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33268A1 -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33268A1
WO2014133268A1 PCT/KR2014/001040 KR2014001040W WO2014133268A1 WO 2014133268 A1 WO2014133268 A1 WO 2014133268A1 KR 2014001040 W KR2014001040 W KR 2014001040W WO 2014133268 A1 WO2014133268 A1 WO 20141332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mestrol
cumestrin
legumes
chitosan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0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영규
심종원
심진섭
박준호
염명훈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EP14757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63049B1/en
Priority to CN201480011366.7A priority patent/CN105189526B/zh
Priority to JP2015560088A priority patent/JP6332873B2/ja
Priority to US14/768,284 priority patent/US20150376200A1/en
Publication of WO20141332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33268A1/ko
Priority to HK16100288.3A priority patent/HK1212353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6Acyclic or carbo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07H1/08Separation; Purification from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cumestrol or cumestrin.
  • Inexpensive synthetic estrogens such as diethylstilbestrol (DES), which have a strong estrogen effect in estrogen therapy for menopausal women, are a natural alternative to female hormones since the US FDA has been banned. Attention is drawn to phytoestrogen. However, since these substances are present in extremely small amounts in nature, it is very difficult to secure large quantities. In addition, there has been no measurable achievement in the past half century as it has been lukewarm in the development of mass-synthesis technology for these materials, and although there have been reports on the development of the synthesis method intermittently, it is also only at the laboratory level. There is no way.
  • DES diethylstilbestrol
  • Coumestrol is one of the most powerful phytoestrogens known to date and is found mainly in the seeds, roots and leaves of legumes, compositae plants, and isoflavonoids. In general, it is classified as a comumestan-based compound.
  • Kumestrol is a substance that has been noticed when it is known to play a role in preventing infection by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viral activity through antioxidation, anti-inflammatory and anti-toxin action by secreting a dark concentration in the wound area when the plant is injured.
  • cumestrol is known to have a phenolic structure, which is a chemical basic skeleton as an antioxidant, to inhibit the influx of free radicals oxidant, there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peroxide compounds in vivo.
  • cumestrol is known to have an estrogen effect. Experiments on the effects of estrogen were assessed based on weight changes in the uterus after oral administration to immature rat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or coumestrin from legumes.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large amount of cumestrol through the sugar removal of cumestrin.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umes (Coumestrin) comprising the treatment of chitosan on legumes or soil during the growth of legum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in by treating chitosan treatment to the roots of legum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in, wherein the chitosan is treated during at least one of periods from VE to V4 during the growth of legumes.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in using low molecular water soluble chitosan.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in with chitosan treatment at 4 to 6 day intervals.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in further comprising preparing an extract of the cultivated legumes.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in using the extract of the root portion of legume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oumestrin (Coumestrin) comprising the treatment of chitosan on legumes or soil during the growth of legumes.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for treating chitosan treatment to the roots of legum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wherein the chitosan is treated during at least one of periods from VE to V4 during the growth of legum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using low molecular water soluble chitosan.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with chitosan treatment at intervals of 4 to 6 days.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further comprising preparing an extract of cultivated legum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using extracts of the root portion of legumes.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s to produce cumestrin and cumestrol by the above method; And treating the cumestrin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ids, bases, enzymes, and microorganisms, thereby removing the sugar from the cumintrin (Coumestrin).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wherein at least one treat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ids, bases, enzymes and microorganisms is treated for extracts of legumes including cumestrin.
  • the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or cumestr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legumes, which increases the amount of produced cumestrol or cumestrin, and therefore a large amount of cumetrol is produced therefrom in high yield. To get it. Kumestrol or cumestrin produced in this way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harmaceutical, food or cosmetics.
  • Figure 1 shows the cumestrol content in the extract of the root portion of legumes according to induction factor treatment and growth time.
  • Figure 2 shows that after extracting the extract of the root portion of the legumes in water after the enzyme reaction using beta glucosidase, the precipitate produced by the enzyme reaction was analyzed using HPLC.
  • Figure 3 shows the comparison of the amount of cumestrol in the extract of the root portion of the legumes before and after the enzyme reaction.
  • Cumestrol 3,9-dihydroxy-6H-benzofuro (3,2-c) (1) benzopyran-6-one C 15 H 8 O 5 , MW: 268.2
  • benzopyran-6-one C 15 H 8 O 5 , MW: 268.2
  • benzopyran-6-one C 15 H 8 O 5 , MW: 268.2
  • Cumestr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in by treating chitosan on legumes or surrounding soil until a certain cultivation time after soybean plant sowing.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by treating chitosan to legumes or surrounding soil until a certain cultivation time after soybean plant sowing.
  • Chitosan can be treated in whole or in part of a seed, leaf, stem, fruit, etc.,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process chitosan in the root part of a legume.
  • the legumes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so long as the legumes for synthesizing cumestrin and / or cumestrol.
  • the kinds of legumes that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eties for tofu and tofu, for herbs, for rice or for soybeans.
  • Daepoong ⁇ ⁇ , Korean cultivation name registration (hereinafter abbreviated)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940
  • Hojang ⁇ ⁇ ,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950
  • Jangwon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76), Rhubarb ( ⁇ ⁇ ,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379), Sodam (Application Publication No.
  • the varieties for herbs include Xinhua beans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982), Sowan Beans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376), Anpyeong ( ⁇ ,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939), Southwest ( ⁇ ,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948), Colorful (Application No. 2003-930), Solok, Soho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78), Calling,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9-932), Dawon ( ⁇ , Registration No. 01-0003-1997-40), Poongsan ( ⁇ ⁇ , Registration No.
  • Herbs Herbs, Iksan ( ⁇ ⁇ , No. 01-0003-1997-29) Herb, Sobaek ( ⁇ , No. 01-2003-1997-31) Herb, Gwangan (No. 01-0003-1997-19) , Single leaves and galaxies (Reg. No. 01-0003-1997-6).
  • celadon ⁇ ⁇ ,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80
  • Black Blue ⁇ ⁇ ,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381
  • Galmi ⁇ ⁇ ,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380
  • Light black ,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9-934
  • Black Soybean Registration No. 01-2003-1997-17
  • Single Black Soybean Registration No.
  • chitosan treatment can be treated for any period of at least one of VE, VC, V1, V2, V3, or V4 during the growth of legumes.
  • VE germination stage of the growth stage and the cotyledon appears on the ground
  • VC stage is the cotyledon stage, which is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leaflets.
  • the V1 phase is the vegetation stage, which means that the vegetation is fully developed
  • the V2 phase is the first biplane
  • the first biplane is fully developed
  • the V3 phase is the second biplane, and the second lobe is fully developed. It means when it is done.
  • the V4 phase usually refers to the third biplane as fully developed.
  • chitosan treatment can be applied at intervals of 4 to 6 days around legumes and / or soil.
  • the chitosan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cumestrol or cumestrin is preferably a low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and preferably a low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yl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0,000 or less, 15,000 or less, 10,000 or less, or 5,000 or less.
  • the molecular weight of the low molecular weight water soluble chitosan may preferably be at least 500, at least 1,000, at least 2,000, or at least 5,000.
  • the most important property of chitosan is its low molecular weight and solubility in neutral water. Chitosan is a partially deacetylated chitin and is nontoxic.
  •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to be used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0.01% or more, more preferably 0.3% or more.
  • the solvent used with the chitosan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chitosan is well dissolved and a safe solvent, and water (H 2 O) is preferable.
  • the production method of cumestri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preparing an extract of the legumes produced by the method,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eparing an extract of the root part of the beans can do.
  • the production method of cumestrol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preparing an extract of the legumes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preferably the step of preparing an extract of the root part of the beans It may include.
  • the method for producing cumestrol is the step of treating chitosan on legumes or soil during a certain period of growth of legumes to produce cumestrin and cumestrol
  • Mestrin may comprise the step of removing sugar from the cumestrin by treat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ids, bases, enzymes, and microorganisms.
  • a large amount of cumetrol production is possible by adding a sugar removal step for cumestrin, compared to the case of producing chimethrol by only chitosan treatment on legumes or soil.
  • Extraction method of the extract may be used in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high pressure extraction method, reflux extrac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nd the like commonly used in the art.
  • about 1 to 8 times, preferably about 4 times, water or the organic solvent was added to the degreased plant, and the mixture was extracted under reflux 1 to 5 times, and then deposited at 10 to 20 ° C.
  • the legume extract containing the cumestr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 the extract containing the glycoside is then hydrolyzed using an acid, base, enzyme or microorganism producing the enzyme to produce cumestrol.
  •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obtained by hydrolysis by heating to reflux for 0.5 to 2 hours in an 80 ° C. water bath.
  • the acid may be one or more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and nitric acid, or a mixed solvent of these acids with one or more alcoho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and butanol.
  • the base when the base is dissolved, the extract is dissolved, and then a base or a mixed solvent (preferably 40-60% butanol mixed solvent) of 0.1N to 2N concentration, preferably 1N concentration, is added to 50 to 100.
  • the reaction solution may be obtained by hydrolysis by heating to reflux for 1 to 12 hours in a 100 ° C., preferably 100 ° C. water bath.
  • the base may be one or more bas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or a mixed solvent of these bases with one or more alcoho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butanol.
  • the extract is dissolved in an acid buffer of 5 to 20 times, preferably about 10 times, and then the enzyme is added and stirred for about 1 to 60 hours on a water bath of about 35 to 40 ° C.
  • the substrate is completely removed by chromatography, the substrate is completely disappeared, and then heated in hot water (80 to 100 ° C.) for 5 to 15 minutes to terminate the hydrolysis reaction, thereby obtaining a reaction solution.
  • the extract When utilizing the microorganism to produce the enzyme, the extract is dissolved in 5 to 10 times, preferably about 10 times in ionized water and then sterilized for 30 minutes at 110 ⁇ 130 °C cooled to 25 ⁇ 35 °C and pre-cultured Inoculate the microorganism at 5 to 10% of the liquid amount and incubate for 2 to 5 days at 25 to 35 ° C., and centrifuge at 5,000 to 10,000 rpm to wash the precipitate several times with distilled water, followed by centrifugation to obtain a reaction solution as a precipitate. can do.
  • the enzyme or microorganism producing the enzyme may use an exo sugar-binding enzyme or a microorganism that produces the exo-sugar-binding enzyme, and the enzyme may separate the cumestrol by removing a sugar portion from a glycoside. have.
  • the reaction solution i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the solvent, and alcohol is added to the residue, followed by stirring 1 to 5 times.
  • the sugar may be removed as shown in Table 1 below.
  • Treatmen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ids, bases,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the material comprising cumestrin may be performed on extracts of legumes, and the extracts of legumes are filtered or purified. It may then be processed to produce cumestrol.
  • Low molecular water-soluble chitosan or yeast was grown on soil and legumes from the early (VE) to V4 period of the growth period of legumes (soybean (Glycine Max.)).
  • Low molecular water-soluble chitosan is easily soluble in water, easy to treat in soil, and edible compared to other inducers.
  • Low molecular water-soluble chitosan purchased water-soluble chitosan (YWCTS-100) produced by Youngky Farm Co., Ltd. Chitosan treatment was dissolved in water at a concentration of 0.3%, and then sprayed at intervals of 5 days, mainly soybean stem and soil, so that the roots could be contacted well using a water spray.
  • Nuruk is a fungus known to have excellent induction efficacy through many studies and is a harmless ingredient used in food fermentation bacteria.
  • Aspergillus oryzae dry cell was purchased from Mediogen.
  • Nuruk bacteria treatment one day before the soybean, 10g of sugar was dissolved in 1L of water, 10g of Aspergillus oryzae dry cells were mixed well. Thereafter, the mixture was incubated at a temperature of 30 ° C. for 12 hours in a shaking thermostat. After incubation, the water was sprayed to penetrate the bean stalk and the soil around the bean stalk by using a water fork.
  • Treatment of Nuruk was performed every 5 days. At this time, the control group was sprayed with the same amount of purified water.
  •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chitosan and koji bacteria, and the bean roots grown without any treatment were collected at each growth period (VE ⁇ V4, 6), washed with purified water, dried and then semalized.
  • 100 g of the soybean root powder was put in 1 liter (L) of 70%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then filtered through a 300 mesh filter cloth.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50 °C using a distill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a cooling condenser and dried to prepare a bean root extract.
  • HPLC HPLC was us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umestrol content in the soybean root extract for each growth period obtained in Experimental Example 2.
  • cumestrol purchased from Indofine Chemical Company was used as reference material.
  • Kumestrol content in the soybean root extract according to the induction factor treatment and growth time is shown in FIG. Due to the induction factor treatment, the cumetrol content in the soybean root extrac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induction factor treatment. In particular, the cumestrol content increased rapidly during the growth periods V3 and V4.
  • the amount of cumestrol produced up to V4 was 1.6 mg / g per g of extract of the untreated control, whereas the amount of cumestrol was 2.6 mg / g when treated with Nuruk bacteria, which was increased by about 1.6 times, and treated with chitosan. The content increased about 2 times to 3.2 mg / g.
  • the enzyme reaction was performed using beta glucosidase, and the precipitate produced by the enzyme reaction was analyzed using HPLC.
  • the sugar of the cumestrin in the extract was removed, and as shown in FIG. 2, the cumestrol content was converted to the cumestrol.
  • the peak near the numerical value 44.00 representing the cumestrin decreased slightly in the HPLC of the ⁇ Soy root extract enzyme reaction precipitate> compared to the HPLC of the ⁇ bean root extract>, while the peak near the numerical value 57.00 representing the cumestrol was about 15 It increased about tw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키토산을 콩의 생육 기간 중 일정 시기까지 처리하는 쿠메스트롤의 생산방법 및 쿠메스트린의 생산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또한, 상기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쿠메스트린에 효소 처리 또는 산 처리 등을 하여 쿠메스트롤을 생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생산 방법
본 발명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갱년기 여성들을 위한 에스트로겐 요법에서 강력한 에스트로겐 효과를 갖고 있는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ylstilbestrol; DES) 등의 저렴한 합성 에스트로겐의 사용이 미국 FDA에 의해 전면 금지된 이후로 여성호르몬을 대체해 줄 수 있는 천연의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천연에 극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대량 확보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과거 반세기에 걸쳐 이러한 물질들의 대량 합성 기술개발에 미온적이었기 때문에 두드러진 성과는 없었으며 비록 간헐적으로나마 합성법 개발에 대한 보고가 있기는 하지만 이 역시 실험실적 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이렇다 할 만한 손쉬운 대량 제조방법이 전무한 상태이다. 쿠메스트롤(coumestrol)은 식물성 에스트로겐 중에서 현재까지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로서 주로 콩과(leguminosae), 국화과(compositae) 식물의 씨앗, 뿌리 그리고 잎에서 발견되는 물질로써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는 쿠메스탄(coumestan) 계열 화합물로 분류되고 있다. 쿠메스트롤은 식물이 외상을 입었을 때 상처 부위에 짙은 농도로 분비되어 항산화, 항염 및 항독소 작용을 통해 항균, 항진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여 감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았던 물질이다(Darbarwar, M., et al., J. Sci. Ind. Res., 35, 297, 1982; Jeffrey, B. H., et al., Phytochemical Dictionary, Taylor & Francis, London, pp 418, 1933).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박테리아 및 곰팡이류, 바이러스 등의 감염이 쿠메스트롤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족 화합물(aromatic compounds)의 합성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쿠메스트롤의 항생 작용의 근원은 항산화제로서의 화학적 기본 골격인 페놀성 구조를 보유하고 있어 프리 라디칼성(free radicals) 산화제의 유입을 억제하여 생체 내 과산화 화합물 생성을 저지하기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천연 쿠메스탄 계열의 유도체들 중에서 오직 쿠메스트롤만이 에스트로겐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에스트로겐 효과에 대한 실험은 미숙한 쥐에게 경구 투여한 후 자궁의 무게 변화에 기초하여 평가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쿠메스트롤은 어린 암쥐에서는 효과적으로 에스트로겐 효과가 나타났지만 성숙한 숫컷 동물들에게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독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Darbarwar, M., et al., J. Sci. Ind. Res., 35, 297, 1982). 그러나, 쿠메스트롤은 콩과 식물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므로 현재 상용되는 천연 쿠메스트롤은 고가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합성을 통해 쿠메스트롤을 얻으려는 연구가 간헐적으로 시도되어 왔으나 여러 개의 방향족 고리가 융합되어 있는 다소 복잡한 화학 구조 때문에 손쉬운 합성법 개발에 대한 접근법이 소개되지 않고 있으며, 비록 몇 가지의 합성법이 보고되고 있으나 각 합성법들은 아래에 설명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또한 최근에 화학적 합성법에 의해 생산한 성분 보다는 천연에서 생산한 성분이 안전성 측면에서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천연에서 대량으로 생산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진행 중에 있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콩과 식물로부터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coumestrin)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쿠메스트린의 당 제거를 통한 다량의 쿠메스트롤의 생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콩과 식물의 생육기간 동안 콩과 식물 또는 토양에 키토산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쿠메스트린(Coumestrin)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키토산 처리를 콩과 식물의 뿌리에 처리하는 쿠메스트린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기 키토산을 콩과 식물의 생육기간 중, VE시기부터 V4시기까지 중 어느 한 시기 이상의 기간동안 처리하는 쿠메스트린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을 사용하는 쿠메스트린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키토산 처리를 4일 내지 6일 간격으로 하는 쿠메스트린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재배된 콩과 식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쿠메스트린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콩과 식물의 뿌리 부분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쿠메스트린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콩과 식물의 생육기간 동안 콩과 식물 또는 토양에 키토산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쿠메스트롤(Coumestrin)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키토산 처리를 콩과 식물의 뿌리에 처리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기 키토산을 콩과 식물의 생육기간 중, VE시기부터 V4시기까지 중 어느 한 시기 이상의 기간동안 처리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을 사용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키토산 처리를 4일 내지 6일 간격으로 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재배된 콩과 식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콩과 식물의 뿌리 부분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기 방법으로 쿠메스트린 및 쿠메스트롤을 생산하는 것; 및 상기 쿠메스트린에 산, 염기, 효소 및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처리하여 쿠메스트린(Coumestrin)으로부터 당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기 산, 염기, 효소 및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처리는 쿠메스트린을 포함하는 콩과 식물의 추출물에 대해 처리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생산방법은 콩과 식물을 사용한 것으로서, 생성되는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함량을 높이므로 그로부터 다량의 쿠메스트롤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생산한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은 약학, 식품 또는 화장품을 예로 들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유도 인자 처리 및 생장 시기에 따른 콩과 식물의 뿌리 부분의 추출물 내의 쿠메스트롤 함량을 나타낸다.
도 2는 콩과 식물의 뿌리 부분의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 베타 글루코시다아제를 이용하여 효소 반응을 진행한 후, 효소반응으로 생성된 침전물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효소반응 전·후 콩과 식물의 뿌리 부분의 추출물 내 쿠메스트롤의 함량 비교를 나타낸다.
쿠메스트롤(CMS, 3,9-dihydroxy-6H-benzofuro(3,2-c)(1)benzopyran-6-one C15H8O5, MW: 268.2)은 천연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라디올(estradiol) 또는 스틸베스트롤(stilbestrol)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쿠마린(coumarin) 유사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1040-appb-I000001
본 발명의 쿠메스트린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4001040-appb-I000002
본 발명은 콩과 식물 파종 후 일정 재배 시기까지 콩과 식물 또는 주변 토양에 키토산을 처리하여 쿠메스트린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콩과 식물 파종 후 일정 재배 시기까지 콩과 식물 또는 주변 토양에 키토산을 처리하여 쿠메스트롤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콩과 식물의 전체, 또는 종자, 잎, 줄기, 열매 등 일부분에 키토산을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콩 뿌리 부분에 키토산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콩과 식물은 쿠메스트린 및/또는 쿠메스트롤을 합성하는 콩과 식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콩과 식물의 종류는, 장류 및 두부용, 나물용, 밥밑용 또는 풋콩용 품종일 수 있다. 장류 및 두부용 품종으로는, 대풍(大豊, 대한민국 품종명칭등록(이하, 생략) 출원공고번호 제2003-940호), 호장(湖醬, 출원공고번호 제2003-950호), 장원(
Figure PCTKR2014001040-appb-I000003
, 출원공고번호 제2002-76호), 대황(大潢, 출원공고번호 제2000-379호), 소담(출원공고번호 제1999-933호), 송학(松鶴, 출원공고번호 제1999-936호), 대원(大元, 대한민국 국가품종목록(이하, 생략) 등재번호 제01-0003-1997-38호), 진품(眞品, 등재번호 제01-0003-1997-26호), 단백(蛋白, 등재번호 제01-0003-1997-18호), 두유(豆油, 등재번호 제01-0003-1997-22호), 신팔달(新八達, 등재번호 제01-0003-1997-15호), 태광(太光, 등재번호 제01-0003-1997-12호), 만리(萬里, 등재번호 제01-0003-1997-11호), 장수(
Figure PCTKR2014001040-appb-I000004
, 등재번호 제01-0003-1997-9호), 무한(無限, 등재번호 제01-0003-1997-7호), 백운(白雲, 등재번호 제01-0003-1997-2호), 새알(등재번호 제10-0003-1997-3호), 황금(
Figure PCTKR2014001040-appb-I000005
, 등재번호 제01-0003-1997-1호) 및 장엽(長葉, 등재번호 제01-0003-1997-41호) 등이 있다. 나물용 품종으로는, 신화콩(출원공고번호 제2009-982호), 소원콩(출원공고번호 제2000-376호), 안평(安平, 출원공고번호 제2003-939호), 서남(西南, 출원공고번호 제2003-948호), 다채(多彩, 출원공고번호 제2003-930호), 소록(小綠), 소호(小湖, 출원공고번호 제2002-78호), 소명(疏明, 출원공고번호 제1999-932호), 다원(多元, 등재번호 제01-0003-1997-40호), 풍산(豊産, 등재번호 제01-0003-1997-34호)나물, 익산(益山, 등재번호 제01-0003-1997-29호)나물, 소백(小白, 등재번호 제01-2003-1997-31호)나물, 광안(光安, 등재번호 제01-0003-1997-19호), 단엽(短葉) 및 은하(銀河, 등재번호 제01-0003-1997-6호) 등이 있다. 밥밑용 품종으로는, 청자(靑磁, 출원공고번호 제2002-80호), 흑청(黑靑, 출원공고번호 제2000-381호), 갈미(褐味, 출원공고번호 제2000-380호), 선흑(
Figure PCTKR2014001040-appb-I000006
, 출원공고번호 제1999-934호), 검정콩(등재번호 제01-2003-1997-17호) 및 일품(一品)검정콩(등재번호 제01-0003-1997-42호) 등이 있다. 또한, 풋콩용 품종으로는, 다올(출원공고번호 제2003-931호), 신록(新綠, 출원공고번호 제2002-77호), 새올(출원공고번호 제1999-938호), 검정올(등재번호 제01-2003-1997-37호), 석양(夕凉)풋콩(등재번호 제01-0003-1997-25호), 화엄(華嚴)풋콩(등재번호 제01-0003-1997-21호) 및 큰올(등재번호 제01-2003-1997-14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키토산 처리는 콩과 식물의 생육기간 중 VE, VC, V1, V2, V3, 또는 V4 중 어느 한 시기 이상의 기간 동안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VE 시기부터 V3시기까지, 더 바람직하게는 VE 시기부터 V4시기까지 처리할 수 있다. VE 시기는 생육단계 중 발아단계로서 자엽이 지상에 나타날 때를 의미하며, VC 시기는 자엽단계로서 초생엽이 전개 중인 때를 의미한다. V1 시기는 초생엽 단계로서 초생엽이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를 의미하며, V2 시기는 제1복엽기로서 제1복엽이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를 의미하며, V3 시기는 제2복엽기로서 제2복엽이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를 의미한다. V4 시기는 제3복엽기로서 제3복엽이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를 통상적으로 의미한다.
나아가, 키토산 처리는 콩과 식물 및/또는 토양 주변에 4일 내지 6일 간격으로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생산방법에 사용하는 키토산은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20,000 이하, 15,000 이하, 10,000 이하, 또는 5,000 이하인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일 수 있다.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1,000 이상, 2,000 이상, 또는 5,000 이상일 수 있다. 키토산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저분자량을 가지면서 중성의 물에 가용성을 갖는 것이다. 키토산은 부분적으로 탈아세틸화된 키틴으로서, 무독성이다. 사용하는 키토산의 농도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 적당하다. 키토산과 함께 사용하는 용매는 키토산이 잘 녹고 안전한 용매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물(H2O)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쿠메스트린의 생산방법은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콩과 식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콩 뿌리 부분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쿠메스트롤의 생산방법은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콩과 식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콩 뿌리 부분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쿠메스트롤의 생산방법은 콩과 식물의 일정한 생육 기간 동안 콩과 식물 또는 토양에 키토산을 처리하여 쿠메스트린 및 쿠메스트롤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쿠메스트린에 산, 염기, 효소, 및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처리하여 쿠메스트린으로부터 당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콩과 식물 또는 토양에 대해 키토산 처리를 함으로써, 쿠메스트린 및 쿠메스트롤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며, 생성된 쿠메스트린으로부터 당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쿠메스트린이 쿠메스트롤로 전환될 수 있어 생성되는 쿠메스트롤의 수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콩과 식물 또는 토양에 대해 키토산 처리만 하여 쿠메스트롤을 생산하는 경우에 비하여, 쿠메스트린에 대한 당 제거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대량의 쿠메스트롤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수추출 방법, 고압추출 방법, 환류추출 방법, 초음파추출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콩과 식물로부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제조하기 위하여 콩과 식물, 예컨대 콩과 식물의 뿌리에 약 1 내지 6 배, 바람직하게는 약 3배의 물 또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과의 혼합용매를 넣고, 상온에서 1 내지 5회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탈지시킨 다음, 탈지된 식물에 약 1 내지 8 배, 바람직하게는 약 4 배의 물 또는 상기 유기용매를 넣고, 1 내지 5회 환류 추출한 후, 10 내지 20 ℃에서 1 내지 3일간 침적시킨 후,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하여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엑기스를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등을 이용하여 색소를 제거한 다음, 수층을 상기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1 내지 5회 추출한 후, 수득한 유기용매층을 감압농축하여 상기 유기용매 엑기스를 얻은 다음, 이를 소량의 메탄올 등에 녹인 후,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시켜, 본 발명의 상기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콩과 식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배당체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산, 염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여 쿠메스트롤을 제조한다.
이 때 산을 이용 시, 상기 추출물에 0.1N ∼2N 농도, 바람직하게는 1N 농도의 산 또는 산 및 알코올의 혼합용매(바람직하게 40~60% 에탄올 혼합용매)를 가한 후, 5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80 ℃ 수욕조에서 0.5 내지 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켜 가수분해하여 반응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산은 염산, 황산 및 질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 또는 이들 산과 에탄올, 메탄올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코올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염기를 이용 시, 상기 추출물을 녹인 후, 0.1N ∼ 2N 농도, 바람직하게는 1N 농도의 염기 또는 염기 및 알코올의 혼합용매(바람직하게는 40~60% 부탄올 혼합용매)를 가해 5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00 ℃ 수욕조에서 1 내지 12 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켜 가수분해하여 반응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기, 또는 이들 염기와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코올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효소를 이용시, 상기 추출물을 5 내지 20 배, 바람직하게는 약 10 배의 산성 완충용액에 용해시킨 다음, 효소를 첨가하여 약 35~40 ℃ 수욕 상에서 약 1 내지 6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기질의 소거율을 확인하여 기질이 완전히 소실되면 열수(80∼100 ℃) 중에서 5 내지 15 분 동안 가열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종료시키고 반응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활용 시, 상기 추출물을 5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의 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110~130℃에서 30분간 멸균하여 25~35 ℃로 냉각한 후 미리 배양된 미생물을 액체량 대비 5∼10%로 접종하여 25~35℃에서 2 내지 5일 배양 시킨 후 5,000 내지 1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침전물을 증류수로 수회 세척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로써 반응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엑소(exo) 당 결합 분해 효소 또는 상기 엑소 당 결합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사용하며, 상기 효소는 배당체에서 당 부분을 제거하여 쿠메스트롤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산, 염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한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에 알코올을 가하여 1 내지 5회 교반시킨 후, 침전된 염들을 여과를 통하여 제거하고, 여과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쿠메스트롤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예컨대, 클로로포름: 메탄올= 8:1 내)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당의 제거는 하기 표 1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표 1
방식 방법
효소 처리 콩 뿌리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 베타 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를 이용하여 효소 반응 진행
산 처리 황산을 이용하여 pH 2~3 용액 제조, 용액에 콩 뿌리 추출물을 녹인 후, 60~70℃로 1~4시간 반응 진행
미생물 처리 콩 뿌리 추출물을 5 내지 10배의 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110℃ 내지 130℃에서 20~40분간 멸균하여 20℃~40℃로 냉각한 후 미리 배양된 미생물을 액체량 대비 5~10%로 접종하여, 20℃~40℃에서 2 내지 5일 배양시킨 후 5,000 내지 10,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침전물을 증류수로 2~4회 세척 후 원심분리
염기 처리 콩 뿌리 추출물에 0.1~2N 농도의 염기 또는 염기 및 알코올의 혼합용매(바람직하게는 40~60% 부탄올 혼합용매)를 가해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켜 가수분해
상기 쿠메스트린을 포함하는 물질에 산, 염기, 효소, 또는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것은 콩과 식물의 추출물에 대해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콩과 식물의 추출물을 여과 또는 정제한 후에 처리하여 쿠메스트롤을 생산할 수도 있다.
이하,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콩과 식물의 생육 기간 중 유도 인자 처리
콩과 식물(대두(백태, Glycine Max.))의 생육 기간 중 초기(VE)시기부터 V4 시기까지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 또는 누룩균(Aspergillus oryzae)을 토양 및 콩과 식물에 처리하여 재배하였다.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은 물에 쉽게 용해되어 토양에 처리하기 용이하며 다른 유도 인자와 비교해서 식용이 가능한 성분으로 인체에 무해한 성분이다.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은 ㈜ 영키팜에서 생산하는 수용성 키토산(YWCTS-100)을 구입하였다. 키토산 처리는 물에 0.3% 농도로 녹인 후 물조루를 이용하여 뿌리에 잘 접촉할 수 있게 콩 줄기 및 토양 위주로 5일 간격으로 살포하였다.
누룩균은 많은 연구를 통해 유도 효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균류로써 식품 발효균으로 사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이다. 누룩균(Aspergillus oryzae) 건조균체는 ㈜ 메디오젠에서 구입하였다. 누룩균 처리는 콩에 처리하기 하루 전에, 설탕 10g을 1L의 물에 녹인 후, 누룩균(Aspergillus oryzae) 건조균체 10g을 잘 섞었다. 그 후, 진탕항온기에서 30도(℃)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물조루를 이용하여 콩 줄기 및 콩 줄기 주변 토양에 잘 스며들도록 뿌려주었다. 누룩균(Aspergillus oryzae)의 처리는 5일 간격으로 하였다. 이 때, 대조군은 동량의 정제수를 뿌려주었다.
[실험예 2] 콩 뿌리 추출물의 제조
키토산과 누룩균을 각각 처리한 실험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재배한 콩 뿌리를 생장 시기별 (VE~V4시기, 총 6시기)로 채취한 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하였다. 상기 콩 뿌리 가루 100g을 70% 에탄올 수용액 1리터(L)에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300 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콩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콩 뿌리 추출물 내의 쿠메스트롤 함량 분석
상기 실험예 2에서 얻어진 각각의 생장 시기별 콩 뿌리 추출물에서 쿠메스트롤(coumestrol) 함량의 정량 분석을 위하여 HPLC를 이용하였다. 콩 뿌리 추출물 내의 쿠메스트롤 함량을 비교하기 위해, 기준 물질로 Indofine Chemical 사에서 구매한 쿠메스트롤을 사용하였다.
유도 인자 처리 및 생장 시기에 따른 콩 뿌리 추출물 내의 쿠메스트롤 함량은 도 1과 같다. 유도 인자 처리로 인하여 콩 뿌리 추출물 내 쿠메스트롤 함량은 유도 인자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쿠메스트롤 함량에 비해서, 많이 증가하였다. 특히, 생육기간 중 V3 및 V4시기에 쿠메스트롤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V4시기까지 생성된 쿠메스트롤의 함량은, 무처리한 대조군의 쿠메스트롤 함량이 추출물 g당 1.6mg/g인 반면, 누룩균 처리시 2.6mg/g으로서 함량이 약 1.6배 증가하였고, 키토산 처리시 약 3.2mg/g으로 함량이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실험예 4] 쿠메스트린의 당 제거를 통한 쿠메스트롤 함량 증진
상기 실험예 1에서 진행한 키토산 처리 콩 뿌리에 쿠메스트롤의 배당체 형태인 쿠메스트린이 생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키토산 처리 콩 뿌리 추출물에서 쿠메스트린의 당을 제거함으로써 추출물 내 쿠메스트롤 함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당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중 베타 글루코시다아제를 이용하여 효소반응을 진행한 후 효소반응으로 생성된 침전물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추출물 안의 쿠메스트린의 당이 제거되면서 도 2 와 같이 쿠메스트린이 쿠메스트롤로 전환되면서 쿠메스트롤 함량이 기존 콩 뿌리 추출물에 비해 월등히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쿠메스트린을 나타내는 수치 44.00 부근의 피크가 <콩 뿌리 추출물>의 HPLC에 비해서 <콩 뿌리 추출물 효소 반응 침전물>의 HPLC에서 조금 감소한 반면, 쿠메스트롤을 나타내는 수치 57.00 부근의 피크는 약 15배 정도 증가하였다.
효소반응 전·후 콩 뿌리 추출물 내 쿠메스트롤 함량 비교는 도 3과 같다. 효소반응을 통하여 키토산 처리 후 콩 뿌리 추출물 내 쿠메스트롤 함량이 약 3.5배 증가하였다.

Claims (9)

  1. 콩과 식물의 생육기간 동안 콩과 식물 또는 토양에 키토산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쿠메스트린(Coumestrin) 또는 쿠메스트롤(Coumestrol) 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 처리는 콩과 식물의 뿌리에 처리하는 쿠메스트린 또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을 콩과 식물의 생육기간 중, VE시기부터 V4시기까지 중 어느 한 시기 이상의 기간동안 처리하는 쿠메스트린 또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인 쿠메스트린 또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 처리를 4일 내지 6일 간격으로 하는 쿠메스트린 또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재배된 콩과 식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쿠메스트린 또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콩과 식물의 추출물은 뿌리 부분의 추출물인 쿠메스트린 또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쿠메스트린 및 쿠메스트롤을 생산하는 것; 및
    상기 쿠메스트린에 산, 염기, 효소 및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처리하여 쿠메스트린으로부터 당을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 염기, 효소 및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처리는 쿠메스트린을 포함하는 콩과 식물의 추출물에 대해 처리하는, 쿠메스트롤 생산방법.
PCT/KR2014/001040 2013-02-28 2014-02-07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생산 방법 WO2014133268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757029.5A EP2963049B1 (en) 2013-02-28 2014-02-07 Method for preparing coumestrol
CN201480011366.7A CN105189526B (zh) 2013-02-28 2014-02-07 用于制备香豆雌酚或香豆雌甙的方法
JP2015560088A JP6332873B2 (ja) 2013-02-28 2014-02-07 クメストロールまたはクメストリンの生産方法
US14/768,284 US20150376200A1 (en) 2013-02-28 2014-02-07 Method for preparing coumestrol or coumestrin
HK16100288.3A HK1212353A1 (en) 2013-02-28 2016-01-12 Method for preparing coumestrol or coumestr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47 2013-02-28
KR1020130021747A KR101608506B1 (ko) 2013-02-28 2013-02-28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268A1 true WO2014133268A1 (ko) 2014-09-04

Family

ID=5142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040 WO2014133268A1 (ko) 2013-02-28 2014-02-07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376200A1 (ko)
EP (1) EP2963049B1 (ko)
JP (1) JP6332873B2 (ko)
KR (1) KR101608506B1 (ko)
CN (1) CN105189526B (ko)
HK (1) HK1212353A1 (ko)
WO (1) WO2014133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5126A (ja) * 2015-03-27 2016-10-27 株式会社サラダコスモ イソフラボノイド高度含有スプラウト及びその生産方法
KR102226151B1 (ko) * 2017-11-20 2021-03-11 (주)아모레퍼시픽 콩과식물 배양근을 이용한 쿠메스트롤 생산 방법
KR102249711B1 (ko) * 2018-10-23 2021-05-10 (주)아모레퍼시픽 콩과 식물 배양근의 효소 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30110056A (ko) 2022-01-14 2023-07-21 (주)아모레퍼시픽 콩과 식물 재배를 통한 쿠메스트린 말로네이트 및 그 구조이성질체의 생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092A (ko) * 1999-09-09 1999-12-06 함경식 후라보노이드 함량을 증가시킨 기능성 콩나물의 재배방법및 재배용 제제
KR20080104829A (ko) * 2007-05-29 2008-12-03 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일리시터를 이용한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의해 제조된 발아 현미
US20120322659A1 (en) * 2007-01-09 2012-12-20 Loken-Flack, LLC Chitinous Compounds For Enhancing Plant Growth
KR20130079220A (ko) * 2012-01-02 2013-07-10 (주)아모레퍼시픽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7395A1 (en) * 1988-02-19 1989-08-24 Bentech Laboratories, Inc. Treatment of plants with salts of chitosan
JP5756477B2 (ja) * 2010-01-29 2015-07-29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クメストロールの生産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092A (ko) * 1999-09-09 1999-12-06 함경식 후라보노이드 함량을 증가시킨 기능성 콩나물의 재배방법및 재배용 제제
US20120322659A1 (en) * 2007-01-09 2012-12-20 Loken-Flack, LLC Chitinous Compounds For Enhancing Plant Growth
KR20080104829A (ko) * 2007-05-29 2008-12-03 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일리시터를 이용한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의해 제조된 발아 현미
KR20130079220A (ko) * 2012-01-02 2013-07-10 (주)아모레퍼시픽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OURGAUD, F. ET AL.: "Production of flavonoids by Psoralea hairy root cultures", PLANT CELL , TISSUE AND ORGAN CULTURE, vol. 56, no. 2, 1999, pages 97 - 104, XP055273987 *
DARBARWAR, M. ET AL., J. SCI. IND. RES., vol. 35, 1982, pages 297
JEFFREY, B. H. ET AL.: "Phytochemical Dictionary", 1933, TAYLOR & FRANCIS, pages: 418
KORSANGRUANG, SHUNTRA ET AL.: "Effects of abiotic and biotic elicitors on growth and isoflavonoid accumulation in Puetaria candollei var. candollei and P. candollei var. mirifica cell suspension cultures",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vol. 103, no. 3, December 2010 (2010-12-01), pages 333 - 342, XP01985910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778A (ko) 2014-09-05
HK1212353A1 (en) 2016-06-10
CN105189526B (zh) 2020-06-02
EP2963049A4 (en) 2016-10-05
JP6332873B2 (ja) 2018-05-30
KR101608506B1 (ko) 2016-04-01
EP2963049B1 (en) 2020-04-08
US20150376200A1 (en) 2015-12-31
EP2963049A1 (en) 2016-01-06
CN105189526A (zh) 2015-12-23
JP2016508379A (ja)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9648B (zh) 蔓越橘果实中花色苷及原花青素类成分的提取方法
WO2014133268A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린의 생산 방법
WO2011093686A2 (ko) 쿠메스트롤 생산 방법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쿠메스트롤
WO2013100655A1 (ko) 벼흰잎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KR101089739B1 (ko) 감초로 리퀴리티제닌을 고수율,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과 이 방법으로 제조된 리퀴리티제닌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WO2018199503A1 (ko) 니파 야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니파 야자 추출물
WO2019098598A9 (ko) 콩과식물 배양근을 이용한 쿠메스트롤 생산 방법
KR100796303B1 (ko) 조류독감 예방기능이 구비된 발아대두 동충하초의 제조방법
CN102277304B (zh) 一株棘孢曲霉菌株及用该菌株制备5,7,8,4’-四羟基异黄酮的方法
CN103755776B (zh) 一种黄姜提取皂素和鼠李糖的方法
WO2016089166A1 (ko) 신규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바이러스의 방제 방법
CN105766377A (zh) 一种提高黑木耳黄酮含量和种类的培养方法
CN108992473A (zh) 一种提取银杏叶黄酮的方法
CN103805670B (zh) 利用黄姜提取黄姜皂素和鼠李糖的方法
CN101619326B (zh) 一种石榴细胞培养法制备黄酮类化合物的方法
KR100858280B1 (ko) 제니스틴을 이용한 모나콜린 케이를 함유하는 제니스테인을 갖는 홍국균 배양 방법과 이를 이용한 분말, 겔, 쌀 제조방법
CN104829529B (zh) 一种毛叶鹰爪花总生物碱提取物及其应用
WO2018052152A1 (ko) 발아 납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3219395A1 (ko) 미생물 발효 오일의 제조 방법 및 미생물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416184B (zh) 一种从魔芋中提取异夏佛塔苷、牡荆素和生物碱的方法
KR101804726B1 (ko) 미생물을 이용한 홍화 내의 아케세틴성분 증가방법
US20230357738A1 (en) Aspergillus oryzae and its application
CN118059154A (zh) 长梗木莲提取物在制备抗氧化药物中的应用
CN118021865A (zh) 一种长梗木莲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在制备抗炎药物中的应用
Petit-Paly et al. Ptelea trifoliata (quinine tree, hop tree): in vitro culture and the production of alkaloids and medicinal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11366.7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570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8284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6008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570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