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062B1 -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 및 적층 구조물 - Google Patents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 및 적층 구조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062B1
KR0130062B1 KR1019890012342A KR890012342A KR0130062B1 KR 0130062 B1 KR0130062 B1 KR 0130062B1 KR 1019890012342 A KR1019890012342 A KR 1019890012342A KR 890012342 A KR890012342 A KR 890012342A KR 0130062 B1 KR0130062 B1 KR 013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composition
weight
ethylen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324A (ko
Inventor
리 이-화
Original Assignee
.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
Publication of KR90000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6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 및 적층 구조물
본 발명은 배리어(barrier) 중합체에 폴리스티렌을 결합시키기에 유용한, 에틸렌 공중합체, 개질된 에틸렌 공중합체, 스티렌 중합체 및 포화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의 압출가능한 접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에 의한 동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202,033호(1988. 6. 3출원)에는, 유용한 접착성을 제공하고 특히 폴리스티렌을 기체 배리어 중합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충격 개질된 폴리스티렌과 팬단트(pendant) 산 또는 산 유도체 관능성을 함유하는 공단량체로 그라프팅시킴으로써 개질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블렌드가 공개되어 있다.
적층물에 대한 유사한 접촉 시스템이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무라 일행에 의한 일본 출원 53 018 653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존재하에 적어도 1개의 비닐리덴 단량체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무수물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 100중량부의 에틸렌 카르복실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3-100중량부의 수소화된 석유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진 수지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나카가와 일행의 미합중국 특허 제4,670,349호에는 (A)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 알파-올레핀 임의의 공중합체, (B) 0.01 내지 10중량%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거기에 그 유도체 그라프터(grafter)를 함유하는 개질된 폴리에틸렌 및 (C) 1 내지 125중량부의 수소화된 방향족 석유 슈지의 접착 수지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이 수지는 에틸렌 비닐 공중합체에 폴리스티렌을 적층시키기 위한 접착제로서 적당하다.
보그의 미합중국 특허 제4,358,557호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탄화 수소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또는 로진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점착 부여제, 파라핀 왁스 및 방향족 탄화 수소 수지로 구성된 고온-용융 접착제가 공개되어 있다.
더글라스 일행의 미합중국 특허 제3,932,332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파라핀 왁스 및 스티렌과 알파-메틸 스티렌 공중합체의 접착제를 공개하고 있다.
나카바이야시 일행의 미합중국 특허 제4,576,995호에는 스티렌 비닐 단량체 및 알파, 베타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에 그라프트-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 개질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와 폴리스티렌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공개하고 있다. 이들로부터 제조된 적층물은 향상된 기체 배리어 성질을 갖는 심교 성형(deep draw forming)물질로서 가치가 있다.
일본 출원 540 57582(데르웬트 초록 46260B/25로 보고됨)에는 폴리스티렌 수지층,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누화 생성물 층 및 60% 부타디엔을 함유하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6% VA) 및 말레산 무수물-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층의 수지 적층물을 공개하고 있다.
일본 출원 58203043(데르웬트 초록 84-008480/02)에는 접착층이 폴리스티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5-50% VA) 및 예컨대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의 블렌드인 유사한 적층물이 공개되어 있다.
일본 출원 59055743에는 (a) 불포화된 카르복실산 또는 무수물로 그라프트 개질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b) 예컨대 스티렌으로 그라프트-개질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c) 비개질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결합층과 비누화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기체 배리어 수지층, 스티렌기 수지층을 용융 동시 압출시킴으로써 특징지어지는 수지 적층물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필수적으로
(a)(i) 약 45 내지 약 95중량%의 에틸렌과, 2-20개 탄소원자의 불포화된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 상기 불포화된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산기가 1-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된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0 내지 약 3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이들과 공중합되는 적어도 1개의 공단량체 및 팬단트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관능성을 함유하는 그라프팅된 공단량체(상기 그라프팅된 공단량체는 전체 결합 수지 조성물의 약 0.03 내지 약 0.5중량%를 구성한다). 약 5내지 약 55중량%와의 공중합체 약 1 내지 100중량% ; 및
(ii) 약 45 내지 약 95중량%의 에틸렌과 2-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불포화된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 상기 불포화된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산기가 1-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된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0 내지 약 3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들과 공중합되는 적어도 한개의 공단량체 약 5 내지 약 55중량%와의 공중합체 0 내지 약 99중량%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고, 공중합체(i)와 공중합체(ii)가 공통으로 적어도 1개의 상기 공중합가능한 공단량체를 함유하고, 공중합체(ii)내에 각각 그러한 공통 공단량체의 양은 공중합체(i)내의 상응하는 공단량체 양의 약 10%내이며, 각 공중합체 내에 그러한 공통 공단량체 이외의 상기 공중합된 공단량체의 전체 양이 약 10% 이하인 적어도 약 35 내지 약 84중량%의 에틸렌 공중합체부 ;
(b) 약 15 내지 약 45중량%의 폴리스티렌 ; 및
(c) 적어도 약 80%의 포화도를 갖는 표화된 지환족 탄화 수소 수지 약 1 내지 약 25중량%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층,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층 및 결합층으로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지 조성물의 층으로 구성된 적층 구조물을 제공한다. 그러한 구조물은 구조적 강도와 배리어 성질의 바람직한 조합과 층들간의 뛰어난 접착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는 약 35 내지 약 84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65중량%의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 약 15 내지 약 45중량%의 폴리스티렌 및 약 1 내지 25중량%의 포화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의 블렌드로 구성된다.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은 팬단트산 또는 산 유도체 관능성으로 그라프팅된 에틸렌 공중합체로 구성된다. 원한다면 이 그라프팅된 공중합체는 첨가의 비그라프팅된 에틸렌 공중합체와 블렌딩될 수 있다. 그러한 블렌딩은 조성물의 뛰어난 접착성 성질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더 비싼 그라프팅된 재료의 양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라프팅된 에틸렌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50중량%의 에틸렌 공중합체 부분으로 존재한다. 이 성분은 2-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불포화된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 상기 불포화된 모노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산기가 1-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된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0 내지 약 3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5 내지 약 55, 바람직하게는 약 9 내지 약 30중량%의 공중합된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일산화 탄소의 양은 단지 30중량% 이상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제조가 반응기 오염 문제 때문에 실행할 수 없는 것으로 믿어지므로 제한된다). 비닐 아세테이트는 바람직한 공단량체이지만 임의로 세번째 단량체로서 존재하는 일산화탄소와 함께, 메틸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등도 또한 매우 적당하다. 공중합체의 나머지는 본질적으로 공중합된 에틸렌이다. 그러한 공중합체는 잘 공지된 첨가중합 가능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이 공중합체상으로 팬단트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관능성을 함유하는 첨가적 공단량체가 그라프팅된다. ASTM D1238 조건 E로 측정된 결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용융수지는 약 0.5 내지 약 40이어야 한다. 이들 범위 밖에서는 더 어렵게 가공처리될 것이며 유동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
그라프팅 단량체는 그러한 산 또는 무수물의 유도체를 포함하여 에틸렌형 불포화 모노-, 디- 또는 폴리 카르복실산과 에틸렌형 불포화카르복실산 무수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산과 무수물의 예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말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및 디메틸 말레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적당한 유도체의 예는 염, 아미드류, 이미드류 및 그러한 산 또는 무수물의 에스테르, 예컨대 일- 및 이 나트륨 말레이트 및 디에틸 푸마레이트를 포함한다.
특히 유용한 산 및 무수물중에는 말레산 무수물과 말레산이 있다.
에틸렌 공중합체상에 공단량체를 그라프팅시키는 방법을 당 분야에서 잘 공지된 임의의 공정일 수 있다. 예를들면, 그라프팅은 여기에 참고로 첨부된 유럽 특허 출원 0 266 994에 공개된 바와 같이 용매 없이 용융물내 또는 용액 또는 분산액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용융 그라프팅은 가열된 압출기, 브라벤더상표또는 밴버리상표혼합기 또는 기타 내부 혼합기 또는 혼련기, 롤밀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라프팅은 적당한 유기 과산화물, 유기 퍼에스테르 또는 유기 히드로퍼옥사이드와 같은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형성된 그라프트 중합체를 분리하거나 활용하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회수된다. 그러므로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침전된 플루프(fluff), 펠릿, 분말등의 형태로 회수될 수 있다.
에틸렌 공중합체상에 그라프팅되는 단량체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라프팅된 에틸렌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3중량%만큼 낮거나 약 5% 만큼 많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접착 조성물내의 그라프트 중합체의 전체양은 중요하며 월등한 접착성과 결합 성질을 얻기 위해서 전체 조성물의 약 0.03 내지 약 0.5중량%이어야 한다.
비그라프팅된 에틸렌 공중합체는 그라프팅된 공단량체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한 것과 유사한 공중합체이다. 본 접착제로부터 제조된 적층물 내에서 우수한 박리강도를 얻기 위해 비그라프팅된 공중합체의 공단량체는 그라프팅 및 비그라프팅된 공중합체가 적당한 정도의 양립성을 갖는 그라프팅된 공단량체의 것과 충분히 유사한 양 및 형태의 것이어야 한다. 보통 그라프팅 및 비그라프팅된 공단량체가 같거나 화학적으로 밀접히 관련된 단량체(그라프트 공단량체 제외)를 함유하고 두 공중합체 내에서 그러한 공단량체의 양이 유사하다면 그러한 공중합체들은 양립 가능할 수 있다. 특히, 그라프팅된 공중합체와 비그라프팅된 공중합체가 공통으로 적어도 1개의 상기 공중합된 공단량체를 함유해야 하며 그라프팅된 공중합체와 비그라프팅된 공중합체내에서 그러한 공통 공단량체 각각의 양이 서로 서로의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5%내에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라프팅된 공중합체가 20중량% 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 중합체를 기준으로 한다면, 비그라프팅된 공중합체는 약 10 내지 약 30중량%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해야 한다. 적은 양의 첨가적 공중합체는 또한 하나 또는 두 공중합체내에 존재할 수 있지만 양립성을 보유하기 위해서, 각 공중합체는 다른 공중합체와 공통이 아닌 그러한 공단량체 약 10중량% 이하를 함유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i-부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밀접하게 유사한 공단량체가 양립성을 보유하면서 교체될 수 있다.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그라프팅된 단량체가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그라프팅된 공중합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비그라프팅된 공중합체의 용융 지수는 약 0.05 내지 약 40이어야 한다.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의 세번째 성분은 폴리스티렌이며, 이것은 스티렌 단일 중합체 또는 충격 개질된 폴리스티렌일 수 있다. 이 폴리스티렌 성분은 조성물의 약 1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약 25 또는 30 내지 약 40중량%로 구성된다. 폴리스티렌은 바람직하게는 약 5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량 중합체이다.
충격 개질된 폴리스티렌(이것이 바람직함)은 폴리부타디엔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부타디엔-스티렌 엘라스토머와 같이 엘라스토머에 의해 개질된 폴리스티렌이 잘 알려진 물질이다. 이 물질은 예컨대 현대 플라스틱 백과사전, 맥그로우-힐, p.72(1983-1984)에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폴리부타디엔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엘라스토머의 존재하에 스티렌 단량체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므로 물리적 블렌드와 어느 정도까지는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나타난다. 그러나 중합체 내에 스티렌의 양이 너무 적다면 스티렌-부타디엔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적당할 수 없다. 예를들면 단지 약 30% 스티렌 성분을 함유하는 그러한 공중합체는 적당하지 않지만 상당히 높은 수준, 예컨대 80 또는 90% 스티렌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는 본 발명에 적당하다.
본 발명 조성물의 마지막 주요성분은 포화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이다. 이 수지는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2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25중량%로 구성된다. 그러한 물질은 상업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포화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이것은 라이트 스트림(light stream) 분해 나프타를 촉매적으로 중합시킨 후 생성물을 수소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이것은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또는 비닐 톨루엔, 1-H 인덴 또는 2-H 인덴을 중합시키고 보통 적어도 80%의 포화도까지 결과 방향족 생성물을 수소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1500, 특히 약 650 내지 약 860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것은 약 105-140℃의 연화점에 상당한다. 그러한 수지는 보다 낮은 연화점의 유사한 수지 보다 우수한 응집강도 및 기계적 성질을 제공한다. 수지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파메틸스티렌, 메틸스티렌 및 인덴의 포화된 삼원 공중합체이다.
상기 성분들외에, 접착제 수지는 당 분야에서 공지되고 통상 사용되는 기타 물질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및 충전제의 적은량을 함유할 수 있다.
접착제 수지 조성물은 용융 블렌딩, 압출등과 같은 임의의 적당한 방법에 의해 상기 성분들을 블렌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은 스티렌-형 수지층,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층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층 및 폴리아미드 또는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와 같은 배리어층의 구조적 층을 함유하는 복합구조에서 뛰어난 접착성을 제공한다. 스티렌-형 수지를 함유하는 구조는 광범위한 온도에 걸쳐 우수한 이차 성형 가공성과 탁월한 압출성을 보여준다. 그러한 복합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가공성과 배리어 성질의 조합은 포장, 처리 용기등과 같은 적용에서 이들을 유용하게 한다. 구조적 층은 또한 폴리에틸렌일 수 있으며 우수한 접착성이 제공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은 종종 적층된 구조의 내부 또는 음식 접촉층으로서 사용된다.
실시예
접착 블렌드는 폴리에틸렌 백 내에서 성분들을 건조 블렌딩시키고 나서 진공 입구를 갖는 28 또는 30mm이축 압출기내 210 내지 230℃에서 용융 브렌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표에 기록된 각각의 블렌드는 또한 약 0.10중량% 이르카녹스(상표) 1010 힌더드 폴리페놀 안정화제를 함유한다(표에서 또한 기록되지 않음).
각각의 블렌드를 동시압출 다이를 통해 4 내지 6r.p.m에서 작동되는 25mm 단일축 압출기로부터 동시 압출시켰다. 블렌드의 한 면상에서 8 내지 12r.p.m에서 38mm 압출기로부터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의 층이 압출되고 다른 한쪽 면상에서 30 내지 45r.p.m에서, 38mm 압출기로부터 33몰%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의 층을 압출시켰다. 각 압출기의 배럴온도를 230℃에서 고정시키고 ; 압출물이 통과하는 냉각롤을 100℃에서 유지시켰다. 압출된 시이트에 대한 테이크-업(take-up) 속도는 약 1.5m/분이었다. 층의 두께는 표에 나타내었다.
그렇게 제조된 적층물을 이들의 박리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시험이 254mm/분 보다, 305mm/분에서 진행되고 각 샘플의 10보다는 3 내지 6중복물을 측정하는 개질된 ASTM D1876-72에서 박리강도를 측정했다.“T”배치에서 이 시험으로부터의 결과는 표에 나타내었다.
표의 결과는 본 발명의 영역내의 접착 조성물의 우월성을 보여준다. 실시예 1-33은 본 발명의 접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적층물을 나타낸다. 특히, 9-28중량%의 수준에서 비닐 아세테이트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접착제 및 에틸렌과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일산화 탄소의 삼원 공중합체를 통합하고 있는 적층물을 예증하고 있다. (실시예 28) 거의 예외없이 그러한 적층물에 대한 박리강도“T”는 적어도 약 300N/m이며 많은 경우 500N/m을 넘는다(실시예 31은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을지라도 비교적 낮은 박리강도를 보여준다. 이 특별한 결과에 대한 설명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실험적 불확실성 또는 실수와 관련된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의 영역 밖에서 제조된 적층물은 비교실시예 C1-C21로 나타내었다. 이들 적층물에 있어서,“T”박리강도는 전형적으로 약 300N/m 이하이며 종종 그보다 훨씬 아래이다. 약 15% 이하의 폴리스티렌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교실시예 C1-C7 및 C18-C20은 비교적 낮은 박리강도를 보여준다. 예를들면 비교실시예 C1은 실시예 1 및 13과 비교될 수 있으며 비교실시예 C3은 실시예 15와 비교될 수 있다. 폴리스티렌의 양이 본 발명의 보다 낮은 한계인 15%인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개선된 박리강도의 면에서 본 발명의 잇점은 완전히 나타내지는 않는다(예컨대 실시예 3).
첨가로 비교실시예 C8 및 C9는 블렌드의 부분으로서 탄화 수소 수지를 함유하지 않는다. C10에 있어서는 백분율 비닐 아세테이트가 16%로 다르며 C11에 있어서는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어떠한 비닐 아세테이트도 함유하지 않아서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블렌딩된 중합체가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불충분하게 양립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실시예 C10과 C11은 낮은 박리강도를 보였다(이들 비교실시예는 실시예 8 및 11과 비교될 수 있다. 유사하게 9% 비닐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비그라프팅된 공중합체가 공단량체 수준의 10%내에 있을지라도,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폴리에틸렌에 근거하며 공단량체의 규정된 최소 수준을 갖지 않기 때문에 비교실시예 21은 부분적으로 열등한 강도를 보인다. 실시예 14 및 19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의 차이는 쭉 10%인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박리강도에 있어서의 개선은 몇몇 기타 경우에 있어서 보다 덜 두드러진다. 비교실시예 C5-C10은 스티렌-부타디엔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폴리스티렌 대신 사용되었기 때문에 열등한 결과를 보였다. 이들 비교실시예에서 박리강도는 탄화 수소 수지가 존재하든지 않든지(C14) 거의 동일하게 낮은 값에서 유지함을 주목하라.
[표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______표에 대한 각주.
a. PS, 스티렌 중합체는 다음을 나타낸다.
A : 훈트스만 케미칼로부터의 충격개질된 폴리스티렌 HOS 850.
B : 셸케미칼로부터의 스티렌-부타디엔 트리블록 공중합체, 크라톤상표G1651
b. 에틸렌 공중합체와 그라프트 공중합체 형태 :
9 : 에틸렌과 9wt%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용융지수 0.8dg/분
12 : 12wt% VA와의 공중합체, MI 2.5.
18 : 18wt% VA와의 공중합체, MI 8.
18' : 18wt% VA와의 공중합체, MI 0.8.
25 : 25wt% VA와의 공중합체, MI 2.
28 : 28wt% VA와의 공중합체, MI 6.
28' : 28wt% VA와의 공중합체, MI 25.
PE : 고밀도 폴리에틸렌
N : 에틸렌과 30wt%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10wt% CO의 공중합체, MI 2.
M : 에틸렌과 20wt%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MI 6.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상기 값과 정확히 상응하지는 않으나 모두 0.5 내지 10dg/분의 범위내에 있다)
c. 탄화수소 수지 형태 :
F : 아르콘TMP125, 분자량 820, 아라카와 화학으로부터.
G : 아르콘TMP140, mw 860, 아라카와 화학.
H : 아르콘TMP90, mw 650, 아라카와 화학.

Claims (18)

  1. (a)(i) 약 45 내지 약 95중량%의 에틸렌과, 2-20개 탄소원자를 갖는 불포화된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 상기 불포화된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산기가 1-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된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0 내지 약 3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이들과 공중합되는 적어도 1개의 공단량체 및 팬단트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유도체 관능성을 함유하는 그라프팅된 공단량체(상기 그라프팅된 공단량체는 전체 결합 수지 조성물의 약 0.03 내지 약 0.5중량%를 구성한다). 약 5 내지 약 55중량%와의 공중합체 약 1 내지 100중량% 및 (ii) 약 45 내지 약 95중량%의 에틸렌과 2-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불포화된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 상기 불포화된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산기가 1-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된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0 내지 약 3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들과 공중합되는 적어도 한개의 공단량체 약 5 내지 약 55중량%와의 공중합체 0 내지 약 99중량%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공중합체(i)과 공중합체(ii)가 공통으로 적어도 한개의 상기 공중합되는 공단량체를 함유하고, 공중합체(ii)내에 각각 그러한 공통 공단량체의 양이 공중합체(i)내의 상응하는 공단량체 양의 약 10%내이며, 각 공중합체 내에 그러한 공통 공단량체 이외의 상기 공중합된 공단량체의 전체 양이 약 10% 이하인 약 35 내지 약 84중량%의 에틸렌 공중합체부 ; (b) 약 15 내지 약 45중량%의 폴리스티렌 ; 및 (c) 적어도 약 80%의 포화도를 갖는 포화된 지환족 탄화 수소 수지개질제 약 1 내지 약 25중량%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i) 및 공중합체(ii)가 동일한 공중합가능한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공중합체(ii)내의 각 공단량체가 공중합체(i)내의 상응하는 공단량체 양의 약 5%내에 있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 부분의 양이 조성물의 약 45 내지 약 65중량%이고, 폴리스티렌 부분이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45중량%이며, 포화된 탄화수소 수지 부분이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25중량%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i)과 공중합체(ii)내의 공단량체 양이 각각 약 9 내지 약 30중량%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i)과 공중합체(ii)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n-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일산화탄소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공중합체(i)과 공중합체(ii)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복실산과 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약 0.05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중합체(i)에서 그라프팅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 염, 아미드, 이미드 또는 에스테르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말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디메틸 말레산 무수물 일나트륨 말레이트, 이나트륨 말레이트, 디에틸 푸마레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말레산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유도체가 무수물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무수물이 말레산 무수물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스티렌 중합체가 적어도 약 92J/m의 충격 강도를 갖는 충격 개질된 폴리스티렌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성분(C)가 약 650 내지 약 860의 분자량을 갖는 탄화수소 수지인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탄화수소 수지가 알파-메틸 스티렌, 메틸 스티렌 및 인덴의 포화된 삼원 공중합체인 조성물.
  16.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층,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1항의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의 결합층으로 구성된 적층 구조물.
  17. 제16항에 있어서, 구조적 층이 고충격 폴리스티렌이며, 배리어 층이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인 적층 구조물.
  18. 제16항에 있어서, 구조적 층이 폴리에틸렌이며 배리어층이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인 적층 구조물.
KR1019890012342A 1988-08-29 1989-08-28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 및 적층 구조물 KR0130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7,171 1988-08-29
US07/237,171 US4861676A (en) 1988-08-29 1988-08-29 Improved coextrudable adhesive and products therefrom
US88-237,171 1988-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324A KR900003324A (ko) 1990-03-26
KR0130062B1 true KR0130062B1 (ko) 1998-04-03

Family

ID=2289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342A KR0130062B1 (ko) 1988-08-29 1989-08-28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 및 적층 구조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861676A (ko)
EP (1) EP0359426B1 (ko)
JP (1) JPH0713221B2 (ko)
KR (1) KR0130062B1 (ko)
CN (1) CN1041175A (ko)
AR (1) AR243580A1 (ko)
AT (1) ATE86285T1 (ko)
AU (1) AU614912B2 (ko)
BR (1) BR8904310A (ko)
CA (1) CA1337710C (ko)
DE (1) DE68905118T2 (ko)
MX (1) MX164890B (ko)
NZ (1) NZ230434A (ko)
RU (1) RU2073056C1 (ko)
ZA (1) ZA8966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457A (en) * 1989-06-13 1991-10-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extrudable adhesives and products therefrom
US5217812A (en) * 1990-06-25 1993-06-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xtrudable and primerless adhesives and products therefrom
JPH04233963A (ja) * 1990-07-31 1992-08-21 E I Du Pont De Nemours & Co 粘り強くした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樹脂
US5219665A (en) * 1991-01-30 1993-06-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abricated articles with improved resistance to hydrohalocarbons
DE4219325A1 (de) * 1991-06-17 1992-12-24 Mitsubishi Chem Ind Klebharzzusammensetzungen und polystyrollaminate unter verwendung der zusammensetzung fuer eine klebstoffschicht
EP0739913A1 (fr) * 1995-04-25 1996-10-30 Elf Atochem S.A. Poly(oléfines ou styréniques) copolymérisés et greffés avec des monomères ayant la même fonction réactive
US5709953A (en) * 1996-02-21 1998-01-20 Morton International, Inc. Extrudable resin for polystyrene and laminate
US5869576A (en) * 1996-12-23 1999-02-09 Shell Oil Company Graft copolymerized compositions
US6114424A (en) * 1998-01-29 2000-09-05 Estee Lauder, Inc. Opalescent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6986864B2 (en) 2002-04-30 2006-01-17 David Scott Porter Polyester compositions
JP4423187B2 (ja) * 2002-05-23 2010-03-03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強化熱可塑性ポリアミド組成物
US7879949B2 (en) 2004-10-06 2011-02-0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ends of ethylene copolymers with high-frequency weldability
US20060148988A1 (en) * 2004-10-06 2006-07-06 Chou Richard T Miscible blends of ethylene copolymers with improved temperature resistance
JP2005272531A (ja) * 2004-03-23 2005-10-06 Okamoto Ind Inc 壁紙表層用ポリオレフィン系複合体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壁紙
US7767311B2 (en) * 2004-07-29 2010-08-0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derived from highly functionalized ethylene copolymers
EP1805259A2 (en) * 2004-09-29 2007-07-11 Eastman Chemical Company Alicyclic carboxylic acid-containing functionalized polyolefins
US20060222668A1 (en) * 2005-04-01 2006-10-05 Wellspring Pharmaceutical Corporation Stannsoporfin compositions, drug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070071988A1 (en) * 2005-09-29 2007-03-29 Botros Maged G Adhesive blends for styrene polymers and articles
FR2896249A1 (fr) * 2006-01-16 2007-07-20 Arkema Sa Liant a base de polyethylene greffe et de polystyrene choc ou cristal a rupture cohesive
US20080039583A1 (en) * 2006-08-08 2008-02-14 I-Hwa Lee Adhesive composition
US9321941B2 (en) 2008-01-02 2016-04-26 Equistar Chemicals, Lp Tie-layer adhesives for styrene polymers and articles
CN104497928B (zh) * 2014-11-26 2016-08-17 上海邦中新材料有限公司 一种粘结树脂及其制备方法
TW201917018A (zh) * 2017-10-25 2019-05-01 美商陶氏全球科技有限責任公司 含有具有良好黏著力之經底漆塗佈基材之瓷磚
WO2019126189A1 (en) 2017-12-22 2019-06-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adhesive composition
WO2019126129A1 (en) 2017-12-22 2019-06-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adhesive composition
WO2019152830A1 (en) 2018-02-01 2019-08-08 Dow Silicones Corporation Composition, polymer composite article formed therewith,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BR112022003808A2 (pt) * 2019-08-28 2022-05-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escla de copolímero de polietileno, formulação curável, método para produzir uma formulação curável e um produto polimérico curado, produto de poliolefina reticulada, camada de blindagem de isolamento semicondutor destacável, condutor revestido sequencialmente, método para conduzir eletricidade, e, laminado de isolament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2332A (en) * 1973-02-16 1976-01-13 Hercules Incorporated Copolymers of alpha-methylstyrene and styrene and uses thereof
JPS51134732A (en) * 1975-05-19 1976-11-22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Adhesive composition
JPS603098B2 (ja) * 1976-08-04 1985-01-25 東ソー株式会社 低温ヒートシール性のすぐれた樹脂組成物
JPS5381540A (en) * 1976-12-28 1978-07-19 Fujikura Ltd Hot melt composition and laminate sheathed cable using the same
JPS603097B2 (ja) * 1977-04-13 1985-01-25 三菱化学株式会社 接着性のすぐれた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S5949191B2 (ja) * 1977-10-15 1984-12-01 旭化成株式会社 樹脂積層物
US4358557A (en) * 1982-03-08 1982-11-09 Eastman Kodak Company Four component hot-melt adhesives
JPS58203043A (ja) * 1982-05-21 1983-1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
JPS5955743A (ja) * 1982-09-27 1984-03-30 三菱油化株式会社 樹脂積層物の製造方法
JPS6026072A (ja) * 1983-07-22 1985-02-08 Takeda Chem Ind Ltd 変性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を含有してなる接着剤および該接着剤で接着した成型品
US4670349A (en) * 1984-12-20 1987-06-02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Adhesive resin composition
CA1270975A (en) * 1985-12-30 1990-06-26 Surinder K. Bahl Blends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aromatic polymers and high modulus films thereof
GB8626353D0 (en) * 1986-11-04 1986-12-03 Du Pont Canada Grafting of monomers onto 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9426B1 (en) 1993-03-03
JPH0713221B2 (ja) 1995-02-15
CN1041175A (zh) 1990-04-11
KR900003324A (ko) 1990-03-26
JPH02289666A (ja) 1990-11-29
ZA896603B (en) 1991-04-24
CA1337710C (en) 1995-12-05
BR8904310A (pt) 1990-04-17
AU4085189A (en) 1990-05-03
DE68905118T2 (de) 1993-09-02
AU614912B2 (en) 1991-09-12
AR243580A1 (es) 1993-08-31
MX164890B (es) 1992-09-30
EP0359426A2 (en) 1990-03-21
EP0359426A3 (en) 1991-08-07
RU2073056C1 (ru) 1997-02-10
NZ230434A (en) 1990-12-21
DE68905118D1 (de) 1993-04-08
ATE86285T1 (de) 1993-03-15
US4861676A (en) 198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062B1 (ko) 압출가능한 결합 수지 조성물 및 적층 구조물
KR0140086B1 (ko) 압출성 결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구조물
EP0664327B1 (en) Adhesive resin composition
KR0155962B1 (ko) 압출 가능하며 프라이머가 없는 개선된 접착제 및 그로부터 얻은 제품
US4298712A (en) Adhesive blends of elastomer, polyolefin, and graft of polyethylene with unsaturated fused ring anhydrides
KR940010575B1 (ko) 개선된 동시압출성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
EP0140121B1 (en) Modified polyolefin composition
GB2111511A (en) Adhesive olefin polymer blends
JPH0259187B2 (ko)
KR20080086992A (ko) 스티렌 중합체 및 물품용 타이층 접착제 조성물
KR100213519B1 (ko) 동시압출 결합제 조성물 및 이를 접착층으로 사용한 동시압출된 다층 복합재
JPH02107438A (ja) 積層体
JPS6129604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768736B1 (ko) 개선된 특성을 지닌 그래프트 공중합체 혼합물 및 이의접착 촉진제로서의 용도
US7074492B2 (en) Coextrusion tie based on cografted metallacene polyethylene and LLDPE on SBS and on PE
US4869963A (en) Multilayer composite of an ethylene-vinyl alcohol polymer tied to a thermoplastic polymer
WO1995020487A1 (en) Adhesive composition
JP2820242B2 (ja) 接着用樹脂組成物
US4486469A (en)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structure
JPS6025748A (ja) 樹脂積層体
JPS61241144A (ja) 多層構造物
JPH0453861A (ja) プロピレン重合体樹脂組成物
JPH0453849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