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367B1 - 원단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원단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367B1
KR101487367B1 KR20140021388A KR20140021388A KR101487367B1 KR 101487367 B1 KR101487367 B1 KR 101487367B1 KR 20140021388 A KR20140021388 A KR 20140021388A KR 20140021388 A KR20140021388 A KR 20140021388A KR 101487367 B1 KR101487367 B1 KR 101487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frame
roll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일
전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일, 전홍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일
Priority to KR20140021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7/00Storing of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he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7/02Storing of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he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in superimposed, i.e. stack-packed, form; J-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이 풀려져 이송시 원단에 텐션이 발생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원단롱을 풀어주며 원단을 풀어서 공급하는 다른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원단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일측으로 원단롤이 담겨져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는 원단을 풀며 이동시키는 공급로울러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는 경사대를 형성하여 구성하여; 감겨진 원단이 쉽게 풀어지도록 하여 당김에 의한 비 정상적인 텐션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원단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단공급장치{Fabric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원단공급을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단이 풀려져 이송시 원단에 텐션이 발생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원단롱을 풀어주며 원단을 풀어서 공급하는 다른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원단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의 해포란 원단롤을 풀어내어 텐터가공이나 날열가공 등의 후가공을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시키는 작업이다.
종래의 이러한 작업은 대부분이 사람의 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기계적인 구성들을 이용하여 해포하는 방법도 원단이 감긴방향과 역회전으로 돌려 풀어내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을 뿐이다.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남는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해포작업을 위한 원단롤을 공급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대부분 롤 형태로 감겨져 있어 수납함 형태나 회전축에 끼워서 원단이 풀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원단롤을 수납함에 넣어 원단이 풀어지도록 하는 경우 원단롤과 수납함이 마찰되어 원활히 풀림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원단에 텐션력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단롤을 회전축에 끼워서 원단을 풀 경우 원단롤이 최초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좌우로 움직여 원단의 진행방향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원단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원단로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여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며 원단롤의 폭 길이에 맞게 고정판을 고정시켜 원단롤의 위치 변동을 최소화하여 원단의 풀려 진행하는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개선된 원단공급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제20-0232731호 (해포장치) 2. 등록번호 제20-0225277호 (연폭 및 해포기의 원단롤 첫단 이송장치) 3. 공개번호 특2002-0036509호 (연폭 및 해포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롤 형태로 감겨진 원단이 쉽게 풀어지도록 하여 당김에 의한 비 정상적인 텐션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원단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단롤의 폭에 맞게 지지 및 이탈방지를 위해 고정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단롤이 원단의 당김시 회전로울러에 접촉하면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퀴를 형성하여 위치선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른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일측으로 원단롤이 담겨져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는 원단을 풀며 이동시키는 공급로울러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는 경사대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감겨진 원단이 쉽게 풀어지도록 하여 당김에 의한 비 정상적인 텐션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원단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원단롤의 폭에 맞게 지지 및 이탈방지를 위해 고정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단롤이 원단의 당김시 회전로울러에 접촉하면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바퀴를 형성하여 위치선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른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공급장치의 조절판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공급장치의 공급부의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에서 도면 a는 펼침로울러부의 정면도, 도면 b는 감지센서부의 평면도,
도 9 및 도 10에서 도면 a는 펼침로울러부의 작동도, 도면 b는 감지센서부의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를 이용한 해포상태의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해포장치의 해포부의 작동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단공급장치는 이동가능한 프레임(12), 원단롤(R)이 담겨져 원단이 풀릴때 마찰없이 회전하며 폭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회전부(13), 원단이 자연스럽게 이동하기 위한 경사대(15)로 공급부(10)를 구성하여 해포장치(100)에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아울러, 상기 해포장치(100)는 원단의 주름을 펴는 펼침로울러부(30), 원단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로울러부(40), 원단의 이동 경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50), 원단을 적층시키는 해포부(60)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공급부(10)는 해포장치(100)의 해포부(60)의 반대측에 배치하며, 공급부(10)의 일측에는 원단롤(R)의 원단이 풀어져 이동하는 경사부(20)에 맞닿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공급부(10)는 하부에 바퀴(11)가 설치되는 프레임(12)의 일측으로 원단롤(R)이 담겨져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13)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13)는 프레임(1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13a)의 사이에 다수개의 가이드(13b)를 가로 방향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13b)를 따라 원단롤의 크기에 맞게 좌우 이동하는 조절판(13f)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3b)의 하부로 고정판(13a)의 사이에 다수개의 풀림로울러(13c)를 회전되게 반원 배치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13b)에 결합되는 고정판(13a)의 결합단(13d)에는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핸들(13e)이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13d)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고정판(13a)의 상부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단(13d)에 스핀들(48c)이 슬라이딩 되게 끼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13)의 상부에는 원단을 풀며 이동시키 위해 공급모터(14b)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공급로울러(1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의 타측으로는 경사대(15)를 형성하여 구성하는데, 상기 경사대(15)는 메일프레임(12)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경사부(20)에 맞닿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경사부(20)에서는 원단롤(R)의 교체시 원단롤(R)의 원단 끝단과 새로운 원단롤(R)의 원단 시작단을 연결하는 재봉작업을 수행하는데, 상기 재봉작업은 미싱기계(70) 등을 이용하여 텐터 작업이나 날염 등과 같은 후가공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원단을 연결하게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20)의 끝단의 상부로 원단의 주름을 펼치는 다수개의 펼침로울러부(3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펼침로울러부(30)는 메인프레임(44)에 삼각 배열로 설치되며,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형태의 제1,2펼침나선부(31)(32)를 각각 형성하는 3개의 펼침로울러(33)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펼침로울러(33)는 메인프레임(44)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5)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된 펼침로울러(33)가 동시에 회전하고, 나머지 하나의 펼침로울러(33)는 구동모터(35)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펼침로울러(33)와 벨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원단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펼침로울러부(30)의 상부로 좌우 끝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단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조절로울러부(4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조절로울러부(40)는 한 쌍의 조절로울러(41)의 양 끝단이 제1,2고정대(42)(43)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펼침로울러부(30)의 전면으로 안전커버(34)를 메인프레임(44)에 구성하여 펼침로울러(33)의 회전시 끼임이나 말림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2고정대(42)(43)는 각각 메인프레임(44)에 제1,2링크(45)(46)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2링크(46)에는 고정설치되는 연결대(47)가 감지센서부(50)의 신호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는 승하강 작동부(48)에 연결 구성한다.
한편, 상기 승하강 작동부(48)는 메인프레임(44)의 일측에 감지센서부(50)의 신호로 작동하는 모터(48a)에 스핀들축(48b)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스핀들축(48b)에 나선체결되는 스핀들(48c)이 메인프레임(44)에 일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48d)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48c)은 제2링크(46)와 제3링크(48e)로 연결되어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바(48d)의 일측으로는 가이드(13b)의 상승시 최고점과 하강시 최저점을 감지하는 제1,2리미트스위치(48f)(48g)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조절로울러부(40)의 하부 양 측에는 메인프레임(44)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의 끝단이 접촉시 이송 작동을 정지하는 한 쌍의 작동제어센서(49)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로울러부(40)의 상부로 원단의 좌우 치우침을 감지하여 조절로울러부(4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부(5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감지센서부(50)는 원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발광봉(51)과 수광봉(52)을 조절로울러부(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메인프레임(44)에 설치하여 원단이 일측으로 치우쳐 빛이 수광되면 가동을 정지하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발광봉(51)과 수광봉(52)의 마주보는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발광렌즈(53)와 수광렌즈(5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발광렌즈(53)의 발광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감지센서부(50)의 상부로 이탈방지커버(55)를 메인프레임(44)에 구성하여 원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감지센서부(50)의 일측으로 원단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하도록 수평왕복운동하는 해포부(6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해포부(60)는 메인프레임(44)의 상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61)에 원단이 올려져 이동하는 다수개의 이송로울러(62)가 수평 배치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로울러(62)가 설치된 연장프레임(61)의 끝단에는 배출모터(63)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배출로울러(64)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로울러(64)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하부에 해포를 위해 낙하되는 원단을 마지막으로 지지하는 해포로울러(65)가 배출로울러(64)와 벨트로 연결되어 원단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해포프레임(66)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해포프레임(66)에는 해포링크(67)가 메인프레임(44)에 설치되는 링크모터(68)의 회전으로 회전하는 링크회전축(69)에 결합된 편심링크(69a)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모터(68)의 회전으로 링크회전축(69)과 함께 편심링크(69a)가 회전하며 해포링크(67)가 밀려지거나 당겨지면서 수평왕복운동을 하면서 원단을 지그재그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포장치(100)는 공급부(10)의 회전부(13)에 원단롤(R)을 안치시켜 원단의 시작단을 공급로울러(14)에 접촉시키는데, 공급부(10)는 프레임(12)의 하부에 바퀴(11)가 형성되어 공급부(10)를 단독적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설치상의 제약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원단롤(R)의 폭 길이에 따라 고정핸들(13e)을 풀어 고정판(13a)을 가이드(13b)를 따라 이동시켜 원단롤(R)의 양 끝단에 여유를 두고 위치시킨 다음 고정핸들(13e)을 조여 고정판(13a)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원단이 풀리면서 고정판(13a)에 접촉함으로써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공급로울러(14)는 공급모터(48a)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공급로울러(14)와 접촉하여 아이들로울러(14a)가 함께 회전하는데, 상기 원단의 시작단은 공급로울러(14)와 아이들로울러(14a)의 사이로 삽입하여 공급로울러(14)의 회전에 의해 원단이 당겨지면서 원단롤에서 풀려져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단롤(R)은 회전부(13)의 풀림로울러(13c)에 접촉하여 원단롤(R)이 회전하면 풀림로울러(13c)가 회전함으로써 원단롤(R)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이송되는 원단에 텐션력이 작용되는 것을 예방하여 원단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폭의 치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로울러(14)를 통해 이송된 원단은 경사대(15)를 거쳐 경사를 따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원활한 이송력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경사대(15)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은 경사부(20)를 거쳐 이송되어 메인프레임(44)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아이들로울러(44a)를 거쳐 삼각 배치된 3개의 펼침로울러(33)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1,2펼침나선부(31)(32)의 접촉에 의해 양 끝단 측으로 밀려지면서 구겨짐이나 주름을 평평하게 하여 접힘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펼침로울러부(30)의 전면으로는 안전커버(34)가 설치되어 작업자와 펼침로울러(33)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원단은 작동제어센서(49)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조절로울러부(40)의 조절로울러(41) 사이를 접촉하면 통과하여 감지센서부(50)의 발광봉(51)과 수광봉(52)의 사이를 통과하여 해포부(60)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봉(51)의 발광렌즈(53)에서는 미리 설정된 원단의 폭 길이 보다 작은 발광길이로 발광하여 발광빛이 수광봉(52)의 수광렌즈(54)에 수광되지 않을 경우에는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지만, 원단이 일측으로 치우쳐 이송되어 발광빛이 수광렌즈(54)에 수광되면 원단 진행 방향의 수정을 위한 신호를 조절로울러부(40)로 전단한다.
즉, 상기 원단이 좌측으로 치우칠 경우 감지센서부(50)에서는 조절로울러부(40)에 조절로울러(41)의 우측 끝단을 내려 좌측 끝단이 높아지도록 신호를 전달하고, 반대로 원단이 우측으로 치우칠 경우 감지센서부(50)에서는 조절로울러부(40)에 조절로울러(41)의 우측 끝단을 올려 좌측 끝단이 낮아지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이렇게, 상기 감지센서부(50)에서 신호를 받은 조절로울러부(40)의 작동 중 조절로울러(41)의 우측 끝단을 내려 좌측 끝단이 높아지도록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는 모터(48a)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축(48b)을 따라 스핀들(48c)이 나선체결로 하부로 가이드(13b)를 따라 이동하여 원단을 우측방향으로 발광빛이 수광렌즈(54)에 감응되지 않을 때까지 이동시켜 진행방향을 보정한다.
반대로, 감지센서부(50)에서 신호를 받은 조절로울러부(40)의 작동 중 조절로울러(41)의 우측 끝단을 내려 좌측 끝단이 높아지도록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모터(48a)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축(48b)을 따라 스핀들(48c)이 나선체결로 상부로 가이드(13b)를 따라 이동하여 원단을 좌측방향으로 발광빛이 수광렌즈(54)에 감응되지 않을 때까지 이동시켜 진행방향을 보정한다.
이후, 상기 원단은 해포부(60)의 이송로울러(62)에 접촉하면서 이동한 후 배출로울러(64)와 접촉으로 이송되며 해포로울러(65)에 접촉되어 낙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모터(63)의 회전력에 의해 배출로울러(64)가 회전됨으로써 해포로울러(65)가 함께 회전하여 원단의 배출을 유도하며, 상기 링크모터(68)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링크회전축(69)에 결합된 편심링크(69a)의 회전에 의해 해포링크(67)가 밀려지거나 당겨지면서 해포프레임(66)이 수평왕복운동을 하면서 원단을 지그재그 적층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원단이 진행시 일측으로 치우쳐 작동제어센서(49)에 접촉될 경우 공급부(10) 및 펼침로울러부(30), 조절로울러부(40), 감지센서부(50), 해포부(60)의 작동을 정지시켜 원단의 잘못된 경로를 통해 진행하는 것을 예방하는 특징이 있으며, 원단의 위치를 작업자가 수정하여 재 가동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공급부 11 : 바퀴
12 : 프레임 13 : 회전부
13a : 고정판 13b : 가이드
13c : 풀림로울러 13d : 결합단
13e : 고정핸들 14 : 공급로울러
14a : 아이들로울러 15 : 경사대
20 : 경사부 30 : 펼침로울러부
31 : 제1펼침나선부 32 : 제2펼침나선부
33 : 펼침로울러 34 : 안전커버
40 : 조절로울러부 41 : 조절로울러
42 : 제1고정대 43 : 제2고정대
44 : 메인프레임 45 : 제1링크
46 : 제2링크 47 : 연결대
48 : 작동부 48a : 모터
48b : 스핀들축 48c : 스핀들
48d : 가이드바 48e : 제3링크
48f : 제1리미트스위치 48g : 제2리미트스위치
50 : 감지센서부 51 : 발광봉
52 : 수광봉 53 : 발광렌즈
54 : 수광렌즈 55 : 이탈방지커버
60 : 해포부 61 : 연장프레임
62 : 이송로울러 63 : 배출모터
64 : 배출로울러 65 : 해포로울러
66 : 해포프레임 67 : 해포링크
68 : 링크모터 69 : 링크회전축
69a : 편심링크 70 : 미싱기계
100 : 해포장치 100 : 원단공급장치
R : 원단롤

Claims (3)

  1. 하부에 바퀴(11)가 설치되는 프레임(12)의 일측으로 원단롤(R)이 담겨져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13)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13)의 상부에는 원단을 풀며 이동시키는 공급로울러(14)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2)의 타측으로는 경사대(15)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3)는 프레임(1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13a)의 사이에 다수개의 가이드(13b)를 가로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13b)를 따라 원단롤의 크기에 맞게 좌우 이동하는 조절판(13f)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13b)의 하부로 고정판(13a)의 사이에 다수개의 풀림로울러(13c)를 회전되게 반원 배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3b)에 결합되는 고정판(13a)의 결합단(13d)에는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핸들(13e)이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공급장치.
KR20140021388A 2014-02-24 2014-02-24 원단공급장치 KR101487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388A KR101487367B1 (ko) 2014-02-24 2014-02-24 원단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388A KR101487367B1 (ko) 2014-02-24 2014-02-24 원단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367B1 true KR101487367B1 (ko) 2015-02-05

Family

ID=5258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1388A KR101487367B1 (ko) 2014-02-24 2014-02-24 원단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3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592B1 (ko) 2015-03-11 2016-06-01 (주)에스엠텍스타일 원단 공급장치
KR101914000B1 (ko) * 2018-01-12 2018-10-31 김성건 직물원단 가공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79U (ko) * 1997-12-31 1999-07-26 박희복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KR200252514Y1 (ko) 2001-08-13 2001-11-22 양옥선 원단 공급장치
KR20040052907A (ko) * 2004-05-11 2004-06-23 정의호 위사교정 자동 연폭기의 해포장치
KR101390472B1 (ko) 2013-12-18 2014-04-29 (주)세명정밀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79U (ko) * 1997-12-31 1999-07-26 박희복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KR200252514Y1 (ko) 2001-08-13 2001-11-22 양옥선 원단 공급장치
KR20040052907A (ko) * 2004-05-11 2004-06-23 정의호 위사교정 자동 연폭기의 해포장치
KR101390472B1 (ko) 2013-12-18 2014-04-29 (주)세명정밀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592B1 (ko) 2015-03-11 2016-06-01 (주)에스엠텍스타일 원단 공급장치
KR101914000B1 (ko) * 2018-01-12 2018-10-31 김성건 직물원단 가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126B1 (ko) 해포장치
EP0620310B1 (en) An apparatus for spreading rectangular cloth
KR101809264B1 (ko) 하이브리드 전사기
KR101040249B1 (ko) 전사 원단 제조장치
ITTO990525A1 (it) Dispositivodi trattamento di un nastro allungato
KR101487367B1 (ko) 원단공급장치
KR950007407B1 (ko) 직사각형상 천조각의 전개장치
US11577502B2 (en) Printing device
WO1993010032A1 (en) Apparatus for the high speed stacking of paper sheets both by accordion-like folding of a continuous band and by superimposing separate sheets
JP3827239B2 (ja) 経編機における編地巻き取り装置、及びその巻き取り方法
JP4732956B2 (ja) ロール媒体供給装置
US3078023A (en) Sheet-feeding mechanism
KR101190247B1 (ko) 전사 원단 제조장치용 원단 공급장치용 원단 공급장치
US4436296A (en) Feeder device for folding machines
JP2695739B2 (ja)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6092739B2 (ja) プリンタ装置
KR101415623B1 (ko) 균일 이송 및 연속가공이 가능한 라미네이팅 자동화 장치
JP3462530B2 (ja) 矩形状布片の展開装置
JP2005219845A (ja) 記録媒体供給装置
KR100789230B1 (ko) 플로터의 원단 장력조절 장치
JP2007161409A (ja) アキューム装置
KR101121711B1 (ko) 전사 원단 제조장치용 종이 공급장치용 종이 공급장치
WO2010109974A1 (ja) スタッカ装置
JPH08216363A (ja) 自動紙通し装置のウェブ送り装置
JP4071763B2 (ja) 布類供給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