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774B1 -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774B1
KR102021774B1 KR1020190052078A KR20190052078A KR102021774B1 KR 102021774 B1 KR102021774 B1 KR 102021774B1 KR 1020190052078 A KR1020190052078 A KR 1020190052078A KR 20190052078 A KR20190052078 A KR 20190052078A KR 102021774 B1 KR102021774 B1 KR 10202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et
mixed
bowel movement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현
Original Assignee
이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현 filed Critical 이혜현
Priority to KR102019005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4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08Cellulose
    • A23V2250/51084Crystalline, microcrystalline 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파인애플, 모링가 잎, 질경이, 연자육을 분쇄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제1공정, 물과 올리고당을 혼합하여 희석액을 제조하는 제2공정, 상기 희석액에 유산균 배양액, 미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3공정 및, 상기 제1공정의 혼합분말과 상기 제3공정의 혼합액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장내 유익균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키고 장내 대사촉진으로 인한 배변촉진효과를 유도하면서 지방분해능도 갖는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bowel movement promotion or di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장내 유익균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키고 장내 대사촉진으로 인한 배변촉진효과를 유도하면서 지방분해능도 갖는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식생활의 서구화 및 인스턴트화로 열량의 섭취는 늘어난 반면 섬유소의 섭취 감소와 운동량의 저하로 인해 종래 서양에서 많이 발생하던 병이 국내에서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비만은 신체의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을 초과하여 결국 과체중에 이르게 되어 발현되는 만성적인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과거 비만에 대한 의학적 소견은 과식이나 게으름 등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생활습관의 질병으로 인식되었으나, 현재에는 이러한 비만을 방치할 경우에 중대한 질병을 동반할 수 있는 의학적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비만의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신체의 체중조절 기능의 이상, 유전적 비만성향, 나이, 사회, 환경적 영향 및 과도한 지방섭취, 그리고 풍요로운 산업사회로 인한 낮은 육체활동 등이 비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비만은 흡연 다음으로 질병 이외의 사망을 유발하는 두 번째 인자이다. 비만은 대사 증후군의 직접적인 원인이며 암, 심장병, 당뇨, 고혈압 등 다른 치명적인 질병들을 초래한다. 실제로 비만인은 정상인보다 사망률이 28% 높고, 일반인에 비해 고혈압은 56배, 고지혈증은 21배, 당뇨병은 29배나 발병 위험이 크다.
의료보험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치료건수가 지난 86년에 비해 적게는 15배, 크게는 20배 이상 늘어 비만이 국가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도 비만에 지출된 사회경제적 비용이 1998년 1조17억원에서 2005년 1조8000억원으로 증가하였다. 비만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비만 자체가 곧 질병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며, 비만 해결을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연령에 관계없이 비만 치료의 기본 원칙은 식이 요법, 운동 요법, 행동조절요법과 그리고 약물치료법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 인정되는 비만치료제는 식욕억제제인 시부트라민과 지방흡수억제제 올리스타트가 전부이지만,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약물을 작용기전에 따라 크게 분류하면 식욕억제제, 소화억제제, 열대사촉진제, 및 호르몬 및 펩타이드 조절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 치료제들은 식욕억제를 주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바, 장운동을 활발히 할 수 있는 영양분의 섭취가 부족하여 대부분의 비만 치료제를 섭취한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변비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음식을 섭취 후 음식의 영양성분이 인체 내부의 기관에 의해 필요한 곳으로 이동되면 영양성분이 빠진 음식물의 찌꺼기가 보통 12~72시간 후에 인체 외부로 대변의 형태로 배설되는 것이 정상적인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의 대변이 어떠한 이유로 인해 인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결장안에 오랜시간 머물러 있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것을 변비라고 한다.
변비가 생기면 대장으로 흡수된 수분이 혈액으로 되돌려 보내지는 가운데 대장의 기능이 떨어져 수분이 과다로 제거되어 몸에 해로운 물질을 체외로 배출시키지 못하고 신진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장내에 숙변을 비롯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만성두통을 비롯한 호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장에서 발생한 유독가스가 혈액을 타고 뇌 속으로 들어가 뇌기능을 어지럽히고 이 가스는 각종 기관을 압박하며 피의 흐름이 나빠지면서 충혈과 염증을 일으키고 체내 산소와 영양소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 질병을 유발시킨다.
이와 같이 대장에서 만들어지는 유해가스는 간에서 해독되지만 간이 건강하지 못하거나 유해가스의 발생이 과도한 경우 해독되지 못한 유해가스는 온몸의 기능을 저하시켜 신진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피부근염, 신장질환 등의 질병에 노출되기 쉽다.
또한, 장내 유익균이 활성화되지 못한 경우 세로토닌 합성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해 스트레스지수가 상승하고 우울증 및 분노조절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이 발생된다고 발표된 바 있다.
이에, 종래에는 변비가 발생하면 치료를 위해 치료제를 복용하는데, 이러한 치료는 예방적인 활동이 아니고 대장에 이상이 생긴 후에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장내 유익균 중 유산균을 혼합한 변비 치료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이러한 유산균들이 장내 유익세균총에 잘 안착하지 못하여 변비 치료효능이나 더 나아가 비만개선효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6244호 '발효 치커리를 이용한 변비 개선용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및 조성물'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7769호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장내 유익균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키고 장내 대사촉진으로 인한 배변촉진효과를 유도하면서 지방분해능도 갖는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파인애플, 모링가 잎, 질경이, 연자육을 분쇄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제1공정, 물과 올리고당을 혼합하여 희석액을 제조하는 제2공정, 상기 희석액에 유산균 배양액, 미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3공정 및, 상기 제1공정의 혼합분말과 상기 제3공정의 혼합액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1공정의 혼합분말 제조시, 새싹보리 잎 분말을 더 포함하기도 하며, 이때, 상기 새싹보리 잎분말은 혼합분말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1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1공정의 혼합분말 제조시, 혼합분말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파인애플은 20~40 중량%, 상기 모링가 잎은 20~40 중량%, 상기 질경이는 10~30 중량%, 상기 연자육은 10~3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제2공정의 희석액 제조시, 상기 물과 상기 올리고당을 1 : 9~10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3공정의 혼합액 제조시, 혼합액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희석액은 70~79 중량%,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20~29 중량%, 상기 미세결정셀룰로오스는 0.2~1 중량%, 상기 덱스트린은 0.1~0.3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리와 락토바실러스 카세리를 1 : 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균주를 배양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4공정의 조성물 제조시, 상기 제1공정의 혼합분말 500kg당 상기 제3공정의 혼합액 100~200ℓ를 넣고 혼합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발효는 35~40℃에서 120~240시간동안 발효하는 특징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인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장내 유익균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키고 장내 대사촉진으로 인한 배변촉진효과를 유도하면서 지방분해능도 갖는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분말 제조단계(S10), 희석액 제조단계(S20), 혼합액 제조단계(S30),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제조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제조단계>
1. 제1공정: 혼합분말 제조단계(S10)
본 공정에서는 파인애플, 모링가 잎, 질경이, 연자육을 분쇄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혼합분말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파인애플은 20~40 중량%, 상기 모링가 잎은 20~40 중량%, 상기 질경이는 10~30 중량%, 상기 연자육은 10~3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설명하면, 상기 파인애플은 색이 좋고 맛과 향이 달콤하면서 신맛으로 식욕을 증진시키고 몸속의 나트륨 배출에 칼륨의 함유로 각종 혈관 관련 질환을 예방하고, 특히 풍부한 섬유질로 소화기관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상기 파인애플은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4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파인애플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상기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워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배변촉진효능이 다소 떨어지거나 파인애플 특유의 맛과 향이 덜 나 전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떨어지게 되며,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많아 파인애플 특유의 신맛이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줄 우려가 있게 된다.
상기 모링가(Moringa oleifera)는 십자화목 모링가과에 속하는 나무로서 열대성 식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모링가 잎의 40%는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우유의 2배 정도이며, 비타민 C는 오렌지에 비해 무려 7배나 많이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을 강화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모링가에 풍부하게 함유된 섬유질과 함께 비타민, 아미노산, 미네랄이 장기능을 촉진시키고 해독작용을 함에 따라 변비개선에 효능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체중을 줄이는 효능 또한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갖가지 항산화성분들이 체내 유해한 독소 및 노폐물 배출에 도움을 주어 건강하게 체중을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링가 잎은 알싸하고 매콤한 맛을 갖고 있어 인도나 필리핀 등에서는 갖가지 요리와 소스, 향신료로써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과복용할 경우에는 오히려 설사나 복통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재료 중에 하나이다. 이에 상기 모링가 잎은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4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모링가 잎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변비개선 효능 및 체중감소효능을 얻기 어려우며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링가 잎 특유의 알싸하고 매운 맛으로 인해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줄 우려가 있게 된다.
상기 질경이는 한방에서 차전자라 불리는 약용식물로서 근래 항암효능이 뛰어나며, 식이섬유질이 많아 다이어트 식이섬유질로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재료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질경이는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이 다량 섭취시 오히려 설사나 무기력증을 나타낼 우려가 있게 된다. 상기 질경이는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질경이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다이어트 소재로써의 효능을 나타내기 어려우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질경이 자체 찬 성질로 인해 일부 소비자들의 소화력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게 된다.
상기 연자육(蓮子肉)은 연꽃의 열매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통상적으로 살짝 덜익은 열매를 말려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자육은 기력을 좋게 하고 허약한 몸을 보강해준다하여 산후 여성에게 권하는 재료 중에 하나이며, 특히 비, 위장 등 장운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맛은 달고 떫은 맛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상기 연자육은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연자육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적어 배변촉진 효능이 떨어지게 되어 목적하는 효능을 얻기 어렵게 되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과다한 연자육의 함량으로 인해 떫은 맛이 가미되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분말에는 면역력을 더 증강시켜줄 물질로 새싹보리 잎을 더 첨가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여기서 새싹보리는 벼과의 대맥 Hordeum vulgare L.에 싹을 틔워 자란 어린 식물체를 지칭하는 것으로써 발아한지 7~10일 정도되어 식용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보리의 싹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새싹보리는 씨앗 상태에서는 없었던 각종 효소, 비타민, 아미노산 등의 신물질을 방어무기로 만들어 냄에 따라 싹이 튼 지 7일에서 10일 정도 본 잎이 나오기 전의 어린 떡잎 상태일 때가 이런 유용물질의 생산량이 최대가 되며 다 자란 채소보다 20 ∼ 30배까지도 더 많은 유용물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새싹보리 잎은 예전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고 발아하는 과정에서 식이섬유, 단백질, 지방, 회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항산화, 항암, 항당뇨, 미백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공정에서는 상기 새싹보리 잎을 더 추가하기도 하는데 이때 상기 새싹보리 잎은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셀레늄이 함유된 새싹보리 잎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상기 새싹보리 잎은 혼합분말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상승되는 면역력 증강효능을 얻기 어려우며,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상승된 추가 효능을 얻기 어렵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재료들은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이용하는데 이때 각각 재료들의 입자크기가 100~500 mesh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소비자들이 섭취시 목넘김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100 mesh미만일 경우에는 목넘김이 용이하지 않으며 500 mesh를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작업에 따른 추가비용이 소요되는 바 경제적으로 적합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제조한 상기 혼합분말은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는 위나 장에 부담을 주어 오히려 소화력을 떨어뜨려 조성물로써의 사용이 어렵게 된다. 이에 하기 특정 발효공정을 거쳐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제2공정: 희석액 제조단계(S20)
본 공정에서는 물과 올리고당을 혼합하여 희석액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상기 혼합분말들은 여러가지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 증강효능 및 소화촉진효능은 갖고 있으나 그대로 이용할 경우 맛이 쓰거나 자극적이어서 소비자들이 용이하게 이용이 어려운 상태이다. 이에 이를 보다 소비자들이 용이하게 섭취할수 있도록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올리고당은 비용과 소화내성으로 인해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희석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올리고당을 물과 혼합할 시 9~10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상기 희석액 제조시 상기 물 1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올리고당을 9 중량비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적어 상승된 단맛이 가미되기 어려워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떨어지게 되어 별도의 당을 추가하여야 하며 10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많이 단가가 올라가 소비자들이 용이하게 섭취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올리고당의 종류로는 프락토 올리고당, 대두 올리고당, 말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알룰로오스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이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룰로오스 올리고당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다시말해, 상기 알룰로오스 올리고당은 포도당, 과장, 시럽 등의 영양감미료라고 불리우는 물질들의 대체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써 다른 감미료보다 자연 상태의 설탕과 가까운 맛을 나탄면서 칼로리는 낮은 것이 특징으로, 상기 알룰로오스 올리고당은 설탕에 가까운 깔끔한 단맛을 내면서 칼로리는 설탕(g당 4kcal)의 약 5%에 불과하여 거의 무칼로리 감미료로 적용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이어트용 소재로써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한 혼합분말들의 유효성분들은 유지한 체 칼로리는 거의 변화없이 맛을 상승시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알룰로오스 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3. 제3공정: 혼합액 제조단계(S30)
본 공정에서는 상기 희석액에 유산균 배양액,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덱스트린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혼합액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희석액은 70~79 중량%,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20~29 중량%, 상기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0.2~1 중량%, 상기 덱스트린은 0.1~0.3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맛을 상승시키위해 상기 희석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때 하기 발효가 골고루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하기 발효과정전에 상기 희석액과 소화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유산균 배양액 그리고 유산균이 잘 자랄수 있도록 해주는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와 덱스트린을 미리 혼합하여 혼합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희석액은 혼합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70~79 중량%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범위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할 정도의 맛을 나타낼 수 있게 되며, 상기 희석액의 함량이 70 중량%미만일 경우에는 기대되는 단맛이 가미되지 않아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게 되며 79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재료들과의 배합비율이 맞지 않아 이 역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공정에서는 유산균 배양액을 적용하는데 이 유산균 배양액은 장내에 정착하여 병원성 세균이 소화관 상피에 부착하는 것을 방해하여 질병발생을 막아주며,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항생물질이 설사를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이나 장내 유해균을 죽이거나 증식을 억제해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장내 생존율이 가장 높은 호기성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들을 적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들은 널리 알려진 유산균으로 한국생명공학연구소, 한국미생물보존센터등으로부터 누구나 용이하게 분양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리(Lactobacillus Paracasei)와 락토바실러스 카세리(Lactobacillus Casei)를 1 : 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균주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장내 세균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지방분해능도 나타내어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가장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혼합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20~29 중량%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20 중량%미만일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적어 베타글루칸 생성 및 지방분해능이 다소 미흡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얻지 못하게 되며, 29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재료들과의 배합비율이 맞지 않아 이 역시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게 된다.
상기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상기 유산균의 배지원으로 활용되는 것으로써 그 유산균의 증식을 최대한 상승시켜줄 수 있게 해준다. 이에 상기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혼합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0.2~1 중량%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0.2 중량%미만일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적어 유산균 증식을 상승시키는 효능을 얻지 못하게 되며, 1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재료들과의 배합비율이 맞지 않아 베타글루칸 생성이 용이하지 못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게 된다.
상기 덱스트린은 전분 또는 배소 덱스트린을 산 또는 아밀라제 등의 전분 분해 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전분 분해물, 배소 덱스트린 분해물 또는 그들의 유도체의 총칭이다. 덱스트린에는 배소 덱스트린, 소화성 덱스트린,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그들의 수소화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덱스트린은 특히, 섬유질이 풍부하여 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장속에 달라붙어 있는 노폐물을 그대로 배출시키는 촉진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 역시 상기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와 마찬가지로 그 유산균의 증식을 최대한 상승시켜줄 수 있게 해준다.
이에 상기 덱스트린은 상기 혼합액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0.1~0.3 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범위에서 다이어트시 보다 원활한 배변활동을 지속할 수 있고 순환계 장애 등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장의 활동을 촉진시켜 변비 해소를 통해 몸속의 노폐물을 배출할 수 있는 등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개선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된다.
4. 제4공정: 최종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제조단계(S40)
본 공정에서는 상기 제1공정의 혼합분말과 상기 제3공정의 혼합액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최종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며, 이때, 상기 제1공정의 혼합분말 500kg당 상기 제3공정의 혼합액 100~200ℓ를 넣고 혼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상기 혼합분말의 효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남녀노소 누구가 섭취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혼합분말과 상기 혼합액은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발효하여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써 상기 혼합분말 500g당 상기 혼합액 100ℓ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배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발효후에도 혼합분말의 효능이 극대화 되지 않아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얻기 어려우며 200ℓ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혼합분말의 함량이 적어져 이 역시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얻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발효는 35~40℃에서 120~240시간동안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발효조건을 벗어날 경우 과발효로 인한 이취가 발생되어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줄 우려가 있게 되며, 발효시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소화력이 떨어지는 소비자들에게는 섭취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효조건을 지켜주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러한 상기 최종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제회되어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건강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식품'은 통상적으로 소비자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기능성을 기대하고 섭취하는 식품으로 정의되며, 법률상 규정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기능성 식품'으로 칭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은, 과립제 또는 환제 형태의 건강식품 제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립제나 환제 형태 외에 정제, 캅셀, 분말, 액상 등으로도 제형화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2 제조
파인애플, 모링가 잎, 질경이, 연자육을 시중에서 구입한 후 각각 건조시킨 후 100mesh의 입자크기를 갖도록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파인애플 분말 150kg, 상기 모링가 잎 분말 150kg, 상기 질경이 분말 100kg, 상기 연자육 분말 100kg을 혼합하여 혼합분말 500kg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알룰로오스 올리고당을 증류수와 10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희석액500 ℓ를 제조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리 균주 배양액 75ℓ(TSA 배지, 7×104 CFU/ml)와 락토바실러스 카세리 균주 배양액 75 ℓ(TSA 배지, 7×104 CFU/ml)을 혼합하여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해두었다.
상기 희석액 500ℓ에 상기 유산균 배양액 150ℓ,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3.75kg, 덱스트린 1.5kg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해 둔 혼합분말 500kg과 상기 제조해 둔 혼합액 130ℓ를 혼합한 후, 37℃에서 200시간동안 발효시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2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혼합분말 500kg 제조시 상기 파인애플 분말 150kg, 상기 모링가 잎 분말 150kg, 상기 질경이 분말 100kg, 상기 연자육 분말 50kg, 새싹보리 잎 50kg을 혼합하여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2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새싹보리 잎은 파종 후 액상화된 셀레늄을 2일간격으로 살포하여 7일째 셀레늄을 포함하는 새싹보리 잎을 적용하였다.
<비교예 1>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3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유산균 배양액으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리 균주 배양액만 단독 사용하여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4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혼합액 대신 상기 유산균 배양액만을 넣고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4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5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발효과정을 빼고 상기 혼합분말과 상기 혼합액을 혼합하여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5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내지 7>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6 내지 9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혼합분말의 혼합비율 및 상기 혼합액의 혼합비율을 달리 적용하여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6 내지 9를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 2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혼합분말 파인애플 150kg 150kg 80kg 150kg 150kg 150kg
모링가잎 150kg 150kg 220kg 150kg 150kg 150kg
질경이 100kg 100kg 100kg 20kg 100kg 100kg
연자육 100kg 50kg 100kg 180kg 100kg 100kg
새싹보리 잎 - 50kg - - - -
혼합액 희석액 500ℓ 500ℓ 500ℓ 500ℓ 400ℓ 500ℓ
유산균배양액 150ℓ 150ℓ 150ℓ 150ℓ 250ℓ 150ℓ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3.75kg 3.75kg 3.75kg 3.75kg 3.75kg 10kg
덱스트린 1.5kg 1.5kg 1.5kg 1.5kg 1.5kg 5kg
<실험예 1> 지방분해능 확인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지방분해능을 확인하였다.
다시말해, 비만인 성인남녀 각 50명씩 총 100명을 대상으로, 성별로는 남성 20명씩, 여성 30명씩을 대상으로하여 상기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식품조성물을 환의 형태로 제조하여 환을 1일 3회 식전 10g씩을 60일 동안 섭취하도록 한 후 60일 동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실시예1 비교예1
성별 성별
남성(20명) 여성(30명) 남성(20명) 여성(30명)
체지방량 2kg이상 감소 체지방량 2kg이상 감소
30일 60일 30일 60일 30일 60일 30일 60일
10명 18명 15명 29명 7명 10명 10명 20명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지방분해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나, 비교예1의 조성물의 경우에는 지방분해능이 실시예 1의 조성물 보다는 다소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베타글루칸 함량 확인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예 2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베타글루칸 함량을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베타글루칸 함량
실시예1 14.88%
비교예2 8.52%
상기 실험결과, 실시예 1의 조성물은 고분자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매우 높아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우수하며 소화촉진 효능이 매우 우수하여 변비 해소능이 우수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관능검사
1. 실험방법
변비 치료제 또는 개선제를 사용하고 있는 성인남녀 총 100명을 대상으로, 성별로는 남성 50명과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된 실시예 1,2의 조성물 및 비교예 3 내지 7의 조성물의 맛, 향을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내었다. 아울러, 각 실험 대상자들의 배변횟수도 확인하여 변비에 대한 개선효과도 함께 확인하였다.
상기 시험대상자들에게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조성물 100ml를 1일 식전 3회, 7일 동안 섭취하도록 한 후 7일 동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상기 설험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4.5 4.6 1.5 3.5 2.0 1.3 1.4
4.2 4.3 2.0 3.7 2.8 4.0 2.0
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나쁨
배변횟수
(1일1회이상)
18명 18명 5명 18명 18명 10명 8명
남성 10명씩, 여성 10명씩 하여 각각 총 20명을 대상으로 함
상기 표 4에 나타나 있듯이, 비교예3의 경우에는 발효과정 없이 제조되어 각 혼합분말들의 잔존물로 인해 분말이 입안에 감돌아 먹기 불편하였으며 맛과 향에서 각 재료들의 강한 맛과 향이 그대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소화력을 떨어뜨리는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4, 5의 경우에는 배변횟수는 실시예 1,2와 동일하였으나, 매운맛과 쓴맛이 많이 가미되어 전체적인 맛평가가 낮게 나타났으며, 향 역시 좋지 않아 전체적인 선호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비교예 6의 경우에는 향은 다소 나쁘지 않았으나, 맛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으며 유산균 배양액의 함량이 많은 것 대비 배변횟수 또한 많지 않았으며, 비교예 7의 경우에는 맛과 향 모두 좋지 않아 전체적인 선호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혼합액의 배합비율이 맞지 않아 실질적으로 유산균들의 상승된 효능을 얻지 못하여 배변횟수 역시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면 실시예 1 또는 2 조성물의 경우에는 맛과 향 모두 우수하였으며 배변횟수 또한 높게 나타나 변비개선에도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의 제공에 의해, 면역력 증강에도 도움을 줌과 동시에 장내 유익균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키고 장내 대사촉진으로 인한 배변촉진효과를 유도하면서 지방분해능도 갖는 최상의 건강식품 제공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파인애플, 모링가 잎, 질경이, 연자육을 분쇄한 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되, 상기 파인애플은 20~40 중량%, 상기 모링가 잎은 20~40 중량%, 상기 질경이는 10~30 중량%, 상기 연자육은 10~30 중량%로 구성된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제1공정;
    물과 알룰로오스 올리고당을 1 : 9~10 중량비로 혼합하여 희석액을 제조하는 제2공정;
    상기 희석액에 유산균 배양액, 미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되, 상기 희석액은 70~79 중량%,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20~29 중량%, 상기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0.2~1 중량%, 상기 덱스트린은 0.1~0.3 중량%로 구성된 혼합액을 제조하는 제3공정 및,
    상기 제1공정의 혼합분말과 상기 제3공정의 혼합액을 혼합하되, 상기 혼합분말 500kg당 상기 혼합액 100~200ℓ를 넣고 혼합한 후, 35~40℃에서 120~240시간동안 발효시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3공정의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리와 락토바실러스 카세리를 1 : 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균주를 배양한 것이 특징인,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의 혼합분말 제조시, 새싹보리 잎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보리 잎분말은 혼합분말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1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20190052078A 2019-05-03 2019-05-03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78A KR102021774B1 (ko) 2019-05-03 2019-05-03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78A KR102021774B1 (ko) 2019-05-03 2019-05-03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774B1 true KR102021774B1 (ko) 2019-09-17

Family

ID=6807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078A KR102021774B1 (ko) 2019-05-03 2019-05-03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7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014B1 (ko) * 2020-05-04 2020-07-16 신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꾸지뽕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7285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라파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p-003 균주를 이용한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220067286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라파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rp-004 균주를 이용한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838A (ko) * 2012-11-05 2014-05-14 노길형 배변활동을 촉진하도록 유산균 증식물질을 함유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활성효소 식품의 제조방법
KR101487769B1 (ko) 2014-08-19 2015-01-29 인성제약(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1496244B1 (ko) 2012-12-28 2015-02-26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발효 치커리를 이용한 변비 개선용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150121362A (ko) * 2014-04-18 2015-10-29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KR20160037510A (ko) * 2014-09-29 2016-04-06 김구환 숙변 제거 효능이 있는 장 기능 개선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3073A (ko) * 2016-06-30 2018-01-0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80056199A (ko) * 2016-11-18 2018-05-28 이종기 모링가추출물을 함유한 다이어트용 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838A (ko) * 2012-11-05 2014-05-14 노길형 배변활동을 촉진하도록 유산균 증식물질을 함유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활성효소 식품의 제조방법
KR101496244B1 (ko) 2012-12-28 2015-02-26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발효 치커리를 이용한 변비 개선용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150121362A (ko) * 2014-04-18 2015-10-29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KR101487769B1 (ko) 2014-08-19 2015-01-29 인성제약(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20160037510A (ko) * 2014-09-29 2016-04-06 김구환 숙변 제거 효능이 있는 장 기능 개선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3073A (ko) * 2016-06-30 2018-01-0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80056199A (ko) * 2016-11-18 2018-05-28 이종기 모링가추출물을 함유한 다이어트용 껌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014B1 (ko) * 2020-05-04 2020-07-16 신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꾸지뽕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7285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라파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p-003 균주를 이용한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220067286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라파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rp-004 균주를 이용한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516471B1 (ko) * 2020-11-17 2023-04-03 주식회사 라파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rp-004 균주를 이용한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517719B1 (ko) * 2020-11-17 2023-04-05 주식회사 라파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p-003 균주를 이용한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205B1 (ko)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021774B1 (ko)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643250B (zh) 一种可双向调节体重改善亚健康的固体饮料
CN101095511A (zh) 青稞虫草八宝粥
CN109430518A (zh) 一种新型秸秆生物动力发酵堆及其制备方法
CN102090563B (zh) 一种纾压和舒眠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101611954B1 (ko) 변비 및 피로회복 개선 기능을 가지는 발효광물 생식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발효광물 생식 환
CN113974043A (zh) 一种益生元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14128813A (zh) 一种用于解酒护肝后生元饮品及其制备方法
CN102188005A (zh) 具有明显通便和防癌作用的复合纤维素制剂
KR20170072003A (ko) 흰찰쌀보리를 이용한 당뇨에 도움을 주는 발효식품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발효식품
CN109170863A (zh) 一种功能糖酵素及其制备方法
CN105851436A (zh) 一种补硒牛皮糖
KR101884634B1 (ko) 체중 조절 효과를 지닌 유산균 발효액
CN102187964A (zh) 主攻便秘的五谷杂粮食品方便粥
KR101487769B1 (ko)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2000170B1 (ko)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KR20100037310A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액상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1421284B1 (ko) 변비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6198A (ko) 발효 한약재와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고형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형차
CN105176773A (zh) 一种调节血糖的南瓜酒及其制作方法
KR101935848B1 (ko) 강화 순무를 이용한 혈당조절용 식품 조성물
KR20090081062A (ko) 당뇨병 예방 치료 및 내장 기능 치료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90140737A (ko) 디톡스-다이어트 물질을 포함하는 식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65106B1 (ko)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변비 질환 개선용 환제 또는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