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594B1 -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 Google Patents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594B1
KR102090594B1 KR1020190146048A KR20190146048A KR102090594B1 KR 102090594 B1 KR102090594 B1 KR 102090594B1 KR 1020190146048 A KR1020190146048 A KR 1020190146048A KR 20190146048 A KR20190146048 A KR 20190146048A KR 102090594 B1 KR102090594 B1 KR 10209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disposed
shaft
r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춘
Original Assignee
청년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년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청년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는, 벼 이송부, 제1도정케이스, 제1도정축 및 압력조정부를 포함하는 제1도정부와, 쌀 이송부, 제2도정케이스, 제2도정축 및 분도조정부를 포함하는 제2도정부와, 제2도정부로부터 배출된 쌀에서 미강을 분리하는 미강분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A POLISHING BY POUNDING APPARATUS CAPABLE OF POLISHING DEGREE CONTROL}
본 실시예는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정(搗精, milling)의 사전적 의미는 '벼의 껍질과 미강층을 벗겨내는 것'으로 '원료나 재료에 손을 더 대어 새로운 물건을 만드는 일' 이라는 가공(加工, processing)과 같은 의미이며, 미강층을 벗겨내는 정백(또는 정미) 공정과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정백(精白, rice whitening) 또는 정미(精米)란 현미의 미강층을 제거 하여 백미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현미는 수확한 벼를 건조, 탈곡한 후 롤러로 된 기계로 왕겨를 벗긴 쌀로서, 배아가 있는 쪽을 배라고 하고, 그 반대쪽을 등이라고 한다. 또한, 배아가 있는 주위를 기부, 반대쪽을 머리부라 하며, 표면의 기부에서 머리부까지 미세한 홈을 골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현미의 단면은 표면부터 과피, 종피로 구성된 외강층과 외배유, 호분층으로 구성된 내강층 및 내배유(전분층)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외강층과 내강층를 총칭하여 미강층(米糠層) 또는 강층이라고 한다.
그리고 현미는 도정과정에서 미강층이 제거되고 전분층만 남은 백미로 도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측면, 등 및 배에서 우선적으로 도정이 진행되고 이후 배아와 골에서 도정이 진행된다.
현미에서 미강의 제거정도를 나타내는 도정도(milling degree)는 쌀의 외관품위, 식미 및 도정수율에 대단히 큰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도정장치는 하나의 도정유닛만을 사용하는 것인데 쌀 껍질을 제거하고 동시에 쌀을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는 것이 하나의 도정유닛에 의해 수행되었다.
본 발명은 1차적으로 쌀 껍질을 제거하고 그 다음에 2차적으로 쌀을 원하는 분도로 도정할 수 있는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는, 벼 투입부와 연결되어 벼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가 배치되는 벼 이송부와, 상기 벼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벼를 수용하고 쌀겨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1 도정케이스와, 상기 이송스크류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도정케이스에 수용된 벼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가 형성된 제1 도정축과,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내부의 쌀을 눌러주는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정부와 상기 제1 도정케 이스의 사이의 틈새로 상기 쌀을 배출하는 제1 도정부; 상기 제1 도정부에서 배출되는 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안내부; 상기 제1도정축과 상기 이송스크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 내 배치된 벼를 상기 제1도정축으로 이송시키는 벼 이송부; 상기 제1도정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쌀을 이송하는 쌀 이송부와, 상기 쌀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쌀을 수용하고 쌀겨가 배 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2 도정케이스와, 상기 쌀 이송부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2 도정케이스에 수용된 쌀을 회전시키는 제2 도정축과,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내부의 쌀을 눌러주는 압력을 제어하는 분도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도조정부와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사이의 틈새로 상기 쌀을 배출시키는 제2 도정부; 상기 분도조절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도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모으는 쌀배출부와, 상기 제2 도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에 섞인 잔겨를 바람으로 날려서 분리하는 송풍팬을 구비한 미강분리부; 및 상기 제1도정축 및 상기 제2도정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벼 투입부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스크류의 단면적은 상기 제1도정축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벼 이송부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면에 배치되는 수평부; 및 일단이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는, 상기 제1도정축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도정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회전날개; 및 상기 제1회전날개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도정축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도정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회전날개와 상기 벼 이송부는 한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날개의 단면적은 상기 제2회전날개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도정축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회전날개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도정축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날개의 돌출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날개와 상기 제2회전날개는 각각 회전되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도정케이스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는 복수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날개의 내면은, 상기 제1도정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수직면; 및 상기 제1도정축의 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도정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면에는 다수의 홈을 포함하는 패턴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내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공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1도정축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도정축은, 외주면에 키홈이 형성된 지지축;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외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쌀알이 통과되면서 쌀겨가 절삭되도록 복수의 절삭 통로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상기 키홈에 결합되는 제1키홈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링;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외면에 상기 제1링과 교번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상기 키홈에 결합되는 제2키홈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2링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 통로는 채널 형상이고, 상기 채널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제1링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이고, 상기 제1링의 단면적은 상기 제2링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링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키홈 연결 돌기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2링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키홈 연결 돌기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정축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1도정축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형성되고, 상기 미강분리부는 상기 제2도정부와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2도정부 내에서 상호 낙차를 두고 층층히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안내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안내플레이트를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안내플레이트는, 상기 제2도정부 내 배치되는 제1안내플레이트; 상기 제1안내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안내플레이트; 및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2도정부 내 배치되는 제3안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는 상기 송풍팬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오버랩(overlab)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안내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3안내플레이트의 경사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플레이트와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는 메쉬(mesh) 망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제1도정부에서 먼저 벼의 껍질을 벗겨내어 현미를 만들어 내고 그 다음에 제2도정부에서 현미를 분도조정하여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게되므로, 원하는 분도로 정밀하게 쌀을 도정할 수 있고 쌀을 도정하는 과정에서 쌀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잇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장치 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케이스와 도정축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도정축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링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링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도정축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강분리부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 검사 시스템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장치 내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케이스와 도정축의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장치는, 벼 이송부(1), 제1도정케이스(21), 제1도정축(22) 및 압력조정부(3)를 포함하는 제1도정부(100)와, 쌀 이송부(605), 제2도정케이스(602), 제2도정축(603) 및 분도조정부(604)를 포함하는 제2도정부(600)와, 제2도정부(600)로부터 배출된 쌀에서 미강을 분리하는 미강분리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정장치의 외면 상에는 온/오프 스위치, 표시화면 등이 구비된 제어판(620)과, 분도조정레버(611)과, 쌀 투입부 덮개(614)와, 쌀 배출통(612)과, 쌀겨배출통(61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정장치의 몸체는,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601)는 상기 상부몸체(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5)와 상기 하부몸체(601)는 안내부(6)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5)에는 벼 이송부(1), 제1도정케이스(21), 제1도정축(22) 및 압력조정부(3)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몸체(601)에는 쌀 이송부(605), 제2도정케이스(602), 제2도정축(603) 및 분도조절부(60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5)에는 벼 이송부(1)의 이송스크류(12)가 위치하도록, 위로 개구된 스크류삽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삽입구(111)의 상방으로 개구된 영역에는 벼 투입부(1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삽입구(111)의 옆에는 제1도정케이스(21)가 배치되며, 상기 제1도정케이스(21)의 옆에는 압력조정부(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도정케이스(21)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스크류 삽입구(111)와 상기 압력조정부(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정케이스(21)가 배치된 영역은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정케이스(21)로부터 배출되는 쌀 껍질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도정케이스(21)와 상기 제2도정케이스(602)는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호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정부(3)가 배치되는 영역은 안내부(6)에 의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몸체(601)의 쌀 이송부(60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601)는 쌀 이송부(605), 제2도정케이스(602), 제2도정축(603) 및 분도조정부(604)가 배치되는 점이 상기 상부몸체(5) 내 구성과 유사하나, 상기 상부몸체(5)의 벼 투입부(13)에 대응하는 부분은 연결부의 하단에 이어진 부분으로 대체되고, 상기 분도조정부(604)의 하부에는 미강분리부(4)가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
상기 상부몸체(5)에 형성되는 벼 이송부(1)는 구동축이 형성된 이송스크류(12) 및 스크류삽입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2)는 일측으로 구동축(121)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121)의 단부에는 풀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121)은 축고정편(14)에 끼워져, 상기 이송스크류(12)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축(121)과 상기 축고정편(14) 사이, 상기 구동축(12)과 스크류삽입구(111) 사이에는 베어링(B1, B2)이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121) 및 상기 이송스크류(12)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2)는 상기 스크류삽입구(111)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121)의 회전 구동력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도정케이스(21)로 벼를 이송하기 위한 나선(1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벼 투입부(13)를 통해 전달된 벼는 상기 이송스크류(12)를 통해 상기 제1도정케이스(21)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벼 투입부(13)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13a)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벼 투입부(13)로 벼가 투입 시, 상기 제1영구자석(13a)에 의해 투입되는 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들이 1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상기 벼 투입부(13)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영구자석(13a)의 돌출 높이는, 상기 벼 투입부(13)의 반경 보다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정케이스(21)는, 대략 원통형으로, 외면 둘레에는 벼 껍질이 벗겨지면서 쌀겨가 배출되는 경사진 복수의 배출공(211)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몸체(5)에 끼워져 고정된다. 즉, 제1도정케이스(21)의 내부에 벼가 포화된 상태에서 회전날개(221a, 221b)가 벼를 회전시키면 벼와 제1 도정케이스(21)의 마찰력에 의해 벼 껍질이 벗겨지면서 배출공(211)으로 쌀겨가 배출된다. 여기서, 제1도정케이스(21)는 내부에 수용되는 벼가 포화된 상태에서 회전날개(221a, 221b)가 벼를 회전시킬 때, 벼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도정케이스(21)의 재질을 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벼가 회전날개(221a, 221b)와 제1 도정케이스(21) 사이에 낄 때, 제1도정케이스(21)가 늘어남 으로써, 벼를 부드럽게 통과시켜서 벼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제1도정축(22)은, 제1회전날개(221a)와, 제2회전날개(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날개(221a)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도정축(2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날개(221b) 또한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도정축(2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정축(22)과 상기 이송스크류(12) 사이에는 원통부와 경사부로 구비된 벼 대기부(18)의 양쪽에서 벼를 균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부(19a)와 수평부(19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9a)와 상기 수평부(19b)를 포함하는 벼 이송부(19)는, 일단이 상기 제2회전날개(221b)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스크류(12)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9b)는 상기 이송스크류(12)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부(19a)는 상기 제2회전날개(221b)와 상기 수평부(19b)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도정축(22)의 단면적은 상기 이송스크류(12)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9a)는 상기 이송스크류(12)와 상기 제1도정축(22)를 연결하는 경사면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벼 이송부(19)와 상기 제2회전날개(22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벼 이송부(19)와 상기 제2회전날개(221b)는 한몸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나선(12a)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12)로부터 벼가 상기 제1도정축(22)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수평부(19b)와 상기 경사부(19a)로 구성된 벼 이송부(19)가 회전하면서 벼를 일정량 균일한 속도로 상기 제1도정케이스(21)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벼 대기부(18)에서 벼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정축(22)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회전날개(221a)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도정축(22)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날개(221b)의 돌출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1회전날개(221a)의 단면적은 상기 제2회전날개(221b)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벼 이송부(19)가 형성된 상기 제2회전날개(221b)의 단면적을 상기 제1회전날개(221a)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하여, 이송 영역에서 상기 벼와의 마찰력을 보다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정축(22)은, 상기 이송스크류(12)의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 상기 제1도정축(22)의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회전날개(221a, 221b)가 배치되어 상기 제1도정케이스(21) 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221a, 221b)는 회전하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정축(22)의 회전 시, 상기 회전날개(221a, 221b)에 의해 벼 또는 쌀이 부서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정케이스(21)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날개(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212)는 복수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날개(212)와 상기 회전날개(221a, 221b)의 사이 영역을 상기 벼가 통과 시, 더욱 빠르고 용이하게 벼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벼가 제1도정케이스(21)에 포화된 상태에서 벼는, 벼와 제1도정케이스(21)의 마찰력과 벼끼리 비벼지는 마찰력 및 벼와 제1 도정축(22)의 마찰력에 의해 벼 껍질이 벗겨지는데, 제1도정케이스(21)와 회전날개(221a, 221b) 사이가 넓으면 껍질이 벗겨지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며, 벼 껍질이 제대로 벗겨지지 않아서 쌀의 분도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 제1도정케이스(21)의 내면에 4개의 고정날개(212)를 "X"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고, 제1도정케이스(21)와 회전날개(221) 사이에 벼가 통과할 정도의 좁은 영역을 형성하여, 벼가 고정날개(212)와 회전날개(221)를 통과하면서 벼 껍질이 벗겨지도록 함으로써, 벼의 껍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벗길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212)의 내면은 경사면(221a)과 수직면(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면(221b)은 상기 제1도정케이스(21)의 내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경사면(221a)은 상기 제1도정축(22)의 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도정케이스(21)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날개(212)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21a)에는 다수의 홈을 포함하는 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벼가 상기 경사면(221a)의 패턴에 접촉 시 보다 용이하게 껍질이 벗겨질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면(221a)은 상기 제1도정축(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날개(212)와 접촉되는 면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211)의 내면에는 경사면(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21a)은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공(211)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정축(22)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공(211)의 내주면을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분할 때, 상기 경사면(221a)은 상기 배출공(211)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벼로부터 벗겨진 껍질이 상기 배출공(211)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제1도정케이스(2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211)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정부(3)는 커버(31), 가압부(32) 및 조절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31)는 대략 원판의 후방에 스프링삽입부(31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정케이스(21)의 일단이 결합된 상부몸체(5)의 관통공(52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2)는, 일단의 안지름이 타단 보다 크게 관통 형성되어 상부몸체(5)에 설치되는 스프링수용부(321)와, 스프링수용부(3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수용부(321)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스프링가압편(322)과, 스프링삽입부(311)와 스프링가압편(322)에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23)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코일스프링(323)이 커버(31)를 밀어서 상부몸체(5)의 관통공(521)을 막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조절부(33)는, 조절노브(331)가 상부몸체(5)의 상부우측패널(55)에 끼워지고, 스프링가압편(322)을 삽입시켜 코일스프링(323)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끝단 면이 나선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조절편(332)이 조절노브(331)의 끝단에 설치되며, 조절편(332)의 끝단 면이 스프링가압편(322)과 밀착된다. 이에 따라, 조절노브(331)를 회전시키면 조절편(332)이 회전하고, 조절편(332)의 단차가 높은 면이 스프링가압편(322)을 점차 밀어내면서 스프링가압편(322)이 스프링수용부(3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코일스프링(323)을 압축한다. 그리고, 조절노브(331)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323)이 스프링가압편(322)을 밀어서 복원되고, 코일스프링(323)이 신장하여 코일스프링(323)의 탄성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조절부(33)가 코일스프링(323)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부몸체(5)의 관통공(521)을 막고 있는 커버(31)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제1 도정케이스(21)로부터 배출되는 쌀의 배출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쌀의 배출압력이라 함은 제1 도정케이스(21) 내부의 쌀에 가해지는 압력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를 통해서 압력을 조절하여 벼의 껍질이 모두 벗겨진 쌀이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쌀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벼의 양이 많으면 압력을 증가시키는 쪽으로 조절부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6)는 제1도정부의 압력조정부(3)의 아래에 설치되어 벼의 껍질이 벗겨진 상태의 쌀을 아래의 제2 도정부(600)의 쌀 이송부(605)로 안내한다. 상기 안내부(6)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영구자석(13b)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정케이스(21) 내에서 1차적으로 도정된 벼 또는 현미 또는 쌀 내 금속 이물질이 상기 제2영구자석(13b)을 통해 2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제2도정부(600)는 쌀 이송부(605), 제2도정케이스(602), 제2도정축(603) 및 분도조정부(6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도정부(600)의 쌀 이송부(605) 및 분도조정부(604)는 제1도정부(100)의 벼 이송부(1) 및 압력조정부(3)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쌀 이송부(605)와 상기 벼 이송부(1) 및 상기 압력조정부(3)와 상기 분도조정부(604)는 구조는 거의 동일하지만 용도의 구분을 위해 명칭을 달리한 것이다.
다만 분도조정부(604)는 제1도정부(100)에서 이미 벼 껍질이 벗겨진 쌀을 원하는 분도로 도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원하는 분도에 맞게 조절부를 통해 쌀의 배출압력을 제어하는 점이 압력조정부(3)에서 단지 쌀의 껍질(왕겨)을 벗겨내기 위한 압력을 가해주는 점과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정축(603)과 상기 쌀 이송부(605)의 사이에도, 상기 제1도정부(100) 내 벼 이송부(19)가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도정축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링의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링의 단면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도정축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도정축(603)은, 지지축(860)의 외면에 서로 교번되게 배치되는 제1링(810) 및 제2링(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810)은, 지지축 결합홀(811)이 중앙에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삭 통로(812)는 전면과 후면이 서로 연결된 채널 형상으로써, 상기 채널은 바닥면(812a)과 바닥면(812a)의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812b)을 포함한다. 절삭 통로(812)는 링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벼 또는 쌀은 절삭 통로(12)를 통과할 때 채널의 바닥면(812a)의 에지(모서리), 측면(812b)의 에지(모서리)와 접촉하여 쌀겨가 절삭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상기 제1링(810)은 쌀알이 채널의 바닥면(812a)과 한 쌍의 측면(812b)이 만나는 부분을 통과할 때 바닥면(812a)의 모서리와 양 측면(812b)의 모서리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절삭될 수 있다.
채널 형상의 절삭 통로(812)는 바닥면(812a)은 제1링(810)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면이고, 양 측면(812b)은 바닥면(812a)과 90°이상의 각도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 측면(812b)이 상기 바닥면(812a)과 만나는 각도는, 100°내지 103°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통로(812)를 통과하는 쌀알이 절삭 통로(812)의 구석에 끼이지 않게 되어 절삭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외주면과 스크린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쌀알이 외주면의 모서리에 접촉하여 쌀겨가 효과적으로 절삭되도록 절삭 통로(812)와 절삭 통로(812) 사이의 링의 외주면도 바닥면(812a)과 같이 제1링(810)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13)는 제1링(810)의 내주면에서 지지축결합홀(811)까지 연장되고, 제1링(81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링(810)의 중심 축선을 향하여 내측으로 4개가 연장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지지부(813)의 단부에는 지지축에 형성된 키홈에 끼워지기 위한 키홈 연결돌기(8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링(820)은 지지축결합홀(821)이 중심에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이다. 절결부(822)는 링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통하도록 개방된 부분으로 절삭 링 조립체에 조립된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지지부(823)는 지지축결합홀(821)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된다, 또한, 지지축에 형성된 키홈에 끼워지기 위한 키홈 연결 돌기(824)가 각각의 지지부(823)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810)과 상기 제2링(820)은 상기 지지축(860)에 교번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860)에는, 상기 제1링(810)과 상기 제2링(820)을 상기 지지축(86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870)와, 상기 지지축(860)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두 개의 유도날(88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링(810)의 중심으로부터 외면까지의 제1직경(D1)은, 상기 제2링(820)의 중심으로부터 외면까지의 제2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쌀과의 접촉되는 채널 영역 상기 제1링(810)의 외면과 상기 제2도정케이스(60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810)에 형성된 키홈 연결돌기(814)의 돌출 높이(H1)는, 상기 제2링(820)에 형성된 키홈 연결 돌기(824)의 돌출 높이(H2)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쌀알과 접촉되는 상기 제1링(810)이 보다 견고하게 상기 지지축(860)의 외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860)은, 중공(861)의 실린더 형상이고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키홈(862, 86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860)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862)은 외측 키홈(862)이고, 복수의 제1링(810)의 키홈 결합 돌기(814)와 간격 링(820)의 키홈 결합 돌기(824)가 순차로 끼워져서 결합된다.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863)은 내측 키홈(863)이고, 지지축(860) 중공으로 삽입된 구동축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키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측 키홈(862)은 90°등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축(860)에는 공기 공급 구멍(864)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공급 구멍(864)은 중공(861)과 연통되도록 지지축(8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 형성된다. 중공(861)으로 공급된 외부의 공기는 공기 공급 구멍(864)과 제2링(820)의 절결부(822)를 통하여 반경 방향 외부로 배출된다. 복수의 제2링(820)은 조립시에 절결부(822)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씩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골고루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지지축(860)의 일단에는 삽입된 제1링(810)과 제2링(82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865)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외주면에 나사(866)가 형성되어 있어서 내주면에 나사(871)가 형성된 체결부재(870)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체결부재(70)는 지지축(60)에 형성된 나사(66)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 또는 나사홈(71)을 구비한다.
상기 제2도정케이스(602)의 내면에는 상기 제1도정케이스(211)와 마찬가지로, 배출공 및 고정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도정축(603)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날개 및 상기 제1링(810)과 접촉된 쌀알이 절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정축(22)에서의 연마 정도 보다 상기 제2도정축(603)에서의 연마 정도를 높게 형성하여, 정밀하게 쌀을 도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정축(603)의 회전 속도(V2)는 상기 제1도정축(V1)의 회전 속도(V1) 보다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마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제2도정케이스(602) 내 상기 제2도정축(603)의 회전 속도를 상기 제1도정축(22) 보다 빠르게 형성하여, 보다 균일하게 쌀알을 절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동모터(610)는, 제1 도정부(100)와 제2 도정부(600)의 이송스크류들(12, 608)과 제1 도정축(22) 및 제2 도정축(603)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스크류의 구동축에 형성된 풀리들과 아이들전동축(630)을 통해 제 1도정부(100)와 제2 도정부(600)의 이송스크류들(12, 608) 및 제1 및 제2 도정축(22, 603)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아이들전동축(630)의 양측에 형성된 풀리들(631, 632)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제1 도정부(100)와 제2 도정부(600)의 이송스크류들(12, 608)과 제1 도정축(22) 및 제2 도정축(603)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강분리부의 단면도 이다.
제2도정부(600)의 분도조정부(604)의 아래에 위치하는 미강분리부(4)는 쌀겨배출부(41), 쌀배출부(42) 및 송풍팬(43)을 포함한다.
상기 쌀겨배출부(41)는, 제 1 및 제2 도정케이스(21, 602)의 배출공에서 떨어지는 쌀겨를 모아서 배출하도록 대략 서랍형태로 쌀 도정기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쌀배출부(42)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421)과, 제2 도정케이스(602)로부터 배출되는 쌀이 하우징(421) 하단으로 배출되도록 하우징(421)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안내플레이트(422, 423, 42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421)은 상기 하부몸체(601)의 측면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복수의 안내플레이트(422, 423, 424)는 하우징(421) 쪽으로 낙차를 두고 층층이 경사져 상, 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안내플레이트(422, 423, 424)는, 제1안내플레이트(422)와, 상기 제1안내 플레이트(42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안내플레이트(423)와,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423)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안내플레이트(4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몸체(601) 내 배치되는 상기 제1안내플레이트(422)와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423)는 각각 메쉬(mesh)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안내플레이트(422)와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423)에는 각각 통공(422a, 423a)이 형성되어, 상기 쌀겨가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안내플레이트(424)는 일부가 상기 하부몸체(601) 내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하우징(421) 내 배치될 수 있다.
안내플레이트(422, 423, 424)는 쌀의 운동에너지를 계속해서 보충하면서 쌀에 섞인 잔겨가 후방으로 날아가 배출되도록, 안내플레이트(422, 423, 424)의 경사각도가 수평을 기준으로 대략 25°~35°사이의 각도로 형성되는데, 쌀이 송풍팬(43)의 바람에 의해 날려가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약 30°의 경사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도정케이스(602)로부터 배출되는 쌀은 안내플레이트(422, 423, 424)를 타고 하우징(421)의 하단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21)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안내플레이트(422, 423, 424) 중 중앙에 배치되는 제2안내플레이트(423)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1안내플레이트(422) 및 상기 제3안내플레이트(424)의 경사각도 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423)는 상기 송풍팬(43)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데,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423)의 경사각도를 타 안내플레이트의 경사각도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423) 상에 배치되는 잔겨가 상기 풍팬(43)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영향을 보다 크게 받을 수 있다.
송풍팬(43)은, 하우징(421)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2 도정케이스(602)로부터 배출되는 쌀에 섞인 잔겨를 후방으로 불어서 복수의 안내플레이트(422, 423, 424) 사이사이로 날아 들어가 쌀겨배출부(41)로 떨어지도록 한다. 이때, 송풍팬(43)은 발생하는 풍력은 쌀이 하우징(421)의 하부로 그대로 떨어지되, 잔겨는 바람에 의해서 날아갈 정도의 풍력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하우징(421)으로부터 쌀이 배출될 때 잔겨를 제거함으로써, 도정된 쌀에 섞여있는 잔겨를 분리하는 추가공정을 생략할수 있고, 쌀이 배출될 때 발생하는 먼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쌀배출부(42)의 하부에는 투명 재질의 투명판(910) 및 무게측정부(930)를 포함하는 도정검사부(4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정검사부(428)는 상기 하우징(4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판(910)의 상면으로 도정 공정을 마친 쌀알이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무게측정부(930)는 상기 투명판(9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쌀알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벼 투입부(13)를 통해 투입된 벼의 무게에 기초하여,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무게측정부(930)에서 측정된 무게가 상기 투입된 벼의 무게 대비 얼마나 감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정을 마친 쌀알의 무게가 투입된 벼 대비 60~80%의 무게를 가진다 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측정부(930)에서 측정된 쌀알의 무게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범위 만족 시 상기 투명판(910) 상에 쌀알은 상기 쌀 배출통(6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범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는 후술할 영상 획득부(1300)를 통해 상기 투명판(910) 상에 쌀알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 검사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판(910)은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도정된 쌀 시료가 놓이게 된다. 이때, 투명판(910)은 반투명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판(910)에는 시료 공급을 위한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다.
링조명(1210)은 투명판(910) 상부에 배치되며, 링 모양의 확산판을 통해 쌀 시료에 빛을 조사(照射)한다. 이때, 링조명(1210)을 통해 조사되는 빛은 링조명(1210) 중앙에 위치한 쌀 시료의 상부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조사됨에 따라 쌀 시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그림자 효과 등과 같은 화상 처리에 방해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역광부(1220)는 투명판(910) 하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투명판(910) 상에 놓인 쌀 시료에 빛을 조사한다. 이때, 역광부(1220)로부터 조사된 빛은 쌀 시료를 투과한다.
영상 획득부(1300)는 링조명(910)을 통해 조사된 빛이 쌀 시료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반사영상을 획득하고, 역광부(1220)를 통해 조사되어 쌀 시료를 투과한 빛으로부터 형성되는 투과영상을 획득한다. 이러한 영상 획득부(13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영상 처리부(1400)는 영상 획득부(1300)에 의해 여라 단계의 밝기를 조절하면서 다수의 조합된 획득한 반사영상 또는 투과영상을 통해 쌀 시료영역과 배경영역을 분리(Segmentation)하고, 역광부(1220)에 의해 획득한 투과영상에서 쌀 시료의 투과 잔존미강영역을 구분하며, 쌀 시료의 표면 밝기와 색상을 이용하여 반사영상의 쌀 시료 영역에서 반사 잔존미강영역을 구분한 후 투과 잔존미강영역과 반사 잔존미강영역을 조합하여 최종 잔존미강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투과 잔존미강영역과 반자 잔존미강영역인 과피와 호분층은 색상이 상이함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1400)는 반사영상에서 쌀 시료의 각 영역 즉, 과피, 호분층 및 전분층의 색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투과영상에서 각 영역의 투과도를 이용하여 구분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400)는 최종 잔존미강영역 즉, 과피, 호분층을 전체 쌀시료(과피, 호분층 및 전분층의 컬러 미강면적비율 CBB(Colored Bran Balance) 인덱스로 정의하여 잔존미강을 산출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400)는 투과영상을 통해 내부밀도, 내부균열 및 투과도 차이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400)는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인덱스를 이용하여 도정도 및 백도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쌀 시료의 컬러 미강면적비율(CBB) 인덱스를 측정하여 도정도를 측정함으로써 간단하고 빠르게 쌀 시료에 남아있는 잔존 미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벼 투입부와 연결되어 벼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가 배치되는 벼 이송부와, 상기 벼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벼를 수용하고 쌀겨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1 도정케이스와, 상기 이송스크류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도정케이스에 수용된 벼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날개가 형성된 제1 도정축과,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정케이스의 내부의 쌀을 눌러주는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정부와 상기 제1 도정케 이스의 사이의 틈새로 상기 쌀을 배출하는 제1 도정부;
    상기 제1 도정부에서 배출되는 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안내부;
    상기 제1도정축과 상기 이송스크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 내 배치된 벼를 상기 제1도정축으로 이송시키는 벼 이송부;
    상기 제1도정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쌀을 이송하는 쌀 이송부와, 상기 쌀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쌀을 수용하고 쌀겨가 배 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2 도정케이스와, 상기 쌀 이송부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2 도정케이스에 수용된 쌀을 회전시키는 제2 도정축과,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내부의 쌀을 눌러주는 압력을 제어하는 분도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도조정부와 상기 제2 도정케이스의 사이의 틈새로 상기 쌀을 배출시키는 제2 도정부;
    상기 분도조정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도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모으는 쌀배출부와, 상기 제2 도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에 섞인 잔겨를 바람으로 날려서 분리하는 송풍팬을 구비한 미강분리부; 및
    상기 제1도정축 및 상기 제2도정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벼 투입부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스크류의 단면적은 상기 제1도정축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벼 이송부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면에 배치되는 수평부; 및
    일단이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는,
    상기 제1도정축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도정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회전날개; 및
    상기 제1회전날개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도정축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도정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회전날개와 상기 벼 이송부는 한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날개의 단면적은 상기 제2회전날개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도정축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회전날개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도정축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날개의 돌출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날개와 상기 제2회전날개는 각각 회전되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도정케이스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는 복수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날개의 내면은,
    상기 제1도정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수직면; 및
    상기 제1도정축의 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도정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면에는 다수의 홈을 포함하는 패턴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내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공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1도정축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도정축은,
    외주면에 키홈이 형성된 지지축;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외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쌀알이 통과되면서 쌀겨가 절삭되도록 복수의 절삭 통로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상기 키홈에 결합되는 제1키홈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링;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외면에 상기 제1링과 교번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상기 키홈에 결합되는 제2키홈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2링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 통로는 채널 형상이고,
    상기 채널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제1링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인 평면이고,
    상기 제1링의 단면적은 상기 제2링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링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키홈 연결 돌기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2링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키홈 연결 돌기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정축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1도정축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형성되고,
    상기 미강분리부는 상기 제2도정부와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2도정부 내에서 상호 낙차를 두고 층층히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안내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안내플레이트를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안내플레이트는,
    상기 제2도정부 내 배치되는 제1안내플레이트;
    상기 제1안내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안내플레이트; 및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제2도정부 내 배치되는 제3안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는 상기 송풍팬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오버랩(overlab)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안내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3안내플레이트의 경사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플레이트와 상기 제2안내플레이트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는 메쉬(mesh) 망 형태로 형성되는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정케이스와 상기 제2도정케이스는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KR1020190146048A 2019-11-14 2019-11-14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KR10209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048A KR102090594B1 (ko) 2019-11-14 2019-11-14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048A KR102090594B1 (ko) 2019-11-14 2019-11-14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43A Division KR102047465B1 (ko) 2019-09-02 2019-09-02 도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594B1 true KR102090594B1 (ko) 2020-05-27

Family

ID=7091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048A KR102090594B1 (ko) 2019-11-14 2019-11-14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51B1 (ko) *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CN114558638A (zh) * 2022-02-13 2022-05-31 浙江齐鲤机械有限公司 一种大米抛光机
KR20230014533A (ko) * 2021-07-21 2023-01-30 하익진 정미기용 밀링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385Y1 (ko) * 2001-04-10 2001-10-11 박용규 가정용 정미기에 있어서 미강 추출기능을 구비한 2단도정구조
KR100696253B1 (ko) * 2004-05-31 2007-03-20 이춘수 현미도정기
KR20080000814U (ko) * 2006-10-28 2008-05-02 배광주 가정용 2단 정미기
KR101399479B1 (ko) * 2011-11-22 2014-05-28 장홍일 2단 도정방식의 쌀 도정기
KR101679215B1 (ko) * 2015-02-27 2016-11-24 유명현 가정용 도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385Y1 (ko) * 2001-04-10 2001-10-11 박용규 가정용 정미기에 있어서 미강 추출기능을 구비한 2단도정구조
KR100696253B1 (ko) * 2004-05-31 2007-03-20 이춘수 현미도정기
KR20080000814U (ko) * 2006-10-28 2008-05-02 배광주 가정용 2단 정미기
KR101399479B1 (ko) * 2011-11-22 2014-05-28 장홍일 2단 도정방식의 쌀 도정기
KR101679215B1 (ko) * 2015-02-27 2016-11-24 유명현 가정용 도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51B1 (ko) *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KR20230014533A (ko) * 2021-07-21 2023-01-30 하익진 정미기용 밀링롤
KR102512511B1 (ko) 2021-07-21 2023-03-20 하익진 정미기용 밀링롤
CN114558638A (zh) * 2022-02-13 2022-05-31 浙江齐鲤机械有限公司 一种大米抛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594B1 (ko)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KR102047468B1 (ko) 도정편차가 측정 가능한 도정시스템
US59862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product
KR102047465B1 (ko) 도정장치
KR102090591B1 (ko) 도정시스템
KR100623464B1 (ko) 이중 제분 경로가 있는 제분 기구, 그 기구를 사용하는 장치 및그 사용 방법
HU204448B (en) Method for producing corn grists and corn-mill apparatus
JPS63501774A (ja) 分類装置
JPH07155702A (ja) 穀粒色彩選別装置
RU2424859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ртировки объектов по визуальным признакам
US5265732A (en) Variable background for a sorting machine
JP2010197239A (ja) 検査用照明装置、検査用照明装置の照明調光方法および粉粒体異物検査装置
KR200456632Y1 (ko) 현미기
CN202270658U (zh) 一种色选机背景装置
JPH01312447A (ja) 米粒品位判定方法
AU2003240073A1 (en) Spectral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CN211964288U (zh) 一种高效去除大米糠粉的设备
WO2021020219A1 (ja) 籾判別機
CN221772321U (zh) 一种砂铁组合型碾米主轴
CN108741122A (zh) 一种花生剥壳装置
CN112089090B (zh) 一种使用抛料辊分离轻薄片状梗丝的装置及方法
JP2796328B2 (ja) 精米機の脱芽率自動制御装置
JPH01258781A (ja) 粒状物色彩選別機
JPS63200878A (ja) 色彩選別機の光電検出装置
JPS5884050A (ja) 精米機の精白度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