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69425A1 -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를 갖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 Google Patents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를 갖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69425A1
WO2017069425A1 PCT/KR2016/010931 KR2016010931W WO2017069425A1 WO 2017069425 A1 WO2017069425 A1 WO 2017069425A1 KR 2016010931 W KR2016010931 W KR 2016010931W WO 2017069425 A1 WO2017069425 A1 WO 20170694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polymer
emulsifier
saponifica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9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흥권
육경석
이정래
이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680024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531970B/zh
Priority to US15/565,218 priority patent/US11124639B2/en
Priority to EP16857683.3A priority patent/EP3263642B1/en
Publication of WO20170694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694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28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cat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nyl chloride polymer having a high viscosity in the low shear region and exhibits a property of decreasing viscosity and stress with increasing shear rate,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plastisol comprising the same.
  • Vinyl chloride-based polymer is a resin containing 50% or more of vinyl chloride, it is inexpensive, easy to control the hardness and can be applied to most processing equipment has a variety of applications.
  • molded articles having excell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strength, weather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etc. can be provided, and thus they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 Such vinyl chloride polymers are prepar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 a vinyl chloride polymer for spray processing such as an extrusion process, a calendar process, an injection process, etc.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 a vinyl chloride polymer for paste processing such as dipping, spraying or coating is produc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 the paste processing is generally performed by spray drying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for paste processing obtain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to form final resin particles, and th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solvent or a plasticizer to be coated (reverse roll-coating, knife). coatings, screen coatings, spray coatings, gravure and csreen printing, rotary casting, shell casting and dipping, It is applied to products such as gloves, automotive underbody coatings, sealants and carpet tiles.
  • Such a vinyl chloride polymer for processing a paste is difficult to apply due to its low processability alone, and is usually used in the form of a plastisol composed of various additives such as a heat stabilizer together with a plasticizer. It is important to keep the flowability good by lowering the viscosity of the styrene.
  • the coating is applied to the adherend through spray coating and then subjected to a drying process.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has fluidity and aggregates into droplets or leaves the deposit.
  • the coating thickness is nonuniform, and a vinyl chloride polymer is shallowly formed at a specific site, thereby causing a defect.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in order to use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in the sealant or automotive underbody coating through paste processing, for example, a coating process using spray coating, it exhibits high viscosity in the region of low shear rate or zero shear rate, and the shear rate increases.
  •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apable of exhibiting a property of decreasing viscosity and stres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vinyl chloride polymer having a high viscosity characteristics in the low shear region and exhibits a Bingham fluid (Bingham fluid) flow characteristics of reducing the viscosity and stress as the shear rate increases It aims to provid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tisol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ntaining 0.5 parts by weight to 2.0 parts by weight of saponification emulsifi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mer, wherein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is a fatty acid having at least 12 carbon atom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rising the step of emulsion polymerization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in the presence of a saponification emulsifier,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is a fatty acid having 12 or more carbon atom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tisol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 the vinyl chloride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high viscosity characteristics in a low shear region by including a saponification emulsifier, and exhibit a Bingham fluid flow characteristic in which viscosity and stress decrease as the shear rate increases. Can be.
  • the method for produc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prepared by the emul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a saponification emulsifier in a certain ratio,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prepared therein Bingham fluid flow characteristics can be exhibited, making it easy to use in spray coating processes.
  • the vinyl chloride polymer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industries that require it, such as the vinyl chloride resin industry for paste processing.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stress change according to the shear rate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of Examples 1 to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stress according to the shear rate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4 to 6 compared to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of Examp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500 L high-pressure reactor was charg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ed water, 0.02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0.062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persulfate and 1.25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seed having a particle size of 0.6 ⁇ m, and then vacuum was applied to the reactor while stirring.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was added to the reactor in a vacuum state,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54 ° C to initiate polymerization. After the polymerization was initiated, 0.6 parts by weight of saponified myristic acid was continuously fed to the reactor for 6 hours.
  • the reaction was terminat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85%, and the unreacted vinyl chloride monomer was recovered and removed to obtain a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 the latex obtained was spray dried to obtain a powdered vinyl chloride polymer (average particle size 0.28 mu m).
  • the saponified myristic acid was prepared by sequentially adding 1.007 mol of myristic acid and 1 mol of potassium hydroxide in a molar ratio to deionized water for 1 hour at 70 ° C., and an acidity (pH) of 11.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aponified palmitic and stearic acid mixture (6: 4 molar ratio) was used instead of the saponified myristic acid.
  • the saponified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mixture is prepared by sequentially adding 1.007 mol of dimitic acid and stearic acid mixture (6: 4 molar ratio) and 1 mol of potassium hydroxide to deionized water at 70 ° C. for 1 hour, Acidity (pH) was 11.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palmitic acid to stearic acid in the saponified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mixture was 4: 6.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aponified lauric acid was used instead of saponified myristic acid.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aponified myristic acid having an acidity (pH) of 10 was used. At this time, the saponified myristic acid was prepared by sequentially adding 1.075 mol of myristic acid and 1 mol of potassium hydroxide to deionized water for 1 hour at 70 ° C.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aponified myristic acid having an acidity (pH) of 12 was used. At this time, the saponified myristic acid was prepared by sequentially adding 0.997 mol of myristic acid and 1 mol of potassium hydroxide to deionized water for 1 hour at 70 ° C.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odium lauryl sulfate was used in place of saponified myristic acid.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stead of saponified myristic acid, myristic acid that had not been saponified was used.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aponified myristic acid having an acidity (pH) of 9.5 was used instead of a saponified myristic acid having a pH of 10 (pH).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stead of saponified myristic acid having a pH of 10 and a saponified myristic acid having a pH of 12.5.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aponified caprylic acid was used instead of saponified myristic acid.
  • a vinyl chloride polym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aponified arachidic acid was used instead of saponified myristic acid.
  • th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PLC (Agilent 1100 series HPLC Value System, Agilent Technologies, Inc.) equipped with a diode array detector (DAD), and the content of saponification emulsifier was confirmed by mass spectrometry detection (MSD). .
  • HPLC Agilent 1100 series HPLC Value System, Agilent Technologies, Inc.
  • DAD diode array detector
  • MSD mass spectrometry detection
  • the vinyl chloride polymer of Examples 1, 5 and 6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saponification emulsifier.
  • each plastisol was prepared by stirring 100 g of each vinyl chloride polymer and 120 g of dioctylphthalate (DOP) at 800 rpm using a Werke mixer (EUROSTAR IKA) for 10 minutes.
  • DOP dioctylphthalate
  • Each plastisol was measured using a Rheometer (AR2000EX peltier plate, TA Instruments Co., Ltd.) to measure a 40 mm paraller plate and a measuring gap of 500 ⁇ m.
  • the measurement is the first step to adjust the shear rate to 10 s-1 for 30 seconds, the second step to raise the shear rate from 10 s-1 to 500 s-1 for 120 seconds, the shear rate from 500 s-1 to 180 seconds Three stages of holding and four stages of lowering the shear rate from 500 s-1 to 10 s-1 for 120 seconds.
  • Example 1 159 641 ⁇ 300
  • Example 2 183 663 ⁇ 300
  • Example 4 99 735 ⁇ 300
  • Example 6 203 606 ⁇ 300 Comparative Example 1 99 1013 ⁇ 300 Comparative Example 2 - - Polymer not formed Comparative Example 3 - - 32 sec Comparative Example 4 123 566 ⁇ 300 Comparative Example 5 39 565 ⁇ 300 Comparative Example 6 263 1086 ⁇ 300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s of Examples 1 to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low latex stability as compared to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6 in comparison. It was confirmed that high viscosity properties were shown in the shear region and relatively low viscosity properties in the high shear region.
  • the stress is represented by the viscosity with respect to the shear rate, for examp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shear rate and viscosity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 yield stress indicates a limit stress value for causing a flow, and a higher yield stress indicates a higher viscosity.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of Comparative Example 1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general emulsifier without using the saponified fatty ac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shear region compared to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of Examples 1 to 6. Yield stress was lowered up to 47%, and stress in the high shear region was found to be at least 137% and up to 183%. This shows that the vinyl chloride polymers of Examples 1 to 6 a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low shear region compared to the vinyl chloride polymer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hibit relatively low viscosity characteristics in the high shear region.
  • the vinyl chloride polymer of Comparative Example 4 prepared using a saponification emulsifier but using a saponification emulsifier (pH 12.5 safflower myristic acid) outside the pH range sugge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nyl chloride polymer of Example 6 (pH In the high shear region, similar stresses were observed in the high shear region, but the yield stress was significantly lower (60%) in the low shear region. That is, the vinyl chloride polymer of Example 6 exhibited a significantly higher viscosity characteristic in the low shear region than the vinyl chloride polymer of Comparative Example 4, and showed similar low viscosity characteristics in the high shear region.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s of Comparative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6 prepared using a saponified emulsifier but having a fatty acid less than the carbon number range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in a low shear region compared to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of Example 1, respectively. It showed a significantly low yield stress or a markedly elevated stress in the high shear region.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of 3 could not measure the stres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ear region because the polymer chain was not properly 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nyl chloride polymer capable of expressing high viscosity flow characteristics in the low shear region.
  • Vinyl chloride-based polymers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and are manufactured and used for spray processing or paste processing according to their application fields. Vinyl chloride-based polymers for paste processing are made into plastisols by dispersing them in solvents or plasticizers and then used in various products such as sealants or automotive underbody coatings through processes such as spray coating.
  • the coating is non-uniform and the coating is nonuniform and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is shallowly formed at a specific site before the coating and drying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has a fluid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that can exhibit high viscosity characteristics in a low shear region or a region where the shear rate is zero, and can exhibit a flow characteristic in which viscosity and stress decrease as the shear rate increases.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0.5 part by weight to 2.0 parts by weight of saponification emulsifi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tty acid having 12 or more carbon atoms. .
  • the vinyl chloride polymer may be prepa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below using a vinyl chloride monomer. That is, the vinyl chloride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nyl chloride monomer derived unit and saponification emulsifier.
  • the term “derived unit” may refer to a structure or component generated by a material or to any material itself.
  • the vinyl chloride monomer-derived unit may be a structure or component derived from a vinyl chloride monomer or may represent a vinyl chloride monomer itself.
  • the vinyl chloride monomer may mean pure vinyl chloride monomer alone, or may mean a mixture of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inyl monomer copolymerizable thereto. That is, the vinyl chloride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nit derived from vinyl chloride alone, or may include a unit derived from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inyl monomer mixture copolymerizable therewith. If the vinyl chloride monomer derived unit is a unit derived from the mixture, 50% or more of vinyl chloride may be included.
  • the vinyl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vinyl chloride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vinyl esters such as olefin compounds such as ethylene, propylene and buten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and vinyl stearate,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vinyl alkyl ethers such as vinyl methyl ether, vinyl ethyl ether, vinyl octyl ether, vinyl lauryl ether, vinylidene halides such as vinylidene chloride,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Unsaturated fatty acid esters such as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and itaconic anhydride, anhydrides of these fatty acid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monomethyl maleate, dimethyl maleate and butylbenzyl maleate , A crosslinkable monomer such as diallyl phthalate
  • the saponified emul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atty acid having a carbon number of 12 or more, as described above, and may have an acidity (pH) of 10 to 12.
  • the term “acidity (pH)” is a measure of the acidity of a substance, and expresses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as an index.
  • the acidity may be indicative of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may be 90% or more.
  • the acidity (pH) of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is less than 10, the saponification of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may be in a poor state, and may be aggregated without being dispersed in the vinyl chloride polymer including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processability of the polymer may be lowered.
  • the acidity (pH) of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is more than 12, the polymer chain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including the same may not be formed properly.
  • the fatty acid may be a straight chain or branched chain, specifically, may be a fatty acid having 14 to 18 carbon atoms. More specifically, the fatty aci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0.5 to 2.0 parts by weight of saponification emulsifi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as described above.
  •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may be present in the dispersed phase in the vinyl chloride polymer.
  • the term "dispersed phase” refers to a phase constituting the particles when divided into a phase constituting the particles and a phase (continuous phase)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lloidal dispersion system
  • the vinyl chloride polymer may be one in which the vinyl chloride monomer-derived unit is present in a continuous phase, and a saponification emulsifier is present in a dispersed phase.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high viscosity in a low shear region or a region where shear rate is zero by including a saponification emulsifi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 the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emulsion polymerization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in the presence of saponification emulsifier.
  •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may be a fatty acid having 12 or more carbonized carbon as described above, 0.6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Specific fatty acids are as described above.
  •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may be prepared by the saponification reaction by adding a fatty acid and alkali solution of 12 or more carbon atoms in deionized water of 70 °C.
  • the alkaline solution may be sodium hydroxide (NaOH), potassium hydroxide (KOH)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alkaline solution may be used in a ratio of 0.93 mol to 1.003 mol with respect to 1 mol of the fatty acid.
  •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acidity (pH) as described above by being prepared through the above method.
  • the vinyl chloride monomer may be a pure vinyl chloride monomer alone or a mixture of a vinyl chloride monomer and a vinyl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vinyl chloride monomer.
  • Specific vinyl monomers are as described above.
  • the emulsion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adding a vinyl chloride monomer to a vacuum reactor filled with a saponification emulsifier and polymerizing the same.
  • the polymerization may be added to the additional emulsifier after the start of the polymerization, the separate emulsifier may be added continuously during the polymerization.
  • the vacuum reactor filled with saponification emulsifier may be a reactor containing a saponification emulsifier, if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saponification emulsifier may be further filled with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dditives such as polymerized water, dispersant, electrolyte, etc. have.
  • the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in 0.01 parts by weight to 2.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and hydrogen peroxide.
  • the separate emulsifier may be used in 0.01 parts by weight to 6.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parate emulsifier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aponified emulsifier, and when different, the separate emulsifier is sodium lauryl sulfate, lauryl benzene sulfonic acid, alpha-olefin sulfonate, sodium lauryl ethoxylated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lfate, sodium octadecyl sulfate, sodium lauryl ether sulfate and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 the electrolyte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001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lyte includes potassium chloride, sodium chloride, potassium bicarbonate, sodium 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potassium hydrogen sulfite, sodium hydrogen sulfite, potassium tetraphosphate, tetrasodium pyrophosphate, tripotassium phosphate, trisodium phosphate, dipotassium hydrogen phosphate and disodium hydrogen phosphat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polymerization water may be used in 70 parts by weight to 12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nd may be deionized water.
  • the emulsion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range of 30 °C to 70 °C.
  •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teps of dehydration, washing and drying after the emulsion polymeriz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tisol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 the plastis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40 parts by weight to 120 parts by weight of a plasticiz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and a dispersion diluent, a heat stabilizer, a viscosity modifier, and a foaming agent as necessary. It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such as.
  • plastisol refers to a mixture of a resin and a plasticizer so that it can be processed into a mold, a mold or a continuous film by heating.
  • a paste of a vinyl chloride polymer and a plasticizer is mixed. It may be to indicate.
  • plasticize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n organic additive material that serves to improve the molding processability at high temperature of the resin by adding to the thermoplastic resin to increase the thermoplastic.
  • the plasticizers and additiv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onventional ones known in the ar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ed article prepared using the plastisol.
  • the processed product may be a paste processed product manufactured by paste processing using the plastisol.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 특성을 나타내고 전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 및 응력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검화 유화제를 특정비율로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전단 속도가 상승할수록 점도 및 응력은 낮아지는 빙햄(Bingham fluid) 유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를 갖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출원은 2015년 10월 20일자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45943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 특성을 나타내고 전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 및 응력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하는 수지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경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부분의 가공기기에 적용 가능하여 응용분야가 다양하다. 게다가, 물리적·화학적 성질, 예컨대 기계적 강도, 내후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어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용도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제조된다. 예컨대, 압출공정, 칼렌다 공정, 사출공정 등 스프레이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현탁중합에 의하여 제조되고, 디핑, 스프레잉, 코팅 등의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유화중합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페이스트 가공은 일반적으로 유화중합에 의해 얻어진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분무 건조하는 방법으로 건조하여 최종 수지 입자를 형성하고, 상기 입자는 용매나 가소제에 분산시켜 코팅(reverse roll-coating, knife coating, screen coating, spray coating), 그라비아 및 스크린 프린팅(gravure and csreen printing), 회전 캐스팅(ratotion casting), 쉘 캐스팅 및 딥핑(shell casting and dipping)과 같은 공정을 통해 바닥재, 벽지, 타포린, 우의, 장갑, 자동차 언더 바디 코팅, 실란트, 카펫 타일 등의 제품에 적용된다.
이러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단독으로는 가공성이 낮아 적용이 어렵고 통상 가소제와 함께 열안정제 등의 여러 가지 첨가제로 구성되는 플라스티졸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가공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라스티졸의 점도를 낮추어 흐름성을 좋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실란트나 자동차 언더 바디 코팅에 사용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경우에는 스프레이 코팅을 통해 피착물에 도포된 후 건조 공정을 거치게 되는 데,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점도가 낮을 경우 건조되기 전 중력에 의해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유동성을 가지면서 방울로 뭉쳐지거나 피착물에서 이탈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포 두께가 불균일해지고 특정 부위에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얕게 형성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도포공정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단 속도(shear rate)가 상승함에 따라 점도와 응력(stress)이 감소하는 의소성 유체(pseudoplastic fluid) 유동 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페이스트 가공, 예컨대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도포공정을 통해 실란트나 자동차 언더 바디 코팅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낮은 전단 속도 또는 전단 속도가 제로인 영역에서 고점도 특성을 나타내고, 전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 및 응력이 감소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 특성을 나타내고 전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 및 응력이 감소하는 빙햄(Bingham fluid) 유동 특성을 나타내는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검화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검화 유화제가 검화된 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산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화 유화제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화 유화제가 검화된 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산인 것인 상기의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검화 유화제를 특정비율로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전단 속도가 상승할수록 점도 및 응력은 낮아지는 빙햄(Bingham fluid) 유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은 검화 유화제 존재 하에 유화중합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내 검화 유화제가 일정비율로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빙햄(Bingham fluid) 유동 특성을 나타낼 수 있어 스프레이 코팅 공정 등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산업, 예컨대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수지 산업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전단 속도에 따른 응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에 1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대비 비교예 1 및 비교예 4 내지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전단 속도에 따른 응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500 ℓ의 고압반응기에 중합수 100 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0.02 중량부 및 과황산칼륨 0.062 중량부 및 0.6 ㎛ 입자크기의 염화비닐 시드 1.25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교반하면서 반응기에 진공을 걸었다. 진공상태의 반응기에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를 투입한 후 반응기 온도를 54℃로 승온시켜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을 개시한 후 검화된 미리스트산 0.6 중량부를 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 후, 중합 전환율이 85%이 된 시점에 반응을 종결하고 미반응 염화비닐 단량체를 회수하여 제거하고 염화비닐 중합체 라텍스를 얻었다. 얻어진 상기 라텍스를 분무건조하여 분체상의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평균입경 0.28 ㎛). 이때, 상기 검화된 미리스트산은 탈이온수에 몰비로 미리스트산 1.007 mol 및 수산화칼륨 1 mol을 순차적으로 넣고 70℃에서 1시간 동안 검화반응시켜 제조된 것으로, 산성도(pH)가 11이었다.
실시예 2
검화된 미리스트산 대신에 검화된 팔미트산 및 스테아린산 혼합물(6:4 몰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이때, 상기 검화된 팔미트산 및 스테아린산 혼합물은 탈이온수에 탈미트산과 스테아린산 혼합물(6:4 몰비) 1.007 mol, 수산화칼륨 1 mol을 순차적으로 넣고 70℃에서 1시간 동안 검화반응시켜 제조된 것으로, 산성도(pH)가 11이었다.
실시예 3
검화된 팔미트산 및 스테아린산 혼합물 내 팔미트산 대 스테아린산 몰비가 4:6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검화된 미리스트산 대신에 검화된 라우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산성도(pH)가 10인 검화된 미리스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이때, 검화된 미리스트산은 탈이온수에 미리스트산 1.075 mol 및 수산화칼륨 1 mol을 순차적으로 넣고 70℃에서 1시간 동안 검화반응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산성도(pH)가 12인 검화된 미리스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이때, 상기 검화된 미리스트산은 탈이온수에 미리스트산 0.997 mol 및 수산화칼륨 1 mol을 순차적으로 넣고 70℃에서 1시간 동안 검화반응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검화된 미리스트산 대신에 소듐라우릴 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검화된 미리스트산 대신에 검화시키지 않은 미리스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산성도(pH)가 10인 검화된 미리스트산 대신에 산성도(pH)가 9.5인 검화된 미리스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4
산성도(pH)가 10인 검화된 미리스트산 대신에 산성도(pH)가 12.5인 검화된 미리스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5
검화된 미리스트산 대신에 검화된 카프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6
검화된 미리스트산 대신에 검화된 아라키드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염화비닐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 제조한 각 염화비닐계 중합체 내 검화 유화제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은 DAD(diode array detector)가 장착된 HPLC(Agilent 1100 series HPLC Value System, Agilent Technologies 社)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MSD(Mass spectrometry detection)로 검화 유화제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염화비닐계 중합체 0.5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을 이용하여 고분자를 침전시키고 상등액을 여과하여 각 시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각 시료를 이용하여 DAD를 210 nm 파장, 유속을 1 ml/min, 분석시간을 25분으로 맞추고 4.6×50 mm RRHT 컬럼을 사용하여 HPLC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료의 주입용량 2 ㎕이었다. 또한, MSD는 API-ESI NI 모드로 m/z 200-1000까지 기록하였다.
구분 검화 유화제(ppm)
실시예 1 6012
실시예 5 5801
실시예 6 595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일정 함량의 검화 유화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제조한 각 염화비닐 중합체의 점도 및 유동 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각 염화비닐 중합체의 전단 속도에 따른 점도 특성, 유동 특성 및 라텍스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우선, 상기 각 염화비닐 중합체 100 g과 디옥틸프탈레이트(DOP) 120 g을 Werke mixer(EUROSTAR IKA)를 사용하여 800 rpm으로 10분간 교반하여 각 플라스티졸을 제조하였다.
1) 유동 및 점도 특성
상기 각 플라스티졸을 Rheometer(AR2000EX peltier plate, TA Instruments社)를 이용하여, 측정치구 40 mm paraller plate, 측정 갭 500 ㎛으로 하여 유동성 특성 및 점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측정은 전단 속도를 30초 동안 10 s-1에 맞추는 1단계, 전단 속도를 120초 동안 10 s-1에서 500 s-1까지 올리는 2단계, 전단 속도를 500 s-1에서 180초 동안 유지시키는 3단계 및 전단 속도를 120초 동안 500 s-1에서 10 s-1로 낮추는 4단계를 통해 수행하였다.
2) 라텍스 안정성
500 ml 비이커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제조한 각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220 ml를 넣고 이염화에틸렌 30 ml 첨가한 후 Werke mixer(EUROSTAR IAK)를 이용하여 1000 rpm으로 교반한 후 응집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구분 Yield stress(at 10 s-1, Pa) Stress(at 500 s-1, Pa) 라텍스 안정성(초)
실시예 1 159 641 ≥≥ 300
실시예 2 183 663 ≥≥ 300
실시예 3 205 648 ≥≥ 300
실시예 4 99 735 ≥≥ 300
실시예 5 139 553 ≥≥ 300
실시예 6 203 606 ≥≥ 300
비교예 1 99 1013 ≥≥ 300
비교예 2 - - 중합체 미형성
비교예 3 - - 32 초
비교예 4 123 566 ≥≥ 300
비교예 5 39 565 ≥≥ 300
비교예 6 263 1086 ≥≥ 30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비교에 1 내지 비교예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대비 전반적으로 높은 라텍스 안정성을 나타내면서 저전단 영역에서는 고점도 특성을 나타내고 고전단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응력은 전단 속도에 대한 점도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예컨대 응력, 전단 속도 및 점도의 상관관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6010931-appb-I000001
따라서, 즉 동일 전단 속도에서 응력이 높을수록 점도가 높은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항복응력은 유동을 일으키게 하기 위한 한계응력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항복응력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점도가 높은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검화된 지방산을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일반적인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비교예 1의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대비 저전단 영역에서의 항복응력이 최대 47% 수준까지 낮아 졌으며, 고전단 영역에서의 응력이 최소 137% 수준, 최대 183% 수준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비교예 1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대비 저전단 영역에서 현저히 상승됨 점도 특성을 나타내고, 고전단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검화 유화제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pH 범위를 벗어난 검화 유화제(pH 12.5 검화 미리스트산)를 사용하여 제조된 비교예 4의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실시예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pH 12 검화 미리스트산 사용) 대비 고전단 영역에서는 유사한 정도의 응력을 나타내었으나 저전단 영역에서 60% 수준으로 현저히 낮은 항복응력을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비교예 4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대비 저전단 영역에서 현저히 우수한 고점도 특성을 나타내면서 고전단 영역에서 유사한 정도의 저점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검화된 유화제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탄소수 범위보다 적은 지방산을 사용하여 제조된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각각 실시예 1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대비 저전단 영역에서 현저히 낮은 항복응력을 나타내거나, 고전단 영역에서 현저히 상승된 응력을 나타내었다.
한편, 검화되지 않은 미리스트산을 사용하여 제조된 비교에 2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검화 유화제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pH 범위 보다 낮은 pH 9.5의 검화 미리스트산을 사용하여 제조된 비교예 3의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중합체 사슬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전단영역에 따른 응력 특성 측정이 불가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 유동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공한다.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 분야에 따라 스프레이트 가공용 또는 페이스트 가공용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용매나 가소제에 분산시켜 플라스티졸로 제조된 후 스프레이 코팅과 같은 공정을 통해 다양한 제품, 예컨대 실란트나 자동차 언더 바디 코팅에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점도가 낮을 경우 코팅된 후 건조되기 전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유동성을 가지면서 코팅이 불균일해지고 특정 부위에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얕게 형성되어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스프레이 코팅에 용이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단 속도(shear rate)가 상승함에 따라 점도와 응력(stress)이 감소하는 의소성 유체(pseudoplastic fluid)와 같은 유동 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저전단 영역 또는 전단 속도가 제로인 영역에서 고점도 특성을 나타내고, 전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 및 응력이 감소되는 유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검화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검화 유화제가 검화된 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와 검화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래 단위”는 어떠한 물질에 의하여 발생된 구조 또는 성분이거나 상기 어떠한 물질 자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염화비닐계 단량체로부터 기인한 구조 또는 성분이거나 염화비닐계 단량체 자체 부분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는 순수하게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을 의미하거나,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이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염화비닐 단독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이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혼합물의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가 상기 혼합물의 유래 단위인 경우 염화비닐이 50%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등의 올레핀(olefin) 화합물, 초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스테아린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vinyl ester)류,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비닐 메틸 에테르, 비닐 에틸 에테르, 비닐 옥틸 에테르, 비닐 라우릴 에테르 등의 비닐 알킬 에테르류, 염화 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리덴(vinylidene)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및 이들 지방산의 무수물,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말레인산 모노 메틸, 말레인산 디메틸, 말레인산 부틸벤질 등의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ester)류, 디알릴 프탈레이트 등의 가교성 단량체 등일 수 있으며,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검화 유화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검화된 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산일 수 있으며, 산성도(pH)가 10 내지 12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산성도(pH)”는 물질의 산성도를 가늠하는 척도로서 수소이온농도를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산성도는 검화 유화제의 검화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산성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검화 유화제의 검화도는 9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검화 유화제의 산성도(pH)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검화 유화제의 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인 것일 수 있어,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내에 분산되지 않고 응집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가공성 등의 물성을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검화 유화제의 산성도(pH)가 12 초과인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중합체 사슬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직쇄 또는 분지쇄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4 내지 18의 지방산인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방산은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검화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검화 유화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내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산상(dispersed phase)”은 콜로이드 분산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에서 입자를 구성하고 있는 상과 매질(연속상)의 상으로 2분 하였을 때, 입자를 구성하고 있는 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가 연속상으로 존재하고, 검화 유화제가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검화 유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저전단 영역 또는 전단 속도가 제로인 영역에서 고점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검화 유화제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화 유화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검화된 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산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6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지방산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검화 유화제는 70℃의 탈이온수에 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산 및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고 검화반응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칼리 용액은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또는 이들 조합일 수 있으며, 상기 알칼리 용액은 상기 지방산 1 몰에 대하여 0.93 몰 내지 1.003 몰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검화 유화제는 상기의 방법을 통해 제조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산성도(pH)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수한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이거나 염화비닐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이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비닐계 단량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유화중합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검화 유화제가 충진된 진공 반응기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투입하고 중합시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합은 중합 개시 후 별도의 유화제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으며, 상기 별도의 유화제는 중합 동안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검화 유화제가 충진된 진공 반응기는 검화 유화제가 들어있는 반응기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검화 유화제 외에 수용성 중합 개시제 및 중합수, 분산제, 전해질 등의 첨가제가 더 충진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중합 개시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유화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별도의 유화제는 검화 유화제와 동일한 것이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으며, 상이한 것인 경우 상기 별도의 유화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라우릴 벤젠 술폰산, 알파-올레핀 술포네이트, 소듐 라우릴 에톡시레이티드 설페이트, 소듐 옥타데실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및 직쇄 알킬벤젠 설폰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00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질로는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중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아황산수소칼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인산사칼륨, 피로인산사나트륨, 인산삼칼륨, 인산삼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및 인산수소이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중합수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7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탈이온수일 수 있다.
상기 유화중합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30℃ 내지 7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유화중합 이후에 탈수, 세척 및 건조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라스티졸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4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의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산 희석제, 열안정제, 점도 조절제 및 발포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플라스티졸(plastisol)”은 가열에 의해 성형, 주형 혹은 연속 필름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수지와 가소제를 섞은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염화비닐계 중합체와 가소제를 혼합한 페이스트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가소제(plasticizer)”는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하여 열가소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수지의 고온에서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기 첨가제 물질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티졸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공품을 제공한다.
상기 가공품은 상기 플라스티졸을 이용하여 페이스트 가공하여 제조된 페이스트 가공품일 수 있다.

Claims (12)

  1.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검화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검화 유화제가 검화된 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산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화 유화제는 산성도(pH)가 10 내지 12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직쇄 또는 분지쇄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탄소수 14 내지 18의 지방산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화 유화제의 적어도 일부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내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6. 검화 유화제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유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화 유화제가 검화된 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산인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화 유화제는 산성도(pH)가 10 내지 12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검화 유화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화중합은 30℃ 내지 70℃의 온도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 기재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티졸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4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의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라스티졸.
PCT/KR2016/010931 2015-10-20 2016-09-29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를 갖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WO2017069425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24048.3A CN107531970B (zh) 2015-10-20 2016-09-29 聚氯乙烯的制备方法
US15/565,218 US11124639B2 (en) 2015-10-20 2016-09-29 Method for preparing polyvinyl chloride
EP16857683.3A EP3263642B1 (en) 2015-10-20 2016-09-29 Vinyl chloride-based polymer having high viscosity in low shear rang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plastisol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943A KR102004734B1 (ko) 2015-10-20 2015-10-20 폴리염화비닐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5-0145943 2015-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425A1 true WO2017069425A1 (ko) 2017-04-27

Family

ID=5855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0931 WO2017069425A1 (ko) 2015-10-20 2016-09-29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를 갖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24639B2 (ko)
EP (1) EP3263642B1 (ko)
KR (1) KR102004734B1 (ko)
CN (1) CN107531970B (ko)
WO (1) WO2017069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320B1 (ko) * 2015-12-16 2018-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KR102327528B1 (ko) * 2017-10-30 2021-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질 발포폼용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경질 발포폼
KR102342257B1 (ko) * 2017-12-06 2021-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KR102345310B1 (ko) * 2017-12-21 2021-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5640A (en) * 1975-09-13 1978-09-19 Chemische Werke Huls Ag Aftertreatment of spray dried, powdered vinyl chloride emulsion polymerizates
US4133947A (en) * 1975-07-16 1979-01-09 Chemische Werke Huels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mers of vinyl chloride for paste preparation using spray-drying
US20030013828A1 (en) * 2001-03-23 2003-01-16 Kazuko Shimada Polyvinyl chloride dispersion resin
CN102492310A (zh) * 2011-12-20 2012-06-13 广西华纳新材料科技有限公司 聚氯乙烯塑溶胶用纳米碳酸钙的表面处理方法
KR20150024953A (ko) * 2010-02-15 2015-03-10 시라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처리 탄산칼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페이스트상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0510A (en) * 1951-10-26 1955-10-11 Phillips Petroleum Co Procedure for manufacture of synthetic rubber
US3370028A (en) * 1963-03-11 1968-02-20 Firestone Tire & Rubber Co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using a fatty acid soap and a sulfur-containing emulsifying agent
DE1645672B2 (de) 1966-07-08 1972-12-21 Wacker-Chemie GmbH,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mopolymerisaten des vinylchlorids bzw mindestens 80 gew.-% vinylchlorideinheiten enthaltenden mischpolymerisaten
GB1541463A (en) * 1975-10-11 1979-02-28 Lion Dentifrice Co Ltd Process for prparing a multiple emulsion having a dispersing form of water-phase/oil-phase/water-phase
EP0144614B1 (de) * 1983-12-03 1989-05-31 Hül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pastbaren Vinylchloridpolymerisaten
JP3568694B2 (ja) 1996-07-18 2004-09-22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3947A (en) * 1975-07-16 1979-01-09 Chemische Werke Huels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mers of vinyl chloride for paste preparation using spray-drying
US4115640A (en) * 1975-09-13 1978-09-19 Chemische Werke Huls Ag Aftertreatment of spray dried, powdered vinyl chloride emulsion polymerizates
US20030013828A1 (en) * 2001-03-23 2003-01-16 Kazuko Shimada Polyvinyl chloride dispersion resin
KR20150024953A (ko) * 2010-02-15 2015-03-10 시라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처리 탄산칼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페이스트상 수지 조성물
CN102492310A (zh) * 2011-12-20 2012-06-13 广西华纳新材料科技有限公司 聚氯乙烯塑溶胶用纳米碳酸钙的表面处理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263642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886A (ko) 2017-04-28
US11124639B2 (en) 2021-09-21
CN107531970A (zh) 2018-01-02
KR102004734B1 (ko) 2019-07-29
CN107531970B (zh) 2020-09-11
US20180057676A1 (en) 2018-03-01
EP3263642A4 (en) 2018-04-11
EP3263642A1 (en) 2018-01-03
EP3263642B1 (en)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9425A1 (ko) 저전단 영역에서 고점도를 갖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WO2016195434A1 (ko)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WO2018070804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60145A1 (ko) 클로로에틸렌계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7104978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WO2016182338A1 (ko)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WO2020246743A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WO2021049836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7061829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40253A1 (ko) 수성 난연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7188594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WO2020091429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6047954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76023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중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5041443A1 (ko)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WO2019022356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91342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60909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중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65160B1 (ko) 염화비닐계 수지 플라스티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품
WO2018056668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20060028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94365A1 (ko) 내이행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
WO2017047987A1 (ko)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91340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7222213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76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576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6521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