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360Y1 - 자동초점카메라 - Google Patents
자동초점카메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16360Y1 KR0116360Y1 KR2019900009791U KR900009791U KR0116360Y1 KR 0116360 Y1 KR0116360 Y1 KR 0116360Y1 KR 2019900009791 U KR2019900009791 U KR 2019900009791U KR 900009791 U KR900009791 U KR 900009791U KR 0116360 Y1 KR0116360 Y1 KR 01163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bjective
- photographing lens
- distance
- distribution
- autofocus camer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902 bimo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cu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Abstract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과 촬영렌즈시스템, 대물분포형태를 검출하는 분포형태 검출수단, 촬영렌즈시스템의 축위치를 조절하는 초점조준수단, 및 초점면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포형태 검출수단이 대물거리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이 구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초점조준수단과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이 구동되어 촬영렌즈의 초점이 대물에 따라 결정되는 자동초점 카메라. 본고안에 의하면, 대물거리측정구역에 있는 대물의 대물거리가 다르더라도 대물거리에 따라서 초점이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1a도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대물거리측정구역(對物距籬測定區域 : object distance measuring zones)의 분포를 보여주는 화면(picture plane)의 정면도이다.
제1b도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대물 거리측정구역의 다른 분포를 보여주는 화면의 정면도이다.
제2a는 본고안에서 사용될 대물거리측정장치의 도식적 도면이다.
제2b도는 제2a도에서 보여준 SPD상에 입사된 반사 빔(beam)의 스폿트(spot)의 도식적 도면이다.
제2c도는 본고안에서 사용될 다른 형태의 대물거리측정장치의 도식적 도면이다.
제3도는 각각의 대물거리측정구역에 상응하는 대물거리측정장치의 배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4a및 4b도는 촬영된 대물의 두가지 분포형태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제5a도는 본고안에서 사용된 다른 형태의 촬영렌즈시스템의 도식적 측면도이다.
제5b는 본고안에서 사용된 촬영렌즈시스템의 도식적 측면도이다.
제6도는 필름면에 대한 촬영렌즈시스템의 광학적 축(軸)의 경사를 보여주는 제5a도 의 평면도이다.
제7도는 샤임플루크의 법칙(Sheimflug's Law)의 설명도이다.
제8도는 본고안의 자동초점조작의 흐름도이다.
[고안의 배경]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을 갖고 있는 다점(多点)대물거리측정형태의 자동 초점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을 갖고 있는 카메라는 측정용 광선이 촬영될 대물(예를 들면 두사람의 인물)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발되어 있어서 대물거리를 측정할 수 없다. 즉 만일 대물거리측정구역이 화면의 중심에만 있다면 화면의 중심에 있지 않은 대상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것을 피하기 위해서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을, 예를 들면 화면의 중심 및 그의 주변에 구비하여 두면 대물거리측정구역중 어떤 한 구역에 위치하는 대상을 근거로 하여 초점이 결정된다.
대물거리측정구역의 선정은 조합카메라의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라서 또는 촬영자의 선택에 따라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지의 다점 대물렌즈측정형태의 자동초점카메라에서 어떤 대물거리측정구역이 선택되더라도 시야의 깊이가 무시되는 경우 초점을 필름으로부터 특정한 거리에 있는 하나의 화면에서만 얻을 수 있다. 즉, 거리가 다른 대물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종래의 자동초점카메라에 있어서는, 가능한 많은 대물거리측정구역을 근거로 초점이 결정된다는 개념은 없다.
[고안의 개요]
본고안의 일차목적은 대물거리측정구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물을 근거로 초점이 결정되는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을 갖고 있는 자동초점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고안은 대물거리측정구역에 있는 대물의 대물거리가 서로 다르더라도 서로 다른 대물거리에 따라서 초점이 결정될 수 있는 자동초점카메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안은, 서로 다른 대물거리측정구역으로부터의 거리자료에 따라서 대물의 분포형태가 검출되어 촬영렌즈시스템 또는 광학적 축의 각도가 대물의 분포형태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본고안에 따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과 촬영렌즈시스템을 갖는 자동초점카메라에 있어서, 대물의 대물거리에 따라서 대물거리측정구역에 있는 대물의 분포형태를 검출하는 분포형태 검출수단; 초점면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광학적 축방향에서 적어도 촬영렌즈 시스템의 일부의 축위치를 조절하는 초점조준수단; 및 초점면을 변경시키는 초점면 변경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초점조준수단 및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은 분포형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대물의 분포형태에 따라서 구동되어 촬영렌즈의 초점이 대물에 조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카메라를 제공한다.
초점면 변경수단은 다음과 같은 예로써 실현될 수 있다.
① 초점면의 만곡(Curvature)과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 광학적 축방향에서 촬영렌즈 시스템의 특정렌즈의 축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시야(視野 : field)의 만곡을 조절하는 수단;
② 상면(象面)을 기울이기 위하여 필름면에 대하여 촬영렌즈의 광학적 축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면경사(象面傾斜)수단; 또는
③ 필름면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필름면 변경수단; 또한 이들 수단중 2개 또 3개를 조합할 수 있다.
필름면 변경수단을 상면을 기울이기 위하여 필름면에 대하여 촬영렌즈의 광학적 축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면 경사수단을 포함한다.
본고안에 따라서 촬영렌즈시스템의 초점은 특정한 대물거리측정구역에서 뿐만 아니라 또한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에서도 조준할 수 있다.
더욱 본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과 촬영렌즈시스템을 갖고 있는 자동초점카메라에 있어서, 대물의 대물거리자료에 따라서 대물거리 측정구역의 대물의 분포형태가 필름면에 대하여 평행한 것인지 또는 경사진 것인지를 검출하는 분포형태 검출수단; 분포형태가 필름면에 평행한 경우 광학적 축방향에서 전체의 촬영렌즈시스템의 축위치를 조절하는 초점조준수단; 및 분포형태가 필름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우, 광학적 축에 대하여 수직하고 그리고 필름 및 대물의 분포면에 대하여 평행한 축 주위로 촬영렌즈를 회전시키는 렌즈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카메라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치로, 촬영렌즈의 초점은 샤임풀루크의 법칙 에 따라서 촬영렌즈시스템을 회전시켜 경사진 대물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서,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과 촬영렌즈시스템을 갖고 있는 자동초점카메라에 있어서, 대물의 대물거리자료에 따라서 대물거리측정구역의 대물의 분포형태가 필름면에 평행한 것인지, 또는 볼록 또는 오목한 것인지를 검출하는 분포형태 검출수단; 분포형태가 필름면에 평행한 경우, 광학적 축방향에서 전체 촬영렌즈시스템의 축위치를 조절하는 초점 조절수단; 및 분포형태가 오목하거나 볼록한 경우 시야의 만곡을 만들기 위하여 촬영렌즈의 일부분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카메라가 제공된다.
이렇게 하여 곡선화된 대물형태를 위하여 시야의 만곡이 만들어진다. 본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
다음의 설명는 한 화면에 3개의 대물거리측정구역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대물분포형태 검출수단]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화면(11)에 긴 변을 따라 3개의 대물거리측정구역 X, Y 및 Z가 있다. 즉, 좌측 및 우측 대물거리측정구역(X 및 Z)은 중앙 대물거리측정구역(Y)의 반대편에 있다. 카메라 몸체는 그 안에 측정구역(X, Y 및 Z)에 상응하는 대물거리측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1b도는 직사각형 화면의 짧은 변을 따라 배열된 3개의 대물거리측정구역(X', Y' 및 Z')의 다른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즉, 상부 및 하부 대물거리측정구역(X' 및 Z')은 중앙 대물거리측정구역(Y')의 반대편에 있다.
대물거리측정장치는 제2a도 및 제2b도에서와 같이 모두 능동적인 모형이다.
제2a도 및 제2b도에 있는 능동적인 모형의 대물거리측정장치는 적외선 광원(IRED;12)과 광선방출렌즈(13)를 갖고 있는 광선방출기와 광선수용렌즈(14)및 대물이 기준대물거리(Do)에 대해서 카메라에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지 또는 가깝게 있는 지를 검출하는 이분형(二分型)의 광선수용엘리멘트(15)를 갖고 있는 광선수용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분형의 광선수용엘리멘트(15)는 서로 인접한 두개의 독립적인 광선수용부(A 및 B)를 갖고 있다. 대물(0)이 기준대물거리(Do)에 있으면, 광선수용부(A 및 B)는 대물(0)에 의해 반사된 동일 양의 광선(beam spot S)을 수용한다. 대물(0)이 카메라로부터 기준거리(Do)보다 먼 거리(Df)에 있으면 광선수용부(A)가 수용하는 광선의 양은 광선수용부(B)가 수용하는 양보다 크다. 즉, A B(여기에서 A,B=출력). 반대로 대물(0)이 카메라로부터 기준거리(Do)보다 먼 거리(Dn)에 있으면 광선수용부(B)가 수용하는 광선의 양은 광선수용부(A)가 수용하는 것보다 크다 (즉, AB).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서 대물(0)이 참조거리(Do)에 있으면 그 거리(Do)는 Df인 것으로 취급한다(즉 A=B). 즉,
A ≥ B 인 때는 대물거리는 Df 이고; 또
A B 인 때는 대물거리는 Dn 이다.
제3도는 위에서 본 3개의 대물거리측정장치를 보여준다. 제3도에서, 각각의 측정구역(X,Y 및 Z)의 3개의 대물(OX,OY 및 OZ)을 위한 각각의 이분형의 광선수용엘리멘트(15X,15Y 및 15Z)로 부터 3개의 출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광선수용엘리멘트(15X,15Y 및 15Z)의 광선수용부(A,B)의 출력(AX 및 BX, AY 및 BY, 그리고 AZ 및 BZ)를 근거로 하여 대물(OX,OY 및 OZ)의 대물거리는 다음과 같이 판단될 수 있다.
대물(OX)에 대하여;
AX ≥ BX → DXf(대물 OX... 멀리 떨어짐)
AX BX → DXn(대물 OX... 가까움)
대물(OY)에 대하여;
AY ≥ BY → DXf(대물 OY... 멀리 떨어짐)
AY BY → DXn(대물 OY... 가까움)
대물(OZ)에 대하여;
AZ ≥ BZ → DXf(대물 OZ... 멀리 떨어짐)
AZ BZ → DXn(대물 OZ... 가까움)
대물거리자료에 따라서 대물의 분포형태를 다음과 같이 검출할 수 있다.
즉, 제4a도 및 제4b도에서돠 같이, 중앙측정구역(Y)에 있는 대물(OY)의 대물거리(멀거나 또는 가깝거나)에 따라서 분류되는 2가지 경우가 있다. 제4a도 및 제4b도에서 분포형태 는 카메라에서 바라본 대물(OX,OY 및 OZ)의 배열을 나타내고, 분포형태의 단순화한 모형 은 분포형태의 경향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보여 준다. 또한 표시는 경향을 구별하고 있다. 즉, N(정상)은 필름면에 평행한 보다 평평한 대물분포형태를 나타내고, T(경사)는 필름면에 대하여 경사진 대물분포형태를 나타내며, W(곡선)는 각각 볼록한 또는 오목한 대물분포형태를 각각 나타낸다. T1 및 T2 는 반대의 경사방향을 갖고 있다. W1 및 W2는 반대의 만곡을 갖고 있다(볼록 및 오목).
제4a도 및 제4b도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는 3가지 모형(N,T,W)과 5가지 분류(B,T1, T2, W1, W2)의 대물분포 형태가 있다.
[초점면 변경수단]
① N 모형과 W 모형의 분포형태에 대하여
제5a도는 N모형 및 W모형의 분포형태를 위한 촬영렌즈시스템을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제5a도에서 촬영렌즈시스템(20)은 제1 렌즈그룹(21)과 제2 렌즈그룹(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숫자 23은 조리개, 24는 필름면을 나타낸다. 초점은 N 모형의 분포형태를 갖고 있는 모든 대물에 대하여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1 렌즈그룹(21)과 제2 렌즈그룹(22)을 함께 촬영렌즈시스템(20)의 광학적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렌즈그룹(22)에 대하여 제1 렌즈그룹(21)만 이동하면 소위 시야의 만곡을 만든다. 시야의 만곡을 이용함으로써 W 모형의 분포형태에 대하여 초점이 넓은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51-9821). W1그룹의 분포형태에 대하여는 위해서는 제1 렌즈그룹을 제2 렌즈그룹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W2그룹의 분포형태를 위해서는, 제1 렌즈그룹을 제2 렌즈그룹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대물거리자료에 따라서 제1 렌즈그룹(21)과 제2 렌즈그룹(22)을 함께 이동하는 기구는 원래 알려져 있다.
비슷하게, 분포형태자료에 따라서 제2 렌즈그룹에 대하여 제1 렌즈그룹만 이동하는 기구도 또한 원래 알려져 있다.
② T 모형의 분포형태에 대하여
T모형의 분포형태에 대하여, 샤임풀루크의 법칙 에 따라서 필름면(24)에 대하여 촬영렌즈시스템(20)의 광학적 축을 기울여서 초점을 조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샤임풀루크의 법칙 에 따라서, 대물면(25), 촬영렌즈시스템(20)의 광학적 축에 직각인 면(26)과 상면(象面)(27)을 연장하면 한점(한선)(28)에서 교차하며, 대물면(25)상의 모든 대물은 상면(27)(즉, 필름면(24))상에 정확하게 초점을 모은다.
이와 같은 광학적 원리때문에, 촬영렌즈시스템(20)을 회전시켜 대물(OX, OY 및 OZ)에 대하여 초점을 정확히 조준할 수 있으며, 이 렌즈시스템(20)은 제5도 및 제6 도에서와 같이 형태(T1 및 T2)에 따라서 액츄에이터(Actuator)(30)를 회전시켜 앞으로 또는 반대방향으로 수직축(29)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수직축(29)은 광학적 축에 대하여 직각이고, 필름면과 대물분포면에는 평행하다). 회전액츄에이터(30)는 예를 들면 전자식 액츄에이터로 쉽게 실현된다.
만일 3개의 대물거리측정구역(X', Y' 및 Z')가 제1b도에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면, 촬영렌즈시스템(20)의 회전축(29')은 제5b도에서와 같이 수평축이 되어야 한다. 수평축(29')은 제5a도에서의 수직축과 같이 광학적 축에 직각이고, 필름면 및 대물분포면에 대하여 평행하디.
선택적으로, 필름면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기계적 필름면 변경수단의 초점면 변경수단을 만들 수 있다.
제8도는 전술한 조작의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제8도에서 셧터(shutter)를 일단계로 누를 때 촬영렌즈시스템(20)은 무한대의 촬영위치에 맞춰진다. 그래서 이분형 광선수용엘리멘트(15X, 15Y 및 15Z)에서의 출력이 입력된다(단계 S1 및 S2). 단계(S3)에서 중앙대물렌즈측정구역(Y)의 대물(OY)의 대물거리가 가까움인지 어떤지 검사한다. 만일 거리가 가까움이면 대물거리(D)는 단계(S4)에서 가까운 거리(n)라고 정해진다. 그후, 단계(S5)로 제어가 진행된다. 만일 단계(S3)에서 거리가 멀음 이라면 대물거리(D)는 단계(S6)에서 먼 거리(f)라고 정해진다. 그리고 단계(S7)에서 대물거리측정구역(X)에 있는 대물(OX)의 대물거리가 판정된다. 만일 대물(OC)의 대물거리가 멀음 이면 제어는 다음 단계(S8)로 진행하고 여기서 다른 대물거리측정구역에 있는 대물(OZ)의 대물거리가 판정된다. 만일 대물(OZ)의 대물거리가 멀음 이라면 N모형의 형태가 정해진다(단계 S9).
단계(S8)에서 대물(OZ)의 대물거리가 가까움 이라고 판정되면 분포형태의 T1 그룹은 서브루틴(sub-routine)(단계 S11 및 S12)을 시행하도록 정해진다.
T1 그룹의 분포형태(및 T2 그룹의 분포형태)의 서브루틴은 촬영렌즈시스템(20)을 예를 들면 수직축(29)의 주위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행된다.
만일 측정구역(X)에 있는 대물(OX)의 대물거리는 단계(S7)에서 가까움 이면 측정구역(Z)에 있는 대물(OZ)의 대물거리는 단계(S13)에서 판정된다. 만일 대물(OZ)의 대물거리가 멀음 이면 T2그룹의 분포형태의 서브루틴은 단계(S14 및 S15)에서 시행된다. 만일 대물렌즈(OZ)의 대물거리가 가까움 이면 W1 그룹의 분포형태의 서브루틴은 단계(S16 및 S17)에서 시행된다. W1형태(및 W2 형태)의 서브루틴은 예를 들면 제1 렌즈그룹(21)을 이동시켜 시행한다.
만일 단계(S3)에서 대물(OY)의 대물거리가 가까움 이면 측정구역(X)에 있는 대물(OX)의 대물거리는 단계(S5)에서 판정된다. 만일 대물(OX)의 대물거리가 가까움 이면 측정구역(Z)에 있는 대물(OZ)의 대물거리는 단계(S18)에서 판정된다. 만일 대물(OZ)의 대물거리가 가까움 이면 단계(S19및 S20)에서 촬영렌즈시스템(20)을 앞으로 보내기 위해 N모형 형태의 서브루틴이 시행된다. 단계(S18)에서 대물(OZ)의 대물거리가 멀음 이라고 판정되면 T2 형태가 단계(S21)에서 검출된다. 그래서 N모형 형태의 서브루틴이 단계(S22)에서 시행되고, T2그룹의 분포형태의 서브루틴이 단계(S23)에서 시행된다. N모형 형태의 서브루틴은 예를 들면 촬영렌즈시스템(20)을 전체적 이동시켜 시행된다.
만일 측정구역(X)에 있는 대물(OX)의 대물거리가 단계(S5)에서 멀음 이라고 판정되면 측정구역(Z)에 있는 대물(OZ)의 대물거리는 단계(S25)에서 판정된다.
만일 대물(OZ)의 대물거리가 멀음 이면 W2 모형의 형태가 설정되어 가까운 거리쪽으로 이동하는 정상적인 서브루틴이 시행된 후 W2 모형의 서브루틴이 시행된다(단계S26 ∼ S28).
만일 측정구역(Z)에 있는 대물(OZ)의 대물거리가 단계(S25)에서 가까움 이라고 판정되면, T1형태가 설정되어 가까운 거리의 쪽으로 이동하는 정상적인 서브루틴이 시행된 후 T1 모형의 서브루틴이 시행된다(단계 S29 ∼ S31).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을 위해 T모형 형태와 W모형 형태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만 T모형과 W모형의 복합모형인 T모형 형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T모형 형태의 서브루틴을 시행하기 위하여 한번에 촬영렌즈시스템(20)의 제1 렌즈그룹(21)을 이동시키고 또 회전액츄에이터(30)로 촬영렌즈시스템(20)을 수직축(29) 주위를 회전시킬 수 있다.
대물거리의 판정을 전술한 실시예에서 멀음 및 가까움 이라는 2개의 선택에 따라서 시행하였지만, 3개 이상의 선택으로 대물거리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러한 대안에서의 분포형태는 더욱 세분된 그룹으로 분류된다. 또한 대물거리측정구역을 3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검출된 분포형태에 따라서, 촬영렌즈시스템(20)의 이동(N모형), 반대방향으로의 제1 렌즈그룹(21)의 이동(W모형), 반대방향으로 수직축(29) 주위의 촬영렌즈(20)의 회전이동(T모형)및 이들 이동의 변위는 측정구역에 있는 대물에 한번에 조준될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도록 일반적으로 조절된다.
대물거리측정장치는 전술한 모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제1c도는 대물거리 측정장치의 또 다른 능동적인 모형이다. 광원(12')에서 방출된 대물거리측정 광선은 광선방출렌즈(13)를 통하여 대물(0)을 스캔하고, 위치감지장치(position sensing device; PSD)(15')는 광선수용엘리멘트를 통하여 대물로부터 방사된 광선을 수용한다. 대물거리는 PSD(15')의 출력으로 얻어진다.
더욱, 대물거리측정장치는 측정광선이 대물을 향하여 방출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능동형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고안은 촬영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으로부터 대물거리를 검출하는 소위 수동적인 모형의 대물거리 측정장치로도 시행할 수 있다.
Claims (15)
- 복수의 대물거리측정구역(X, Y, Z, X', Y', Z')과 촬영렌즈시스템(20)을 구비한 자동초점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대물의 대물거리에 따라서 상기 대물거리측정구역(X, Y, Z, X', Y', Z')에 있는 대물의 분포형태(N, T, W, N, T1, T2, W1, W2)를 검출하는 분포 형태 검출수단, 초점면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광학적 축방향으로 상기 촬영렌즈시스템(20)의 일부의 축위치를 조절하는 초점조준수단; 및 상기 초점면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포형태 검출수단은 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대물의 대물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대물거리측정장치(12,13,14,15)를 포함하고,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은 액츄에이터(30)를 포함하며, 상기 초점조준수단과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은 분포형태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대물의 분포형태에 따라서 구동되어 상기 촬영렌즈의 초점이 상기 대물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은 상기 초점면의 만곡과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광학적 축방향으로 상기 촬영렌즈시스템의 특정렌즈의 축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시야의 만곡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처점카메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은 상면(象面)을 기울이기 위하여 필름면에 대하여 상기 촬영렌즈의 광학적 축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면 경사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은 필름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필름면 변경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은 상면을 기울이기 위하여 필름면에 대하여 상기 촬영렌즈의 광학적 축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면 경사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면 변경수단은 상기 필름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필름면 변경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거리측정구역은 중앙구역과 상기 중앙구역의 반대편에 있는 좌측 및 우측구역으로 구성된 3개의 구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의 상기 분포형태는 상기 중앙구역에 있는 상기 대물의 상기 대물거리인 기준대물거리와 비교하여 우측 및 좌측구역에 있는 상기 대물의 상기 대물거리에 따라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형태는 상기 측정구역의 모든 대물이 서로 동일한 정상적인 형태; 상기 우측 및 좌측구역중 하나의 상기 대물의 상기 대물거리가 상기 중앙구역에 있는 상기 대물의 상기 대물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우측 및 좌측구역중 다른쪽 상기 대물의 상기 대물거리가 상기 중앙구역에 있는 상기 대물의 상기 대물거리와 다른 경사진 형태 ; 및 상기 중앙구역의 상기 대물과 상기 우측 및 좌측구역의 양쪽 대물의 상기 대물 거리가 상기 중앙구역의 상기 대물에 대하여 같은 편에 있는 곡선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시스템은 상기 분포형태가 정상적인 형태인 때 광학적 축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시스템은 광학적 축에 대하여 직각이고, 필름면과 상기 대물의 상기 분포면에 대하여 평행인 회전축 주위를 전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시스템은 상기 분포형태가 경사진 형태인 때 회전축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시스템은 광학적 축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렌즈그룹을 갖고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시스템의 축방향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시야의 만곡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분포형태가 곡선형태인 때 부분적인 렌즈그룹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거리 측정구역은 중앙구역과 상기 중앙구역의 반대편에 있는 상부 및 하부구역의 3개의 구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73670 | 1989-07-05 | ||
JP1173670A JP2921861B2 (ja) | 1989-07-05 | 1989-07-05 |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3091U KR910003091U (ko) | 1991-02-26 |
KR0116360Y1 true KR0116360Y1 (ko) | 1998-04-21 |
Family
ID=1596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00009791U KR0116360Y1 (ko) | 1989-07-05 | 1990-07-05 | 자동초점카메라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5168298A (ko) |
JP (1) | JP2921861B2 (ko) |
KR (1) | KR0116360Y1 (ko) |
DE (1) | DE4021375C2 (ko) |
FR (1) | FR2649500B1 (ko) |
GB (1) | GB223408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81935A (ja) * | 1990-11-16 | 1992-06-29 | Canon Inc | 自動焦点検出手段を有した光学装置 |
US5420438A (en) * | 1992-10-29 | 1995-05-30 |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 Focus detecting apparatus including movement of detecting zones |
US5311240A (en) * | 1992-11-03 | 1994-05-10 | Eastman Kodak Company | Technique suited for use in multi-zone autofocusing camera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for non-standard display sizes and/or different focal length photographing modes |
US5453784A (en) * | 1993-02-10 | 1995-09-26 | Krishnan; Arun |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ange and determining focus information |
US5572632A (en) * | 1994-10-07 | 1996-11-05 | Laser Master Corporation | Universal frame buffer for a rendering device |
DE19532119A1 (de) * | 1995-08-31 | 1997-03-06 | Burghard Schmachtenberg | Fotoapparat oder dergleichen |
DE19755392C2 (de) * | 1997-12-12 | 2001-05-10 | Zentrum Fuer Neuroinformatik G | Abbildendes optisches System |
US6867808B1 (en) | 1999-03-19 | 2005-03-15 | Scott T. Boden | Time domain imager |
US6595916B2 (en) * | 2000-02-18 | 2003-07-22 | Fuji Photo Optical Co., Ltd. | Endoscope apparatus using curvature of field |
DE10046659A1 (de) * | 2000-09-20 | 2002-04-04 | Bosch Gmbh Robert | Induktiver Übertrager |
DE10329224B3 (de) * | 2003-06-28 | 2005-10-13 | Wolf Kloss | Ausrichtvorrichtung für ein optisches Gerät |
AU2004280968A1 (en) | 2003-10-07 | 2005-04-21 | Lensbabies, Llc | Flexible lens mount system for rapid tilt photography |
JP4520792B2 (ja) * | 2004-08-18 | 2010-08-11 | サムスン・デジタル・イメージング・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自動焦点制御方法及び自動焦点制御装置 |
US8075201B2 (en) * | 2006-08-30 | 2011-12-13 | Lensbaby, Llc | Movable lens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
JP2014202922A (ja) * | 2013-04-05 | 2014-10-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CN107077043A (zh) * | 2014-11-14 | 2017-08-18 | 日立麦克赛尔株式会社 | 投影型影像显示装置 |
GB201509387D0 (en) * | 2015-06-01 | 2015-07-15 | Apical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distance detection) |
KR102231090B1 (ko) * | 2019-02-22 | 2021-03-22 |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 잉곳 성장 제어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2823U (ko) * | 1971-05-24 | 1973-01-13 | ||
JPS519821A (ko) * | 1975-05-21 | 1976-01-26 | Minolta Camera Kk | |
US4168116A (en) * | 1977-12-05 | 1979-09-18 | Ziff-Davis Publishing Company | Apparatus for optimizing camera image surface to image receiving surface |
JPS54113334A (en) * | 1978-02-24 | 1979-09-04 | Nippon Chemical Ind | Apparatus for detecting focus point position |
US4352545A (en) * | 1979-02-13 | 1982-10-05 |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 Camera focus detecting device |
US4349254A (en) * | 1979-02-13 | 1982-09-14 |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 Camera focus detecting device |
US4241987A (en) * | 1979-12-26 | 1980-12-30 | Ziff-Davis Publishing Company | Apparatus for optimizing camera image surface to image receiving surface |
JPS5950736B2 (ja) * | 1981-05-21 | 1984-12-10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鋼の連続製錬法 |
JPS59129809A (ja) * | 1983-01-18 | 1984-07-26 | Asahi Optical Co Ltd | カメラの自動焦点装置 |
CH662662A5 (de) * | 1983-08-25 | 1987-10-15 | Philippe Vogt | Fachkamera. |
CH666756A5 (de) * | 1983-10-13 | 1988-08-15 | Sinar Ag Schaffhausen | Einrichtung fuer eine photographische kamera mit in bezug aufeinander verstellbaren objektiv- und bildtraegern. |
US4748469A (en) * | 1984-05-07 | 1988-05-31 | Canon Kabushiki Kaisha | Distance measuring device for camera |
CH665035A5 (de) * | 1984-10-10 | 1988-04-15 | Philippe Vogt | Grossbildkamera. |
US4547055A (en) * | 1984-12-26 | 1985-10-15 | Polaroid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object distance signals |
GB2196134B (en) * | 1986-09-30 | 1990-12-19 | Canon Kk | Camera having auto focus apparatus |
JPH0782180B2 (ja) * | 1987-01-12 | 1995-09-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メラシステム |
JPS63197926A (ja) * | 1987-02-12 | 1988-08-16 | Canon Inc | 光学装置 |
JPH0630194B2 (ja) * | 1987-03-20 | 1994-04-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追跡装置 |
US4786503A (en) * | 1987-04-06 | 1988-11-22 | Alza Corporation | Dosage form comprising parallel lamine |
DE3812661B4 (de) * | 1987-04-17 | 2004-10-21 | Fuji Photo Film Co., Ltd., Minami-Ashigara | Entfernungsmessereinrichtung für eine Kamera |
JPS6421284A (en) * | 1987-07-16 | 1989-01-24 | Toyoda Machine Works Ltd |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
JP2753495B2 (ja) * | 1988-03-14 | 1998-05-20 | チノン株式会社 | カメラズームレンズ自動変倍装置 |
GB2222337B (en) * | 1988-08-25 | 1992-12-16 | Asahi Optical Co Ltd | Automatic focusing camera |
JPH02254432A (ja) * | 1989-03-29 | 1990-10-15 | Canon Inc | オートフオーカスカメラ |
US5137350A (en) * | 1989-04-14 | 1992-08-11 |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 Distance measuring device |
JP2772028B2 (ja) * | 1989-04-14 | 1998-07-02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多点測距自動焦点カメラ |
-
1989
- 1989-07-05 JP JP1173670A patent/JP292186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
- 1990-07-02 US US07/546,855 patent/US516829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7-04 GB GB9014836A patent/GB2234080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7-04 FR FR9008457A patent/FR2649500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7-05 KR KR2019900009791U patent/KR011636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7-05 DE DE4021375A patent/DE4021375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
- 1993-05-21 US US08/065,454 patent/US5351105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921861B2 (ja) | 1999-07-19 |
DE4021375C2 (de) | 1996-02-29 |
DE4021375A1 (de) | 1991-01-17 |
GB9014836D0 (en) | 1990-08-22 |
GB2234080A (en) | 1991-01-23 |
FR2649500A1 (fr) | 1991-01-11 |
US5168298A (en) | 1992-12-01 |
JPH0338607A (ja) | 1991-02-19 |
GB2234080B (en) | 1993-06-16 |
KR910003091U (ko) | 1991-02-26 |
FR2649500B1 (fr) | 1993-11-12 |
US5351105A (en) | 1994-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16360Y1 (ko) | 자동초점카메라 | |
US6600878B2 (en) | Autofocus sensor | |
US5109161A (en) | Light emitter and optical system for a distance measuring device | |
US6112029A (en) | Camera, exchangeable lens, and camera system | |
JPS6220522B2 (ko) | ||
US5239335A (en) | Auto focus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 |
US4453818A (en) |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focus conditions | |
JP2007010951A (ja) | 焦点検出装置及び撮像装置 | |
US5943515A (en) | Pattern projection device for focus detection | |
JP3351018B2 (ja) | 焦点検出装置 | |
JPS6313010A (ja) | 焦点検出装置 | |
JPS6332508A (ja) | 自動焦点検出用の投光系 | |
JPS63309810A (ja) | 測距装置 | |
JP2671784B2 (ja) | 投影露光装置 | |
JP2579977Y2 (ja) | 測距用補助投光装置 | |
JPH0522883B2 (ko) | ||
JP2670461B2 (ja) | 測距装置 | |
JPH05344954A (ja) | 視線方向検出装置 | |
JP3290361B2 (ja) | カメラの測距装置 | |
JPH0688938A (ja) | 焦点検出装置 | |
JP2620143B2 (ja) |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の測距機構 | |
JP2002323650A (ja) | 焦点検出装置 | |
JPS6398613A (ja) | 焦点検出装置 | |
JPH01232314A (ja) | カメラの自動焦点検出装置 | |
JPH02101414A (ja) | 自動焦点調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