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25273A1 -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 Google Patents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25273A1
WO2021225273A1 PCT/KR2021/003599 KR2021003599W WO2021225273A1 WO 2021225273 A1 WO2021225273 A1 WO 2021225273A1 KR 2021003599 W KR2021003599 W KR 2021003599W WO 2021225273 A1 WO2021225273 A1 WO 20212252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ice
cutting
polishing
gold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35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5347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3513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823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6626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농테크
Priority to JP202256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24993A/ja
Priority to CN202180007022.9A priority patent/CN114761133B/zh
Publication of WO20212252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252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Definitions

  • the process of making rice is to process the rice produced in the paddy field into brown rice through a process of stripping (removing the husk from the rice), and then processing the brown rice into white rice (removing the surface layer of brown rice) to produce white rice (rice).
  • the machine used in the milling process that is, the machine that processes brown rice into white rice, is called a “rice mill”.
  • the existing polishing technology for processing white rice mainly uses friction after grinding, and after making small scratches on the brown rice, rubbing the brown rice together for processing, and then using the wet grinding method to produce polished rice. was mainly us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d mesh having a polishing function and a rice cleaning machine including the metal mesh, and more particularly, in a cutting-type rice cleaning machine, a gold mesh for brushing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a metal mesh for polishing which is combined with a cutting edge assembly for polishing of an existing rice cleaning machine
  • a gold net having a polishing function and a rice polishing machine having the gold mesh for the purpos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rice polishing function and a dry polishing function in one process.
  • Figure 1a relates to a conventional three-seat rice mill, in general, using a grinding stone to make small scratches on the surface of brown rice to increase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urface of the rice, and then grind the surface of brown rice by friction between the rices.
  • rice After producing polished rice, rice has been produced by removing the rice bran attached to the polished rice through a milling machine.
  • FIGS. 1b and 1c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96908 (published on February 23, 2016), in which a drive shaft 25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rice washing machine case, and the drive shaft cuts brown rice.
  • a screen is fitted with a gap between the ring assembly and the cutting ring assembly.
  • a screw 260 for transporting brown rice is mounted on the drive shaft 250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utting ring assembly, and the cutting ring assembly is alternately coupled with a cutting ring and a spacing ring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shaft.
  • a hopper 220 for supplying brown rice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ew 260 .
  • the drive shaft 250 is rotatably supported by a bearing 290 and receives power by a pulley 270 connected to the motor.
  • an outlet 230 for discharging the polished rice grains is formed.
  • the method of polishing using a cutting edge shown in FIGS. 1b and 1c is a method of cutting the surface of brown rice using a cutting edge, so the power loss is less than that of the 3-seat type (grinding type 200g/cm2 , cutting type 50g/cm2) ,
  • the surface of brown rice was cut homogeneously, so unnecessary rice loss was small, and the cutting surface of brown rice was relatively clean, so it did not go through a separate grinding process.
  • consumers have increased the demand for cleaner rice, so it is necessary to add a grinding process in order to process even the milled rice more cleanly.
  • Prior art 2 of Figure 1d relates to a rice milling machine that also serves as a rice polishing apparatus describ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4236 (2005.05.12. Announcement), and in a rice milling machine for milling rice embryos with rice germs, 1
  • the embryos with more than 90% of the embryos are shaken, passed through the transfer sieve, and then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circular concave perforated metal mesh through the second milling device feed screw.
  • the circular concave perforated hole formed inside the wire mesh removes the rice bran, fine dust, and ragwee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embryo due to peeling of the aloe layer during the first stage of rice milling so that the rice surface is cleaned without damaging the embryo.
  • the main technique is to grind rice evenly to preserve the rice, especially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nsects, thereby increasing the germination rat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ice.
  • the conventional white rice production method is a three-seat method including a grinding and friction type rice polishing machine and a polishing machine, or a simple combination of these rice polishing machines.
  • rice processing consumes a lot of energy, generates a lot of heat, and the surface of the rice is not clean.
  • ki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of rice rapidly deteriorated due to the progress of acidification over tim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a conventional three-seat rice cleaner by developing an integral type gold net having a dry rice washing function at the same time in a cutting type rice washing machine, and a rice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similar in structure to a conventional cutting-type rice mill.
  • the first half 281 of the gold mesh 280 of the rice milling machine cuts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as in the prior art.
  • a gold mesh for performing a polishing function is additionally combined to perform a polishing function and a polishing function with one gold mesh 280.
  • a drive shaft 25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rice cleaning machine, a screw 260 for transporting brown rice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250 , and the screw 260 and the brown rice are cut successively.
  •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is coupled, and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is mounted by being surrounded by a metal mesh 280 at intervals on the same axis.
  • a hopper 220 for supplying brown rice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ew 260 .
  • the drive shaft 250 is rotatably supported by a bearing 290 and receives power by a pulley 270 connected to the motor.
  • a polished rice outlet 230 for discharging polished rice grains is formed near the distal end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
  • the support shaft 110 is configured on the inside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 and the cutting ring 120 for cutting brown rice is spaced outside the support shaft.
  •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in which the ring 130 is alternately fitted, and the metal mesh 28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are inserted and mounted.
  • the metal mesh 28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side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and the metal mesh 280 is formed in two parts, but the two parts are integrally formed in a single cylindrical shape, and the screw
  • the first half of the (260) side is composed of a rice polishing section (281), the side of the polished rice outlet (230) is composed of a tail section (285).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d net having a rice cleaning function and a dry rice grinding function integrally, and a cutting rice cleaning machine including the gold mesh.
  • the conventional general white rice production method consumes less energy for rice processing, generates less heat, and has a clean surface of rice. Since the surface of brown rice (especially the germ part) is not shaved off, the production of rice is high.
  •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rice mill and a rice mill in the prior art
  • Fig. 1d A device for fertilizing rice with a rice polishing device.
  • Figure 2 is a rice washing machine integrated with a rice mil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rice-polishing machine mesh net having a softe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rice mill cutting tool having a gri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ail section 200 rice washing machine
  • body 220 hopper
  • polishing part 282 slit-type through hole
  •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similar in structure to a conventional cutting-type rice mill.
  • the first half 281 of the gold mesh 280 of the rice milling machine cuts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as in the prior art.
  • a gold mesh for performing a polishing function is additionally combined to perform a polishing function and a polishing function with one gold mesh 280.
  • a drive shaft 25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rice cleaning machine, a screw 260 for transporting brown rice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250 , and the screw 260 and the brown rice are cut successively.
  •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is coupled, and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is mounted with a metal mesh 280 surrounded and fitted at intervals on the same axis.
  • a hopper 220 for supplying brown rice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ew 260 .
  • the drive shaft 250 is rotatably supported by a bearing 290 and receives power by a pulley 270 connected to the motor.
  • a polished rice outlet 230 for discharging polished rice grains is formed near the distal end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
  • the support shaft 110 is configured on the inside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 and the cutting ring 120 for cutting brown rice is spaced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shaft.
  •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in which the ring 130 is alternately fitted, and the metal mesh 28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are inserted and mounted.
  • the metal mesh 28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side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and the metal mesh 280 is formed in two parts, but the two parts are integrally formed in a single cylindrical shape, and the screw
  • the first half of the 260 side is composed of a rice polishing portion 281
  • the polished rice outlet 230 side is composed of a tail portion 285, and the polishing portion 281 is formed longer than the tail portion 285, but the polishing portion
  • the length of the 281 is configured to be 1.5 times or more and 6 times or less than the tail portion 285 .
  • the rice polishing unit 28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ng slit-type through-holes 282 in an oblique direction in order to shave the outside of brown rice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 This slit-type through hole 282 discharges the rice bran to the outside while partially responsible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rice grains when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rotates.
  • a blowing method is used to discharge the rice bran to the outside, and the air is supplied by a blower (not shown) that pressurizes or sucks air through an air passage 132 installed in the spacing ring 130 through a hole installed inside the drive shaft.
  • the rice grains generated in the cutting proces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old meshes 280 to clean the rice grains and cool the rice grains.
  • the through hole 132 installed in the gap ring is larger than the grain of rice so that the grain of rice can go back and forth between the outside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and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and the inside of the gold mesh 280 , but the slit of the gold mesh 280 .
  • the mold hole 282 is smaller than the grains of rice, so that the grains of rice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old mesh 280, and only the rice bra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old mesh 280.
  • the tail portion 285 is coupled and installed successively to the milling portion 281, and the rice grains passing through the milling portion 281 of the gold mesh 280 are rotated and pushed to the tail portion 285 while rotating.
  •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rotates within the tail portion 285 of the gold mesh 280, and friction between the grains of rice, friction between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and the tail portion 285 of the gold mesh 280
  • the rice bran attached to the grain of rice is separated by a small cutting action and the irregular surface of the grain of rice is polished and polished.
  • the rice bran attached to the processed rice grains are removed with a blower (not shown) that pressurizes or sucks air. That is, the air moves between the tail portions 285 of the wire mesh 280 through the air passage 132 installed in the gap ring 130 through the hole installed inside the drive shaft, and small rice bran and rice bran generated during the milling process are removed.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gold mesh 280 to clean the rice grains.
  • the through hole installed in the spacing ring 20 is larger than the grain of rice, so the grain of rice can go back and forth between the outside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and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and the inside of the gold mesh 280 , but the circular through hole of the gold mesh 280 .
  • No. 286 is smaller than the grains of rice, so the grains of rice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old mesh 280 , and only the rice bra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old mesh 280 .
  • the metal mesh 280 of the polishing part 181 performs some cutting functio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ertain strength or more, so it is composed of a metal plate, but is configured to be 0.5 to 3.0 mm.
  • a stainless steel plate or surface hardened steel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0 to 1.5 mm is used.
  • a polishing guiding blade 283 may be installed in a spiral or straight shape inside the wire mesh 280 .
  • the milling guide blade 283 is a separate strip-shaped steel plate and is configured by welding a steel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0.5 to 2.0 mm to the inside of the wire mesh 280 of the milling part 181 by welding.
  • the wire mesh 280 of the tail portion 285 does not perform a cutting function (0.3 to 0.5%) and performs a function of wiping the rice bran attached to the rice or removing the finely protrud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rice by friction. It is composed of a metal plate because a relatively large load does not act, but the thickness is 0.1 to 1.5 mm,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stainless steel plate of 0.3 to 0.7 mm.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tail guide blade (287).
  • the tail guide blade 287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otrude convexly to the inside during press-fitting and processing by press-fitting the outside of the tail portion.
  • brown rice has a relatively high surface hardness, and the hardness decreases as it enters the surface of brown rice. Therefore, when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is used, the first cutting ring 120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becomes blunt first, and the cutting ring in the latter half is us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is used again, but the cutting ring of the front end is first dulled, so that the entire cutting edge assembly 160 cannot be used.
  •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has to perform a grinding function rather than a cutting function, the cutting edge does not need to be sharp, and the blunt shape is advantageous in performing the grinding function.
  • the cutting edge assembly 160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to a first trimming part 161, a second trimming part 162 and a tail part 163, but the first The length of the secondary milling part 162 is 1.5 times or more and 6 times or less than that of the first milling part 161, and the first milling part 161 is made of ceramic, which is not easily worn due to its relatively high hardness. (123) is fitted to form a cutting ring, and the cutting ring 120 of the second polishing part 162 uses the conventionally used cutting ring 120, and the cutting of the tail part 163 is ( 123) makes the corners more gently rounded to perform a friction function rather than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쌀을 만드는 공정은 논에서 생산된 벼를 탈부(벼에서 왕겨를 벗기는 작업)공정을 거쳐 현미로 가공하고, 현미는 정백(현미의 표면층을 제거하는 작업)공정을 거쳐 백미(쌀)로 가공하여 소비자에게 공급되는데 이때 정백공정에 사용되는 기계 즉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는 기계를 "정미기"라고 한다. 기존 백미 가공을 위한 정백 기술은 주로 연삭후 마찰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현미에 작은 흠집을 내후 현미끼리 마찰시켜 가공한후 백미의 표면을 습식 연미방식을 사용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3연좌 정미 가공기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연미 기능을 구비한 금망에 정미기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식 정미기에 있어서, 기존의 정미기의 정미용 절삭날 외측에 결합되는 정미용 금망 후단에 연미용 금망을 결합하여 하나의 공정에서 정미 기능과 건식 연미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구비한 정미기 금망 및 그 금망를 구비한 정미기를 개발하여 우리가 주식으로하는 고품질 쌀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일반적으로 쌀을 만드는 공정은 논에서 생산된 벼를 탈부(벼에서 왕겨를 벗겨내는 작업)공정을 거쳐 현미로 가공하고, 현미는 정백(현미의 표면층을 제거하는 작업)공정을 거쳐 백미(쌀)로 가공하여 소비자에게 공급되는데 이때 정백공정에 사용되는 기계 즉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는 기계를 “정미기”라고 한다.
기존 백미 가공을 위한 정백 기술은 주로 연삭 후 마찰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현미에 작은 흠집을 낸 후 현미끼리 마찰시켜 가공한 후 백미의 표면을 습식 연미방식을 사용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3연좌 정미 가공기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이 포함된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식 정미기에 있어서, 기존의 정미기의 정미용 절삭날 조립체와 결합되는 정미용 금망 후단에 연미용 금망을 결합하여 하나의 공정에서 정미 기능과 건식 연미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를 구비한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3연좌식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연삭숫돌을 이용하여 현미의 표면에 작은 흠집을 내어 쌀표면의 마찰계수를 증대시킨 후 쌀끼리 비면 마찰에 의하여 현미의 표면을 깍아내어 백미를 생산한 후 연미기를 통하여 백미에 붙어있는 미강을 제거하여 쌀을 생산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삭숫돌과 및 마찰을 이용하여 쌀을 생산하는 방식은 쌀을 마찰하는 과정에서 열 발생이 많고, 쌀알 중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배아 부분이 필요 이상 깎여 나가 쌀 손실이 많으며, 마찰과정에서 쌀눈도 많이 손실되고, 쌀의 표면에 미세한 흠집이 나며, 이 흠집에 미강이 달라붙어 쌀의 탁도가 높아져 미관상 좋지 않아 소비자가 잘 선호하지 않았다. 이에 쌀 표면을 좀 더 매끄럽게 하고, 쌀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미강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미 공정을 거처야 했는데, 연미공정 중 건식 연미공정은 미강제거가 완전하지 않아 원하는 수준의 깨끗한 쌀을 생산하기 어렵고, 습식 연미공정은 쌀의 표면을 보다 매끄럽고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지만, 쌀 표면에 남아 있는 습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폐가 진행되어 백미 표면에 백화현상이 빠르게 발생하여 소비자 불만과 쌀을 반품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에 도 1b, 1c의 선행기술1은 등록특허공보 10-1596908호(2016.02.23.공고)에 기재된 것으로, 정미기 케이스에 구동축(2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축에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링 조립체와 절삭링 조립체에 간격을 두고 스크린이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250)에는 현미를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260)가 절삭링 조립체의 일측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절삭링 조립체는 지지축의 외부에 절삭링과 간격링이 번갈아 결합된다. 또한, 스크류(260)의 상부에는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2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250)은 베어링(29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터에 연결된 풀리(27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 받는다. 절삭링 조립체(100)의 말단 부근에는 도정된 쌀알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b, 1c에 도시된 절삭날을 이용한 절삭정미 방법은 현미의 표면을 절삭날을 이용하여 깎아내는 방식이어서 3연좌식보다 동력 손실이 적고(연삭마찰식 200g/㎠ , 절삭식 50g/㎠), 현미의 표면이 균질하게 절삭되어 불필요한 쌀 손실이 적었으며, 현미의 절삭 표면이 비교적 깨끗하여, 별도의 연미 공정을 거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비자자들이 보다 깨끗한 쌀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어, 절삭 가공한 쌀이라도 더욱 깨끗하게 가공하기 위하여 연미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도 1d의 선행기술2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84236(2005.05.12.공고)에 기재된 정미장치를 겸한 배아미 연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쌀 눈이 붙어 있는 쌀 배아미를 도정하는 배아미 도정기에 있어서, 1차 정미 장치에서 배아가 90% 이상 붙어 있는 배아미를 흔들 이송채를 거쳐 2차 연미 장치 이송스크류를 통해 원형 오목타공금망 내측으로 이송하여 타공 금망내에서 양날개형 로더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타공금망 내측에 형성된 원형 오목 타공구멍에 의해서 1단의 정미 과정 중 호분층 박리시 발생되어 배아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강과 미세 분진 및 싸래기를 제거하여 완전 배아미가 되도록 하면서 배아 부분이 다치지 않고 쌀 표면을 고루 연마 하여 쌀의 보존도 특히 벌레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아율을 높이면서 쌀의 품질를 높이는 방법으로 연미하는 것이 주된 기술이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여전히 절삭날을 이용하여 쌀을 정미한 것이 아니라 주로 마찰에 의해 정미가 이루어져 에너지 소비량이 많고 쌀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며, 1단 정미장치와 2단 연미 장치가 분리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종래의 백미 생산방식은 연삭 및 마찰식 정미기와 연미기를 포함한 3연좌 방식이거나 단순이 이들 정미기를 결합하여 놓은 형태여서 본 발명과 같이 절삭식이면서 정미기능과 연미 기능을 구비한 일체식 금망이 구비된 본 발명과 비교하여, 쌀 가공에 에너지 소비가 많고, 열 발생이 많으며, 쌀의 표면이 깨끗하지 못하고, 특히 필요 이상 현미의 표면(특히 배아부분)이 많이 깎여 나가 쌀의 생산량도 적었고, 습식연미기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폐가 진행되어 쌀의 미관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절삭식 정미기에 건식 연미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일체식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에 개발하여 종래의 3연좌식의 정미기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절삭식 정미기와 그 구조가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정미기는 현미가 스크류(260)를 통하여 절삭날 조립체(160)와 금망(280) 사이로 밀려들어가면, 정미기의 금망(280)의 전반부(281)에서는 종래와 같이 현미 표면을 절삭을 통하여 정미가 이루어지되, 금망(280)의 후반부(285)에서는 연미기능을 수행하는 금망을 추가로 결합하여, 하나의 금망(280)으로 정미 기능과 연미 기능을 수행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은 정미기 본체에 구동축(2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축(250)에 현미를 이송하는 스크류(260)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260)와 연이어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날 조립체(160) 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는 동일축 상에 간격을 두고 금망(280)이 둘러싸여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260)의 상부에는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2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250)은 베어링(29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터에 연결된 풀리(27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 받는다.
절삭날 조립체(160)의 말단 부근에는 도정된 쌀알이 배출되기 위한 백미 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절삭날 조립체(160)를 설명하면,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의 내측에는 지지축(110)이 구성되고, 지지축의 외부에는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링(120)과 간격링(130)이 번갈아 끼워지는 절삭날 조립체(160)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금망(280)이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금망(280)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의 외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금망(280)은 2개 부분으로 형성하되, 2개 부분이 하나의 통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스크류(260)측 전반부는 정미부(281)로 구성되고, 백미 배출구(230)측에는 연미부(28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정미기능과 건식 연미기능을 일체로 가지는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 백미 생산방식은 3연좌 습식정미기(연삭+마찰+습식연미기)와 비교하여, 쌀 가공에 소요되는 에너지 소비가 적고, 열 발생이 적으며, 쌀의 표면이 깨끗하며, 특히 필요 이상 현미의 표면(특히 배아부분)이 많이 깎여 나가지 않으므로 쌀의 생산량이 많다.
또한, 습식 연미기와 비교하여서는 쌀을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산폐가 진행되지 않아 쌀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없고, 하나의 기계에 연미기와 정미기를 통합 설치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쉬우며, 설치에 자리도 적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정미기와 연미기 개략도
도 1a) 종래기술에 따른 연삭, 마찰 및 습식연미기 개념도
도 1b 및 1c) 절삭방식의 정미기 개략도
도 1d) 정미장치를 겸한 배아미 연미 장치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미 기능이 일체화된 정미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미기능을 갖는 정미기 금망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미기능을 갖는 정미기 절삭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날 조립체
[부호의 설명]
100 : 절삭부 110 : 지지축
120 : 절삭링 122: 절삭통로
123 : 절삭이 130 : 간격링
132 : 간결링 통공 160 : 절삭날 조립체
161 : 제1차정미부 162 : 제2차 정미부
163 : 연미부 200 : 정미기
210 : 본체 220 : 호퍼
230 : 백미 배출구 240 : 미강 배출구
250 : 구동축 260 : 스크류
270 : 풀리 280 : 금망
281 : 정미부 282 : 슬릿형 통공
283 : 정미유도날 285 : 연미부
286 : 원형통공 287 : 연미유도날
290 : 베어링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절삭식 정미기와 그 구조가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정미기는 현미가 스크류(260)를 통하여 절삭날 조립체(160)와 금망(280) 사이로 밀려들어가면, 정미기의 금망(280)의 전반부(281)에서는 종래와 같이 현미 표면을 절삭을 통하여 정미가 이루어지되, 금망(280)의 후반부(285)에서는 연미기능을 수행하는 금망을 추가로 결합하여, 하나의 금망(280)으로 정미 기능과 연미 기능을 수행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은 정미기 본체에 구동축(2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축(250)에 현미를 이송하는 스크류(260)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260)와 연이어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날 조립체(160)가 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는 동일축 상에 간격을 두고 금망(280)이 둘러싸여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260)의 상부에는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2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250)은 베어링(29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터에 연결된 풀리(27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 받는다.
절삭날 조립체(160)의 말단 부근에는 도정된 쌀알이 배출되기 위한 백미 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절삭날 조립체(160)을 설명하면,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의 내측에는 지지축(110)이 구성되고, 지지축의 외부에는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링(120)과 간격링(130)이 번갈아 끼워지는 절삭날 조립체(160)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금망(280)이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금망(280)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의 외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금망(280)은 2개 부분으로 형성하되, 2개부분이 하나의 통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스크류(260)측 전반부는 정미부(281)로 구성되고, 백미 배출구(230)측에는 연미부(285)로 구성되며, 상기 정미부(281)는 상기 연미부(285)보다 길게 형성되되 상기 정미부(281)의 길이는 연미부(285)보다 1.5배 이상 6배 이하로 구성한다.
상기 정미부(281)는 현미의 외부를 깎아내고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사선방향으로 긴 슬릿형 통공(282)이 다수 설치된다. 이 슬릿형 통공(282)은 절삭날 조립체(160)가 회전할 때 쌀알의 표면을 절삭하는 기능을 일부 담당하면서, 쌀겨를 외부로 배출한다. 쌀겨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송풍방법을 이용하는데, 공기를 압송하거나 빨아들이는 송풍기(미도시)로 공기가 구동축 내부에 설치된 통공을 경유하여 간격링(130)에 설치된 공기통로(132)를 통하여 금망(280)사이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절삭과정에서 발생한 쌀껴를 금망(280)외부로 배출하여 쌀알을 깨끗이 하면서 쌀알을 냉각 시킨다. 이때 간격링에 설치된 통공(132)은 쌀알 보다 커서 쌀알이 절삭날 조립체(160)와 절삭날 조립체(160) 외부와 금망(280)의 내부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지만, 금망(280)의 슬릿형 통공(282)은 쌀알 보다 적어 금망(280)외부로 쌀알이 배출되지 않고 금망(280)의 외부로는 쌀겨만 배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정미부(281)에 연이어 연미부(285)가 결합되어 설치되는데 연미부(285)에는 상기 금망(280)의 정미부(281)를 통과한 쌀알이 연미부(285)로 회전하면서 밀려들어 오면, 금망(280)의 연미부(285)의 내에서 절삭날 조립체(160)가 회전하면서 쌀알 간 출동과 마찰, 절삭날 조립체(160)와 금망(280)의 연미부(285)와의 마찰과 일부 적은 절삭작용으로 쌀알에 붙어 있던 미강이 분리되면서 쌀알의 불규칙한 표면을 미끈하게 연미 가공한다.
이와 같이 가공된 쌀알에 붙어 있던 미강은 공기를 압송하거나 빨아들이는 송풍기(미도시)로 제거한다. 즉, 공기가 구동축 내부에 설치된 통공을 경유하여 간격링(130)에 설치된 공기통로(132)를 통하여 금망(280)의 연미부(285)사이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연미과정에서 발생한 작은 쌀겨와 미강을 금망(280)외부로 배출하여 쌀알을 깨끗이 한다. 이때 간격링(20)에 설치된 통공은 쌀알 보다 커서 쌀알이 절삭날 조립체(160)와 절삭날 조립체(160) 외부와 금망(280)의 내부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지만 금망(280)의 원형 통공(286)은 쌀알 보다 적어 금망(280)의 외부로 쌀알이 배출되지 않고 금망(280)외부로는 미강만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정미부(181)의 금망(280)은 일부 절삭기능을 수행하므로 일정이상의 강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금속판으로 구성하되, 0.5~3.0㎜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1.0~1.5㎜의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표면 경화 강판을 사용한 것이 좋으며, 정미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금망(280) 내부에는 나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정미유도날(283)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정미유도날(283)은 별도의 띠형 강판으로 두께가 0.5~2.0㎜의 강재를 정미부(181)의 금망(280)내부에 용접으로 붙여 구성한다.
다음으로 연미부(285)의 금망(280)은 절삭기능(0.3~0.5%)은 거의 하지 않으며 쌀에 붙어있는 미강을 닦아내거나 쌀표면에 미세하게 돌출된 돌출부를 마찰로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비교적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아 금속판으로 구성 하되, 그 두께는 0.1~1.5㎜로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0.3~0.7㎜의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용한 것이 좋으며, 연미효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금망내부에는 나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연미유도날(287)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연미유도날(287)은 연미부의 외부를 압입하여 가공하고 압입시 내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정미와 연미 기능을 더욱 좋게 하고 절삭날의 수명을 높이기 위하여 절삭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현미는 표면이 비교적 경도가 높고, 현미의 표면에서 들어 갈수록 그 경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절삭날 조립체(160)를 사용하다 보면 절삭날 조립체(160)의 전반부 절삭링(120)은 먼저 무디어 지고, 후반부의 절삭링은 비교적 오래 사용한다, 이에 현장에서는 절삭날 조립체(160)의 방향을 바꾸어 다시 사용하기도 하지만, 전단부의 절삭링이 먼저 무뎌져서 절삭날 조립체(160)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절삭날 조립체(160)의 후반부는 절삭기능보다는 연미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절삭날이 예리할 필요가 없고 무딘 형상이 연미기능을 수행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절삭날 조립체(160)는 제1차 정미부(161), 제2차 정미부(162) 및 연미부(163)로 3분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차 정미부(162)의 길이가 제1차 정미부(161)보다 1.5배 이상 6배 이하로 구성되고, 제1차 정미부(161)는 비교적 경도가 높아 쉽게 마모되지 않는 세라믹제로 절삭이(123)를 끼움 결합하여 절삭링으로 구성하고, 제2차 정미부(162)의 절삭링(120)은 종래 사용하고 있는 절삭링(120)을 사용하며, 연미부(163)의 절삭이(123)는 모서리부를 보다 완만하게 라운딩지게 가공하여 절삭보다는 마찰 기능을 수행 하도록 한다.

Claims (9)

  1. 현미가 투입되는 호퍼(220), 상기 호퍼(220)로부터 투입된 현미를 이송하는 스크류(260), 상기 스크류(260)로부터 이송된 현미의 표면을 절삭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절삭부(100) 및 상기 절삭부(100)로부터 가공된 백미를 배출하는 백미 배출구(230)를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200)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100)는 절삭날 조립체(160)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조립된 금망(28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망(280)은 정미 기능을 수행하는 정미부(281)와 건식 연미 기능을 수행 하는 건식 연미부(285)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정미부(281)의 정미유도날(283)은 단면이 직사각형의 띠형 강재를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거나 나선형으로 결합하고, 상기 연미부(285)의 연미유도날(287)은 금망을 원호형으로 둥글게 압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기는 절삭날 조립체(160)의 내측으로부터 금망(280)외부로 공기를 압송하는 송풍기 및/또는 금망(280) 외부에 설치되어 절삭날 조립체(160)의 내측 공기를 금망(280)외부로 빨아내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280) 및 그 금망(28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에는 쌀알보다는 큰 크기로 복수개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금망(280)의 정미부(281)에는 쌀알보다 작은 복수개의 경사진 슬릿형 통공(282)을 형성하며, 상기 연미부(285)에는 쌀알보다 작은 복수개의 원형의 통공(28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280) 및 그 금망(28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망(280)의 상기 정미부(281)는 상기 연미부(285)보다 길게, 형성하되 상기 정미부(281)의 길이는 연미부(285)보다 1.5배 이상 6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280) 및 그 금망(28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부(281)의 금망(280) 내측에는 정미유도날(283)이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연미부(285)의 금망(280) 내측에는 연미유도날(287)이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부(281)의 금망(280)은 그 두께를 0.5㎜이상 3.0㎜이하로 하고, 상기 연미부(285)의 금망(280)은 그 두께를 0.1㎜이상 1.5㎜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280) 및 그 금망(28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7. 현미가 투입되는 호퍼(220), 상기 호퍼(220)로부터 투입된 현미를 이송하는 스크류(260), 상기 스크류로 부터 이송된 현미의 표면을 절삭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절삭부(100) 및 상기 절삭부(100)로부터 가공된 백미를 배출하는 백미 배출구(230)를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200)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100)는 절삭날 조립체(160)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조립된 통형 금망(28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는 현미의 외곽부를 절삭하는 제1차 정미부(161)와 상기 제1차 정미부(161)에서 절삭된 백미를 추가 절삭하는 제2차 정미부(162) 및 연미부(163)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차 정미부(162)의 길이가 제1차 정미부(161)보다 1.5배 이상 6배 이하로 구성되며,
    상기 금망(280)은 정미 기능을 수행하는 정미부(281)와 건식 연미 기능을 수행 하는 건식 연미부(285)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정미부(281)의 정미유도날(283)은 단면이 직사각형의 띠형 강재를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거나 나선형으로 결합하고, 상기 연미부(285)의 연미유도날(287)은 금망을 원호형으로 둥글게 압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절삭날 조립체(160) 및 절삭날 조립체(160)를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미부(163)의 절삭이(123) 모서리는 둥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절삭날 조립체(160) 및 그 절삭날 조립체(160)를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정미부(161)의 절삭이(123)를 세라믹재로 삽입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절삭날 조립체(160) 및 그 절삭날 조립체(160)를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PCT/KR2021/003599 2020-05-04 2021-03-23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WO202122527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67330A JP2023524993A (ja) 2020-05-04 2021-03-23 研米機能を備えた金網及びその金網を含む精米機
CN202180007022.9A CN114761133B (zh) 2020-05-04 2021-03-23 切削式精米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33 2020-05-04
KR1020200053473A KR20210135133A (ko) 2020-05-04 2020-05-04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KR10-2020-0053473 2020-05-04
KR1020200082333A KR102166267B1 (ko) 2020-07-03 2020-07-03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5273A1 true WO2021225273A1 (ko) 2021-11-11

Family

ID=7852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3599 WO2021225273A1 (ko) 2020-05-04 2021-03-23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524993A (ko)
CN (1) CN114761133B (ko)
WO (1) WO20212252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5833A (zh) * 2022-06-13 2022-09-09 安徽慧视金瞳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碎米率的碾米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969U (ko) * 1989-06-28 1991-01-25 삼성의료기기 주식회사 X-선 산란흡수장치의 그릿요동제어기구
KR200200003Y1 (ko) * 2000-05-10 2000-10-16 최종진 압축공기를 이용한 미강분리장치
KR100495010B1 (ko) * 2002-01-22 2005-06-13 정명구 정미기
KR20080101179A (ko) * 2007-05-16 2008-11-21 이중부 연삭과 연미장치가 부가된 도정기
KR20150142430A (ko) *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세농테크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KR102166267B1 (ko) * 2020-07-03 2020-10-15 주식회사 세농테크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3583B2 (ja) * 1998-04-08 2007-04-11 井関農機株式会社 精米装置
JP3871956B2 (ja) * 2002-04-19 2007-01-24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家庭用精米機の精米機構
KR100718326B1 (ko) * 2005-06-13 2007-05-15 유성길 정미용 절삭 롤 및 이를 이용한 정미 장치
KR100664675B1 (ko) * 2006-02-20 2007-01-04 최우혁 겨 절삭형 정미기
JP2009090212A (ja) * 2007-10-09 2009-04-30 Iseki & Co Ltd 精米装置
CN202570612U (zh) * 2012-05-24 2012-12-05 万俊 一种多功能筛板
KR101483762B1 (ko) * 2013-03-18 2015-01-16 나용옥 정미기
JP6236742B2 (ja) * 2013-12-12 2017-11-29 株式会社サタケ 搗精装置
CN206716031U (zh) * 2017-03-28 2017-12-08 中粮米业(岳阳)有限公司 一种碾米机米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969U (ko) * 1989-06-28 1991-01-25 삼성의료기기 주식회사 X-선 산란흡수장치의 그릿요동제어기구
KR200200003Y1 (ko) * 2000-05-10 2000-10-16 최종진 압축공기를 이용한 미강분리장치
KR100495010B1 (ko) * 2002-01-22 2005-06-13 정명구 정미기
KR20080101179A (ko) * 2007-05-16 2008-11-21 이중부 연삭과 연미장치가 부가된 도정기
KR20150142430A (ko) *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세농테크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KR102166267B1 (ko) * 2020-07-03 2020-10-15 주식회사 세농테크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5833A (zh) * 2022-06-13 2022-09-09 安徽慧视金瞳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碎米率的碾米机
CN115025833B (zh) * 2022-06-13 2024-02-02 安徽慧视金瞳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碎米率的碾米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61133B (zh) 2023-09-01
JP2023524993A (ja) 2023-06-14
CN114761133A (zh)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267B1 (ko)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KR20210135133A (ko)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US56500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coring of and the preparation for milling of cereal
WO2021225273A1 (ko)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KR101483762B1 (ko) 정미기
KR20130104499A (ko) 건식 무세 배아미 제조장치
CN211026449U (zh) 一种细糠碾米机
CN202077415U (zh) 一种玉米脱粒机
RU2000101003A (ru) Способ помола зер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3160944U (zh) 一种砻谷机
KR20190116633A (ko) 낟알 탈피구조가 개선된 정미기
KR101670387B1 (ko) 낱알파손방지용 샤프트가 구비된 가정용 도정기
JP2004298801A (ja) 選別研米装置及び精米機
CN218962719U (zh) 一种卧式碾米机
JP3129316U (ja) 精米装置
CN211988789U (zh) 大米加工用去壳抛光机
CN211051565U (zh) 稻谷脱壳胶辊磨谷机
KR200256651Y1 (ko) 개량형 정미기
KR20000012202A (ko)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CN214508105U (zh) 一种肉牛养殖用饲料处理装置
CN214439322U (zh) 一种大米高效去壳加工用铁辊碾米机
KR20210074500A (ko) 건식 무세 배아미 제조장치
CN2669976Y (zh) 新型碾米机
KR100356532B1 (ko) 타공금망에 의한 연미장치
KR200167771Y1 (ko)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997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6733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997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997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