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033Y1 -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033Y1
KR0127033Y1 KR2019930016631U KR930016631U KR0127033Y1 KR 0127033 Y1 KR0127033 Y1 KR 0127033Y1 KR 2019930016631 U KR2019930016631 U KR 2019930016631U KR 930016631 U KR930016631 U KR 930016631U KR 0127033 Y1 KR0127033 Y1 KR 0127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uneven
panel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638U (ko
Inventor
하창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16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033Y1/ko
Publication of KR950006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8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외측핸들의 속도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외측 핸들은 핸들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는 고속범퍼만이 존재하여 사용자의 손에서 핸들이 미끄러져 순간적으로 닫히는 경우 그 충격음이 매우 커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있는 바 본 고안은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축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는 핸들후부의 핸들레버 일측에 래칫부를 형성하고, 상기 래칫부가 단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요철부를 갖는 요철플레이트를 핸들판넬의 내측단부상에 탄성적으로 위치토록 설치한 도어외측핸들의 속도감쇄장치이다.
본 고안은 각종 차량의 프론트 도의 외측 핸들 및 리어 도어 왼측 핸들에 쓰인다.

Description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 장치
제1도는 핸들이 들어가 있는 상태를 예시한 본 고안의 요부종단면도.
제2도는 핸들이 당겨져 있는 상태를 예시한 본 고안의 요부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4 : 축
5 : 핸들레버 8 : 핸들판넬
9 : 래칫부 10 : 요철플레이트
12 : 요철부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외측핸들은 핸들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는 고무범퍼만이 존재하여 사용자의 손에서 핸들이 미끄러져 순간적으로 닫히는 경우 그 충격음이 매우 커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에서 도어 외측 핸들이 미끄러져 빠졌을 경우에도 충격음이 그다지 크지 않게 하기 위한 속도 감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록크로드 작동레버와 축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는 핸들 후부의 핸들레버 일측에 래칫부를 형성하고 상기 래칫부가 단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요철부를 갖는 요철플레이트를 핸들판넬의 내측단부상에 탄성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핸들(1)이 설치된 도어(2)의 외측판넬(3)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하는 예시도로서, 상기 핸들(1)은 외측판넬(3)내측에서 축(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레버(5)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레버(5)는 록크로드를 작동시키는 록크로드 작동레버(6)와 축(4)을 중심으로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레버(5)의 회전은 스프링(7)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복귀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7)의 일단은 핸들레버(5)의 일측에, 하단은 핸들판넬(8)측에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핸들레버(5)의 하단에는 축(4)를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래칫부(9)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래칫부(9)는 날카로운 부분이 핸들(1)의 반대쪽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하나의 이빨과 이빨사이에 주어지는 단위감쇄구간(Pu)이 비교적 길도록 형성된다.
또한, 핸들(1)을 작동할 수 있도록 손이 들어가는 부위에 형성되는 핸들판넬(8)의 일단은 상기 래칫부(9)하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부러져 있고, 상기 래칫부(9)와 핸들판넬(8)의 일단 사이에는 요철플레이트(1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요철플레이트(10)는 고정보스(11)에 의하여 핸들판넬(8)의 일측에 고정시킨 것으로서, 상기 래칫부(9)와 핸들판넬(8)간에 끼이는 부위에는 래칫부(9)의 이빨과 맞물릴 수 있는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12)를 가지고 있고, 이 요철부(12)는 상기 래칫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핸들판넬(8)면에서 약간 떠있다.
상기 요철부(12)와 래칫부(9) 및 핸들판넬(8)의 결합상태는 제1도의 확대도에 잘 나타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결합은 핸들(1)이 외측판넬(3)면에 거의 도달했을 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최초에 제1도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1)을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핸들레버(5)와 록크로드 작동레버(6)는 축(4)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래칫부(9)는 요철플레이트(10)의 요철부(12)에서 해제되는데 이때 래칫부(9)의 이빨은 그 날카로운 부분이 핸들(1)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요철부(12)는 핸들 패널(8)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래칫부(9)의 이빨은 요철부(12)의 요철을 가볍게 타고 넘게 된다. 즉, 이빨의 산은 이동방향으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므로 요부와 가벼운 마찰을 하면서 넘게되고 이과정에서 이빨의 산과 요부가 만나는 지접에서는 요철부(12)가 밑으로 구부러졌다가 다시펴지게 된다. 이러한 해제과정을 거쳐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1)이 완전히 당겨지면 도어(2)가 룩크상태에서 해제된다.
반대로, 제2도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1)을 놓으면 스프링(7)의 힘에 의하여 핸들(1)이 다시 제1도와 같이 핸들판넬(8)측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 때 핸들레버(5)와 록크로드 작동레버(6)는 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핸들(1)이 외측판넬(3)측에 거의 다다랐을 때, 즉 사용자가 핸들(1)에서 손을 떼기 바로직전에 래칫부(9)가 요철부(12)를 타고 넘게 된다. 이때의 결합상태는 전기한 핸들(1)의 당김작용 때와 다르게 나타난다.
다시말해, 래칫부(9)이빨의 날카로운 부분이 요철부(12)의 요부와 보다 강하게 마찰하면서 타고 넘게 되는데 이때 이빨의 날카로운 부분이 요철의 정상과 만나는 지점에서는 요철부(12)가 밑으로 구부러졌다가 비교적 길이가 긴 단위감쇄구간(Pu)을 요부가 마찰하면서 타고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마찰 압력이 줄어들어 요철부(12)가 다시 위로 펴지는 순간 요철부(12)의 요부가 다음의 날카로운 이빨부위에 걸리게 되며 요부는 다시 상기 날카로운 이빨정상을 타고 넘는 일을 반복하다가 핸들(1)이 다 들어가게되면 그 결합을 멈추게 된다. 여기에서 스프링(7)의 복원력은 래칫부(9)에서 받게 되는 마찰저항을 상회하는 값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상기 마찰저항은 래칫부(9)가 요철부(12)와 만나는 구간이 길어질수록 점차로 증가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단계적인 속도감쇄 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사용자는 핸들의 속도가 매우 부드럽게 감쇄되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핸들이 사용자의 실수로 순간적으로 닫히는 경우에도 종래의 경우처럼 매우 큰 충격음 없이 비교적 조용히 닫힌다.
또한 핸들판넬에 형성되는 구멍을 요철 PLATE 상부가 막고 있어 도난방지의 효과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축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는 핸들후부의 핸들레버 일측에 래칫부를 형성하고, 상기 래칫부가 단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요철부를 갖는 요철플레이트를 핸들판넬의 내측 단부상에 탄성적으로 위치토록 설치한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장치.
KR2019930016631U 1993-08-26 1993-08-26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 장치 KR0127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631U KR0127033Y1 (ko) 1993-08-26 1993-08-26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631U KR0127033Y1 (ko) 1993-08-26 1993-08-26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638U KR950006638U (ko) 1995-03-21
KR0127033Y1 true KR0127033Y1 (ko) 1998-10-15

Family

ID=1936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631U KR0127033Y1 (ko) 1993-08-26 1993-08-26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0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6754B2 (ja) * 1998-11-27 2005-01-05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真空圧力制御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638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1464B2 (ja) 慣性安全システムを備える自動車等を対象にしたドアハンドル
DE10163021B4 (de) Dämpfein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KR0127033Y1 (ko) 도어 외측핸들의 속도감쇄 장치
JPH01250571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H09279925A (ja) 車両用ドアチェッカ
KR100419519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방구조
JPH0235111B2 (ja) Jidoshayodoahandorusochi
KR102444317B1 (ko) 토크 리미터를 이용한 자동문 장치
JP3133271B2 (ja) 収納装置
CN219471820U (zh) 车门内扣手总成及车辆
WO2024109472A1 (zh) 门锁机构、车门总成及车辆
KR0154047B1 (ko) 자동차용 측면 윈도우 개폐장치
CN217518435U (zh) 一种隐藏式汽车自动门拉手
EP0606938A1 (fr) Deviateur de securite des systèmes de serrure ayant plusieurs points de fermture.
KR0118869Y1 (ko) 자동차의 풋 파킹브레이크 장치
KR0150101B1 (ko) 차량의 주정차 위반 단속 겸용 도난 방지장치
KR20060042477A (ko) 옆 차량 파손 방지 장치
JPH08213768A (ja) 車載用機器の扉開閉機構
KR19990029279U (ko) 자동차 외측 도어 핸들 구조
KR960004850Y1 (ko) 창문용 크레센트정
KR100398288B1 (ko) 차량의 족동식 주차브레이크
KR100456948B1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소음 방지구조
KR920005021Y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잠금장치
JPH01125480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70027009A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