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60043A1 -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60043A1
WO2015160043A1 PCT/KR2014/007609 KR2014007609W WO2015160043A1 WO 2015160043 A1 WO2015160043 A1 WO 2015160043A1 KR 2014007609 W KR2014007609 W KR 2014007609W WO 2015160043 A1 WO2015160043 A1 WO 20151600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stipation
lactic acid
lactobacillus
acid bacteria
de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60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정희
황상덕
조현우
용금술
용주현
안병관
용주선
정호경
송용수
최성민
장지훈
Original Assignee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엠제이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엠제이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Publication of WO20151600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600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2Cassia, e.g. golden shower tre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constipation using a deflector that can prevent and improve constipation by inoculating and fermenting lactic acid bacteria into a deficiency powder or a deficiency extract.
  • Constip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s observed in the clinic, and is often experienced enough to complain in 5-20% of the population, but it is difficult to define objectively because it is very diverse and is a symptom group.
  • constipation patients More than 90% of constipation patients are chronic idiopathic constipation that occurs idiopathically without a causative disease and can be divided into secondary constipation caused by constipation such as organic intestinal lesions, metabolic diseases, and the use of certain drugs.
  • constipation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risks that impair quality of life and cause colon and rectal cancer.
  • Important in the treatment of such constipation is diet, ingesting sufficient fiber is the most suitable and primary us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nstipation is a plant component that is not digested by intestinal enzymes, Lighten the sides and increase the volume.
  • colon bacillus helps to increase the degeneration, some components are fermented by colon bacteria, and its metabolites also help to reduce constipation. In addition, there are reports that people with high physical activity have less constipation.
  • This symptom is a common treatment that allows pain to be seen without pain by taking simple procedures or constipation medicine. However, many constipation pati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is method and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other treatm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constip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agent and its constipation prevention and constipation by obtaining a supernatant by injecting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into the lactic acid bacterium growth medium and then mixed with the deficiency powder or the deficiency extract in distilled water.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upplying a deficiency powder, antifoaming agent to distilled water to make a deficiency aqueous solution; (b) supplying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to the deficiency aqueous solution; (c) sterilizing the inaccurate solution supplied with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d) inoculating the lactic acid bacteria in the sterilized inaccurate solution; (e) fermenting the inaccurate solution inoculated with the lactic acid bacteria; (f) centrifuging the fermented fermentation broth to obtain a supernatant; It consists of.
  • the solving means (a)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fault to obtain the fault extract; (b) adding a deficiency extract, antifoaming agent to distilled water to make a deficiency solution; (c) supplying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to the aqueous solution of the glyph; (d) sterilizing the inaccurate solution supplied with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e) inoculating the sterile lactic acid solution into the sterile aqueous solution; (f) fermenting the inaccurate solution inoculated with the lactic acid bacteria; (g) centrifuging the fermented fermentation broth to obtain a supernatant; It consists of.
  • the supernatant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improving constipation by removing the heat of the liver and actively inducing peristalsis of the large intestine.
  • 1 to 7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on animals (white rats) obtained by the supernatant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 8a to 8f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inoculating the lactic acid bacteria in the inven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ermentation by date,
  • 9a to 9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inoculating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ation by date in the inven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 an embodiment of the constip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as follows.
  • Constip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ivid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ach step.
  • Step (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ep of making a deficiency solution by supplying the deficiency powder, antifoaming agent to distilled water,
  • a herbaceous herb belonging to Leguminosae is a cultivar mainly grown in the mountains in the southern climate where the climate is mild in Korea. It has been shown to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antioxidant, liver protection, blood pressure lowering, blood lipid lowering effect and blood sugar lowering.
  • the main pharmacological components of the deficiency are chrysophanol, emodin, aloe-emodin, torachryson, rubrofusarin-6-gentiobioside, nor-rubrofusarin, aurantio-obtusin, rubrofusarin, toralactone, rhein, physcion, obtusifolin, obtusin, chryso-obtusin, etc. Reported.
  • the crystallizer having the above-mentioned efficacy is dried after rinsing, washing with water, and pulverized by a pulverizer to use a powdered one.
  • the amount of the powdered crystallized powder to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maintain the crystallized powder concentration of 2-8%.
  • the antifoaming agent is use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bubbles (bubbles) in the fermentation process described in step (e) below, the amount of use is 30-70 ⁇ l.
  • the amount of the antifoaming agent is used less than 30 ⁇ l, a problem of preventing foaming occurs, and if the amount of the antifoaming agent is used more than 70 ⁇ l, the amount of the antifoaming agent is preferably 30 to 70 ⁇ l.
  • the antifoaming agent decanoic acid (lauric acid), lau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oleic acid), Mineral oil, oxystearine, dimethyl polysiloxane, silicon dioxide, sorbitanmonostearate, or silicon resin (siliconresin) is used.
  • Step (b)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ep of supplying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to the solution of the deficiency,
  • the lactic acid bacterium growth medium which means to feed the lactic acid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can live, the reason for putting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in the deficiency aqueous solution, the fermentation by actively inducing lactic acid growth in the fermentation process described in step (e) below This is to make it effective.
  •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of step (b) is Proteose Peptone, Beef Extract, Yeast Extract, Dextrose, Polysorbate 80g, Ammonium Citrate, Sodium Acetate, Magnesium Sulfate, Manganese Sulfate, Dipotassium Phosphate.
  • the amount of the lactic acid bacterium growth medium as described above was supplied in 1 l of the extract of Lactobacillus, Proteose Peptone 3 ⁇ 1 g, Beef Extract 3 ⁇ 1 g, Yeast Extract 1.5 ⁇ 1 g, Dextrose 6 ⁇ 1 g, Polysorbate80 0.3 ⁇ 0.2 g, Ammonium Citrate 0.6 ⁇ 0.2g, Sodium Acetate 1.5 ⁇ 0.3g, Magnesium Sulfate 0.03 ⁇ 0.005g, Manganese Sulfate 0.015 ⁇ 0.005g, Dipotassium Phosphate 0.6 ⁇ 0.005g.
  • Step (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sterilizing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the reason for the steriliz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to sterilize harmful bacteria in the aqueous solution of the deficiency, the sterilization method is 115-125 °C Sterilize by autoclaving for 10-20 minutes at.
  • the reason for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is 115-125 ° C, sterilization is not effectively performed below 115 ° C, as well as the sterilization time is long, the productivity is reduced accordingly, if the temperature exceeds 125 ° C in addition to the sterilization of harmful bacteria Since the problem of nutrient destruction with sterilization occurs, the temperature of sterilization is preferably set to 115-125 °C.
  • Step (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oculating the lactic acid bacteria in sterile aqueous solution
  • the lactic acid bacteria inoculation may be inoculated with 0.9 to 1.2 L of the sterilized C. aerus solution at a rate of 30 to 50 ml.
  • lactic acid bacteria inoculation is preferably in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0.9-1.2 l of lactic acid bacteria 30-50 ml.
  • Step (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ermenting the aqueous solution of the inoculum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the fermentation method while supplying oxygen at 35-40 °C and fermentation while stirring at 120-180 RPM, the reason for supplying the oxygen is to make the fermentation smoothly due to the activ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the stirring The reason is to prevent precipitation from occurring during fermentation.
  • stirring and fermentation conditions are the fermentation with stirring at 35-40 °C to 120-180RPM, if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or above 35-40 °C fermentation is not made normally, if the rate of stirring is less than 120RPM precipitate occurs If it exceeds 180 RPM, it becomes an inhibitor of fermentation.
  • FIGS. 8A to 8F The result of inocul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ation by date is shown in FIGS. 8A to 8F.
  • Figure 8a is inoculated with 30ml Lactobacillus acidophilus .
  • 8b is inoculated with 50 ml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
  • Figure 8c is inoculated with 30 ml of Lactobacillus paracasei .
  • 8E is inoculated with 30 ml of Enterococcus faecium ,
  • 8F shows 50 ml of Enterococcus faecium inoculation.
  • Step (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supernatant by centrifuging the fermented fermentation broth
  • the centrifugation conditions are 10-20 minutes at 5,000-10,000 RPM, for the purpose of completely separating the supernatant and the precipitate to be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only a good supernatant.
  • the centrifugation conditions are preferably 5,000 to 10,000 RPM.
  • the supernatant prepared and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is to be used as a constipa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pation prevention and improver manufacturing method
  • Step (a)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extracting an active ingredient of the nickname to obtain the nickname extract, and the description of the nickname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 the crystal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ed after washing, washing or washing the dried crystal after washing, washing using a grinder.
  • Step (b)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making a clarifier solution by adding a clarifier extract and an antifoam to distilled water, which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step of making the clarifier solu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 step (b) when making the solution of Clarifier in step (b), 30 to 80 g of the Clarifier extract and 30 to 70 ⁇ L of the antifoaming agent are supplied to 0.9-1.2 L of distilled wate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larifier extract. This is because the extract extracted by the above method is used.
  • Step (c)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ep of supplying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to the aqueous solution of the deficiency,
  •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which means that the lactic acid bacteria to feed the live lactic acid bacteria, the reason for supplying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to the deficiency aqueous solution, the fermentation process by actively inducing lactic acid growth in the fermentation process described in step (e) below This is to make it effective.
  •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of step (c) is Proteose Peptone, Beef Extract, Yeast Extract, Dextrose, Polysorbate 80g, Ammonium Citrate, Sodium Acetate, Magnesium Sulfate, Manganese Sulfate, Dipotassium Phosphate.
  • the amount of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as described above was supplied to the solution of the deficiency extractor, Proteose Peptone 1.5 ⁇ 0.5 g, Beef Extract 1.5 ⁇ 0.5 g, Yeast Extract 1 ⁇ 0.5 g, Dextrose 3 ⁇ 1 g, Polysorbate 80 0.2 ⁇ 0.1 g, Ammonium Citrate 0.3 ⁇ 0.1g, Sodium Acetate 1 ⁇ 0.2g, Magnesium Sulfate 0.01 ⁇ 0.003g, Manganese Sulfate 0.01 ⁇ 0.003g, Dipotassium Phosphate 0.3 ⁇ 0.003g.
  • Step (d)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sterilizing the solution of the indigenous Lactobacillus growth medium supplied, this is the same as the sterilization step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Step (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inoculating a lactic acid bacterium into a sterilized C. ammonia solution
  • the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may be inoculated with 30 to 50 ml of lactic acid bacteria in 0.9 to 1.2 L of the sterilized C. aerus solution.
  • lactic acid bacteria inoculation is preferably in the lactic acid bacteria growth medium 0.9-1.2 l of lactic acid bacteria 30-50 ml.
  • Step (f)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fermenting an aqueous solution of the innocent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which is the same as the fermentation step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S. 9A to 9C The result of inocul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ermentation by date is shown in FIGS. 9A to 9C.
  • 9a is inoculated with 50 ml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
  • Figure 9b is inoculated with 50 ml of Lactobacillus paracasei .
  • Figure 9c is inoculated 50ml Enterococcus faecium .
  • Step (g)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obtaining the supernatant by centrifuging the fermented fermentation broth, which is the same as the step of obtaining the supernata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purchased from SD (Sprague Dawley) rats and 4 week-old males at Damul Science (Daejeon, South Korea). The animals were bred at a temperature of 20 ⁇ 2 ° C, a humidity of 55 ⁇ 5%, and light and dark for 12 hours.
  •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purified for one week after purchase, and then placed into five groups for each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 Normal control group Con
  • loperamide administration group Lop
  • positive control group PC
  • low concentration water extract group SA-1, 100mg / kg
  • high concentration water extract group SA-2, 200 mg / kg
  • low concentration group Aspergillus fermentation extract SC-1, 100mg / kg
  • was divided into fermentation extract of high concentration SC-2, 200mg / kg).
  • Body weights were measured on the start and end of loperamide administration. Feed intake was measured daily during the experiment.
  •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tool was calculated by drying the stools in a 70 °C oven for 24 hours to measure the dry weight, and divid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ool weight and dry weight divided by the stool weight.
  • Intestinal stool count was determined by ligating both sides of the colon from all parts of the colon to the rectum after the last day of the experiment, and counting the number of stools remaining in the colon area after washing the organs with PBS.
  • the weight of the stool was also reduced in the LOP group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 (NOR), and the weight of the stool was recover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PC), and the fermenter extract groups (SC-) than the deficiency treatment groups (SA-1, SA-2). 1, SC-2) was shown to recover even more weight (see Figure 5).
  • the water content of the stool tended to decrease in the loperamide monotherapy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NOR) an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PC).
  • Loperamide alone increased to 8.8 ⁇ 0.84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4.0 ⁇ 0.71, indicating that constipation was induced by loperamide.
  • Loperamide is a drug used as an antidiarrheal drug, but it is used for constipation in laboratory animals because it inhibits bowel movements and prolongs the time it takes for bowel movement ( Schiller et al., 1984 ). In this study, the administration of loperamide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stool and the number of residual stool in the intest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명자분말 또는 결명자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방법으로 변비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a) 증류수에 결명자분말, 소포제를 공급하여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유산균성장배지가 공급된 결명자수용액을 멸균처리하는 단계; (d) 상기 멸균처리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 (e) 상기 유산균이 접종된 결명자수용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f)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결명자분말 또는 결명자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방법으로 변비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비는 임상에서 관찰되는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로 전 인구의 5~20%에서 호소할 만큼 자주 경험하지만 환자마다 표현하는 내용이 매우 다양하며 하나의 증상군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변비환자 중 90% 이상이 원인 질환 없이 특발성으로 발생하는 만성 특발성 변비이며 기질적인 장관내 병소, 대사성 질환, 특정 약물의 복용 등 변비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변비로 나눌 수 있다.
만성변비는 삶의 질을 저해하고 결장 및 직장암을 유발하는 위험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변비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식이요법으로, 충분한 식이섬유 섭취는 변비의 예방 및 치료에 가장 적합하고 일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장내 효소에 의해 소화되지 않는 식물 성분이며, 대장 내에서 물을 흡수하여 변을 연하게 하고 부피를 크게 한다.
또한 대장세균의 성장을 도와서 변괴를 크게 하고, 일부 성분은 대장내 세균에 의해 발효되며 그 대사물 역시 변비 완화 작용에 도움이 된다. 그 외에 신체적 활동이 많은 사람이 변비가 적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식이요법과 운동 등이 용이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 이차적으로 약물을 사용하는데 부피형성 완화제 및 삼투성 완화제의 경우 복부팽만, 설사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자극성 하제의 경우 장기간 사용 시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간단한 시술이나 변비약을 섭취함으로써 통증이 없이 배변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방법이지만 많은 변비환자들은 이 방법이 만족스럽지 못하여 다른 치료법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결명자분말을 또는 결명자추출물을 증류수에 넣고 혼합한 후 유산균성장배지를 넣고 이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여 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변비 예방 및 개선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과제해결수단은, (a) 증류수에 결명자분말, 소포제를 공급하여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유산균성장배지가 공급된 결명자수용액을 멸균처리하는 단계; (d) 상기 멸균처리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 (e) 상기 유산균이 접종된 결명자수용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f)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로 구성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과제해결수단은, (a) 결명자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결명자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증류수에 결명자추출물, 소포제를 넣어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유산균성장배지가 공급된 결명자수용액을 멸균처리하는 단계; (e) 상기 멸균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 (f) 상기 유산균이 접종된 결명자수용액 발효시키는 단계; (g)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로 구성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 된 상등액은 간의 열기를 제거하고 대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히 하게 유도함으로써 변비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해 수득 된 상등액을 동물(흰쥐)에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a 내지 도 8f는 제1실시 예의 발명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일자별로 발효시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9a 내지 도 9c는 제2실시 예의 발명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일자별로 발효시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1실시 예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증류수에 결명자분말, 소포제를 공급하여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유산균성장배지가 공급된 결명자수용액을 멸균처리하는 단계; (d) 상기 멸균처리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 (e) 상기 유산균이 접종된 결명자수용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f)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a) 단계
본 발명의 (a) 단계는, 증류수에 결명자분말, 소포제를 공급하여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로서,
상기 결명자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서 기후가 온화한 남쪽지방의 산야에서 주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생리활성 기능은, 향균, 살충, 돌연변이 억제, 항알레르기, 치주질환 원인균 제거, 항산화, 간 보호, 혈압강하, 혈중 지질저하효과, 혈당강하 등의 다양한 효능들이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
상기 결명자의 주요 약리 성분으로는, chrysophanol, emodin, aloe-emodin, torachryson, rubrofusarin-6-gentiobioside, nor-rubrofusarin, aurantio-obtusin, rubrofusarin, toralactone, rhein, physcion, obtusifolin, obtusin, chryso-obtusin 등이 보고되었다.
특히 결명자의 emodin 성분은 완화작용이 있으며 chrysophanic acid-90anthrone는 dermatophytes의 발육을 억제하고 살균작용이 있으며, 결명자 엑기스를 공복시 위 내에 투여할 경우 위액분비 항진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효능 실험으로는 혈소판 응집억제작용 성분에 관한 연구, 결명자 종실에서 추출한 알코올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발된 간 손상 방지효과가 우수하다고 보고하였으며, 저혈당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 인자의 특성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결명자는, 정선, 수세 후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상태의 것을 사용하며, 그 분말상태의 결명자분말을 증류수에 공급하는 양은 결명자분말농도 2 - 8% 유지되게 공급한다.
상기 결명자분말농도 2 - 8% 유지되게 공급하는 양은, 상기 증류수 0.9 - 1.2ℓ에 결명자분말 20 - 80g의 비율로 공급하면 된다.
상기 결명자분말농도가 2 - 8% 유지되어야 하는 이유는, 2% 미만이면 결명자수용액의 결명자 농도가 너무 약하고, 8%를 초과하면 결명자 농도가 너무 진하여 아래 (e) 단계에서 설명되는 발효과정에서 침전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결명자수용액의 결명자분말농도는 2 - 8%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소포제는 아래 (e) 단계에서 설명되는 발효과정에서 버블(거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 량은 30 - 70㎕이다.
상기 소포제의 사용량을 30㎕ 미만 사용하게 되면 거품발생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70㎕를 초과 사용하면 필요 이상이 된다, 따라서 소포제의 사용 량은 30 - 70㎕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소포제로는, 데카논산(decano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올레익산(oleic acid), 미네랄유(mineral oil), 옥시스테아린(oxystearine),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 polysiloxane),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monostearate), 규소수지(siliconresin)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b) 단계
본 발명의 (b) 단계는,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산균성장배지는, 유산균이 먹고 살 수 있는 유산균 먹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넣는 이유는, 아래 (e) 단계에서 설명되는 발효과정에서 유산균 성장을 활발하게 유도하여 발효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b) 단계의 유산균성장배지는, Proteose Peptone, Beef Extract, Yeast Extract, Dextrose, Polysorbate80g, Ammonium Citrate, Sodium Acetate, Magnesium Sulfate, Manganese Sulfate, Dipotassium Phosphate 이다.
상기와 같은 유산균성장배지를 결명자수용액에 공급하는 양은, 결명자추출액 1ℓ에 Proteose Peptone 3 ± 1g, Beef Extract 3 ± 1g, Yeast Extract 1.5 ± 1g, Dextrose 6 ± 1g, Polysorbate80 0.3 ± 0.2g, Ammonium Citrate 0.6 ± 0.2g, Sodium Acetate 1.5 ± 0.3g, Magnesium Sulfate 0.03 ± 0.005g, Manganese Sulfate 0.015 ± 0.005g, Dipotassium Phosphate 0.6 ± 0.005g 이다.
(c) 단계
본 발명의 (c) 단계는, 유산균성장배지를 멸균처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산균성장배지를 멸균처리하는 이유는, 결명자수용액에 있는 유해균을 멸균하기 위함으로써, 그 멸균 방법은, 115 - 125℃에서 10 - 20분간 고압증기멸균처리한다.
상기 멸균온도를 115 - 125℃로 하는 이유는, 115℃ 미만에서는 멸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멸균시간이 길어져야 함으로 그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고, 125℃를 초과하면 유해균의 멸균 외에 유익 균의 멸균과 함께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멸균의 온도는 115 - 125℃로 함이 바람직하다.
(d) 단계
본 발명의 (d) 단계는, 멸균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kefiri, 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aracasei, Enter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mylophill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delbrueckii, Bifidobacterium breve, Acetobacter lovaniensis, Acetobacter fab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의 유산균 접종은, 상기 멸균처리된 결명자수용액 0.9 - 1.2ℓ에 유산균 30 - 50㎖ 의 비율로 접종하면 된다.
상기 유산균 접종 양을 30 - 50㎖로 하는 이유는, 30㎖ 미만 사용하면 유산균 접종 양이 너무 적고, 50㎖ 초과하면 필요 이상이다. 따라서 유산균 접종은 유산균성장배지 0.9 - 1.2ℓ에 유산균 30 - 50㎖로 함이 바람직하다.
(e) 단계
본 발명의 (e) 단계는, 유산균이 접종된 결명자수용액을 발효하는 단계로서,
상기 발효방법은, 35 - 40℃에서 산소를 공급하며 120 - 180RPM으로 교반하면서 발효하데, 상기 산소를 공급하는 이유는, 유산균의 활발한 생장으로 인하여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교반하는 이유는 발효되면서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하며 발효하는 조건은 35 - 40℃에서 120 - 180RPM으로 교반하며 발효하는 것으로, 온도가 35 - 40℃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발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교반의 속도가 120RPM 미만이면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고, 180RPM을 초과하면 발효의 저해요인 된다.
따라서 발효조건은, 35 - 40℃에서 120 - 180RPM으로 교반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산균을 접종하고 일자별로 발효시킨 결과는, 도 8a 내지 도 8f에 나타내었다.
도 8a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30㎖ 접종한 것이고,
도 8b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50㎖ 접종한 것이며,
도 8c는, Lactobacillus paracasei 30㎖ 접종한 것이고,
도 8d는 Lactobacillus paracasei 50㎖ 접종한 것이며,
도 8e는 Enterococcus faecium 30㎖ 접종한 것이고,
도 8f는 Enterococcus faecium 50㎖ 접종한 것이다.
(f) 단계
본 발명의 (f) 단계는,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로써,
원심분리 조건은 5,000 - 10,000RPM으로 10 - 20분간 하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서 수득하고자 하는 상등액과 침전물을 완전히 분리하여 양질의 상등액만을 수득하기 위함이다.
원심분리 속도가 5,000RPM 미만이면 상등액만을 수득하는 시간의 지연으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10,000RPM 초과는 필요 이상이다. 따라서 원심분리 조건은 5,000 - 10,000RPM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고 수득 된 상등액은 본 발명의 변비 예방 및 개선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2실시 예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은,
(a) 결명자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결명자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증류수에 결명자추출물, 소포제를 넣어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유산균성장배지가 공급된 결명자수용액을 멸균처리하는 단계; (e) 상기 멸균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 (f) 상기 유산균이 접종된 결명자수용액 발효시키는 단계; (g)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a) 단계
본 발명 제2실시 예의 (a) 단계는, 결명자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결명자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결명자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 제2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결명자는 정선, 수세 후 건조된 것이거나 또는 정선, 수세 후 건조된 결명자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상태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결명자 또는 결명자분말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추출방법은, 정선 건조된 결명자 또는 결명자분말 1중량% : 증류수 9 - 11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0 - 120℃로 2 - 4시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결명자추출물을 냉각 후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결명자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감압 농축된 농축 물을 동결건조 하는 단계; 상기 동결건조된 결명자 45 - 55중량%, 증류수 0.9 - 1.2ℓ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통하여 분말 상태로 수득 된다.
(b) 단계;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b) 단계는, 증류수에 결명자추출물, 소포제를 넣어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로서, 이는 전술한 제1실시 예의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설명과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상기 (b) 단계에서 결명자수용액을 만들 때에 증류수 0.9 - 1.2ℓ에 결명자추출물 30 - 80g, 소포제 30 - 70㎕를 공급하는데, 상기 결명자추출물 제1실시 예와 다르게 30 - 80g사용하는 이유는,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c) 단계
본 발명 제2실시 예의 (c) 단계는, 상기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산균성장배지는, 유산균이 먹고 살 수 있는 유산균 먹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이유는, 아래 (e) 단계에서 설명되는 발효과정에서 유산균 성장을 활발하게 유도하여 발효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c) 단계의 유산균성장배지는, Proteose Peptone, Beef Extract, Yeast Extract, Dextrose, Polysorbate80g, Ammonium Citrate, Sodium Acetate, Magnesium Sulfate, Manganese Sulfate, Dipotassium Phosphate 이다.
상기와 같은 유산균성장배지를 결명자수용액에 공급하는 양은, 결명자추출액 1ℓ에 Proteose Peptone 1.5 ± 0.5g, Beef Extract 1.5 ± 0.5g, Yeast Extract 1 ± 0.5g, Dextrose 3 ± 1g, Polysorbate80 0.2 ± 0.1g, Ammonium Citrate 0.3 ± 0.1g, Sodium Acetate 1 ± 0.2g, Magnesium Sulfate 0.01 ± 0.003g, Manganese Sulfate 0.01 ± 0.003g, Dipotassium Phosphate 0.3 ± 0.003g 이다.
(d) 단계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d) 단계는, 유산균성장배지가 공급된 결명자수용액을 멸균처리하는 단계로서, 이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멸균단계와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e) 단계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e) 단계는, 멸균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kefiri, 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aracasei, Enter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mylophill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delbrueckii, Bifidobacterium breve, Acetobacter lovaniensis, Acetobacter fab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의 유산균 접종은, 상기 멸균처리된 결명자수용액 0.9 - 1.2ℓ에 유산균 30 - 50㎖ 접종하면 된다.
*상기 유산균 접종 양을 30 - 50㎖로 하는 이유는, 30㎖ 미만 사용하면 유산균 접종 양이 너무 적고, 50㎖ 초과하면 필요 이상이다. 따라서 유산균 접종은 유산균성장배지 0.9 - 1.2ℓ에 유산균 30 - 50㎖로 함이 바람직하다.
(f) 단계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f) 단계는, 유산균이 접종된 결명자수용액 발효시키는 단계로서, 이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발효단계와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을 접종하고 일자별로 발효시킨 결과는, 도 9a 내지 도 9c에 나타내었다.
도 9a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50㎖ 접종한 것이고,
도 9b는, Lactobacillus paracasei 50㎖ 접종한 것이며,
도 9c는 Enterococcus faecium 50㎖ 접종한 것이다.
(g) 단계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g) 단계는,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이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의 상등액 수득 단계와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수득 물 즉 상등액을 동물에 실험해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실험동물 사육 및 실험식이
실험동물은 SD(Sprague Dawley) rat, 4주령 수컷을 다물사이언스(대전,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온도 20±2℃, 습도 55±5%, 12시간 명암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은 구입 후 1주일 동안 순화한 다음, 각 군당 5마리씩을 배치하여 총 7군으로 실험 군을 분류하였다.
정상대조군(Con), loperamide 투여군(Lop), 양성대조군(PC), 저농도 결명자 물추출물 투여군(SA-1, 100mg/kg), 고농도 결명자 물추출물 투여군(SA-2, 200 mg/kg), 저농도 결명자 발효추출물(SC-1, 100mg/kg), 고농도 결명자 발효추출물(SC-2, 200mg/kg)으로 나누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둘코락스 에스(Dulcolax-S Tablets, Boehringer Ingelheim)라는 변비치료제를 이용하였다.
각 시료들을 1주일 동안 투여를 한 후에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4 mg/kg의 용량의 loperamide(Sigma, St. Louis, MO, USA)를 5일간 피하투여 하여 변비를 유발하고 6일째에 희생하였다.
2) 체중, 사료 섭취량 및 음수 량 측정
Loperamide투여 시작일과 마지막 일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실험기간 중에 매일 측정하였다.
3) 변의 개수, 변 중량, 변의 수분함량, 장내 변 개수 측정
* 각 실험동물의 변은 실험시작 후 4일째에 케이지안에 변을 제거하고 bed를 갈아준 후에 5일째에 수거하였으며, 개체 당 변의 개수와 변 중량(wet weight)을 측정하였다.
변의 수분함량은 변을 70℃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건 중량을 측정하고, 변 중량과 건 중량의 차이를 변 중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장내 변 개수는 실험 최종일 모든 실험동물의 대장은 맹장 이후 부분부터 직장까지 부위의 양쪽을 결찰하여 적출하여, PBS로 장기를 수세한 후에 대장부위에 잔류하고 있는 변의 개수를 세어 확인하였다.
4) 통계처리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에 대해서는 평균치 표준편차(mean S.D.)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각 실험군과의 평균의 차이는 Student's t-test로 분석하여 p-value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5) 결과 및 고찰
*사료 섭취량, 음수 량 및 체중 증가량*
실험기간 동안의 사료 섭취량과 음수 량은 각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loperamide로 변비를 유발시킨 군(LOP)이 정상 대조군(NOR)보다 사료섭취량과 음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유의성은 없었다(도 1 및 도 2 참조).
loperamide 투여에 의하여 보여지는 사료섭취량 감소는 최종 체중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아닌 것으로 보고되었으며(Shimotoyodome et al., 2000), 본 연구에서도 같은 현상을 보였다. 실험기간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은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3 참조).
*변의 개수, 중량*
Loperamide 투여 후 5일째 변의 개수는 정상대조군(NOR)이 35.0 ± 2.35인 것에 비하여 Loperamide 단독 투여 군(LOP)이 24.4 ± 3.78개로 감소하여 loperamide에 대한 변비유발이 확인되었고, 양성대조군(PC)에서는 31.8 ± 2.59로 loperamide에 의한 변비유발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농도 결명자군(SA-1)은 24.4 ± 3.58개로 Lop군과 비교하였을 때 배변 개수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고농도의 결명자를 처리한 군(SA-2)에서는 배변 개수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고, 결명자 발효추출물 군들(SC-1, SC-2)에서 변비유발군(LOP)보다 농도의존적으로 변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4 참조).
변의 중량 또한 LOP군에서 정상대조군(NOR)보다 감소되는 것을 양성대조군(PC)에서 다시 변의 중량이 회복되는 것을 보였고, 결명자 처리 군들(SA-1, SA-2)보다 결명자 발효추출물 군들(SC-1, SC-2)에서 더욱 더 중량이 회복되는 것을 보였다(도 5 참조).
*변의 수분함량*
변의 수분함량은 정상대조군(NOR)에 비하여 loperamide단독투여 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군(PC)에서는 다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명자 물 추출물을 처리한 군(SA-1, SA-2)보다 결명자 발효추출물 군(SC-1, SC-2)에서 좀 더 높은 수분함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참조).
*장내 변의 개수*
실험 6일째에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대장 안에 잔류하고 있는 변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정상대조군이 4.0 ± 0.71개인 것에 비하여 loperamide 단독 투여 군에서는 8.8 ± 0.84개로 증가하여 loperamide에 의해 변비가 유발됨을 볼 수 있었다.
양성대조군은 6.8 ± 0.84개로 장내 변의 개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명자물 추출물 처리군(SA-1, SA-2)과 결명자 발효추출물 처리군(SC-1, SC-2)에서 농도별로 장의 변의 개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결명자물 추출물 처리군 보다 결명자 발효추출물 처리 군이 좀더 장의 변의 개수가 감소되어 있어 변비 유발을 감소되는 것을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7A, 도 7B).
Loperamide는 지사제로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장 운동을 억제하여 배변에 걸리는 시간을 연장시키므로(Schilleret al., 1984) 실험동물에서 변비유발을 위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도 loperamide의 투여는 변의 개수 및 중량 감소, 장내 잔류 변 개수 등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변비의 증상들은 결명자 발효추출물에 의하여 완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loperamide의 작용기전으로 장운동 억제와 더불어 장내 수분 흡수증가 또는 분비억제(Read, 1983; Theodoru et al., 1991)등의 가능성도 보고되었으며 본 실험에서도 loperamide에 의한 변의 수분함량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결명자 발효추출물 투여가 변의 수분함량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21)

  1. (a) 증류수에 결명자분말, 소포제를 공급하여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유산균성장배지가 공급된 결명자수용액을 멸균처리하는 단계;
    (d) 상기 멸균처리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
    (e) 상기 유산균이 접종된 결명자수용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f)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결명자수용액은,
    증류수에 결명자분말을 결명자분말농도 2 - 8% 되게 공급하고, 소포제를 30 - 70㎕를 공급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소포제는,
    decano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mineral oil, oxystearine, dimethyl polysiloxane, silicon dioxide, sorbitanmonostea rate, silicon resin)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유산균성장배지는,
    Proteose Peptone, Beef Extract, Yeast Extract, Dextrose, Polysorbate80, Ammonium Citrate, Sodium Acetate, Magnesium Sulfate, Manganese Sulfate, Dipotassium Phosphate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멸균처리는,
    115 - 125℃에서 10 - 20분간 고압증기 멸균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유산균접종은,
    상기 멸균처리된 결명자수용액 0.9 - 1.2ℓ에 유산균 30 - 50㎖ 접종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kefiri, 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aracasei, Enter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mylophill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delbrueckii, Bifidobacterium breve, Acetobacter lovaniensis, Acetobacter fab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발효는,
    35 - 40℃에서 산소를 공급하며 120 - 180RPM으로 교반하면서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상등액은,
    5,000 - 10,000RPM으로 10 -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10.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11. (a) 결명자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결명자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증류수에 결명자추출물, 소포제를 넣어 결명자수용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성장배지를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유산균성장배지가 공급된 결명자수용액을 멸균처리하는 단계;
    (e) 상기 멸균된 결명자수용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
    (f) 상기 유산균이 접종된 결명자수용액 발효시키는 단계;
    (g)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결명자추출물은,
    정선 건조된 결명자 또는 결명자분말 1중량% : 증류수 9 - 11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00 - 120℃로 2 - 4시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결명자추출물을 냉각 후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결명자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감압 농축된 농축 물을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결명자수용액은,
    증류수에 결명자분말을 결명자분말농도 2 - 8% 유지되게 공급하고, 소포제를 30 - 70㎕를 공급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decano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mineral oil, oxystearine, dimethyl polysiloxane, silicon dioxide, sorbitanmonostea rate, silicon resin)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유산균성장배지는,
    Proteose Peptone, Beef Extract, Yeast Extract, Dextrose, Polysorbate80, Ammonium Citrate, Sodium Acetate, Magnesium Sulfate, Manganese Sulfate, Dipotassium Phosphate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멸균처리는,
    115 - 125℃에서 10 - 20분간 고압증기 멸균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유산균접종은,
    상기 멸균처리된 결명자수용액 0.9 - 1.2ℓ에 유산균 30 - 50㎖ 접종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kefiri, 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aracasei, Enter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mylophill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delbrueckii, Bifidobacterium breve, Acetobacter lovaniensis, Acetobacter fab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발효는,
    35 - 40℃에서 산소를 공급하며 120 - 180RPM으로 교반하면서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의 상등액은,
    5,000 - 10,000RPM으로 10 -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제조방법.
  21. 상기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
PCT/KR2014/007609 2014-04-18 2014-08-18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WO20151600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804A KR101628962B1 (ko) 2014-04-18 2014-04-18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KR10-2014-0046804 2014-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043A1 true WO2015160043A1 (ko) 2015-10-22

Family

ID=5432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609 WO2015160043A1 (ko) 2014-04-18 2014-08-18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8962B1 (ko)
WO (1) WO201516004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6624A (ja) * 2014-11-04 2017-09-14 ヘナム ナチュラル ファーミング アソシエーション コーオペレーションHeanam Natural Farming Association Cooperation 決明子乳酸菌発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便秘改善、治療又は予防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99575A (zh) * 2016-01-28 2018-10-23 绿色生物制品有限公司 用于采用罗旺醋杆菌产生3-羟基丙酰胺的方法
CN110973547A (zh) * 2019-12-20 2020-04-10 湖南橘色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黄精酵素果冻及其制备方法
CN112544920A (zh) * 2020-12-03 2021-03-26 山东腾贵医药有限公司 一种改善便秘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74B1 (ko) * 2019-05-03 2019-09-17 이혜현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493A (ko)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태평양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KR100512322B1 (ko) * 2004-07-09 2005-09-02 김양문 변비에 개선 효과를 갖는 식물 복발효 효소액 및 이를사용한 기능성 음료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325B1 (ko) 1998-05-02 2002-11-18 주식회사 태평양 변비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4153B1 (ko) 2002-07-25 2006-05-29 서울향료(주) 생약소재에 의한 변비 개선용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493A (ko)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태평양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KR100512322B1 (ko) * 2004-07-09 2005-09-02 김양문 변비에 개선 효과를 갖는 식물 복발효 효소액 및 이를사용한 기능성 음료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6624A (ja) * 2014-11-04 2017-09-14 ヘナム ナチュラル ファーミング アソシエーション コーオペレーションHeanam Natural Farming Association Cooperation 決明子乳酸菌発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便秘改善、治療又は予防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99575A (zh) * 2016-01-28 2018-10-23 绿色生物制品有限公司 用于采用罗旺醋杆菌产生3-羟基丙酰胺的方法
JP2019503192A (ja) * 2016-01-28 2019-02-07 バーダント バイオプロダクツ リミティド アセトバクタ―・ロバニエンシスを用いて3−ヒドロキシプロピオンアミド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10704065B2 (en) * 2016-01-28 2020-07-07 Verdant Bioproducts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3-hydroxypropanamide employing Acetobacter lovaniensis
JP7088836B2 (ja) 2016-01-28 2022-06-21 バーダント バイオプロダクツ リミティド アセトバクタ―・ロバニエンシスを用いて3-ヒドロキシプロピオンアミド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10973547A (zh) * 2019-12-20 2020-04-10 湖南橘色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黄精酵素果冻及其制备方法
CN112544920A (zh) * 2020-12-03 2021-03-26 山东腾贵医药有限公司 一种改善便秘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962B1 (ko) 2016-06-10
KR20150121362A (ko)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60043A1 (ko)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WO2019199094A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0091166A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WO2018030732A1 (ko) 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8135843A2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6064000A1 (ko) 항바이러스 및 항병원성세균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륨 Probio 090 및 이의 생산물
WO2019117654A1 (ko) 신장질환 진행 억제 및 예방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신장질환 진행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WO2018043874A1 (ko)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6072655A1 (ko)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246610A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vl-001 균주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48934A1 (ko) 체지방 감소용 신규 유산균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플란타룸 sko-001 및 이의 용도
WO2020139020A2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연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김치
WO2023075290A1 (ko) 락토바실루스계 균주 배양여액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WO2022039514A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0526992B1 (ko) 탱자 추출발효물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질환의치료용 조성물
WO2021261929A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1020923A1 (ko)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US20220323390A1 (en) Dietary supplement to promote gut health
WO2019231076A1 (ko) 흑무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흑무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WO2020171256A1 (ko)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WO2024029670A1 (ko)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212202A1 (ko)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WO2019216465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breast cancer comprising cyclic dipeptide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WO2022045513A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34005A1 (ko) 유황을 섭취한 파리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892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892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