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428B1 - 자재인양기 - Google Patents

자재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428B1
KR101410428B1 KR1020130119069A KR20130119069A KR101410428B1 KR 101410428 B1 KR101410428 B1 KR 101410428B1 KR 1020130119069 A KR1020130119069 A KR 1020130119069A KR 20130119069 A KR20130119069 A KR 20130119069A KR 101410428 B1 KR101410428 B1 KR 10141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rizontal
transfer unit
mov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근
Original Assignee
오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근 filed Critical 오경근
Priority to KR102013011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공사현장의 슬래브에 형성된 자재인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이송하는 자재인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중앙부에 자재가 통과하는 통로(110)가 형성되며 자재인양 개구부에 거치되는 수평몸체부(100); 상기 수평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몸체부(200); 상기 수직몸체부(200)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송롤러(300); 상기 수직몸체부(20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자재인양모터(400); 상기 수평몸체부(10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재지지이송부(500); 및, 상기 수직몸체부(200)와 마주보는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일측면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와 함께 이동하는 지지롤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가 상기 수직몸체부(200) 방향으로 접근하여 상기 지지롤러(600)와 상기 이송롤러(300) 사이에 인양될 건축자재가 밀착지지되면 상기 자재인양모터(400)가 작동되면서 상기 이송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재인양기{Building Material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건축물 공사현장의 슬래브에 형성된 자재인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자동 이송하는 자재인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센서와 연동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자재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인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재 인양 개구부는 아파트 및 건축물의 공사에서 사용되는 각종 자재를 계단 또는 발코니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하층에서 상층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양(운반)하기 위해서 시공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중량물인 자재를 하층에서 상층으로 인양하는 과정에서 자재 인양 개구부의 측면과 자재가 맞닿은 상태에서 들어올려야 하므로, 이로 인해 마찰 및 충격이 발생하여 자재의 손상은 물론 자재 인양 개구부의 균열을 유발시키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특히 작업자가 자재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재 인양 개구부의 측면과의 충격 및 마찰로 인해서 작업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시간의 지연으로 작업성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개구부(11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자재 인양 개구부(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걸림턱(112)이 돌출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롤러(1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인양 개구부용 인양 보조부재(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439호)가 제시되었으나, 자재 인양시 측면 충격과 마찰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어느 정도 도모할 수 있으나, 여전히 인력에 의존하는 관계로 자재 인양시 안전사고의 위험과 함께 작업자를 힘들게 하여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상층으로 인양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자재인양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인양 과정에서 자재나 인양 개구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자재인양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센서와 연동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다양한 규격을 자재를 자동 인양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자재인양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물 공사현장의 슬래브에 형성된 자재인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이송하는 자재인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중앙부에 자재가 통과하는 통로(110)가 형성되며 자재인양 개구부에 거치되는 수평몸체부(100); 상기 수평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몸체부(200); 상기 수직몸체부(200)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송롤러(300); 상기 수직몸체부(20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자재인양모터(400); 상기 수평몸체부(10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재지지이송부(500); 및, 상기 수직몸체부(200)와 마주보는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일측면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와 함께 이동하는 지지롤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가 상기 수직몸체부(200) 방향으로 접근하여 상기 지지롤러(600)와 상기 이송롤러(300) 사이에 인양될 건축자재가 밀착지지되면 상기 자재인양모터(400)가 작동되면서 상기 이송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자재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상층으로 인양할 수 있으며, 인양 과정에서 자재나 인양 개구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센서와 연동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다양한 규격의 자재를 자동 인양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자재인양 보조부재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a) 평면도 및 (b)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a) 평면도 및 (b)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공사현장의 슬래브에 형성된 자재인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이송하는 자재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수평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중앙부에 자재가 통과하는 통로(110)가 형성되며 자재인양 개구부에 거치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게 제작되어 자재인양 개구부에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고, 상부는 자재인양 개구부보다 길게 제작되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평몸체부(100)의 구체적인 형상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재인양 개구부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수직몸체부(200)는 수평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몸체부(100)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수평몸체부(100)와 수직몸체부(200)는 본 발명의 전체 골격을 형성하면서 각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송롤러(300)는 수직몸체부(200)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자재 인양시 사용된다.
자재인양모터(400)는 수직몸체부(200)에 고정설치되며 이송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다수 개의 이송롤러(300)는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모두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자재지지이송부(500)는 수평몸체부(10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수직몸체부(200)와 마주보는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일측면 전방에는 지지롤러(600)가 설치되어 자재지지이송부(500)와 함께 이동한다.
아울러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이나 가이드바가 수평몸체부(100)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자재지지이송부(500)가 수직몸체부(200) 방향으로 접근하여 지지롤러(600)와 이송롤러(300) 사이에 인양될 건축자재가 밀착지지되면 자재인양모터(400)가 작동되면서 이송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이송시킨다.
자재지지이송부(500)는 동력장치가 구비된 자동이송수단(700)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자동이송수단(700)으로 2가지의 구체적 실시예가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방향 자동 이송 수단으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예를 들어 벨트와 풀리 방식, 체인과 스프로켓 방식, 케이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2에 적용된 자동이송수단(700)은 이동모터(710), 피니언기어(720) 및 랙기어(730)로 구동되는 방식이다. 즉 랙 피니언 개념을 활용한 것이다.
이동모터(710)는 자재지지이송부(500)에 장착되고, 이동모터(710)의 회전축에는 피니언기어(720)가 결합된다.
이러한 피니언기어(720)는 수평몸체부(10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기어(730)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이동모터가 작동하면 피니언기어(720)가 회전하게 되면서 자재지지이송부(5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3에는 자동이송수단(700)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동모터(710), 회전체(740) 및 나사봉(750)으로 구동되는 방식이다. 즉 볼스크류 개념을 활용한 것이다.
이동모터(710)는 자재지지이송부(500)에 장착되고, 회전체(740)는 자재지지이송부(500)에 장착되어 이동모터(7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체(740)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중공이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회전체(74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모터(710)의 회전력을 바벨기어 방식으로 전달받는데 이동모터(710)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자재지지이송부(5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회전체(740)의 중심부에 구비된 중공에는 나사봉(750)이 통과하도록 삽입 체결된다.
나사봉(750)은 수평몸체부(100)에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장착되는데, 나사봉(750)의 외주면을 따라 숫나사가 형성된다.
아울러 회전체(740)의 중공에는 나사봉(750)이 삽입 체결되는데, 이동모터(710)의 작동으로 회전체(740)가 회전하면 자재지지이송부(5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동모터(710)가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회전체(74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체(740)의 중공에 구비된 암나사에 나사봉(7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가 체결된 상태이므로 회전체(740)가 회전하면 회전체(740)는 나사봉(75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회전체(740)는 자재지지이송부(500)에 장착된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자재지지이송부(500)가 회전체(740)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1센서(810)는 수평몸체부(100)의 통로(110) 내부에 들어온 자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센서의 종류나 설치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수평몸체부(100)의 통로(110) 내부에 로딩된 자재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면 되는데 상용화된 비접촉식 광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센서(810)는 자재가 인양됨에 따라 자재의 하단부가 지지롤러(6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자재의 인양이 거의 완료되어 지지롤러(600)와 이송롤러(300) 사이에서 자재가 빠져나오기 직전의 위치)하였는지 여부도 감지할 수 있는데, 제1센서(810)가 이를 감지하면 자재인양모터(4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미리 대처하기 전에 상층부로 자동 인양된 자재가 지지롤러(600)와 이송롤러(300) 사이에서 빠져나와 전도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센서(820)는 이동모터(710)의 회전부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통상적으로 이동모터(710)로 공급되는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2센서(820)의 경우도 설치 위치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모터(710)에 이러한 센서 기능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센서(810)와 제2센서(820)의 작용으로 자재를 상층으로 자동 인양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센서(810)가 자재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이동모터(710)에 전달하여 이동모터(710)가 자동 작동되면서 자재지지이송부(500)를 수직몸체부(200)로 접근시키고, 지지롤러(600)가 자재를 이송롤러(300) 방향으로 밀어서 밀착시킴에 따라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수평이동이 정지하여 이동모터(710)의 회전부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면 제2센서(820)가 이동모터(7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보낸다. 이와 함께 제2센서(820)는 자재인양모터(400)를 자동 작동시키는 신호를 보내고 자재인양모터(400)의 작동으로 지지롤러(600)와 이송롤러(300) 사이에 밀착지지된 자재가 상층으로 인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수평몸체부
110:통로
200:수직몸체부
300:이송롤러
400:자재인양모터
500:자재지지이송부
600:지지롤러
700:자동이송수단
710:이동모터
720:피니언기어
730:랙기어
740:회전체
750:나사봉
810:제1센서
820:제2센서

Claims (6)

  1. 건축물 공사현장의 슬래브에 형성된 자재인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이송하는 자재인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중앙부에 자재가 통과하는 통로(110)가 형성되며 자재인양 개구부에 거치되는 수평몸체부(100);
    상기 수평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몸체부(200);
    상기 수직몸체부(200)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송롤러(300);
    상기 수직몸체부(20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자재인양모터(400);
    상기 수평몸체부(10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재지지이송부(500); 및,
    상기 수직몸체부(200)와 마주보는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일측면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와 함께 이동하는 지지롤러(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가 상기 수직몸체부(200) 방향으로 접근하여 상기 지지롤러(600)와 상기 이송롤러(300) 사이에 인양될 건축자재가 밀착지지되면 상기 자재인양모터(400)가 작동되면서 상기 이송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인양기.
  2. 제1항에서,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장치가 구비된 자동이송수단(700);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인양기.
  3. 제2항에서,
    상기 자동이송수단(700)은,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에 장착되는 이동모터(710);
    상기 이동모터(71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720); 및,
    상기 수평몸체부(100)에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720)와 맞물리는 랙기어(7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인양기.
  4. 제2항에서,
    상기 자동이송수단(700)은,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에 장착되는 이동모터(710);
    상지 자재지지이송부(500)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모터(7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중심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중공이 구비된 회전체(740); 및,
    상기 수평몸체부(100)에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을 따라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740)의 암나사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체(740)를 관통하는 나사봉(75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인양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수평몸체부(100)의 통로(110) 내부에 들어온 자재를 감지하는 제1센서(810); 및,
    상기 이동모터(710)의 회전부하를 감지하는 제2센서(820);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센서(810)가 자재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상기 이동모터(710)에 전달하여 상기 이동모터(710)가 자동 작동되면서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를 상기 수직몸체부(200)로 접근시키고,
    상기 지지롤러(600)가 자재를 상기 이송롤러(300) 방향으로 밀어서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자재지지이송부(500)의 수평이동이 정지하여 상기 이동모터(710)의 회전부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면 상기 제2센서(820)가 상기 이동모터(7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보내고, 상기 자재인양모터(400)를 자동 작동시키는 신호를 보내어 상기 지지롤러(600)와 상기 이송롤러(300) 사이에 밀착지지된 자재를 상층으로 인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인양기.
  6. 제5항에서,
    상기 제1센서(810)는,
    자재가 인양됨에 따라 자재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롤러(6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자재인양모터(4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인양기.
KR1020130119069A 2013-10-07 2013-10-07 자재인양기 KR101410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069A KR101410428B1 (ko) 2013-10-07 2013-10-07 자재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069A KR101410428B1 (ko) 2013-10-07 2013-10-07 자재인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428B1 true KR101410428B1 (ko) 2014-06-20

Family

ID=5113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069A KR101410428B1 (ko) 2013-10-07 2013-10-07 자재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8465A (zh) * 2022-08-23 2022-11-04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构件成品防护系统
KR20230075799A (ko) 2021-11-23 2023-05-3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인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10U (ko) * 1998-09-21 2000-04-25 맹원재 사진 현상지의 표면 엠보싱 성형기
KR20110003623A (ko) * 2009-07-06 2011-01-13 박균덕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KR20110120385A (ko) * 2010-04-29 2011-11-04 고문성 거푸집 판넬 리프트
KR20130107463A (ko) * 2012-03-22 2013-10-02 박기우 건축용 자재인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10U (ko) * 1998-09-21 2000-04-25 맹원재 사진 현상지의 표면 엠보싱 성형기
KR20110003623A (ko) * 2009-07-06 2011-01-13 박균덕 파이프 상승운반장치
KR20110120385A (ko) * 2010-04-29 2011-11-04 고문성 거푸집 판넬 리프트
KR20130107463A (ko) * 2012-03-22 2013-10-02 박기우 건축용 자재인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799A (ko) 2021-11-23 2023-05-31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인양 방법
CN115288465A (zh) * 2022-08-23 2022-11-04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构件成品防护系统
CN115288465B (zh) * 2022-08-23 2023-07-25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构件成品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019B1 (ko) 협잡물 이송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KR100997530B1 (ko)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이송방법
KR101447737B1 (ko) 공동주택 옥상의 거치식 크레인
JP6319046B2 (ja) 搬送装置
CN205892054U (zh) 一种生产线
CN105083902A (zh) 一种适用于楼板布置的贴地式辊道输送机构
KR101410428B1 (ko) 자재인양기
CN204896637U (zh) 一种适用于楼板布置的贴地式辊道输送机构
JP5447941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20140000670U (ko) 운송장치
KR100500728B1 (ko)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JP6128085B2 (ja) 昇降装置および補助駆動ユニット
KR101410863B1 (ko)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안전곤돌라
KR101253876B1 (ko) 벨트컨베이어 장치
KR101493072B1 (ko) 압연롤 로딩시스템
CN115259017B (zh) 载物架及含该载物架的移动式顶升输送机
JP5181897B2 (ja) 昇降装置およびガントリローダ
ITBS20080050A1 (it) Metodo di azionamento di un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pezzi e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in particolare per l'esecuzione di detto metodo
CN204999365U (zh) 一种纸品加工设备的上纸装置
JP2010235287A (ja) 物品保管設備
KR20150127896A (ko) 물류운반용 도킹지그이동형 안전곤돌라
CN210456459U (zh) 一种往复式直角旋转垂直提升机
CN204060566U (zh) 一种油缸起升式陆地动力猫道
KR101929753B1 (ko) 비계에 설치되는 조립용 케이블 레스 상하이송장치
KR102548434B1 (ko) 원단의 공급이 용이한 연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