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094Y1 -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 Google Patents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094Y1
KR200179094Y1 KR2019990026709U KR19990026709U KR200179094Y1 KR 200179094 Y1 KR200179094 Y1 KR 200179094Y1 KR 2019990026709 U KR2019990026709 U KR 2019990026709U KR 19990026709 U KR19990026709 U KR 19990026709U KR 200179094 Y1 KR200179094 Y1 KR 200179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irring projection
hollow
stirring
m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택모
최인호
차영욱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신흥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신흥기업사 filed Critical 합명회사신흥기업사
Priority to KR2019990026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0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0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이송 스크루 및 이송 스크루의 일단에 일체로 연삭부, 마찰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정미기 내로 투입된 곡물의 도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는 이송부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제 1 중공이 형성된 이송축을 구비하고, 이송축의 방사상 외면 상에는 나선형으로 연장된 이송 스크루가 장착되며, 몸체는 이송부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고, 제 1 중공과 연통하는 제 2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방사상 외면 상에 연삭부, 연삭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마찰부 및 테이퍼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연삭부에서 마찰부까지 연장되며 180°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에 수직하게 돌출된 제 1 교반돌기 및 제 2 교반돌기가 형성되며, 제 1 교반돌기 및 제 2 교반돌기의 일측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분풍구가 용접고정되고, 테이퍼부의 외면상에는 제 1 교반돌기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제 3 교반돌기를 포함하는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Rice milling rotor}
본 고안은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 스크루 및 이송 스크루의 일단에 일체로 연삭부, 마찰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정미기 내로 투입된 곡물의 도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에 관한 것이다.
정미기는 탈곡된 벼의 껍질을 버낀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는 곡물 가공기이다. 이러한 정미기에서는 대체적으로 스크린으로 이루워지는 스테이터부와 현미를 강제적으로 이송하고 연마작용을 하는 롤러를 가지는 로우터로 연마실이 구성된다. 이러한 연마실에서 이루어지는 도정작업은 도정 효과를 높이는 연삭공정과 현미의 표피가 긁힌 상태에서 미립간의 마찰력에 의한 마찰공정으로 구성된다. 정미기는 연마실의 가공방식에 따라서 수평식 정미기, 수직식 정미기로 구분된다.
그런데, 종래의 정미기의 로우터는 연삭공정과 마찰공정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고 연삭마찰 혼합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순차적으로 도정작업을 수행하지 못하여 도정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송 스크루 및 이송 스크루의 일단에 일체로 연삭부, 마찰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정미기 내로 투입된 곡물의 도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의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우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0 : 로우터 110 : 이송부
116 : 이송 스크루 120 : 몸체
122 : 연삭부 124 : 마찰부
126 : 테이퍼부 130 : 분풍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정미기내에 장착되어 투입된 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이송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투입된 곡물의 껍질을 도정하는 몸체가 구비된 로우터에 있어서,
전술한 이송부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제 1 중공이 형성된 이송축을 구비하고, 이송축의 방사상 외면 상에는 나선형으로 연장된 이송 스크루가 장착되며, 몸체는 이송부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고, 제 1 중공과 연통하는 제 2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방사상 외면 상에 연삭부, 연삭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마찰부 및 테이퍼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연삭부에서 마찰부까지 연장되며 180°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에 수직하게 돌출된 제 1 교반돌기 및 제 2 교반돌기가 형성되며, 제 1 교반돌기 및 제 2 교반돌기의 일측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분풍구가 용접고정되고, 테이퍼부의 외면상에는 제 1 교반돌기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제 3 교반돌기를 포함하는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삭부는 세라믹 분말가루로 융착코팅처리하여 표면조도를 거칠게 제작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이송 스크루 및 이송 스크루의 일단에 일체로 연삭부, 마찰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정미기 내로 투입된 곡물의 도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우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100)는 정미기내로 투입된 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10) 및 이송부(10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몸체(120)를 구비한다.
이송부(110)는 이송축(112) 및 이송 스크루(116)를 구비한다. 이송축(112)의 내부에는 이송축(11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중공(114)이 형성된다. 이송축(112)의 방사상 외면 상에는 이송 스크루(116)가 장착된다. 이송 스크루(116)는 이송축(112)의 방사상 외면상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몸체(120)는 연삭부(122), 마찰부(124) 및 몸체(120)의 방사상 내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126)를 구비한다. 또한, 몸체(120)는 교반돌기(128a, 128b, 128c) 및 분풍구(130)를 구비한다.
몸체(120)의 내부에는 몸체(12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제 2 중공(121)이 형성된다. 제 2 중공(121)은 제 1 중공(114)과 서로 연통된다.
연삭부(122)는 몸체(120)의 일단에서 몸체(120)의 타단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삭부(122)는 세라믹 분말가루를 융착코팅처리하여 만든 것으로 일정한 표면 거칠기를 갖는다. 연삭부(122)의 일측에는 마찰부(124)가 배치된다.
이렇게 연삭부(122) 및 마찰부(124)가 형성된 몸체(120)의 외주면 상에는 제 1 교반돌기(128a) 및 제 2 교반돌기(128b)가 형성된다. 제 1 교반돌기(128a) 및 제 2 교반돌기(128b)는 180°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제 1 교반돌기(128a) 및 제 2 교반돌기(128b)는 연삭부(122)에서 마찰부(124)까지 연장된다. 각각의 교반돌기(128a, 128b)의 일측에는 분풍구(130)가 장착된다. 분풍구(130)는 제 2 중공(121)과 연통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132)을 가지며 몸체(120)의 외부면상에 용접고정된다. 테이퍼부(126)의 외부면상에는 제 3 교반돌기(128c)가 형성된다. 제 3 교반돌기(128c)는 제 1 교반돌기(128a)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로우터가 장착된 정미기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로우터(100)가 장착되는 정미기는 정미기 본체(도시되지 않음) 및 본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주축(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주축의 자유단부에는 이송부(110)의 제 1 중공(114)의 일단이 끼워지고, 몸체(120)는 이송부(110)의 하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또한, 이송부(110)의 일측에는 공급부(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고, 공급부의 하측에는 몸체(120)가 배치되는 정미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정미실의 하측에는 배출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렇게 구비된 정미기는 먼저, 공급부에 정미전의 쌀알을 공급부내로 투입한다. 공급부내로 투입된 쌀알은 주축의 회전과 동시에 나선형의 이송 스크루(116)측으로 공급되며, 다시 쌀알은 이송 스크루(116)를 몸체(120)가 배치된 정미실로 강제 이송된다. 몸체(120)측으로 이송된 쌀알은 먼저 연삭부(122)를 지나게 된다. 이때, 연삭부(122)는 쌀알을 감싸고 있는 벼 껍질 및 현미의 표피를 일차적으로 제거시킨다. 이렇게 연삭부(122)에서 일차적으로 도정된 쌀알은 다시 마찰부(124)를 지나면서 도정이 완료된다. 이때, 몸체(120)의 교반돌기(128a, 128b, 128c)는 연삭부(122), 마찰부(124) 및 테이퍼부(126)를 지나는 쌀알들을 휘저어주어 큰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도정중에 발생되는 미강은 분풍구(130)에서 발생되는 분풍력에 의해서 쉽게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100)는 이송 스크루(116) 및 몸체(120)를 일체로 구성하고 몸체(120)에 세라믹 분말가루를 융착코팅처리하여 만든 연삭부(122) 및 마찰부(124)를 구비함으로써 쌀의 도정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하여 쌀알의 도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정미기내에 장착되어 투입된 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10) 및 상기 이송부(1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투입된 곡물의 껍질을 도정하는 몸체(120)가 구비된 로우터(100)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10)는 내부에 제 1 중공(114)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이송축(112)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축(112)의 방사상 외면 상에는 나선형으로 연장된 이송 스크루(116)가 장착되며, 상기 몸체(120)는 상기 이송부(110)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는 제 2 중공(121)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20)의 방사상 외면 상에 연삭부(122), 상기 연삭부(122)의 일측에 배치되는 마찰부(124) 및 테이퍼부(126)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삭부(122) 및 마찰부(124)에는 제 1 교반돌기(128a) 및 제 2 교반돌기(128b)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교반돌기(128a) 및 상기 제 2 교반돌기(128b)의 일측에는 다수의 관통공(132)이 형성된 분풍구(130)가 용접고정되고, 상기 테이퍼부(126)의 외면상에는 상기 제 1 교반돌기(128a)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제 3 교반돌기(128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공(121)은 상기 제 1 중공(114)과 연통하고, 상기 제 1 교반돌기(128a) 및 상기 제 2 교반돌기(128b)는 180°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120)에 수직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부(122)는 상기 몸체(120)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120)의 타단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고, 세라믹 분말가루로 융착코팅처리되어 일정한 표면거칠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KR2019990026709U 1999-12-01 1999-12-01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KR200179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09U KR200179094Y1 (ko) 1999-12-01 1999-12-01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09U KR200179094Y1 (ko) 1999-12-01 1999-12-01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094Y1 true KR200179094Y1 (ko) 2000-04-15

Family

ID=1959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709U KR200179094Y1 (ko) 1999-12-01 1999-12-01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0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51B1 (ko)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51B1 (ko)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22471A (en)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JPH07143870A (ja) たばこ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KR200179094Y1 (ko) 정미기용 도정 로우터
KR20050116913A (ko) 정미기
US6494994B1 (en) Pulp heating apparatus
KR100362891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미강분리장치
CA2265237A1 (en) Milling machine, method of crushing ore by use of the mill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illing machine
JP2023524993A (ja) 研米機能を備えた金網及びその金網を含む精米機
WO2019009623A2 (ko) 정미기
CN114453997A (zh) 一种全自动粗精抛光的抛光机
KR100318053B1 (ko) 세라믹스 완패스 정미기
CN206549740U (zh) 干式球磨系统的旋转式投料槽
CN212702061U (zh) 一种组合米机的碾米机
CN211838060U (zh) 一种偏心碾米砂辊
CN108393121A (zh) 稻谷去壳设备
KR200170951Y1 (ko) 기립형 정미기
CN215029539U (zh) 一种及时烘干的研磨机
KR101745396B1 (ko) 도정기용 샤프트
JPH01258750A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JP2002173230A (ja) 軽量搬送物供給用スクリウコンベア
JPH0490861A (ja) 竪軸型精米機の米粒供給装置
CN204913500U (zh) 一种轴类零件的传送机构及包含该机构的无心磨床
JPH0120995Y2 (ko)
KR101745397B1 (ko) 도정기용 샤프트
JPH01254262A (ja) 堅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