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472B1 -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472B1
KR101390472B1 KR1020130158414A KR20130158414A KR101390472B1 KR 101390472 B1 KR101390472 B1 KR 101390472B1 KR 1020130158414 A KR1020130158414 A KR 1020130158414A KR 20130158414 A KR20130158414 A KR 20130158414A KR 101390472 B1 KR101390472 B1 KR 10139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late
rotary plate
lifting
elev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세명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정밀 filed Critical (주)세명정밀
Priority to KR1020130158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을 승강시켜 작업 테이블 위의 연단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로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을 구비한 본체;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사이에서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단을 적재할 수 있는 승강 부재; 및 상기 승강 부재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승강 부재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무거운 원단을 쉽게 연단기에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Apparatus for elevating fabric for use in spreading machine}
본 발명은 연단기에 원단을 설치하기 위해 원단을 승강시키는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을 승강시켜 쉽게 연단기에 장착할 수 있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을 재단하기 위해서는 가공 원단을 긴 막대 등을 이용하여 일정길이로 차곡차곡 쌓아준 상태에서, 이 가공 원단을 절단 수단을 이용하여 예정된 형태로 절단하게 되는 바, 작업자가 긴 막대 등을 이용하여 원단을 일정길이로 차곡차곡 쌓아주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장치로 연단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단기는 연단 테이블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면서,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롤 상태의 원단을 연단 테이블의 상부에 차곡차곡 펼쳐 적층되도록 하여, 대량의 원단을 동시에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단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연단기는 작업 테이블(10), 작업 테이블(10) 상에 설치되고 연단을 행하기 위해 원단(2)의 끝부분을 잡아주는 캐처(20), 작업 테이블(10) 상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시 작업 테이블(10) 상에 원단(2)을 펼쳐주는 연단기 본체(30), 및 작업 테이블(10) 상에 펼쳐진 원단을 절단하는 커팅 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단기는 캐처(20)로부터 연단기 본체(30)가 후진 이동하여 캐처(20)와 연단기 본체(30) 사이에 원단을 펼쳐준 후, 커팅 수단(50)을 이용하여 펼쳐진 원단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단에 사용되는 원단은 보통 작업자들이 손으로 들어올려 연단기에 설치하게 되는데, 원단의 무게가 보통 수십 kg ~ 수백 kg이 되기 때문에, 연단기에 원단을 설치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무거운 원단을 승강시켜 연단기 측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원단을 승강시켜 작업 테이블 위의 연단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로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을 구비한 본체;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사이에서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단을 적재할 수 있는 승강 부재; 및 상기 승강 부재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승강 부재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부재는 원단이 적재되는 적재판 및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원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연단기가 설치된 테이블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동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원단을 연단기 측으로 밀 수 있는 원단 이동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판은 적재된 원단이 회동판 측으로 지지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판의 하부에는 상기 회동판이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적재판과 상기 회동판 사이에 끼워져 상기 회동판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받침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승강 부재 구동 수단은,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에 연결된 구동 체인; 상기 스프라켓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체인과 상기 승강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 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 부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의 이동시에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구르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체인이 이동하지 않을 때, 상기 롤러들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승강 부재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거운 원단을 승강시켜 연단기 측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부재가 회동판을 구비하여 작업 테이블과의 간섭이 회피되고 승강 부재의 승강시 적재된 원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단 이동 레버를 조작하여 적재판으로부터 연단기 측으로 간단하게 원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단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를 연단기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로서, 롤 형태의 원단이 승강되어 연단기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를 연단기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로서, 절 형태의 원단이 승강되어 연단기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의 승강 테이블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의 연결 부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는 원단을 승강시켜 작업 테이블(110) 위에 설치된 연단기(120) 측으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작업 테이블(11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본체(210), 원단을 적재하여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 부재(220) 및 승강 부재(220)를 구동하는 승강 부재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본체(210)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작업 테이블(110) 위에 설치된 연단기(120)보다 더 높이 연장된다. 본체(210)는 정면에서 볼 때, 좌우 양측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211)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210)는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211)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212)과 하부 프레임(213)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테두리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본체(210)는 연단기(120)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운반 및 설치가 간단하다.
승강 부재(220)는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211) 사이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종방향 프레임(211)을 따라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승강 부재(220)는 판 형상 부재로서, 원단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승강 부재(220)에 적재되는 원단은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것처럼 롤 형태의 원단(R)일 수 있고, 또는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것처럼 절 형태의 원단(P)일 수 있다.
승강 부재 구동 수단은 승강 부재(220)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본체(2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승강 부재 구동 수단은 종방향 프레임(2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스프라켓(231), 상부 및 하부의 스프라켓들(231) 사이에 연결된 구동 체인(232), 스프라켓(231)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여 구동 체인(232)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233) 및 구동 체인(232)과 승강 부재(220)를 연결하여, 구동 체인(232)의 이동에 따라 승강 부재(220)를 이동시키는 연결 부재(234)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모터(233)는 본체(210)의 하부 프레임(213)에 설치되고, 동력 전달 수단(미도시)을 통해 하부에 위치된 스프라켓(231)과 연결되어 스프라켓(231)을 구동시킨다. 즉, 하부의 스프라켓(231)은 구동 스프라켓이고 상부의 스프라켓(321)은 종동 스프라켓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 부재 구동 수단의 연결 부재(234)는 구동 체인(232)의 이동시에 종방향 프레임(2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구르는 복수의 롤러들(235)을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 체인(232)이 이동하지 않을 때, 즉 정지된 상태일 때, 롤러들(235)과 종방향 프레임(211)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승강 부재(22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 부재(220) 및 승강 부재(220)에 적재된 원단의 하중에 의해 승강 부재(22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 부재(220)는 원단이 적재되는 적재판(221) 및 적재판(221)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적재판(221)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적재판(221)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는 회동판(222)을 구비한다. 그리고, 적재판(221)과 회동판(222)의 연결 부분의 하부에는 적재판(221)과 회동판(222)을 지지하는 브라켓(223)이 구비된다. 적재판(221)은 브라켓(234) 상에 고정되고, 회동판(222)은 적재판(221)과 힌지 결합되어 상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이 브라켓(223)은 전술한 연결 부재(234)와 결합된다.
여기서, 회동판(222)은 적재판(221)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승강 장치의 본체(210)가 연단기(120)의 작업 테이블(110)에 인접하게 설치된 경우, 회동판(222)과 작업 테이블(110)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회동판(222)은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적재판(221)으로부터 회동되어 세워진 경우, 적재판(221)에 적재된 롤 형태의 원단을 지지하여 원단이 작업 테이블(110) 방향으로 굴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 부재(220)는 적재판(221)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어 적재판(221)에 적재된 원단을 연단기(120) 측으로 미는 원단 이동 레버(224)를 구비한다. 원단 이동 레버(224)는 적재판(221)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고, 적재판(221)과 회동판(222)의 연결 부분에 구비된 회동축(224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원단을 연단기(120) 측으로 민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거운 원단을 연단기(120) 측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적재판(221)은 승강 부재(220)에 적재된 롤 형태의 원단이 도 3a 내지 3c의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굴러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대략 1° 정도)를 갖는다. 따라서, 적재판(221)에 적재된 원단은 적재판(221)의 경사에 의해 회동판(222) 측으로 지지된다.
부가적으로, 회동판(222)의 하부에는 회동판(222)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받침 레버(225)가 구비된다. 이 받침 레버(225)는 브라켓(223)의 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잘할 수 있는 조작부(225a) 및 조작부(225a)와 연동되어 적재판(221)과 회동판(222) 사이에 끼워지는 받침판(225b)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동판(222)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받침 레버(225)가 적재판(221)과 회동판(221) 사이에 끼워지면, 회동판(222)이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의 작동을 간락하게 설명한다.
먼저, 원단 승강 장치를 연단기의 작업 테이블 측으로 이동시킨다. 원단 승강 장치는 초기 상태일 때, 도 3a 및 4a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210)의 하부에 위치되고, 회동판(222)은 적재판(221)으로부터 회동되어 상방으로 세워져 있다. 이때, 적재판(221)은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롤 형태 또는 절 형태의 원단을 적재판(221)에 쉽게 적재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원단 승강 장치의 작동 버튼(미도시)을 눌러 승강 부재(220)를 승강시킨다. 그러면, 구동 모터(233)에 의해 스프라켓(231)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구동 체인(232)이 구동되어 승강 부재(220)가 본체(210) 상부로 승강된다. 이때, 승강 부재(220)의 승강 높이는 작업 테이블(110)에 설치된 연단기(120)의 높이에 맞춰 작업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부재(220)의 승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회동판(222)이 원위치로 회동되도록 받침 레버(225)를 조작한다. 그러면, 원단 승강 장치는 도 3b 및 4b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가 원단 이동 레버(224)를 들어올리면, 롤 형태의 원단의 경우 자연스럽게 굴러서 연단기(120)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가 원단 이동 레버(224)를 들어올리면, 절 형태의 원단은 적재판(221)에서 회동판(222) 측으로 미끄러지고 작업자는 약간의 힘을 가하여 절 원단을 연단기(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는 무거운 원단을 힘들이지 않고 연단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작업 테이블 120: 연단기
210: 본체 211: 종방향 프레임
212: 상부 프레임 213: 하부 프레임
220: 승강 부재 221: 적재판
222: 회동판 223: 브라켓
224: 원단 이동 레버 225: 받침 레버
231: 스프라켓 232: 구동 체인
233: 구동 모터 234: 연결 부재
235: 롤러

Claims (7)

  1. 원단을 승강시켜 작업 테이블 위의 연단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로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을 구비한 본체;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사이에서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단을 적재할 수 있는 승강 부재; 및
    상기 승강 부재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승강 부재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는 원단이 적재되는 적재판 및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원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연단기가 설치된 테이블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동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원단을 연단기 측으로 밀 수 있는 원단 이동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은 적재된 원단이 회동판 측으로 지지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의 하부에는 상기 회동판이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적재판과 상기 회동판 사이에 끼워져 상기 회동판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받침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 구동 수단은,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에 연결된 구동 체인;
    상기 스프라켓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체인과 상기 승강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 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 부재가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의 이동시에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구르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체인이 이동하지 않을 때, 상기 롤러들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승강 부재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KR1020130158414A 2013-12-18 2013-12-18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KR10139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14A KR101390472B1 (ko) 2013-12-18 2013-12-18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14A KR101390472B1 (ko) 2013-12-18 2013-12-18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72B1 true KR101390472B1 (ko) 2014-04-29

Family

ID=5065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414A KR101390472B1 (ko) 2013-12-18 2013-12-18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4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367B1 (ko) 2014-02-24 2015-02-05 주식회사 스마일 원단공급장치
KR101868864B1 (ko) 2017-10-26 2018-06-19 (주)대광레이스 경편기의 원사빔 리프팅 장치
KR20220163749A (ko) *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비엠오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090B1 (ko) * 1996-03-29 1998-12-01 권만천 검사로링기 부설용 원단롤리프트 장치
KR0185655B1 (ko) * 1995-02-09 1999-04-15 장팔훈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KR200169150Y1 (ko) * 1997-12-31 2000-03-02 박희복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KR100954602B1 (ko) * 2009-12-04 2010-04-26 (주)세명정밀 원단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655B1 (ko) * 1995-02-09 1999-04-15 장팔훈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KR0156090B1 (ko) * 1996-03-29 1998-12-01 권만천 검사로링기 부설용 원단롤리프트 장치
KR200169150Y1 (ko) * 1997-12-31 2000-03-02 박희복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KR100954602B1 (ko) * 2009-12-04 2010-04-26 (주)세명정밀 원단 공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367B1 (ko) 2014-02-24 2015-02-05 주식회사 스마일 원단공급장치
KR101868864B1 (ko) 2017-10-26 2018-06-19 (주)대광레이스 경편기의 원사빔 리프팅 장치
KR20220163749A (ko) *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비엠오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KR102548434B1 (ko) * 2021-06-03 2023-06-27 주식회사 비엠오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472B1 (ko)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KR101728739B1 (ko) 탱크 용접용 이동식 작업대
CN204497630U (zh) 一种用于断路器和瓷瓶的高兼容性翻转车
US2661927A (en) Portable load lifter
KR20100138329A (ko) 스크류 잭 방식의 리프터
CN216151458U (zh) 一种铭牌自动激光打标机
CN112224744B (zh) 传输辊道
KR101000505B1 (ko) 연단기의 커팅 수단 승강 장치
CN110155856A (zh) 安葬工作系统及运载平台对位方法
KR101511713B1 (ko) 붐박스 가접위치 셋팅장치
KR20120057852A (ko) 부품박스 적재대
KR101298077B1 (ko) 평판재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CN210203814U (zh) 一种工作台面高度可调节的裁剪台
JP2007008592A (ja) 建築用パネルの建て込み施工治具
KR101554110B1 (ko) 컨베이어 벨트의 리턴 아이들러 롤러 교환장치
CN212923805U (zh) 一种可调节高度的纸板堆垛装置
JP2010004747A (ja) 葉たばこ吊り込み装置
KR102183488B1 (ko) 백게이지 위치를 가변하는 밴딩머신
CN219488541U (zh) 板材流水线用推料装置
KR20160095458A (ko) 과수원용 고소작업차량의 제어장치
JP2004113096A (ja) 葉たばこラックリフタ
CN215707549U (zh) 一种简易装箱装置
CN114227835B (zh) 一种木板双面铣槽装置
KR102644693B1 (ko) 포장용 수동 랩핑기
CN210237031U (zh) 一种用于灾难物资输送的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