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979U -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979U
KR19990032979U KR2019970045791U KR19970045791U KR19990032979U KR 19990032979 U KR19990032979 U KR 19990032979U KR 2019970045791 U KR2019970045791 U KR 2019970045791U KR 19970045791 U KR19970045791 U KR 19970045791U KR 19990032979 U KR19990032979 U KR 199900329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abric
air cylinder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9150Y1 (ko
Inventor
박희복
Original Assignee
박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복 filed Critical 박희복
Priority to KR2019970045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15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원단 연폭기(連幅機)용 원단롤 공급장치에 관한분야.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연폭기에 원단롤을 공급시키는 종래방법은 주로 인력에 의존하여 공급하는 방법이었기에 작업자들이 원단롤을 일일히 이송·운반·공급시킬수 밖에 없어 인력이 과다하게 들고, 또 원단롤이 정확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잦아 연폭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며, 생산성도 크게 떨어졌던 것임.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고안은 연폭기 앞에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리프트와 연폭기의 도입부로 롤링된 원단을 공급시켜주는 원단롤 이송장치가 서로 연동하도록 하여 원단롤 공급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원단롤을 연폭기로 공급시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하고, 원단롤 공급에 따른 신뢰성을 극대화시킬수 있도록 하려는데 고안의 요지가 있다 할 것임.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연폭기에 원단롤을 공급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임.

Description

원단 연폭기(連幅機)용 원단롤 공급장치
본 고안은 원단 연폭기(連幅機)용 원단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원단 연폭기로 공급하는 원단롤을 매우 효율적으로 이송·공급시킴으로써 시간 및 인력절감을 극대화시키고, 원단 연폭기의 안정적인 작업을 유도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뢰성을 극대화시킬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원단 연폭기는 롤링된 원단을 풀어주면서 원단과 원단을 봉재연결시켜주는 장치로서, 원단롤을 연폭기의 도입부(롤링된 원단의 선단부를 봉재장치부 위치까지 자동으로 풀어 주는 부분임)에 정확한 위치로 공급시켜 주어야만 원단과 원단의 봉재연결을 정확하게 할수 있게 되어 연폭기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같은 연폭기에 원단롤을 공급시키는 종래방법은 주로 인력에 의하여 공급하는 방법이었기에 작업자들이 원단롤을 일일히 이송·운반·공급시킬 수 밖에 없어 인력이 과다하게 들고, 또 원단롤이 정확한 위치로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도 잦아 연폭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며, 생산상도 크게 떨어졌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원단롤을 연폭기 근처로 이송시켜주는 작업자를 비롯하여 이송된 원단롤의 끝단을 펴서 봉재하는 작업자등등 여러사람이 필요할수 밖에 없어 인력과 시간의 과대소요로 인한 원가상승을 막을 길이 없었고, 더불어 원단과 원단이 봉재연결되는 과정에서 정확성을 기대하기 어려워 경쟁력이 크게 떨어짐은 물론 신뢰성이 저조하게 되는등 많은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본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원단롤 공급장치의 구성을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리프트와 연폭기의 도입부로 롤링된 원단을 공급시켜주는 원단롤 이송장치로 구성하여 파렛트(Pallet) 위에 다수의 원단롤을 "#"형으로 다단적재한 상태에서 지게차로 파렛트를 들어 리프트 위에 올려준후 리프트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적층된 원단롤의 상단부가 원단롤 이송장치의 선단의 신축수대위로 원활하게 공급시켜줄수 있도록 하고, 또 리프트의 상단 안착판이 90°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원단롤이 "#"형으로 다단적재된 상태에서도 원단롤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원단롤 이송장치의 선단에 설치된 공급수대가 연폭기로 원단롤을 1롤씩 정확하게 이송공급시킴으로써 연폭기에 원단롤 공급시 인력과 시간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고, 더불어 원단롤 공급에 따른 신뢰성을 극대화 시킬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고안의 전체정면도
도 2는 본고안의 원단롤 리프트에 대한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원단롤 이송장치의 도입부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로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6은 본고안의 원단롤 이송장치 도입부에 설치된 신축수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고안의 원단롤 이송장치의 공급부에 대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 확대단면도
도 9은 도 7의 D-D'선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7의 E-E'선 확대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F-F'선 단면도
도 12는 본고안의 공급부에 대한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단연폭기2 : 원단롤 공급장치
3 : 리프트4 : 이송장치
4', 4" : 프레임31 : 유압실린더
32 : 승강구조물33 : 상판
34 : 스퍼어기어35 : 랙기어
36 : 랙기어가이드37 : 유압실린더
38 : 안착판39 : 지지대
40 : 로울러41 : 다리
42 : 신축수대장치부43, 43' : 이송콘베이어
44 : 원단롤스톱퍼장치45 : 원단롤공급부
46 : 수대46' : 프레임
47 : 로울러48 : "ㄷ"형 안내레일
49 : 연결간50 : 에어실린더
50' : 로드51 : 사각관체
52 : 측방향안내로울러53 : 작동로울러
54 : 축55 : 에어실린더
56 : 링크57 : 원단롤
58 : 박스59 : 충격감지판
60 : 스톱퍼61 : 안내프레임
62 : 에어실린더63, 63', 64 : 안내로울러
65 : 랙기어66 : 안내레일
67 : 보조프레임68 : 원단롤감지센서
69 : 감지봉70 : 압축스프링
71 : "ㄴ"형 원단롤 공급판72 : 에어실린더
73 : 안내로울러74 : 체인
75 : 회전축76 : 피니언
77, 78 : 리밋트스윗치79, 80 : 감지편
81 : 롤링원단풀림부
원단 연폭기(1) 앞에 원단롤 공급장치(2)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원단롤 공급장치(2)는 리프트(3)와 원단롤 이송장치(4)로 구성하여 이들이 원단연폭기(1)와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게 하되,
리프트(3)은 유압실린더(31)<또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강절첩되는 통상의 승강구조물(32)위의 상판(33) 중앙부에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스퍼어기어(34)를 유설하고, 상기 스퍼어기어(34)와 치합되게 유압실린더(37)<또는 공압실린더>와 연결설치된 랙기어(35) 및 랙기어가이드(36)를 설치하여 스퍼어기어(34)의 주축(34')에 안착판(38)이 고정된 상태에서 90°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상판(33)의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대(39)를 고정설치 하면서 지지대(39) 상단에 로울러(40)를 유설함으로써 안착판(38)이 롤링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수 있도록 하였다.
원단롤 이송장치(4)는 다수의 다리(41)로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토록 설치하되, 신축수대장치부(42)와 이송콘베이어(43)(43'), 그리고 원단롤 스톱퍼장치(44)와 원단롤 공급부(45)로 구성하여,
신축수대장치부(42)는 도 1∼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수대(46) 양측 프레임(46')에 다수의 로울러(47)를 유설하여 이 로울러(47)가 원단롤 이송장치(4)의 선단프레임(4') 양측에 고정 설치된 "ㄷ"형 안내레일(48)을 타고 이송할수 있도록 하되, 수대 저면 중앙위치에 연결간(49)을 형성시켜, 이곳에 프레임(4') 중앙상면에 고정설치된 에어실린더(50)의 로드(50')가 연결설치되게 하고, 수대의 프레임(46') 사이에 사각관체(51)를 약간 경사지게 고정설치하여 사각관체(51)의 경사진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측방향으로 안내로울러(52)를 다수설치하며, 사각관체(51) 저면에는 이송콘베이어(43)과 (43') 및 에어실린더(50)를 사이에 두고 다수조의 상·하 작동로울러(53)를 고정한 축(54)을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켜주는 에어실린더(55)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축(54)과 에어실린더(55)의 로드가 링크(56)로서 유설되게 함으로써 상·하 작동로울러(53)의 선단부가 에어실린더(55)에 의해 일정한 각도 만큼 승강하면서 원단롤(57)을 이송콘베이어(43)(43') 위로 공급시켜준다거나 공급을 중단시켜주는 작용을 할수 있도록 하였으며,
측방향 안내로울러(52)와 상·하 작동로울러(53)이 교차되는 지점 일측단부에 충격스위치가 내장된 박스(58)와 연결된 충격감지판(59)을 설치하여 상기 충격감지판(59)에 원단롤(57)을 밀어 부딪히게 하면 에어실린더(55)가 작동하도록 하였다.
원단롤 스톱퍼장치(44)는 도 7과 도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단롤 이송장치(4)의 후단프레임(4") 상측에 15°∼45°가량 경사지게 설치하되, 이는 선단부에 스톱퍼(60)를 설치한 안내프레임(61)과 에어실린더(62)가 서로 연결설치되어 안내로울러(63)(63')와 (64)에 의해 안내프레임(61)이 경사지게 작동하게 하고 에어실린더(62)는 후미가 후단프레임(4")에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원단롤공급부(45)는 도 7∼도 11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단롤 스톱퍼장치(44) 하측에 15°∼45°가량 경사지게 설치하되, 이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65)를 고정설치한 안내레일(66) 선단부에 t1형 보조프레임(67)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보조프레임(67) 선단상측에는 중앙부에 원단롤 감지센서(68)와 연동하는 감지봉(69)을 압축스프링(90)으로 설치하여서 된 "ㄴ"형 원단롤공급판(71)을 유설하며 원단롤 공급판(71)과 안내레일(66) 사이에 에어실린더(72)를 설치하여, 상기 에어실린더(72)가 원단롤 공급관(71)을 작동시킬수 있도록 하였다.
또 안내레일 상·하부 양측의 적정위치에 안내로울러(73)를 유설하고, 랙기어(65)는 모타와 연결된 체인(74)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75)에 고정설치된 피니언(76)에 의해 이송되게 구성하였다.
또한 안내레일(66) 하측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채로 리밋트스위치(77)과 (78)을 설치하되, 리밋트스위치(77)보다 (78)이 더 돌출되게 설치하였고, 안내레일(66) 끝단부와 중단부는 감지편(79)와 (80)을 설치고정하되, 감지편(79)과 (80)보다 돌출되게 설치하여 감지편(79)는 리밋트스위치(78)에 작용되게 하고, (80)은 리밋트스위치(77)에 작용되게 하여 모타에 의해 피니언(76)이 회전하면 안내레일(66)이 돌출되어 원단롤(57)을 원단롤 공급판(71)에 실어 인출되다가 감지편(79)가 리밋트스위치(80)에 작용하면 피니언(76)의 구동이 정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에어실린더(72)가 작동하여 원단롤공급판(71)을 들어올려 원단롤(57)을 연폭기(1)의 롤링원단 풀림부(81)로 공급시켜주게 되며, 이어서 피니언(76)이 역회전하면서 안내레일(66)을 원위치로 복귀시켜주게 되는데, 감지편(80)이 리밋트스위치(79)에 작용하는 순간 모타의 작동이 정지되게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연폭기(1)로 원단롤을 공급함에 있어서 인력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고 신뢰성을 극대화시킬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안의 원단롤 공급장치(2)는 리프트(3)와 원단롤 이송장치(4)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원단롤공급을 효율적으로 시킬수 있게 된다.
리프트(3)은 원단롤을 "#"형으로 다단적층시켜 원단롤을 위에서부터 차근차근 원단롤 이송장치(4)로 공급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 파렛트 위에 원단롤을 "#"형으로 다단적재한 상태에서 이를 지게차등을 이용하여 리프트(3)의 안착판(39)위에 안착시켜 놓고, 이어서 유압실린더(31)를 적절히 작동시켜 적층된 원단롤의 상단을 원단롤 이송장치(4)의 신축수대장치부(42)에 공급하기 좋도록 맞춘다.
이때 원단롤은 옆으로 굴렸을때 신축수대장치부(42)로 굴러 이송될수 있도록 위치하여야 하며, 이러한 상태로 되면 작업자가 옆에 서서 수대(46)로 원단롤(57)을 굴려주기만 하면 된다.
또한 수대(46)로 굴러 이송된 원단롤(57)은 축방향 안내로울러(52)로 굴러 내려와 상·하 작동로울러(53)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작업자가 원단롤(57)을 충격감지판(59)으로 밀어 부딪히게 하면 충격감지판(59)과 연결된 충격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에어실린더(55)를 작동시킴으로써 상·하 작동로울러(53) 선단부가 하강하면서 원단롤(57)이 이송콘베이어(43)(43')를 타고 이송되게 되는 것이며, 원단롤(57)이 이송콘베이어(43)(43')의 선단부로 이송하여 스톱퍼(60)에 걸리면 이송콘베이어(43)(43')의 구동은 정지되게 된다.
이어서 연폭기(1)와의 작용에 의해 원단롤(57)을 연폭기로 공급할때 제일먼저 에어실린더(62)가 작동하여 스톱퍼(60)를 끌어내려줌으로써 [원단롤의 이송을 차단시킬때는 스톱퍼가 에어실린더(62)에 의해 인출되어 있게 됨] 이송콘베이어(43)(43') 선단에 위치해 있던 원단롤(57)이 "ㄴ"형 원단롤 공급판(71) 위에 낙하되고 이때 상기 원단롤 공급판(71) 위로 돌출된 감지봉(69)이 원단롤(57)의 자중에 의해 눌려 원단롤 감지센서(68)를 작동시킴으로써, 모타(도시하지 않음)가 체인(74)을 돌려 회전축(75) 및 피니언(76)을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피니언(76)은 랙기어(65)와 일체로 된 안내레일(66)을 작동시켜 안내레일(66)이 경사방향으로 길게 인출되게 하고, 이 과정에서 안내레일(66)에 설치된 감지편(79)이 리밋트스위치(78)에 접속되는 순간 모타의 동력이 정지하면서 에어실린더(72)가 작동하여 원단롤 공급판(71)을 재껴줌으로써 원단롤 공급판(71)위에 재치되어 있던 원단롤(57)을 연폭기(1)의 롤링원단 풀림부(81)로 공급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단롤(57)이 롤링원단 풀림부(81)로 공급된 직후 에어실린더(72)가 복귀하면서 원단롤공급판(7)을 최초의 상태로 원복시키고, 이와 동시에 모타(도시하지 않음)가 역회전하여 피니언(76)을 역회전 시킴으로써 안내레일(66)이 경사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며, 안내레일(66)이 설치된 감지편(80)이 리밋트스위치(77)에 접속되면 모타의 동작이 정지되고, 안내레일(66) 또한 하강이 정지하게 된다.
한편 리프트(3)에 적층된 원단롤(57)은 층마다 격자형으로 반복적층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최상층의 원단롤이 모두 이송되고 난뒤에는 유압실린더(31)를 작동시켜 승강구조물(32)을 적절한 높이로 상승시키고, 이어서 에어실린더(50)를 작동시켜 신축수대장치부(42)를 원단롤 이송장치(4)쪽으로 이송시켜 리프트(3)의 안착판(38)이 회전할수 있는 여유공간을 형성한 다음 유압실린더(37)를 작동시키면 유압실린더(37) 선단부가 랙기어(35)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스퍼어기어(34)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리프트(3)에 적층된 원단롤은 최상측에 적층된 원단롤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이어서 적층된 원단롤의 방향설정이 끝난 뒤에는 에어실린더(50)가 다시 작동하여 신축수대장치부(42)를 원위치로 복귀시켜줌으로써 원단롤의 이송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작업이 계속 반복됨으로써 원단 연폭기로 원단롤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리프트(3)와 원단롤 이송장치(4)로서 원단롤 공급장치(2)를 구성하여 유기적으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연폭기(1)로 원단롤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시간 및 인력을 크게 절감할수 있게 되고 더불어 원단롤이 연폭기로 균일한 위치와 속도로 공급될수 있게 되어 공장 자동화와 신뢰성 극대화에 크게 기여할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통상의 원단 연폭기(1) 앞에 원단롤 공급장치(2)를 설치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원단롤 공급장치(2)는 리프트(3)와 원단롤 이송장치(4)로 구성하되, 리프트(3)는 유압실린더(31)에 의해 상·하로 승강절첩되는 통상의 승강구조물(32) 위에 상판(33)을 설치하고 상판(33) 위에 회전가능토록 안착판(38)을 유설하여 구성하며,
    원단롤 이송장치(4)는 신축수대장치부(42)와 이송콘베이어(43)(43') 그리고 원단롤스톱퍼장치(44)와 원단롤 공급부(45)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2. 1항 기재에 있어서,
    승강구조물(32) 위의 상판(33) 중앙부에 스퍼어기어(34)를 유설하고,
    상기 스퍼어기어(34)와 치합되게 유압실린더(37)<또는 공압실린더도 가능함>와 연결설치된 랙기어(35) 및 랙기어가이드(36)를 설치하며, 상기 스퍼어기어(34)의 주축에 안착판(38)이 고정되어 유압실린더(37)의 작용에 따라 90°각도로 정·역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판(33)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로울러(40)를 유설한 지지대(39)를 고정설치하여 안착판(38)이 롤링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3. 1항 기재에 있어서,
    원단롤 이송장치(4)의 신축수대장치부(42)는,
    수대(46) 양측의 프레임(46')에 다수의 로울러(47)를 유설하고 원단롤 이송장치(4)의 선단프레임(4') 양측에는 "ㄷ"형 안내레일(48)을 대응설치하여 로울러(47)와 안내레일(48)이 서로 유기적인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며,
    수대 저면 중앙위치에 연결간(49)을 형성시키고, 프레임(4') 중앙 상면에는 에어실린더(50)를 고정시켜, 상기 에어실린더(50)의 로드(50')가 연결관(49)과 연결설치되게 하며,
    수대의 프레임(46') 사이에 사각관체(51)를 약간 경사지게 고정설치하여 사각관체(51)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측방향 안내로울러(52)를 다수 설치하고, 사각관체(51) 저면에는 이송콘베이어(43)(43') 및 에어실린더(50)를 사이에 두고 다수조의 상·하 작동로울러(53)를 고정한 축(54)을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켜주는 에어실린더(55)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축(54)과 에어실린더(55)의 로드가 링크(56)로서 유설되게 하여 축(54)을 중심으로 상·하 작동로울러(53)가 승강작동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4. 3항 기재에 있어서,
    측방향 안내로울러(52)와 상·하 작동로울러(53)이 교차되는 지점 일측단부에 충격스위치가 내장된 박스(58)와 연결된 충격감지판(59)을 설치하여 상기 충격감지판(59)에 원단롤(57)이 부딪히면 에어실린더(55)가 작동하여 상·하 작동로울러(53)가 축(54)을 중심으로 하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5. 1항 기재에 있어서,
    원단롤 이송장치(4)의 원단롤 스톱퍼장치(44)는,
    원단롤 이송장치(4)의 후단프레임(4") 상측에 15°∼45°가량 경사지게 설치하되, 이는 선단부에 스톱퍼(60)를 설치한 안내프레임(61)과 에어실린더(62)가 서로 연결설치되어 안내로울러(63)(63')와 (64)에 의해 안내프레임(61)이 경사지게 작동하게 하고, 에어실린더(62)는 후미가 후단프레임(4")에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6. 1항 기재에 있어서,
    원단롤 공급부(45)는 원단롤 스톱퍼장치(44) 하측에 15°∼45°가량 경사지게 설치하되, 이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65)를 고정설치한 안내레일(66) 선단부에 t2형 보조프레임(67)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보조프레임(67) 선단 양측에는 중앙부에 원단롤 감지센서(68)와 연동하는 감지봉(69)을 압축스프링(70)으로 설치하여서 된 "ㄴ"형 원단롤 공급판(71)을 유설하며 원단롤 공급판(71)과 안내레일(66) 사이에 에어실린더(72)를 설치하여 상기 에어실린더(72)가 원단롤 공급관(71)을 작동시킬수 있도록 안내레일 상·하부 양측의 적정위치에 안내로울러(73)를 유설하고 랙기어(65)는 모타와 연결된 체인(74)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75)에 고정설치된 피니언(76)에 의해 이송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7. 6항 기재에 있어서,
    안내레일(66) 하측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채로 리밋트스위치(77)과 (78)을 설치하되, 리밋트스위치(77)보다 (78)이 더 돌출되게 설치하고, 안내레일(66) 끝단부와 중단부에는 감지편(79)와 (80)을 설치하되, 감지편(79)가 (80)보다 돌출되게 설치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KR2019970045791U 1997-12-31 1997-12-31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KR200169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791U KR200169150Y1 (ko) 1997-12-31 1997-12-31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791U KR200169150Y1 (ko) 1997-12-31 1997-12-31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79U true KR19990032979U (ko) 1999-07-26
KR200169150Y1 KR200169150Y1 (ko) 2000-03-02

Family

ID=1952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791U KR200169150Y1 (ko) 1997-12-31 1997-12-31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15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826B1 (ko) * 2001-08-10 2004-01-13 주식회사 동진물류 원단 자동연속 에이징시스템
KR100447485B1 (ko) * 2002-06-27 2004-09-07 장익순 오픈 콤팩터 폴딩작업의 리프팅장치
KR101487367B1 (ko) * 2014-02-24 2015-02-05 주식회사 스마일 원단공급장치
CN108262384A (zh) * 2018-01-22 2018-07-10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弹条自动上料提升机构
CN109969832A (zh) * 2019-03-13 2019-07-05 昆山新井田智能设备有限公司 布匹卷料输送机、验布装置及布匹检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83B1 (ko) * 2002-06-27 2004-09-07 장익순 오픈 콤팩터의 원단중량 감지장치
KR101390472B1 (ko) * 2013-12-18 2014-04-29 (주)세명정밀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826B1 (ko) * 2001-08-10 2004-01-13 주식회사 동진물류 원단 자동연속 에이징시스템
KR100447485B1 (ko) * 2002-06-27 2004-09-07 장익순 오픈 콤팩터 폴딩작업의 리프팅장치
KR101487367B1 (ko) * 2014-02-24 2015-02-05 주식회사 스마일 원단공급장치
CN108262384A (zh) * 2018-01-22 2018-07-10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弹条自动上料提升机构
CN108262384B (zh) * 2018-01-22 2023-11-24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弹条自动上料提升机构
CN109969832A (zh) * 2019-03-13 2019-07-05 昆山新井田智能设备有限公司 布匹卷料输送机、验布装置及布匹检验方法
CN109969832B (zh) * 2019-03-13 2023-11-17 昆山新井田智能设备有限公司 布匹卷料输送机、验布装置及布匹检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150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2234A (en) Blank feeding machine
KR200169150Y1 (ko)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CN210709140U (zh) 一种辊道式输送机顶升装置
KR20100062180A (ko) 완성타이어 출하 작업용 디스태커
CN219525125U (zh) 一种防堆积皮革输送线
KR100259515B1 (ko) 롤포밍기 및 롤포밍기용 스택커
KR200314855Y1 (ko)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
CN110540032A (zh) 送料机
JP4515662B2 (ja) 給紙方法
CN209815077U (zh) 一种自动翻转料斗的上料装置
CN209922570U (zh) 印刷机自动收纸器
JPH0248462B2 (ko)
KR100915537B1 (ko) 파렛트 자동 전사기
KR200307830Y1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20100119450A (ko) 타발기용 블랭킹 머신
KR100936466B1 (ko) 포대의 자동 정렬 및 공급장치
CN215317979U (zh) 玻璃转向直线输送机构
CN214358727U (zh) 一种板材加工用翻转装置
KR100505787B1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960013622B1 (ko) 자동 적재장치
CN219258728U (zh) 一种传送机构
CN213170712U (zh) 丝网印刷机的承印物给料机构
CN216945551U (zh) 一种新型的堆叠料设备
JPH0235704Y2 (ko)
CN219566707U (zh) 一种翻转辊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