노즐구멍
104 : 송기관 105 : 안내판
110 : 가이드박스
종래의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귀퉁이의 1끝변을 붙잡고 재치대위를 견인하여, 천조각의 1변을 전개하는 장치는 일본국 특개평 4-9198호 공보에 의해서 제안되어 있다. 이것을 제12도~제17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2도~제16도에 표시한 종래의 가장자리내기장치는, 예를 들면 제17도에 표시한 시이트 등의 직사각형상 천조각 Y의 가장자리내기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장치는, 프레임재를 전후, 좌우, 상하로 조립해서 전후방향 A에 상당하는 길이(처리해야 할 직사각형상 천조각 Y의 긴변쪽의 전체길이보다 상당히 장척)를 가진 직사각형입체형 가설대(1)와, 동 가설대(1)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설대의 전후방향 A로 진퇴이동자재한 이동체(2)와, 동이동체(2)에 있어서의 수평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둔 2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직사각형상 천조각 Y의 하나의 귀퉁이 C1과 그것에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Ya의 일부를, 각각 착탈자재하게 유지할 수 있는 천조각 귀퉁이부용 유지수단(22) 및 천조각 가장자리부용 유지수단(23)과, 이동체(2)를 가설대 앞부분의 천조각 유지위치 P로부터 가설대뒤부분의 천조각 끌어들임위치 Q까지의 범위에서 진퇴시키는 이동체 구동장치(3)와 , 가설대(1)에 설치되어 있고, 가설대 뒤쪽으로 끌어들여지는 직사각형상 천조각 Y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재치대(4)와, 동 재치대(4)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베이어(5)와, 동 컨베이어(5)를 정, 역 각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컨베이어 구동장치(6)와, 직사각형상 천조각 Y의 가장자리내기쪽 옆가장자리 Yb를 검출하는 옆가장자리 검출기(71)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상 천조각 Y의 끝가장자리 Yc를 검출하는 끝가장자리 검출기(72)와, 이 가장자리내기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0)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있다.
가설대(1)의 상부에는, 그 좌우방향의 중간위치에 있어서 전후방향 A를 향해서 1개의 가이드레일(11)이 가설되어 있고, 동 가이드레일(11)에 의해서 이동체(2)가 가설대 전후방향으로 진퇴이동자재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이 이동체(2)의 전후방향이동범위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동 이동체(2)가 가설대앞부분에 있어서 각 유지수단(22)(23)에 의해서 직사각형상 천조각 Y를 유지할 수 있는 천조각 유지위치 P로부터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동 이동체(2)가 가설대뒤부분에 있어서 직사각형상 천조각 Y를 완전히 재치대(4)위에 끌어들일 수 있는 천조각 끌어들임위치 Q까지의 범위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동체(2)는 좌우방향으로 사람의 어깨폭 정도의 길이(40~60cm 정도의 길이)를 가진 평판(20)과, 이 평판(20)의 좌우양쪽부에, 각각 하향으로 절곡된 늘어뜨림판(21)(21)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 늘어뜨림판(21)(21)의 앞끝부분에 각각 1개씩 천조각 유지용의 유지수단(22)(2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가설대앞부분쪽에서 보아서, 오른쪽에 위치하는 유지수단(23)이 천조각 귀퉁이 C1의 유지용이고, 왼쪽에 위치하는 유지수단(23)이 천조각 가장자리부 Ya의 유지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유지수단(22)(23)에는, 각각 압축공기에 의해서 작동하는 클립식 에어척이 채용되고 있다.
이동체구동장치(3)는, 가설대(1)의 앞부분과 뒤부분에 각각 설치한 스프로킷(32)(32)과, 동 각 스프로킷(32)(32)사이에 걸려 설치되 유단체인(33)과, 한쪽의 스프로킷(32)을 정, 역양방으로 회전시키는 모터(31)를 가지고 있다. 또 체인(33)의 한끝은 앞쪽스프로킷(32)에 감아건 후에 이동체(2)에 고정하고, 동체인(33)의 다른 끝은 뒤쪽 스프로킷(32)에 감아건 후에 이동체(2)에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 이동체구동장치(3)는, 모터(31)에 의해 스프로킷(32)을 우회전 혹은 좌회전시킴으로써, 이동체(2)를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전진 또는 휘토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재치대(4)는, 각 유지수단(22)(23)이 진퇴높이위치보다 약간 아래쪽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동 재치대(4)는, 전후방향으로 비교적 단척의 앞쪽받침판(41)과 동앞쪽받침판(41)의 뒤끝가장자리에 연속해서 설치된 뒤쪽받침판(43)과, 앞쪽받침판(41)의 뒤끝근처위치에 있어서 수평좌우방향으로 진퇴주행가능한 컨베이어(5)를 가지고 있다. 컨베이어(5)는, 좌우 1쌍의 롤(51)(51)사이에 합계 4개를 1조로 하는 벨트(52)(52)를 감아 걸어서 구성되어 있다. 동 각 벨트(52)(52)사이에는 적당한 간격 S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벨트(52)(52)의 상면쪽 주행부는, 뒤쪽받침판(43)의 상면쪽의 근처위치에서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컨베이어구동장치(6)는, 정, 역회전가능한 모터(61)에 의해, 스프로킷 및 체인을 개재해서 컨베이어(5)의 한쪽편(왼쪽)의 롤(51)를 정,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옆가장자리검출기(71)는, 직사각형상 천조각 Y가 가설대 안쪽으로 끌어들여질 때에, 컨베이어설치부분에 있어서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가장자리내기를 하려고 하는 쪽의 옆가장자리 Yb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전관이 채용되고 있다. 또 이 옆가장자리검출기(71)는, 뒤쪽받침판(43)위에 있어서의 컨베이어(5)의 가설대 앞부분쪽으로부터 첫번째의 벨트(52)와, 두번째의 벨트(52)의 사이의 간격 S내에서, 또한 천조각 귀퉁이부용 유지수단(22)이 통행하는 위치의 거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검지부를 상향으로 해서 설치되어 있다.
끝가장자리검출기(72)에는 광전관이 채용되고 있고, 직사각형상 천조각 Y의 끝가장자리 Yc가 재치대(4)위에 있어서의 컨베이어(5)의 가설대 앞부분쪽 끝부분에 당도했을 때에 동 끝가장자리 Yc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동 끝가장자리검출기(72)는, 뒤쪽받침판(43)위에 있어서의 컨베이어(5)의 가설대앞부분쪽의 끝부분의 근처이고, 또한 이동체(2)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간부가 통행하는 위치의 거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검지부를 상향으로 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옆가장자리검출기(71) 및 끝가장자리검출기(72)는, 각각 천조각의 검출상태 혹은 비검출상태의 판별을 제어장치(10)를 향해서 발신한다.
제어장치(10)는, 옆가장자리검출기(71)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컨베이어구동장치(6)에 대해서 컨베이어(5)를 정, 역 어느 한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끝가장자리검출기(72)로부터의 천조각 끝가장자리검출신호를 받고, 이동체구동장치에 대해서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옆가장자리검출기(71)가 천조각 비검출상태에 있을 때(옆가장자리검출기(71)의 바로 위쪽에 천조각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컨베이어구동장치(6)에 대해서 컨베이어(5)의 상면쪽이 옆가장자리 밀어내기방향(왼쪽으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동 옆가장자리검출기(71)가 천조각검출상태에 있을 때에는, 동 컨베이어구동장치(6)에 대해서 컨베이어(5)의 상면쪽이 옆가장자리 끌어들임방향(오른쪽으로부터 왼쪽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직사각형상 천조각에 있어서의 컨베이어(5)위에 접촉하는 부분의 가장자리내기쪽의 옆가장자리는, 옆가장자리검출기(71)에 의한 검출위치를 사이에 두고 그 좌우 소범위의 장소에서만, 세밀하게 위치조정되게 된다. 또 직사각형상 천조각 Y가 이동체(2)와 함께 가설대 안쪽으로 끌어들여질 때에, 끝가장자리검출기(72)는 제일 먼저, 천조각 비검출상태로부터 끝가장자리검출기 위쪽에 직사각형상 천조각 Y가 당도하면 천조각 검출상태가 되고, 이동체(2)가 더욱 후퇴해서 직사각형상 천조각 Y의 끝가장자리 Yc가 끝가장자리검출기(72)에 의한 검출위치보다 안쪽으로 이동했을 때에 재차 천조각 비검출상태가 되나, 이때 발신되는 끝가장자리 검출기(72)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제어장치(10)에 의해 이동체구동장치(3)를 곧바로 작동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직사각형상 천조각 Y를 볼록형 앞가장자리부(42)에 있어서 접촉저항을 가지게 하면서 재치대(4)위에 끌어들였을 경우에는, 직사각형상 천조각 Y의 옆가장자리 Yb는 견인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지 않고 끝이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천조각의 옆가장자리를 견인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수정하는 방식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4-9198호 공보에 표시한 바와 같은 분할피드벨트 컨베이어(5)에 의한 천조각 Y의 옆가장자리 Yb를 가지런히 하는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구는 복잡하고 기계의 코스트도 높아지는 동시에, 천조각 Y의 전개에 걸리는 시간에 천조각 Y의 옆가장자리 위치수정의 시간이 가산되어서 전개사이클시간이 길어지고, 능력이 향상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천조각 옆가장자리 Yb의 위치수정은 천조각 Y가 끌어들여져서 피이드벨트(5)위에 놓인 후에 행해지므로, 천조각 Y에 팽팽함이 없고, 주름진 그대로 다음 단계로 보내지는 결과, 후공정의 다림질장치에 있어서의 시이트 등의 완성품질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직사각형상 천조각 Y는 하나의 귀퉁이 C1과 그 귀퉁이 C1을 포함한 변의 1개소가 붙잡는 기구(22)(23)에 의해서 붙잡혀져서 재치대(4)위에 끌어들여지기 때문에, 장대한 직사각형상 천조각을 취급할 때에는, 붙잡힌 귀퉁이 C1의 대각의 귀퉁이는, 꼬리형상으로 늘어뜨려져서 재치대(4)위로부터 비어져나온채가 되고, 다음의 직각방향의 이동시, 장치의 구조물에 걸리거나, 말려들거나 할 염려가 있으며, 만약 붙잡는 기구(22)(23)에 의해서 천조각을 끌어들일 때에, 천조각 Y의 귀퉁이 C3의 꼬리형상 부분까지 재치대(4)위로 끌어들이려고 한다면, 보다 긴 재치대가 필요하게 되고, 기계설비가 대형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재치대(4)위에 끌어들인 직사각형상 천조각 Y의 정상적인 전개가 실패한 경우(접힘, 주름, 비스듬함 등)에도 장치에 검사수단 및 배제수단이 없기 때문에, 그대로 다음 공정으로 보내져 버린다. 그 결과, 다음 공정이후의 이송로울, 다림질장치등에 있어서의 걸림, 막힘등의 불편을 일으키고, 또 최종공정(다림질장치)까지 진행해버린 천조각의 재처리가 필요하게 되어, 작업공정수와 가공에너지의 낭비를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직사각형 천조각의 임의의 귀퉁이와, 그 귀퉁이를 포함한 변의 1개소를, 2개의 클립이 장착되어 있는 이동가능한 붙잡는기구에 의해서 붙잡아서 천조각을 자연스럽게 매달은 후, 벨트컨베이어 등에 의해 구성되는 재치대의 상면을 수평으로 재치대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에 천조각을 저항접촉시키면서 붙잡는 기구에 의해서 견인이동하고, 천조각을 재치대위에 끌어들이는 공정을 가진 천조각 전개장치에 있어서, 동 재치대의 천조각 견인궤도면의 천가장자리쪽의 대략 절반면에 다수의 흡입구멍을 가진 흡입덕트를 설치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것을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직사각형상 천조각은 재치대 위를, 동 재치대에 뚫린 다수의 구멍에 천조각 견인궤도면의 천가장자리쪽의 절반의 면에 흡인되면서 팽팽하게 당겨지므로, 천가장자리쪽만이 잡아당기는 방향의 마찰저항을 받고, 천조각은 견인방향에 대해서 평행선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천조각의 천가장자리는 붙잡는 기구에 붙잡힌 끝부분으로부터 끌어당겨진 최후부까지 팽팽함을 지닌채의 상태로 재치대에 놓을 수 있으므로,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공정의 다림질장치에 보냄으로써, 시이트 등의 완성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재치대의 천조각도입부 입구근처 위쪽에 위치해서, 천조각의 말단가장자리부가 통과할 때에 그 말단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동 센서가 발신한 신호를 받아서 동 붙잡는 기구의 진행속도와 붙잡는 기구와 천말단의 통과타이밍으로부터 천조각의 가장자리부의 센터링의 타이밍을 연산하고, 붙잡는 기구의 클립의 붙잡음해제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것을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직사각형상 천조각은 재치대위를 이동하는 동안에, 센서에 의해서 통과위치의 타이밍을 검출하고, 센터링의 타이밍을 연산시켜 붙잡는 기구로부터 해방되므로, 이 공정에 있어서의 시간의 손실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재치대가 되고 있는 천조각 견인방향과 직각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 끝에 놓인 천조각의 전개측변을 누르는 롤러와, 전개변쪽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천조각의 전개변쪽이 컨베이어끝과 상기 압압롤러의 사이에 끼워진 후, 재치대 컨베이어끝으로부터 늘어뜨려져 있는 천조각의 중앙부를 흡인하는 하향볼록형의 전개판을 구비한 슬릿과, 늘어뜨려져 있는 천조각의 상부를, 재치대의 하단에 설치된 전개 이송 컨베이어위에 밀어넣는 도입바아와, 상기 전개이송컨베이어의 앞부분에 설치된 마찰롤러를 걸어서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것을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재치대의 천조각도입부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에 계속된 오목형 앞가장자리부와 동 오목형 앞가장자리부의 오목형 중심선에 맞추어서 프레임에 장착되고, 또한 상면이 상기 재치대의 상면과 동일면이며, 그 상면에 천조각의 이동방향으로 비스듬히 불어내는 복수의 노즐구멍을 가진 노즐케이스와, 동 노즐케이스에 공기를 보내는 공기원과, 상기 노즐구멍으로부터 불어낸 공기에 의해 불어올려진 천조각의 꼬리형상 귀퉁이부를, 재치대위의 소정위치에 안내하는 안내판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것을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또 직사각형상 천조각이 재치대위를 끌어당겨질 때에, 오목형 앞가장자리부 부근을 통과하는 천조각은 한데 모아지고, 상기 앞가장자리부의 상부에 있는 복수의 노즐로부터 불어내는 공기에 의해 밀러올려지므로, 상기 앞가장자리부 부근에 있어서의 천조각의 마찰저항이 감소한다. 또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이동이 끝났을 때에는, 오목형 앞가장자리부에 한데 모아져서 꼬리형상으로 늘어뜨려진 천조각의 귀퉁이 끝은 면적이 적고 가볍게 되어 있으므로, 노즐구멍으로부터 불어내는 공기에 의해 불어올려지고, 안내판에 안내되어서 재치대위의 소정위치에 놓여진다. 따라서 천조각 귀퉁이 끝이 걸리거나 휘감기거나 해서 다음의 천조각 이송공정에 지장을 초래하는 불편은 없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천조각견인방향과 직각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위쪽에, 견인방향의 일직선상에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천조각 통과검출을 위한 광전센서와, 상기 컨베이어구동부의 회전부에 배설되고, 컨베이어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펄스를 발생하는 카운터 또는 타이머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의 신호를 상기 카운터 또는 타이머에 입력해서 상기 컨베이어위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복수의 특정위치를 연산하고,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비스듬한 상태를 검지하는 연산수단과,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허용범위를 넘어서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컨베이어를 소정시간보다 길게 구동시켜서 천조각을 라인밖으로 배출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것을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재치대의 컨베이어가 직사각형상 천조각을 얹어서 이동하고 있을 땡에, 일직선상에 놓인 복수의 광전센서가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뒤가장자리부를 검출한다. 만약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뒤가장자리부가 컨베이어 진행방향과 직각인 선으로부터 비스듬히 어긋나고 있으면, 각 광전센서의 검출타이밍에 차가 생긴다. 이 각광전센서의 검출신호를 카운터 또는 타이머에 입력해서 연산하고, 타이밍차가 허용범위내이면 직사각형상 천조각을 다음공정으로 보내고, 타이밍착 허용치를 넘었을 때에는, 직사각형상 천조각을 라인밖으로 배출한다.
또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 천조각이 천조각 견인방향과 직각 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와 압압롤러의 사이에 끼워지고, 동 컨베이어가 정지해서 늘어뜨려졌을 때에 이 직사각형상 천조각을 검출하도록, 상기 압압롤러의 아래쪽에 동 압압롤러와 평행한 일직선상에 적어도 2개이상 배설된 광전센서와, 동 센서에 의해서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존재를 확인한 후 다음 공정으로 동 직사각형상 천조각을 내보내고, 동 센서의 어느 하나가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을때에는 컨베이어를 구동시켜서, 천조각을 라인밖으로 배출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것을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직사각형상 천조각이 재치대의 컨베이어에 의해서 보내지고, 동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뒤가장자리부가 동 컨베이어의 끝부분에서 압압롤러와 컨베이어벨트의 사이에 끼워져서 정지하고, 직사각형상 천조각이 늘어뜨려져 있을 때, 압압롤러의 아래쪽에 배설된 복수의 광전센서에 의해서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늘어뜨려짐부의 존재를 확인한 후 다음 공정으로 내보낸다. 만약 광전센서의 어느 하나가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직사각형상 천조각이 접혀 있거나, 압압롤러의 도중에서 떨어져 있는 등의 불편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해서 이것을 라인밖으로 배출하는 기구를 작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제1도는 시이트의 전개장치 전체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시이트(15)의 각 귀퉁이 및 각 가장자리부의 부호는 제17도에 표시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그런데 도면에 있어서 사람손에 의해서 시이트(15)의 임의의 귀퉁이 C1과, 그 귀퉁이 C1을 포함한 가장자리부 Ya를, 어깨폭의 거리를 두고 붙잡는기구(16)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클립(17)에 꽉 쥐게 한다. 붙잡는기구(16)는, 4개의 차륜(18)에 의해서 가이드레일(25)내를 주행하는 동시에,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랙에 체인(26)을 걸어맞추고, 도시하지 않은 체인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동 체인(26)을 개재해서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붙잡는기구(16)는 체인(26)과의 걸어맞춤을 풀어서, 경사진 가이드레일위를 자유주행할 수도 있다. 한편 붙잡는기구(16)는 클립(17)을 지지하는 암은, 귀퉁이쪽의 암(16a)이 길어지고, 가장자리부 Ya쪽의 암(16b)은 짧게 되어 있다. 그 이유는 붙잡는 기구(16)가 잡은 시이트(15)가 자연스럽게 늘어뜨려졌을 때, 2개의 클립(17)에의 하중이 걸리는 방식을 비교하면, 암(16b)쪽의 편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시이트(15)를 매달은 붙잡는기구(16)는, 체인(26)에 구동되어서 가이드레일(25) 위를 이동하고, 화살표 B의 방향으로부터 전개장치위에 진입한다. 시이트(15)는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에 의해서 펼쳐지면서 재치대(35)위로 잡아당겨진다. 또 붙잡는기구(16)는 가이드레일(25)위를 진행하여, 시이트(15)의 옆가장자리부 Yb가 재치대(35)에 다올려진 위치에서, 클립붙잡음해제기구(27)에 의해서 시이트(15)를 해방한다. 즉, 클립붙잡음 해제기구(27)에 있어서, 공압작동기(28)가 작동하여, 레버(29)가 회전해서 압압판(30)이 클립(17)의 해제암(17a)를 누르고 상기와 같이 시이트를 해방한다.
제2도는 재치대(35)의 구조를 사시도에 의해서 표시하고 있다. 재치대(35)는, 풀리(40)에 걸린 다수의 평벨트(46)에 의해서 구동되어 있다. 풀리(40)는 양쪽의 프레임(38)(39)에 지지된 모터(45)에 의해서 간헐 구동된다. 평벨트(46)에는 다수의 소구멍(46a)이 전체면에 뚫려 있다. 이 평벨트(46)는 공기가 통과하기 쉬운 성긴 메시의 너트벨트라도 지장은 없다. 또한 재치대(35)의 중앙부(35a)는 구멍뚫리지 않은 벨트여도 된다.
또 평벨트(46)의 내면에 접해서 흡입덕트(47)가 재치대(35)의 거의 전체 폭에걸쳐서 장착되어 있다. 또 덕트(47)는 상면, 즉 평벨트(46)에 접하는 면에 다수의 소구멍(48)이 뚫려 있다. 도한 상기한 구멍뚫리지 않은 평벨트(46)에 대응하여, 이 소구멍(48)도 흡입덕트(47)의 중앙부에는 없어도 된다. 한편 프레임(38)의 위쪽에 광전센서(49)가 장착되어 있고, 동 센서(49)는 붙잡는기구(16)의 통과와, 시이트(15)의 끝가장자리부 Yc의 통과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센서(49)가 발한 신호는, 제어장치(50)에 보내져서 연산처리된다.
제3도는 재치대(35)의 평면도이고, 끌어당겨져서 놓인 시이트(15)의 위치와 흡입덕트(47)의 흡입구멍(48)군의 관계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덕트(47)의 흡입이 잘되는 범위는, 끌어들여진 시이트(15)의 궤도면(클립(17)(17)에 의해서 끌리는 부분)의 대략 절반에서 시이트(15)의 옆가장자리부 Yb쪽, 시이트(15)의 진행방향의 전후로 나누어진 E와 F로 표시된 부분이다. 또한 흡입이 잘되는 범위를 궤도면 전체길이로 해도 지장은 없으나, 이 때에는 시이트(15)의 끌어들임저항이 과대하게 된다. 또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흡입덕트(47)는 관(56)에 의해서 흡입블로워(55)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시이트불어모으기 노즐기구의 구조를 제5도 및 제6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재치대(35)의 천조각 도입부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에 계속해서 오목형 앞가장자리부(101)가 프레임(38)에 장착되어 있다. 동 오목형 앞가장자리부(101)의 오목형 중심선에 맞추어서 노즐케이스(102)가 프레임(38)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노즐케이스(102)의 상면은 재치대(35)의 상면과 동일면으로 일치시키고 있다. 동 노즐케이스(102)의 상면에는, 시이트(15)의 이동방향으로 비스듬히 불어내는 복수의 노즐구멍(103)이 뚫려 있다. 동 노즐케이스(102)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원으로부터 송기관(104)을 통해서 공기가 보내져온다.
또 노즐구멍(103)으로부터 불어낸 공기에 의해 불어올려진 시이트(15)의 꼬리형상귀퉁이 C3가, 재치대(35)위에 확실히 반전해서 소정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안내판(10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오목형 앞가장자리부(101)의 아래쪽에 가이드박스(110)을 설치해두면, 장대한 치수의 시이트(15)의 꼬리형상부분을 이동할 때, 그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어, 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제4도는 전개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도와 제4도에 의해서 시이트(15)의 전체면전개기구의 구조를 설명한다. 재치대(35)의 평벨트(46)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의 출구부에 롤러(58)가 설치되어 있고, 동롤러(58)는 공압작동기(60)의 작동에 의해 축(59)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평벨트(46)에 대해서 압압을 가하거나, 덜어지거나 할 수 있다.
또, 프레임(38)(39)에는 진공식 에어스프레더(65)가 장착되어 있고, 동 에어스프레더(65)는 앞가장자리에 하향 볼록형 펼침판(65a)을 설치하고, 시이트(15)를 하향의 흡입슬릿(65b)에 의해서 빨아당기고, 볼록형 펼침판(65a)의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키도록 하고 있다. 에어스프레더(65)도 관(66)에 의해서 흡입블로워(67)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재치대(35)의 아래쪽에는 동일모터(70)에 의해서 구동되는 마찰로러(68)와, 비스듬히 아래방향으로 주행하는 시이트(15)의 송출컨베이어(69)가 설치되어 있다. 또, (76)은 프레임(38)(39)에 장착된 가이드(75)에 안내된 도입바아이다. 동 도입바아(76)는, 도시하지 않은 체인에 의한 간헐구동과, 체인의 1개소와 도입바아(76)를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링크기구에 의해 상기 가이드(75)에 의해서 안내되어 왕복이동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 대해서 작용을 설명하면, 시이트(15)의 귀퉁이 C1과 가장자리부 Ya가, 붙잡는 기구(16)의 클립(17)에 꽉쥐어지고, 재치대(35)위를 볼록형 앞가장자리부(36)에서 접촉저항이 가해지면서 끌어들여진다. 이때, 만약 덕트(47)에 의한 흡입의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시이트(15)의 옆가장자리부 Yb는 시이트(15)의 다른 부분에 밀려서 시이트(15)전체의 형상이 끝이 넓어진 것으로 되어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은 흡입덕트(47)를 설치함으로써, 시이트(15)의 옆가장자리부 Yb는 제3도에서 표시한 E의 부분에서 흡인되어 이 부분의 마찰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시이트(15)의 옆가장자리부 Yb의 잡아당기는 힘이 증가하고, 시이트(15)의 다른 부분을 되밀어서, 옆가장자리부 Yb는 똑바르게, 또한 항상 팽팽함을 유지해서 끌어들일 수 있다. 재치대(35)위의 F로 표시한 흡입부는, 시이트(15)가 붙잡는 기구(16)의 클립(17)으로부터 해방되어 재치대(35)위에 놓일 때, 옆가장자리부 Yb가 팽팽함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효하다. 만약 흡입부 F가 없으면 시이트(15)의 옆가장자리부 Yb는 클립(17)으로부터의 해방과 동시에 수축해서 주름이 생기기 쉽게 된다.
시이트(15)가 붙잡는 기구(16)의 클립(17)에 붙잡혀서 재치대(35)에 진입할 때, 광전센서(49)가 붙잡는 기구(16)와 시이트(15)의 끝가장자리부 Yc를 검출해서 신호를 제어장치(50)에 보내고, 동 제어장치(50)에 있어서 붙잡는 기구(16)와 시이트(15)의 종단부 Yc의 통과타이밍과, 붙잡는 기구(16)의 이송속도로부터 사이트(15)의 재치대(35)에 대한 센터링의 타이밍을 연산해서 공압작동기(28)를 작동하고, 클립붙잡음해제기구(27)를 동작시켜 시이트(15)를 해방한다.
또 시이트(15)가 장대한 직사각형이고, 또한 젖어있으면, 그 중량은 크다. 이와 같은 시이트(15)가 재치대(35)위를 끌어당겨지면, 시이트(15)의 일부의 이동이 서서히 처지고, 이동이 끝나도 시이트(15)의 일부가 오목형 앞가장자리부(101)에 한데모여서 꼬리형상으로 늘어뜨려져 남을 염려가 있다. 그러나 시이트(15)가 오목형 앞가장자리부(101)를 통과할 때 시이트(15)는 한데 모여지고, 노즐구멍(103)으로부터 불어내는 공기에 밀어 올려지므로, 이 부근의 시이트(15)는 떠오르고, 잡아당김에 대한 시이트(15)의 마찰저항은 감소한다.
한편 남은 시이트(15)의 귀퉁이부는 면적이 적고 가벼우므로, 제6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노즐구멍(103)으로부터 불어내는 공기에 의해서 불어올려지는 동시에 안내판(105)에 의해서 안내되고, 제6도에 파선으로 표시한 시이트(15′)와 같이 반전해서 재치대(35)위의 소정위치에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시이트(15)의 귀퉁이부가 프레임이나 붙잡는 기구(16)의 가이드레일에 걸리거나, 휘말려들거나 해서, 다음의 시이트(15)의 이송공정에 지장을 미치는 불편은 없어진다.
또, 재치대(35)위에 놓인 시이트(15)는, 모터(45)에 의해서 구동되는 평벨트(46)에 의해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옆가장자리부 Yb가 롤러(58)의 바로 앞에 도달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시이트(15)의 다른 부분은 평벨트(46)단부로부터 아래로 자유롭게 늘어뜨려진다(제4도의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시이트(15)의 위치).
다음에 도입바아(76)가 작동해서 시이트(15)를 마찰롤러(68)와 송출컨베이어(69)위에 밀어넣으면(제4도의 파선으로 표시한 시이트(15)의 위치), 시이트(15)는 에어스프레더(65)와 마찰롤러(68)에 의해서 팽팽하게 펼쳐지면서 송출컨베이어(69)에 의해서 다음공정인 다림질장치(80)에 보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천의 전개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사각형상 천에 대해서도 전혀 문제없이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시이트(15)의 임의의 귀퉁이 C1과 그 귀퉁이 C1을 포함한 가장자리부 Ya를 붙잡는 예에 의해서 설명했으나, 긴변쪽의 가장자리부 Yb의 일부(예를 들면 제17도의 C1과 Yb′의 부분)를 유지하도록 해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시이트(15)의 짧은 변쪽의 가장자리부(제17도에 있어서 부호 Ya의 가장자리부)가 가장자리내기되게 된다.
다음에 제7도~제11도에 의해서 시이트 전개검사기구를 설명한다. 시이트(15)의 견인방향과 직각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46)의 위쪽에, 견인방향의 일직선상에, 시이트(15)의 통과검출을 위한 3개의 광빔광원을 아울러 설치하고 있는 광전센서(85)(제7도, 제9도에 표시한 X1, X2, X3)를 배설하고, 그 광전센서(85)의 광빔이 닿는 위치에(컨베이어(46)사이의 틈새에) 반사판(86)을 장착한다. 제8도에서 표시한 컨베이어 구동감속모터(45)의 출력축에 기어(84)가 장착되고, 그 옆에 배설된 근접센서(83)가 기어(84)의 톱니를 감지해서 카운터용 펄스를 발하고, 이 펄스수가 컨베이어의 이동거리로 치환된다.
또 컨베이어(46)의 이송속도과 일정하면, 이와 같은 펄스카운터의 대신에 타이머를 사용해도 된다. 시이트(15)의 뒤가장자리부 Yb(시이트(15)를 끌어들일 때에는, 옆가장자리 Yb라고 호칭하고 있었다)가 복수의 광전센서(85)의 광빔의 배설위치 X1, X2, X3을 통과함으로써 발하는 신호를, 상기한 카운터 또는 타이머의 시간신호로 입력하고, 시이트(15)의 뒤가장자리부 Yb의 비스듬한 상태를 펄스 또는 시간차로 치환한다. 컨베이어(46)의 주행과, 상기 카운터펄스와, 광전센서(85)의 광빔이 시이트(15)의 뒤가장자리부 Yb에 있어서 ON이 되는 타이밍을, 제11도의 타이밍차트에 표시한다.
컨베이어(46)는 시이트(15)가 클립(17)으로부터 떨어질 때, 즉 클립붙잡음해제의 명령신호가 나온 후 약간 지연해서 시동하고, 그 시동위치로부터 카운터 또는 타이머에 세트된 거리를 주행한 후, 시이트(15)의 뒤가장자리부 Yb를 컨베이어(46)와 압압롤러(58)의 사이에 끼우고, 시이트(15)를 늘어뜨린 상태에서 정지한다. 연산의 결과, 시이트(15)가 허용범위를 넘어서 비스듬한 상태일 경우에는, 컨베이어(46)의 주행시간을 길게 하도록 카운터 또는 타이머의 세트를 바꾸고, 시이트(15)를 멈추지 않고 라인밖으로 배출하도록 제어된다.
또 본 발명은, 시이트(15)가 컨베이어(46)와 압압롤러(58)의 사이에 끼워지고, 동 컨베이어가 정지해서 늘어뜨린 위치에서의 시이트(15)의 정상과 이상의 확인 검사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제7도 및 제10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압압롤러(58)의 아래쪽에, 수평일직선상에, 시이트(15)의 검출을 위한, 광빔광원을 아울러 설치하고 있는 3개의 광전센서(87)(그 배설위치를 제7도, 제10도에 있어서, Z1, Z2, Z3으로 표시함)를 배설하고, 그 광전센서(87)의 광빔이 닿는 위치에 반사판(88)을 장착한다. 이 광전센서(87)에 의해서 시이트(15)의 존재를 확인하는 신호가 제어장치(50)에 보내지고, 제어장치(50)는 시이트(15)를 다음공정으로 보내는 수단의 작동회로를 입력한다. 이 경우 광전센서(87)의 어느 하나가 시이트(15)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그 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0)가 시이트(15)의 라인밖으로의 배출을 지령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 대해서 작용을 설명하면, 재치대(35)의 컨베이어(46)가 시이트(15)을 얹어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일직선상에 놓인 복수의 광전센서(85)가 시이트(15)의 뒤가장자리부 Yb를 검출한다. 제9도에서 실선 및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시이트(15)(15′)와 같이, 만약 시이트 뒤가장자리부 Yb가 컨베이어(46)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선으로부터 비스듬히 어긋나고 있으면, 제11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각 광전센서(85)의 검출타이밍에 차가 생긴다.
이 검출타이밍의 차(시이트(15)의 뒤가장자리부 Yb의 비스듬한 정도)를 카운터의 펄스 또는 타이머로 치환해서 연산하고, 타이밍차가 n1과 같이 제11도에서 표시한 허용범위치 N이내이면, K1에서 시동한 컨베이어(46)는 기준이 되는 광전센서빔위치 X1가 ON으로 된 위치로부터 정상운전의 거리에 상당하는 카운터펄스 m1만큼 주행해서 K2에서 정지한다. 만약 타이밍차가 n2와 같이 허용범위치 N을 넘고 있으면, 카운터펄스는 정상운전의 거리보다 증가한 m2로 자동적으로 세트되고, K1에서 시동한 컨베이어(46)는 광전센서범위치 X1가 ON으로 된 위치로부터 카운터펄스 m2에 상당하는 거리를 주행하고, 시이트(15)를 라인밖으로 베출한 후 K3의 위치에 정지한다. 그후 다음의 시이트(15)가 붙잡는 기구(16)에 의해 운반되고, 재치대(35)의 컨베이어(46)에 가로로 당겨져서 얹어진다.
시이트(15)가 컨베이어(46)에 의해서 보내지고, 시이트(15)의 뒤가장자리부 Yb가 동컨베이어(46)의 끝부분에서 압압롤러(58)와 컨베이어벨트(46)의 사이에 끼워져서 정지하고, 시이트(15)가 늘어뜨려져 있을 때, 3개의 광전센서(87)에 의해서 시이트(15)의 늘어뜨림부의 존재를 확인하고, 제어장치(50)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장치(50)는 시이트(15)를 다음 공정으로 보내는 도입바아(76)의 작동회로를 입력한다.
만약 시이트(15)가 제10도에서 표시한 실선과 같이 접혀 있거나,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시이트(15′)와 같이, 압압롤러(58)의 도중에서, 이 롤러(58)로부터 떨어지고 있는 등의 불편이 발생하고 있고, 광전센서(87)(Z1, Z2, Z3)의 어느하나가 시이트(15)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시이트(15)의 이송상태불량이라고 판정해서 컨베이어(46)를 약간 정방향으로 돌리거나, 혹은 공압작동기(60)를 작동시켜 압압롤러(58)를 컨베이어(46)로부터 떨어지게하고, 시이트(15)를 라인밖으로 배출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염가의 구조인 장치에 의해서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옆가장자리를 끄는 방향으로 똑바로 끌어들일 수 있다. 또 천조각의 옆가장자리를 다시 가지런히 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천조각의 전개공정사이클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천조각의 옆가장자리부를, 팽팽하게 한 상태 그대로 똑바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름의 발생이 없어지고, 후공정인 다림질장치에서의 천조각의 완성품질이 향상한다.
또 대각길이가 큰 직사각형상 천조각을 재치대에 끌어들일 때에도, 오목형앞가장자리부의 옆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불어내기 노즐로부터의 밀어올리기힘에 의해서 천조각의 마찰저항은 적어지고, 붙잡는 기구의 잡아당김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재치대로부터 비어져나온 천조각의 꼬리형상 귀퉁이 끝을, 상기 공기불어내기 노즐에 의해서 재치대위의 소정위치로 불어보낼 수 있고, 재치대의 폭을 넓힐 필요가 없어지므로, 기계를 작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실패가 있더라도, 전개의 도중 및 전개후에 확실히 천조각 펼침상태를 전체수자동검사하고, 공정의 도중에서의 전개실패천조각을 자동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개불량품을 제거함으로써, 천조각이 라인의 주행장치나 처리기기에 걸리거나 휘감겨들거나 하는 불편은 없어지고, 다음공정이하에 불필요한 처리를 시키지 않고 효율좋은 운전을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임의의 귀퉁이와, 그 귀퉁이를 포함한 변의 1개소를, 2개의 클립이 장착되어 있는 이동가능한 붙잡는 기구에 의해서 붙잡아서 천조각을 자연스럽게 매달은 후 벨트컨베이어 등에 의해 구성되는 재치대의 상면을 수평으로 재치대의 볼록형 앞가장자리부에 천조각을 저항접촉시키면서 잡음기구에 의해서 견인이동하고, 천조각을 재치대위에 끌어들이는 공정을 가진 천조각 전개장치에 있어서, 동 재치대의 천조각 견인궤도면의 천가장자리쪽의 대략 절반면에 다수의 흡입구멍을 가진 흡입덕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재치대의 천조각도입부입구근처 위쪽에 위치해서, 천조각의 말단가장자리부가 통과할 때에 그 말단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동 센서가 발신한 신호를 받아서 동붙잡는 기구의 진행속도와 붙잡는 기구와 천말단의 통과타이밍으로부터 천조각의 가장자리부의 센터링의 타이밍을 연산하고, 붙잡는 기구의 클립의 붙잡음해제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재치대가 되고 있는 천조각 견인방향과 직각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끝에 놓인 천조각의 전개측변을 누르는 롤러와, 전개변쪽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천조각의 전개변쪽이 컨베이어 끝과 상기 압압롤러의 사이에 끼워진 후, 재치대 컨베이어 끝으로부터 늘어뜨려져 있는 천조각의 중앙부를 흡인하는 하향 볼록형의 전개판을 구비한 슬릿과, 늘어뜨려져 있는 천조각의 상부를 재치대의 하단에 설치된 전개이송컨베이어위에 밀어넣는 도입바아와, 상기 전개이송컨베이어의 앞부분에 설치된 마찰롤러를 걸어서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재치대의 천조각도입부의 볼록형앞가장자리부에 계속된 오목형앞가장자리부와, 동 오목형앞가장자리부의 오목형중심선에 맞추어서 프레임에 장착되고, 또한 상면이 상기 재치대의 상면과 동일면이며, 그 상면에 천조각의 이동방향으로 비스듬히 불어내는 복수의 노즐구멍을 가진 노즐케이스와, 동 노즐케이스에 공기를 보내는 공기원과 상기 노즐구멍으로부터 불어낸 공기에 의해 불어올려진 천조각의 꼬리형상귀퉁이부를, 재치대위의 소정위치에 안내하는 안내판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천조각견인방향과 직각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 위쪽에, 견인방향의 일직선상에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천조각통과검출을 위한 광센서와, 상기 컨베이어구동부의 회전부에 배설되고, 컨베이어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펄스를 발생하는 카운터 또는 타이머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의 신호를 상기 카운터 또는 타이머에 입력해서 상기 컨베이어위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복수의 특정위치를 연산하고,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비스듬한 상태를 검지하는 연산수단과, 직사각형 천조각이 허용범위를 넘어서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컨베이어를 소정시간보다 길게 구동시켜서 천조각을 라인밖으로 배출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직사각형상 조각이 천조각 견인방향과 직각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와 압압롤러의 사이에 끼워지고, 동 컨베이어가 정지해서 늘어뜨려졌을 때에 이 직사각형상 천조각을 검출하도록, 상기 압압롤러의 아래쪽에 상기 압압롤러와 평행한 일직선상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설된 광전센서와, 동 센서에 의해서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존재를 확인한 후 다음공정으로 동 직사각형상 천조각을 내보내고, 동 센서의 어느 하나가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컨베이어를 구동시켜서, 천조각을 라인 밖으로 배출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KR1019930006643A 1992-04-20 1993-04-20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KR950007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25379 1992-04-20
JP12537992 1992-04-20
JP4333812A JP3029932B2 (ja) 1992-11-20 1992-11-20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92-333812 1992-11-20
JP33785592 1992-11-26
JP92-337855 1992-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860A KR930021860A (ko) 1993-11-23
KR950007407B1 true KR950007407B1 (ko) 1995-07-10

Family

ID=2731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643A KR950007407B1 (ko) 1992-04-20 1993-04-20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30915A (ko)
EP (1) EP0567046B1 (ko)
KR (1) KR950007407B1 (ko)
DE (1) DE69321282T2 (ko)
DK (1) DK056704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0907B1 (da) * 1994-02-08 1996-03-11 Jensen Ejnar & Soen As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ilægning af et vaskestykke i et tøjbehandlingsapparat
US5768761A (en) 1997-02-13 1998-06-23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Chair seat frame system
US6533267B1 (en) * 1999-04-30 2003-03-18 Texpa Maschinenbau Gmbh & Co. K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lignment of textile material sections
US6141893A (en) * 1999-06-11 2000-11-07 Finishtech, Ltd. Laundry feeder method and apparatus
FR2810344B1 (fr) 2000-06-16 2002-07-26 Jean Michel Soc Dispositif de transfert pour machine de blanchisserie industrielle
DK174509B1 (da) * 2000-09-12 2003-05-05 Katva Invest Ltd Fremgangsmåde til automatisk vask og/eller strygning af fortrinsvis flade emner, samt anlæg til udførelse af fremgangsmåden
JP4268747B2 (ja) * 2000-10-10 2009-05-27 株式会社プレックス 矩形布片の展開方法及び展開装置
US6883258B2 (en) * 2003-08-06 2005-04-26 Finish Tech., Ltd. Spreader apparatus and method for articles of laundry
DK176722B1 (da) * 2007-12-17 2009-04-27 Jensen Denmark As Fremgangsmode til overf ring af et t jstykke og vaskerimaskine til ud velse af fremgangsmoden
CN103582728A (zh) 2011-05-27 2014-02-12 简森丹麦有限公司 一种用于进送衣物的方法和进送器
CN105035836B (zh) * 2015-06-30 2017-02-01 苏州美山子制衣有限公司 一种松花边机
US10866555B2 (en) * 2017-01-19 2020-12-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sheet
CN108792767B (zh) * 2018-07-13 2024-01-26 江苏海狮机械股份有限公司 展布机中的布草纠平装置
JP6929417B1 (ja) * 2020-06-19 2021-09-01 株式会社プレックス 布類展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7408A (en) * 1930-04-18 1931-12-22 Sanford L Cluett Method of shrinking fabrics
US1912466A (en) * 1931-09-25 1933-06-06 Stokes & Smith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preading fabrics
NL132184C (ko) * 1966-04-21
US3414997A (en) * 1967-09-22 1968-12-10 Ametck Inc Suction box feeder for a flatwork ironer
US3568342A (en) * 1968-12-06 1971-03-09 Arendt Hans F Maschbau Prealignment device for laundry mangles
US3564738A (en) * 1969-03-06 1971-02-23 American Electronic Lab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an article of laundry to a planar form
US3672249A (en) * 1970-06-11 1972-06-27 Sasakiseisakusho Kk Proces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utting and piling of knitted fabrics
US3735512A (en) * 1971-06-18 1973-05-29 A Ross Sheet feeder and spreader means
US3772808A (en) * 1972-04-19 1973-11-20 Super Laundry Mach Co Inc Flatwork feeding apparatus
GB1505855A (en) * 1974-12-18 1978-03-30 Erhardt & Leimer Kg Edge unrollers for smoothing rolled edges on travelling webs of material
US4017722A (en) * 1975-04-11 1977-04-12 Measurex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textile tenter frame
FR2307907A1 (fr) * 1975-04-18 1976-11-12 Jean Michel Preparatrice engageuse pour poser a plat un article souple sur un convoyeur
US4303189A (en) * 1979-12-27 1981-12-01 Tex-Fab, Inc.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fabric
DK150272C (da) * 1982-09-14 1987-10-05 Jensen Ejnar & Soen As Apparat til centrering af udstrakte vasketoejsstykker, der skal overfoeres til et transportbaand
DE3607233A1 (de) * 1986-03-05 1987-10-01 Erhardt & Leimer Gmbh Fuehrungs- und ausbreitvorrichtung
US4882006A (en) * 1986-12-23 1989-11-21 Nippon Sheet Glass Co., Ltd. System for stretching and severing strip-like resin sheet
GB8813110D0 (en) * 1988-06-03 1988-07-06 Weir Henry J Improvements in/relating to feed mechanisms for laundry articles
DE3825646A1 (de) * 1988-07-28 1990-02-15 Kannegiesser H Gmbh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uehren von waeschestuecken zu einer mangel od. dgl.
FR2652095B1 (fr) * 1989-09-19 1991-11-29 Jean Michel Sa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un produit en forme de feuille souple.
JPH0649119B2 (ja) * 1990-04-27 1994-06-29 株式会社トーカイ 方形状布類の縁出し装置
US5179795A (en) * 1991-10-24 1993-01-19 Tokai Co., Ltd. Device for straightening one edge of rectangular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7046B1 (en) 1998-09-30
EP0567046A2 (en) 1993-10-27
EP0567046A3 (en) 1995-04-12
DK0567046T3 (da) 1999-02-08
DE69321282D1 (de) 1998-11-05
DE69321282T2 (de) 1999-04-22
US5430915A (en) 1995-07-11
KR930021860A (ko) 199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6992A (en) Apparatus for spreading rectangular cloth
KR950007407B1 (ko)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JP5764317B2 (ja) 洗濯物をマングルあるいはこれと類似のもの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538126B1 (ko) 해포장치
US5179795A (en) Device for straightening one edge of rectangular sheet
JP2695739B2 (ja)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H0298400A (ja) 物品洗濯機の供給装置
JP5111224B2 (ja) 布類展張搬送機
JP5329122B2 (ja) 布類展張搬送方法及び布類展張搬送機
JP3462530B2 (ja)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4122080B2 (ja) 布類拡張装置
JPH06285300A (ja) 洗濯物を受容し搬送する装置
JPH07265577A (ja) 洗濯物処理装置へ洗濯物を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JP3029932B2 (ja)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4371358B2 (ja) 布類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H0649119B2 (ja) 方形状布類の縁出し装置
JP5216264B2 (ja) 布類展張搬送機
JP3641544B2 (ja) 搬送生地の折重ね装置
JP3174651B2 (ja) リネン搬送用コンベヤ
JP4342714B2 (ja) ランドリー装置におけるシーツ等方形状布類の移載装置
JP3029933B2 (ja) リネン搬送用コンベヤ
US20070213190A1 (en) Folding device for folding textile or other foldable material
JP2534018B2 (ja) 方形状布類の縁出し方法
JPH0637258B2 (ja) 延反機に於ける布体しわ除去方法
JPH11156098A (ja) 方形状布類の展開供給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