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25274A1 -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 Google Patents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25274A1
WO2021225274A1 PCT/KR2021/003600 KR2021003600W WO2021225274A1 WO 2021225274 A1 WO2021225274 A1 WO 2021225274A1 KR 2021003600 W KR2021003600 W KR 2021003600W WO 2021225274 A1 WO2021225274 A1 WO 20212252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tool
fitting
ring
typ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36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농테크
Priority to US17/623,19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55306A1/en
Publication of WO20212252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252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Definitions

  • a cutting machine uses a cutting tool to cut the outside of brown rice.
  • This cutting tool is a combination in which a cutting ring and a spacing ring are alternately combined, and the cutting ring has a ring shape of a certain thickness, and the outer periphery is a gear-shaped trapezoid. Grinding teeth are formed and polished rice is produced by cutting the outside of brown rice by the edge of the cutting teeth.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by inserting a sintered cemented carbide or sintered ceramic material into the body of the cutting ring.
  • the hardness of the cutting teeth is high, so the surface of the polished rice grains is cleaner, the energy consumption is low, and the cutting tool is used for a long time. Since the sphere body uses general steel, it is able to sufficiently absorb the cutting resistance or impact generated during cutting.
  • the cutting to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coupling the cutting tool body 11 to which the cutting teeth 15 are fitted and the cutting teeth 15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 .
  • the cutting tool body 11 has a pipe shape as a whole, and has a shape in which cutting teeth 15 made of sintered material are fitt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tting tool body 11 .
  • FIG. 1b and 1c are front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cutting ring and cutting ring assembly
  • 3a is a cutting tool ring bod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c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utting tool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ngle of the cutting edge is less than 90°, it is difficult to couple the cutting tooth 15 to the cutting tool body 11, and if the angle of the cutting edge 18 is greater than 104°, the cutting resistance increases and energy consumption increas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utting surface of the grain of rice becomes rough.
  • the preferred angle of the cutting edge is between 95° and 100°, and when the cutting tooth 15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2, an adhesive can be used to bond more firmly.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tting tool in which a cutting tool body 11 and a cutting tooth 15 coupled to the body 11 are combined, and a cutting ring 10 and a spacing ring 20 are alternately coupled ( 100) is about.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 절삭이(齒)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식 정미기에는 현미의 외부를 절삭하기 위하여 절삭 공구가 사용되는데 이 절삭공구는 절삭링과 간격링이 번갈아 결합되는 결합체이고, 절삭링은 일정한 두께의 링 형상이며, 외주는 기어 형상의 사다리꼴형의 절삭이가 형성되어 절삭이의 끝 모서리 부에 의해 현미의 외부를 절삭하여 백미를 생산한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정미기에 사용하는 절삭구 본체(11)에 절삭이(15)를 끼움 결합한 절삭구(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본 발명은 세라믹 절삭이(齒)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식 정미기에는 현미의 외부를 절삭하기 위하여 절삭 공구가 사용되는데 이 절삭공구는 절삭링과 간격링이 번갈아 결합되는 결합체이고, 절삭링은 일정한 두께의 링 형상이며, 외주는 기어 형상의 사다리꼴형의 절삭이가 형성되어 절삭이의 끝 모서리 부에 의해 현미의 외부를 절삭하여 백미를 생산한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정미기에 사용하는 절삭구 본체(11)에 절삭이(15)를 끼움 결합한 절삭구(100)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1596908호(2016.02.23.공고)에 기재된 것으로 도 1a를 참조하여 종래의 절삭식 정미기의 정미 개념을 설명한다.
정미기 케이스(230)에 구동축(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축(200)에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링 조립체(100)와 절삭링 조립체(100)에 간격을 두고 스크린이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200)에는 현미를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210)가 절삭 링 조립체(100)의 일측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절삭링 조립체는 지지축의 외부에 절삭링과 간격링이 번갈아 결합된다.
또한, 스크류(210)의 상부에는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20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200)은 베어링(24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터에 연결된 풀리(25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 받는다. 절삭 링 조립체(100)의 말단 부근 케이스(230)에는 도정된 쌀알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6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b를 참조하여 절삭링을 설명하면, 절삭링 조립체(100)에 조립되는 절삭링(12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이고, 중심에 관통된 지지축 끼움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절삭 통로(122)는 절삭 링(120)의 전면과 후면이 서로 연결된 채널 형상이다. 채널은 바닥면(122a)과 바닥면(122a)의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122b)을 포함한다. 절삭 통로(122)는 절삭 링(12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쌀알은 절삭 통로(122)를 통과할 때 채널의 바닥면(122a)의 에지(모서리), 측면(122b)의 에지(모서리)와 접촉하여 쌀겨가 절삭된다.
선행기술 2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79094호(2000.04.15.공고)에 기재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정미기는 먼저, 공급부에 정미전의 쌀알을 공급부내로 투입한다. 공급부내로 투입된 쌀알은 주축의 회전과 동시에 나선형의 이송 스크루(116)측으로 공급되며, 다시 쌀알은 이송 스크루(116)를 몸체(120)가 배치된 정미실로 강제 이송된다. 몸체(120)측으로 이송된 쌀알은 먼저 연삭부(122)를 지나게 된다. 이때, 연삭부(122)는 쌀알을 감싸고 있는 벼 껍질 및 현미의 표피를 일차적으로 제거시킨다. 연삭부(122)는 세라믹 분말가루로 융착 코팅처리되어 일정한 표면 거칠기를 가지도록 한다. 이렇게 연삭부(122)에서 일차적으로 도정된 쌀알은 다시 마찰부(124)를 지나면서 도정이 완료된다.
한편, 절삭식 정미기에서 절삭이의 경도가 높으면 절삭되는 쌀의 표면이 깨끗하고 절삭저항이 적어 에너지 소모가 적은 등 많은 장점이 있지만, 절삭공구의 취성이 높아 부러지기 쉽고,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 1은 절삭공구 열처리한 강재로 절삭날과 절삭링 본체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절삭이를 초경합금이나 세라믹재와 만든 것과 비교하여 파손에는 잘 견디나, 1년 정도 사용하면 절삭날의 날이 무뎌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선행기술 2는 쌀알을 도정하는 연삭부(122)에 세라믹 분말가루를 융착 코팅처리 되어 일정한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기술이 소개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코팅된 절삭공구는 코팅재가 쉽게 벗겨져 많은 양의 쌀을 도정하는 정미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쌀알은 쌀눈을 기준으로 바깥쪽은 부서지기 쉽고 굳고 딱딱하며 안쪽은 상대적으로 무르고 잘 절삭된다. 절삭날은 그 경도가 낮을 경우에는 절삭면이 거칠어 미관상 안 좋고, 도정한 쌀을 오래 보존하기가 힘들며, 특히 쌀알의 안쪽이 겨로 많이 깎여나가 백미의 생산량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쌀눈의 손실도 많아진다. 또한 절삭날의 경도가 낮으면 절삭저항이 많아져 정미기가 과열되고 절삭 에너지도 많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이는 경도가 높아야 하지만, 절삭공구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취성이 증가하여 충격 등에 약하고, 제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정미기용 절삭이의 경도를 높이기 위하여 강재를 열처리 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절삭이의 경도를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고, 지나치게 경도를 높일 경우 취성이 증가하여 절삭날이 파손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절삭이의 표면에 인조 다이아몬드 분말이나, 세라믹제를 코팅하여 절삭이의 경도를 높여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지만, 코팅된 절삭 공구는 코팅 처리한 초기에는 절삭 성능이 우수하다가도 얼마 사용하지 못하여 코팅제가 손실되어 절삭공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절삭링의 본체에 소결된 초경합금이나 소결 세라믹제를 끼움 결합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즉, 이와 같이 절삭링에 절삭이를 끼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삭이의 경도가 높아 정미된 쌀알의 표면이 더욱 깨끗하고, 에너지 소비도 적고 절삭 공구를 오래 사용하는 등 많은 장점이 있으며, 절삭구 본체는 일반 강재를 사용하므로 절삭할 때 발생하는 절삭 저항이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절삭구(100)는 절삭이(15)가 끼움 결합되는 절삭구 본체(11)와 그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절삭이(15)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절삭구 본체(11)는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이고, 절삭구 본체(11)의 외주를 따라 소결재로 이루어진 절삭이(15)가 등 간격으로 끼워진 형상을 가진다.
절삭구 본체(11)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외주에는 다수의 끼움홈(12)이 파이프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절삭구 본체(11)의 외부면은 절삭통로(13)가 되고, 절삭통로(13)와 절삭통로(13) 사이에는 상기 끼움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2)에는 후술하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가 번갈아 끼워진다.
끼움홈(12)은 끼움 바닥면(12a)로부터 양측에 끼움측면(12b)이 형성되는데, 끼움 바닥면(12a)으로부터 절삭구 본체(11)의 외부면으로 갈수록 끼움 측면 사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이다. 끼움홈에 결합되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는 절삭이(15) 바닥면(15a)로부터 절삭이의 절삭날에지(18)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져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절삭이(15)를 상기 끼움홈(12)에 끼움 결합하여 절삭구(100)가 빠르게 회전하더라도 절삭이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편, 절삭이(15)는 공구용 초경합금이나 세라믹재이며, 절삭구 본체(11)는 절삭성능을 좌우 하지 않으므로 높은 경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일반 강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열처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절삭구 강재의 본체(11)와 이에 끼움 결합하는 세라믹재로 형성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세라믹재는 경도는 매우 높으므로, 절삭구의 수명이 길고 쌀알을 깨끗이 정리할 수 있으며, 정미 효율이 높으며, 쌀눈을 많이 남길 수 있어 정미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세라믹재의 절삭이는 정미시 절삭 저항에 적어 정미에 따른 열발생이 적고 에너지소비가 작으며, 비교적 제조 가격도 낮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선행문헌 1에 나타난 정미기 설명도 이다.
도 1a는 종래의 절삭식 정미기의 정미과정 설명도
도 1b 및 1c는 종래의 절삭 링 및 절삭 링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선행문헌 2에 나타난 로우터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설명도 이다.
도 3a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삭구링 본체
도 3b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삭구 조립체 사시도
도 3c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절삭구 조립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설명도 이다.
도 4a 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삭구 본체
도 4b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격링 사시도
[부호의 설명]
11 : 절삭구 본체 12 : 끼움홈
12a : 끼움 바닥면 12b : 끼움측면
13 : 절삭통로 14 : 통공
15 : 절삭이 15a : 절삭이 바닥면
15b : 간격부재 18 : 절삭날에지
20 : 간격링 21 : 절결부
100 : 절삭구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미기용 절삭구(100)는 절삭이(15)가 끼움 결합되는 절삭구 본체(11)와 그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절삭이(15)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절삭구 본체(11)는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이고, 절삭구 본체(11)의 외주를 따라 소결재로 이루어진 절삭이(15)가 등 간격으로 끼워진 형상을 가진다.
절삭구 본체(11)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외주에는 다수의 끼움홈(12)이 파이프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절삭구 본체(11)의 외부면은 절삭통로(13)가 되고, 절삭통로(13)와 절삭통로(13) 사이에는 상기 끼움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2)에는 후술하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가 번갈아 끼워진다.
끼움홈(12)은 끼움 바닥면(12a)으로부터 양측에 끼움측면(12b)이 형성되는데, 끼움 바닥면(12a)으로부터 절삭구 본체(11)의 외부면으로 갈수록 끼움 측면 사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이다. 끼움홈에 결합되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는 절삭이(15) 바닥면(15a)으로부터 절삭날에지(18)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져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구조이다. 즉 이러한 구조를 택함으로써 후술하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가 상기 끼움홈에(15)에 끼움 결합될 때 절삭구(100)가 빠르게 회전하더라도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편, 절삭구 본체(11)는 절삭성능을 좌우하지 않으므로 높은 경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일반 강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열처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절삭구 본체(11)의 끼움홈(12)에 끼움 결합하는 절삭이(15)의 구조를 설명한다. 절삭이(15)는 일정한 두께(t)를 가진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며, 그 두께는 하면과 상면이 같은 두께(t)를 가지는 공구용 초경합금이나 세라믹재이다.
절삭이의 바닥면(15a)은 상기 절삭구 본체(11)의 끼움홈(12)에 끼움 결합되는데, 절삭이의 바닥면(15a)로부터 절삭날에지(18)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져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구조이다. 즉, 절삭이(15)의 구조를 사다리꼴 구조로 택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절삭구 본체(11)에 절삭이(15)가 끼움 결합되면 절삭구(100)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편 절삭이(15)의 절삭날에지(18)의 각도는 90°보다 크고 104°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 날의 각도가 90°보다 작으면 절삭이(15)를 절삭구 본체(11)에 결합하기 어렵고, 절삭날에지(18)의 각도가 104°보다 크면 절삭저항이 증가하여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쌀알의 절삭 표면이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다. 바람직한 절삭날의 각도는 95°에서 100°사이의 각도이며, 절삭이(15)를 끼움홈(12)에 결합 할 때 접착제를 이용할 경우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절삭이(15)와 절삭이(15) 사이에 결합되는 간격부재(15b)의 구조를 설명한다. 간격부재(15b)는 대략 절삭이(15)의 하부의 반의 형상과 같다. 즉 일정한 두께(t)를 가진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며, 그 두께는 하면과 상면이 같은 두께(t)를 가지고 그 재료는 절삭이의 재료(초경합금, 또는 세락믹재)와 같거나 절삭구 본체(11)의 재료와 같다.
한편, 절삭링 본체의 절삭통로(13)에는 절삭구 본체의 중심부 방향으로 작은 통공(14)이 형성 될 수 있다. 그 통공(14)은 공기 구멍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간격부재(15b)가 절삭구 본체(11)의 재질과 같은 경우에는 간격부재(15b)에도 통공(14)이 형성되고 그 대응하는 위치의 절삭구 본체(11)에도 통공(14)이 형성 될 수 있다.
한편, 절삭구 본체(11)의 끼움홈(12)에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를 끼우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절삭이(15)를 배열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끼움홈(12)에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a)’를 각각 끼울 때 절삭이(15)는 절삭이(15)와 대향되고 간격부재(15a)는 간격부재(15a)와 대향되는 위치에 끼우는 경우에는 제1실시예의 도 3b와 같이 절삭이(15)들의 외곽을 연결하는 선과 간격부재(15a)들의 외곽을 연결하는 선이 절삭구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지만, 다른 실시예는 이웃하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a)’를 순차적으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나선형으로 배열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도 3c와 같이 끼움홈(12)에 절삭이(15)만 끼우고 간격부재를 끼우지 않거나, 간격부재를 복수개 끼운후 간격부재(15b)를 단수개 또는 복수개 끼운후 이를 반복하는 형태로 끼우면 쌀알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절삭구 본체(11)와 그 본체(11)와 결합되는 절삭이(15)가 결합된 절삭링(10)과 간격링(20)이 교대로 결합된 절삭구(100)에 관한 것이다.
즉, 제2실시예는 상기 선행문헌 1의 절삭링의 절삭치(齒)부분을 세라믹재로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4에 된 바와 같이, 정미기용 절삭구(100)는 절삭이(15)가 끼움 결합되는 절삭구 본체(11)와 그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절삭이(15)가 결합된 절삭링(10)과 절삭링과 절삭링 사이에 간격링(20)이 교대로 결합된 절삭구(100)로 이루어진다.
절삭구 본체(11)는 전체적으로 링형이고, 절삭구 본체(11)의 외주를 따라 소결재로 이루어진 절삭이(15)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납작한 기어 형상을 가진다.
절삭구 본체(11)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외주에는 다수의 끼움홈(12)이 형성되고 두께(t)를 갖는 링 형상이다. 절삭구 본체(11)의 외부면은 절삭 통로(13)가 되고, 절삭 통로(13)와 절삭통로 사이에는 끼움 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2)에는 후술하는 절삭이(15)가 끼워진다.
끼움홈(12)은 끼움 바닥면(12a)으로부터 양측에 끼움측면(12b)이 형성되는데, 끼움 바닥면(12a)로부터 절삭구 본체(11)의 외부면으로 갈수록 끼움 측면 사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이다. 끼움 홈에 결합되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는 절삭이(15) 바닥면(15a)으로부터 절삭이 절삭날에지(18)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져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구조이다. 즉 이러한 구조를 택함으로써 후술하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가 상기 끼움홈에(15)에 끼움 결합할 때 절삭구(100)가 빠르게 회전하더라도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편, 절삭구 본체(11)는 절삭성능을 좌우하지 않으므로 높은 경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일반 강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열처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절삭링 본체(10)와 결합하는 절삭이(15)의 구조를 설명한다. 절삭이(15)는 일정한 두께(t)를 가진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며, 그 두께는 하면과 상면이 같은 두께(t)를 가지는 공구용 초경합금이나 세라믹재이다.
절삭이의 바닥면(15a)은 상기 절삭구 본체(11)의 끼움홈(12)에 끼움 결합되는데, 절삭이의 바닥면(15a)로부터 절삭날에지(18)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져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구조이다. 즉, 절삭이(15)의 구조를 사다리꼴 구조로 택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절삭구 본체(11)에 절삭이(15)가 끼움 결합되면 절삭구(100)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편 절삭이(15)의 절삭날에지(18)의 각도는 90°보다 크고 104°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 날의 각도가 90°보다 작으면 절삭이(15)를 절삭구 본체(11)에 결합하기 어렵고, 절삭날에지(18)의 각도가 104°보다 크면 절삭저항이 증가하여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쌀알의 절삭 표면이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다. 바람직한 절삭날의 각도는 95°에서 100°사이의 각도이며, 절삭이(15)를 끼움홈(12)에 결합 할 때 접착제를 이용할 경우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절삭이(15)와 절삭이(15) 사이에 결합되는 간격링(20)의 구조를 설명한다. 간격 링(2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이고, 중심에 관통된 지지축 끼움 구멍이 형성된다. 절결부(21)는 간격 링(20)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통하도록 개방된 절결부(21)로서, 절삭구(100)로 조립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간격링(20)에 1이상의 끼움홈(12)을 형성하고 여기에 절삭이(15)를 끼우면 쌀알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 역활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100)에 있어서,
    상기 절삭구(100)는 절삭구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끼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2)에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절삭이(15)는 소결재이고 간격부재(15b)는 소결재이거나 절삭구 본체(11)와 같은 재료이며, 상기 끼움홈(12)은 끼움바닥면(12a)로부터 멀어질수록 양 끼움측면(12b) 사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이고, 상기 절삭이(15)는 절삭이 바닥면(15a)로부터 절삭날에지(18)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15b)는 절삭이 바닥면(15a)로부터 절삭날에지(18)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되, 간격부재(15b)의 높이는 절삭이(15) 높이의 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2)에는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가 번갈아 끼워지되, 절삭이(15)와 간격부재(15b)는 절삭구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원형을 이루거나 나선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끼움홈(12)에는 절삭이(15)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절삭구 본체(11)의 절삭통로(13)에는 내측중심부 방향의 복수의 통공(14)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6.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100)에 있어서,
    상기 절삭구(10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인 절삭구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끼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2)에는 절삭이(15)가 끼움 결합되는 절삭링(10)과,
    상기 절삭링(10)과 절삭링(10) 사이에 배치되는 일정두께의 간격링(2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100)이고, 상기 끼움홈(12)은 끼움바닥면(12a)로부터 멀어질수록 양 끼움측면(12b) 사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이고, 상기 절삭이(15)는 절삭이 바닥면(15a)로부터 절삭날에지(18)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이며,
    상기 절삭이(15)는 소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이(15)를 끼움홈(12)에 결합할 때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8. 제6항에 있어서,
    간격링(20)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12)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에는 절삭이(15)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9. 제6항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간격링(20)에는 절결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PCT/KR2021/003600 2020-05-04 2021-03-23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WO20212252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23,198 US20220355306A1 (en) 2020-05-04 2021-03-23 Ceramic cutting teeth-dovetailed cutting device of cutting-type rice mill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406 2020-05-04
KR20200053406 2020-05-04
KR1020200059022A KR102155251B1 (ko) 2020-05-04 2020-05-18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KR10-2020-0059022 2020-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5274A1 true WO2021225274A1 (ko) 2021-11-11

Family

ID=7247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3600 WO2021225274A1 (ko) 2020-05-04 2021-03-23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55306A1 (ko)
JP (1) JP7104431B2 (ko)
KR (1) KR102155251B1 (ko)
CN (1) CN113600263B (ko)
WO (1) WO2021225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51B1 (ko) *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2640A (en) * 1990-01-19 1992-10-06 Demurger Et Cie Composite circular and rotary cutting tool
KR100664675B1 (ko) * 2006-02-20 2007-01-04 최우혁 겨 절삭형 정미기
KR101475281B1 (ko) * 2014-05-21 2014-12-23 (주)대한하이텍건설 그루빙 커팅날 및 이 커팅날이 장착된 친환경 그루빙 머신
KR20150142430A (ko) *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세농테크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JP2016508445A (ja) * 2013-02-28 2016-03-22 セノ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切削リング及びこれを備えた精米機用の切削リング組立体
KR102155251B1 (ko) *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154U (ja) * 1983-04-08 1984-10-26 東芝セラミツクス株式会社 切断工具
JPS631454A (ja) * 1986-06-20 1988-01-06 株式会社 東洋精米機製作所 剥削式精穀方法
KR200179094Y1 (ko) 1999-12-01 2000-04-15 합명회사신흥기업사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JP3864367B2 (ja) * 2000-07-17 2006-12-27 静岡製機株式会社 精殻機
KR100421743B1 (ko) * 2001-08-08 2004-03-12 지범현 절단 및 연마를 위한 다이아몬드 절삭휠
KR100718326B1 (ko) * 2005-06-13 2007-05-15 유성길 정미용 절삭 롤 및 이를 이용한 정미 장치
KR200418171Y1 (ko) 2006-03-14 2006-06-07 점 도 최 겨 절삭형 정미기
JP2011020235A (ja) * 2009-07-17 2011-02-03 Daishowa Seiki Co Ltd 切削工具
KR101183686B1 (ko) * 2010-08-24 2012-09-17 김진수 세라믹 정미기의 정미장치
KR101483762B1 (ko) 2013-03-18 2015-01-16 나용옥 정미기
CN204621167U (zh) * 2015-05-15 2015-09-09 杨帆 一种碾米砂辊通风孔钻头及钻孔设备
JP6548014B2 (ja) * 2015-07-24 2019-07-24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CN205340905U (zh) * 2016-01-17 2016-06-29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齿辊式破碎机齿辊装置
CN205925820U (zh) * 2016-08-17 2017-02-08 山东九昌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齿辊式破碎机
DE102017205166B4 (de) * 2017-03-27 2021-12-09 Kennametal Inc. Modulares Rotationswerkzeug und modulares Werkzeugsystem
CN108722530A (zh) * 2018-03-30 2018-11-02 王忠宁 一种环保的智能化粮食挤扁去杂设备
KR102047468B1 (ko) 2019-09-02 2019-12-02 장영춘 도정편차가 측정 가능한 도정시스템
KR102090591B1 (ko) 2019-11-14 2020-03-18 장영춘 도정시스템
KR102090594B1 (ko) * 2019-11-14 2020-05-27 청년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2640A (en) * 1990-01-19 1992-10-06 Demurger Et Cie Composite circular and rotary cutting tool
KR100664675B1 (ko) * 2006-02-20 2007-01-04 최우혁 겨 절삭형 정미기
JP2016508445A (ja) * 2013-02-28 2016-03-22 セノ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切削リング及びこれを備えた精米機用の切削リング組立体
KR101475281B1 (ko) * 2014-05-21 2014-12-23 (주)대한하이텍건설 그루빙 커팅날 및 이 커팅날이 장착된 친환경 그루빙 머신
KR20150142430A (ko) *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세농테크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KR102155251B1 (ko) *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76625A (ja) 2021-11-11
JP7104431B2 (ja) 2022-07-21
CN113600263A (zh) 2021-11-05
CN113600263B (zh) 2023-01-31
KR102155251B1 (ko) 2020-09-11
US20220355306A1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25274A1 (ko)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WO2015190859A1 (ko)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WO2014133308A1 (ko) 절삭 링 및 이를 구비한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EP0898301A3 (en) Apparatus for cleaning both sides of substrate
WO2014148779A1 (ko) 정미기
PL357764A1 (en) Drill with improved cutting insert formation
WO2005102572A1 (ja) ボールエンドミル
EP0940219A3 (en) A wafer processing machine and a processing method thereby
KR100278406B1 (ko) 구름베어링케이지를안정화하는배플이있는치과용핸드피스
KR100311239B1 (ko) 오일펌프로터
KR20020007122A (ko) 연삭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도정기
WO2013122346A1 (ko) 평면 및 곡면 연마용 디스크
WO2023224215A1 (ko) 절삭식 정미기
WO2021225273A1 (ko)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CN112873045A (zh) 一种磨头
CN210709345U (zh) 一种耐磨陶瓷滚筒
WO2019009623A2 (ko) 정미기
CN217614887U (zh) 一种用于抛光的六面型碾米砂辊
CN213647218U (zh) 一种方便排屑的金刚石杯型砂轮
WO2020105912A1 (ko) 엮음식 적층형 연마 디스크 및 이의 제작 방법
CN207961455U (zh) 一种轴承齿轮组及金融设备
CN215317992U (zh) 一种磨头
CN210414062U (zh) 光纤研磨盘及光纤研磨机
EP0906809B1 (en) Improved centrifugal expansion roller for sanding machines
CN218312824U (zh) 打磨组件及打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006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006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