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749A -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 Google Patents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749A
KR20220163749A KR1020210072298A KR20210072298A KR20220163749A KR 20220163749 A KR20220163749 A KR 20220163749A KR 1020210072298 A KR1020210072298 A KR 1020210072298A KR 20210072298 A KR20210072298 A KR 20210072298A KR 20220163749 A KR20220163749 A KR 20220163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ransfer table
driving unit
unit
machi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434B1 (ko
Inventor
최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오
Priority to KR102021007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2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movable tables 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8Feeding articles stored in rolled or folded b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6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로써, 보다 상세하게 테이블부와 상기 테이블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단 작업을 수행하는 연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연단기 본체가 연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테이블과 상기 고정테이블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을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테이블에 원단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이 상기 연단기 본체에 인접되도록 이송되어, 상기 연단기 본체에 상기 원단을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Spreading machine for easy suppling fabric}
본 발명은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미 연단 상태인 초기 원단(절 또는 롤 형태의 원단)을 연단기에 공급할 시 구동부에 의해 초기 원단이 승강되어 초기 원단을 연단기에 공급하기 용이하며, 작업자와 테이블 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에 관한 것이다.
길게 제조된 직물 등의 원단을 일정한 길이로 펼쳐서 절단하는 작업을 연단 작업이라 한다. 이러한 연단 작업에서 대량의 원단에 대한 연단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가 연단기이다. 즉, 연단기는 테이블 상에서 직선이동하면서 원단을 펼치고, 펼쳐진 원단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2950호(2019.03.28.)에서는 원단 주름 방지가 가능한 아동복용 연단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우, 연단에 사용되는 원단을 연단기에 장착할 시, 작업자들이 손으로 들어올려 수동으로 테이블 위의 연단기에 장착하게 되는데, 원단의 무게가 평균 수십 kg, 최대 100kg으로 원단을 들어 올려 연단기에 원단을 공급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2950호(2019.03.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 연단 상태인 초기 원단을 연단기에 공급할 시 구동부에 의해 초기 원단이 승강되어 초기 원단을 연단기에 공급하기 용이하며, 작업자와 테이블 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에 있어서, 테이블부와 상기 테이블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단 작업을 수행하는 연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연단기 본체가 연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테이블과 상기 고정테이블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을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테이블에 원단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이 상기 연단기 본체에 인접되도록 이송되어, 상기 연단기 본체에 상기 원단을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연결된 구동체인과 상기 스프라켓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체인과 이송테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테이블이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연결된 구동체인과 상기 스프라켓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체인과 이송테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테이블이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이송테이블이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센서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센서와 상기 상부센서와 하부센서의 측정값을 송신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리미트센서와 상기 리미트센서의 측정값을 송신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트센서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는 미 연단 상태인 초기 원단(절 또는 롤 형태의 원단)을 연단기에 공급할 시 구동부에 의해 초기 원단이 승강되어 작업자가 초기 원단을 연단기에 공급하기 용이하며, 작업자와 테이블 간의 간섭이 최소화하는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부가 이송테이블의 직하부에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가 테이블부의 주위를 이동하는데 간섭되지 않고 동선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동부가 이송테이블의 직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원단을 연단기 본체에 공급하는 작업 시에도 구동부가 방해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는 상부센서, 하부센서 및 리미트센서를 통해 구동부 및 이송테이블과 연단기 본체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 이송테이블이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 이송테이블이 고정테이블에 내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 도 3의 (a)는 이송테이블이 하강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의 (b)는 이송테이블이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구동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측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에서, 이송테이블이 고정테이블에 내입된 상태에서 원단이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적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에서, 이송테이블의 상부에 원단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송테이블이 상승한 후, 작업자에 의해 원단이 연단기 본체로 이송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 도 8의 (a)는 보강부재가 연결부재에 인입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보강부재가 연결부재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8의 (c)는 보강부재가 연결부재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이송테이블이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 보강부재가 연결부재에 인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 이송테이블이 고정테이블에 내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 보강부재가 연결부재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이송테이블이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이송테이블에 슬라이딩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에 있어서, 테이블부(200)와, 상기 테이블부(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단 작업을 수행하는 연단기 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부(200)는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연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테이블(210)과,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이송테이블(220)과, 상기 이송테이블(220)을 이송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테이블(220)에 원단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기 연단기 본체(100)에 인접되도록 이송되어, 상기 연단기 본체(100)에 상기 원단을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마련된다. 상기 연단기 본체(100)는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상부를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롤 형태 또는 절 형태의 상기 원단을 펼치고 재단하여 같은 길이로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상부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연단기 본체(100)는 상기 원단에 대한 연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블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테이블부(200)는 상기 연단기 본체(100)를 지지하고, 상기 원단이 연단되어 펼쳐져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상기 고정테이블(210)과,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단부측에 상기 고정테이블(210)이 기설정된 넓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되는 상기 이송테이블(220)과,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정테이블(210)은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왕복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원단이 적층되어 적재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테이블(220)은 평시에는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단부측에 내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외주면과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외주면이 매끄럽게 연결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단기 본체(100)에 상기 원단을 공급할 시에는,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에 상기 원단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승하여 상기 연단기 본체(100)의 원단 적재 공간 인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들은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에 놓인 상기 원단의 양측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원단을 용이하게 상기 연단기 본체(1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테이블(220)에 적재되는 상기 원단은 롤 형태의 원단일 수 있고, 또는 절 형태의 원단(F)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기 연단기 본체(100)에 인접되도록 상기 이송테이블(220)을 이송 또는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직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상부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부(300)가 상기 테이블부(200)의 직하부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상기 테이블부(200)의 주위를 이동하는데 간섭되지 않고, 상기 작업자의 동선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가 상기 테이블부(200)의 직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작업자가 상기 원단을 상기 연단기 본체(100)에 공급하는 작업 시에도 상기 구동부(300)가 방해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연단기 본체(100)는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연단 작업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단기 본체(100)는 연단 작업 시, 상기 고정테이블(2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기설정된 이격된 범위 내에서 연단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송테이블(220)은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단부 인근, 즉, 연단 작업 시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이송되지 않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부(200)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단기 본체(100)에 이상이 발생하여 수리가 필요하여 상기 연단기 본체(100)를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단부로 이송시켜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기 고정테이블(210)에 내입된 상태로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단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구비되지 않는 종래의 작업 테이블과 같이 상기 연단기 본체(100)를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단부로 이송시킬 수 있어, 상기 연단기 본체(100)의 수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300)는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라켓(331)과, 상기 스프라켓(331)에 연결된 구동체인(332)과, 상기 스프라켓(331)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33)와, 상기 구동체인(332)과 이송테이블(220)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체인(3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33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양측과 대응되게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일단부는 지면에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테이블(210)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테이블(220)은 상기 원단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 상기 구동모터(333)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따라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상부로 상승하거나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하부로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33)는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동력 전달 수단(도면 미도시)을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라켓(331)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라켓(331)을 구동시킨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라켓(331)은 구동 스프라켓이고,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라켓(331)은 종동 스프라켓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34)는 상기 구동체인(332)의 이동시에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구르는 복수개의 롤러(도면 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체인(332)이 정지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복수개의 롤러와 수직프레임(310)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22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테이블(220) 및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에 적재된 상기 원단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도면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34)는 상기 연결부재(334)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부재(3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335)는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기 연결부재(334)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즉, 상기 보강부재(335)는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 막대형상의 프레임으로,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강부재(335)는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승 시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기 연단기 본체(100)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업자가 상기 원단을 이송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보강부재(335)로 인하여,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최고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작업자가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에 적재된 상기 원단을 상기 연단기 본체(100)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 상기 이송테이블(220), 보강부재(335) 및 연결부재(334)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부(3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센서(340)와, 상기 구동부(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센서(350)와, 상기 상부센서(340)와 하부센서(350)의 측정값을 송신하고, 상기 구동부(330)를 제어하는 제어부(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상부센서(340)와 하부센서(350)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센서(340)는 상기 연결부재(334)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재(334)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센서(340)가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상표시(도면 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센서(340)는 상기 상표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60)로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상부센서(3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333)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334)가 상기 테이블부(200)의 하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센서(350) 역시 상기 연결부재(334)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재(334)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센서(350)가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하표시(도면 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센서(350)는 상기 하표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60)로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하부센서(35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333)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334)가 지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 시 상기 구동부(300)가 상기 테이블부(200) 또는 지면과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고정이 발생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부(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333)의 회전, 정지 및 회전방향을 작업자가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부(370)는 상기 구동모터(333)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구동모터(333)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컨트롤러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구동모터(333)를 제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승강 시 빛을 발생하는 발광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엘이디 등 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승강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외주면 타측에는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승강 시 소리를 발생하는 음향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부는 스피커 등 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승강여부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승강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의 연단작업 과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롤 형태의 원단 또는 절 형태의 원단(F)이 창고에서부터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단부 인근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송테이블(220)은 상기 고정테이블(210)에 내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상기 롤 형태의 원단 또는 절 형태의 원단(F)을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테이블부(200)의 직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작업자가 상기 롤 형태의 원단 또는 절 형태의 원단(F)을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데 어떠한 간섭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상기 버튼부(370)를 통해 상기 이송테이블(220)을 상승시켜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기 연단기 본체(100)의 원단공급지점 인근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는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에 적재된 상기 롤 형태의 원단 또는 절 형태의 원단(F)을 상기 연단기 본체(100)로 이송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원단을 상부로 들어 올리는 작업 없이 평행이동만으로 용이하게 상기 원단을 상기 연단기 본체(100)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보강부재(335)가 상기 연결부재(334)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는 점과 리미트센서(380)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에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있는 경우,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승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연단기 본체(100), 이송테이블(220) 및 구동부(300)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재(335)는 상기 연결부재(334)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35)가 상기 연결부재(334)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연결부재(334)는 상기 보강부재(33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홈(도면 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홀에 상기 보강부재(335)가 삽입된 후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재(334)와 보강부재(335)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334)는 상기 연결부재(334)의 측면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336)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335)의 측면부에는 상기 홀(336)과 대응되는 돌기(337)가 마련되며, 상기 보강부재(335)는 탄성소재로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홈에 삽입된 후 상기 보강부재(335)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여 상기 돌기(337)가 상기 홀(336)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부재(334)와 보강부재(335)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강부재(335)가 상기 연결부재홈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보강부재(335)가 상기 연결부재(334)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최고점 또는 최저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35)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보강부재(335)가 상기 연결부재(334)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유압 실린더(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강부재(335)의 인입 또는 인출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테이블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리미트센서(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리미트센서(380)는 상기 이송테이블(220)로부터 상기 연단기 본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고정테이블(210)의 상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센서(380)는 상기 리미트센서(380)의 상부에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리미트센서(380)의 상부에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60)로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리미트센서(38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333)가 정지되거나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하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송테이블(220)과 연단기 본체(100)가 간섭되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례로, 상기 리미트센서(380)는 제1리미트센서(381)와 상기 제1리미트센서(381) 보다 상기 연단기 본체(100)와 더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2리미트센서(3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리미트센서(381)와 제2리미트센서(382)는 근접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제2리미트센서(382)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자가 오감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경고알람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발광부 및 음향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경고알람은 상기 발광부 또는 음향부를 통해 발생되는 빛 또는 소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가 상기 제1리미트센서(381)와 제2리미트센서(382)로부터 각각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구동모터(333)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기 고정테이블(210)에 내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333)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정지될 수 있도록 경고신호를 상기 연단기 본체(100) 또는 상기 작업자의 모니터로 송신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기 고정테이블(210)로부터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연단기 본체(100)가 상기 이송테이블(2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연단기 본체(100)와 이송테이블(220)이 충돌함에 따라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부(221)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테이블(220)은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부(221)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슬라이딩부(221)는 상기 원단이 적재되는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면에 균일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221)는 상기 원단과 이송테이블(220)의 상부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에 적재된 상기 원단이 상기 이송테이블(220)로부터 직선 이송될 시, 상기 원단이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슬라이딩부(221)는 미끄럼 베어링 또는 롤러일 수 있으며,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상의 선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단이 상기 이송테이블(220)의 상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테이블(220)이 상승한 후, 상기 작업자가 상기 원단을 상기 연단기 본체(10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시, 상기 슬라이딩부(2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단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연단기 본체
200 : 테이블부
210 : 고정테이블
220 : 이송테이블
221 : 슬라이딩부
300 : 구동부
310 : 수직프레임
331 : 스프라켓
332 : 구동체인
333 : 구동모터
334 : 연결부재
335 : 보강부재
336 : 홀
337 : 돌기
340 : 상부센서
350 : 하부센서
360 : 제어부
370 : 버튼부
380 : 리미트센서
381 : 제1리미트센서
382 : 제2리미트센서
F : 절 형태의 원단

Claims (5)

  1. 테이블부; 및
    상기 테이블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단 작업을 수행하는 연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연단기 본체가 연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테이블;
    상기 고정테이블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이송테이블; 및
    상기 이송테이블을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테이블에 원단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이송테이블이 상기 연단기 본체에 인접되도록 이송되어, 상기 연단기 본체에 상기 원단을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에 연결된 구동체인;
    상기 스프라켓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체인과 이송테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테이블이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이송테이블이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센서;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센서; 및
    상기 상부센서와 하부센서의 측정값을 송신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리미트센서; 및
    상기 리미트센서의 측정값을 송신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트센서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KR1020210072298A 2021-06-03 2021-06-03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KR10254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98A KR102548434B1 (ko) 2021-06-03 2021-06-03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98A KR102548434B1 (ko) 2021-06-03 2021-06-03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749A true KR20220163749A (ko) 2022-12-12
KR102548434B1 KR102548434B1 (ko) 2023-06-27

Family

ID=8439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298A KR102548434B1 (ko) 2021-06-03 2021-06-03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4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472B1 (ko) * 2013-12-18 2014-04-29 (주)세명정밀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KR101962950B1 (ko) 2018-08-14 2019-03-28 유한회사 블루진 원단 주름 방지가 가능한 아동복용 연단기
KR102225987B1 (ko) * 2020-05-27 2021-03-11 박선출 원단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472B1 (ko) * 2013-12-18 2014-04-29 (주)세명정밀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KR101962950B1 (ko) 2018-08-14 2019-03-28 유한회사 블루진 원단 주름 방지가 가능한 아동복용 연단기
KR102225987B1 (ko) * 2020-05-27 2021-03-11 박선출 원단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434B1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2535B2 (ja) ロ―ル支持・供給装置
KR101106601B1 (ko) 섬유 부자재 자동 절단기
KR101630133B1 (ko) 반도체 및 lcd 제조설비의 호이스트
KR102548434B1 (ko)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CN205708787U (zh) Led支架自动检测机传送机构
KR102225987B1 (ko) 원단 이송장치
CN108996299B (zh) 一种气动布兜拉布机
KR102094257B1 (ko) 철판절곡기의 철판자동공급장치
US5947407A (en) In-line automated roll stand
KR100529688B1 (ko) 자동식 억지끼움장치
KR100738656B1 (ko) 시트고무 자동 공급장치
KR10141184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KR101258224B1 (ko)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101410428B1 (ko) 자재인양기
KR100912499B1 (ko) 롤 쵸크 선회장치
JP4033007B2 (ja) 物品保管設備の安全装置
KR102606884B1 (ko) 원단 절단 장치 및 방법
CN204999365U (zh) 一种纸品加工设备的上纸装置
JP6660874B2 (ja) アシストスーツ
KR102605802B1 (ko)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KR101491977B1 (ko) 카페트용 재봉장치
KR20150145974A (ko) 드리븐세트의 자동 치 맞춤장치
US6929114B1 (en) Crossover conveyor system
KR10223457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비상 정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