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76B1 - 다색 감온 기록재 - Google Patents

다색 감온 기록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76B1
KR0126476B1 KR1019880012418A KR880012418A KR0126476B1 KR 0126476 B1 KR0126476 B1 KR 0126476B1 KR 1019880012418 A KR1019880012418 A KR 1019880012418A KR 880012418 A KR880012418 A KR 880012418A KR 0126476 B1 KR0126476 B1 KR 012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recording material
thermosensitive recording
layer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579A (ko
Inventor
도오사쿠 오카모도
도모유키 오키모도
카쓰히코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도시히꼬
칸자키 세이시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도시히꼬, 칸자키 세이시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도시히꼬
Publication of KR89000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7Additives; Binders
    • B41M5/3375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4Multicolour thermograph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다색 감온 기록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다수의 발색층을 함유하고 있는 다색 감온 기록재(multi-color heat sensitive recording material)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발색제(color former)와 접촉했을 때 발색현상(color development)를 가지며 각 발색물질의 열이 적용으로 서로 접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수색제(color former)와 발색제간의 발색현상반응(color development reaction)을 이용하여 칼라화상(color image)을 얻기 위한 감온 기록제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감온 기록재가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하고, 이를 위한 기록계기(recording instrument)의 크기가 소형이며 또한 유지하기가 쉽기 때문에 감온 기록재는 팩시밀리장치와 계산기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분야에서도 기록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용도가 확장됨에 따라, 소요용량과 질(quality)이 고감도화, 화상안정화 또는 다색기록등과 같이 다양화되어졌다. 특히, 다색 기록재는 광범위하게 응용되기 때문에 최근에 다수의 기록재가 연구, 고안되어왔다.
종래의 2색 감온 기록재는 다음 두가지 형으로 크게 분류된다.
첫번째 형은 저온 감온 발색층(low-temperature heat sensitive color-forming layer)이 저온에서 채색되고 저온 감온 발색층과 고온 감온 발색층 둘다 그 두 색깔의 혼색을 얻을 수 있도록 고온에서 채색되어 지는 것이다.
두번째 형은 고온에서 저온 발색 시스템을 탈색(decolorizing)시킬 수 있는 탈색제(decoloring agent)가 전기한 첫번째 형과 결합해서 사용되므로써 고온 감온 발생층에서의 발색만이 고온시에 효과를 갖게 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첫번째형에 있어서, 결과화상(resulting image)은 두가지 색상이 겹치게 되어(이하 색채중복(color-overlap)이라 일컫는다) 선명하지 못하며, 색채얼룩(color stain)(고온 발생화상의 가장자리가 저온 발생화상의 주위에 엷게 에워싸이는 현상임)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두번째형이 2색화상을 얻는데 사용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하다.
두번째형에 있어서, 다양한탈색제가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염기성 로이코 염료와 유기산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발색시스템에 대하여 탈색효과를 갖는 탈색제로서, 아래의 탈색제들이 제안되어 왔다.
즉, 비스페놀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JP-A-54-139741), 테레프탈산의 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JP-A-55-25306), 장쇄상 1,2-글리콜(JP-A-55-27217),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JP-A-55-27217),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JP-A-55-113593), 요소 유도체(JP-A-55-139290), 직쇄상 글리콜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JP-A-55-152094), 모르폴린 유도체(JP-A-56-40588), 고체알코올(JP-B-50-17865),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JP-B-50-17867 그리고 JP-B-50-17868), 질소함유결정유기화합물(JP-B-51-29024) 그리고 아민이나 제4급 암모늄염(JP-B-50-18048)등이다.
그러나, 이들 발색제가 사용되면 현재의 상태에서도 색채중복과 색채얼룩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가 없었다.
또한, 어떤 탈색제는 온도와 습도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보관중에 발색능력이 저하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색밀도(color density)가 높고, 색채중복이나 색채얼룩이 없는 선명한 색조를 보유하는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다색 감온 기록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나 습도에 영향을 받아 발색능력이 저하되지 않는, 즉 뛰어난 보존성을 가진 다색감온 기록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설명으로 명백해진다.
기재(substrate)와 서로 다른 색상을 발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둘 또는 그 이상의 감온 발색층으로 구성된 다색 감온 기록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감온 발색층은 로이코 염료와 산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기록재는 구조식(Ⅰ)
Figure kpo00001
으로 나타나고, 여기에서 R₁은 C2~20알콕시 카르보닐기를 보유하는 C1~30지방족 잔유물 또는 에테르결합과 옥시 카르보닐기를 보유하는 지방족 잔유물이며, R2, R3, R4, R5그리고 X는 각각 메틸기나 수소원자이며, ℓ은 1-6의 정수인 피페리딘 유도체가 로이코염료와 산성물질로 이루어진 발색시스템에 대해 탈색기능이 효과를 갖는 지점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온 기록재의 중요한 특징을 로이코염료와 산성물질로 이루어진 발색시스템에 대해 탈색기능이 효과를 가지는 위치에 상기한 구조식(Ⅰ)에 의해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피페리딘 유도체가 존재하다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식(Ⅰ)에 의해 나타내는 피페리딘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구조식(Ⅱ)와 (Ⅲ)에 따른 아래의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Figure kpo00002
여기에서, R6는 C2~20의 알콕시 카르보닐기를 보유하고 있는 C1~20의 지방족 잔유물이며, R₂, R₃, R₄, R5,X 그리고 ℓ은 위와 같다.
Figure kpo00003
여기에서, R9는 C1~5지방족 잔유물이며, n은 1-3까지의 정수이고, R₂, R₃, R₄, R5그리고 X는 위와 같다.
구조식(Ⅱ)와 (Ⅲ)에 의해 나타낸 피페리딘 유도체의 예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으나 여기에 기술된 것에 의해 피페리딘 유도체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2,3,6,6-펜타메틸-4-피페리딜)-1-헵탄카르복실염,
A-O-CO-C7H15
Figure kpo00004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헵탄데칸카르복실염,
A-O-CO-C17H35
Figure kpo00005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트리메실)-1,2-에탄디카르복실염.
B-O-CO-(CH2)2-CO-C-C13H27
Figure kpo00006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8-옥탄디카르복실염,
B-O-CO-(CH2)8-CO-O-B
Figure kpo00007
트리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1,3-프로판 트리카르복실염,
Figure kpo00008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염,
Figure kpo00009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염,
Figure kpo00010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2,6,6-헵탄테트라카르복실염,
Figure kpo00011
테트라키스(1-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 카르복실염,
Figure kpo00012
3,9-비스[1,1-디메틸-2-{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색상화상은 육안으로 색채 얼룩을 조사하였다.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3,9-비스[1,1-디메틸-2-{트리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옥시카르보닐)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피로[5,5]운데칸
Figure kpo00015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조식(Ⅰ)의 화합물은 화합물의 두가지 또는 그 이상의 혼합재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의 양은 감온 발색시스템에서 탈색되어지는 로이코염기와 산성물질의 전체 무게에 대하여 0.1-20배의 범위이며, 적당하게로는 0.5-10배의 범위이고, 가장 적당하게로는 2-10배의 범위이다.
상기한 구조식(Ⅱ)와 (Ⅲ)의 피페리딘 유도체중에서 적당한 것은 색채중복이나 색채얼룩이 생기지 않고, 보존성과 발색능력이 뛰어난 다색 감온 기록재를 생산할 수 있는 구조식(Ⅱ')와 (Ⅲ')의 화합물이다.
특히, 가장 적당한 것은 보존성과 발색능력이 매우 뛰어난 다색 감온 기록재를 생산할 수 있는 구조식 (Ⅱ)의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16
여기에서, R7은 C1~10지방족 잔유물이며, R2, R3, R4, R5, X 그리고 ℓ은 위와 같다.
Figure kpo00017
여기에서, R10은 C4지방족 잔유물이며, p는 3이고, R2, R3, R4, R5, X는 위와 같다.
Figure kpo00018
여기에서, R8은 C2~7지방족 잔유물이며, m은 3 또는 4이고, R2, R3, R4, R5, 그리고 X는 위와 같다.
여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탈색 기능이 효과적인 지점은 탈색되는 같은 발색 시스템의 상기한 화합물이 탈색반응을 견디는 위치를 의미하여, 이는 감온 발색시스템을 포함하는 감온 발색층 내부, 상기 감온 발색층에 인접한 상부피막층, 중간층 및 하부피막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점이다.
후자의 세층은 필요시에 형성된다.
즉, 상부피막층은 발색층의 상단에 형성되며, 중간층은 윗쪽의 발색층과 탈색의 의도가 없는 감온 발색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감온 발색층 사이에 형성되며, 하부피막층은 위의 발색층 아래에 형성된다.
이들 층 중에서, 탈색제가 상부피막층, 중간층 그리고 하부 피막층 중의 어느 하나에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발색 능력의 감소를 야기하지 않고 우수한 발색능력을 갖는 다색 감온 기록재가 얻어진다.
특히, 탈색효과에서도 우수한 기록재가 되기 위해서는, 발색제는 중간층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발색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발색층이 탈색체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 탈색제는 발색층을 형성하는 피막합성물에 첨가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상부피막층, 중간층 또는 하부피막층이 탈색제를 함유하고 있을 경우 탈색제는 상부피막층, 중간층 또는 하부피막층을 구성하는 피막합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중간층은 주로 탈색제로 구성된 탈색층과 주로 중복층안의 결합제로 구성된 수지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다양한 변화가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하는 영역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각각의 상부피막층, 중간층 그리고 하부피막층용 피막합성물은 결합제와 필요시에는 연료, 보존재 또는 그와 유사한 것들을 함유한다.
상기한 탈색제는 캡슐안에 넣거나 물, 유기용매 또는 오일에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어온 탈색제를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양만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색제와 발색층에 함유된 수색제의 합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 화합물들이 발색현상반응을 받기 위해 열의 적용시에 접촉한다면 어떤 결합물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기산 또는 유기산 물질을 함유한 무색 또는 백색 염기성염료(로이코 염료)의 결합물과 페놀(예를 들면 물식자산)을 함유한 고급지방산금속염(예를 들면 스테아민 제2철염)의 결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기록재는 열적용시 안에서 (기록된)발색현상화상을 입수할 수 있는 디어조늄화합물, 커플러(coupler), 그리고 염기성물질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양한 감온 발색층구조의 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하는 탈색제는 염기성염료와 산성물질로 구성된 발색시스템에 대하여 발색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적어도 탈색될 발색층은 염기성염료와 산성물질로 구성된 발색시스템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여러가지 무색 또는 백색 염기성염료가 공지되어 있으며 유용한 염료의 보기는 다음과 같다.
트리아릴메탄기재염료, 예를 들면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아미노프탈리드,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프탈리드, 3-(p-디메틸아미노페닐)-3-(1,2-디메틸인도올-3-y1)프탈리드, 3-(p-디메틸아미노페닐)-3-(2-메닐인도올-3-y1)프탈리드, 3,3-비스(1,2-디메틸인도올-3-y1)-5-디메틸아미노프탈리드, 3,3-비스(1,2-디메틸인도올-3-y1)-6-디메틸아미노프탈리드, 3,3-비스(9-에틸카르바조올-3-y1)-6-디메틸아미노프탈리드, 3,3-비스(2-페닐인도올-3-y1)-6-디메틸아미노프탈리드, 3-P-디메틸아미노페닐-3-(1-메틸피로올-3-y1)-6-디메틸아미노프탈리드 등이다.
디메틸메탄기재염료, 즉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즈히드릴벤질에테르, N-할로페닐-로이코오오라민, N-2,4,5-트리클로로페닐-로이코오오라민등이다.
리아진기재염료, 즉 벤조일-로이코메틸렌블루, p-니트로벤조일-로이코메틸렌블루등이다.
스피로기재염료, 즉 3-메틸-스피로-디나프로피란, 3-에틸-스피로-디나프로피란, 3-페닐-스피로-디나프로피란, 3-벤질-스피로-디나프로피란, 3-메틸-나프토-(6'-메톡시벤조)스피로피란, 3-프로필-스피로-디벤조피란등이다.
락탐기재염료, 즉 코오다민-B-아닐리노락탐, 코오다민-(p-니트로아닐리노)락탐, 코오다민-(0-클로로아닐리노)락탐등이다.
플루오란개지염료, 즉 디메틸아미노-7-메톡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톡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메톡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너-7,8-벤조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5-메틸-7-디벤질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7-디메틸플루오란, 3-(N-에틸-p-톨루이디노)-7-메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N-아세틸-N-메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N-메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디벤질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N-메틸-N-벤질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N-클로로에틸-N-메틸아미노)플로우란, 3-디에틸아미노-7-N-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3-(N-에틸-p-톨루이디노)-6-메틸-7-페닐아미노플루오란, 3-(N-시클로펜틸-N-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p-톨루이디노)-6-메틸-7-(p-톨루이디노)플루로안, 3-디에틸아미노-6-메틸-7-페닐아미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페닐아미노플루오란,3-디에틸아미노-7-(2-카르보메톡시-페닐아미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메틸-7-페닐아미노플루오란, 3-(N-시클로헥실-N_메틸아미노)-6-메틸-7-페닐아미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6-메틸-7-페닐아미노플루오란, 3-페페리디노-6-메틸-7-페닐아미노플루오란, 3-디메틸아미노-6-메틸-7-크실리디노풀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클로로페닐아미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클로로페닐아미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6-메틸-7-P-부틸페닐아미노 플루오란, 3-(N-메틸-N-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등이다.
산성물질로는 염기성염료와 접촉하여 색상을 형성하는 다양하게 공정되어 있는 무기산 및 유기산염료가 사용된다.
유용한 무기산재료는 활성백토, 산성백토, 아타풀자이트(attapulgite), 벤토나이트, 클로이드실리카 그리고 알루미늄 규산염이다.
유기산재료의 예로는 4-테르트-부틸페놀, 4-히드록시디페녹시드, α-나프톨, β-나프톨, 4-히드록시아세토페논, 4-테르트-옥틸카테코올, 2,2'-디히드록시페닐, 2,2'-메틸렌비스(4-메틸-6-테르트-이소부틸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2-테르트-부틸페놀), 4,4'-세크-부틸리덴디페닐, 4-페닐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비스페놀-A), 2,2'-메틸렌비스(4-클로로페놀), 히드로퀴논, 4,4'-시클로헥실리덴디페놀, 벤질 4-히드록시안식향산염, 디메틸 4-히드록시프탈염, 히드로퀴논 모노벤질에테르. 4-히드록시페닐-4'-이소프로폭시페닐술폰, 노볼락페놀수지, 페놀중합체 및 페놀 화합물, 벤조산, P-테트로-부틸벤조산, 트리클로로벤조산, 테레프탈산,3-세크-부틸-4-히드록시벤조산, 3-시크로헥실-4-히드록시벤조산, 3,5-디메틸-4-히드록시벤조산, 살리실산, 3-이소프로필살리실산, 3-테르트-부틸살리실산, 3-벤질살리실산 3-(α-메틸벤질)살리실산, 3-클로로-5-(α-메틸벤질)-살리실산, 3,5-디-테르트-부틸살리실산, 3-페닐-5-(α,α-디메틸벤질)살리실산, 3,5-디-α-메틸벤질살리실산 및 방향족 카르복실산, 또는 페놀화합물의 염이나 아연,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리타늄, 망간, 주석, 니켈 그리고 다가 금속등을 함유한 방향족 카르복실산 등이 그 예이다.
본 발명의 감온 기록재와 함께 발색층(기록층)으로 이용되는 발색제와 수색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 않으나 발색제와 수색제의 종류에 따라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기성염료와 산성물질이 이용될 경우 대개 염기성염료의 중량당 산성물질은 보통 1에서 50파트(part)를 사용하고, 특히 1에서 50파트를 많이 사용한다.
상기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피막합성물을 준비하기 위해서 발색제와 수색제를 볼분쇄기(ball mill), 마멸분쇄기(attrition mill) 또는 모래분쇄기(sand mill)와 같은 교반기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산매(disprtsion medium)로서의 물에 각각 또는 함께 확산시킨다.
대개 피막합성물은 혼합물의 전고형물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량으로 10-70%의 양 더욱 적당하게는 15-15% 이내로 결합제에 결합되어 있다.
유용한 결합제의 예로서는 녹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카세인,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알코올, 디이소부틸렌-말레인산무수물 공중합체염, 스티렌-말레인산무수물 공중합체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염,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염, 천연고무를 함유하고 있는 유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유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유제, 메틸메타크릴산-부타디엔 공중합체유제, 폴리클로로프렌유제, 비닌아세테이트유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유제 등이 있다.
각종의 다른 보조제를 피막합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유용한 작용제의 예로서는 디옥틸술포숙신산나트륨, 도데시벤젠술폰산나트륨, 라우릴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나트륨, 알긴산염, 지방산금속염 등의 분산제와 벤조페논과 트라이졸화합물과 같은 자외선흡수체, 소포제, 형광색소, 색채염료등이 있다.
또한 합성물에는 아연스테아린산염, 칼슘스테아린산염, 폴리에틸렌왁스, 카르나무바왁스, 파라핀왁스, 에스테르왁스 또는 그와 유사한 왁스와 칼슘탄산염,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타늄, 이산화실리콘, 수산화알루미늄, 황산바리움, 황산아연, 활석, 카오린, 백토, 소성백로, 콜로이드실리카 또는 유사한 무기산안료와 스티렌마이크로볼, 나이론분말, 폴리에틸렌분말, 요소포르말린수지충진재, 생녹말입자 또는 유사한 유기산안료 그리고 스테아린산아미드, 스테아르산 메틸렌비스아미드, 울레인산아미드, 팔미트산아미드, 코코넛지방산아미드 또는 유사한 지방산아미드, 2,2'-메틸렌비스(4-메틸-6-테르트-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6-테르트-부틸-3-메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테르트-부틸페닐)부탄 또는 그와 유사한 간섭페놀, 디벤질테레프탈산염, 1,2-디(3-메틸-페녹시)에탄, 1,2-디페녹시에탄, p-벤질비페닐, 페닐-1-히드록시-2-나프토아테, 4,4'-에틸렌디옥시-비스-안식향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그리고 공지된 여러가지 열가용재료를 첨가해도 좋다.
발색층이 무기 또는 유기 안료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가능한한 입자가 작은 것을 본유하는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평균입자크기가 2μm이하인 것이 좋다.
현재의 기록재에 있어서 기록재, 상부피막층, 중간층 또는 하부피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는 바는 없으나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각 피막합성층은 에어나이프코우터(air knife coator), 블레이드코우터(blade coator) 또는 그와 유사한 도구를 이용하여 기재를 부착하고 건조시킨다.
부착될 기록재용 피막합성물의 양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대개 건조중량으로 1-12g/㎡, 바람직하게는 1.5-10g/㎡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3-10g/㎡이다. 각각의 상부 피막층, 중간층 그리고 하부피막층용 피막합성물은 건조중량으로 1-10g/㎡의 양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용지 즉, 상질지(wood-free paper), 양키머신(Yankee, machine)으로 제조한 용지, 롤지(machine glazed paper), 캐스트 코우트지(cast-coated paper), 도화지(art paper), 코팅지, 코팅지를 포함하는 갱지, 합성섬유지, 그리고 합성수지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피막 합성물을 부착시키고 건조한 뒤 발색층은 필요시 고도평활마무리(supercalendering)와 같은 평활화처리(smoothing processing)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은 발색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발색층위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기재에 하부피막층이나 배면피막층을 설치하는 것과 같은 감온기록재의 기술분야에 다양하게 알려진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압감접착제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은 기재의 후면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다색 감온 기록재의 다양한 발색층을 구성하고 있는 발색시스템의 색조 (color tone)와 재료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고 계획된 다색감온 기록재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본 발명의 감온 기록재는 색채 중복이나 색채 얼룩이 없이 선명한 색조와 고색밀도를 가진 기록화상을 얻음으로써 매우 우수한 다색 감온 기록재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와 비교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데, 특별한 명시가 없는 한 파트(part)와 퍼센트는 모두 중량으로 계량하며,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조성물 (A)
3-디메틸아미노-7,8-벤조플루오란10파트
5% 메틸 셀룰로오스 수용액5파트
물25파트
이들 조성물은 평균 입자 크기가 3μm인 조성물(A)을 준비하기 위하여 모래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조성물(B)
3-(N-시클로-N-메틸아미노)-6-메틸-7-페닐아미노플루오란 10파트
디벤질테레프탈산염15파트
5% 메틸셀롤로우스 수용액15파트
물80파트
이들 조성물은 평균 입자크기가 3μm인 조성물(B)을 준비하기 위하여 모래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조성물(C)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30파트
5% 메틸 셀룰로오스의 수용액30파트
물70파트
이들 조성물은 모래 분쇄기로 분쇄하여 평균입자크기가 3μm인 조성물(C)을 준비하였다.
조성물(D)
메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염
.50파트
5%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25파트
물110파트
이들 조성물은 모래 분쇄기로 분쇄하여 평균입자크기가 3μm인 조성물(D)을 준비하였다.
[고온 감온 기록재용 피막 합성물의 준비]
40파트 분량의 조성물(A), 130파트의 조성물(C), 30파트의 산화 실리콘 안료(미즈카실 P-527, 미즈사와 케미칼 주식회사), 75파트의 20% 산화녹말 수용액, 그리고 70파트의 물을 교반기로 혼합하여 피막합성물을 만들었다.
[저온 감온 기록재용 피막 합성물의 준비]
125-파트 분량의 조성물(B), 130파트의 조성물(C), 30파트의 산화 실리콘 안료(미즈카실 P-527, 미즈사와 케미칼 주식회사), 150파트의 20% 산화녹말 수용액, 그리고 55파트의 물을 교반기로 혼합하여 피막조성물을 마련하였다.
[탈색층용 피막 합성물을 준비]
185파트분량의 조성물(D)과 50파트의 20% 산화녹말 수용액을 교반기로 혼합하여 피막활성물을 만들었다.
[기록재의 준비]
무게 50g/㎡의 종이 기재에 고온 감온 기록재용 피막 합성물, 탈색층용 피막 합성물, 그리고 저온 감온기록재용 피막 합성물을 각각 건조중량으로 6g/㎡, 4g/㎡, 그리고 3g/㎡의 양을 차례로 가한다.
피막 기재를 건조시키고, 고도 평활화 마무리 함으로써 2색 감온 기록재를 얻었다.
[실시예 2]
2색 감온 기록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만드나 조성물(D)의 준비중에서,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를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대신 이용하였다.
(비교 실시예 1)
2색 감온 기록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만드나, 조성물(D)의 준비중에서 2-(4'-모르포릴디티오)벤조티아졸을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염 대신 이용하였다.
(비교 실시예 2)
2색 감온 기록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만드나, 조성물(D)의 준비중에서 N,N'-비스(벤조일)피페라진을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염 대신 이용하였다.
(비교 실시예 3)
2색 감온 기록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만드나, 조성물(D)의 준비중에서 구아니딘 테트라키스(2,2,6,6-메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염 대신 사용하였다.
이렇게 하여 준비된 5종류의 2색감온 기록제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재의 동적 발색 특성과 보존성을 검사하였다.
동적 발색 특성
[기록조건]
감열식 프린터 : PS-8600, 롬 주식회사
감열헤드 : 8dot/mm; 약 1300Ω/dot,
주 스캐닝(scanning) 기록속도 : 20msec/line
보조스캐닝 : 32line/mm
입력 : 0.44w/dot
저온 발색 에너지 : 0.26mJ
고온 발색 에너지 : 1.06mJ
기록 화상의 색밀도를 맥베드 밀도계(모델 RD-914, 벡베드코포레이티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흑색 화상용으로는 저온에서 가시 필터(visual filter)를 적색 화상용으로 고온에서 녹색필터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고온에서 색채중복과 색채화상을 검사하기 위해서 적색필터를 사용하여 녹색 정분의 색 밀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측정치가 낮을 수록 색채중복이 적어지는 것으로, 이는 화상이 적색 발색에서 더욱 섬세해졌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색상화상은 육안으로 색채 얼룩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표1에 나타나 있으며, O는 색채 얼룩이 없는 것을, X는 색채 얼룩이 있음을 표시한다.
[보존성]
24시간 동안 40℃에서 90% RH중에 넣어둔 다음, 감온 기록재를 위의 조건에서 기록한다.
색밀도와 저온 및 고온에서의 색상화상의 색채중복정도가 상승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kpo00019
[참조]
A : 저온에서의 화상의 색밀도
B : 고온에서의 화상의 색밀도
C : 색채중복 정도
표 1을 통해서, 본 다색 감온 기록재는 색채중복이나 색채얼룩이 생기지 않고 보존성과 발색능력이 뛰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생되는 2이상의 감온발색층을 보유하고, 상기 감온발색층중 적어도 하나는 로이코염료와 산성물질을 함유하는 발색시스템을 갖는 다색 감온 기록재에 있어서, 상기 로이코염료와 산성물질에 의한 발색시스템에 대하여 탈색작용을 할 수 있는 위치에 하기의 일반식[Ⅰ]을 갖는 화합물이 적어도 1종 이상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감온기록재,
    Figure kpo00020
    여기서, 상기 A는 하기의 일반식[Ⅱ]을 가지며,
    Figure kpo00021
    X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을 갖는 화합물은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또는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감온 기록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을 갖는 화합물을 상기 발색시스템내에 포함된 로이코염료와 산성물질을 합한 총량의 0.1 내지 20파트(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감온 기록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을 갖는 화합물은 상기 발색시스템내에 포함된 로이코염료와 산성물질을 합한 총량의 0.5 내지 10파트(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감온 기록재.
  5. 제1항에 있어서, 탈색작용을 할 수 있는 위치는 탈색되는 상기 감온 발색 시스템과 상기 일반식[Ⅰ]을 갖는 화합물이 탈색반응을 일으키는 위치로서, 상기 감온발색시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감온발색층 내부, 상기 감온발색층에 인접한 상부피막층, 중간층 또는 하부피막층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감온 기록재.
KR1019880012418A 1987-09-25 1988-09-24 다색 감온 기록재 KR0126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41625A JPH06431B2 (ja) 1987-09-25 1987-09-25 多色感熱記録体
JP?62-241625 1987-09-25
JP???62-?241625 198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579A KR890005579A (ko) 1989-05-15
KR0126476B1 true KR0126476B1 (ko) 1997-12-19

Family

ID=1707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418A KR0126476B1 (ko) 1987-09-25 1988-09-24 다색 감온 기록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06604A (ko)
EP (1) EP0308978B1 (ko)
JP (1) JPH06431B2 (ko)
KR (1) KR0126476B1 (ko)
DE (1) DE388006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4590A (ja) * 1987-12-28 1989-07-11 Adeka Argus Chem Co Ltd 感熱記録材料
DE3834299A1 (de) * 1988-10-08 1990-04-12 Hoechst Ag Verfahren zum stabilisieren einer leukofarbstoffloesung und durch strahlung polymerisierbares, einen leukofarbstoff enthaltendes gemisch
US5618063A (en) * 1992-12-09 1997-04-08 Wallace Computer Services, Inc. Multicolor heat-sensitive verification and highlighting system
US6228133B1 (en) * 1998-05-01 2001-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s having abrasive layer bond system derived from solid, dry-coated binder precursor particles having a fusible, radiation curable component
CN107531630B (zh) * 2015-07-01 2021-07-30 Dic株式会社 稳定剂化合物、液晶组合物和显示元件
KR101985637B1 (ko) 2016-03-08 2019-06-0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
WO2023281842A1 (ja) * 2021-07-09 2023-01-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感熱記録媒体、冊子およびカ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6068A (en) * 1972-11-08 1975-10-28 Mitsubishi Paper Mills Ltd Heat sensitive recording material containing decolorizing agent
JPS54139741A (en) * 1978-04-21 1979-10-30 Ricoh Co Ltd Multicolor thermographic material
JPS5581194A (en) * 1978-12-14 1980-06-18 Ricoh Co Ltd Polychromic heat 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S6021552B2 (ja) * 1979-09-26 1985-05-28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
JPS5919195A (ja) * 1982-07-26 1984-01-31 Shin Nisso Kako Co Ltd 感熱記録材料
JPS6011390A (ja) * 1983-06-30 1985-01-21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紙
US4599630A (en) * 1983-11-15 1986-07-08 Ricoh Company, Ltd. Two-color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S60187584A (ja) * 1984-03-06 1985-09-25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紙
JPH0630955B2 (ja) * 1984-11-15 1994-04-27 株式会社リコー 2色感熱記録材料
JPH0710620B2 (ja) * 1985-03-28 1995-02-08 株式会社リコー 2色感熱記録型ラベル
JPH0714656B2 (ja) * 1985-04-20 1995-02-22 株式会社リコー 多色発色感熱記録材料
JPS6259078A (ja) * 1985-09-09 1987-03-14 Fuji Photo Film Co Ltd 減感剤組成物
JPS62116182A (ja) * 1985-11-15 1987-05-27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記録材料
GB2184856B (en) * 1985-11-15 1989-10-25 Fuji Photo Film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s
JPH089265B2 (ja) * 1986-05-29 1996-01-31 株式会社リコー 二色感熱記録材料
JPH0354281A (ja) * 1989-07-21 1991-03-08 Toyo Ink Mfg Co Ltd 粘着剤シートおよび粘着剤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8978A2 (en) 1989-03-29
US4906604A (en) 1990-03-06
EP0308978A3 (en) 1990-08-08
JPH06431B2 (ja) 1994-01-05
JPS6482986A (en) 1989-03-28
DE3880060D1 (de) 1993-05-13
DE3880060T2 (de) 1993-11-11
KR890005579A (ko) 1989-05-15
EP0308978B1 (en) 199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476B1 (ko) 다색 감온 기록재
JPH04164687A (ja) 感熱記録体
JPS6019584A (ja) 感熱記録体
JPH0773950B2 (ja) 感熱記録体
JPS62170388A (ja) 感熱記録体
JPS6046292A (ja) 感熱記録体
JPS60225790A (ja) 感熱記録体
EP0468459B1 (en)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KR930008768B1 (ko) 기록재료
JPH0442998B2 (ko)
JPH01125281A (ja) 感熱記録材料
JPH01180382A (ja) 感熱記録材料
EP0337426A2 (en) Heat 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S60105589A (ja) 感熱記録体
JPS6153082A (ja) 感熱記録体
JPH05169826A (ja) 2色感熱記録体
JPH03114775A (ja) 感熱記録体
JPS62187083A (ja) 感熱記録紙
JPH02117889A (ja) 感熱記録体
JPH01232095A (ja) 感熱記録体
JPS61116584A (ja) 感熱記録体
JPH01297290A (ja) 感熱記録材料
JPH01225590A (ja) 2色感熱記録体
JPS60222293A (ja) 感熱記録体
JPS6384979A (ja) 感熱記録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