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830Y1 -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830Y1
KR200307830Y1 KR20-2002-0039157U KR20020039157U KR200307830Y1 KR 200307830 Y1 KR200307830 Y1 KR 200307830Y1 KR 20020039157 U KR20020039157 U KR 20020039157U KR 200307830 Y1 KR200307830 Y1 KR 200307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lignment
packaging box
shaft
pack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9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건
Original Assignee
삼성포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포장(주) filed Critical 삼성포장(주)
Priority to KR20-2002-0039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26Feeding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2Application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 상하에 한쌍으로 고정되고 양 끝단이 밸브와 연결되며 수개의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봉으로 구성된 적층이송장치와; 상기 적층이송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모우터 및 축과 연결되어 프레임 상면을 지나는 이송벨트와 중앙에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전방 일측에는 이중의 감지센서가 형성되며 하부의 다리에 의해 전측이 후측보다 높은 경사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구성된 회전이송장치와; 상기 회전이송장치와 연결 설치되며 하부 다리에 의해 후측이 전측보다 높은 경사로 구성되며 선단에 제1정렬수단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한 로울러로 구성된 무동력이송장치와; 상기 무동력이송장치와 연결 구성되며 하측은 다리로 지지되며 선단에 제2정렬수단을 가지며 연장수단을 갖는 프레임과 하부의 모우터 및 축과 연결되며 프레임 상면을 지나는 이송벨트로 구성된 이송정렬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장치와 접는장치 사이를 자동화 라인으로 구성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이루어 기업의 대외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An automatic supply device for 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공급장치와 과 접는장치 사이에 포장박스의 회전과 자동이송이 가능한 장치를 연결 설치하여 작업자를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포장박스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은 제품의 안전을 위해 포장공정을 거쳐서 출하되는데 포장재로는 포장물품의 특성 및 형상을 고려하여 합판, 합성수지, 골판지 등이 사용되나 근래에는 골판지 형태의 포장박스가 많이 사용되어 지고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골판지 형태의 포장박스 제작공정은 인쇄공정과와 접는공정 사이에 포장박스의 인쇄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뒤집어 주는 회전공정이 꼭 필요로 한다.
즉, 포장박스의 인쇄공정을 살펴보면 포장박스에 각종 문자나 그림을 인쇄하기 위해 인쇄롤러를 지나게 된다 이때 인쇄롤러는 인쇄물감이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 상측에 설치되므로 포장박스의 인쇄부는 항상 상측이 된다.
그러나 상측에 인쇄가 새겨진 포장박스가 뒤집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접는 공정으로 넘어갈 경우 포장박스를 접는기계의 구조상 포장박스를 접을 시 인쇄부가 포장박스 내측으로 가게 접혀지므로 포장박스의 인쇄부를 외측에서 식별할 수 없어 포장박스을 사용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의 인쇄공정과 접는공정은 기계화가 되어 있으나 포장박스를 뒤집는 공정은 일일이 작업자가 인쇄공정을 거친 포장박스를 수거한 뒤 일정분량의 포장박스를 뒤집은 후 무동력 로울러를 이송하여 포장박스를 접는기계의 수거부에 운반해야 함으로 작업공정이 번거롭고 자동화가 되지 않아 많은 인력이 소모되며 이에 따른 작업능률 저하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쇄가 완료된 포장박스의 공급공정과 접는공정 사이를 자동화 라인을 형성하여 인력난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화 라인을 형성하여 작업공간을 줄여 작업장의 공간활용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적층이송장치를 제외한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적층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전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정렬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연장수단과 제2정렬수단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부호의 설명>
A: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10:공급장치
20:적층이송장치 21:프레임
22:지지봉 23:걸림편
24:밸브 30:회전이송장치
31:모우터 32:회전축
33:이송벨트 34:감지센서
35:프레임 36:다리
37:회전수단 37a:모우터
37b:체인 37c:스프라켓
37d:회전축 37e:회전부재
37f:삽입부 37g:센서
40:무동력이송장치 41:프레임
42:다리 43:로울러
44:제1정렬수단 44a:지지판
44b:핸들 44c:지지봉
44d:록킹수단 44e:안내봉
44f:고정판 44g:실린더
44h:정렬판 50:이송정렬장치
51:모우터 52:축
53:이송벨트 54:프레임
55:다리 56:연장수단
56a:핸들 56b:피니언기어
56c:래크 56d:고정축
57:제2정렬수단 57a:실린더
57b:정렬판 60:접는장치
61:수거부 62:포장박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프레임 상하에 한쌍으로 고정되고 양 끝단이 밸브와 연결되며 수개의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봉으로 구성된 적층이송장치와; 상기 적층이송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모우터 및 축과 연결되어 프레임 상면을 지나는 이송벨트와 중앙에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전방 일측에는 이중의 감지센서가 형성되며 하부의 다리에 의해 전측이 후측보다 높은 경사로 형성된 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회전이송장치와; 상기 회전이송장치와 연결 설치되며 하부 다리에 의해 후측이 전측보다 높은 경사로 구성되며 선단에 제1정렬수단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한 로울러로 구성된 무동력이송장치와; 상기 무동력이송장치와 연결 구성되며 하측은 다리로 지지되며 선단에 제2정렬수단을 가지며 연장수단을 갖는 프레임과 하부의 모우터 및 축과 연결되며 프레임 상면을 지나는 이송벨트로 구성된 이송정렬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 끝단이 체인에 의해 모우터와 연결된 스프라켓과 결합되고 양측으로 삽입부를 가지는 수개의 회전부재가 형성된 회전축으로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정렬수단은 외측 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판을 지지봉을 연결하고 일측 지지판에는 지지봉과 고정되고 핸들과 축으로 설치된 안내봉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봉과 연결 구성되고 고정판을 갖는 록킹수단과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며 선단에 정렬판이 형성된 실린더로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수단은 프레임 내측에 피니언기어와 맞물림 되는 래크를 삽입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일측이 핸들과 연결된 축으로 연결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적층이송장치를 제외한 전체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적층이송장치의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전수단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정렬수단의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연장수단과 제2정렬수단의 사시도 이다.
상기의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급부(10)에서 이송된 포장박스(62)를 일정단위로 적층하여 다음 장치로 보내는 적층이송장치(20)와, 이송된 포장박스(62)의 인쇄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주고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장치(30)와, 포장박스(62)를 로울러(43)에 의해 무동력으로 이송하는 무동력이송장치(40)와, 포장박스(62)를 접는장치(60)의 바로 전 단계인 수거부(61)까지 이송, 정렬하는 이송정렬장치(5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장치(10) 다음에 연결 설치되며 회전이송장치(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적층이송장치(20)는 프레임(21) 상측에 형성되며 상하 한쌍으로 설치되는 지지봉(2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22) 측면에는 수개의 포장박스(62)가 걸림 되는 걸림편(2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22)은 끝단에 형성된 90°전환이 가능한 밸브(24)의해 제어된다.
상기 적층이송장치(20)와 연결 설치되는 회전이송장치(30)에는 하측을 지지하는 다리(36)에 의해 프레임(35) 후측이 전측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5) 하측의 모우터(37a) 및 회전축(37d)과 연결되는 이송벨트(33)가 프레임(35)의 상면을 지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35)의 중앙에는 회전수단(37)을 구비하고 선단에는 이중으로 감지센서(34)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5) 측면에는 회전수단(37)과 대응되는 위치에 센서(38g)를 부착한다.
상기 회전수단(37)은 삽입부(37f)를 가지는 수개의 회전부재(37e)가 회전축(37d)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7d)은 끝단 일측은 베어링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스프라켓(37c)과 연결되며 상기 스프라켓(37c)은 프레임(35) 하측에 고정 설치된 모우터(31)와 체인(37b)에 의해 연결 구성된다.
상기 회전이송장치(30)와 연결 설치되는 무동력이송장치(40)는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42)에 의해 프레임(41) 후측이 전측보다 높게 형성하고 즉, 상기 회전이송장치(30)의 전측과 무동력이송장치(40)의 후측이 단차가 생기지 않는 나란한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포장박스(62)의 이송에 무리가 없어야 한다.
상기 프레임(41) 사이는 회동 가능한 수개의 로울러(43)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41)의 양측면에는 포장박스(62)의 측면을 정렬하는 제1정렬수단(4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정렬수단(44)은 프레임(41) 양측으로 지지봉(44c)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판(44a)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지지판(44a)에는 핸들(44b)과 연결되며 외측이 수나사부로 형성된 안내봉(44e)이 부착되며 상기에 지지봉(44c)에는 하측으로 고정판(44f)을 가지는 록킹수단(44d)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44f)에는 선단에정렬판(44h)을 구비한 실린더(44g)가 부착된다.
상기 무동력이송장치(40)와 연결 설치되는 이송정렬장치(50)는 하측이 다리(55)로 지지되며 선단 하측으로 제2정렬수단(57)을 구비하고 내부에 연장수단(56)을 구비한 프레임(54)과 하부의 모우터(51) 및 축(52)과 연결되며 프레임(54) 상면을 지나는 이송벨트(53)로 구성된다.
상기 제2정렬수단(57)은 선단에 정렬판(57b)이 형성된 실린더(57a)가 프레임(54)의 하측에 고정 형성되며, 상기 연장수단(56)은 프레임(54) 내측에 핸들(56a)과 고정축(56d)으로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6b)와 맞물림 구성된 래크(56c)가 삽입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공정을 거친 포장박스(62)가 공급장치(10)를 거쳐 하나씩 적층이송장치(20)로 공급되면 하단의 지지봉(22)에 형성된 걸림편(23)에 걸려서 포장박스(62)는 계속 적층되고 미리 입력된 포장박스(62)의 수량이 되면 지지봉(22)에 연결된 밸브(24)가 작동하여 지지봉(22)의 회전에 의해 걸림편(23)이하향하여 일정단위로 적층된 포장박스(62)는 회전이송장치(20)의 선단에 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단의 지지봉(22)에 형성된 걸림편(23)이 지지봉(22)에 연결된 밸브(24)의 작동에 의해 내향하게 되고 공급장치(10)로 부터 하나씩 공급되는 포장박스(62)를 잠시 보관하는 상태에서 하측의 걸림편(23)이 밸브(24)의 작동에 의해하향하면 포장박스(62)가 회전이송장치(30)에 떨어져 이송이 이루어지고 어느 정도 포장박스(62)의 이송간격이 이루어지면 상단의 걸림편(23)은 밸브(24)의 작동에 의해 보관하고 있던 포장박스(62)를 쏟아 하측으로 보내고 이때 하측의 걸림편(23)은 밸브(24)의 작동에 의해 이미 내향하고 있으므로 쏟아진 포장박스(62)를 다시 받아서 보관하고 있다가 다시 입력된 수량이 채워지면 밸브(24)에 의해 걸림편(23)이 외측으로 열려 적층된 포장박스(62)를 다시 회전이송장치(30)로 보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측의 걸림편(23)이 밸브(24)의 작동에 의해 개별로 일정 시간을 가지며 작동하는 것은, 일정단위로 적층된 포장박스(62)가 일률적으로 어느 정도의 간격을 가지며 이송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이송장치(30)로 보내진 포장박스(62)는 모우터(31)와 연결된 이송벨트(33)에 안치되어 이송되다가 회전부재(37e)의 삽입부(37f) 도착하면 센서(37g)가 이를 감지하여 모우터(37a)에 전달하여 모우터(37a)의 작동으로 체인(37b)에 의해 모우터(37a)와 연결된 스프라켓(37c)이 회전하면 이와 연결된 회전축(37d)이 회전하고 자연이 회전부재(37e)도 회전을 하게되어 회전부재(37e)의 삽입부(37f)에 대기하고 있던 포장박스(62)가 반대편측을 이송 된다.
즉, 포장박스(62)의 인쇄부가 상측에 위치해 있다가 뒤집어 지면서 하측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이송장치(30)의 선단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감지센서(34)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지나는 포장박스(62)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통과할 때는 상관없으나만일 두개의 포장박스(62)가 간격이 없이 붙어서 이송될 경우 감지센서(34)의 설치 간격이 포장박스(62) 하나의 세로폭 보다는 크고 두개의 세로폭 보다는 동일하거나 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장박스(62)의 이송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후측의 공급장치(10)를 단속하여 정지시킨다.
아무런 이상이 없을 경우 회전이송장치(30)를 통과한 포장박스(62)는 이송벨트(33)를 통해 무동력이송장치(40)로 이송된다.
후측이 높고 전측이 낮은 경사로 형성된 상기 무동력이송장치(40)에 일정단위로 적층된 포장박스(62)가 이송되면 포장박스(62)의 자중으로 회전 로울러(43)를 미끄러져 이송정렬장치(5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무동력이송장치(40)의 전방에는 포장박스(62)의 측면을 정렬을 위한 제1정렬수단(44)이 형성되어 있어 포장박스(62)의 측면이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실린더(44g) 선단에 구비된 정렬판(44h)이 실린더(44g)의 작동에 의해 포장박스(62)의 측면에 접촉되어 포장박스(62) 측면을 정렬시킨다.
만일 포장박스(62)의 폭이 적을 경우 제1정렬수단(44)의 지지판(44a)에 마련된 핸들(44b)을 회전시키면 실린더(44g)가 지지봉(44c)과 연결된 록킹수단(44d)의 고정판(44f)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44f)은 수나사로 형성된 안내봉(44e)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포장박스(62)를 폭에 부합하는 간격으로 실린더(44g) 선단의 정렬판(44h)을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조절이 끝난 후 록킹수단(44d)으로 잠금 하면 실린더(44g)가 이동되지 않는 고정 상태가 된다.
상기 무동력이송장치(40)를 통과한 포장박스(62)는 이송정렬장치(50)로 이동하고 모우터(51)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53)에 의해 자동으로 포장박스(62) 수거부(61)까지 이송된다.
한편 상기 수거부(61)에 이송된 포장박스(62)는 후측의 정렬 위하여 이송정렬장치(50) 선단에 구비된 제2정렬수단(57)의 작동하고 상기 제2정렬수단(57)에 형성된 실린더(57a) 선단의 정렬판(57b)이 실린더(57a)의 작동에 의해 포장박스(62)의 후측을 밀어 다져줌으로 포장박스(62)는 접는장치(60)로 넘어가기 전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송정렬장치(50)의 선단 프레임(54) 내측에는 연장수단(56)이 구비되어 있어 만일 포장박스(62)의 세로폭이 커질 경우 핸들(56a)을 회전시키면 래크(56c)와 맞물림 되어 있는 피니언기어(56b)가 회전 직선운동을 함에 따라 프레임(54) 내측에 삽입되어 있던 래크(56c)가 돌출 되면서 이송정렬장치(50)의 길이가 연장되어 포장박스(62)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효과는 포장박스 인쇄공급장치와 포장박스 접는장치 사이의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공간을 줄여 작업장의 공간활용을 대폭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포장박스 인쇄공정에서 접기가 완료된 포장박스 완제품을콘테이너로 이송하는 마지막 공정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화 라인으로 구성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자동화 라인의 구성으로 기업의 인력난을 방지하고 생산성 향상을 이루어 기업의 대외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이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5)

  1. 프레임 상하에 한쌍으로 고정되고 양 끝단이 밸브와 연결되며 수개의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봉으로 구성된 적층이송장치와;
    상기 적층이송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모우터 및 축과 연결되어 프레임 상면을 지나는 이송벨트와 중앙에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전방 일측에는 이중의 감지센서가 형성되며 하부의 다리에 의해 전측이 후측보다 높은 경사로 형성된 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회전이송장치와;
    상기 회전이송장치와 연결 설치되며 하부 다리에 의해 후측이 전측보다 높은 경사로 구성되며 선단에 제1정렬수단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한 로울러로 구성된 무동력이송장치와;
    상기 무동력이송장치와 연결 구성되며 하측은 다리로 지지되며 선단에 제2정렬수단을 가지며 연장수단을 갖는 프레임과 하부의 모우터 및 축과 연결되며 프레임 상면을 지나는 이송벨트로 구성된 이송정렬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측 끝단이 체인에 의해 모우터와 연결된 스프라켓과 결합되고 양측으로 삽입부를 가지는 수개의 회전부재가 형성된 회전축으로 구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수단은 외측 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판을 지지봉을 연결하고 일측 지지판에는 지지봉과 고정되고 핸들과 축으로 설치된 안내봉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봉과 연결 구성되고 고정판을 갖는 록킹수단과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며 선단에 정렬판이 형성된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수단은 프레임 내측에 피니언기어와 맞물림 되는 래크를 삽입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일측이 핸들과 연결된 축으로 연결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렬수단은 프레임 하측 선단으로 정렬판을 가지는 실린더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
KR20-2002-0039157U 2002-12-31 2002-12-31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200307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157U KR200307830Y1 (ko) 2002-12-31 2002-12-31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157U KR200307830Y1 (ko) 2002-12-31 2002-12-31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799A Division KR100505787B1 (ko) 2002-12-31 2002-12-31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830Y1 true KR200307830Y1 (ko) 2003-03-17

Family

ID=4940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9157U KR200307830Y1 (ko) 2002-12-31 2002-12-31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83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80B1 (ko) 2007-06-13 2008-01-09 박인만 충진 장치
KR100942391B1 (ko) 2008-02-17 2010-02-18 이재민 윈도우 디지탈 락
KR101425504B1 (ko) 2013-04-26 2014-08-01 (주)대림이엔지 박스 봉함기
KR101657452B1 (ko) * 2015-07-23 2016-09-19 주보원 장입 리프팅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80B1 (ko) 2007-06-13 2008-01-09 박인만 충진 장치
KR100942391B1 (ko) 2008-02-17 2010-02-18 이재민 윈도우 디지탈 락
KR101425504B1 (ko) 2013-04-26 2014-08-01 (주)대림이엔지 박스 봉함기
KR101657452B1 (ko) * 2015-07-23 2016-09-19 주보원 장입 리프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8491B2 (ja) 多数個パックの包装装置
US7645113B2 (en) Automatic carton stacker/collator
CN212424340U (zh) 一种差速转包输送机
CA1046095A (en) Stack tilter and feeding means for automatic blank handling
JP2012066851A (ja) 紙管の結束積み重ね方法と装置
KR200307830Y1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CN105947722A (zh) 一种高速瓦楞纸板数码印刷分纸系统
FI86285C (fi) Anordning foer stapling saerskilt av tryckalster som tillfoers oeverlappsvis samt foerfarande foer anordningens drift.
KR100505787B1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CN213323935U (zh) 一种纸箱自动打包机的对齐装置
WO2002004293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ouvercles
CN213893024U (zh) 一种捆绑机的堆垛装置
KR920007685Y1 (ko) 경계석 큐빈 적재기
KR20130085390A (ko) 완전 정렬이 가능한 공간 활용형 용지 반전 적재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골판지 합지장치
KR101895376B1 (ko) 포장박스용 반전기
US4717142A (en) Sheets aligner for use in a printing press
KR19990032979U (ko) 원단 연폭기용 원단롤 공급장치
JPH07291449A (ja) パレット上の物品の移載装置、刷本束の搬送装置および刷本束の移送方法
CN213947560U (zh) 包装纸板的上料装置
KR200179206Y1 (ko) 시트판 이송용 팩스키드 공급장치
JP2000233854A (ja) 積み重ねシートの反転装置
CN211808081U (zh) 一种实时计数的胶粘机
CN114988193B (zh) 一种堆垛机的排出传动装置及堆垛机
KR950008351Y1 (ko) 성형물의 적재 이송장치
JPS5929999Y2 (ja) パルプベ−ル解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