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057B1 - 횡축형 정미기 - Google Patents

횡축형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057B1
KR102303057B1 KR1020150104297A KR20150104297A KR102303057B1 KR 102303057 B1 KR102303057 B1 KR 102303057B1 KR 1020150104297 A KR1020150104297 A KR 1020150104297A KR 20150104297 A KR20150104297 A KR 20150104297A KR 102303057 B1 KR102303057 B1 KR 10230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milling
particulate
cylinder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943A (ko
Inventor
가즈토 노나카
쇼고 오시마
가즈노부 가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16001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컴팩트한 횡축형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횡축형 정미기는, 다공통 및 그 다공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 형성되는 정백 롤을 갖고, 상기 다공통과 상기 정백 롤 사이에 도정실이 형성되는 도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정실의 일단측에는 원료 공급부가 형성되는 한편, 타단측에는 미립 배출통을 갖는 미립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이 상기 정백 롤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당해 미립 배출통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교차하는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에 미립 배출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횡축형 정미기{HORIZONTAL-SHAFT RICE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컴팩트한 횡축형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정부를 상하로 복수단 중첩하여 형성한 연좌식의 횡축형 정미기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99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9913호에 기재된 정곡 장치는, 곡립 공급부와 곡립 배출부를 엇갈리게 하여 복수의 마찰식 정곡기를 박스형 기계틀의 상하 방향에서 다단상으로 배치 형성한 것이다.
상기 마찰식 정곡기는, 다공벽 제강 정백통과 정백 전자 (轉子) 사이에 정백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백실과 연통되는 나선 전자측을 곡립 공급부, 반대측을 곡립 배출부로 하고, 그 곡립 배출부에 저항 덮개를 구비한 유하통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9913호에 기재된 정곡 장치에 있어서, 제 1 마찰식 정곡기의 곡립 배출부에 배치 형성되는 유하통 (流下桶) 은 제 2 마찰식 정곡기의 곡립 공급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마찰식 정곡기의 곡립 배출부에 배치 형성되는 유하통은 제 3 마찰식 정곡기의 곡립 공급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 3 마찰식 정곡기의 곡립 배출부에 배치 형성되는 유하통은 제 4 마찰식 정곡기의 곡립 공급부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 4 마찰식 정곡기의 곡립 배출부에 배치 형성되는 유하통으로부터 도정 후의 곡립이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9913호에 기재된 정곡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마찰식 정곡기에 의해 정백도를 높여 원료미를 고품질로 마무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9913호에 기재된 정곡 장치는, 상기 각 마찰식 정곡기에 있어서, 각 곡립 배출부의 축방향 단면에 곡립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곡립 배출구를 막는 저항 덮개를 구비한 유하통이 상기 각 곡립 배출부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 형성되는 것이므로, 장치가 축방향으로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9913호에 기재된 정곡 장치는, 상기 제 1 마찰식 정곡기 및 제 3 마찰식 정곡기에 있어서, 각 곡립 배출부 내에 회전축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곡립 배출부의 축방향 단면에 형성되는 곡립 배출구를 막기 위한 상기 저항 덮개를 배치 형성하는 높이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저항 덮개를 구비한 유하통이 상기 각 곡립 배출부의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것이 되어, 장치가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컴팩트한 횡축형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다공통 및 그 다공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 형성되는 정백 롤을 갖고, 상기 다공통과 상기 정백 롤 사이에 도정실이 형성되는 도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정실의 일단측에는 원료 공급부가 형성되는 한편, 타단측에는 미립 배출통을 갖는 미립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이 상기 정백 롤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당해 미립 배출통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교차하는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에 미립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립 배출통이 원통상으로서,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이 상기 정백 롤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에 대향하는 측의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이, 상기 정백 롤의 역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 2 미립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과 상기 제 2 미립 안내면의 선단 사이에 상기 미립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 배출구에는 저항 덮개와 함께 미립 배출통이 배치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미립 배출통의 출구가,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다른 도정부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부의 입구에 면하도록, 복수의 상기 도정부가 엇갈리게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도정부가, 각 정백 롤의 중심축이 하나의 연직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중첩되어 있고,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도정부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부의 입구는, 상기 각 정백 롤의 중심축이 위치하는 연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도정부에는, 각각 마찰식, 연삭식 또는 절삭식 중 어느 것이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을 정백 롤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당해 미립 배출통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교차하는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에 미립 배출구를 형성하므로, 상기 미립 배출구가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되고, 장치의 폭을 단축한 컴팩트한 횡축형 정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미립 배출구가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미립 배출통 내에 회전축이 배치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미립 배출구에는, 높이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저항 덮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치 높이를 낮게 한 컴팩트한 횡축형 정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을 정백 롤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당해 미립 배출통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교차하는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에 미립 배출구를 형성하므로, 도정실에서 도정된 후의 미립은, 상기 정백 롤의 정회전의 작용을 받아 상기 미립 안내면 상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도정 후의 미립을 상기 미립 배출구로부터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미립 배출통이 원통상으로서,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을 상기 정백 롤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도정 후의 미립을, 상기 정백 롤의 정회전의 작용에 의해, 상기 미립 배출구로부터 더욱 원활히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에 대향하는 측의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을, 상기 정백 롤의 역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제 2 미립 안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과 상기 제 2 미립 안내면의 선단 사이에 상기 미립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정백 롤을 역회전시킨 경우에도, 도정 후의 미립을 상기 미립 배출구로부터 원활히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미립 배출구에는 저항 덮개와 함께 미립 배출통이 배치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미립 배출통의 출구가,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다른 도정부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부의 입구에 면하도록, 복수의 상기 도정부를 엇갈리게 상하로 중첩하여 배치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미립 배출통 내에 회전축이 배치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미립 배출구에는, 높이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저항 덮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높이를 낮게 한 복수의 도정부를 상하로 중첩함으로써 컴팩트한 연좌식의 횡축형 정미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복수의 도정부가, 각 정백 롤의 중심축이 하나의 연직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중첩되어 있고,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도정부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부의 입구는, 상기 각 정백 롤의 중심축이 위치하는 연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면, 상기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도정부에는, 그 도정부의 최상부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상기 원료 공급부의 입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하의 도정부를 높이 방향으로 근접하게 배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연좌식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복수의 도정부에는, 각각 마찰식, 연삭식 또는 절삭식 중 어느 것이 배치 형성되는 것으로 하면, 원료의 종류 (특정미, 찹쌀, 파보일미, 벼) 나 입형 (단립종, 중립종, 장립종), 가공 품위 레벨 (저품위, 일반 품위, 고급 품위) 에 따라, 도정부의 형식을 용이하게 최적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횡축형 정미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도정부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횡축형 정미기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횡축형 정미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횡축형 정미기로서 도정부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 (1) 는, 베이스 가대 (架臺) (2) 상에 1 대의 정미 유닛 (3) 을 재치 (載置) 하여 형성한 단좌식의 횡축형 정미기이다.
상기 정미 유닛 (3) 은, 통상의 도정 철망 (41), 및 주축 (42) 에 장착되어 상기 도정 철망 (4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 형성되는 정백 롤 (43) 을 갖고, 상기 도정 철망 (41) 과 상기 정백 롤 (43) 사이에 도정실 (44) 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도정부 (4) 와, 상기 정백 롤 (43) 이 장착되는 주축 (42) 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71) 를 갖는 구동부 (7) 와, 중첩하여 연결 가능한 유닛 가대 (8) 를 구비한다.
상기 도정부 (4) 에 있어서, 상기 도정실 (44) 의 일단측에는 원료 공급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는 미립 배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원료 공급부는, 원료 공급구 (46) 를 갖는 원료 공급통 (45) 과, 상기 원료 공급구 (46) 에 배치 형성되는 원료 호퍼 (47) 를 갖는다. 또, 상기 원료 공급통 (45) 내에는, 상기 주축 (42) 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되는 나선 롤 (48)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립 배출부는, 미립 배출구 (49) 를 갖는 원통상의 미립 배출통 (50) 과, 상기 미립 배출구 (49) 에 대응하는 외측 위치에 배치 형성되는 미립 배출통 (53) 을 갖는다. 또, 상기 미립 배출통 (53) 에는, 저항추 (분동) (52) 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미립 배출구 (49) 를 막는 저항 덮개 (압박판) (5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백 롤 (43) 에는, 상기 도정실 (44) 의 위치에 대응하여 정백용 교반 돌기 (55) 가 형성되고,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립 배출용 조출 돌기 (5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정백 롤 (43) 은, 상기 주축 (42) 의 중공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주축 (42) 의 중공부에는 다수의 분풍공 (57) 이 형성됨과 함께, 그 주축 (42) 의 일단측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송풍 팬 (58) 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주축 (42) 의 타단측에는, 상기 구동부 (7) 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 (71) 의 도시되지 않은 구동 풀리와 벨트로 접속되는 종동 풀리 (59)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정실 (44) 의 주위에는 집강실 (集糠室) (60)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집강실 (60) 은 하방에 형성되는 집강 덕트 (61) 와 연통되어 있다. 또, 상기 도정실 (44) 의 일단측으로서 상기 원료 공급통 (45) 의 하방에는, 잔류미 제거용 공기 노즐 (63)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도 2 의 도정부에 있어서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2 의 도정부로서 도 3 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정부 (4) 에 있어서의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 위치에는, 상기 원통상의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의 일부를 노치하고, 상기 정백 롤 (43) 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당해 미립 배출통 (50) 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교차하는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 (50a)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의 선단에 미립 배출구 (49)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도정부 (4) 에 있어서의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 위치에는,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의 선단에 대향하는 측의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의 일부를 노치하고, 상기 정백 롤 (43) 의 역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제 2 미립 안내면 (50b)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의 선단과 상기 제 2 미립 안내면 (50b) 의 선단 사이에 상기 미립 배출구 (49)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 위치로서 상기 미립 배출구 (49) 의 외측에는, 저항추 (52) 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미립 배출구 (49) 를 막는 저항 덮개 (51) 를 갖는 미립 배출통 (53)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호퍼 (47) 에 투입되는 원료미는, 원료 공급구 (46) 로부터 원료 공급통 (45) 내에 공급된 후, 상기 나선 롤 (48) 에 의해 상기 도정실 (44) 에 보내진다.
상기 도정실 (44) 내에 보내진 원료미는, 상기 정백 롤 (43) 에 형성된 정백용 교반 돌기 (55) 의 작용을 받아 도정되면서 상기 미립 배출통 (50) 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도정된 후의 상기 원료미는, 상기 정백 롤 (43) 에 형성된 미립 배출용 조출 돌기 (56) 의 작용을 받아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저항 덮개 (51) 를 밀어 열고, 상기 미립 배출구 (49) 로부터 상기 미립 배출통 (53) 에 배출된다.
그 때, 상기 송풍 팬 (58) 의 작용에 의해, 상기 주축 (42) 의 중공부에 형성된 다수의 분풍공 (57) 으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상기 도정실 (44) 내에서 발생한 겨가 상기 도정 철망 (41) 의 망목으로부터 집강실 (60) 로 배제된다.
여기서, 상기 횡축형 정미기 (1) 의 도정부 (4) 는 마찰식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연삭식이나 절삭식 등의 다른 형식의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횡축형 정미기 (1) 에 있어서는, 쌀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했지만, 쌀 이외의 곡립을 원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원통상의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의 일부를 노치하고, 정백 롤 (43) 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당해 미립 배출통 (50) 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교차하는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 (50a) 을 형성하고,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의 선단에 미립 배출구 (49) 를 형성하므로, 상기 미립 배출구 (49) 가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되어, 장치의 폭을 단축한 컴팩트한 것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미립 배출구 (49) 가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미립 배출통 (50) 내에 주축 (42) 이 배치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미립 배출구 (49) 에는, 높이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저항 덮개 (51) 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정부 (4) 의 높이를 낮게 한 컴팩트한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원통상의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의 일부를 노치하고, 상기 정백 롤 (43) 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당해 미립 배출통 (50) 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교차하는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 (50a) 을 형성하고,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의 선단에 미립 배출구 (49) 를 형성하므로, 상기 도정실 (44) 에서 도정된 후의 미립은, 상기 정백 롤 (43) 의 정회전의 작용을 받아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상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도정 후의 미립을 상기 미립 배출구 (49) 로부터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의 선단에 대향하는 측의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의 일부를 노치하고, 상기 정백 롤 (43) 의 역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제 2 미립 안내면 (50b) 을 형성하고,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의 선단과 상기 제 2 미립 안내면 (50b) 의 선단 사이에 상기 미립 배출구 (49) 를 형성하므로, 상기 정백 롤 (43) 을 역회전시킨 경우에도, 도정 후의 미립을 상기 미립 배출구 (49) 로부터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은 원통상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각통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을 각통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립 배출통 (50) 의 둘레면을 상기 정백 롤 (43) 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당해 미립 배출통 (50) 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교차하는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 (50a) 을 형성하고,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의 선단에 미립 배출구 (49) 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되고, 이 경우에도, 상기 도정실 (44) 에서 도정된 후의 미립은, 상기 정백 롤 (43) 의 정회전의 작용을 받아 상기 미립 안내면 (50a) 상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도정 후의 미립을 상기 미립 배출구 (49) 로부터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도 5 의 횡축형 정미기의 정면도로서 도정부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베이스 가대 (2) 상에 3 대의 정미 유닛 (3a ∼ 3c) 을 중첩하여 형성한 3 연좌식의 횡축형 정미기이다.
3 대의 정미 유닛 (3a ∼ 3c) 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1 ∼ 도 4 에 있어서 설명한 정미 유닛 (3) 과 동일하여,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제 1 정미 유닛 (3a) 의 도정부 (4a) 에 있어서의 미립 배출통 (53a) 의 출구가,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제 2 정미 유닛 (3b) 의 도정부 (4b) 에 있어서의 원료 호퍼 (47b) 의 입구에 면하도록, 또, 상기 제 2 정미 유닛 (3b) 의 도정부 (4b) 에 있어서의 미립 배출통 (53b) 의 출구가, 제 3 정미 유닛 (3c) 의 도정부 (4c) 에 있어서의 원료 호퍼 (47c) 의 입구에 면하도록, 또한 상기 제 3 정미 유닛 (3c) 의 도정부 (4c) 에 있어서의 미립 배출통 (53c) 의 출구가, 제품 배출통 (54) 의 입구에 면하도록, 상기 각 도정부 (4a ∼ 4c) 를 엇갈리게 상하로 중첩하여 배치 형성함으로써 연좌식으로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각 도정부 (4a ∼ 4c) 가, 각 주축 (42a ∼ 42c) 이 하나의 연직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중첩되어 있고,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각 도정부 (4b, 4c) 에 있어서의 상기 원료 호퍼 (47b, 47c) 의 입구가, 각 주축 (42b, 42c) 이 위치하는 연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배치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각 도정부 (4a, 4b) 에 있어서의 상기 미립 배출통 (53a, 53b) 의 출구가, 각각의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각 도정부 (4b, 4c) 에 있어서의 원료 호퍼 (47b, 47c) 의 입구에 면하도록, 또, 상기 도정부 (4c) 에 있어서의 상기 미립 배출통 (53c) 의 출구가, 상기 제품 배출통 (54) 의 입구에 면하도록, 상기 도정부 (4a ∼ 4c) 를 엇갈리게 상하로 중첩하여 연좌식으로 하는 것으로 하면, 높이를 낮게 한 복수의 도정부 (4a ∼ 4c) 를 상하로 중첩함으로써 컴팩트한 연좌식의 횡축형 정미기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각 도정부 (4a ∼ 4c) 가, 각 주축 (42a ∼ 42c) 이 하나의 연직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중첩되어 있고,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각 도정부 (4b, 4c) 에 있어서의 상기 원료 호퍼 (47b, 47c) 의 입구가, 각 주축 (42b, 42c) 이 위치하는 연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배치 형성되는 것으로 하면,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각 도정부 (4b, 4c) 에는 각각의 최상부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상기 원료 호퍼 (47b, 47c) 의 입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하의 도정부를 높이 방향으로 근접하게 배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연좌식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의 대형화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복수의 정미 유닛 (3a ∼ 3c) 의 도정부 (4) 로서, 마찰식 도정부에 한정하지 않고, 연삭식 도정부, 절삭식 도정부 중 어느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횡축형 정미기는, 상기 복수의 정미 유닛 (3a ∼ 3c) 의 각각에, 마찰식 도정부, 연삭식 도정부 또는 절삭식 도정부 중 어느 것이 배치 형성되는 것으로 하면, 원료의 종류 (특정미, 찹쌀, 파보일미, 벼) 나 입형 (단립종, 중립종, 장립종), 가공 품위 레벨 (저품위, 일반 품위, 고급 품위) 에 따라 도정부의 형식을 용이하게 최적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미기는, 3 연좌식의 횡축형 정미기로 했지만, 원료의 종류나 입형, 가공 품위 레벨에 따라, 예를 들어 4 ∼ 6 연좌식 등 임의의 수의 연좌식 정미기로 하면, 상기 도정부의 형식을 보다 최적의 조합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두 쌀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했지만, 쌀 이외의 곡립에 대해서도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구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컴팩트한 횡축형 정미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 횡축형 정미기
2 : 베이스 가대
3 : 정미 유닛
4 : 도정부
41 : 도정 철망
42 : 주축
43 : 정백 롤
44 : 도정실
45 : 원료 공급통
47 : 원료 호퍼
49 : 미립 배출구
50 : 미립 배출통
50a : 미립 안내면
50b : 제 2 미립 안내면
51 : 저항 덮개
52 : 저항추
53 : 미립 배출통
54 : 제품 배출통
55 : 교반 돌기
56 : 조출 돌기
7 : 구동부
8 : 유닛 가대

Claims (6)

  1. 다공통 및 그 다공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 형성되는 정백 롤을 갖고, 상기 다공통과 상기 정백 롤 사이에 도정실이 형성되는 도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횡축형 정미기로서,
    상기 도정실의 일단측에는 원료 공급부가 형성되는 한편, 타단측에는 미립 배출통을 갖는 미립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이 상기 정백 롤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당해 미립 배출통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교차하는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에 미립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립 배출구에는 저항 덮개와 함께 미립 배출통이 배치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미립 배출통의 출구가,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다른 도정부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부의 입구에 면하도록, 복수의 상기 도정부가 엇갈리게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도정부는, 각 정백 롤의 중심축이 하나의 연직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중첩되어 있고, 하방에 배치 형성되는 도정부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부의 입구는, 상기 각 정백 롤의 중심축이 위치하는 연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축형 정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 배출통은 원통상으로서,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이 상기 정백 롤의 정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방향 경사상의 미립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횡축형 정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에 대향하는 측의 상기 미립 배출통의 둘레면이, 상기 정백 롤의 역회전 방향을 향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 2 미립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미립 안내면의 선단과 상기 제 2 미립 안내면의 선단 사이에 상기 미립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횡축형 정미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정부에는, 각각 마찰식, 연삭식 또는 절삭식 중 어느 것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횡축형 정미기.
  5. 삭제
  6. 삭제
KR1020150104297A 2014-07-26 2015-07-23 횡축형 정미기 KR102303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2457A JP6481280B2 (ja) 2014-07-26 2014-07-26 横軸型精米機
JPJP-P-2014-152457 2014-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943A KR20160012943A (ko) 2016-02-03
KR102303057B1 true KR102303057B1 (ko) 2021-09-15

Family

ID=5513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297A KR102303057B1 (ko) 2014-07-26 2015-07-23 횡축형 정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81280B2 (ko)
KR (1) KR102303057B1 (ko)
CN (1) CN1052685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30608A1 (en) * 2017-02-20 2020-07-23 Satake Corporation Horizontal grind-type grain cleaning machine
CN113181989B (zh) * 2021-04-29 2022-06-21 湖南省好运来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立式自动化大米去壳装置
CN113649099A (zh) * 2021-07-05 2021-11-16 王其山 一种有机大米精加工机
CN114210389A (zh) * 2021-12-17 2022-03-22 浙江云粮科技有限公司 一种降噪型一体式碾米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3138Y (zh) 1992-09-30 1993-10-06 东沟县新农农机厂 综合谷物加工机
JP2008029913A (ja) 2006-07-26 2008-02-14 Satake Corp 精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4275U (ko) * 1974-04-11 1975-11-05
JPS55132642A (en) * 1979-03-30 1980-10-15 Minoru Sangyo Box type riceecleaning machine that let rice pass once
JPS5735750U (ko) * 1980-07-29 1982-02-25
JPS6022939A (ja) * 1983-07-15 1985-02-05 株式会社 サタケ 精穀機の通風除糠装置
CN87205353U (zh) * 1987-11-18 1988-09-28 湖北拖车厂 共用风压源的分离式碾米粉碎机组
CN2272323Y (zh) * 1996-08-06 1998-01-14 济南市历城区粮油总公司 间歇筋式小麦脱皮机
CN2526078Y (zh) * 2002-01-30 2002-12-18 廖世奇 一种带内置式压力门的碾米机
CN2526079Y (zh) * 2002-04-13 2002-12-18 胡志刚 精米机
CN102641762A (zh) * 2012-05-02 2012-08-22 安陆市天丰粮油机械设备有限公司 左、右旋双辊大米抛光工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3138Y (zh) 1992-09-30 1993-10-06 东沟县新农农机厂 综合谷物加工机
JP2008029913A (ja) 2006-07-26 2008-02-14 Satake Corp 精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68504B (zh) 2019-09-06
KR20160012943A (ko) 2016-02-03
JP6481280B2 (ja) 2019-03-13
CN105268504A (zh) 2016-01-27
JP2016030221A (ja)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057B1 (ko) 횡축형 정미기
KR101575027B1 (ko) 교반 볼 분쇄기
JP5775600B2 (ja) ミル材料粉砕方法およびローラミル
US20100102151A1 (en) Method for a continuous dry milling operation of a vertical grinding mill and vertical grinding mill
JP6808991B2 (ja) 研削式横型精米機
JP2014039888A (ja) 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JPH07227550A (ja) 研削式竪型精穀機
CN210449386U (zh) 一种玉米浆生产用玉米研磨装置
KR102318178B1 (ko) 정미기
KR101670491B1 (ko) 쌀눈쌀 도정장치
KR101982395B1 (ko) 톱밥 분리배출장치
AT520269A1 (de) Zerkleinerungsvorrichtung für diverse Materialien
CN105149045A (zh) 循环撞击磨粉机组及使用撞击磨粉机的循环撞击磨粉方法
CN210753718U (zh) 一种米机出料降温装置
WO2020031848A1 (ja) 研削式竪型精穀機
CN219092165U (zh) 一种白刚玉生产用高速气流研磨装置
JP2008006321A (ja) 異物選別装置
CN220835960U (zh) 一种用于环保粉末涂料的磨粉设备
CN205182902U (zh) 一种振动无尘式磨筛机
KR102597517B1 (ko) 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미분을 공기순환 방식에 의해 분리하는 미분 분리장치
CN213669747U (zh) 一种医药颗粒剂生产用研磨装置
CN215142001U (zh) 一种矿石筛分设备
JP4546516B2 (ja) 精米機
US203930A (en) Improvement in grinding-mills
US308613A (en) Stephen hug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