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91339A1 -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91339A1
WO2013191339A1 PCT/KR2012/010849 KR2012010849W WO2013191339A1 WO 2013191339 A1 WO2013191339 A1 WO 2013191339A1 KR 2012010849 W KR2012010849 W KR 2012010849W WO 2013191339 A1 WO2013191339 A1 WO 20131913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weight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8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지혜
김장순
장애정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JP201551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JP6238374B2/ja
Priority to CN201280074017.0A priority patent/CN104364332A/zh
Priority to EP12879380.9A priority patent/EP2862911B1/en
Priority to US14/400,570 priority patent/US20150133583A1/en
Publication of WO20131913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913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balloons, e.g. syntactic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bubble st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190290 describes an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bubbles and acrylic resins formed of inert gas such as nitrogen, carbon dioxide, argon, and the like, which easily winds up the adhesive tape including the adhesive composition.
  • inert gas such as nitrogen, carbon dioxide, argon, and the like
  • contents related to the stability of bubbles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re not disclose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xcellent in bubble stability regardless of the external temperature or the viscos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epa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acrylic ester monomer is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t-butyl (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2-ethylbu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octyl (meth) acrylate, isononyl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tetradecyl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 group-containing monomer,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 nitrogen-containing monomer, and a combination thereof.
  •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s may be spherical.
  • the hollow glass filler or bubble may have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20 ⁇ m to about 300 ⁇ m.
  • the hollow glass filler may include about 0.1 part by weight to about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 the bubble may be about 0.1% to about 10% by volume per unit volum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have a density of about 0.4 g / m 3 to about 0.8 g / m 3 .
  • a copolymer by polymerizing about 5 parts by weight to about 50 parts by weight of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Preparing a mixture by adding a surfactant, a photoinitiator and a photocuring agent to the copolymer; And it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 hollow glass filler or injecting bubbles to the mixture.
  • the hollow glass filler may be added or the step of curing the bubble-infused mixture may further compris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unctional groups to eliminate the phenomenon that the hollow glass filler or bubbles contained in the copolymer to the surface to burst,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bubbl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acrylic foam can be utilized as an acrylic foam tape.
  • Example 1 is a photograph taken by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by SEM.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polymer in which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polymerized in an amount ratio of 5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hollow glass fillers or bubbles.
  • the kind of said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n alkyl (meth) acrylate can be used. At this time, if the alkyl group contained in the monomer is too long,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lowered,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the adhesion may become difficult to control, and thus the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meth) ) Acrylic acid ester monomers may be used.
  •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Acrylic acid ester monomers may be used.
  • the acrylic ester monomer is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t -Butyl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2-ethylbu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isononyl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tetradecyl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polymer of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a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Can be.
  •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s a polar functional group copolymerizable with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thereby controlling durability and co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that can be used include hydroxy group-containing monomers,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and nitrogen-containing monomers.
  • a hydroxy group-containing monomer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ydroxy group-containing monomers above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8-hydroxyoct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or 2-hydroxy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and examples of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include ( Meta) acrylic acid, 2- (meth) acryloyloxy acetic acid, 3- (meth) acryloyloxy propyl acid, 4- (meth) acryloyloxy butyl acid, acrylic acid duplex, itaconic acid, maleic acid and male Acid anhydrides, and examples of nitrogen-containing monom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 hollow glass filler or a bubble, and by limiting the conten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may be stably contain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form. Can b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bout 5 parts by weight to about 50 parts by weight of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bout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for example, when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bout 5 parts by weight to about 25 parts by weight,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a hydroxyl group In the case of a monomer containing about 15 parts by weight to about 40 parts by weight, it may include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having a certain form stably.
  • the hollow glass filler may be organic, inorganic,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a hollow glass bubble, a hollow polymer microsphere, and the like.
  • the glass bubble is a spherical low specific gravity hollow glass microspheres (ture glass) (Hollow Glass Microspheres) refers to a lightweight filler having high strength,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 the glass bubble has a very low specific gravity compared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ller used in the conventional plastic, as well as reducing the weight by the specific gravity, reducing the amount of resin used, dimensional stability and deformation after molding, improved workability and formability, insulation performance And water resistance improvement can be expected.
  • the hollow polymer microspheres may also be includ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low specific gravity, for example, is sold as Expancel, Micropearl and the lik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verall specific grav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including a hollow glass filler, the u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diversified, the adhesive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otal weight of the.
  • the bubble may be formed of a gas component, and the gas compon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gas components such as inert gas such as nitrogen, carbon dioxide, and argon may be used.
  • inert gas such as nitrogen, carbon dioxide, and argon
  • nitrogen is suitable in terms of not inhibiting the reaction in the gas forming the bubble or in terms of cost.
  •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usually has a spherical shape, but may have a distorted spherical shape.
  • the hollow glass filler is similar to the formation of hollow ping-pong balls and is more likely to maintain a spherical shape than bubbles.
  •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may have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20 ⁇ m to about 300 ⁇ m, more specifically about 50 ⁇ m to about 200 ⁇ m.
  • the hollow glass fillers or the bubbles may be present in independent forms or in continuous forms. That i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also include a continuous form in which the hollow glass fillers, the bubbles, or the hollow glass fillers and the bubbles are fused.
  • the hollow glass filler may include about 0.1 parts by weight to about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about 3 parts by weight to about 10 parts by weight.
  • the hollow glass filler in the above range, it is easy to cause cure shrinkag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trength.
  • the hollow glass filler is added too little, it is difficult to meet the desired density, and if too much, the viscos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excessively increased, so that stirring may be difficult or the adhesion may be reduced.
  •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resent evenly dispersed.
  • the stability of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is low,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is broken, the dispersibility and distribution rate is lowered, so that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cannot be evenly dispersed, It contains a relatively small amount.
  • the bubbl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occupy about 0.1% to about 10% by volume per unit volume. Since the bubble contains the volume% of the above range per unit volum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flexible, has excellent cushioning properties to improve the adhesion area, the bubble burst due to the maintenance of a certain volume% It can be seen that it is uniformly present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ithout.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s a density of about 0.4 g / m 3 to about 0.8 g / m 3 , specifically about 0.5 g / m 3 to about 0.8 g / m 3 , and more specifically about 0.6 g / m 3 to about density May be 0.8 g / m 3 . I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low,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s may be inferred to be evenly and uniformly dispersed. On the other hand, i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high,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may burst. It can be seen that the dispersibility is poo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evenly distributed by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by limi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monomers forming the copolymer, the dens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maintain the above range. Further, by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acrylic foam can be utilized as an acrylic foam tape.
  •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at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about 100 ⁇ m to about 3000 ⁇ m, specifically about 400 ⁇ m to about 2000 ⁇ m. By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ensure a constant cushion (cushion) properti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to the curved surface or uneven surfac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copolymer by polymerizing 5 to 50 parts by weight of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Preparing a mixture by adding a surfactant, a photoinitiator and a photocuring agent to the copolymer; And it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 hollow glass filler or injecting bubbles to the mixtur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preparing a copolymer by polymerizing about 5 parts by weight to about 50 parts by weight of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 the step is a step of thermally polymerizing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to prepare a copolymer, the conditions for performing the thermal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thermal polymerization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about 50 ° C. to about 70 ° C., specifically about 50 ° C. to about 60 ° C., for about 1 hour to about 3 hours, more specifically about 2 hours.
  •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which are polymerized can be added all at once, or they can be added separately or in successio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 mixture by adding a surfactant, a photoinitiator and a photocuring agent to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the polar functional-containing monomer polymerized copolymer.
  • a surfactant e.g., a photoinitiator
  • a photocuring agent e.g., a photocuring agent used at this time.
  • the surfactant may be an ionic surfactant, a silicone-based surfactant, or the like.
  • the amount of the surfactant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selected from about 0.01 part by weight to about 5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0.05 part by weight to about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ed resin.
  • the kind of the photo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 n-but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acetophenone, dimethyl Anino acetophenon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2-diethoxy-2-phenylacetophen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e-1one, 1- 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1-one, 4- (2-hydroxyethoxy) phenyl-2- (hydroxy Oxy-2-propyl) ketone, benzophenone, p-phenylbenzophenone, 4,4'-diethylaminobenzophenone, dichlorobenzophenone, 2-methylanthr
  • the photocuring agent may adjust the adhesive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use, and in some cases may serve to give a crosslinked structure.
  • polar monomers such as polyfunctional acrylate
  • the photocur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05 parts by weight to about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ed resin. Since the photocuring agent maintains the above range, there is no fear of deterioration in durability due to a decrease in cohesion, and there is no fear of deterioration in durability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 or high humidity condition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adding a hollow glass filler or injecting bubbles into the mixtur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the hollow glass filler and the bubble at the same time, by adding a hollow glass filler to the mixture, to prepare a sticky mixture for stirring, by injecting bubbles after vacuum degassing using a vacuum pump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uring the mixture in which the hollow glass filler is added or the bubble is inject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coa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acrylic foam.
  • the photoinitiator Since the photoinitiator must be activated in order to cure the mixture, it is important to irradiate the mixture into which the hollow glass filler is added or the bubble is injected.
  • active energy ray ionizing radiation, such as (alpha) ray, (beta) ray, gamma ray, neutron ray, an electron beam, an ultraviolet ray, etc. are mentioned, Ultraviolet ray is especially suitable.
  • the irradiation energy (Energy), the irradiation time, the irradiation method, and the like of the activation energy (Energ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photoinitiator can be activated to cause curing of the mixture.
  • pouring of a bubble, and hardening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 the hollow glass filler is added or the mixture into which the bubbles are injected can be applied onto a predetermined surface, and dried or cured, if necessary, to form an adhesive composition coating lay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obtained by adding a hollow glass filler or injecting gas bubbles into a mixture containing a surfactant, a photoinitiator and a photocuring agent, applying a coating on a predetermined surface, and then irradiating heating or energetic light.
  • a coating layer may be prepared, and at this tim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ating layer may include the hollow glass filler or the bubble evenly dispersed.
  • 11 parts by weight of polar monomer acrylic acid was thermally polymerized in a 1 liter glass reacto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2-ethyl hexyl acrylate to obtain a copolymer having a viscosity of 3500 cP.
  • An acrylic foam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ating temperature was changed to 25 ° C. in Example 1.
  • An acrylic foam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for including 25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in Example 2.
  • An acrylic foam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includ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in Example 2.
  • An acrylic foam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for including 40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in Example 2.
  • An acrylic foam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0 parts by weight of the polar monomer acrylic acid was includ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in Example 1.
  • An acrylic foam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3 parts by weight of the polar monomer acrylic acid was includ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in Example 1.
  • An acrylic foam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3 parts by weight of the polar monomer acrylic acid was includ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in Example 2.
  • An acrylic foam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60 parts by weight of 2-hydroxyhexyl acrylate was includ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 Density The density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using an electronic solid hydrometer (DME-220E).
  • the copolymer was formed at a mixing ratio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different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dens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measured, the number of bubble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also less than 7 per certain area. This is because the dispersibility is poor due to the bursting of bubble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experimental example was found to be based on the monomer composition of the copolymer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함량비로 중합된 공중합체; 및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기포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를 중합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공중합체에 계면활성제, 광개시제 및 광경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첨가하거나 기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점착제 조성물에 기포를 포함하는 경우 기포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점도를 높이는 방법을 많이 활용하였다. 그러나, 점도조절이 있다고 하더라도, 점착제 조성물이 포함하는 아크릴산의 함량이 낮은 경우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기포안정성이 높으나,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기포안정성이 악화되어 외부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기포 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크릴 폼 테이프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일본공개공보 제2011-190290호에서는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등으로 형성된 기포 및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기는 하나, 이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권취를 쉽게 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돌출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발명으로, 점착제 조성물이 포함하는 기포의 안정성과 관련된 내용 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외부온도 또는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와 무관하게 기포 안정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함량비로 중합된 공중합체; 및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기포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질소 함유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가 구형일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기포의 입자직경이 약 2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가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약 0.1중량부 내지 약 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가 단위부피당 약 0.1부피% 내지 약 10부피%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밀도가 약 0.4g/m3 내지 약 0.8g/m3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약 5중량부 내지 약 50중량부를 중합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공중합체에 계면활성제, 광개시제 및 광경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첨가하거나 기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가 첨가되거나 상기 기포가 주입된 혼합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작용기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공중합체가 포함하는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기포가 표면으로 부상하여 터지는 현상을 사라지게 하고, 기포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아크릴계 폼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함으로써 아크릴 폼 테이프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1 및 비교예1를 SEM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함량비로 중합된 공중합체; 및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기포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단량체에 포함되는 알킬기가 지나치게 장쇄가 되면,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유리전이온도(Tg) 및 점착성의 조절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므로, 탄소수가 1 내지 14인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관능기를 포함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내구신뢰성 및 응집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될 수 있는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함유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특히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중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을 들 수 있으며,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기포를 포함하는바,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을 한정함으로써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를 일정 형태로 유지하면서 안정하게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함량을 포함한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작용기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상기 점착제 조성물 안에 강제적으로 첨가, 주입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중공형 유리 충전제 및 기포가 표면으로 부상하여 터지는 현상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의 안정성이 유지됨으로써 외부온도에 무관하게 일정수준 이상의 밀도 및 분포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약 5중량부 내지 약 5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상기 함량만큼 포함함으로써 극성끼리의 응집력으로 인해 양자의 작용기 간의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경화된 점착제 조성물에 높은 응집력을 부여하고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강제적으로 주입한 기포가 표면에 부상하여 터지는 현상을 낮추어 기포를 안정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서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어,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인 경우 약 5 중량부 내지 약 25 중량부를,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인 경우 약 15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일정 형태를 가지는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를 안정하게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는 유기계, 무기계 또는 이들의 복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중공을 가지는 글라스 버블, 중공형 고분자 미소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버블은 진유리(ture glass) 조성인 구형의 저비중 중공 마이크로스피어(Hollow Glass Microspheres)로써 강도가 높고, 내열성, 내화학성이 매우 뛰어난 경량화 충진제를 일컫는다. 상기 글라스 버블은 기존의 플라스틱에 사용되는 필러의 비중에 비해 매우 낮은 비중을 가지고 있는바, 비중에 의한 경량화뿐 아니라, 수지사용량 감소, 치수안정성 및 성형 후 변형 개선, 가공성 및 성형성 개선, 단열 성능 및 수분 저항성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고분자 미소구 역시 저비중으로 점착제 조성물의 경량화를 위하여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Expancel, Micropearl 등으로 판매 되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점착제 조성물은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비중을 낮출 수 있게 되는바, 점착제 조성물로써의 활용이 다양해지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적용되는 피착제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기포는 가스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가스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가스 등의 각종 기체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포를 형성하는 가스로서는,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합반응 또는 첨가물의 혼합반응에 있어서 그 반응을 저해하지 않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포를 형성하는 가스 중에서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점이나, 비용적인 관점에 있어서 질소가 적합하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는 통상, 구상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일그러진 형상의 구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는 속이 빈 탁구공의 형성과 유사한바, 기포에 비해 구형을 유지하기 쉽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의 입자직경이 약 20㎛ 내지 약 300㎛, 보다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약 200㎛ 일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의 입자직경을 유지함으로써 제품경량화 및 쿠션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상기의 입자직경에 의하여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는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하거나, 연속적인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간, 상기 기포간 또는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및 기포가 융착된 연속적인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는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약 0.1중량부 내지 약 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 3중량부 내지 약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상기 범위만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수축이 일어나기 쉬우면서도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너무 적게 넣을 경우 원하는 밀도를 맞추기 어려우며, 너무 많이 넣을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교반이 어렵거나 점착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내의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는 고르게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의 안정성이 좋으면 좋을수록 상기 점착제 조성물 내에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함유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의 안정성이 낮은 경우,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가 터짐으로써 분산성 및 분포율이 저하되어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가 고르게 분산될 수 없고,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상기 기포는 단위부피당 약 0.1부피% 내지 약 10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기포가 일정 단위 부피당 상기 범위의 부피%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가 유연해질 수 있고, 쿠션성을 지녀 부착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고, 일정부피%의 유지로 인해 상기 기포가 터짐없이 점착제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밀도가 약 0.4g/m3 내지 약 0.8g/m3, 구체적으로는 약 0.5g/m3 내지 약 0.8g/m3, 보다 구체적으로 밀도가 약 0.6g/m3 내지 약 0.8g/m3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밀도가 낮으면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가 고르고 균일하게 잘 분산된 것으로 유추가능하고, 반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밀도가 높으면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의 터짐현상에 의하여 분산성이 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함유비율을 한정함으로써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가 고르게 분포될 수 있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밀도가 상기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아크릴계 폼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함으로써 아크릴 폼 테이프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코팅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약 100㎛ 내지 약 3000㎛, 구체적으로는 약 400㎛ 내지 약 2000㎛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코팅층이 상기의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일정한 쿠션(cushion)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곡면이나 요철면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를 중합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공중합체에 계면활성제, 광개시제 및 광경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첨가하거나 기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은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약 5중량부 내지 약 50중량부를 중합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는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열중합시켜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써, 상기 열중합을 수행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열중합은 약 50℃ 내지 약 70℃, 구체적으로는 약 50℃ 내지 약 6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약 3시간, 보다 구체적으로 약 2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중합되는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한꺼번에 첨가하거나, 분할 또는 연속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관능성 함유 단량체 중합된 공중합체에 계면활성제, 광개시제 및 광경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광개시제 및 광경화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점착제 조성물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한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이온(Ion)성 계면활성제, 실리콘(silicone)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중합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중량부 내지 약 5중량부, 구체적으로는 약 0.05중량부 내지 약 3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 포스핀옥시드, 비스 (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옥시드, α,α-메톡시-α-히드록시 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페닐]-1-부타논 또는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중합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중량부 내지 약 5중량부, 구체적으로는 약 0.05 중량부 내지 약 3중량부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제는 사용량에 따라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 특성을 조절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가교 구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등의 극성 단량체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아디페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와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제는 상기 중합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5중량부 내지 약 2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제가 상기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응집력 저하로 인해 내구성이 악화될 우려가 없고,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내구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물에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첨가하거나, 기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및 상기 기포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에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첨가하고, 교반에 점착성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감압 탈포 후에 기포를 주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가 첨가되거나 상기 기포가 주입된 혼합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거침으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아크릴계 폼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경화하기 위하여 광개시제를 활성화하여야 하는바, 활성 에너지(Energy) 광선을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가 첨가되거나 상기 기포가 주입된 혼합물에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의 활성 에너지(Energy) 광선으로서는, α선, β선, 감마 선, 중성자 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별히, 자외선이 적합하다. 또, 상기 활성 에너지(Energy) 광선의 조사 에너지(Energy), 조사 시간, 조사 방법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광개시제를 활성화시켜, 상기 혼합물의 경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의 터짐을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공형 유리 충전제의 첨가 또는 기포의 주입 및 경화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가 첨가되거나 상기 기포가 주입된 혼합물을 소정의 면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나 경화 등을 행하여 점착제 조성물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계면활성제, 광개시제 및 광경화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에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첨가하거나 가스성분의 기포를 주입하고, 소정의 면상에 도포한 뒤, 가열이나 활성 에너지(Energy) 광선을 조사 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 코팅층을 제조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점착제 조성물 코팅층은 고르게 분산된 상기 중공형 유리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모노머 아크릴산 11중량부를 1리터 유리 반응기에서 열중합시켜 점도 3500cP인 공중합체를 얻었다. 상기 열중합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광개시제로서 이가큐어-651 (a,a-메톡시-a-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5중량부, 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HDDA) 0.35중량부를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혼합물에 글라스 버블 4.5 중량부, 실리카 1.5 중량부를 추가하여 충분히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였고, 그 후 상기 혼합물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감압 탈포하였다.
이후에 상기 감압 탈포된 혼합물에 기포제(Frother)를 이용하여 실리콘계면활성제를 2중량부 (상기 열중합된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와 함께 질소가스를 주입하였다. 그 후, 자외선 경화기를 통과시켜 PET 필름 위에 0.8 mm 두께로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한 후 아크릴 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이 때 코팅 온도는 10℃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코팅 온도를 2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아크릴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아크릴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아크릴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아크릴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모노머 아크릴산 50중량부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아크릴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모노머 아크릴산 3중량부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아크릴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모노머 아크릴산 3중량부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아크릴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2-히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 60중량부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아크릴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 공중합체 조성에 따른 기포 안정성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상이한 수지 조성에 따른 글라스버블 또는 기포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밀도 및 기포수를 측정하였다.
1) 밀도: 전자식 고체 비중계(DME-220E)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밀도를 측정함.
2) 기포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SEM촬영하여 일정 면적(500㎛X1000㎛, 가로X세로)에서의 기포수를 분석하여 확인함. 이 때, 양각으로 도드라져 보이는 것을 글라스버블로, 음각으로 움푹 패여 보이는 것을 기포로 취급하는바, 기포의 수만 판단함.
표 1
온도(℃) 공중합체 조성(To 2-EHA 100중량부) 점착제 조성물 밀도(g/m3) 점착제 조성물 내 기포수(개) 안정성
실시예1 10 AA 11중량부 0.72 15
실시예2 25 AA 11중량부 0.74 12
실시예3 25 2-HEA 25중량부 0.73 14
실시예4 25 2-HEA 5중량부 0.69 16
실시예5 25 2-HEA 50중량부 0.72 13
실시예6 10 AA 40중량부 0.73 14
비교예1 10 AA 3중량부 0.81 7 X
비교예2 25 AA 3중량부 0.83 6 X
비교예3 25 2-HEA 60중량부 0.84 6 X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점착제 조성물과 같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혼합비율로 공중합체를 구성한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는 외부온도에 관계 없이 점착제 조성물이 0.8 g/m3이하의 밀도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낮은 밀도를 가진 것으로 보아, 기포가 잘 분산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내의 기포수가 일정면적당 10개 이상으로 측정되었는바, 이로 인하여 실시예 1 내지 6의 점착제 조성물은 기포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점착제 조성물과 상이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혼합비율로 공중합체를 구성하였는바, 실시예 1 내지 6에 비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밀도가 높게 측정되었고, 점착제 조성물 내의 기포수도 일정면적당 7개 이하로 적은 수가 존재하였다. 이는 기포의 터짐현상으로 인하여 분산성이 떨어지는 것인바, 상기 실험예의 실험결과는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공중합체의 단량체 조성에 근거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함량비로 중합된 공중합체; 및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기포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점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질소 함유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점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가 구형인 점착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 또는 상기 기포의 입자직경이 20㎛ 내지 300㎛인
    점착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가 상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가 단위부피당 0.1부피% 내지 10부피%를
    점착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밀도가 0.4g/m3 내지 0.8g/m3
    점착제층.
  9.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를 중합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공중합체에 계면활성제, 광개시제 및 광경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중공형 유리 충전제를 첨가하거나 기포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유리 충전제가 첨가되거나 상기 기포가 주입된 혼합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PCT/KR2012/010849 2012-06-19 2012-12-13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31913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18313A JP6238374B2 (ja) 2012-06-19 2012-12-13 気泡安定性が向上した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280074017.0A CN104364332A (zh) 2012-06-19 2012-12-13 气泡稳定性提高的粘结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12879380.9A EP2862911B1 (en) 2012-06-19 2012-12-13 Adhesive age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bubble st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14/400,570 US20150133583A1 (en) 2012-06-19 2012-12-13 Adhesive age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bubble st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365 2012-06-19
KR1020120065365A KR101534898B1 (ko) 2012-06-19 2012-06-19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91339A1 true WO2013191339A1 (ko) 2013-12-27

Family

ID=4976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0849 WO2013191339A1 (ko) 2012-06-19 2012-12-13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33583A1 (ko)
EP (1) EP2862911B1 (ko)
JP (1) JP6238374B2 (ko)
KR (1) KR101534898B1 (ko)
CN (1) CN104364332A (ko)
TW (1) TWI475083B (ko)
WO (1) WO20131913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3491A1 (en) * 2013-05-20 2016-03-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acrylic composition, acrylic tape, acrylic rubber rol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acrylic rubber ro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922B1 (ko) * 2014-12-24 2018-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 시트, 의료용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EP3405541A1 (en) * 2016-01-18 2018-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 filler
CN110691640B (zh) 2017-05-30 2022-04-26 东丽株式会社 分离膜元件
KR102018061B1 (ko) 2017-11-28 2019-09-04 주식회사 영우 경화수축율이 작은 자외선 경화형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JP7025046B2 (ja) 2020-01-28 2022-02-2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試験システム、試験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79084B1 (ko) 2021-09-30 2022-03-24 윤미라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라미네이트 시트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548A (ko) * 2008-06-19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US20100236716A1 (en) * 2007-09-26 2010-09-23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Adhesive composition and bonding method
JP2011116940A (ja) * 2009-10-16 2011-06-16 Lintec Corp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11190290A (ja) 2010-03-11 2011-09-29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8424A (en) * 1981-11-05 1983-06-14 Scm Corporation Caulk containing microballoons
JPH11106721A (ja) * 1997-09-30 1999-04-20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5384774B2 (ja) * 2000-08-31 2014-01-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アクリルフォーム粘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41232A (ja) * 2001-07-30 2003-02-13 Sekisui Chem Co Ltd 感圧性接着剤及び感圧性接着テープ
JP5408640B2 (ja) * 2006-09-04 2014-02-05 日東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紫外線硬化型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2072594A4 (en) * 2006-10-12 2014-10-22 Nitto Denko Corp ACRYLIC TAPE OR FO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5089201B2 (ja) * 2007-03-12 2012-12-05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83835B2 (ja) * 2007-10-22 2014-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570706B2 (ja) * 2008-05-29 2014-08-13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感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568290B2 (ja) * 2009-11-30 2014-08-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2012117040A (ja) * 2010-11-12 2012-06-21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101400558B1 (ko) * 2011-12-07 2014-05-29 (주)엘지하우시스 폼 테이프 기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폼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JP5950669B2 (ja) * 2012-04-16 2016-07-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6716A1 (en) * 2007-09-26 2010-09-23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Adhesive composition and bonding method
KR20090132548A (ko) * 2008-06-19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JP2011116940A (ja) * 2009-10-16 2011-06-16 Lintec Corp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11190290A (ja) 2010-03-11 2011-09-29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862911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3491A1 (en) * 2013-05-20 2016-03-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acrylic composition, acrylic tape, acrylic rubber rol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acrylic rubber r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33583A1 (en) 2015-05-14
EP2862911A4 (en) 2015-08-05
EP2862911B1 (en) 2020-05-06
CN104364332A (zh) 2015-02-18
JP2015525282A (ja) 2015-09-03
EP2862911A1 (en) 2015-04-22
JP6238374B2 (ja) 2017-11-29
KR20130142284A (ko) 2013-12-30
TWI475083B (zh) 2015-03-01
KR101534898B1 (ko) 2015-07-07
TW201400567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91339A1 (ko)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070796A2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WO2014010932A1 (ko) 기포 안정성이 향상된 난연용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50276963A1 (en) Adhesive sheet comprising hollow par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1013732A2 (en) Release lin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P2274394A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omprising the same
KR101371909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KR20120093102A (ko) 기재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53711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WO2011025169A2 (ko) 아크릴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아크릴 필름
KR102083399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KR100678795B1 (ko)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KR20120093101A (ko) 무용제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0075951A1 (ko) 다공성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687059B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2141452A2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온 성형성 및 슬립성이 우수한 하드코팅 형성용 시트
KR20120056175A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WO2021006593A1 (ko) 기능성 핫멜트 점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기능성 핫멜트 점착제
KR102126047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WO2018230889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120005681A (ko) 장식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장식 패널
WO2014021521A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 경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시트
JP6427955B2 (ja) フレキシブル透明基板
KR101205509B1 (ko) 표면보호필름
KR20160096403A (ko)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793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00570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793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1831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