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73B1 -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73B1
KR0124373B1 KR1019920015458A KR920015458A KR0124373B1 KR 0124373 B1 KR0124373 B1 KR 0124373B1 KR 1019920015458 A KR1019920015458 A KR 1019920015458A KR 920015458 A KR920015458 A KR 920015458A KR 0124373 B1 KR0124373 B1 KR 012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no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390A (ko
Inventor
세지 히라노
오사무 미치하라
히데키 나카조노
마사아키 시미즈
코지 우메가키
미쯔루 안마
노조미 카와사키
Original Assignee
와다 요시히로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소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20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618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2028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53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942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1003B2/ja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요시히로,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소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93000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60R2016/0322Temporary code for documents to be reclassified to G08C, H04L or H04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선의 일부에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도 차량의 전체 보조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는 차량의 각소에 배설되고 차량용 보조기계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노드(2a), (2b)와, 이 복수의 제어노드 사이를 접속하는 다중전송선을 구비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로서, 제어노드(2a), (2b)는 차체의 소정개소에 배치된 전원노드(5)에 대해서 독립한 2단계통의 제1 및 제2전원선(6)(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제3도).

Description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제1도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의 1개의 제어노드에 있어서의 통신선과 전원선의 접속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2도는 다중전송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포맷을 표시한 도면.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한 블럭도.
제4도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의 제어노드 및 전원노드의 상세한 내용을 표시한 도면.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6도는 본원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7도는 본원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의 제어노드의 상세한 내용을 표시한 도면.
제8도는 본원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의 요부를 표시한 회로도.
제9도는 본원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요부를 표시한 회로도.
제10도는 본원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를 표시한 개략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a,2b,21 : 제어노드
3 : 부하제어기 4 : 차량용 보조기계
5 : 전원노드 6,42 : 제1전원선
7,43 : 제2전원선 8,9,34,35,54 : 다이오드
10,41 : 배터리 11,12,32,33,47,48 : 퓨즈
22 : 신호선 23 : 부하구동부
24 : 제어부 25 : 통신부
26 : 모터 27 : 센서
28 : 스위치 29 : 전원
30 : 주전원선 31 : 부전원선
44A,44B,44C,44D : 주행계 부하 45A,45B,45C : 일반계 부하
46A,46B,46C,46D : 제어유닛 49 : 절환릴레이
49a : 항상폐쇄접점 49b : 항상개방접점
49c : 가동접편 49d : 릴레이코일
50 : CPU 51 : 분기선
52,53,55 : 전력인입선 56,57 : 조작스위치
58 : 저항.
본 발명은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중 전원선을 구비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보조기계류로서, 기계식 작동기에 대신해서 전기식 작동기가 다용되게 되고 있다. 그리고 그들 보조기계류는 다종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있어서의 전기배선은, 1개의 직류전원으로부터 여러가지의 보조기계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과, 여러가지의 보조기계간의 신호전송용 배선이 뒤섞여서 복잡한 배선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 여러가지의 보조기계를 제어하는 제어노드를 다중전송신호선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신호선의 개수를 삭감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의 각 제어노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62-3935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에 접속된 복수의 전원선이 각 제어노드에 각각 독립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이 서로 독립한 전원선을 개재해서 각 제어노드에 전원이 공급되는 방식이 취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원선의 배선구조를 채용한 경우, 각 제어노드에서의 전원선이 서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한 보조기계가 단락해서 그 보조기계를 제어하는 제어노드에 급전하고 있는 전원선이 단선하면, 이 제어노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는 이미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이 제어노드의 제어부 및 통신부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 및 통신부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되면,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스위치 등의 기기가 비록 작동가능했다고 해도, 이 제어노드로부터 다른 제어노드에의 신호의 송신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이들 센서, 스위치 등의 기기는 실질적으로 작동불능과 동일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한 다중전송방식의 채용에 의해서 신호선의 개수를 삭감할 뿐만 아니라, 전원선의 개수를 삭감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즉, 여러가지의 보조기계를 1회로의 전원선에 의해서 차례로 접속해가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을 채용하면 차량의 전체 보조기계를 1회로의 전원선에 의해서 전부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전원선의 개수를 비약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보조기계를 이와 같이 접속한 경우에는 전원선의 1개소에서 단락이 일어나면 차량전체의 보조기계가 단번에 작동불능이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식을 채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불편을 피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용장한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일본국 특개소57-8023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력제어기를 구비한 신호선 및 전력선을 루프형상으로 배색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전력제어기 사이로부터 분기하는 신호선 및 전력선에 단말제어기를 접속하고, 또한 이들 단말제어기에 단말기를 다시 접속하고, 단락 등에 의해 전원선에 이상전류가 흐른 경우에는,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복수의 전력제어기를 차례로 동작시켜 재차 이상전류를 검출했을 때에, 그 전력제어기 사이를 분리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공지예의 경우, 전력제어기가 공간·비용 모든 것이 되기 때문에, 이것이 경량·소공간화·저비용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장해가 되고 있다. 또 단락이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 후, 각 전력제어기를 차례로 동작시킴으로써 단락부위를 검출하고, 그 전력제어기 사이를 분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단락부위를 검출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을 요하게 된다. 이 단락부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은, 보조기계에 대한 전력공급을 할 수 없고, 차량주행중이면 위험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특히 분리된 제어기가, 주행계 보조기계(즉, 차량이 달리고, 돌고 멈추는 것과 같은 주행기능에 관여하는 보조기계)를 제어하는 것일 경우, 단락부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 주행계 보조기계가 동작불능이 되어 정상의 차량주행을 행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차량의 전원선의 일부에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도, 차량의 전체 보조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기계용 전원선이 단선한 바와 같은 경우에도 제어노드 상호간의 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주행계 보조기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주행계 보조기계에의 전력의 공급을 계속할 수 있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차량의 각소에 배설되고, 차량용 보조기계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노드와, 이 복수의 제어노드 사이를 접속하는 다중전송선을 구비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노드는, 차체의 소정개소에 배치된 전원노드에 대해서 독립한 2계통의 제1 및 제2전원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이외의 기타 목적 및 이점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서 당업자에게 명확해지며,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부인 실시예를 설명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전부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결정짓는 청구범위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자동차의 다중전송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동차의 다중전송에 있어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각부에 배치된 제어노드가, 트위스트선으로 이루어진 통신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이 통신선을 개재해서 각 제어노드 사이의 통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어노드에는 예를들면 EG1제어기 등의 보조기계가 접속되어 있다. 또 각 제어노드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선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전원선을 개재해서 각 제어노드 및 보조기계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다중전송장치에서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프레임 F마다 자동차 운전정보가 전송된다.
프레임 F는 SD(Start Delimiter)부호, 우선순위부호, 프레임 ID부호, 데이터길이, 데이터1~데이터N, 검사부호를 가진 프레임구성이 되고 있다. 먼저「SD부호」는 프레임 F의 개시를 표시하는 특정한 부호이며, 수신다중노드는 이 SD부호를 수신하면 프레임 F의 개시를 인지하도록 되어 있다.「우선순위부호」는 동시에 복수의 다중노드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신호가 충돌한 경우에 어떤 신호를 우선해야 처리할지를 지시하는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부호이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우선순위는 비트값이 낮은 것 일수록 높은 우선도가 할당되고 있다. 이것은 버스 1에서는, 저레벨이 WIRED-OR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동시에 복수의 다중노드로부터 신호가 송출된 경우는 우선도가 높은 다중노드의「우선순위부호」가 버스 1위에 남으므로, 낮은쪽의 다중노드는 자체가 송출한「우선순위부호」가 다른 부호로 바뀌고 있으므로 충돌을 검출한다. 그리고 자체의 실패프레임의 재송을 지연시킴으로써 높은 우선도의 다중노드로부터의 재송을 우선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 ID부호」는 당해 프레임의 송출처를 표시하는 부호이며, SAE International Congress and Exposition(1986년 2월)에 발표된 문헌「A proposal for a Vehicle Network Protocol Standard」의 속에 있는 기능번지지정에 상당한다. 이 ID부호는, 송출처의 다중노드가 붙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길이」에는 이 다음에 계속되는 데이터의 수가 기록되고, N개의 데이터가 있다고 하면 데이터 길이로서 N이 보내진다. 이 프레임을 받아들인 다중노드에서는, 데이터를 데이터길이의 내용만 판독한다. 그리고 데이터에 계속되는 필드가 CRC검사부호(에러검출부호)이며, 이것을 확인함으로써 프레임의 종료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도의 포맷은 일반적인 형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면 프레임의 데이터길이는 4바이트로 통일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 프레임내에는 예를 들면 EGI용 정보도 포함되면 ABS용 정보도 포함된다.
이상이 자동차의 다중전송의 개요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3도 및 제4도에는 제1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자동차의 차체(1)의 오른쪽 및 왼쪽에는 차량용 보조기계(부하)(4)를 제어하기 위한 부하제어기(3)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제어노드(2a), (2b)가 좌우로 분리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차체(1)의 오른쪽에 배치된 오른쪽 제어노드(2a)는 차체(1)의 적소(예를 들면, 앞부분)에 배치된 전원노드(5)에 대해서 제1전원선(6)을 개재해서 차체전후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차체(1)의 왼쪽에 배치된 왼쪽제어노드(2b)는 전원노드(5)에 대해서 제2전원선(7)을 개재해서 차체전후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오른쪽 제어노드(2a)와 왼쪽제어노드(2b)는, 제1전원선(6) 및 제2전원선(7)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즉 오른쪽제어노드(2a)와 왼쪽제어노드(2b)는 독립한 2계통의 전원선(6),(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제어노드(2a), (2b)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트위스트선으로 이루어진 다중전송용 통신선(도시생략)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어노드(2a)(2b)에 있어서의 부하제어기(3)는 제1전원선(6)과 제2전원선(7)에 대해서 역류방지용 다이오드(8), (9)를 각각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 전원노드(5)는 배터리(10)와, 이 배터리(10)의 +단자에 접속된 제1전원선(6)과 제2전원선(7)을 각각 보호하는 보호수단(예를 들면 퓨즈)(11)(12)을 구비하고 있다. 또 배터리(10)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차량왼쪽으로의 충돌에 의해서, 예를 들면 제2전원선(7)에 있어서의 A부분이 단락했다고 하면, 제2전원선(7)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수단(12)이 작동해서 제2전원선(7)에의 급전이 정지된다. 그러나, 오른쪽 및 왼쪽제어노드(2a)(2b)의 사이는 제1전원선(6)에 의해서도 접속되어 있으므로, 비록 제2전원선(7)이 단선했다고 해도, 제1전원선(6)을 개재해서 배터리(10)로부터 각 제어노드(2a)(2b)에의 전력공급이 계속되게 된다. 따라서 각 제어노드(2a)(2b)에 접속되어 있는 보조기계(4)는 제1전원선(6)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정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제1전원선(6)이 단락한 경우에는 각 제어노드(2a)(2b)에의 급전은 제2전원선(7)에 의해 행해진다.
즉, 이 실시예의 경우, 전력제어기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을 사용하는 일 없이, 경량·소공간·저비용으로 전체노드(환언하면 전체차량용 보조기계)가 단번에 동작불능이 될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5도에는 제2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상이점은, 오른쪽제어노드(2a)중의 1쌍 사이(즉 앞에서부터 2번째 제어노드와 3번째 제어노드의 사이)가 제2전원선(7)에 의해 접속되고, 왼쪽제어노드(2b)중의 1쌍 사이(즉 앞에서부터 2번째 제어노드와 3번째 제어노드의 사이)가 제1전원선(6)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점이지만, 오른쪽제어노드(2a)와 왼쪽제어노드(2b)가 독립한 2계통의 전원선(6)(7)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은 제1실시예와 다름이 없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예)
이 제3실시예의 다중전송장치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각소에 배치되는 각 보조기계류 및 각종 센서류 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서 작용하는 복수의 제어노드(21)와, 이들 제어노드(21) 상호간을 접속하는 다중전송용 신호선(22)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제어노드(21)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부하(예를 들면 작동기로서 작용하는 모터)(26)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부하구동부(23)와, 적당한 센서(27), 스위치(28) 및 부하구동부(23)를 제어하는 제어부(24)와, 다른 제어노드(21)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25)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부하구동부(23)는 이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4)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여자 혹은 소자되는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어노드(21)에 있어서의 부하구동부(23), 제어부(24) 및 통신부(25)에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원(29)으로부터 분기되고, 보호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퓨즈(32)를 각각 구비한 주전원선(30)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전원선(30)은 제어부(24) 및 통신부(25)에 대해서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34)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각 제어노드(21)에 있어서의 제어부(24) 및 통신부(25)에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35)를 개재해서 부전원선(31)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부전원선(31)은, 보호수단으로서 작용하는 1개의 퓨즈(33)를 개재해서 전원(29)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34)(35)는, 주전원선(30)고 부전원선(31)의 급전전압에 차가 생긴 경우에도, 제어부(24) 및 통신부(25)에 급전되는 전원전류가 한쪽의 전원선으로부터 다른쪽의 전원선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중전송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정상시에 있어서는, 각 제어노드(21)에 있어서의 부하구동부(23), 제어부(24) 및 통신부(25)는, 주전원선(30)을 개재해서 급전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된다.
그런데, 몇가지 원인에 의해 특정한 제어노드(21)에 있어서의 부하구동부(23)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26)가 단락하면, 주전원선(30)의 퓨즈(32)가 용단해서 이 주전원선(30)을 개재해서 급전이 계속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24)와 통신부(25)에 의한 센서(7)와 스위치(8)의 제어기능 및 다른 제어노드(21)와의 송수신기능은 확보되게 된다.
즉, 이 제3실시예의 다중전송장치에 의하면, 전원선의 배색개수 및 보호수단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다중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4실시예)
제10도에는 제4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차량용 탑재배터리(41)의 -단자는 접지되고, +단자는 서로 병렬로 된 제1 및 제2전원선(42), (43)에 접속되어 있다.
제1전원선(42)은 주행에 관계되는 주행계 부하(44A), (44B)…에 대해서 전원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제2전원선(43)은 주행에 관계되지 않는 그밖의 일반계 부하(45A), (45B)…에 대해서 전원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1전원선(42) 및 제2전원선(43)은 주행계 부하(44A), (44B)…및 일반계 부하(45A), (45B)…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46A), (46B)…으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또 부호(47)은 제1전원선(42)에 설치된 주행계용 퓨즈를 표시하고, 부호(48)은 제2전원선(3)에 설치된 일반계용 퓨즈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주행계 부하(44A), (44B)…란, 차량이 달리고 돌고 멈추는 기능에 관련하는 보조기계구동용 작동기(예를 들면 변속기계, 조타계, 제동계 작동기)를 말하고, 일반계 부하란, 상기 작동기 이외의 보조기계구동용 작동기를 말한다.
제어유닛(46A), (46B)…은 모두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전원선(43)으로부터의 전원전력을 주행계 부하(44A), (44B)…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절환하는 절환수단으로서의 절환릴레이(49)와, 이 절환릴레이(49)의 작동제어를 행하는 릴레이제어용 CPU(50)을 구비하고 있다.
절환릴레이(49)는, 제2전원선(43)의 도중에 형성된 항상폐쇄접점(49a)가, 제2전원선(43)으로부터 분기해서 제1전원선(42)에 접속되는 분기선(51)의 도중에 있어서 항상폐쇄접점(49a)에 인접해서 형성된 항상개방접점(49b)과, 이들 항상폐쇄접점(49a) 또는 항상개방접점(49b)을 선택적으로 폐로 하는 가동접편(49c)과, CPU(5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여자되는 릴레이코일(49d)로 구성되어 있다.
CPU(10)에는 제1전원선(42)과 제2전원선(43)으로부터의 전력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전력인입선(52), (53)이 접속되어 있으며, 제1전원선(42)에 있어서의 전압과 제2전원선(43)에 있어서의 전압을 비교하는 기능과, 제1전원선(42)에 있어서 단락이 일어나서 주행계용 퓨즈(47)가 용단하고, 제1전원선(42)의 전압이 급격하게 저하한 경우에, 절환릴레이(49)의 릴레이코일(49d)을 여자해야 할 지령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면중, 부호(54)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 부호(55)는 제1전원선(42)에 있어서의 주행계용 퓨즈(47)가 용단한 경우에 CPU(50)에의 전력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전력인입선, 부호(56), (57)은 조작스위치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어유닛(46C)과 같이 주행계 부하(44C)만이 접속되는 경우에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전원선(43)은 적당한 저항(58)을 개재해서 접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정상시에 있어서는, 주행계 부하(44A), (44B)…에는 제1전원선(42)을 개재해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고, 일반계 부하(45A), (45B)…에는 제2전원선(43)을 개재해서 전원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나 제1전원선(42)에 있어서 단락이 일어나서 제1전원선(42)을 개재한 주행계 부하(44A)(44B)에의 전력공급이 불능이 된 경우에는, 제어유닛(46A)(46B)…에 있어서의 CPU(50)가 이것을 검지해서 릴레이코일(49d)을 여자하고, 절환릴레이(49)의 가동접편(49c)이 항상개방접점(49b)을 폐로 한다. 따라서, 주행계 부하(44A)(44B)…에는 제2전원선(43)을 개재해서 전력이 공급되게 되고, 주행계 부하(44A)(44B)…의 기능유지를 할 수 있다.
즉, 제2전원선(43)을 정상시에 있어서의 일반계 부하(45A)(45B)…에의 전력공급용과 이상시에 있어서의 주행계 부하(44A)(44B)…에의 전력공급용으로 겸용할 수 있게 되고, 쓸데없는 전원선을 사용하지 않아도(환언하면, 전선개수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주행계 부하(44A)(44B)…에의 전원전력공급을 확보할 수 있게되고, 차량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 제어유닛(46A)(46B)…에 있어서의 일반계 부하(45A)(45B)…에의 전원전력공급은 행해지지 않게 되나, 차량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긴급피난처치이므로 어쩔 수 없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수정 또는 변형가능하다.

Claims (9)

  1. 차량의 각소에 배설되고, 차량용 보조기계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노드와, 이 복수의 제어노드 사이를 접속하는 다중전송선을 구비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노드는, 차체의 소정개소에 배치된 전원노드에 대해서 독립한 2계통의 제1 및 제2전원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노드는 부하제어기를 구비하고, 이 부하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전원선에 대해서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개재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노드에는 상기 제1 및 제2전원선을 각각 보호하는 보호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을 퓨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보조기계는, 주행에 관계되는 주행계 보조기계와 주행에 관계되지 않는 그 밖의 일반계 보조기계로 분류되고, 상기 제1전원선은 상기 주행계 보조기계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2전원선은 상기 일반계 보조기계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전원선을 개재해서 공급되는 전력을 필요에 따라서 상기 주행계 보조기계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선을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노드는 부하구동부와, 제어어부와, 통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전원선은 상기 제어노드의 상기 부하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에 대해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전원선은, 상기 제어노드의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에 대해서만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선은 1개의 보호수단을 개재해서 상기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은 퓨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선과 상기 제2전원선은, 각 제어노드의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에 대해서 각각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KR1019920015458A 1991-08-30 1992-08-27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KR0124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0287A JP2661819B2 (ja) 1991-08-30 1991-08-30 車両用制御機器の給電構造
JP3220286A JP2695316B2 (ja) 1991-08-30 1991-08-30 車両用電源線構造
JP91-220287 1991-08-30
JP91-220286 1991-08-30
JP91-249420 1991-09-27
JP24942091A JP3281003B2 (ja) 1991-09-27 1991-09-27 多重伝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90A KR930005390A (ko) 1993-03-23
KR0124373B1 true KR0124373B1 (ko) 1997-12-01

Family

ID=2733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458A KR0124373B1 (ko) 1991-08-30 1992-08-27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75189A (ko)
EP (1) EP0529650B1 (ko)
KR (1) KR0124373B1 (ko)
DE (1) DE6922878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7960A3 (en) * 1993-06-28 1999-05-12 New Holland Belgium N.V. Process for the control of selfpropelled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s
US5808371A (en) * 1995-09-05 1998-09-15 Hitachi, Ltd. Apparatus for driving electrical loads provided at a vehicle
JPH09275632A (ja) * 1996-04-04 1997-10-21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力分配システム
JP3438473B2 (ja) * 1996-06-20 2003-08-18 矢崎総業株式会社 多重伝送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異常処理制御方法並びに異常処理装置
US6127741A (en) * 1997-03-17 2000-10-03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Vehicular use power feed apparatus
DE19756976C2 (de) * 1997-12-20 2000-05-11 Daimler Chrysler Ag Bremseinrichtung für Fahrzeuge
JP3774307B2 (ja) * 1997-12-22 2006-05-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機器制御装置
DE19813921A1 (de) * 1998-03-28 1999-09-30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über eine Busleitung vernetzten Rückhaltesystems bei einer fehlerhaften Stromversorgung
DE19850869B4 (de) * 1998-11-04 2004-09-23 Siemens Ag Leitungskopplung und Verwendung einer Leitungskopplung in einem Bussystem
US6269011B1 (en) 1999-02-14 2001-07-31 Yazaki Corporation Power supply system having semiconductor active fuse
DE19915253A1 (de) * 1999-04-03 2000-10-0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verteilten Steuersystems in einem Fahrzeug
DE19916452C2 (de) * 1999-04-12 2001-10-25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Vorrichtung für einen Powerring
US6212457B1 (en) 1999-08-05 2001-04-03 Trw Inc. Mixed parallel and daisy chain bus architecture in a vehicle safety system
DE10039459A1 (de) * 2000-08-12 2002-02-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edundantes Daten-Bussystem für Fahrzeuge
FI115426B (fi) 2000-12-22 2005-04-29 Iws Int Oy Kulkuneuvon sähkönjakelujärjestelmän älykäs sulakerasia
DE10248843B4 (de) * 2002-10-19 2005-01-20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Motors oder Getriebes
US7336002B2 (en) * 2003-02-17 2008-02-26 Denso Corporatio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4139261B2 (ja) * 2003-04-09 2008-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ロント電装システム、フロント電装システム用電子制御ユニット及び電装コネクタ
US7235898B1 (en) 2003-10-23 2007-06-26 Yazaki North America, Inc. Vehicle power distribution node with redundant power supply
US20090015976A1 (en) * 2004-05-31 2009-01-1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Power feed system for vehicle
DE102006061272A1 (de) * 2006-12-22 2008-06-26 Robert Bosch Gmbh Fahrzeuggestütztes Datenverarbeitunssystem
US20120007424A1 (en) * 2010-07-07 2012-01-12 Josef Maier Ring power distribution loop
JP6752278B2 (ja) * 2016-06-24 2020-09-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回路体
CN109415023B (zh) 2016-06-24 2022-07-26 矢崎总业株式会社 车辆电路体
CN109415027B (zh) 2016-06-24 2022-04-05 矢崎总业株式会社 车辆电路体
DE112017003145B4 (de) 2016-06-24 2023-02-16 Yazaki Corporation Fahrzeugstromkreiskörper
JP6752279B2 (ja) * 2016-06-24 2020-09-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回路体
JP7081944B2 (ja) * 2018-03-07 2022-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の回路体
JP7040963B2 (ja) * 2018-03-07 2022-03-23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20076863A2 (en) * 2018-10-09 2020-04-16 Uncharted Power, Inc. A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distributing power
JP2020082851A (ja) * 2018-11-19 2020-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幹線配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1122A1 (de) * 1978-01-12 1979-07-19 Bosch Gmbh Robert Fernwirksystem zum selektiven ansteuern von verbrauchern,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
US4403155A (en) * 1980-01-17 1983-09-06 Yazaki Corporation Wir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S5780239A (en) * 1980-11-05 1982-05-19 Hitachi Ltd Concentrated wiring device for vehicle
FR2498385A1 (fr) * 1981-01-20 1982-07-23 Modeles F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ourant electrique a securite sur engin volant leger equipe pour le vol aux instruments
DE3113523A1 (de) * 1981-03-31 1982-10-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sanordnung zur sicherung der betriebsspannungsversorgung einer elektronischen schaltungseinheit
FR2526380A1 (fr) * 1982-05-05 1983-11-10 Aerospatiale Systeme de production et de distribution d'energie electrique pour des vehicules, et notamment des aeronefs, ainsi qu'un coeur electique pour un tel systeme
WO1986007210A1 (fr) * 1985-05-20 1986-12-04 Cercle Loic Dispositif anti-micro coupures
JPS61160124A (ja) * 1984-12-29 1986-07-19 Hitachi Ltd メモリ給電方式
US4639609A (en) * 1985-02-26 1987-01-27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Load current management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DE3528986A1 (de) * 1985-08-13 1987-02-26 Teves Gmbh Alfred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mit einer blockierschutzeinrichtung
US4672296A (en) * 1986-01-06 1987-06-09 Frazer, Inc. Mobile emergency medical vehicle with auxiliary engine/generator providing AC/DC output
DE3624455C2 (de) * 1986-07-19 1994-1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tromversorg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JPS63222953A (ja) * 1987-03-13 1988-09-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車輌用多重伝送システム
US4788449A (en) * 1987-04-24 1988-11-29 The Foxboro Company Redundant power distribution
US4956561A (en) * 1988-12-27 1990-09-11 Caterpillar Inc. Smart power connector
JP2904283B2 (ja) * 1989-05-22 1999-06-1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多重伝送装置
JPH0769376B2 (ja) * 1989-08-30 1995-07-3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多重伝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29650B1 (en) 1999-03-31
DE69228780D1 (de) 1999-05-06
EP0529650A2 (en) 1993-03-03
KR930005390A (ko) 1993-03-23
US5675189A (en) 1997-10-07
EP0529650A3 (en) 1995-05-10
DE69228780T2 (de) 199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4373B1 (ko)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JP6837132B2 (ja) 自動車両電気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両電気システムを備える車両
JP6432355B2 (ja) 自動車用電源供給装置及び電源ボックス
JP3552800B2 (ja) 車両用負荷制御システム
US20050035656A1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US20050162795A1 (en) Motor vehicle
JP6738847B2 (ja) 車両用電源供給システム
HU187309B (en) System for holdback of blocking with safety circuit
EP3790233B1 (en) In-vehicle network system
CN110582431A (zh) 用于商用车的电流供给单元和用于运行商用车的电流供给单元的方法
JP3334853B2 (ja) 車両用電源分配装置
EP0507428B1 (en) Multipath transmission system
JP2695316B2 (ja) 車両用電源線構造
WO2020054380A1 (ja) 配線分岐箱
JPH10297394A (ja) 車両用電源供給装置
JP2661819B2 (ja) 車両用制御機器の給電構造
JP2006515547A (ja) 自動車の車載電力システム
JP2000011851A (ja) 電力供給制御装置
CN112078507B (zh) 车载通信系统
CN110171392B (zh) 刮水器驱动电路
JP6900959B2 (ja) ワイパ駆動回路
JP3281003B2 (ja) 多重伝送装置
JPH09284981A (ja) 自動車用電源供給装置
KR0124478B1 (ko) 전원 단선시 오동작 방지장치
JP3578896B2 (ja) 多重通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