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511B1 - 정미기용 밀링롤 - Google Patents

정미기용 밀링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511B1
KR102512511B1 KR1020210095989A KR20210095989A KR102512511B1 KR 102512511 B1 KR102512511 B1 KR 102512511B1 KR 1020210095989 A KR1020210095989 A KR 1020210095989A KR 20210095989 A KR20210095989 A KR 20210095989A KR 102512511 B1 KR102512511 B1 KR 10251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illing
gap
shaf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4533A (ko
Inventor
하익진
김윤미
Original Assignee
하익진
김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익진, 김윤미 filed Critical 하익진
Priority to KR102021009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5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으로 밀링롤을 구성하여 안정성을 담보하면서 도정효율성을 높이고 도정되는 곡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가 도정스크린을 가지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도정스크링과 협조하여 곡물을 이송하면서 도정을 수행하는 밀링롤이 장착되는 정미기에 있어서;
상기 밀링롤은, 주조성형을 통하여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단품으로 가공하여 전측과 중간측 및 후측에 위치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프론트코어와, 미들코어 및 리어코어와;
상기 프론트코어와 미들코어 사이 및 미들코어와 리어코어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갭코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정미기용 밀링롤{MILLING ROLL FOR RISE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정미기용 밀링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과 같은 곡물의 껍질을 제거하는 정미기에 적용되어 회전에 의하여 곡물의 표피 절삭을 용이하게 수행하요 곡물의 손상과 변형을 방지하면서 정미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한 정미기용 밀링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과 같은 곡물의 껍질을 제거하고 표피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미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미기는 대부분이 마찰에 의하여 곡물의 표피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종래 기술의 대표적인 정미기의 기술적인 내용을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쌀(110)의 도입구(122)와 배출구(124)를 형성한 정곡통(120)에는 수납실(126)이 내부에 형성되고, 그 수납실(126)에는 모터(13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132)을 내부에 축설하되, 그 회전축(132)의 외주연에는 표면으로 이송홈(144)을 갖도록 나선돌조(142)가 형성된 쌀(110)의 송곡롤(140)이 설치되면서, 나선형의 돌부(152)와 요홈(154)이 있는 정곡롤(150)을 형성하고, 그 정곡통(120)의 배출구(124)에는 회전후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저항 뚜껑(16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된 연삭식 정미기에 있어서,
상기 정곡롤(150)의 돌부(152)표면에는 첨단이 날카로운 다이아몬드(152a)를 다수개 돌출된 상태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정곡통(120)에는 하부의 보조배출구(128)로 쌀(110)의 껍질이 강제 배출되도록 고압 공기용 튜브(170)가 연설된 노즐(172)을 다수개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내부가 통공되고, 외주면의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도정돌기(210)가 구비되며, 상기 도정돌기(210) 사이에 송풍구(220)가 형성된 도정롤러(200)와, 상기 도정롤러(200)의 외측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도정망(300)과, 상기 도정망(300)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400)와, 상기 도정망(300)과 상기 커버(400)를 고정시키고, 상기 도정롤러(200)를 회전 가능하도록 잡아주는 고정지그(500)로 이루어진 도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도정돌기(21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일자형 (211)홈을 파되, 상기 일자형 홈(211)의 모양이 일측 방향으로 비틀린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 10 - 0211853 - 0000 호 특허등록 제 10 - 0780733 - 0000 호
없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정곡롤의 돌부 표면에 다이아몬드를 고정하여 쌀이 부딪치면서 껍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도정롤러에 고정되는 도정돌기에 길이방향으로 일자형홈을 일측방향으로 비틀어지게 형성하여 도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도정롤러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도정롤러 외부에 위치한 도정망(스크린)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도정하고자 하는 곡물이 이송되어지고, 이 과정에서 도정망과 곡물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껍질이 제거되어 도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도정을 위하여 이송되는 곡물이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고 적체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이와 같이 많은 곡물이 도정롤과 도정망 사이에 위치하여 높은 압력을 받게 되므로 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게 된다.
도정 과정에서 고압과 고열이 발생할 경우에는 곡물이 깨지는 손상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고열에 의하여 곡물이 가지고 있는 영양분이 파괴되는 것은 물론 열과 마찰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면서 곡물이 가지는 본연의 색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쌀을 도정할 경우에는 껍질이 제거된 후에는 백색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거나 투명도를 가지는 형태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압력과 열에 의하여 유백색을 띠는 현상이 일어나 도정이 완료된 제품의 품질상태를 높게할 수 없고 이는 농가의 소득은 물론 관련 도소매업에 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도정속도를 높일 경우에는 곡물의 공급은 빠름에도 불구하고 껍질의 제거가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미도정이 발생하고, 적체로 인하여 도정롤과 도정망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이를 유지하고 보수하는 데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공전으로 인한 도정효율이 좋지 않게 된다.
특히 도정롤을 주조성형하는 형태이고 단순하게 곡물을 이송하는 기능에 집중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순한 측면에서는 제조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으나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힘들어 실제 사용하는 과정에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정밀하지 않기 때문에 관련 부품들과의 조화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여 결국에는 정미기 자체의 품질과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101)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10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105)가 도정스크린(106)을 가지는 하우징(107)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105)에는 도정스크링(106)과 협조하여 곡물을 이송하면서 도정을 수행하는 밀링롤(110)이 장착되는 정미기(100)에 있어서;
상기 밀링롤(110)은, 주조성형을 통하여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단품으로 가공하여 전측과 중간측 및 후측에 위치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및 리어코어(113)와;
상기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사이 및 미들코어(112)와 리어코어(113)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갭코어(115)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립형으로 밀링롤을 구성하여 안정성을 담보하면서 도정효율성을 높이고 도정되는 곡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정롤을 개선하여 분해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설치와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안정된 밸런스를 유지하여 사용과정에서 진동과 충격 및 소음을 배제하여 정미기의 품질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어 대외적인 경쟁력의 우의에 있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정롤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하여 곡물을 단순하게 밀어서 이송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이송하면서 곡물의 표면을 깍아내는 역할을 겸하도록 함으로서 도정효율을 높이면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적체현상이 없도록하여 고압 고열현상을 배제하여 도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정 과정에서 고압 고열에 의하여 곡물의 손상고 영양분의 파괴를 방지하면서 곡물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정완료된 곡물의 품질과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도시한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구성하는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구성하는 갭코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의 장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도시한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구성하는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구성하는 갭코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의 장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인 정미기(100)는, 프레임(101)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10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105)가 도정스크린(106)을 가지는 하우징(107)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105)에는 도정스크링(106)과 협조하여 곡물을 이송하면서 도정을 수행하는 밀링롤(110)이 장착된다.
상기 샤프트(105)에는 송풍수단(103)으로부터 바람을 공급받아 밀링롤(110)로 배출시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도정되는 곡물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물론 도정하고자 하는 곡물을 호퍼를 통하여 도정스크린(106)과 밀링롤(110)로 공급되고, 도정완료된 곡물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링롤(110)을 개선하여 효율적인 정미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도정되는 곡물의 손상과 색상변화방지 및 영양분 손실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밀링롤(110)은, 종래와 같이 주조성형을 통하여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레이저커팅 등과 같이 단품으로 가공하여 조립하여 밀링롤(110)을 구성하는 데, 전측과 중간측 및 후측에 위치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및 리어코어(113)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사이 및 미들코어(112)와 리어코어(113) 사이에는 다수 개의 갭코어(115)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및 리어코어(113)는 소정의 두께(T, 본 발명에서는 10mm로 하고 있으나 가감이 있을 수 있음)를 가지면서 두께 보다 넓은 폭(B)을 가지는 원판형상의 코어바디(116)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바디(116)의 내경위치에는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샤프트유지돌기(117,118)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샤프트유지돌기(117,118)는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111,112,113) 모두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여 샤프트(105)와의 연접성이 좋도록 하고, 상기 샤프트유지돌기(117,118) 중 하나에는 키홈(119)을 형성하여 샤프트(105)와 결합시켜 샤프트(10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갭코어(115)는,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111,112,113)와 동일한 두께(T)와 폭(B)을 가지고 동일한 외경면과 내경면을 가지는 원호형상의 갭코어바디(120)를 구비한다.
상기 갭코어(115)는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111,112,113)의 3분할 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면서 3분할 된 3개의 갭코어(115)를 원형으로 결합하였을 때 전체 원호길이는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111,112,113)의 원길이의 1/3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갭코어(115)를 3분할한 형태로 예시하고 있으나 2분할, 4분할 또는 5분할과 같이 밀링롤(110)의 크기나 조정하고자 하는 곡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므로 3분할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개로 분할되는 형태로 구성하면 된다.
상기 코어바디(116)와 갭코어바디(120)의 외면에는 도정스크린(106)과 협조하여 곡물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도정핀(125)을 돌출시키는 데, 회전방향의 처음 위치에 형성하는 1도정돌기(126)와 2도정돌기(127) 및 3도정돌기(128)를 형성한다.
상기 1,2,3도정돌기(126,127,128)는 회전방향(→)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도정경사면(129)을 형성하고, 상기 도정경사면(129)의 끝단에서 후방으로는 수평형태의 도정평면(130)을 형성하여 공급되어 이송되는 곡물의 표면을 깍아서 도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도정돌기(126) 보다는 2도정돌기(127)가 더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2도정돌기(127) 보다는 3도정돌기(128)가 더 돌출된 형태로 구성하여 밀링롤(110)이 회전하면서 곡물의 껍질을 다단계로 까면서 도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111,112,113)의 결합은 용접, 브레이징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상기 코어바디(116)와 갭코어바디(120)에 결합공(131)을 형성하여 결합볼트(132)로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조립(생산)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바디(116)와 갭코어바디(120)에 형성하는 결합공(131)은 프론트에서 리어 방향으로 갈수록 약간의 편차를 두어 전체를 결합하였을 때 1,2,3도정돌기(126,127,128)가 나선형상을 이루어 도정하고자 하는 곡물의 이송을 도우면서 도정과정에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물론,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사이 및 미들코어(112)와 리어코어(113) 사이에 다수 개의 갭코어(115)를 결합할 때 인접한 갭코어(115)와 소정의 간격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 간격으로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사이 및 미들코어(112)와 리어코어(113) 사이에 3개의 프론트에어홀(134)과 리어에어홀(135)이 형성되어 샤프트(105)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정미기용 밀링롤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미기(100)의 도정스크린(106) 내에 설치되는 샤프트(105)에 밀링롤(110)을 곡물의 종류 또는 도정하고자 하는 상태에 맞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밀링롤(110)의 내경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샤프트유지돌기(117,118)가 샤프트(105)의 외경면과 연접되도록 하고, 하나의 샤프트유자돌기(117,118)에 형성된 키홈(119)에는 샤프트(105)와 키를 이용하여 단속하여 밀링롤(110)이 샤프트(105)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정하고자 하는 곡물을 공급하면 밀링롤(110)과 도정스크린(106) 사이로 공급되어 밀링롤(110)에 의하여 배출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밀링롤(110) 자체 및 밀링롤(110)과 도정스크린(106)에 의하여 곡물의 껍질이 제거되는 도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송풍수단으로부터 바람이 샤프트(105)의 중앙으로 공급되어 샤프트(105)의 축 중심에 대한 방사방향으로 분사되어 밀링롤(110)로 공급되어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도정스크린(106)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열을 식힘과 동시에 곡물이 샤프트(10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샤프트(105)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은 밀링롤(110)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에어홀(134,135)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분사 및 배출되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정과정에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밀링롤(110)에 의하여 마찰에 의하여 곡물의 껍질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밀링롤(110)이 자체적으로 곡물의 표면을 깍는 것은 물론 밀링롤(110)이 도정스크린(106)과 협조하여 곡물의 표면을 깍아서 도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밀링롤(110)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하는 도정핀(125)이 돌출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1,2,3도정돌기(126,127,128)를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이 1,2,3도정돌기(126,127,128)는 나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곡물이 공급받은 위치에서 배출위치로 자연스럽게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더.
동시에 1,2,3도정돌기(126,127,128)가 회전방향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도정경사면(129)을 형성하고 있고, 도정경사면(129)의 끝단에서는 평평한 형태의 도정평면(130)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곡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도정경사면(129)과 도정평면(130)에 의하여 표면이 깍여지면서 도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1도정돌기(126)가 가장 낮게 돌출되고, 2도정돌기(127)는 1도정돌기(126) 보다 더 돌출된 상태이고, 3도정돌기(129)는 2도정돌기(128) 보다 더 돌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밀링롤(110)이 회전할 때 순차적으로 곡물이 1,2,3도정골기(126,127,128)을 거치는 형태가 되고, 최종적으로는 3도정돌기(129)와 도정스크린(106)이 협조하여 곡물의 표면을 깍아서 도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밀링롤(110)에 형성하는 도정핀(125)에 의하여 곡물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적체됨이 없이 원활하게 이송하면서 지속적으로 표면을 깍아 도정하게 되므로 과부하의 우려가 없어 정미기(100)의 주요 구성품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정미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곡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밀링롤(110)에 의하여 표면이 깍이고 밀링롤(110)과 도정스크린(106)에 의하여 도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정과정에서 과도하게 압력이 높아지거나 고열이 발생하는 현상이 없어져 곡물의 영양소 파괴를 막으면서 정미완료된 곡물의 색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정 완료된 곡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및 리어코어(113) 사이에 갭코어(115)를 결합하여 하나의 밀링롤(110)을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밀링롤(110)을 샤프트(105)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곡물의 종류나 도정목적에 맞게 자유로운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밀링롤(110)의 손상 또는 밀링롤(110)을 구성하는 구성품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분해하여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여 다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가공에 의하여 조립되므로 회전밸런스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작동과정에서 진동이나 충격 및 소음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미기(100)의 품질을 높이면서 수명을 길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조립형으로 밀링롤을 구성하여 안정성을 담보하면서 도정효율성을 높이고 도정되는 곡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100; 정미기 105; 샤프트
106; 도정스크린 110; 밀링롤
111; 프론트코어 112; 미들코어
113; 리어코어 115; 갭코어
116; 코어바디 117,118; 샤프트유지돌기
119; 키홈 120; 갭코어바디
125; 도정핀 126; 1도정돌기
127; 2도정돌기 128; 3도정돌기
129; 도정경사면 130; 도정평면
134; 프론트에어홀 125; 리어에어홀

Claims (5)

  1. 프레임(101)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10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105)가 도정스크린(106)을 가지는 하우징(107)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105)에는 도정스크링(106)과 협조하여 곡물을 이송하면서 도정을 수행하는 밀링롤(110)이 장착되는 정미기(100)에 있어서;
    상기 밀링롤(110)은, 단품으로 가공하여 전측과 중간측 및 후측에 위치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및 리어코어(113)와;
    상기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사이 및 미들코어(112)와 리어코어(113)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갭코어(115)를 조립하여 구성하고;
    상기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및 리어코어(113)는, 소정의 두께(T)를 가지면서 두께 보다 넓은 폭(B)을 가지는 원판형상의 코어바디(116)와; 상기 코어바디(116)의 내경위치에 방사상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다수 개의 샤프트유지돌기(117,118)와; 상기 샤프트유지돌기(117,118)는 샤프트(105)와 연접되기 용이하도록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111,112,113) 모두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유지돌기(117,118) 중 하나의 샤프트유지돌기(117,118)에는 샤프트(105)와 결합시켜 샤프트(10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키홈(119)을 포함하고;
    상기 갭코어(115)는,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111,112,113)와 동일한 두께(T)와 폭(B)을 가지고 동일한 외경면과 내경면을 가지는 원호형상의 갭코어바디(120)를 형성하고;
    상기 갭코어(115)는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111,112,113)의 다분할 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면서 다분할 된 갭코어(115)를 원형으로 결합하였을 때 전체 원호길이는 프론트, 미들 및 리어코어(111,112,113)의 원길이의 1/N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밀링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바디(116)와 갭코어바디(120)의 외면에는 도정스크린(106)과 협조하여 곡물의 껍질을 제거하도록 돌출되게 형성하는 도정핀(125)을 포함하고;
    상기 도정핀(125)은, 회전방향의 처음 위치에 형성하는 1도정돌기(126)와;
    상기 1도정돌기(126)의 후방에 형성하는 2도정돌기(127)와;
    상기 2도정돌기(127)의 후방에 형성하는 3도정돌기(128)를 포함하고;
    상기 1,2,3도정돌기(126,127,128)에는 이송되는 곡물의 표면을 깍을 수 있도록 회전방향(→)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도정경사면(129)과;
    상기 도정경사면(129)의 끝단에서 후방으로는 수평형태의 도정평면(130)을 포함하고;
    상기 1도정돌기(126) 보다는 2도정돌기(127)가 더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2도정돌기(127) 보다는 3도정돌기(128)가 더 돌출된 형태로 구성하여 밀링롤(110)이 회전하면서 곡물의 껍질을 다단계로 까면서 도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밀링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바디(116)와 갭코어바디(120)에 형성하는 결합공(131)은 프론트에서 리어 방향으로 갈수록 약간의 편차를 두어 전체를 결합하였을 때 1,2,3도정돌기(126,127,128)가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사이 및 미들코어(112)와 리어코어(113) 사이에 다수 개의 갭코어(115)를 결합할 때 인접한 갭코어(115)와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갭코어(115)와 인접한 갭코어(115)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으로 프론트코어(111)와 미들코어(112) 사이 및 미들코어(112)와 리어코어(113) 사이에 샤프트(105)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토출되는 프론트에어홀(134)과 리어에어홀(135)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용 밀링롤.
KR1020210095989A 2021-07-21 2021-07-21 정미기용 밀링롤 KR10251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989A KR102512511B1 (ko) 2021-07-21 2021-07-21 정미기용 밀링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989A KR102512511B1 (ko) 2021-07-21 2021-07-21 정미기용 밀링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533A KR20230014533A (ko) 2023-01-30
KR102512511B1 true KR102512511B1 (ko) 2023-03-20

Family

ID=8510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989A KR102512511B1 (ko) 2021-07-21 2021-07-21 정미기용 밀링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5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791A (ja) 2006-04-07 2007-10-25 Makoto Iko 精穀装置
KR101342998B1 (ko) 2013-02-28 2013-12-18 나용옥 절삭 링 및 이를 구비한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KR101596908B1 (ko) 2014-06-12 2016-02-23 주식회사 세농테크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JP2017012976A (ja)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サタケ 精白ロール及び該精白ロールを備えた研米機
KR102090594B1 (ko) 2019-11-14 2020-05-27 청년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853B1 (ko) 1996-12-30 1999-08-02 윤종락 연삭식 정미기의 정곡롤
KR100718326B1 (ko) * 2005-06-13 2007-05-15 유성길 정미용 절삭 롤 및 이를 이용한 정미 장치
KR100780733B1 (ko) 2007-04-30 2007-11-30 주식회사 나노미 정미기용 카오스 모션 도정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791A (ja) 2006-04-07 2007-10-25 Makoto Iko 精穀装置
KR101342998B1 (ko) 2013-02-28 2013-12-18 나용옥 절삭 링 및 이를 구비한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KR101596908B1 (ko) 2014-06-12 2016-02-23 주식회사 세농테크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JP2017012976A (ja)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サタケ 精白ロール及び該精白ロールを備えた研米機
KR102090594B1 (ko) 2019-11-14 2020-05-27 청년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분도 조정 가능한 도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533A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5310A (en) Replaceable end cap assembly for the spider arm of a hammermill
EP2209556B1 (en) Wood chipping machine with peripheral sieving and disintegr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wood chips
KR101596908B1 (ko)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JP6155345B2 (ja) 切削リング及びこれを備えた精米機用の切削リング組立体
KR102512511B1 (ko) 정미기용 밀링롤
RU2352397C2 (ru) Измельчающий валик
KR102303057B1 (ko) 횡축형 정미기
US5845856A (en) Pin mill type crusher
US1233115A (en) Centrifugal conveyer-fan.
FI86514C (fi) Kvarnkammare foer en motstraolskvarn.
KR101530421B1 (ko) 곡물분쇄장치용 임펠러
US10710092B2 (en) Discharge grates for reduction mills
SI9720089A (sl) Nožasti mlin za mletje plastičnega materiala
GB2154470A (en) Comminuting apparatus in a mill
CN218962835U (zh) 一种布料破碎机
EP0873791A2 (en) Rotor for shredders and hammermills
KR200254467Y1 (ko) 재활용 캔 분쇄장치
JP2003251212A (ja) 破砕機用回転刃及び二軸破砕機
US3771734A (en) Case mill having outwardly tapering flow path
JPH0350987Y2 (ko)
US1121454A (en) Crusher or disintegrator.
WO2017213991A9 (en) Secondary shredder
JP2000262919A (ja) 穀物殻の粉砕機
JP2007260597A (ja) 竪型精米装置
CN211436337U (zh) 一种建筑用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