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94Y1 - 원단 해포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94Y1
KR200479194Y1 KR2020140008897U KR20140008897U KR200479194Y1 KR 200479194 Y1 KR200479194 Y1 KR 200479194Y1 KR 2020140008897 U KR2020140008897 U KR 2020140008897U KR 20140008897 U KR20140008897 U KR 20140008897U KR 200479194 Y1 KR200479194 Y1 KR 200479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abric
fixed
frame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기현
Original Assignee
왕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기현 filed Critical 왕기현
Priority to KR2020140008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체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원단을 수레에 적층하는 구조를 갖되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개선하고, 원단을 열융착 방식에 의해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한 원단 해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원단 해포장치{FABRIC UNWINDER}
본 고안은 원단 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체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원단을 수레에 적층하는 구조를 갖되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개선하고, 원단을 열융착 방식에 의해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한 원단 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직된 원단을 정련, 염색, 코팅, 커팅 등과 같은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크기의 롤(Roll)형태로 감겨진 원단을 풀어서 일정크기의 수레에 지그재그 형태로 포개는 작업이 필요하며, 또한 하나의 롤에 감긴 원단은 길이가 짧기 때문에 원단을 서로 연결해서 대규모의 원단으로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원단 해포장치가 사용되는 데, 종래의 원단 해포장치는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원단이 다수의 지지롤러와 배출롤러를 통해 요동링크로 안내되고 요동링크의 선단부가 진자운동을 하면서 원단을 수레에 지그재그로 적층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원단롤을 새로 교체하기 위해 원단을 서로 연결할 때는 숙련된 경험자가 원단 해포장치의 일부분에 구비된 미싱을 통해서 원단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원단 해포장치는 요동링크를 통해 진자운동 방식으로 원단을 수레에 포개면서 적층하다 보니 높이에 따라 수레의 바닥에 놓인 원단보다 상부에 놓인 원단이 적게 펼쳐지면서 수레에 담긴 원단의 양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원단을 연결할 때 미싱을 통해 원단을 연결하다 보니 숙련된 경험자가 필요하고 원단 연결 작업성이 떨어지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3541호에는 "원단가공시스템용 원단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를 보면, 원단을 수레에 포개면서 적층할 때 대차가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원단을 수레에 최대한 적층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원단을 연결하는 구조는 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종래와 같이 미싱을 통해 원단을 연결하게 되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미싱을 사용하는 데 따른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3541호(등록일: 2011년06월15일), 발명의 명칭: "원단가공시스템용 원단배출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85655호(등록일: 1998년12월28일), 발명의 명칭: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4977호(등록일: 2010년06월11일), 발명의 명칭: "니트 원단용 수분공급 장치"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56926호(등록일: 1999년06월21일), 고안의 명칭: "봉침된 원단의 해포와 연폭을 동시에 할수 있도록 한 연폭기의 봉침원단 해포장치"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원단을 이동체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수레에 적층하는 구조를 갖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였으며, 새로운 원단롤를 설치하면서 원단과 원단을 연결할 때는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해포 작업이 개선된 원단 해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다리를 형성하는 다수의 세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로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수레수용공간이 형성된 기본프레임; 상기 기본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연결 설치된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브라켓; 상기 기본프레임의 수레수용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놓여 있는 수레; 상기 지지브라켓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단롤; 상기 가로프레임 상에서 이동체가 이동수단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체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설치되되 하부롤러는 롤러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원단을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안내하면 하부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원단이 이송되어 수레수용공간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동체가 왕복 이동을 하면서 원단을 상기 수레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게 하는 원단해포부; 상기 설치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고정열선이 원단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 고정블럭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이동열선이 원단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 이동블럭이 고정블럭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세 설치되어, 상기 원단롤에 새로운 원단롤를 교체하여 이송중인 원단과 새로운 원단을 연결하고자 할 때 이송중인 원단의 후단부와 새로운 원단의 선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고정열선과 이동열선의 사이에 놓으면 이동열선이 고정열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과 고정열선이 원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촉하면서 열에 의해 원단이 눌러 붙어 연결되도록 하는 원단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해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이동체의 상단에 설치된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하부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피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피동풀리를 서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로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봉과, 상기 이동체의 바닥에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봉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퀴와,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서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되 일부분에는 상기 받침대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게 설치된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의 일부분에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실린더의 로드는 이동블럭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로드가 신장되면 이동블럭은 고정블럭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과 고정열선이 서로 접촉되게 작동되고 로드가 수축되면 이동블럭이 고정블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과 고정열선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단 해포장치는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원단을 이동체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수레에 적층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레에 최대한 원단을 적층할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새로운 원단롤를 설치하면서 원단과 원단을 연결할 때는 숙련된 작업자가 없어도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단을 연결할 수 있어, 원단 연결작업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단 해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서 원단해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는 이동체가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도 3은 이동체가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서 원단연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는 실린더의 작동 전 상태이고, 도 5는 실린더의 작동 후 상태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단 해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서 원단해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서 원단연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원단 해포장치는 기본적으로 다리를 형성하는 다수의 세로프레임(104)과 세로프레임(104)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로프레임(102)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수레수용공간(106)이 형성된 기본프레임(100)을 구비한다. 그리고 기본프레임(100)의 일측 하부에는 설치프레임(110)이 연결 설치되고, 설치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지지브라켓(120)이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기본프레임(100)과 설치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계속해서, 기본프레임(100)의 수레수용공간(106)에는 풀어 놓은 원단을 담기 위한 수레(500)가 놓여져 있으며, 수레(500)의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120)에는 원단롤(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원단 해포장치는 원단(F)을 용이하게 수레(500)에 풀어서 담거나 원단(F)을 계속해서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원단해포부(300)와 원단연결부(400)가 구비된다.
먼저, 원단해포부(300)는 기본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원단(F)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풀어서 수레(500)에 담는 수단으로, 가로프레임(102)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체(310)와, 이동체(31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동체(310)에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설치된 상부롤러(340) 및 하부롤러(350)와, 하부롤러(35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수단은, 가로프레임(102) 상에 설치된 레일봉(320)과, 이동체(310)의 바닥에 설치된 받침대(312)와, 받침대(312)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레일봉(32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형 바퀴(314)와, 세로프레임(104)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제2모터(330)와, 제2모터(330)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332)과, 세로프레임(104)의 상단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동스프로킷(334)과, 구동스프로킷(332)과 피동스프로킷(334)을 서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되 일부분에는 받침대(312)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게 설치된 체인(3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이동수단을 작동시키면 제2모터(330)의 동력을 전달받아 체인(336)이 순환 운동을 하게 되고 체인(336)에 연결되어 있는 받침대(312)와 함께 이동체(310)가 레일봉(320)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이동체(310)의 이동 범위는 가로프레임(102)의 일부분에 센서(338)를 설치하여 이동체(310)가 한쪽으로 이동하여 한쪽 센서(338)에 도착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2모터(330)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면서 이동체(310)를 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다른쪽 센서(338)에 도달하면 다시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롤러구동수단은, 이동체(310)의 상단에 설치된 제1모터(360)와, 제1모터(360)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풀리(362)와, 하부롤러(350)의 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피동풀리(364)와, 구동풀리(362)와 피동풀리(364)를 서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3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1모터(360)가 작동하면 하부롤러(350)가 제1모터(36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부롤러(340)와 하부롤러(350)의 사이로 원단(F)을 안내하면 상부롤러(340)와 하부롤러(35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원단(F)을 잡아당겨 수레(500) 방향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부롤러(340)는 상하조절대(342)에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하조절대(342)는 이동체(310)에 상하로 위치 조절 및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설치되어, 원단(F)에 두께에 따라 상부롤러(340)와 하부롤러(350)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하조절대(342)를 위치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구조는 볼트나 핀 방식 등과 같이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원단연결부(400)는 설치프레임(110) 상에 설치되어 원단(F)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고정열선(422)이 원단(F)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 고정블럭(420)과, 설치프레임(110)의 타측에서 고정블럭(420)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열선(412)이 원단(F)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 이동블럭(410)과, 이동블럭(410)을 이동시키는 이동블럭이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열선(412)와 고정열선(422)는 전류를 공급하면 발열되는 열선을 적용한 것으로, 일단부에 전선이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블럭이송수단은 실린더(430)를 적용한 것으로, 설치프레임(110)의 일부분에 실린더(430)가 설치되고, 실린더(430)의 로드(430)는 이동블럭(41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로드(430)가 신장되면 이동블럭(410)은 고정블럭(420)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412)과 고정열선(422)이 서로 접촉하게 되며 로드(430)가 수축되면 이동블럭(410)이 고정블럭(4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412)과 고정열선(422)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원단롤(200)에 새로운 원단롤(200)를 교체하여 이송중인 원단(F)과 새로운 원단(F)을 연결하고자 할 때 이송중인 원단(F)의 후단부와 새로운 원단(F)의 선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고정열선(422)과 이동열선(412)의 사이에 놓으면 이동열선(412)이 고정열선(422)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412)과 고정열선(422)이 원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촉하면서 열에 의해 원단(F)이 눌러 붙어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고정블럭(420)의 상부에는 원단롤(200)에서 공급되는 원단(F)을 안내하여 고정블럭(420)과 이동블럭(410)의 사이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410)가 설치되는 데, 이 가이드롤러(410)는 지지브라켓(120)에 설치된 지지봉(442)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새로운 원단롤(200)에서 공급되는 새로운 원단(F)과 이송중인 원단(F)을 연결할 때는 새로운 원단(F)의 선단부는 가이드롤러(410)를 통해 고정블럭(420)과 이동블럭(410) 사이로 안내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원단 해포장치의 작동 및 작용 관계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롤형태로 감겨 있는 원단(F)을 수레(500)에 풀어서 적층하는 것으로, 원단롤(200)을 지지브라켓(120)에 설치한 후 원단(F)의 단부를 상부롤러(340)와 하부롤러(350)의 사이로 안내한 다음 장치를 작동시키면 상부롤러(340)와 하부롤러(35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원단(F)을 잡아당겨 수레(500) 방향으로 낙하시키게 되고, 이때 이동체(310)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원단(F)을 수레(500)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풀어서 적층하게 된다. 물론, 이동체(310)는 센서(338)의 감지에 의해 전후 이동이 변환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이동체(31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원단(F)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풀어주기 때문에 원단(F)은 수레(500)에 항상 동일한 폭으로 적층되고 최대로 적층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원단롤(200)에서 원단(F)이 다 풀려 새로운 원단롤(20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송중인 원단(F)과 새로운 원단(F)을 연결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이송중인 원단(F)의 후단부와 새로운 원단(F)의 선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열선(422)과 이동열선(412)의 사이에 넣고 실린더(43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실린더(430)의 로드(430)가 신장되면서 이동블럭(410)과 함께 이동열선(412)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열선(422)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412)과 고정열선(422)이 원단(F)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촉하면서 열에 의해 원단(F)이 서로 눌러 붙어 연결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원단(F)을 연결하는 작업이 열 융착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원단(F)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기본프레임 200: 원단롤
300: 원단해포부 310: 이동체
312: 받침대 314: 바퀴
320: 레일봉 336: 체인
340: 상부롤러 350: 하부롤러
400: 원단열결부 410: 이동블럭
412: 이동열선 420: 고정블럭
422: 고정열선 430: 실린더
500: 수레 F: 원단

Claims (3)

  1. 다리를 형성하는 다수의 세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로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수레수용공간이 형성된 기본프레임;
    상기 기본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연결 설치된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브라켓;
    상기 기본프레임의 수레수용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놓여 있는 수레;
    상기 지지브라켓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단롤;
    상기 가로프레임 상에서 이동체가 이동수단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체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설치되되 하부롤러는 롤러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원단을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안내하면 하부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원단이 이송되어 수레수용공간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동체가 왕복 이동을 하면서 원단을 상기 수레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게 하는 원단해포부;
    상기 설치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고정열선이 원단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 고정블럭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이동열선이 원단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 이동블럭이 고정블럭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세 설치되어, 상기 원단롤에 새로운 원단롤를 교체하여 이송중인 원단과 새로운 원단을 연결하고자 할 때 이송중인 원단의 후단부와 새로운 원단의 선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고정열선과 이동열선의 사이에 놓으면 이동열선이 고정열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과 고정열선이 원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촉하면서 열에 의해 원단이 눌러 붙어 연결되도록 하는 원단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해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이동체의 상단에 설치된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하부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피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피동풀리를 서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로프레임 상에 설치된 레일봉과, 상기 이동체의 바닥에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봉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퀴와,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서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되 일부분에는 상기 받침대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게 설치된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해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의 일부분에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실린더의 로드는 이동블럭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로드가 신장되면 이동블럭은 고정블럭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과 고정열선이 서로 접촉되게 작동되고 로드가 수축되면 이동블럭이 고정블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열선과 고정열선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해포장치.
KR2020140008897U 2014-12-03 2014-12-03 원단 해포장치 KR200479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97U KR200479194Y1 (ko) 2014-12-03 2014-12-03 원단 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97U KR200479194Y1 (ko) 2014-12-03 2014-12-03 원단 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94Y1 true KR200479194Y1 (ko) 2015-12-31

Family

ID=5517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897U KR200479194Y1 (ko) 2014-12-03 2014-12-03 원단 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595B1 (ko) * 2016-04-07 2016-06-24 (주)한도기공 실린더 압착판을 이용한 x축 및 y축 이동식 고무시트 자동 적재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926B1 (ko) 1989-07-07 1998-11-16 독토르 디터 라우어 N-벤질-n-{[[1s, 5s)-6,6-디메틸비시클로-[3.1.1]헵트-2-일)-에톡시-에틸}-모르폴리늄염 함유 위보호용 약제
KR0185655B1 (ko) 1995-02-09 1999-04-15 장팔훈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KR20000019381U (ko) * 1999-04-10 2000-11-15 정몽규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장치
KR100964977B1 (ko) 2008-05-31 2010-06-21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니트 원단용 수분공급 장치
KR20100118486A (ko) * 2009-04-28 2010-11-05 박태규 원단가공시스템용 원단배출장치
KR101190247B1 (ko) * 2009-09-08 2012-10-12 김선기 전사 원단 제조장치용 원단 공급장치용 원단 공급장치
KR101440242B1 (ko) * 2013-07-31 2014-09-12 권중형 염색기용 원단 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926B1 (ko) 1989-07-07 1998-11-16 독토르 디터 라우어 N-벤질-n-{[[1s, 5s)-6,6-디메틸비시클로-[3.1.1]헵트-2-일)-에톡시-에틸}-모르폴리늄염 함유 위보호용 약제
KR0185655B1 (ko) 1995-02-09 1999-04-15 장팔훈 직물원단의 해포 연결기
KR20000019381U (ko) * 1999-04-10 2000-11-15 정몽규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장치
KR100964977B1 (ko) 2008-05-31 2010-06-21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니트 원단용 수분공급 장치
KR20100118486A (ko) * 2009-04-28 2010-11-05 박태규 원단가공시스템용 원단배출장치
KR101043541B1 (ko) 2009-04-28 2011-06-22 박태규 원단가공시스템용 원단배출장치
KR101190247B1 (ko) * 2009-09-08 2012-10-12 김선기 전사 원단 제조장치용 원단 공급장치용 원단 공급장치
KR101440242B1 (ko) * 2013-07-31 2014-09-12 권중형 염색기용 원단 배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595B1 (ko) * 2016-04-07 2016-06-24 (주)한도기공 실린더 압착판을 이용한 x축 및 y축 이동식 고무시트 자동 적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7040465B3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Wäschestücken zu einer Wäschebehand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einer Mangel
KR101962950B1 (ko) 원단 주름 방지가 가능한 아동복용 연단기
CN104842667B (zh) 一种用于布料的数码印花设备
KR101939977B1 (ko) 스티로폼 절단기용 커팅부 구조
CN105834631B (zh) 中缝焊接系统
CN105035810A (zh) 一种接布方法
JP5764317B2 (ja) 洗濯物をマングルあるいはこれと類似のもの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907237B1 (ko) 측방펼침장치가 설치된 자동 연단기
KR200479194Y1 (ko) 원단 해포장치
KR20100106094A (ko) 네트형 컨베이어 벨트의 변부 마감용 봉제장치
JP2013172856A (ja) 大型布類に適した投入装置
CN106144739B (zh) 带边部自动理平功能的拉布系统
EP2192225A1 (en) Laundry press finishing device
JP5581019B2 (ja) 方形状布類展開装置
JP2010110574A (ja) 布類投入機における布類の受け渡し装置
KR102401367B1 (ko) 원단 다림질 장치
CN104372595B (zh) 毛衫蒸烫定型机
KR101903731B1 (ko) 롤원단 가공 시스템
CN106112239B (zh) 剪力墙用矩形多肢箍筋焊接装置的焊接机
CN110894656B (zh) 一种布料防粘连的熨平装置
CN203728292U (zh) 一种平网上网系统
CN104805609A (zh) 地毯簇绒机自动上底布及纠偏装置
CN217231138U (zh) 一种下摆缝纫机的安装机构
CN104071616A (zh) 一种用于布带检修的装置
CN106312382B (zh) 剪力墙用矩形多肢箍筋焊接装置的肢条进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