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486B1 -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486B1
KR0125486B1 KR1019950015861A KR19950015861A KR0125486B1 KR 0125486 B1 KR0125486 B1 KR 0125486B1 KR 1019950015861 A KR1019950015861 A KR 1019950015861A KR 19950015861 A KR19950015861 A KR 19950015861A KR 0125486 B1 KR0125486 B1 KR 0125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eal
panel
side sill
fixed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046A (ko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1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486B1/ko
Publication of KR97000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후방 보강부재를 사이드 실 인너 팬널 후방에 구비하고, 센터 플로워 패널 하부에 굴곡부를 형성한 하부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사이드 실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충분한 충격흡수가 가능하며 차체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한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제1도는 자동차의 차체골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사이드 실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결합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실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실 11 : 사이드 실 아웃 패널
12 : 사이드 실 인너 패널 13 : 전방 보강부재
14 : 후방 보강부재 14a : 계단부
15 : 센터 플로워 패널
16 : 하부 보강부재 16a : 굴곡부
M : 시험편(MOVING DEFORMABLE BARRIER : MDB)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후방 보강부재를 사이드 실 인너 패널 후방에 구비하고, 센터 플로워 패널 하부에 굴곡부를 형성한 하부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사이드 실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충분한 충격흡수가 가능하며 차체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한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체의 전면과 측면에 다양한 구조를 갖는 차체구조를 응용하여 사용하였으며, 충돌을 대비한 시험으로 전방충돌(FRONT IMPACT)과 측면충돌(SIDE IMPACT)이 있다.
상기 시험은 자동차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 요소로서, 이미 각 나라에서는 이러한 충돌시험시 측정된 안전수치의 한계를 법규화하여 수입되는 자동차의 규제항목으로 이용하고 있다.
현재 생산되는 자동차는 충돌로 인한 승객의 안전과 충돌시험에 의한 안전수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결합구조를 가진 전방차체의 전방충돌에 대한 안전수치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측면충돌에 대한 차체의 측면 사이드 실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플로워 패널(20)의 양측단부가 절곡되어 사이드 실(21)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사이드 실(21)은 사이드 실아웃 패널(22)과 사이드 실 인너 패널(23)이 융착고정되며 내부에는 별도의 보강부재(24)가 융착고정되어 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차체측면의 긴 사이드 실 결함구조는 측면 충돌이나 측면 충돌시험시 시험편(M)이 충돌하였을때 사이드 실(21)을 지지하여 주지 못하여 사이드 실(21)이 실내로 밀려 들어오는 정도가 크고, 충분한 충격흡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의 탑승객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크게 전달되며, 특히 인체 상해중 골반부에 해당하는 부위가 실내로 밀려 들어오므로서 안전수치를 나타내는 펠비스(PELVIS)값이 좋지 못하였다.
또한 차체의 사이드 실(21)의 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에 측면충돌시 사이드 실(21)의 지지역활을 센터 플로워 패널(20)이 지지하는 구조로서 측면충돌시 사이드 실(21) 부분이 실내로 밀리면서 차체의 센터 필라, 도어, 루프의 상단까지 밀려들어와 차체의 파손정도가 심하였으며, 이에 따라 측면 충돌시험시 차체에 전해지는 충격량이 커져 펠비스 값이 낮아지고, 승객의 안전성을 저하 시키는 요인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사이드 실 인너 패널 후방과 센터 플로워 패널 하부에 각각 보강부재 구비하여 사이드 실과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사이드 실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측면충돌에 대한 차체의 강성을 증가하고, 이에 따라 탑승객에게 전해지는 충격량을 감소하여 펠비스 값이 개선 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드 실 인너 패널의 후방에 계단부를 형성한 후방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센터 플로워 패널하부에 굴곡부를 형성한 하부 보강부재를 구비하고,센터 플로워 패널 하부에 굴곡부를 형성한 하부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사이드 실의 결합구조를 개선 함으로서 상술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자동차의 차체골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실(10)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실(10)은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보강부재(14)는 3단계로 절곡된 계단부(14a)를 형성하여 일단은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의 상부면에 융착고정되고, 타단은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의 수직면에 융착고정된 센터 플로워 패널(15)의 상부면에 융착고정되어 충격흡수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보강부재(16)는 센터 플로워 하부에 오목한 굴곡부(16a)를 형성하여 일단은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 하부 융착부에 융착고정되고, 타단은 센터 플로워 패널(15) 하부에 융착고정되어 형성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과 센터 플로워 패널에 계단부(14a)를 형성한 후방 보강부재(14)의 양단이 융착고정되어 충격 흡수 공간을 형성하고, 계단부(14a)는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 하부 융착부와 센터 플로워 패널 하부에 굴곡부(16a)를 형성한 하부 보강부재(16)가 융착고정되고 센터 플로워 패널(15)의 양단이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의 수직면에 융착고정되므로 사이드 실(10)과 센터 플로워 패널(15)과의 결합도를 높인다.
이와 같이 된 결합구조를 갖는 사이드 실(10)이 구비된 차체의 측면에 외부로 부터 다른 차량이나. 충돌시험에 의한 시험편(M)이 충돌되면 외측의 사이드 실 아웃 패널(11)이 제일 먼저 충돌되면서 일차적으로 전방 보강부재(13)와 함께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이어서 나머지 충격은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에 의하여 후방 보강부재(14)에 전달되어 계단부(14a)와 충격흡수공간에 의하여 실내측으로 밀리는 정도를 최소화 하며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굴곡부(16a)를 형성한 하부 보강부재(16)의 양단이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 하부 융착부와 센터 플로워 패널(15) 하부에 융착고정되고,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의 수직면에 센터 플로워 패널(15)의 양단이 융착고정 되므로 사이드 실(10)과 센터 플로워 패널(15)의 결합도를 높인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인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는 외부로 부터의 충격을 다단계로 흡수 되도록 하여 충격의 완충효과와 이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하여 센터필라, 도어, 루프 상단까지의 상대적인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차량의 파손정도를 줄일 수 있으며, 실내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소하여 탑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충돌시험에 대한 펠비스 값이 안전수치에 가깝도록 개선시켜 줌으로서 자동차의 안전도 향상에 따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센터 플로워 패널(20)의 양측단부가 절곡되어 사이드 실(21)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사이드 실(21)은 사이드 실 아웃 패널(22)과 사이드 실 인너 패널(23)이 융착고정되며 내부에는 별도의 보강부재(24)가 융착고정된 자동차 사이드 실(21)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후방 보강부재(14)는 3단계로 절곡된 계단부(14a)를 형성하여 일단은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의 상부면에 융착고정되고, 타단은 사이드실 인너 패널(12)의 수직면에 융착고정된 센터 플로워 패널(15)의 상부면에 융착고정되어 충격흡수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보강부재(16)는 센터 플로워 하부에 오목한 굴곡부(16a)를 형성하여 일단안 사이드 실 인너 패널(12) 하부 융착부에 융착고정되고, 타단은 센터 플로워 패널(15) 하부에 융착고정되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실 결합구조.
KR1019950015861A 1995-06-15 1995-06-15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0125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861A KR0125486B1 (ko) 1995-06-15 1995-06-15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861A KR0125486B1 (ko) 1995-06-15 1995-06-15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046A KR970001046A (ko) 1997-01-21
KR0125486B1 true KR0125486B1 (ko) 1998-04-07

Family

ID=1941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861A KR0125486B1 (ko) 1995-06-15 1995-06-15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4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046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5486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0125488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012548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200183512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보강장치
KR0125489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0130507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200182572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보강장치
KR200179129Y1 (ko) 자동차의 센터 플로워 판넬
KR0121450Y1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워와 사이드실의 결합구조
KR200182567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보강장치
KR200147202Y1 (ko) 자동차의 센터 필러하부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200149453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012179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KR0149414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KR200182569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보강장치
KR200187788Y1 (ko) 자동차의사이드실구조
KR0121790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KR013999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100268686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및 사이드 아웃터멤버 결합구조
KR0140292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204998B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판넬
KR012466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0139998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200187786Y1 (ko) 자동차의사이드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