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655B1 -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 Google Patents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655B1
KR0185655B1 KR1019950002557A KR19950002557A KR0185655B1 KR 0185655 B1 KR0185655 B1 KR 0185655B1 KR 1019950002557 A KR1019950002557 A KR 1019950002557A KR 19950002557 A KR19950002557 A KR 19950002557A KR 0185655 B1 KR0185655 B1 KR 0185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hain
cylinder
main body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028A (ko
Inventor
장팔훈
장영발
Original Assignee
장팔훈
장영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팔훈, 장영발 filed Critical 장팔훈
Priority to KR101995000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655B1/ko
Publication of KR96003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8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 B65H19/1842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standing splicing, i.e. the expiring web being stationary during splicing contact
    • B65H19/1852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standing splicing, i.e. the expiring web being stationary during splicing contact taking place at a distance from the replacement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3Splicing splicing means, i.e. means by which a web end is bound to another web end
    • B65H2301/46326Stitched or seam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30Chai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의 자동연폭 해단기에 관한 것으로, 경사판(31)과 정지대(32)로 원단공급대(3)가 구성이 되고 이원단 공급대(3) 하측에 설치된 실린더(S2)와 동작안내간(22)의 하단이 회동되게 연결되고 상단은 체인기어(203)를 가지며 고정핀(2a)으로 본체(1)에 설치되어 승강대(21)가 장착되고 승강실린더(S2)와 연결된 체인(201)이 체인기어(202)를 거쳐 승강대(21)에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승강대(21)의 일측 하부에 해단대(7)가 장치되어 있고 그 저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지관 수납용기(701)가 마련되어 있고 해단대(7) 측방에 지지로울러부(72)가 위치하고 그 하단에 실린더(S4)와 연결설치된 지관배출 로울러부(73)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장착된 것이고 축핀(81a)에 의해 일단이 고정설치된 스크레버(81)가 체인(802)에 연결되어 본체(1)에 부착된 체인기어(802)를 통해 실린더(S5)와 연결설치되며 스크레버(81)의 상향동작 위치에 압착편(801)을 본체횡벽(1a)에 부착하고 본체횡벽(1a) 상면에는 제봉부(51)를 마련하여 프레셔바(41)가 회동접리되도록 설치되고 실린더(53)와 연결된 체인(401)이 그 프레셔바(41)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제봉부(51) 양측에 원단 고정핀(6) 장치부가 각각 독립되게 장착되고 그 제봉부(51)의 본체횡벽(1a)에 제봉기(5)를 설치하여 양측에 부착된 체인기어(502)(503)에 걸려진 체인(501) 양끝단이 제봉기(5)에 연결구(52)로 연결되고 일측 체인기어(502)가 구동모터(53)에 연결설치됨으로서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원단의 공급과 운전이 가능하여 숙련된 경험자가 필요없게 되며 원단의 연폭시 원단의 틀어짐 등을 방지할 수가 있어 넓은 원단의 바른 연폭이 가능하여 지고 기계의 구조가 간단하여 운전자가 기계의 취급이 용이하고 수리.보가가 용이하므로서 연폭 해단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제 1도는 본 발명의 전체 예시도
제 2도의 (a)는 원단 공급대에 원단을 이적시키는 예시도
(b)는 원단 공급대에서 해포대로 원단을 공급시키는 예시도
제 3도는 원단 프레셔바가 원단을 압착하여 제봉기로 제봉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제 4도는 스크레퍼(Scraper) 구동장치부의 예시도
제 5도는 지관 회수장치가 마련된 해포대의 측면예시도
제 6도는 제봉기의 좌우이동 장치의 예시도
제 7도는 원단 고정핀 예시도
제 8도 (a)(b)(c)는 본 발명의 작업순서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101 : 해포로울러
2 : 원단공급장치 21 : 승강대
22 : 동작안내간 201 : 체인
202, 203 : 체인기어 3 : 원단공급대
31 : 경사판 32 : 정지대
4 : 원단압착부 41 : 프레셔바
401 : 체인 402 : 체인기어
5 : 제봉기 51 : 제봉부
52 : 체인연결구 501 : 체인
502,503 : 체인기어 53 : 구동모터
6 : 원단고정핀 61 : 압지편
7 : 해포대 71 : 원단지지로울러부
72 : 로울러지지부 701 : 지관수납용기
8 : 스크레퍼장치 81 : 스크레퍼
801 : 압착편 802 : 체인
803,803' : 체인기어 S1,S2,S3,S4,S5: 실린더
SW1,SW2,SW3,SW4,SW5,SW6,SW7,SW8: 스위치
A : 원단
본 발명은 말대에 감긴 원단을 해포기의 해포부에 공급하여 그 선단부를 이미 풀리고 있는 원단의 끝에 연결하여 계속 풀어 낼수 있게한 원단 해포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제직된 직물지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크기의 롤(Roll)형태로 감겨진 원단을 풀어서 일정크기의 통에 지그재그 형태로 포개어야 하는데 하나의 롤에 감긴 직물지는 그 길이가 짧기 때문에 이것을 이어서 대규모의 직물로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롤 상태의 원단을 공급하고 풀어서 이어주는 작업을 할수 있는 고도의 숙련된 경험자가 필요하여 많은 비용이 들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작업을 기계화시킨 것으로 이를 상세히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 1도에서 표현되는 바와같이 원단공급부와 재봉부와 적재부로 이루어지며, 도면 제 2도의 (a)(b)에서는 원단공급부가 표현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원단공급부는 경사판(31)과 정지대(32)로 구성된 원단 공급대(3)가 구성되어 원단공급대(3) 하측에 설치된 실린더(S2)가 동작안내간(22)의 하단과 연결되고 동작안내간(22)에 승강대(21)를 장치하여 실린더(S1)로 작동되는 체인(201)으로 승강시킬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도면 제 2도의 (b)와 제 5도에서와 같이 승강대(21) 일측방에 제봉부(51)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해포대(7)가 설치되어 외측으로 지관 수납용기(701)가 마련되어 있고 해포대(7) 후방에 로울러지지부(72)가 장치되어 그 상단에 실린더(S4)를 장치하여 로울러지지부를 개폐시킬수 있게한 다음 지관배출로울러(73)를 장치하고 도면 제 4도에서와 같이 축핀(81a)에 의해 일단이 고정설치된 스크레퍼(81)를 해포대(7) 옆에 설치하여 체인(802)을 부착하고 체인상단을 실린더(S5)에 연결하여 스크레퍼(81)가 축핀(81a)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고 체인조정용 가압구(801)를 본체 횡벽(1a)에 부착하며 제 3도에서와 같이 해포대(7)의 직상부에 제봉부(51)를 마련하여 제봉부(51)에 회동접리되도록 프레셔바(41)를 실린더(53)와 체인기어(42)를 통해 체인(401)에 연결설치하고 제 6도에서와 같이 제봉부(51) 양측에 원단 고정핀(6) 장치부가 각각 장착되고 그 제봉부(51) 외측 본체횡벽(1a)에 제봉기(5)를 설치하여 본체횡벽(1a) 양측에 부착된 체인기어(502)(503)를 거쳐 체인(501) 양끝단이 제봉기(5)에 체인연결구(52)로 연결되며 일측 체인기어(502)가 구동모터(53)에 연결설치된 구성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도면 제 2도의 (a)는 원단의 공급을 시작하기 직전의 상태이고, (b)는 해포대에 원단을 공급진행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경사판(31)과 정지대(32)로 구성된 원단공급대(3)에 투입이된 롤(Roll)형 원단(A)을 승강대(21)가 동작안내간(22)을 따라 승강하면서 1개의 원단을 실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승강대(21)는 체인(201)으로 본체 상단의 체인기어(202)를 거쳐 승강실린더(S1)와 연결설치되어 있어 도면에 미도시된 밸브를 통해 공압으로 동작하는 실린더(S1)가 동작을 하여 실린더로드(S1)를 하강시켜 하측스위치(SW2)를 조작하게 되면 밸브를 단속하여 하강하던 실린더로드(S1)가 하강을 멈추게 되고 이 실린더로드(S1)와 체인(201)으로 연결설치된 승강대(21)의 승강이 정지되는데 이과정으로 승강대(21)가 원단공급대(3) 저부에서 승강을 시작하게 되어 원단공급대(3)의 원단(A)을 들어올릴수 있게 되는 것인데 이는 상단이 회동가능케 고정핀(2a)으로 본체(1)에 고정설치되고 하단은 실린더(S2)와 연결설치된 동작안내간(22)에 승강대(21)가 장착이 되어 동작안내간(22)을 따라 동작을 하는게 되므로 승강대(21)의 승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실린더(S2)가 동작 안내간(22)을 밀어서 해포대(7)의 근접위치에 까지 동작안내간(22)이 이동하게 되면 이 동작안내간(22)이 스위치(SW02)를 눌러주므로서 도면에 미도시된 밸브를 통해 실린더(S2)의 동작을 멈추게 되어 원단(A)의 승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제 3도는 연결작업 즉, 해포된 원단과 새로 공급된 원단의 끝을 서로 겹쳐서 제봉하는 작업을 보이는 것으로, 승강대(21)에 제치되어 승강된 원단(A)의 끝단과 해포가 종료된 원단(A)의 끝단을 인력으로 겹쳐서 제 7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원단고정핀(6)에 두원단을 끼운후 실린더(S3)와 체인(401)으로 연결된 프레셔바(41)를 하강을 시켜 원단 고정핀(6)에 끼워진 원단을 재차 고정시키고 나서 제봉기(5)가 겹쳐진 원단을 제봉하게 된다.
도면 제 6도는 제봉기의 구동장치부를 나타낸 것으로, 제봉기(5)가 제봉작업을 수행할 때 본체 횡벽(1a) 양측에 위치한 체인기어(502)(503)에 걸려진 체인(501)의 양단을 체인연결구(52)로 제봉기(5)에 연걸시키고 일측 체인기어(502)를 정역구동모터(53)의 회전축에 장착하여 구동모터(53)와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제봉기(5)가 구동모터(53)의 동작에 따라 좌·우 이동될 수 있게한 것이므로 제봉기(5)가 도면에 표시된 일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겹쳐진 원단의 제봉작업을 완수하게 된다.
이때, 제봉기(5)가 작업방향으로 진행할 때 진행범위를 스위치(SW3)가 감지하여 제봉기(5)의 진행폭을 조절하고 제봉작업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제봉기(5)가 즉시 제자리로 복귀하게 되는데 제봉기(5)가 처음위치로 복귀시에는 스위치(SW03)에 의해 제봉기(5)의 정위치를 찾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원단공급장치(2)를 나타낸 도면 제 2도의 (b)에서와 같이 하강했던 실린더(S1)를 승강시키면 원단(A)이 제치된 승강대(21)가 해포대(7)의 직상부에서 하강을 개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해포대(7)의 폭이 좁은 출입홈(7a)을 통해 해포대(7) 하측으로 승강대(21)가 하강을 하고 나면 원단(A)은 해포대(7)에 걸려지고 승강대(21)는 해포대(7) 밑으로 빠져 나온다.
이 과정에서 승강실린더의 로드(S1)가 상측스위치(SW1)를 작동시켜 밸브를 단속시키게 되어 승강실린더(S1)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고 이후에 동작안내간(22)을 밀고 있던 실린더(S2)가 동작안내간(22)을 당겨 하강된 상태의 승강대(21)를 원단공급대(3) 저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원단공급대(3) 저부에 위치한 스위치(SW2)가 동작안내간(22)과 접촉되어 실린더(S2)의 동작을 조정하게 되므로 최초의 원단 공급위치에 승강대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해포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해포작업이 종료되면 원단(A)의 공급과정에서부터 반복되어 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으로, 해표 작업이 종료되면 도면 제 5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실린더(S4)가 로울러지지부(72)를 외측으로 개폐시켜 주어 지관(A')이 지관수납용기(701)로 굴러 투입되어 해포가 완료된후에 해포대(7)에 남은 지관(A')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지관(A')이 지관 수납용기(701)로 배출이 되고나면 로울러지지부(72)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켜서 새로운 원단(A)을 제치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 4도는 스크레퍼(8)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관이 없는 원단(A)을 풀어낼 때 스크레퍼(8)와 압착편(801) 사이로 원단을 통과하게 하여 풀리는 원단이 한꺼번에 달려올라가는 것을 막아주게 되고 지관이 있는 원단은 지관이 달려 올라가는 것을 막을수 있어서 해포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원단공급대에서 해포대로 원단의 공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가 있어 인력을 최소화 할수 있고 또한 원단의 연폭작업시에 해포된 원단과 새로 공급된 원단의 연폭작업의 준비과정이 간편하게 연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고 해포가 종료된 상태의 원단권취지관의 배출관 지관의 수납용기로 인해 지관의 취출작업이 용이하고 특히, 지관이 없는 원단의 해포작업을 수행할 때 스크레퍼와 압착돌편 사이로 원단을 통과시켜서 해포작업을 할 수가 있어 원단의 지관의 유무에 구애됨 없이 해포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본 발명은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원단의 공급과 운전이 가능하여 숙력된 경험자가 필요없게 되며 원단을 연결할 때 원단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가 있어서 폭이 넓은 원단의 바른 연폭이 가능하여 지고 기계의 구조가 간단하여 운전자가 기계의 취급이 용이하고 수리·보가가 용이하므로 연폭 해포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게한 것이다.

Claims (1)

  1. 경사판(31)과 정지대(32)로 구성된 원단공급대(3)가 구성되어 원단 공급대(3) 하측에 설치된 실린더(S2)가 동작안내간(22)의 하단과 연결되고 동작안내간에 승강대를 장치하여 승강대가 실린더(S1)로 작동되는 체인(201)으로 구동되게 하고 승강대(21)의 일측 하부에 해포대(7)가 장치된 원단공급부와 지관 수납용기(701)가 마련되고 해포대(7) 측방에 로울러지지부(72)가 장치되어 지관배출로울러(73)가 장치되며 그 측방에 축핀(81a)에 일단이 지지된 스크레퍼(81)가 장치되어 체인(802)으로 작동되고 본체 횡벽(1a) 상면에는 제봉부(51)를 마련하여 프레셔바(41)를 구비하고 실린더(53)와 연결된 체인(401)이 그 프레셔바(41)와 연결되며 제봉부(51) 양측에 원단 고정핀(6)이 장착되고 그 제봉부(51)의 본체횡벽(1a)에 제봉기(5)를 설치하여 양측에 부착된 체인기어(502)(503)에 체인(501)을 걸어 양끝단이 제봉기(5)에 연결구(52)로 연결되고 일측 체인기어(502)가 구동모터(53)에 연결설치 되는 재봉부와 적재부로 이루어진 직물원단의 해포연결기.
KR1019950002557A 1995-02-09 1995-02-09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KR0185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557A KR0185655B1 (ko) 1995-02-09 1995-02-09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557A KR0185655B1 (ko) 1995-02-09 1995-02-09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028A KR960032028A (ko) 1996-09-17
KR0185655B1 true KR0185655B1 (ko) 1999-04-15

Family

ID=1940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557A KR0185655B1 (ko) 1995-02-09 1995-02-09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6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509A (ko) * 2000-11-10 2002-05-16 이진술 연폭 및 해포기
WO2010121252A3 (en) * 2009-04-17 2011-01-20 C.G. Bretting Manufacturing Co., Inc. Automated unwind system with auto-splice
KR101390472B1 (ko) * 2013-12-18 2014-04-29 (주)세명정밀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KR200479194Y1 (ko) 2014-12-03 2015-12-31 왕기현 원단 해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509A (ko) * 2000-11-10 2002-05-16 이진술 연폭 및 해포기
WO2010121252A3 (en) * 2009-04-17 2011-01-20 C.G. Bretting Manufacturing Co., Inc. Automated unwind system with auto-splice
US7980504B2 (en) 2009-04-17 2011-07-19 C.G. Bretting Manufacturing Co., Inc. Automated unwind system with auto-splice
KR101390472B1 (ko) * 2013-12-18 2014-04-29 (주)세명정밀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KR200479194Y1 (ko) 2014-12-03 2015-12-31 왕기현 원단 해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028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3401A (en) Bagging machine
US699732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aundry articles
KR0185655B1 (ko)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ITTO960736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 cucitura di maniche su corpi camicia
CN111593494B (zh) 一种圆筒接布机的机头结构
US4573644A (en) Carpet rolling machine
KR20200029858A (ko) 샤워타월 제조장치
US4516703A (en) Apparatus for reversing hose
US5875989A (en) Start up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a web roll
JPH0657893B2 (ja) ロ−ビングパツケ−ジを交換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972480B2 (en) Apparatus for removing a broken pulp web from a pulp dryer
JPS5920528B2 (ja) 靴下の自動折り畳み包装機における三つ折り台紙の供給装置
SU12864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многослойного настила к вырубочному прессу
US6732669B2 (en) Machine and method for closing and stitching final edge of filled quilt cover
ITBG990004A1 (it) Perfezionamenti alle macchine infilasacchi.
EP1045049A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replacing the lap, preparing and joining its edges and restarting it in a combing machine
KR100843939B1 (ko) 코일릴의 간지제거안내장치
KR970011239B1 (ko) 직물지 검단(檢緞) 및 로울링(Rolling)작업용 직물공급장치
CN218751709U (zh) 全自动智能打包设备及应急救援车辆
JP3390105B2 (ja) 反物引き裂き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結反装置
EP04463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aming lap sheets
CN208701387U (zh) 一种羊绒吸毛装置
JP2948002B2 (ja) 織機用コップ回収装置
US4616820A (en) Material handling system
JP2948001B2 (ja) 織機用コップ自動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