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762B1 - 정미기 - Google Patents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762B1
KR101483762B1 KR20130028655A KR20130028655A KR101483762B1 KR 101483762 B1 KR101483762 B1 KR 101483762B1 KR 20130028655 A KR20130028655 A KR 20130028655A KR 20130028655 A KR20130028655 A KR 20130028655A KR 101483762 B1 KR101483762 B1 KR 10148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ce
cutting
circumferential surf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164A (ko
Inventor
나용옥
양재승
Original Assignee
나용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용옥 filed Critical 나용옥
Priority to KR2013002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762B1/ko
Priority to PCT/KR2014/002208 priority patent/WO2014148779A1/ko
Publication of KR2014011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겨를 원활하게 배출하고 쌀알을 냉각하기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현미를 씻지 않고 취반이 가능한 백미 즉 클린라이스(CLEAN RICE : 무세미)로 가공할 수 있는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일단에 쌀알이 공급되는 호퍼를 구비하고 타단에 쌀알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본체와, 호퍼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과, 구동축에 장착되고 호퍼를 통해 공급된 쌀알의 쌀겨를 제거하면서 배출구 방향으로 압착 이송하는 현미 가공 회전체와, 현미 가공 회전체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거된 쌀겨만을 분리하는 스크린과,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미기{RICE POLISHING MACHINE}
본 발명은 쌀겨를 원활하게 배출하고 쌀알을 냉각하기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현미를 씻지 않고 취반이 가능한 백미 즉 클린라이스(CLEAN RICE : 무세미)로 가공할 수 있는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에서 수확한 벼의 왕겨를 제거한 것을 현미(도정도 100, 백도±20)라 부르고, 현미의 최외층인 과피, 종피, 외배유 및 호분층까지를 말하는 쌀겨층을 제거한 것을 백미라 한다. 백미는 도정 정도에 따라 5분도, 7분도, 10분도 등 다양하게 나뉘고, 현미에서 쌀겨(미강)를 분리하는 공정을 도정 공정이라 하고, 도정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를 정미기라 한다.
현미를 도정하는 방법으로는 연삭 방식, 마찰 방식, 절삭 방식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절삭 방식의 정미기와 관련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664,675호(발명의 명칭 : 겨 절삭형 정미기)에는 중공축과 커터 링과 스페이서 및 배플 링을 구비한 절삭 방식의 정미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겨 절삭형 정미기는, 통풍구가 형성된 중공의 축에 커터 링과 스페이서가 교대로 삽입된다. 커터 링의 외주면에는 등 간격으로 복수의 원호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현미가 원호상의 홈으로 압송되면서 절삭된다. 또한, 스페이서의 외주면에는 현미를 깎아내기 위한 둔각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의 축으로 공급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개방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겨 절삭형 정미기는, 도정 공정이 완료되어도 정백실에 백미가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잔량이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 스크린의 중앙부분이 쳐지면서 스크린과 수평으로 설치된 중공의 축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쌀을 수평으로 압송하기 위해 큰 마력의 구동모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나 유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퍼를 통해 공급된 현미를 도정하면, 도정된 백미의 표면에 잔류미강이 깨끗이 처리되지 못하고, 쌀의 온도가 높아져서 보관 중에 변질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중공의 축과 스페이서의 절결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부족하여 쌀겨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동시에 도정 중에 쌀이 충분히 냉각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현미가 커터 링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호상의 홈을 원활하게 통과하여 압송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정 과정에서 쌀알이 원활하게 압송되지 못하면 쌀알이 커터 링의 측벽이나 스크린과 접촉하여 접촉 압력이 높아지고 마찰열이 증가하여 쌀알이 부서지게 된다. 따라서 도정의 수율 즉 정백율이 낮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절삭 방식 정미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현미 가공 회전체가 장착된 구동축이 현미를 공급하는 호퍼에서 백미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에 도정된 백미는 배출구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흘러내려 정백실 내부에 잔량이 남지 않는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정시에 쌀알이 원활하게 압송되도록 구성된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정시에 쌀겨를 원활하게 배출하고 쌀알을 냉각하기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현미 가공 회전체가 설치된 절삭 방식의 정미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일단에 쌀알이 공급되는 호퍼를 구비하고 타단에 쌀알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본체와, 호퍼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과, 구동축에 장착되고 호퍼를 통해 공급된 쌀알의 쌀겨를 제거하면서 배출구 방향으로 압착 이송하는 현미 가공 회전체와, 현미 가공 회전체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거된 쌀겨만을 분리하는 스크린과,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현미 가공 회전체는, 구동축에 장착되는 스크류와, 스크류와 이웃하게 설치되도록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키홈이 각각 형성된 지지축과, 지지축에 끼워져서 결합된 복수의 절삭 링과, 복수의 절삭 링 사이에 배치되도록 지지축에 끼워져서 결합된 복수의 간격 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링은, 일정한 두께의 링 형상이고, 외주면에 쌀알이 통과되면서 쌀겨가 절삭되도록 링의 양 측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삭 통로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 연결 돌기가 구동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절삭 통로는 링의 양 측면으로 연장되는 채널 형상이고, 채널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한다. 절삭 통로를 통과하는 현미는 채널의 에지와 접촉하여 쌀겨(미강)가 절삭되어 정미된다. 특히, 채널의 모서리 부근에서 바닥면과 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정미가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간격 링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이고, 복수의 절삭 링 사이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 연결 돌기가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삭 링의 바닥면은 절삭 링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이고, 양 측면은 바닥면과 90°이상의 각도로 만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과 절삭 링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쌀알의 절삭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각각의 이웃하는 절삭 통로 사이의 외주면은 절삭 링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삭 링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축과 내주면 사이에 공기 통로를 확보하도록 절삭 링을 지지하고,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중심 축선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부와, 복수의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키홈 연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간격 링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축과 내주면 사이에 공기 통로를 확보하도록 간격 링을 지지하고,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중심 축선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부와, 복수의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키홈 연결 돌기와, 링의 일 측면에 외주면과 내주면이 연통하는 공기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링의 일 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공기 통로 채널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절삭 링 중 적어도 하나의 최외측 단부에 설치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의 링 형상이고, 외주면에 쌀알이 통과되면서 쌀겨가 절삭되도록 링의 양 측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삭 통로를 구비하고, 절삭 링의 공기 통로와 연통되도록 공기 통로가 형성된 보조 절삭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도정 공정에서 구동축의 외주면인 본체 말단에 형성된 공기 공급 구멍을 통해서 절삭 링의 내주면 및 간격 링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쌀알을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간격 링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축과 내주면 사이에 공기 통로를 확보하도록 링을 지지하고,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중심 축선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간격 링의 키홈 연결 돌기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 링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간격 링과 절삭 링 사이로 공기가 통하도록 틈새를 확보하기 위하여 에어 링을 끼워 넣는다. 에어 링은 일정한 두께의 링 형상이고, 절삭 링과 간격 링 사이에 배치되고, 외경이 간격 링의 내주면 보다 작고,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 연결 돌기가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현미 가공 회전체가 장착된 구동축은 호퍼를 통해 공급된 쌀알을 배출구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해, 호퍼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축의 경사 각도를 5°내지 30°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링 조립체는 쌀알의 압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유도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날은 복수의 절삭 링의 외주면에 구동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각도로 나선형으로 경사지도록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유도날의 고정시에 경사 각도를 0°내지 45°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미 가공 회전체는, 도정 공정에서 중공의 지지축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쌀알을 냉각시키도록 지지축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축은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지지축의 공기 공급 구멍과 연통되도록 구동축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 구멍을 구비한다. 또한, 지지축의 공기 공급 구멍을 통하여 공급된 공기가 간격 링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간격 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이 개방된 절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호퍼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 구동축에 현미 가공 회전체가 설치되기 때문에 백미는 배출구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흘러내려 정백실 내부에 잔량이 남지 않아 회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백미는 배출구 방향으로 흘러내리면서 압송하기 때문에 마력이 작은 구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절삭 링이 채널 형상의 절삭 통로가 형성되어 현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쌀겨층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삭 링과 절삭 링 사이의 쌀이 이동하는 절삭 통로는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정되는 쌀알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절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절삭 링과 간격 링 사이로 많은 공기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쌀알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절삭된 쌀겨를 완전히 배출시켜서 잔류미강이 쌀알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고, 쌀알을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도정된 쌀알의 변질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정된 쌀의 표면이 깨끗한 무세미를 생산할 수 있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현미 가공 회전체에 유도날을 구비하고 있어서, 도정시에 쌀알을 효과적으로 압송할 수 있어서 정미기의 고속 운전이 가능하고, 도정의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정시 쌀알의 손상이 적어서 도정시 운전 조건에 따라서 92 % 이상의 현백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미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미 가공 회전체에 설치된 스크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현미 가공 회전체에 설치된 절삭 링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삭 링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절삭 링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간격 링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써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절삭 링 조립체에서 쌀알이 절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 링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는 에어 링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절삭 링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절삭 링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절삭 링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간격 링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B-B선 단면도로써 도 1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절삭 링 조립체에서 쌀알이 절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링 형상을 갖는 절삭 링, 간격 링 및 에어 링의 설명에서, 쌀알의 이송 방향에서 볼 경우 일 측면은 링의 전면이고 타 측면은 링의 후면이며 일 측면과 타 측면이 연결된 외측면을 링의 외주면이라 하고 내측면을 링의 내주면이라고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미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미기(100)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정백실(111)은 본체(110) 상부에 구비한다. 호퍼(112)는 정백실(111)의 일단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호퍼(112)를 통해 공급된 현미는 현미 가공 회전체(160)로 이송된다. 백미 배출구(113)는 정백실(111)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현미 가공 회전체(160)에 의해 도정된 쌀알을 외부로 배출한다. 미강 배출구(114)는 현미 가공 회전체(160)의 하부에 설치되고, 현미가 백미로 도정될 때 쌀알에서 제거된 쌀겨인 미강을 외부로 배출한다.
구동축(120)은 호퍼(112)에서 백미 배출구(113)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정백실(111)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동풀리(121)는 구동축(120)의 일단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축(120)에는 호퍼(112)를 통해 공급된 쌀알의 쌀겨를 제거하면서 백미 배출구(113) 방향으로 압착 이송하는 현미 가공 회전체(160)가 설치된다. 구동축(120)의 양단은 제1 베어링(115)과 제2 베어링(11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분도 조절기(117)는 정백실(111)의 타단에 설치되고, 정백실(111) 내에서 현미 가공 회전체에 의해 도정된 백미가 분도 조절기의 판을 밀고 백미 배출구(113)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현미 가공 회전체는, 호퍼(112)를 통해 공급된 쌀알을 백미 배출구(113)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해, 호퍼(112)에서 백미 배출구(113)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축(120)의 경사 각도(a°)는 대략 15°정도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축(120)의 경사 각은 길이나 도정 정도나 수율에 따라서 경사 각도를 5°~ 30°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구동모터(130)는 본체(110)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모터(130)의 축에 구동풀리(미되시 됨)가 설치된다. 벨트(140)는 구동축(120)의 종동풀리(121)와 구동모터(130)의 구동풀리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20)가 작동하면 벨트(140)가 회전하고, 벨트(140)의 회전력에 의해 종동풀리(121)가 회전된다. 종동풀리(121)의 회전력은 구동축(120)에 전달되어 현미 가공 회전체(160)를 회전시킨다. 스크린(150)은 현미 가공 회전체(160)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도정시 제거된 쌀겨를 외부로 배출한다. 현미 가공 회전체(160)는 스크류(170)와 절삭 링 조립체(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미 가공 회전체는 절삭 링 조립체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롤러 조립체, 연마 조립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축(120)이 벨트(140)와 연결된 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하면 호퍼(112)로 공급된 현미는 현미 가공 회전체(160)인 스크류(170)에 의해서 절삭 링 조립체(180)를 향하여 압송된다. 스크류(170)는 구동축(120)에 장착되기 위하여 중심이 관통된 축 구멍(17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날개(172)가 설치된다. 또한, 축 구멍(171)에서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173)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류(120)에 의해 압송된 현미는 구동축(120)과 함께 회전하는 절삭 링 조립체(180)의 인접하는 절삭 통로(12)를 계속하여 통과하면서 백미 배출구(113)를 향하여 압송된다. 절삭 통로(12)를 통과하는 쌀알은 절삭 통로(12)의 바닥면(12a)과 바닥면(12a)의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12b)의 모서리와 접촉하면서 통과하여 현미의 쌀겨가 절삭되어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미기(100)는 종동풀리(121)와 인접한 본체(110)의 외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구멍(118)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 공급 구멍(118)으로 공급된 공기는 현미 가공 회전체(160)인 스크류(170)에 형성된 관통 구멍(173)을 지나 절삭 링 조립체(180)에 설치된 각각의 링에 형성된 공기 통로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다량의 공기는 절삭된 쌀겨인 미강을 스크린(150)의 외부로 배출시켜 미강이 쌀알에 달라붙어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절삭 링 조립체(180)에 설치된 절삭 링과 간격 링의 마찰에 의하여 온도가 높아진 쌀알을 냉각시킨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현미 가공 회전체에 설치된 절삭 링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삭 링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현미 가공 회전체(160)에 설치된 절삭 링 조립체(180)는 지지축(30)에 교대로 끼워져서 조립된 복수의 절삭 링(10) 및 복수의 간격 링(20)과, 양단에 각각 설치된 보조 절삭 링(40)과 복수의 절삭 링(10)의 외주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홈에 결합된 복수의 유도날(50)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지지축(30)은 고정축(1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중공축(31)이 형성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키홈(32, 3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은 외측 키홈(32)이고, 복수의 절삭 링(10)의 키홈 결합 돌기(14)와 간격 링(20)의 키홈 결합 돌기(24)가 순차로 끼워져서 결합된다.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은 내측 키홈(33)이고, 지지축(30)의 중공(31)으로 삽입된 구동축(12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키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측 키홈(32)은 90°등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 링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절삭 링(10)은 지지축 끼움 구멍(11)이 중심에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이다. 절삭 통로(12)는 전면과 후면이 서로 연결된 채널 형상으로써, 채널은 바닥면(12a)과 바닥면(12a)의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12b)을 포함한다. 절삭 통로(12)는 링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등 간격이 아닐 수도 있다. 쌀알은 절삭 통로(12)를 통과할 때 채널의 바닥면(12a)의 에지(모서리), 측면(12b)의 에지(모서리)와 접촉하여 쌀겨가 절삭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절삭 링(10)은 쌀알이 채널의 바닥면(12a)과 한 쌍의 측면(12b)이 만나는 부분을 통과할 때 바닥면(12a)의 모서리와 양 측면(12b)의 모서리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절삭되어 절삭효과가 우수하다(도 8 참조).
그리고, 채널 형상의 절삭 통로(12)는 바닥면(12a)은 절삭 링(10)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면이고, 양 측면(12b)은 바닥면(12a)과 90°이상의 각도로 만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절삭 통로(12)를 통과하는 대략 럭비공 형상인 쌀알이 절삭 통로(12)의 구석에 끼이지 않게 되어 절삭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외주면과 스크린(15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쌀알이 외주면의 모서리에 접촉하여 쌀겨가 효과적으로 절삭되도록 절삭 통로(12)와 절삭 통로(12) 사이의 링의 외주면도 바닥면(12a)과 같이 절삭 링(10)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13)는 절삭 링(10)의 내주면에서 지지축 끼움 구멍(11)까지 연장되고, 절삭 링(1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삭 링(10)의 중심 축선을 향하여 내측으로 4개가 연장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지지부(13)의 단부에는 지지축(30)에 형성된 외측 키홈(32)에 끼워지기 위한 키홈 연결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키홈 연결 돌기(14)는 각각의 지지부(13)의 단부에 모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지지부(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통로(15)는 지지축(30)과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본체(110)에 형성된 공기 공급 통로(118)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된다.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절삭 링과 함께 절삭 링 조립체의 구성에 사용될 수 있는 간격 링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간격 링(20)은 지지축 끼움 구멍(21)이 중심에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이다. 공기 통로 채널(22)은 링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통하도록 링의 일 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절삭 링 조립체(180)에 조립된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지지부(23)는 지지축 끼움 구멍(21)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간격 링(20)의 중심 축선을 향하여 내측으로 4개 연장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축(30)에 형성된 외측 키홈(32)에 끼워지기 위한 키홈 연결 돌기(24)가 각각의 지지부(2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지지부(23)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통로(25)는 지지축(30)과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본체(110)에 형성된 공기 공급 통로(118)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절삭 링(40)은 절삭 링 조립체(180)의 양 단에 마무리할 때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보조 절삭 링(40)이 설치되지 않고 절삭 링(30)만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절삭 링(40)은 내주면에 지지축(30)에 고정되도록 키홈이 형성된 지지축 끼움 구멍(41)이 중심에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이다. 절삭 통로(42)는 전면과 후면이 서로 연결된 채널 형상으로써, 절삭 링(10)의 절삭 통로(12)와 동일한 구조이고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공기 통로(43)는 지지축 끼움 구멍(4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한다. 따라서 본체(110)에 구비한 공기 공급 구멍(118)으로 유입된 공기는 스크류(170)의 관통 구멍(173)을 통과한 후 보조 절삭 링(40)의 공기 통로(33)를 지나 절삭 링(10)과 간격 링(20)의 공기 통로(15, 25)로 공급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절삭 링(10)과 절삭 링(10)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 링은 일 실시예의 간격 링(20)에 형성된 공기 통로 채널(22)이 형성되지 않은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기 통로 채널(22)를 구비하지 않은 간격 링을 사용할 경우 에어 링(60)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 링(60)은 간격 링과 절삭 링 사이로 공기가 통하도록 틈새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다.
에어 링(60)은, 지지축 끼움 구멍(61)이 중심에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이다. 키홈 연결 돌기(62)는 지지축 끼움 구멍(61)의 내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복수개 연장된다. 각각의 키홈 연결 돌기(62)는 지지축(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외측 키홈(32)에 끼워져 결합된다. 외측 돌기(63)는 링의 외주면에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외측 돌기(63)는 간격 링의 지지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에어 링(60)의 외경은 간격 링의 지지축 끼움 구멍의 내주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링(60)을 포함하는 절삭 링 조립체에서 절삭 링의 공기 통로로 공급되는 공기는 에어 링(60)에 의해서 절삭 링과 간격 링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배출되어, 절삭된 쌀겨를 스크린의 외부로 배출시켜서 미강이 도정된 쌀알에 달라붙어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절삭 링 조립체에 설치된 절삭 링 및 간격 링의 마찰에 의하여 온도가 높아진 쌀알을 냉각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스크류(170)와 절삭 링 조립체(180)가 장착된 현미 가공 회전체(160)는 대규모 정미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대규모 정미기에 사용되는 절삭 링 조립체(180)는 고정축(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대규모 정미기에 사용되는 현미 가공 회전체(160)의 조립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스크류(170)의 날개(172)가 호퍼(1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고정축(120)에 밀어 넣는다. 다음으로, 절삭 링 조립체(180)를 고정축(120)에 설치한다. 이때 절삭 링 조립체(180)는 고정축(120)의 길이에 맞춰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절삭 링 조립체(180)의 조립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보조 절삭 링(40)을 지지축(30)의 단부까지 밀어 넣는다. 지지축(30)에 절삭 링(10)을 끼우고 보조 절삭 링(30)의 단부까지 밀어 넣는다. 이때, 절삭 링(10)의 지지축 끼움 구멍(11)에 형성된 각각의 키홈 연결 돌기(15)는 지지축(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외측 키홈(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절삭 링(10)의 키홈 연결 돌기(14)는 지지축(30)에 형성된 외측 키홈(32)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절삭 링(10)이 회전되거나 뒤틀리지 않고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절삭 링(10)의 지지부(13)는 지지축(3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설치된다.
다음으로, 지지축(30)에 간격 링(20)을 끼우고 먼저 끼워진 절삭 링(10)까지 밀어 넣는다. 이때, 간격 링(20)의 지지축 끼움 구멍(21)에 형성된 각각의 키홈 연결 돌기(24)는 지지축(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외측 키홈(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간격 링(20)의 키홈 연결 돌기(24)는 지지축(30)에 형성된 외측 키홈(32)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간격 링(20)이 회전되거나 뒤틀리지 않고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 링(20)의 지지부(23)는 지지축(3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설치된다.
다음으로, 다른 절삭 링(10)을 끼워진 간격 링(20)까지 밀어 넣은 후 새로운 간격 링(20)을 먼저 끼워진 절삭 링(10)까지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절삭 링(10) 사이에 복수의 간격 링(20)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절삭 링(10)과 간격 링(20)을 지지축(30)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복수의 절삭 링(10)과 간격 링(20)이 지지축(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축(300)의 말단에 보조 절삭 링(40)을 조립한다.
일 실시예의 절삭 링 조립체(180)는, 복수의 절삭 링(10)과 복수의 간격 링(20) 및 보조 절삭 링(40)을 지지축(30)에 각각 교대로 끼워져서 조립한 후 고정축(12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로 조립된 절삭 링 조립체(180)를 사용할 경우 절삭 링 조립체(180)가 손상되면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 고정축(120)에 복수의 절삭 링(10)과 복수의 간격 링(20) 및 보조 절삭 링(40)을 분리되지 않도록 교대로 끼워져서 조립할 수도 있다. 이때 고정축(120)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키홈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절삭 링(10)과 복수의 간격 링(20)이 순차적으로 조립된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로 나선형으로 경사진 복수의 유도날(50)을 설치한다. 유도날(50)을 설치하기 전에, 절삭 링 조립체(180)의 외주면에 유도날(50)을 삽입하기 위한 홈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유도날(50)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도날(50)은 길이가 긴 강철 부재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으로 삽입이 적당한 형태로 형성하여, 길이 방향으로 절삭 링(10)과 절삭 링(10) 사이와 간격 링(20) 상부의 공간을 막을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유도날(50)은 절삭 날 조립체(180)가 회전할 때, 간격 링(20) 상부에 위치하는 쌀알이 지지축(30)의 회전 방향으로 쌀알이 이동하도록 하여 쌀알이 혼합되면서 배출구로 압송되도록 한다. 각각의 유도날(50)의 경사 각도(b°)는 대략 15°정도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도날(50)의 경사 각은 절삭 링 조립체(180)의 길이나 도정 정도나 수율에 따라서 유도날(50)의 경사 각도를 0°~ 45°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절삭 링 조립체(180)는, 쌀알이 도정되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서 공기 배출량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간격 링(20)의 두께나 공기 통로 채널(2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격 링(20)의 두께나 공기 통로 채널(22)의 크기를 쌀알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작게 하여 쌀알이 이송되는 방향에 따라서 공기 공급량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도정이 진행됨에 따라서 절삭에 의해서 발생하는 쌀겨 양이 감소하므로 공기 공급량을 줄여도 냉각이나 쌀겨의 배출이 가능하여, 공기 공급량을 줄여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절삭 링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절삭 링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정미기(200)는,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정미기(100)와 비교하여 다른 실시예의 절삭 링 조립체에 중공의 실린더 형상의 구동축(220)이 설치되고, 구동축(220)의 길이 방향으로 공기 공급 구멍(미도시 됨)이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미기는 소형 정미기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정미기(200)는 본체 상부에 정백실(211)을 구비한다. 호퍼(212)는 정백실(211)의 일단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호퍼(212)를 통해 공급된 현미는 현미 가공 회전체(260)로 이송된다. 백미 배출구(213)는 정백실(211)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현미 가공 회전체(260)에 의해 도정된 쌀알을 외부로 배출한다. 미강 배출구(214)는 현미 가공 회전체(260)의 하부에 설치되고, 현미가 백미로 도정될 때 쌀알에서 제거된 쌀겨인 미강을 외부로 배출한다.
구동축(220)은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호퍼(212)에서 백미 배출구(213)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정백실(211)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축(220)의 중공은 현미 가공 회전체(26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구멍(218)을 사용된다. 종동풀리(221)는 구동축(220)의 일단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축(220)에는 호퍼(212)를 통해 공급된 쌀알의 쌀겨를 제거하면서 백미 배출구(213) 방향으로 압착 이송하는 현미 가공 회전체(260)가 설치된다. 구동축(220)은 종동풀리(221)가 설치된 구동축(220)의 양단에 제1 베어링(215)과 제2 베어링(21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분도 조절기(217)는 정백실(211)의 타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절삭 링 조립체(280)는, 호퍼(212)를 통해 공급된 쌀알을 백미 배출구(213)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해, 호퍼(212)에서 백미 배출구(213)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축(220)의 경사 각도 대략 15°정도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축(220)의 경사 각은 길이나 도정 정도나 수율에 따라서 경사 각도를 5°~ 30°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는 본체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축에 구동풀리가 설치된다. 벨트는 구동축(220)의 종동풀리(221)와 구동모터의 구동풀리에 각각 연결된다. 스크린(250)은 현미 가공 회전체(260)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도정시 제거된 쌀겨를 외부로 배출한다. 현미 가공 회전체(260)는 스크류(270)와 절삭 링 조립체(280)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절삭 링 조립체(280)는, 지지축(90)에 교대로 끼워져서 조립된 복수의 절삭 링(70) 및 복수의 간격 링(80)과, 절삭 링(70) 및 간격 링(80)을 지지축(9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97)와, 복수의 절삭 링 조립체의 외주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홈에 결합된 두 개의 유도날(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유도날(50)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유도날을 설치하거나 세 개의 유도날을 설치할 수도 있다. 유도날(50)은 절삭 날 조립체(280)가 회전할 때, 간격 링(80) 상부에 위치하는 쌀알이 지지축(90)의 회전 방향으로 쌀알이 이동하도록 하여 쌀알이 혼합되면서 배출구로 압송되도록 한다. 각각의 유도날(50)의 경사 각도는 대략 15°정도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도날(50)의 경사 각은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280)의 길이나 도정 정도나 수율에 따라서 유도날(50)의 경사 각도를 0°~ 45°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축(90)은, 중공(91)의 실린더 형상이고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키홈(92, 9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90)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92)은 외측 키홈(92)이고, 복수의 절삭 링(70)의 키홈 결합 돌기(74)와 간격 링(80)의 키홈 결합 돌기(84)가 순차로 끼워져서 결합된다.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93)은 내측 키홈(93)이고, 지지축(90) 중공으로 삽입된 구동축(22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키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측 키홈(92)은 90°등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축(90)에는 공기 공급 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공급 구멍(94)은 중공(91)과 연통되도록 지지축(9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 형성된다. 중공(91)으로 공급된 외부의 공기는 공기 공급 구멍(94)과 간격 링(80)의 절결부(82)를 통하여 절삭 링 조립체(280)의 반경 방향 외부로 배출된다. 복수의 간격 링(80)은 조립시에 절결부(82)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씩 어끗나도록 배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골고루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지지축(90)의 일단에는 삽입된 절삭 링(70)과 간격 링(8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95)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외주면에 나사(96)가 형성되어 있어서 내주면에 나사(98)가 형성된 체결부재(97)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축(90)의 양단에 나사를 형성하고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간격 링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절삭 링(70)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절삭 링(10)과 비교하여 복수의 지지부(73)가 중심을 향하여 짧게 연장되고, 지지축(90)의 외주면과 절삭 링(70)의 내주면 사이의 좁은 공간의 공기 통로(75)를 확보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른 실시예의 절삭 링(70)은 지지축 끼움 구멍(71)이 중심에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이다. 절삭 통로(72)는 전면과 후면이 서로 연결된 채널 형상으로써, 채널은 바닥면(72a)과 바닥면(72a)의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72b)을 포함한다. 절삭 통로(72)는 링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등 간격이 아닐 수도 있다. 쌀알은 절삭 통로(72)를 통과할 때 채널의 바닥면(72a)의 에지(모서리), 측면(72b)의 에지(모서리)와 접촉하여 쌀겨가 절삭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절삭 링(70)은 쌀알이 채널의 바닥면(72a)과 한 쌍의 측면(72b)이 만나는 부분을 통과할 때 바닥면(72a)의 모서리와 양 측면(72b)의 모서리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절삭되어 절삭효과가 우수하다(도 15 참조).
그리고, 채널 형상의 절삭 통로(72)는 바닥면(72a)은 절삭 링(70)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면이고, 양 측면(72b)은 바닥면(72a)과 90°이상의 각도로 만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절삭 통로(72)를 통과하는 대략 럭비공 형상인 쌀알이 절삭 통로(72)의 구석에 끼이지 않게 되어 절삭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외주면과 스크린(25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쌀알이 외주면의 모서리에 접촉하여 쌀겨가 효과적으로 절삭되도록 절삭 통로(72)와 절삭 통로(72) 사이의 링의 외주면도 바닥면(72a)과 같이 절삭 링(70)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73)는 절삭 링(70)의 내주면에서 지지축 끼움 구멍(71)까지 짧게 연장되고, 절삭 링(7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삭 링(70)의 중심 축선을 향하여 내측으로 4개가 연장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지지부(73)의 단부에는 지지축(90)에 형성된 외측 키홈(92)에 끼워지기 위한 키홈 연결돌기(7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키홈 연결 돌기(74)는 각각의 지지부(73)의 단부에 모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지지부(7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는 도 10의 B-B선 단면도로써 도 1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절삭 링 조립체에서 쌀알이 절삭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 링(80)은,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간격 링(20)과 비교하여 복수의 지지부(23)가 중심을 향하여 짧게 연장되어 공기 통로(85)와, 공기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내주면과 외주면이 개방된 절결부(82)를 확보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간격 링(80)은 지지축 끼움 구멍(81)이 중심에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이다. 절결부(82)는 링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통하도록 개방된 부분으로 절삭 링 조립체(280)에 조립된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지지부(83)는 지지축 끼움 구멍(81)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간격 링(80)의 중심 축선을 향하여 내측으로 4개 연장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축(90)에 형성된 외측 키홈(92)에 끼워지기 위한 키홈 연결 돌기(84)가 각각의 지지부(8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지지부(83)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정미기 110 : 본체
111 : 정백실 112 : 호퍼
113 : 백미 배출구 114 : 미강 배출구
115, 116 : 베어링 117 : 분도 조절기
118 : 공기 공급 구멍
120 : 구동축 121 : 종동풀리
130 : 구동모터 140 : 벨트
150 : 스크린 160 : 현미 가공 회전체
170 : 스크류 180 : 절삭 링 조립체

Claims (15)

  1. 일단에 쌀알이 공급되는 호퍼를 구비하고 타단에 쌀알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호퍼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고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된 쌀알의 쌀겨를 제거하면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압착 이송하는 현미 가공 회전체와,
    상기 현미 가공 회전체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거된 쌀겨만을 분리하는 스크린과,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말단과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현미 가공 회전체 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공기 공급 구멍이 형성된 정미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 가공 회전체는,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기 위하여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날개가 설치되고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이웃하게 설치되도록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키홈이 각각 형성된 지지축과,
    일정한 두께의 링 형상이고, 외주면에 쌀알이 통과되면서 쌀겨가 절삭되도록 링의 양 측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삭 통로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 연결 돌기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에 끼워져서 결합된 복수의 절삭 링과,
    일정한 두께의 링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절삭 링 사이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 연결 돌기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에 끼워져서 결합된 복수의 간격 링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 통로는 링의 양 측면으로 연장되는 채널 형상이고,
    상기 채널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하는 정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절삭 링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이고,
    상기 양 측면은 상기 바닥면과 90°이상의 각도로 만나도록 구성된 정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웃하는 절삭 통로 사이의 외주면은 상기 절삭 링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형성된 정미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링과 상기 간격 링은, 상기 지지축과 내주면 사이에 공기 통로를 확보하도록 링을 지지하고,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중심 축선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키홈 연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공기 공급 구멍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통로로 공급되는 정미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삭 링 중 적어도 하나의 최외측 단부에 설치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의 링 형상이고, 외주면에 쌀알이 통과되면서 쌀겨가 절삭되도록 링의 양 측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절삭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절삭 링의 공기 통로와 연통되도록 공기 통로가 형성된 보조 절삭 링을 더 포함하는 정미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링의 일 측면에 외주면과 내주면이 연통하는 공기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 링의 일 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공기 통로 채널을 포함하는 정미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링은 외주면과 내주면이 연통하는 공기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링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개방된 절결부를 포함하는 정미기.
  10. 제6항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의 링 형상이고,
    상기 절삭 링과 간격 링 사이에 배치되고, 외경이 상기 간격 링의 내주면 보다 작고,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 연결 돌기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에 끼워져서 결합된 복수의 에어 링을 포함하는 정미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경사 각도가 5°내지 30° 범위인 정미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삭 링의 외주면에 상기 지지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각도로 나선형으로 경사지도록 삽입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유도날을 더 포함하는 정미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날의 경사 각도가 0°내지 45° 범위인 정미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링과 상기 간격 링 사이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틈새가 형성된 정미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공급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구동축의 공기 공급 구멍과 연통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공급 구멍이 형성된 정미기.
KR20130028655A 2013-03-18 2013-03-18 정미기 KR10148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655A KR101483762B1 (ko) 2013-03-18 2013-03-18 정미기
PCT/KR2014/002208 WO2014148779A1 (ko) 2013-03-18 2014-03-17 정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655A KR101483762B1 (ko) 2013-03-18 2013-03-18 정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164A KR20140114164A (ko) 2014-09-26
KR101483762B1 true KR101483762B1 (ko) 2015-01-16

Family

ID=5158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8655A KR101483762B1 (ko) 2013-03-18 2013-03-18 정미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3762B1 (ko)
WO (1) WO20141487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680B1 (ko) * 2018-12-31 2019-04-11 홍영표 정미기의 분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2440B (zh) * 2017-02-20 2022-08-05 福州天兵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留胚碾米机米刀组
CN107519970B (zh) * 2017-09-27 2019-07-16 安徽省中日农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两级砂辊碾米机
CN108525729B (zh) * 2018-04-10 2019-10-01 湖南文理学院 一种砂辊碾米米糠分离筛选设备
CN114761133B (zh) * 2020-05-04 2023-09-01 森王技术有限公司 切削式精米机
KR102155251B1 (ko) *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CN112844529A (zh) * 2020-12-29 2021-05-28 福建泉州市金穗米业有限公司 一种具有控制大米输送量功能的大米加工用去壳抛光机及其抛光方法
CN112892638A (zh) * 2021-01-18 2021-06-04 林艳烽 一种谷类加工用防溅型砂辊碾米机
KR102452444B1 (ko) * 2022-05-18 2022-10-07 주식회사 세농테크 절삭식 정미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675B1 (ko) 2006-02-20 2007-01-04 최우혁 겨 절삭형 정미기
JP3904974B2 (ja) * 2002-05-29 2007-04-11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家庭用精米機
KR100718326B1 (ko) * 2005-06-13 2007-05-15 유성길 정미용 절삭 롤 및 이를 이용한 정미 장치
JP2007275791A (ja) * 2006-04-07 2007-10-25 Makoto Iko 精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55Y1 (ko) * 2000-10-06 2001-03-15 최종진 외기를 이용한 정미기의 가공부 냉각구조
JP3129316U (ja) * 2006-12-01 2007-02-15 吉田総合技研株式会社 精米装置
JP5694680B2 (ja) * 2010-04-16 2015-04-01 福岡精米機器株式会社 精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4974B2 (ja) * 2002-05-29 2007-04-11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家庭用精米機
KR100718326B1 (ko) * 2005-06-13 2007-05-15 유성길 정미용 절삭 롤 및 이를 이용한 정미 장치
KR100664675B1 (ko) 2006-02-20 2007-01-04 최우혁 겨 절삭형 정미기
JP2007275791A (ja) * 2006-04-07 2007-10-25 Makoto Iko 精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680B1 (ko) * 2018-12-31 2019-04-11 홍영표 정미기의 분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164A (ko) 2014-09-26
WO2014148779A1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762B1 (ko) 정미기
KR101596908B1 (ko)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KR101342998B1 (ko) 절삭 링 및 이를 구비한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CN107744846B (zh) 一种精细加工的稻谷脱壳设备
CN107694658B (zh) 一种稻谷剥壳分离一体机
KR20130056399A (ko) 2단 도정방식의 쌀 도정기
KR20060129817A (ko) 정미용 절삭 롤 및 이를 이용한 정미 장치
KR101102507B1 (ko) 세라믹 정미기의 로터 연삭장치
US4667888A (en) Apparatus for milling cereals
CN107855153B (zh) 一种高效稻谷脱壳装置
KR20130058549A (ko) 곡물탈피기
KR20090015353A (ko) 가정용 도정기
CZ224199A3 (cs) Nožová drtička k drcení plastu
JPH09173876A (ja) 精穀ロール及び精穀機
US8893996B1 (en) Mill
CN202909762U (zh) 原粮脱皮机
CN112642512B (zh) 新型碾米机
KR102587357B1 (ko) 절삭형 건식 세미기
CN111642250B (zh) 一种玉米脱粒滚筒
CN218654601U (zh) 一种锥形碾米砂辊
KR101631119B1 (ko) 정미 및 정맥 겸용 도정기
RU20532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масличных культур
KR101676856B1 (ko) 정미기
CN202212224U (zh) 一种锤式破碎机
CN209613138U (zh) 双转子砂磨机离心转子及其砂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