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486B1 -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486B1
KR101967486B1 KR1020130000298A KR20130000298A KR101967486B1 KR 101967486 B1 KR101967486 B1 KR 101967486B1 KR 1020130000298 A KR1020130000298 A KR 1020130000298A KR 20130000298 A KR20130000298 A KR 20130000298A KR 101967486 B1 KR101967486 B1 KR 10196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alkyl group
itaconic acid
acid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431A (ko
Inventor
이동형
윤종욱
신준호
엄상열
김성진
김연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4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포성이 우수한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종래의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이형필름에 비해 우수한 박리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FOR RELEASE FILM COMPRISING ITACONIC ACID ESTER WITH LONG ALKYL SIDE CHAIN}
본 발명은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포성이 우수한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종래의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이형필름에 비해 우수한 박리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이형 베이스 기재 일면에 이형제의 도포막(이형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은 일반적으로 점, 접착 필름 또는 테이프에 보호필름 용도로 부착되어 점, 접착제를 사용 전까지 원치 않는 피착물에 피착되거나 먼지, 이물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또 다른 용도로는 프린트배선기판, 인-몰드 성형과 같이 가열가압성형 공정에서 형틀과 성형물이 고착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적층세라믹 캐패시터용 유전체 등 얇은 세라믹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캐리어필름 용도로 사용된다.
위와 같은 용도로 활용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 각종 기재에 고분자 실리콘 이형제 또는 불소계 이형제를 도포하여 가열경화 또는 자외선 경화함으로써 이형층을 형성하여 이형성을 발현하는 이형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불소계 이형제는 내열성, 박리성, 오염 방지성은 뛰어나지만 가격이 높고, 사용 후 폐기과정에서 연소가 어려우며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실리콘 이형제는 저분자량 폴리머인 올리고머가 전사해버리거나, 표면에너지가 낮아 점착제 등 용액의 도포가 어렵고, 박리력이 낮아 높은 수준의 박리력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에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6-41500호 공보에는, 폴리에틸렌에 실리콘 화합물을 첨가한 수지조성물 및 박리시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디메틸실리콘오일, 폴리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과 말단에 비닐기 1개를 갖는 α-올레핀 및 촉매로서 염화백금산을 첨가하고, 가온하여 부가반응시키고, 또한 미반응의 하이드로젠기를 봉쇄하고, 촉 매와 프로필렌을 투입하고, 가열ㆍ부가반응한 것이 적절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압출성형 중에 부가반응이 진행되고 박리성을 제어하는것이 곤란함과 동시에, 기재와 상기 수지조성물간의 접착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리콘이나 불소계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질을 사용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 예로, 알키드계 수지를 사용하거나, 긴 측쇄 알킬기 함유 수지를 사용하는 예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6-415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성이 우수한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종래의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이형필름에 비해 우수한 박리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타콘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단량체를 주 성분으로 하되,
(화학식 1)
Figure 112013000287465-pat00001
여기서, R과 R'는 알킬기이고, R과 R'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가 8 ~ 25인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타콘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이타콘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경화 가능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경화제 및 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 가능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이타콘산 모노에스테르,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무수말레인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제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계 경화제, 다관능성 에폭시 수지계 경화제 및 멜라민 수지계 경화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 및 광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1,3 디(메타)크릴옥시프로판,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성 수지인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점착제 등 도포성이 우수한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식물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종래의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이형필름에 비해 우수한 박리 특성을 나타내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알킬기를 도입함으로써 박리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접착 테이프의 보호필름 용도, 가열가압성형 공정 용도, 세라믹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용도와 같은 분야에서 종전의 이형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타콘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단량체를 주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0287465-pat00002
여기서, R과 R'는 알킬기이고, R과 R'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가 8 ~ 25인 알킬기이다. 즉 R과 R'중 적어도 하나가 8 이상인 탄소수를 가진 알킬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R과 R'은 8 이상인 탄소수를 가진 알킬기로서 탄소수가 동일한 알킬기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실리콘계나 불소계 이형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에 그 특징이 있고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생성된 이형층은 점착제 등 도포성이 우수하며 이타콘산 에스테르의 알킬기를 제어함으로 용이하게 박리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는 종래의 아크릴레이트와 유사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녹말을 발효하여 얻어지는 이타콘산의 유도체이며 식물성 수지이기에 친환경적이다. 또한 주쇄의 양쪽으로 긴 알킬기를 가지기 때문에 기존에 한쪽으로만 긴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이형층에 비해 우수한 박리특성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 조성물은 이타콘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경화 가능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이타콘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 제공되어 경화제 및 용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타콘산 에스테르 단량체가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과 함께 제공되어 UV 라디칼 중합 개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열을 사용하여 경화시키는 방식과 UV를 사용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이형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열을 사용할 때에는 경화가능 사이트를 포함하는 중합체인 이타콘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경화제 사이의 반응으로 3차원 그물구조를 형성하는 반면, UV를 사용할 때에는 모노머와 반응 개시제(광개시제) 및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상기 광개시제가 UV를 받아 라디칼을 형성하여 모노머와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을 순식간에 중합시켜 3차원 그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화 가능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이타콘산 모노에스테르,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무수말레인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계 경화제, 다관능성 에폭시 수지계 경화제 및 멜라민 수지계 경화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1,3 디(메타)크릴옥시프로판,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이타콘산 에스테르 합성
먼저 이타콘산(Sigma-Aldrich, I29204)을 각각 상응하는 탄소수를 가지는 알코올과 반응시켰다(표 1 참조). 반응에 사용된 알코올은 모두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황산을 촉매로 하여 100℃에서 이타콘산이 완전히 반응하여 없어질 때까지 반응시킨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 내었다. 톨루엔과 물로 분액하여 유기층을 따로 분리하고 정제하여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합성하였다.
이타콘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n-디옥틸 이타콘산 에스테르 85 중량부, 이타콘산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투여하였다. 반응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5 중량부를 투입한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 동안 퍼징(purging)하였다. 이어서 온도를 60 ℃로 유지하고,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틸 아세테이트 (EAc)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20 중량%이고, 수평균분자량(M n)이 20만이며, 분자량 분포가 3.3인 이타콘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8]
공중합체 제조 시에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원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타콘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B ~ H)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9, 10]
공중합체 제조 시에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원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I, J)를 제조하였다.
공중합체
A B C D E F G H I J
Dioctyl
Itaconate
85
Didodecyl
Itaconate
85
Dihexadecyl
Itaconate
85
Diicosyl
Itaconate
85
Dimethyl
Itaconate
85
Diethyl
Itaconate
85
Dipropyl
Itaconate
85
Dibutyl
Itaconate
85
Octyl
Acrylate
85
Hexadecyl
Acrylate
85
이타콘산 15 15 15 15 15 15 15 15
아크릴산 15 15
AIBN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Mn(만) 20 23 16 10 30 32 27 25
분자량분포 3.3 3.9 5.2 6.0 2.8 3.1 4.0 3.4 4.6 3.9
[실시예 1 ~ 4]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제조예 1 ~ 4에서 제조된 이타콘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99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TDI)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액의 고형분 농도가 5중량%가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이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4]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제조예 5 ~ 8에서 제조된 이타콘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99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TDI)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액의 고형분 농도가 5중량%가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이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6]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제조예 9, 10에서 제조된 아크릴산 공중합체 99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TDI)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액의 고형분 농도가 5중량%가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이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공중합체 A 99
공중합체 B 99
공중합체 C 99
공중합체 D 99
공중합체 E 99
공중합체 F 99
공중합체 G 99
공중합체 H 99
공중합체 I 99
공중합체 J 99
경화제(TDI) 1 1 1 1 1 1 1 1 1 1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에 따른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두께 50㎛의 XG210(도레이첨단소재)의 일면에 메이어바로 도포하고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에서 5분간 가열함으로써 이형필름을 각각 제조한 후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경화도 평가
코팅된 샘플을 손가락으로 강하게 문지르면서, 코팅층이 벗겨지는 정도로 경화도를 평가하였다.
O : 10회 문질렀을 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음
△: 10회 문질렀을 때 코팅층이 벗겨짐
X : 10회 문질렀을 때 코팅층이 완전히 벗겨짐
2. 잔류접착률 측정
-시료 준비
① 코팅된 측정용 샘플을 25℃, 65%RH 에서 24시간 보존
② 코팅 면에 표준 점착테이프(Nitto 31B)를 붙인 후 2 kg 중량의 고무롤러로 2회 왕복 압착, 30분간 숙성
③ 점착테이프를 SUS판에 옮겨 붙인 후, 물성 측정
- 측정 기기: chem-instrument AR-1000
- 측정 방법: 180° 박리각도, 박리속도 0.3 m/min
- 측정 데이터: 박리력 단위는 gf/in이며 측정값은 5회 측정하여 평균값 산출
데이터 산출 후, 하기 식으로 표현되는 잔류접착률을 계산하였다. 기준은 "이형 코팅 면에 붙이지 않은 점착테이프의 박리력"으로 하였다.
잔류접착률(%) = (이형 코팅 면에 붙였던 박리력)/(기준 박리력) * 100
3. 이형성 평가
- 시료 준비:
① 코팅된 측정용 샘플을 25℃, 65%RH 에서 24시간 보존
② 코팅 면에 표준 점착테이프(Nitto 31B)를 붙인 후 2 kg 중량의 고무롤러로 2회 왕복 압착. 이 샘플을 상온에서 한 시간 숙성 후 물성 측정
- 측정 기기: chem-instrument AR-1000
- 측정 방법: 180°박리각도, 박리속도 0.3 m/min
- 측정 데이터: 박리력 단위는 gf/in이며 측정값은 5회 측정하여 평균값 산출
주쇄 R 경화도 잔류접착률(%) 박리력(gf/in)
실시예1 이타콘 Octyl 101 97
실시예2 이타콘 Dodecyl 103 42
실시예3 이타콘 Hexadecyl 99 15
실시예4 이타콘 Icosyl 98 18
비교예1 이타콘 Methyl 101 Range Over
비교예2 이타콘 Ethyl 106 Range Over
비교예3 이타콘 Propyl 98 Range Over
비교예4 이타콘 Butyl 102 Range Over
비교예5 아크릴 Octyl 101 238
비교예6 아크릴 Hexadecyl 97 48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경우 이형성이 우수하며, 알킬기의 종류에 따라 박리력 제어가 가능한 이형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4로부터, 알킬기가 너무 짧은 경우는 이형성이 발현되지 않는다.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5~6과 비교하였을 때, 보다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낸다. 또한 잔류접착률이 매우 높아 실리콘계 이형 필름에서 문제가 되는 폴리머 전사 현상 또한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식물성 수지인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점착제 등 도포성이 우수한 이형필름을 만들 수 제조할 수 있고, 식물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종래의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이형필름에 비해 우수한 박리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알킬기를 도입함으로써 박리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접착 테이프의 보호필름 용도, 가열가압성형 공정 용도, 세라믹시트 성형용 캐리어 필름 용도와 같은 분야에서 종전의 이형필름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타콘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주 성분으로 하고, 경화제와 용제를 포함하되,
    (화학식 1)
    Figure 112019014162312-pat00003

    여기서, R과 R'는 알킬기이고, R과 R'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가 8 ~ 25인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타콘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이타콘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경화 가능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가능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이타콘산 모노에스테르,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무수말레인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계 경화제, 다관능성 에폭시 수지계 경화제 및 멜라민 수지계 경화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 및 광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1,3 디(메타)크릴옥시프로판,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KR1020130000298A 2013-01-02 2013-01-02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KR10196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298A KR101967486B1 (ko) 2013-01-02 2013-01-02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298A KR101967486B1 (ko) 2013-01-02 2013-01-02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431A KR20140088431A (ko) 2014-07-10
KR101967486B1 true KR101967486B1 (ko) 2019-04-09

Family

ID=5173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298A KR101967486B1 (ko) 2013-01-02 2013-01-02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356B1 (ko) * 2020-10-07 2022-07-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CN117567911A (zh) * 2022-09-26 2024-02-20 珠海市一心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载体膜涂料、载体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1358B2 (ja) 1992-07-23 1999-12-20 五洋紙工株式会社 剥離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剥離シートの製造方法
JPH09216905A (ja) * 1996-02-09 1997-08-19 Sumitomo Chem Co Ltd アクリル系シート状またはバルク状成形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431A (ko)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529B1 (ko)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조성물
JP400380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EP2676991B1 (en) Substrat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864349B1 (ko) 필름 보호층용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필름 및 광학 시트
KR101565630B1 (ko) 무용제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99602B1 (ko) 아크릴폼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TW201922830A (zh) 光可固化組成物及包含彼之固化產物之塗覆層
KR101252326B1 (ko)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KR101651718B1 (ko) 점착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967486B1 (ko)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JP6461927B2 (ja) 粘着フィルム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粘着フィルム
TW201739883A (zh) 紫外線硬化型丙烯酸系聚合物及其製造方法以及紫外線硬化型熱熔接著劑
KR101252340B1 (ko)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CN112449649B (zh) 粘着剂及粘着片
TWI758597B (zh) 活性能量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積層體
KR101614076B1 (ko) 재박리용 아크릴계 점착제 겸 이형제 조성물
KR101538447B1 (ko) 이형 시트
JP2013043902A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KR101804598B1 (ko) 광중합에 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142198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용 점착보호필름
KR102313741B1 (ko) 점착 필름
JP2013057010A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KR102605107B1 (ko) 무용제 타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코팅필름
KR100252031B1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필름
KR100252032B1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