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399B1 -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399B1
KR102083399B1 KR1020160037459A KR20160037459A KR102083399B1 KR 102083399 B1 KR102083399 B1 KR 102083399B1 KR 1020160037459 A KR1020160037459 A KR 1020160037459A KR 20160037459 A KR20160037459 A KR 20160037459A KR 102083399 B1 KR102083399 B1 KR 10208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composition
optic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621A (ko
Inventor
이수은
윤찬오
김장순
서주용
김상환
이슬
김우연
윤후영
장세현
최원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3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39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히드록시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된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ADHESIVE FOR OPTICAL USE AND ADHESIVE FIL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래, PDA,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전자 기기가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추구되는 기술적 목표는 주로 박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화, 고해상도화 및 고휘도화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입력 조작부에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 스위치가 설치된 전자 기기는, 경량화 및 깨짐 방지 등을 위하여,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Terephthalate, PET) 필름을 기재로 하고, 그 일면에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등의 도전층을 형성한 필름이 있으며, 상기 필름은 점착제층에 의해 전도성 유리, 보강재 또는 데코 필름 등에 적층되어 있다.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이러한 점착 필름은 고온, 고습 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되고, 점착필름에 적용될 수 있는 중합체로서 고무계 중합체는 이중결합의 함량이 아크릴계 중합체 대비 통상적으로 낮은 수준이어서, 경화 후의 고온, 고습 환경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광중합 시 경화공정이 너무 느려 공정성이 낮은 문제가 있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는 광중합 시 경화공정은 빠르나, 산소저해로 점착력 등 점착제층으로서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경화도가 향상된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광학용 점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광학용 점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히드록시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된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0.5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와 벤조페논기를 20: 1 내지 5: 1의 함량비로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히드록시기와 벤조페논기를 30: 1 내지 10: 1의 함량비로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900,000 내지 2,000,000인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광개시제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인계 개시제, 히드록시 케톤계 개시제, 아미노 케톤계 개시제, 카프로락탐계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필러, 계면활성제, 점착부여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항산화제, 가공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는 400 내지 900 cp인,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이 UV 경화되어 형성된 광학용 점착제를 제공한다.
상기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은 500mJ 내지 1000mJ의 광량으로 UV 경화된 광학용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용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광학용 점착제를 500mJ 내지 1000mJ의 광량으로 UV 경화하여 형성된 광학용 점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50㎛ 내지 250㎛인 광학용 점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은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중합되어 형성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이로부터 중합되어 형성된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고분자의 가교 구조가 보다 많이 형성될 수 있어 UV 경화시 향상된 경화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광학용 점착제는 탄성 모듈러스가 향상됨과 동시에 적정 수준 이상의 점착력을 나타내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재와 부착력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필름에 적용시 필름의 경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히드록시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된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선형 또는 분지형인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이다.
상기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은 소수성의 알킬기를 함유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친수성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한 히드록시 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경화시 점착제의 경화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선형 또는 분지형인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모노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히드록시 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일 수 있다.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의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6029965035-pat00001
자외선 흡수성기인 벤조페논을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로서, 이를 포함하는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벤조페논계 아크릴레이트를 가교단계에서 함유함으로써, 수지 형성시 고분자 사슬간에 더 많은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점착 내구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적정 수준의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4-아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메톡시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4'-브로모 벤조페논, 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4'-브로모 벤조페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전체 조성물에서 벤조페논기의 함량이 부족하여 UV를 조사하여도 고분자 가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경화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경화시 경도가 너무 높아 점착력이 현저히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상기 모노머들이 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 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 벤조페논기를 20: 1 내지 5: 1의 함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히드록시기: 벤조페논기를 30: 1 내지 10: 1의 함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벤조페논기를 포함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UV 조사시 고분자 사슬 간에 보다 많은 가교 구조가 형성될 수 있어 이를 적용한 점착 필름의 경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수성의 알킬기와 친수성의 히드록시기를 이와 함께 포함함으로써 점착성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경도를 나타내는 모듈러스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향상된 점착제 경화도와 적정 수준 이상의 점착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900,000 내지 2,000,000일 수 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분자량 분포가 있는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을 일컫는바, 상기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경화 지점(site) 간의 간격이 길어져 가교 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이로 인해 모듈러스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적절한 응집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적용한 점착 필름에서 적절한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우레탄 화합물에 아크릴레이트기를 부여하여 UV 경화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우레탄 결합과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광경화형 화합물로서 에폭시기 함유 에폭시기 화합물에 아크릴레이트기가 부여된 화합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또는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인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광경화형 화합물로서 에스테르 화합물에 아크릴레이트기가 부여된 화합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광개시제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인계 개시제, 히드록시 케톤계 개시제, 아미노 케톤계 개시제, 카프로락탐계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광경화성 화합물 총 중량 대비 1중량%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필러, 계면활성제, 점착부여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항산화제, 가공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러는 열전도성 필러일 수 있고, 상기 모노머들과 함께 광경화성 화합물에 첨가되어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열전도성 무기필러는 연소할 수 있는 공중합체의 함량을 줄여주고, 공중합체와 반응시 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열반응으로 불연성 물질을 생성하여 물리적 난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실리콘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부여제는 초기 접착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로진계 점착부여제, 테르펜계 점착부여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커플링제는 상기 조성물이 UV 경화되어 제조된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이 부착 등에 사용된 후, 외기조건 하에서 가해지는 열, 햇빛 또는 온도 등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가교화를 촉진하여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하여 영구 접합력을 나타내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커플링제로는 아민계 실란과 에폭시 실란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각각 상기 조성물 총중량 대비, 약 0.5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상기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은 광경화되어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고, 광경화성이기 때문에 별도의 유기 용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상기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유기 용매가 휘발성으로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공정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은, 22 내지 26℃의 온도에서 점도가 약 400 내지 약 900cp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구현예에서, 전술한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이 UV 경화되어 형성된 광학용 점착제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학용 점착제는 상기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UV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0mJ 내지 1000mJ의 광량으로 UV를 조사하여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광량을 UV 조사하여 광 경화시 분자간 가교 구조가 보다 많이 생성될 수 있고, 점착력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구현예에서, 기재층(1), 상기 광학용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2) 및 기재층(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광학용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제층(2)은 광경화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광학용 점착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점착제층 형성시 기재층(1)에 전술한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뒤 바로 기재층(1)을 적층하고 광경화하여 점착제층(2)을 형성할 수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2)이 제조 과정에서 대기 중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혼입을 최대한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광학용 점착제를 500mJ 내지 1000mJ의 광량으로 UV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약 50 내지 약 250 ㎛, 구체적으로 약 70 내지 약 17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제층의 경화도가 높아 필름 전체의 경도를 높일 수 있고, 점착 필름 적용시 점착 및 박리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유리; 투명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수지 등의 중합체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Cyclic olefin polymer or copolymer) 또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재질인 것이, 가공성, 열안정성 및 투명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의 표면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표면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플라즈마 등의 표면처리로 개질하여 후속 공정 시 부착성, 표면장력 등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재층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기재층과 인접한 층 사이의 온도 전달을 제어하고, 기재층과 인접한 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층에 적합한 소재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1
광경화성 화합물로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2-EHA(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중량부, EHMA(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0중량부, HEA(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1 중량% 첨가하여 혼합였다. 이 후, 유리반응기에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을 열중합시켜 분자량 100만의 광경화성 수지를 얻었다. 여기에 광개시제로서 Irgacure 651(2,2-Dimethoxy-1,2-diphenylethan-1-one) 및 기타 첨가제로 커플링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이 이형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UV 경화 후 점착제층의 두께가 150㎛가 되도록 바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이 후, UV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10 분 동안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3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3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비교예1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 실험예 >
실험 방법
(1) 경화도 측정
조성물 0.2 내지 0.3g을 Ethyl Acetate (EAc) 에 1일 넣어 팽창(Swelling)시킨 후 메쉬(Mesh)에 필터링 한 후 110? 2시간 건조 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건조 후 무게 - 메쉬 무게) * 100 / 점착제 초기 무게
(2) 점착력 측정
점착 필름을 18 cm 길이에 2.5 cm (1 in) 폭으로 절단한 후 유리에 2 kg 롤러로 3회 왕복 부착한 후 1시간 후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박리 속도는 300 mm/min이며 3개 시편의 평균을 구한다. 부착 및 측정은 상온에서 이루어졌다.
(3) Modulus 측정
시편은 700에서 800 um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여러 장 합지한 후 8 mm 지름을 갖는 원형으로 타발하였다. 그리고 TA사의 ARES-G2 장비를 이용하여 -20도에서 100도 까지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상기 측정한 경화도 및 점착력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경화도 Modulus(Pa) 점착력(g/in)
비교예 32 23,200 2,750
실시예1 50 38,800 2,200
실시예2 62 41,300 1,740
실시예3 70 46,600 1,69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는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중합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훨씬 높은 수준의 경화도와 탄성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또한, 점착력은 비교예에서 가장 우수하나, 실시예 1 내지 3도 상용시 적정 수준의 점착력을 나타내는 바, 필름에 적용시 필름의 경도가 증진되는 동시에 우수한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10: 점착 필름
1: 기재층
2: 점착제층

Claims (16)

  1.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히드록시 함유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된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벤조페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1 내지 5중량%로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900,000 내지 2,000,000인,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광개시제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인계 개시제, 히드록시 케톤계 개시제, 아미노 케톤계 개시제, 카프로락탐계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러, 계면활성제, 점착부여제, 커플링제,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항산화제, 가공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는 400 내지 900 cp인,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12.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이 UV 경화되어 형성된,
    광학용 점착제.
  13. 제12항에 있어서,
    500mJ 내지 1000mJ의 광량으로 UV 경화된,
    광학용 점착제.
  14. 제12항에 따른 광학용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광학용 점착제를 500mJ 내지 1000mJ의 광량으로 UV 경화하여 형성된,
    광학용 점착 필름.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50㎛ 내지 250㎛인,
    광학용 점착 필름.

KR1020160037459A 2016-03-29 2016-03-29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KR10208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459A KR102083399B1 (ko) 2016-03-29 2016-03-29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459A KR102083399B1 (ko) 2016-03-29 2016-03-29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21A KR20170111621A (ko) 2017-10-12
KR102083399B1 true KR102083399B1 (ko) 2020-03-02

Family

ID=6014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459A KR102083399B1 (ko) 2016-03-29 2016-03-29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09B1 (ko) * 2017-11-30 2021-06-18 (주)엘지하우시스 광경화성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2190024B1 (ko) * 2018-10-30 2020-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KR102187527B1 (ko) * 2018-10-30 2020-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KR102654342B1 (ko) * 2019-09-19 2024-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임시고정용 점착시트
KR20210086896A (ko) 2019-12-31 2021-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경화성 조성물, 상기 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 상기 경화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경화물을 포함한 장치
KR102426864B1 (ko) * 2020-09-04 2022-08-01 주식회사 케이씨텍 고굴절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KR102236310B1 (ko) * 2020-11-02 2021-04-05 주식회사 오플렉스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5340830B (zh) * 2022-09-20 2023-07-25 威士达半导体科技(张家港)有限公司 一种半导体材料加工用切割胶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8780A (ja) * 2009-09-25 2011-04-07 Nippon Shokubai Co Ltd 近赤外線吸収粘着剤組成物
JP2011184582A (ja) * 2010-03-09 2011-09-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2140497A (ja) 2010-12-28 2012-07-26 Toagosei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及び粘着剤
JP2014503640A (ja) 2010-12-13 2014-02-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表面エネルギー基材用感圧接着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8780A (ja) * 2009-09-25 2011-04-07 Nippon Shokubai Co Ltd 近赤外線吸収粘着剤組成物
JP2011184582A (ja) * 2010-03-09 2011-09-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4503640A (ja) 2010-12-13 2014-02-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表面エネルギー基材用感圧接着剤
JP2012140497A (ja) 2010-12-28 2012-07-26 Toagosei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及び粘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21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399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KR101768718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374374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1289170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576689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CN111286277B (zh) 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1435240B1 (ko) 터치 패널
KR102566973B1 (ko)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0678795B1 (ko)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KR101745042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1647156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509855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70123894A (ko) 발열체
KR102638893B1 (ko) 가변 점착력을 갖는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665539B1 (ko) 광학투명접착제 제거용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광학투명접착제 제거 방법
KR20120005681A (ko) 장식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장식 패널
KR102147778B1 (ko) 광학용 점착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180137323A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7910B1 (ko) 경화수축율이 작은 자외선 경화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3897A (ko) 발열체의 제조방법
KR101406084B1 (ko) 내충격성 및 고투과성을 가진 속경화형 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53136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광학용 점착 필름
KR102401141B1 (ko) 점착 시트,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486598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80126761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