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126B1 - 해포장치 - Google Patents

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126B1
KR101538126B1 KR1020140021387A KR20140021387A KR101538126B1 KR 101538126 B1 KR101538126 B1 KR 101538126B1 KR 1020140021387 A KR1020140021387 A KR 1020140021387A KR 20140021387 A KR20140021387 A KR 20140021387A KR 101538126 B1 KR101538126 B1 KR 101538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rollers
main frame
sp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일
전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일, 전홍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일
Priority to KR102014002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7/00Storing of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he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7/02Storing of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he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in superimposed, i.e. stack-packed, form; J-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의 진행 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해포적층시 일률적이 되도록 하며 원단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후가공에 대한 가공 효율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하는 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롤의 원단이 공급부에서 풀어져 이동하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의 끝단의 상부로 원단의 주름을 펼치는 다수개의 펼침로울러부를 형성하며, 상기 펼침로울러부의 상부로 좌우 끝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단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조절로울러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로울러부의 상부로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감지하여 조절로울러부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부를 형성하며, 상기 감지센서부의 일측으로 원단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하도록 수평왕복운동하는 해포부로 구성하여; 후가공을 위해 연속적으로 원단을 연결하면서 해포시 일측으로 치우침이 발생하지 않고 일정하게 롤 형태의 원단을 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포장치{Device to untie cloth}
본 발명은 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단의 진행 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해포적층시 일률적이 되도록 하며 원단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후가공에 대한 가공 효율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하는 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의 해포란 원단롤을 풀어내어 텐터가공이나 날열가공 등의 후가공을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시키는 작업이다.
종래의 이러한 작업은 대부분이 사람의 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기계적인 구성들을 이용하여 해포하는 방법도 원단이 감긴방향과 역회전으로 돌려 풀어내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을 뿐이다.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남는다.
원단이 직조되어 지관에 감겨진 채 염색등의 재가공을 위해 창고에 쌓아 놓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기간이 길어져 달(月)을 넘기고, 해(年)를 넘기는 경우도 있게 된다.
즉, 겨울을 보내어 원단이 얼을 경우 지관에 감겨진 원단의 겹이 서로 얼어 붙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해포작업은 인력을 이용하여 원단의 진행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수정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 도중 원단과 접촉으로 인한 끌려가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원단롤에서 풀려진 원단이 해포를 위해 이동시 원단의 진행 방향이 잘못되었을 경우 자동으로 감지하여 기계적 작동으로 진로방향을 자동화 방식을 이용하여 수정가능하여 작업공정의 간편화와 편리함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개선된 해포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제20-0232731호 (해포장치) 2. 등록번호 제20-0225277호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첫단 이송장치) 3. 공개번호 특2002-0036509호 (연폭 및 해포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후가공을 위해 연속적으로 원단을 연결하면서 해포시 일측으로 치우침이 발생하지 않고 일정하게 롤 형태의 원단을 해포할 수 있도록 하는 해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포작업을 위해 진행시 원단이 일측으로 편중되거나 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원단의 진행방향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단의 공급, 원단의 연결, 원단의 이송 및 해포를 한 장치를 통해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단롤의 원단이 공급부에서 풀어져 이동하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의 끝단의 상부로 원단의 주름을 펼치는 다수개의 펼침로울러부를 형성하며, 상기 펼침로울러부의 상부로 좌우 끝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단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조절로울러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로울러부의 상부로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감지하여 조절로울러부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부를 형성하며, 상기 감지센서부의 일측으로 원단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하도록 수평왕복운동하는 해포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해포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감겨진 원단이 쉽게 풀어지도록 하여 당김에 의한 비 정상적인 텐션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원단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원단롤의 폭에 맞게 지지 및 이탈방지를 위해 고정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단롤이 원단의 당김시 회전로울러에 접촉하면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바퀴를 형성하여 위치선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른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에 적용되는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에 적용되는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에 적용되는 조절판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에 적용되는 공급부의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에서 도면 a는 펼침로울러부의 정면도, 도면 b는 감지센서부의 평면도,
도 9 및 도 10에서 도면 a는 펼침로울러부의 작동도, 도면 b는 감지센서부의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를 이용한 해포상태의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의 해포부의 작동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포장치는 원단의 공급을 위한 공급부(10), 상기 원단의 주름을 펴는 펼침로울러부(30), 원단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로울러부(40), 원단의 이동 경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50), 원단을 적층시키는 해포부(60)로 해포장치(100)가 구성된다.
우선, 상기 원단롤(R)의 원단이 공급부(10)에서 풀어져 이동하는 경사부(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급부(10)는 하부에 바퀴(11)가 설치되는 프레임(12)의 일측으로 원단롤(R)이 담겨져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13)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13)는 프레임(1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13a)의 사이에 다수개의 가이드(13b)를 가로 방향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13b)를 따라 원단롤의 크기에 맞게 좌우 이동하는 조절판(13f)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3b)의 하부로 고정판(13a)의 사이에 다수개의 풀림로울러(13c)를 회전되게 반원 배치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13b)에 결합되는 고정판(13a)의 결합단(13d)에는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핸들(13e)이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13d)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고정판(13a)의 상부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단(13d)에 스핀들(48c)이 슬라이딩 되게 끼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13)의 상부에는 원단을 풀며 이동시키 위해 공급모터(14b)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공급로울러(1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의 타측으로는 경사대(15)를 형성하여 구성하는데, 상기 경사대(15)는 메일프레임(12)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경사부(20)에 맞닿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경사부(20)에서는 원단롤(R)의 교체시 원단롤(R)의 원단 끝단과 새로운 원단롤(R)의 원단 시작단을 연결하는 재봉작업을 수행하는데, 상기 재봉작업은 미싱기계(70) 등을 이용하여 텐터 작업이나 날염 등과 같은 후가공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원단을 연결하게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20)의 끝단의 상부로 원단의 주름을 펼치는 다수개의 펼침로울러부(3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펼침로울러부(30)는 메인프레임(44)에 삼각 배열로 설치되며,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형태의 제1,2펼침나선부(31)(32)를 각각 형성하는 3개의 펼침로울러(33)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펼침로울러(33)는 메인프레임(44)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5)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된 펼침로울러(33)가 동시에 회전하고, 나머지 하나의 펼침로울러(33)는 구동모터(35)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펼침로울러(33)와 벨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원단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펼침로울러부(30)의 상부로 좌우 끝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단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조절로울러부(4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조절로울러부(40)는 한 쌍의 조절로울러(41)의 양 끝단이 제1,2고정대(42)(43)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펼침로울러부(30)의 전면으로 안전커버(34)를 메인프레임(44)에 구성하여 펼침로울러(33)의 회전시 끼임이나 말림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2고정대(42)(43)는 각각 메인프레임(44)에 제1,2링크(45)(46)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2링크(46)에는 고정설치되는 연결대(47)가 감지센서부(50)의 신호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는 승하강 작동부(48)에 연결 구성한다.
한편, 상기 승하강 작동부(48)는 메인프레임(44)의 일측에 감지센서부(50)의 신호로 작동하는 모터(48a)에 스핀들축(48b)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스핀들축(48b)에 나선체결되는 스핀들(48c)이 메인프레임(44)에 일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48d)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48c)은 제2링크(46)와 제3링크(48e)로 연결되어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바(48d)의 일측으로는 가이드(13b)의 상승시 최고점과 하강시 최저점을 감지하는 제1,2리미트스위치(48f)(48g)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조절로울러부(40)의 하부 양 측에는 메인프레임(44)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의 끝단이 접촉시 이송 작동을 정지하는 한 쌍의 작동제어센서(49)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로울러부(40)의 상부로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감지하여 조절로울러부(4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부(5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감지센서부(50)는 원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발광봉(51)과 수광봉(52)을 조절로울러부(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메인프레임(44)에 설치하여 원단이 일측으로 치우쳐 빛이 수광되면 가동을 정지하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발광봉(51)과 수광봉(52)의 마주보는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발광렌즈(53)와 수광렌즈(5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발광렌즈(53)의 발광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감지센서부(50)의 상부로 이탈방지커버(55)를 메인프레임(44)에 구성하여 원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감지센서부(50)의 일측으로 원단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하도록 수평왕복운동하는 해포부(6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해포부(60)는 메인프레임(44)의 상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61)에 원단이 올려져 이동하는 다수개의 이송로울러(62)가 수평 배치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로울러(62)가 설치된 연장프레임(61)의 끝단에는 배출모터(63)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배출로울러(64)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로울러(64)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하부에 해포를 위해 낙하되는 원단을 마지막으로 지지하는 해포로울러(65)가 배출로울러(64)와 벨트로 연결되어 원단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해포프레임(66)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해포프레임(66)에는 해포링크(67)가 메인프레임(44)에 설치되는 링크모터(68)의 회전으로 회전하는 링크회전축(69)에 결합된 편심링크(69a)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모터(68)의 회전으로 링크회전축(69)과 함께 편심링크(69a)가 회전하며 해포링크(67)가 밀려지거나 당겨지면서 수평왕복운동을 하면서 원단을 지그재그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포장치(100)는 공급부(10)의 회전부(13)에 원단롤(R)을 안치시켜 원단의 시작단을 공급로울러(14)에 접촉시키는데, 공급부(10)는 프레임(12)의 하부에 바퀴(11)가 형성되어 공급부(10)를 단독적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설치상의 제약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원단롤(R)의 폭 길이에 따라 고정핸들(13e)을 풀어 고정판(13a)을 가이드(13b)를 따라 이동시켜 원단롤(R)의 양 끝단에 여유를 두고 위치시킨 다음 고정핸들(13e)을 조여 고정판(13a)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원단이 풀리면서 고정판(13a)에 접촉함으로써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공급로울러(14)는 공급모터(48a)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공급로울러(14)와 접촉하여 아이들로울러(14a)가 함께 회전하는데, 상기 원단의 시작단은 공급로울러(14)와 아이들로울러(14a)의 사이로 삽입하여 공급로울러(14)의 회전에 의해 원단이 당겨지면서 원단롤에서 풀려져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단롤(R)은 회전부(13)의 풀림로울러(13c)에 접촉하여 원단롤(R)이 회전하면 풀림로울러(13c)가 회전함으로써 원단롤(R)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이송되는 원단에 텐션력이 작용되는 것을 예방하여 원단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폭의 치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로울러(14)를 통해 이송된 원단은 경사대(15)를 거쳐 경사를 따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원활한 이송력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경사대(15)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은 경사부(20)를 거쳐 이송되어 메인프레임(44)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아이들로울러(44a)를 거쳐 삼각 배치된 3개의 펼침로울러(33)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1,2펼침나선부(31)(32)의 접촉에 의해 양 끝단 측으로 밀려지면서 구겨짐이나 주름을 평평하게 하여 접힘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펼침로울러부(30)의 전면으로는 안전커버(34)가 설치되어 작업자와 펼침로울러(33)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원단은 작동제어센서(49)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조절로울러부(40)의 조절로울러(41) 사이를 접촉하면 통과하여 감지센서부(50)의 발광봉(51)과 수광봉(52)의 사이를 통과하여 해포부(60)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봉(51)의 발광렌즈(53)에서는 미리 설정된 원단의 폭 길이 보다 작은 발광길이로 발광하여 발광빛이 수광봉(52)의 수광렌즈(54)에 수광되지 않을 경우에는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지만, 원단이 일측으로 치우쳐 이송되어 발광빛이 수광렌즈(54)에 수광되면 원단 진행 방향의 수정을 위한 신호를 조절로울러부(40)로 전단한다.
즉, 상기 원단이 좌측으로 치우칠 경우 감지센서부(50)에서는 조절로울러부(40)에 조절로울러(41)의 우측 끝단을 내려 좌측 끝단이 높아지도록 신호를 전달하고, 반대로 원단이 우측으로 치우칠 경우 감지센서부(50)에서는 조절로울러부(40)에 조절로울러(41)의 우측 끝단을 올려 좌측 끝단이 낮아지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이렇게, 상기 감지센서부(50)에서 신호를 받은 조절로울러부(40)의 작동 중 조절로울러(41)의 우측 끝단을 내려 좌측 끝단이 높아지도록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는 모터(48a)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축(48b)을 따라 스핀들(48c)이 나선체결로 하부로 가이드(13b)를 따라 이동하여 원단을 우측방향으로 발광빛이 수광렌즈(54)에 감응되지 않을 때까지 이동시켜 진행방향을 보정한다.
반대로, 감지센서부(50)에서 신호를 받은 조절로울러부(40)의 작동 중 조절로울러(41)의 우측 끝단을 내려 좌측 끝단이 높아지도록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모터(48a)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축(48b)을 따라 스핀들(48c)이 나선체결로 상부로 가이드(13b)를 따라 이동하여 원단을 좌측방향으로 발광빛이 수광렌즈(54)에 감응되지 않을 때까지 이동시켜 진행방향을 보정한다.
이후, 상기 원단은 해포부(60)의 이송로울러(62)에 접촉하면서 이동한 후 배출로울러(64)와 접촉으로 이송되며 해포로울러(65)에 접촉되어 낙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모터(63)의 회전력에 의해 배출로울러(64)가 회전됨으로써 해포로울러(65)가 함께 회전하여 원단의 배출을 유도하며, 상기 링크모터(68)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링크회전축(69)에 결합된 편심링크(69a)의 회전에 의해 해포링크(67)가 밀려지거나 당겨지면서 해포프레임(66)이 수평왕복운동을 하면서 원단을 지그재그 적층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원단이 진행시 일측으로 치우쳐 작동제어센서(49)에 접촉될 경우 공급부(10) 및 펼침로울러부(30), 조절로울러부(40), 감지센서부(50), 해포부(60)의 작동을 정지시켜 원단의 잘못된 경로를 통해 진행하는 것을 예방하는 특징이 있으며, 원단의 위치를 작업자가 수정하여 재 가동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공급부 11 : 바퀴
12 : 프레임 13 : 회전부
13a : 고정판 13b : 가이드
13c : 풀림로울러 13d : 결합단
13e : 고정핸들 14 : 공급로울러
14a : 아이들로울러 15 : 경사대
20 : 경사부 30 : 펼침로울러부
31 : 제1펼침나선부 32 : 제2펼침나선부
33 : 펼침로울러 34 : 안전커버
40 : 조절로울러부 41 : 조절로울러
42 : 제1고정대 43 : 제2고정대
44 : 메인프레임 45 : 제1링크
46 : 제2링크 47 : 연결대
48 : 작동부 48a : 모터
48b : 스핀들축 48c : 스핀들
48d : 가이드바 48e : 제3링크
48f : 제1리미트스위치 48g : 제2리미트스위치
50 : 감지센서부 51 : 발광봉
52 : 수광봉 53 : 발광렌즈
54 : 수광렌즈 55 : 이탈방지커버
60 : 해포부 61 : 연장프레임
62 : 이송로울러 63 : 배출모터
64 : 배출로울러 65 : 해포로울러
66 : 해포프레임 67 : 해포링크
68 : 링크모터 69 : 링크회전축
69a : 편심링크 70 : 미싱기계
100 : 해포장치 100 : 원단공급장치
R : 원단롤

Claims (12)

  1. 원단롤(R)의 원단이 공급부(10)에서 풀어져 이동하는 경사부(20)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20)의 끝단의 상부로 원단의 주름을 펼치는 다수개의 펼침로울러부(30)를 형성하며,
    상기 펼침로울러부(30)의 상부로 좌우 끝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단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조절로울러부(40)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로울러부(40)의 상부로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감지하여 조절로울러부(4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부(50)를 형성하며,
    상기 감지센서부(50)의 일측으로 원단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하도록 수평왕복운동하는 해포부(6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해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0)에서는 원단롤(R)의 교체시 원단롤(R)의 원단 끝단과 새로운 원단롤(R)의 원단 시작단을 연결하는 재봉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로울러부(30)는 메인프레임(44)에 삼각 배열로 설치되며,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형태의 제1,2펼침나선부(31)(32)를 각각 형성하는 3개의 펼침로울러(3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로울러부(40)는 한 쌍의 조절로울러(41)의 양 끝단이 제1,2고정대(42)(4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2고정대(42)(43)는 각각 메인프레임(44)에 제1,2링크(45)(46)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링크(46)에는 고정설치되는 연결대(47)가 감지센서부(50)의 신호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는 승하강 작동부(48)에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작동부(48)는 메인프레임(44)의 일측에 감지센서부(50)의 신호로 작동하는 모터(48a)에 스핀들축(48b)이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축(48b)에 나선체결되는 스핀들(48c)이 메인프레임(44)에 일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48d)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48c)은 제2링크(46)와 제3링크(48e)로 연결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48d)의 일측으로는 가이드(13b)의 상승시 최고점과 하강시 최저점을 감지하는 제1,2리미트스위치(48f)(48g)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로울러부(40)의 하부 양 측에는 메인프레임(44)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의 끝단이 접촉시 이송 작동을 정지하는 한 쌍의 작동제어센서(49)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50)는 원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발광봉(51)과 수광봉(52)을 조절로울러부(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메인프레임(44)에 설치하여 원단이 일측으로 치우쳐 빛이 수광되면 가동을 정지하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봉(51)과 수광봉(52)의 마주보는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발광렌즈(53)와 수광렌즈(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렌즈(53)의 발광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50)의 상부로 이탈방지커버(55)를 메인프레임(44)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로울러부(30)의 전면으로 안전커버(34)를 메인프레임(44)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장치.
KR1020140021387A 2014-02-24 2014-02-24 해포장치 KR10153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387A KR101538126B1 (ko) 2014-02-24 2014-02-24 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387A KR101538126B1 (ko) 2014-02-24 2014-02-24 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126B1 true KR101538126B1 (ko) 2015-07-21

Family

ID=5387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387A KR101538126B1 (ko) 2014-02-24 2014-02-24 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1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525A1 (ko) * 2015-11-17 2017-05-26 (주)일성산업 일회용 비닐 장갑용 양면 미세돌기 원단 제조장치
KR101812714B1 (ko) * 2016-04-08 2017-12-28 주식회사 그리드코리아 그리드 원단 가공장치
KR101917977B1 (ko) * 2018-02-19 2018-11-13 이신구 직물 제조 자동화 시스템
KR101921746B1 (ko) * 2018-06-12 2018-11-23 박현섭 원단 정단 장치
KR102033404B1 (ko) * 2018-07-24 2019-10-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의류용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N111824716A (zh) * 2019-04-17 2020-10-27 G.P.服务公司 用于检测和发信号通知辊子输送机中辊子的断裂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015Y1 (en) * 1995-06-15 1997-07-11 Choe Sung Hak Cloth breaking feed apparatus of textile fabric for washing and scouring works
KR200225277Y1 (ko) * 2000-11-10 2001-05-15 이진술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첫단 이송장치
KR20040052907A (ko) * 2004-05-11 2004-06-23 정의호 위사교정 자동 연폭기의 해포장치
KR101190247B1 (ko) * 2009-09-08 2012-10-12 김선기 전사 원단 제조장치용 원단 공급장치용 원단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015Y1 (en) * 1995-06-15 1997-07-11 Choe Sung Hak Cloth breaking feed apparatus of textile fabric for washing and scouring works
KR200225277Y1 (ko) * 2000-11-10 2001-05-15 이진술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첫단 이송장치
KR20040052907A (ko) * 2004-05-11 2004-06-23 정의호 위사교정 자동 연폭기의 해포장치
KR101190247B1 (ko) * 2009-09-08 2012-10-12 김선기 전사 원단 제조장치용 원단 공급장치용 원단 공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525A1 (ko) * 2015-11-17 2017-05-26 (주)일성산업 일회용 비닐 장갑용 양면 미세돌기 원단 제조장치
KR101812714B1 (ko) * 2016-04-08 2017-12-28 주식회사 그리드코리아 그리드 원단 가공장치
KR101917977B1 (ko) * 2018-02-19 2018-11-13 이신구 직물 제조 자동화 시스템
KR101921746B1 (ko) * 2018-06-12 2018-11-23 박현섭 원단 정단 장치
KR102033404B1 (ko) * 2018-07-24 2019-10-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의류용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N111824716A (zh) * 2019-04-17 2020-10-27 G.P.服务公司 用于检测和发信号通知辊子输送机中辊子的断裂的装置
CN111824716B (zh) * 2019-04-17 2024-04-05 G.P.服务公司 用于检测和发信号通知辊子输送机中辊子的断裂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126B1 (ko) 해포장치
US5416992A (en) Apparatus for spreading rectangular cloth
KR101040249B1 (ko) 전사 원단 제조장치
RU2706408C2 (ru) Машина для настилания ткани
CN106192350A (zh) 铺布层叠装置以及裁剪装置
US4042234A (en) Blank feeding machine
KR950007407B1 (ko)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KR101487367B1 (ko) 원단공급장치
US11577502B2 (en) Printing device
FI98388C (fi) Sovitelma paperin päällystyslinjassa ja menetelmä paperiradan pään viemiseksi
WO1993010032A1 (en) Apparatus for the high speed stacking of paper sheets both by accordion-like folding of a continuous band and by superimposing separate sheets
JP2695739B2 (ja)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KR100878188B1 (ko) 시트형 권취물의 권취 대기장치
KR101190247B1 (ko) 전사 원단 제조장치용 원단 공급장치용 원단 공급장치
JP5909825B2 (ja) 延反機
JP3462530B2 (ja)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KR101415623B1 (ko) 균일 이송 및 연속가공이 가능한 라미네이팅 자동화 장치
US2035227A (en) Apparatus for festooning sheet material
US9347172B2 (en) Method of folding items of laundry
EP0646535B1 (en) Automatic doffing system
CN216889223U (zh) 一种能自动纠偏的单向布条带放卷设备
KR20110002609U (ko) 전사 원단 제조장치용 벨트 조정장치용 벨트 조정장치
KR101121711B1 (ko) 전사 원단 제조장치용 종이 공급장치용 종이 공급장치
JP4071763B2 (ja) 布類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2008125901A (ja) 布類供給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