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96051A1 -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및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및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96051A1
WO2017196051A1 PCT/KR2017/004781 KR2017004781W WO2017196051A1 WO 2017196051 A1 WO2017196051 A1 WO 2017196051A1 KR 2017004781 W KR2017004781 W KR 2017004781W WO 2017196051 A1 WO2017196051 A1 WO 20171960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osition
hyaluronic acid
soluble natural
natural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7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석진
오별님
Original Assignee
송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진 filed Critical 송석진
Publication of WO20171960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960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ion composition for molding fillers comprising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and water-soluble natural polymers.
  • Tissue engineering is a new field that has emerged as the demand for bio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due to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Based on the basic concepts and techniques of life science, medicine and engineering, tissue engineering is used to replace or regenerate damaged tissue. The goal is to enable the maintenance, improvement or restoration of biological function by making and implanting a surrogate.
  • porous biodegradable polymer scaffolds are widely used as templates for tissue repair.
  • the materials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support include polyglycolic acid (PGA), polylactic acid (PLA), polylactic acid-glycolic acid copolymer (PLGA), poly- ⁇ -caprolactone (PCL), polyamino acid, polyanhydride, Polyorthoesters, copolymers thereof, and the like are known.
  • PGA polyglycolic acid
  • PLA polylactic acid
  • PLGA polylactic acid-glycolic acid copolymer
  • PCL poly- ⁇ -caprolactone
  • polyamino acid polyanhydride
  • Polyorthoesters copolymers thereof, and the like
  • the polymer is a very useful material in the field of tissue engineering, it can be easily synthesized,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 any biodegradable polymers that release non-toxic degradation products can be used in tissue engineering, and polymers of this type are known to be suitable for preparing a carrier (matrix or scaffold).
  • Synthetic polymers most commonly used in tissue engineering are polyglycolic acid (PGA) and polylactic acid (PLA) and their copolymers, polylactic-glycolic acid (PLGA).
  • PGA polyglycolic acid
  • PLA polylactic acid
  • PLGA polylactic-glycolic acid
  • the advantage of such synthetic polymers is that the processability is excellent and the biodegradation period can be adjusted.
  • synthetic polymers have a disadvantage of inferior affinity with cells,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porous support using biodegradable polymers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m.
  • Pore-forming particles are a variety of particles, such as salts, effervescent salts, carbohydrates, hydrocarbon waxes, and is a method of forming pores by selectively melting or foaming the pore-forming particles in the polymer / solvent / pore-forming particle mixture.
  • emulsification / freeze drying, phase separation, expansion of critical liquid phases, and three-dimensional inkjet printing are also used.
  • Porous polymer scaffolds can be useful for tissue regeneration by inducing cell adhesion and differentiation, but these scaffolds are implanted into the body through surgical operations, which is a physical and economic burden on the patient. Therefore, a method of injecting a biodegradable polymer support by injection is developed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 a carrier In order to inject a porous polymer support by injection, a carrier is required, and such carriers are water-soluble natural polymers such as cellulose, chitosan, dextran, hyaluronic acid, pectin, alginic acid, agar, xanthan, beta-cyclodextrin, amylose, and the like. Salts and derivatives thereof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preferably hyaluronic acid may be used.
  • any water-soluble natural polymer capable of bio-injection and no toxicity and capable of acting as a matrix can be used without any limit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able composition us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aluronic acid (hyaluronic acid) is a polymer material that is present in a lot of soft tissues, specific skin or joints of the human body is a biocompatible material that has many biological functions in the human body to be.
  • hyaluronic acid is degraded by enzymes in the human body very quickly, it las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hyaluronic acid using cross-linking technology is applied to make a polymer having high utilization in human tissue. It is preferab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mposition of materials that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as injections for molding filler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that maximizes the tissue repair effec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jection composition for a molding filler.
  • the present invention is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Water-soluble natural polymers; It provides a injection composition for molding filler comprising; and purified water.
  • the injection composition for molding fill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the content of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2) the crosslinking rate of hyaluronic acid, and 3) the mixed concentration of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purified water under optimum conditions.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llagen content is significantly improved.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producing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image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microparticles prepared in Example 1 confirm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scale bar 30 ⁇ m).
  • the present invention is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Water-soluble natural polymers; It provides a injection composition for molding filler comprising; and purified water.
  • the raw material of the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is polyglycolic acid (PGA), polylactic acid (PLA), polylactic acid-glycolic acid copolymer (PLGA), poly- ⁇ -caprolactone (PCL), polyamino acid, polyanhydr Rides, polyorthoesters, and the like.
  • the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can be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manufacturing method.
  • step 1 Preparing a mother liquor by dissolving the biocompatibl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step 1);
  • step 2 Dissolving the surfactant in an aqueous solvent to prepare a continuous phase dispersion (step 2);
  • a part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space is separated by the porous permeable membrane is filled with the mother liquid of step 1, and the other part is filled with the continuous phase dispersion of step 2 (step 3);
  • the water-soluble natural polym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cellulose, chitosan, dextran, hyaluronic acid, pectin, alginic acid, agar, xanthan, beta-cyclodextrin, amylose, sal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and the like.
  • hyaluronic acid can be used.
  • any water-soluble natural polymer capable of bio-injectable and nontoxic and capable of acting as a matrix can be used without any limitation.
  • hyaluronic acid having a crosslinking rate of 3-5% (particularly 5%) as the water-soluble natural polymer, to improve tissue repair capacity and collagen content.
  •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natural polymer in the mixture of the water-soluble natural polymer and purified water is 2-3% by weight, which is advantageous for improving tissue repair power and collagen content.
  • the content of the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i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s 10-30% by weight (preferably 20-30% by weight), which is advantageous for improving tissue repair capacity and collagen content.
  • the injection composition for molding fillers for tissu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mixing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and water-soluble natural polymers and suspending or gelling water, or by dissolving water in water-soluble natural polymer powders. It can also be prepared by mixing the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 FIG. 1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producing porous microparticles for tissu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
  • a polymer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polylactic acid (PLA)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10,000 in a methylene chloride (MC) solution.
  • PLA polylactic acid
  • MC methylene chloride
  • Dispers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a surfactant (PVA, poly (vinyl alcohol)) in water.
  • PVA poly (vinyl alcohol)
  • Step 3 Fill the vessel with mother liquor and continuous phase dispersion
  • a part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space is separated by the porous permeable membrane is filled with the mother liquor of step 1, and the other part is filled with the continuous phase dispersion of step 2 (see FIG. 1).
  • the organic solvent that passed to the continuous phase dispersion was evaporated, and the obtained porous fine particles were washed with distilled water, filtered, and dried.
  • Hyaluronic acid (HA)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500 KDa was dissolved in sodium hydroxide solution to prepare a hyaluronic acid solution.
  • a crosslinking agent (BDDE: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was added to the hyaluronic acid solution and crosslinked at 40 ° C.
  • PBS buffer was added to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to neutralize the remaining cross-linking agent.
  •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produced by the preparation method may determine the crosslinking 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 cross-linked hyaluronic acid gel of a desired concentration may be prepared by adding water to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 the content of the injection composition for a molding filler for tissue re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 Example 3 consists of 10% by weight of the fine particles i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90% by weight of hyaluronic acid gel with a crosslinking rate of 3%, wherein the 3% hyaluronic acid gel with a crosslinking rate of 99% by weight of water and hyaluronic acid 1 weight percent.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insignificant, it was excluded.
  • Example Fine Particles (%) Hyaluronic acid gel Example Fine Particles (%) Hyaluronic acid gel % Crosslinking density(%) % Crosslinking density(%) 3 10 3 One 27 10 7 One 4 20 3 One 28 20 7 One 5 30 3 One 29 30 7 One 6 50 3 One 30 50 7 One 7 10 3 2 31 10 7 2 8 20 3 2 32 20 7 2 9 30 3 2 33 30 7 2 10 50 3 2 34 50 7 2 11 10 3 3 35 10 7 3 12 20 3 3 36 20 7 3 13 30 3 3 37 30 7 3 14 50 3 3 38 50 7 3 15 10 5 One 39 10 10 One 16 20 5 One 40 20 10 One 17 30 5 One 41 30 10 One 18 50 5 One 42 50 10 One 19 10 5 2 43 10 10 2 20 20 5 2 44 20 10 2 21 30 5 2 45 30 10 2 22 50 5 2 46 50 10 2 23 10 5 3 47 10 10 3 24 20 5 3 48 20 10 3 25 30 5 3 49 30 10 3 26 50 5 3 50 50 10 3
  • the shape of the microparticles was measured by taking an electron microscope (S-4300SE (Hitachi)) photograph (see Fig. 2).
  • the shape of the microparticle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 size suitable for administration in the body, the size of the particles are uniformly prepared can be more usefully used as a cell carrier for tissue repair And it was found.
  • the extrusion force and viscosity of the hyaluronic acid gel was adjusted by adding water to the prepared composition to adjust the concentration.
  • the extrusion force of the composition was measured using an extruder (BFG-500N (Mecmesin)) (see Table 2).
  • the extruding force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rosslinking rate of hyaluronic acid, and the gel was used with a hyaluronic acid having a crosslinking rate of 0 to 10% suitable for injection into the body without mixing into a porous biodegradable polymer.
  • a tissue repair composition of Example 3-50 To prepare a tissue repair composition of Example 3-50.
  • Example 3-50 Th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 3-50 was placed in a prefilled syringe and evaluated for ease of extrusion (see Table 3).
  • the example composition having high crosslinking rate, concentration and high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of hyaluronic acid was not suitable as a molding filler injection.
  • compositions suitable for injection in Experiment 3 of Example 3-50 were injected into SD rats, and tissue repair power and collagen content were evaluated after 0, 8, 16, and 24 weeks. .
  • the dose of injectables injected into mice was set to 0.5 mL by preliminary experiments and injected intradermally.
  • the composition was injected to take a picture of the volume of the tissue, and after sacrifice, collagen expression was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stry. Tissue volume and collagen expression were also confirmed 8, 16 and 24 weeks after injection (see Table 4).
  • Example Organizational resilience (%) Collagen content (score 0-10) Week 0 8 Weeks 16 Weeks 24 Weeks Week 0 8 Weeks 16 Weeks 24 Weeks 3 100 38 11 10 0 0 One One 4 100 38 42 43 0 5 7 7 5 100 44 41 42 0 6 6 7 6 100 45 12 11 0 One 3 2 7 100 42 18 11 0 0 One One 8 100 41 49 48 0 5 7 6 9 100 48 51 51 0 6 7 7 10 100 45 21 21 0 One 3 3 11 100 47 18 11 0 0 One One 12 100 46 52 51 0 6 5 7 13 100 42 55 54 0 6 7 7 14 100 48 23 24 0 One 3 3 15 100 45 40 39 0 0 One One 16 100 66 65 64 0 4 7 5 17 100 68 69 71 0 5 7 6 18 100 57 56 48 0 One 4 3 19 100 49 44 40 0 0 One One 20 100 67 77 76 0 4 6 7 21 100 68 75 76 0 5 7 7 22 100 54 52 49 0 One 4 4
  • tissue repair power and collagen production rate did not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issue repair microparticles or the crosslinking rate of hyaluronic acid.
  • the amount of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is 50% or more, an inflammatory reaction was observed in the tissue, and when the polymer particles were injected above a certain level, the tissue resilience was lowered as well as the inflammatory response was found.
  • hyaluronic acid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tissue repair period as the crosslinking rate increases, it was found that the hyaluronic acid gel that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of crosslinking rate lowers the tissue regeneration by microparticles,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gel As the number of tissue repair period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ore than a certain level, the tissue regeneration was lowered.
  • the composi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hyaluronic acid gel prepared in a concentration has an effect of showing a superior tissue repair ability and retention period as compared to the produc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or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lone component (Scultra, Juvidum).
  • the injection composition for molding fill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the content of porous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2) the crosslinking rate of hyaluronic acid, and 3) the mixed concentration of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purified water under optimum conditions. And sin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llagen content is significantly improved, it may be useful as an injection composition for molding fill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및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은 1)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함량, 2)히알루론산의 가교율, 3)가교 히알루론산 및 정제수의 혼합 농도를 최적 조건으로 조합함에 따라서, 조직수복력 및 콜라겐 함량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및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본 발명은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및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직 공학(tissue engineering)이란 노령인구 증가에 의한 생체재료 수요 증가 및 과학의 발달로 등장한 새로운 분야로서 생명과학, 의학 및 공학의 기본개념과 기술을 바탕으로 손상된 조직을 대체하거나 재생시키기 위해 생체조직의 대용품을 만들어 이식함으로써 생체 기능의 유지, 향상 또는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조직 공학은 생체적합성 생체재료 소재 개발, 세포배양 지지체 개발, 줄기세포 배양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 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생체적합성 생체재료를 이용하여 개발중인 지지체는 스펀지 형태, 겔 상태, 필름 형태 등으로 진행 되고 있으나 산업화를 위한 대량공정 개발의 한계 등으로 극히 일부만 산업화로 진행 중인 실정이다.
생체적합성 생체재료 소재로서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Scaffold)는 조직수복을 위한 주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의 재료로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락트산(PLA),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 폴리-ε-카프로락톤(PCL), 폴리아미노산,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PGA, PLA, PLGA 등만이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인체에 사용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로 승인되어 인체 조직의 체내 재생을 위한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는 조직공학 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재료로서 합성이 손쉽게 가능하고, 여러 가지 크기나 모양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화학적, 물리적 성질을 사용 용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비독성 분해산물을 방출하는 어떠한 생분해성 고분자들이 조직공학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용도의 고분자들 중 폴리에스터 계통의 고분자들이 담체(matrix 혹은 scaffold) 제작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조직공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성 고분자는 폴리글리콜산(PGA)과 폴리락트산(PLA) 그리고 이들의 공중합체인 폴리락트-글리콜산(PLGA)이다. 이러한 합성고분자의 장점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생분해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합성고분자는 세포와의 친화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져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지지체의 충분한 세포 접착밀도, 세포증식 및 분화를 위한 영양 및 산소공급의 촉진시키기 위해 공극간 연결이 우수한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그 중에서 공극형성입자 침출법(porogen leaching)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공극형성입자는 염, 발포성염, 탄수화물, 탄화수소 왁스등 다양한 입자가 활용되며, 고분자/용매/공극형성입자 혼합물에서 공극형성입자를 선택적으로 녹여 내거나 발포시켜 공극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그 외 유화/동결건조, 상분리법, 임계 액체상의 팽창, 3차원 잉크제트 프린팅 등의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A. G. Mikos, G. Sarakinos, S. M. Leite, J. P. Vacanti, R. Langer, Biomaterials, 14(1993) 323-330; Z. Ma, C. Gao, Y. Gong, J. Biomed. Mater. Res. 67B (2003) 610-617; A. Park, B. Wu, L.G. Griffith, J. Biomater. Sci. Polym. Ed. 9 (1998) 89-110).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세포의 접착과 분화를 유도하여 조직 재생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런 지지체는 외과적 수술을 통해 체내에 이식되기 때문에 환자에 신체적, 경제적 부담이 된다. 따라서,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시술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를 주사형으로 주입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주사형으로 주입하기 위해서는 담체가 필요로하며, 이러한 담체로 수용성 천연고분자인 셀룰로오스, 키토산, 덱스트란, 히알루론산, 펙틴, 알긴산, 아가, 잔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아밀로즈, 이들의 염, 이들의 유도체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주입 가능하면서 독성이 없고 매트릭스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수용성 천연고분자라면 아무런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교 히알루론산을 사용한 주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이란 인체의 연조직, 특이 피부나 관절에 많이 존재하는 고분자 물질로써 인체내에서 많은 생물학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 생체적합성 소재이다. 하지만, 히알루론산은 인체내에서 효소(enzyme)에 의한 분해속도가 무척 빨라서 일정기간 동안 지속시키며, 인체 조직에서의 이용률을 높인 고분자를 만들기 위해 가교(cross-linking) 기술을 적용한 히알루론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에 성형필러용 주사제로 사용되어온 소재들의 복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조직 수복효과를 극대화 시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공보 10-0801194호
등록특허공보 10-1105292호
등록특허공보 10-1481441호
등록특허공보 10-1239037호
공개특허공보 10-2010-00460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수용성 천연고분자;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은 1)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함량, 2)히알루론산의 가교율, 3)가교 히알루론산 및 정제수의 혼합 농도를 최적 조건으로 조합함에 따라서, 조직수복력 및 콜라겐 함량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미세입자의 크기 및 형태를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이미지이다(스케일바 30㎛).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성형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본 발명은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수용성 천연고분자;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원료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락트산(PLA),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 폴리-ε-카프로락톤(PCL), 폴리아미노산,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는 하기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유기용매에 녹여 모액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계면활성제를 수성 용매에 녹여 연속상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다공성 투과막으로 공간이 분리되는 용기의 일부에는 상기 단계 1의 모액을 충전하고, 다른 일부에는 상기 단계 2의 연속상 분산액을 충전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연속상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모액에 불활성 가스 주입을 통해 압력을 가하여, 다공성 투과막의 기공을 통해 모액을 다공성 미세입자 형태로 연속상 분산액에 분산하는 단계(단계 4); 및
연속상 분산액으로 넘어온 유기용매를 증발시키고, 얻어진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를 세척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는 셀룰로오스, 키토산, 덱스트란, 히알루론산, 펙틴, 알긴산, 아가, 잔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아밀로즈, 이들의 염, 이들의 유도체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주입가능하면서 독성이 없고 매트릭스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수용성 천연고분자라면 아무런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는 3-5%(특히 바람직하게는 5%)의 가교율을 갖는 히알루론산을 사용하는 것이, 조직수복력 및 콜라겐 함량 향상에 유리하다.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와 정제수의 혼합물에서 수용성 천연고분자의 농도는 2-3 중량%인 것이, 조직수복력 및 콜라겐 함량 향상에 유리하다.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서 상기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함량은 10-30 중량%(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인 것이, 조직수복력 및 콜라겐 함량 향상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수복을 위한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은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와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혼합하고 물을 넣어 현탁 또는 겔화 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수용성 천연고분자 분말에 물을 넣어 용해한 후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를 넣어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조직수복용 다공성 미세입자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조직수복용 다공성 미세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단계 1: 모액의 준비
평균분자량이 110,000인 폴리락트산(PLA)을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MC) 용액에 녹여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2: 연속상 분산액의 준비
계면활성제(PVA, poly(vinyl alcohol))를 물에 녹여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용기에 모액 및 연속상 분산액을 충전
다공성 투과막으로 공간이 분리되는 용기의 일부에는 상기 단계 1의 모액을 충전하고, 다른 일부에는 상기 단계 2의 연속상 분산액을 충전하였다(도 1 참조).
단계 4: 다공성 미세입자를 형성
상기 연속상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모액에 질소 가스 주입을 통해 압력을 가하여, 다공성 투과막의 기공을 통해 모액을 다공성 미세입자 형태로 연속상 분산액에 분산하였다.
단계 5: 유기용매 제거 및 세척
연속상 분산액으로 넘어온 유기용매를 증발시키고, 얻어진 다공성 미세입자를 증류수로 세척 및 여과한 다음,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수용성 천연고분자인 가교 히알루론산의 제조
단계 1: 히알루론산 용액 제조
평균 분자량이 1500 KDa인 히알루론산(HA)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녹여 히알루론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2: 가교 반응
히알루론산 용액에 가교제(BDDE :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를 첨가하여 40℃에서 가교 시켰다.
단계 3: 정제
가교된 히알루론산에 PBS 완충용액을 넣어 잔여 가교제를 제거하며 중화하였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가교 히알루론산은 가교제의 양에 따라 가교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에 물을 첨가하여 원하는 농도의 가교 히알루론산 겔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3-50>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조직수복을 위한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 중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세입자의 중량%,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수용성 천연고분자인 히알루론산 겔의 가교율(%), 그리고 물과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히알루론산 겔에서 히알루론산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을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서 미세입자 10 중량%, 가교율 3%의 히알루론산 겔 90 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가교율 3%의 히알루론산 겔은 물 99 중량% 및 히알루론산 1 중량%로 이루어진다. 단, 여기서 가교제의 함량은 미미하므로 제외하였다.
실시예 미세입자(%) 히알루론산 겔 실시예 미세입자(%) 히알루론산 겔
가교율(%) 농도(%) 가교율(%) 농도(%)
3 10 3 1 27 10 7 1
4 20 3 1 28 20 7 1
5 30 3 1 29 30 7 1
6 50 3 1 30 50 7 1
7 10 3 2 31 10 7 2
8 20 3 2 32 20 7 2
9 30 3 2 33 30 7 2
10 50 3 2 34 50 7 2
11 10 3 3 35 10 7 3
12 20 3 3 36 20 7 3
13 30 3 3 37 30 7 3
14 50 3 3 38 50 7 3
15 10 5 1 39 10 10 1
16 20 5 1 40 20 10 1
17 30 5 1 41 30 10 1
18 50 5 1 42 50 10 1
19 10 5 2 43 10 10 2
20 20 5 2 44 20 10 2
21 30 5 2 45 30 10 2
22 50 5 2 46 50 10 2
23 10 5 3 47 10 10 3
24 20 5 3 48 20 10 3
25 30 5 3 49 30 10 3
26 50 5 3 50 50 10 3
<실험예 1> 다공성 미세입자의 형태 및 크기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세입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폴리락트산(PLA) 미세입자를 대상으로 형태 및 크기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미세입자의 형태는 전자현미경(S-4300SE(Hitachi)) 사진을 촬영하여 측정하였다(도 2 참조).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세입자의 형태는 체내에 투여하기 적합한 크기였으며,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게 제조되어 조직수복용 세포 전달체로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가교 히알루론산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가교 및 비가교 히알루론산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조성물에 물을 넣어 농도를 조절한 히알루론산 겔의 압출력 및 점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성물의 압출력은 압출력기(BFG-500N(Mecmesi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표 2 참조).
가교율 (%) 농도 (%) 압출력 (N)
0 2 1
3 2 5
5 2 11
7 2 18
10 2 22
15 2 29
20 2 33
30 2 4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알루론산의 가교율에 따라 압출력이 증가하였고, 다공성의 생분해성 고분자와 혼합하여 주사제로서 체내에 무리 없이 주사하기 적합한 가교율 0~10%의 히알루론산을 겔을 사용하여 실시예 3-50의 조직수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성형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3-50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프리필드 시린지에 넣고 압출이 용이한지 평가하였다.(표 3 참조).
실시예 압출테스트 실시예 압출테스트 실시예 압출테스트 실시예 압출테스트
3 15 27 39
4 16 28 40
5 17 29 41
6 18 30 42
7 19 31 43
8 20 32 44
9 21 33 X 45 X
10 22 34 X 46 X
11 23 35 47
12 24 36 48
13 25 37 X 49 X
14 26 38 X 50 X
표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알루론산의 가교율, 농도 및 다공성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조성물은 성형필러 주사제로서 적합하지 않았다.
<실험예 4> 성형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의 조직수복력 평가
상기 실시예 3-50 중 실험예 3에서 주사제로 적합한 40개의 조성물의 조직수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D rat에 조성물을 주입하고 0, 8, 16, 24 주 후 조직수복력 및 콜라겐 함량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에 주입가능한 주사제 용량을 예비실험을 통해 0.5mL로 설정하여, 피내에 주입하였다. 주입 직후 조성물을 주입된 조직을 사진 촬영하여 부피를 측정하고, 희생한 후 면역조직화학적검사를 통해 콜라겐 발현을 확인하였다. 주입 8, 16, 24주 후에도 동일하게 조직의 부피와 콜라겐 발현을 확인하였다(표 4 참조).
실시예 조직수복력(%) 콜라겐함량(score 0-10)
0주 8주 16주 24주 0주 8주 16주 24주
3 100 38 11 10 0 0 1 1
4 100 38 42 43 0 5 7 7
5 100 44 41 42 0 6 6 7
6 100 45 12 11 0 1 3 2
7 100 42 18 11 0 0 1 1
8 100 41 49 48 0 5 7 6
9 100 48 51 51 0 6 7 7
10 100 45 21 21 0 1 3 3
11 100 47 18 11 0 0 1 1
12 100 46 52 51 0 6 5 7
13 100 42 55 54 0 6 7 7
14 100 48 23 24 0 1 3 3
15 100 45 40 39 0 0 1 1
16 100 66 65 64 0 4 7 5
17 100 68 69 71 0 5 7 6
18 100 57 56 48 0 1 4 3
19 100 49 44 40 0 0 1 1
20 100 67 77 76 0 4 6 7
21 100 68 75 76 0 5 7 7
22 100 54 52 49 0 1 4 4
23 100 55 44 38 0 0 1 1
24 100 64 71 72 0 3 5 7
25 100 68 69 74 0 4 5 8
26 100 54 53 49 0 1 4 5
27 100 64 58 45 0 0 0 0
28 100 66 55 43 0 0 1 2
29 100 67 54 45 0 0 1 2
30 100 65 58 44 0 0 1 1
31 100 68 58 50 0 0 0 0
32 100 67 58 49 0 0 0 1
35 100 69 54 51 0 0 0 0
36 100 68 56 51 0 0 0 1
39 100 68 58 50 0 0 0 0
40 100 67 58 49 0 0 0 1
41 100 68 55 51 0 0 0 1
42 100 69 58 51 0 0 0 1
43 100 69 59 49 0 0 0 0
44 100 70 61 51 0 0 0 1
47 100 75 67 54 0 0 0 1
48 100 76 65 52 0 0 0 1
쥬비덤(HA필러) 100 48 10 8 0 1 1 1
스컬트라(PLA 필러) 100 21 10 15 0 3 5 3
표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상과 달리 조직수복용 미세입자의 양이나 히알루론산의 가교율에 비례하여 조직수복력 및 콜라겐 생성률이 증가하지 않았다.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양이 50% 이상인 경우 조직내에 염증 반응이 관찰되어, 고분자 입자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주입시 조직수복력을 낮추는 것 뿐아니라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가교율이 증가할수록 조직수복기간은 증가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지만, 가교율 일정수준 이상으로 높은 히알루론산 겔은 미세입자에 의한 조직재생력을 낮추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히알루론산 겔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조직수복 기간이 증가하다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조직재생력을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총 조성물 중에서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를 10-30 중량%(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 및 3-5% 가교시킨 히알루론산을 물과 혼합하여 2-3 중량% 농도로 준비한 히알루론산 겔 잔량을 혼합한 조성물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가교 히알루론산 단독 성분의 제품(스컬트라, 쥬비덤) 대비 우수한 조직수복력과 유지기간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은 1)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함량, 2)히알루론산의 가교율, 3)가교 히알루론산 및 정제수의 혼합 농도를 최적 조건으로 조합함에 따라서, 조직수복력 및 콜라겐 함량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수용성 천연고분자;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원료는 폴리글리콜산(PGA), 폴리락트산(PLA),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 폴리-ε-카프로락톤(PCL), 폴리아미노산, 폴리안하이드라이드 및 폴리오르쏘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는 셀룰로오스, 키토산, 덱스트란, 히알루론산, 펙틴, 알긴산, 아가, 잔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아밀로즈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수용성 천연고분자는 히알루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는 3-5%의 가교율을 갖는 히알루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와 정제수의 혼합물에서 수용성 천연고분자의 농도는 2-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서 상기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함량은 10-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서 상기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의 함량은 20-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CT/KR2017/004781 2016-05-09 2017-05-08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및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WO201719605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534 2016-05-09
KR20160056534 2016-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6051A1 true WO2017196051A1 (ko) 2017-11-16

Family

ID=6026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781 WO2017196051A1 (ko) 2016-05-09 2017-05-08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및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9661B1 (ko)
WO (1) WO2017196051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7143A (zh) * 2020-01-14 2021-07-16 北京四环制药有限公司 透明质酸用于制备降低plla注射刺激性的组合物中的应用
CN113209370A (zh) * 2020-01-21 2021-08-06 北京四环制药有限公司 可生物降解的注射填充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N113769174A (zh) * 2021-09-16 2021-12-10 上海玮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含左旋聚乳酸的透明质酸复合微球及其制备方法
CN114099771A (zh) * 2020-08-27 2022-03-01 杭州协合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含混合聚合物微球的梯度注射剂
CN114904049A (zh) * 2022-05-31 2022-08-16 山东柏佳薇生物科技有限公司 含透明质酸和胶原蛋白的聚己内酯微球凝胶及其制备方法
CN115737918A (zh) * 2022-11-04 2023-03-07 上海玮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注射复合微球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49A (ko) 2018-10-25 2020-05-07 (주)뉴크레이티브랩 혼합상 히알루론산 제조방법
KR102489403B1 (ko) 2018-10-29 2023-01-17 엠앤에이치바이오 주식회사 신규한 스트렙토코커스 속 ubc-u4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생산 방법
KR102201482B1 (ko) * 2019-07-29 2021-01-13 주식회사 피움바이오 주입력이 우수한 가교된 히알루론산 기반 기능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94407B1 (ko) * 2020-01-21 2020-03-31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하이브리드 하이드로젤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제조 방법, 및 하이브리드 하이드로젤
KR102403554B1 (ko) * 2021-08-04 2022-06-02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가 함유된 히알루론산 기반 하이브리드 하이드로젤 더말필러용 주사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71675A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바임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용 필러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6382A1 (en) * 2006-11-29 2008-06-05 Cam Aesthetics B.V. I.O. Carboxymethyl cellulose-stabilised tissue filler and its preparation and use
KR20110075618A (ko) * 2009-12-28 2011-07-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사 주입이 용이한 다공성 미세입자 필러 시스템
US20130060230A1 (en) * 2011-08-19 2013-03-07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jectable fillers for aesthetic medical enhancement and for therapeutic applications
KR20150108956A (ko) * 2014-03-18 2015-10-0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다공성 고분자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직공학용 생분해성 재료
KR101590313B1 (ko) * 2013-03-26 2016-02-01 주식회사 나이벡 콜라겐으로 구성된 주입형 피하조직재생용 바이오소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895B1 (ko) * 2008-12-12 2011-11-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사 주입이 용이한 미세입자 필러 시스템
KR102275105B1 (ko) * 2013-09-09 2021-07-09 주식회사 휴메딕스 고밀도 망상구조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5312B1 (ko) * 2015-12-04 2016-12-14 비엘엔에이치 주식회사 다공성 미세 입자 상태의 조직수복용 생분해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성형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660211B1 (ko) * 2016-06-07 2016-09-26 동국제약 주식회사 단일상과 이성상의 특성을 동시에 갖는 히알루론산 가교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6382A1 (en) * 2006-11-29 2008-06-05 Cam Aesthetics B.V. I.O. Carboxymethyl cellulose-stabilised tissue filler and its preparation and use
KR20110075618A (ko) * 2009-12-28 2011-07-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사 주입이 용이한 다공성 미세입자 필러 시스템
US20130060230A1 (en) * 2011-08-19 2013-03-07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jectable fillers for aesthetic medical enhancement and for therapeutic applications
KR101590313B1 (ko) * 2013-03-26 2016-02-01 주식회사 나이벡 콜라겐으로 구성된 주입형 피하조직재생용 바이오소재
KR20150108956A (ko) * 2014-03-18 2015-10-0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다공성 고분자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직공학용 생분해성 재료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7143A (zh) * 2020-01-14 2021-07-16 北京四环制药有限公司 透明质酸用于制备降低plla注射刺激性的组合物中的应用
CN113117143B (zh) * 2020-01-14 2023-11-28 渼颜空间(河北)生物科技有限公司 透明质酸用于制备可生物降解的聚合物微粒制剂的应用
CN113209370A (zh) * 2020-01-21 2021-08-06 北京四环制药有限公司 可生物降解的注射填充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N113209370B (zh) * 2020-01-21 2023-11-28 渼颜空间(河北)生物科技有限公司 可生物降解的注射填充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N114099771A (zh) * 2020-08-27 2022-03-01 杭州协合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含混合聚合物微球的梯度注射剂
CN113769174A (zh) * 2021-09-16 2021-12-10 上海玮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含左旋聚乳酸的透明质酸复合微球及其制备方法
CN114904049A (zh) * 2022-05-31 2022-08-16 山东柏佳薇生物科技有限公司 含透明质酸和胶原蛋白的聚己内酯微球凝胶及其制备方法
CN115737918A (zh) * 2022-11-04 2023-03-07 上海玮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注射复合微球及其制备方法
CN115737918B (zh) * 2022-11-04 2024-02-02 上海玮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注射复合微球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661B1 (ko) 2018-12-17
KR20170126416A (ko) 201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6051A1 (ko)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및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WO2016209062A1 (en) Two-component bioink, 3d biomateria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TWI412384B (zh) 可吸收性聚醚酯及其於製備藥用植入體之用途
KR100751733B1 (ko) 겔 방사 성형법을 이용한 조직공학용 다공성 고분자지지체의 제조 방법
WO2014168307A1 (ko) 지혈 및 상처치유용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폼 및 그의 제조방법
Kang et al. Novel porous gelatin scaffolds by overrun/particle leaching proces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Mi et al. Properties and fibroblast cellular response of soft and hard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ectrospun nanofibrous scaffolds
WO2015068884A1 (ko)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천연가교를 통한 고무성질의 물성이 강화된 생체재료물질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사용방법
WO2019022502A1 (ko)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Chen et al. Organic solvent free preparation of porous scaffolds based on the phase morphology control using supercritical CO2
WO2015008877A1 (ko) 단일공정에 의한 이중층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이중층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CN111040138A (zh) 一种基于挤出技术的聚己内酯支架材料的制备方法
WO2016122080A2 (ko) 다공성 고분자 재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소재
Tang et al. Agarose/collagen composite scaffold as an anti-adhesive sheet
WO2023282413A1 (ko) 고팽윤성 히알루론산 비드 겔
CN106693067A (zh) 一种自愈合无模板多孔支架的制备
WO2021066361A2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다공성 고분자 인공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ppi et al. Additive manufacturing of PHA
WO2022124508A1 (ko)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A2219399A1 (en) Bulk formation of monolithic polysaccharide-based hydrogels
KR100499096B1 (ko) 조직공학용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방법
WO2022085811A1 (ko) 필러 및 필러 제조 방법
EP1265952A1 (en) Microporous polymer matrices
KR101881087B1 (ko) 고탄성을 갖는 생분해성 3차원 구조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고탄성을 갖는 생분해성 3차원 구조물
WO2017171313A1 (ko) 고분자 재생막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963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4/03/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963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