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326B1 -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326B1
KR101252326B1 KR1020080084816A KR20080084816A KR101252326B1 KR 101252326 B1 KR101252326 B1 KR 101252326B1 KR 1020080084816 A KR1020080084816 A KR 1020080084816A KR 20080084816 A KR20080084816 A KR 20080084816A KR 101252326 B1 KR101252326 B1 KR 10125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functional group
acrylate
epoxy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013A (ko
Inventor
권동주
김원국
홍영준
강양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84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3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b)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c)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d)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 (e) 양이온성 UV 개시제 및 (f) 라디칼 UV 개시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액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드코팅액, 하드 코팅 필름

Description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HARD-COATING COMPOSITION AND HARD-COATING FILM}
본 발명은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 등의 막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우수하여 곡면 성형 가공이 용이하고, 저장안정성이 뛰어난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성형품 표면에 표면 보호 시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기재 시트의 일면에 하드코팅층이 구비되고 반대면에 접착층이 구비된 표면 보호 시트를 성형 금형내에 끼워 넣고, 금형 내 공간에 수지를 사출시킨 후 냉각시켜 수지 성형품을 얻는 것과 동시에 그 성형품의 표면에 표면 보호 시트를 접착시키는 인서트(insert) 성형법이 있다. 표면 보호 시트의 하드코팅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수지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드코팅층으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고 표면 보호 시트 제작시에 가열에 의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가교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성형품 표면의 내약품성, 내마모성이 일반적으로 뒤떨어진다. 한편, 하드코팅층으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고 표면 보호 시트 제작시에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가교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수지의 가교 밀도를 높이는 것에 의하여 내약품성, 내마모성을 개량할 수 있는 반면, 접착시에 성형품 곡면부에 위치하는 하드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한다.
기존 인-몰드(in-mold) 데코레이션 필름용 하드코팅액은 사출 가공 특성상 곡률 성형에 있어서 유연성이 요구되고, 이에 반해 최종 제품의 표면은 가능한 높은 막강도를 필요로 하는데, 이와 같은 서로 상반된 물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하드코팅막의 강도에 있어 손해를 감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높은 신율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코팅막 강도를 가지는 코팅액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적용되던 데코레이션 필름용 하드 코팅 필름에 비하여 동등 이상의 신율을 가져 곡면 성형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 등의 막강도가 우수한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b)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c)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d)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
(e) 양이온성 UV 개시제, 및
(f) 라디칼 UV 개시제
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b)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c)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d)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
(e) 양이온성 UV 개시제, 및
(f) 라디칼 UV 개시제
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표면에 구비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금형 내에 넣는 단계, 성형하고자 하는 수지를 금형내에 사출시킨 후 냉각하는 단계 및 금형으로부터 상기 하드 코팅 필름으로 도포된 성형품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한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액 조성물은 종래의 인-몰드(in-mold) 데코레이션 필름용 하드 코팅 필름에 비하여 동등 이상의 신율을 가져 곡면 성형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 등의 막강도가 우수한 하드 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액 조성물은 (a)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b)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c)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d)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 (e) 양이온성 UV 개시제 및 (f) 라디칼 UV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하드 코팅 필름에 가공 성형에 필요한 유연성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 및 내스크레치성 등의 막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크릴로일 관능기는 UV 경화시 하드 코팅 필름의 유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재료 뿐만 아니라, 에폭시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체 및 모노머를 함께 사용함과 동시에, 이들 재료에 포함된 에폭시환을 개환할 수 있는 양이온 UV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하드 코팅 필름의 유연성 및 막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아크릴레이트계'란 아크릴레이트 뿐만 아니라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에 치환기가 도입된 유도체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양이온성 UV 개시제에 의하여 자외선 경화 반응을 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에폭시 관능기를 갖고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0~60 중량부,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40 중량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10~50 중량부, 용매로 아세틸아세톤 100 중량부, 개시제로 AIBN 0.5 중량부 및 사슬연쇄이동제로 도데실머캡탄 1중량부를 첨가하고 80℃ 온도에서 2시간 중합한 후, 하이드로퀴논 0.05 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제조된 분자량 5,000~50,000의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도입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일부 에폭시 관능기와 아크릴산 모노머를 반응시켜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전술한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아크릴산 모노머 5~30 중량부, 용매로서 아세틸아세톤 167 중량부 및 촉매로 트리에틸아민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60℃ 온도에서 1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분자량 5,000~50,000의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20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모노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종류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 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300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란 에폭시 관능기를 1 이상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한 광중합성 관능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모노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종류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하이드지니즈 비스페놀 에이 디글리시딜 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는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200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액 조성물은 UV 개시제로서 양이온성 UV 개시제와 라디칼 UV 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성 UV 개시제는 UV 조사시 에폭시환을 여는 역할을 하고, 상기 라디칼 UV 개시제는 UV 조사시 아크릴레이트 관능기에 작용하여 UV 경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UV 개시제와 라디칼 UV 개시제는 각각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UV 개시제의 예로는 Irgacure 250(Bayer), Uvacure 1590(SK Cytec) 등이 있고, 상기 라디칼 UV 개시제로는 Irgacure 184, Irgacure 819, Vicure 30(BASF)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b)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c)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d)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 (e) 양이온성 UV 개시제 및 (f) 라디칼 UV 개시제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코팅 필름은 전술한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기재 상에 건조 두께 1~150㎛ 범위로 도포한 후 30초 내지 3분간 60~200 ℃에서 열건조하고, 5 내지 30초간 10~500 mJ /cm2 광량으로 1차 조사하여 가공 성형성을 부여하고, 필름을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가공 성형한 후 5 내지 30초간 500~2,000mJ/cm2 광량으로 2차 경화함으로써 내마모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코팅막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코팅하는 피코팅 기재로는 카보네이트 수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복합재료로 된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막의 두께는 1~150㎛가 적당하며, 코팅막의 두께가 1㎛미만이면 경화 물성이 떨어지며, 150㎛를 초과하면 코팅막의 완전한 경화가 어렵다.
상기 코팅막의 열건조 온도는 60~200 ℃가 바람직하데, 60℃ 미만인 경우 도 막 내에 유기 용제가 남는 문제가 발생하고, 200℃ 초과인 경우 기재에 열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1차 자외선 경화시에는, 자외선 램프가 200~380nm 파장 범위에서 10~500mJ/cm2 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0~200 mJ /cm2 광량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0mJ/cm2 미만일 경우 블락킹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0mJ/cm2 초과일 경우 이 코팅막 위에 코팅되는 다른 도막과의 부착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2차 자외선 경화시에는 500~2,000mJ/cm2의 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500mJ/cm2 미만일 경우 표면 경도가 저하되며, 2,000mJ/cm2 이상일 경우 도막 수축현상에 의한 컬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금형 내에 넣는 단계, 성형하고자 하는 수지를 상기 금형 내에 사출시킨 후 냉각하는 단계 및 금형으로부터 상기 하드 코팅 필름으로 도포된 성형품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코팅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구체적인 기술은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으로는 핸드폰 케이스, 노트북 케이스, 화장품 용기 등이 있으나,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에폭시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제조
아세틸아세톤 500 g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0 g,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0 g,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400 g, 아세틸아세톤 500 g, 개시제로 AIBN 10 g 및 사슬연쇄이동제로 도데실머캡탄 10 g를 첨가하여 80℃ 온도에서 2시간 중합한 후 하이드로퀴논 0.5 g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8,000 이었고 분자량 분포도는 2.5 이었다.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제조
상기 제조된 공중합체(a) 500 g에 아크릴산 모노머 104 g, 아세틸아세톤 835 g, 트리에틸아민 2.5 g를 첨가하여 60 ℃ 온도에서 1시간 반응시켜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b)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7,000 이었고 분자량 분포도는 2.6 이었다.
코팅액 제조
상기 제조된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 (a) 50 g,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 공중합체 (b) 50 g,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50 g,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85 g, UV 개시제 Irgacure 184 3 g, Irgacure 250 3 g를 첨가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폭시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에폭시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코팅액 제조
상기 제조된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 (a) 75 g,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 공중합체 (b) 75 g,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25 g,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42.5 g, UV 개시제 Irgacure 184 3 g, Irgacure 250 3 g를 첨가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에폭시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에폭시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코팅액 제조
상기 제조된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 (a) 25 g,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부여된 아크릴 공중합체 (b) 25 g,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75 g,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7.5 g, UV 개시제 Irgacure 184 3 g, Irgacure 250 3 g를 첨가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코팅액 제조
Bayer 사에서 제공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100) 50 g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85 g 및 UV 개시제 Irgacure 184 3 g을 첨가하여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1mm PMMA 수지 기재에 건조 두께 5㎛로 코팅하고, 60℃에서 2분간 열건조하였다. 이어서, 50mJ/cm2에서 15초간 1차 자외선 경화를 하고, 필름 형성 후 1,000mJ/cm2 에서 15초간 2차 자외선 경화를 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하드 코팅 필름의 물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1. 연필경도: PMMA sheet 위에 코팅된 각 도막의 표면경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연필경도계(정도시험기, 한국)를 이용하여 일정 하중 1Kg 하에서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연필(MITSUBISHI)를 6B ~ 9H 로 변화시키면서 45도 각도를 유지하여 스크래치를 가하여 표면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ASTM 3363-74) 각각의 실험값은 5회 측정 후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2. 부착력: PMMA 시트 위에 코팅된 각 도막의 부착력은 칼을 사용하여 가로, 세로 1mm 크기의 100개의 정방형을 만들고 그 위에 니찌방 테이프를 균일하게 눌러 부착한 후 빠른 속도로 떼어내어 떨이지지 않고 남아있는 정방형의 수를 표기하였다. (ASTM D 4541). 각각의 실험값은 5회 측정 후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합격: 0개, 불량: 1개 이상)
3. 성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코팅된 각 도막의 성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기(ENGEL 社)를 사용하여 성형품을 제조한 다음, 모서리 부위에서 크랙 발생 여부를 광학현미경을 통해서 관찰하였다. 각각의 실험값은 5 곳을 측정한 후 크랙 발생여부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합격: 크랙 없음, 불량: 크랙 발생)
연필경도 부착력 성형성
실시예1 4H 0 합격
실시예2 2H 0 합격
실시예3 4H 17 불합격
비교예1 HB 0 불합격

Claims (16)

  1. (a)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b)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c)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d)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
    (e) 양이온성 UV 개시제, 및
    (f) 라디칼 UV 개시제
    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액 조성물로서,
    상기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일부 에폭시 관능기와 아크릴산 모노머를 반응시켜 제조된 것인 하드코팅액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중합시켜 제조된 것인 하드코팅액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20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하드코팅액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인 것인 하드코팅액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30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하드코팅액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하이드지니즈 비스페놀 에이 디글리시딜 에테르인 것인 하드코팅액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는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20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하드코팅액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UV 개시제 및 라디칼 UV 개시제는 각각 상기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포함된 것인 하드코팅액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2, 및 청구항 4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a)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b)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c)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d) 다관능성 에폭시 모노머, (e) 양이온성 UV 개시제, 및 (f) 라디칼 UV 개시제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11. 청구항 1 내지 2, 및 청구항 4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단계, 및 코팅막을 건조하고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건조 두께 1~150㎛로 하는 것인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30초 내지 3분간 60~500 ℃에서 열건조로 수행하는 것인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5 내지 30초간 10~200 mJ /cm2 광량으로 수행하는 1차 UV 조사 및 5 내지 30초간 500~2,000mJ/cm2 광량으로 수행하는 2차 UV 조사를 포함하는 것인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0의 하드 코팅 필름을 표면에 구비한 성형품.
  16. 청구항 10의 하드 코팅 필름을 금형 내에 넣는 단계, 성형하고자 하는 수지를 상기 금형 내로 사출시킨 후 냉각하는 단계 및 금형으로부터 상기 하드 코팅 필름으로 도포된 성형품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0080084816A 2008-08-29 2008-08-29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KR10125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816A KR101252326B1 (ko) 2008-08-29 2008-08-29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816A KR101252326B1 (ko) 2008-08-29 2008-08-29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013A KR20100026013A (ko) 2010-03-10
KR101252326B1 true KR101252326B1 (ko) 2013-04-08

Family

ID=4217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816A KR101252326B1 (ko) 2008-08-29 2008-08-29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3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00A (ko) 2015-03-25 2016-10-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컬러 필터
KR102180684B1 (ko) 2020-04-27 2020-11-20 이성덕 하드코팅액 제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937B1 (ko) 2011-04-15 2013-07-31 (주)엘지하우시스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온 성형성 및 슬립성이 우수한 하드코팅 형성용 시트
KR101426129B1 (ko) * 2012-01-11 2014-08-05 (주)엘지하우시스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황변이 개선된 장식용 필름
KR101828516B1 (ko) 2014-09-18 2018-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4616B1 (ko) 2014-09-18 2017-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 대체용 경화성 조성물
CN114907796B (zh) * 2022-05-19 2023-11-21 苏州高泰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Uv固化组合物及包含该组合物的胶膜、胶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952A (ja) * 2002-02-28 2003-09-10 Toppan Printin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04051905A (ja) * 2002-07-23 2004-02-19 Daicel Ucb Co Ltd 光ファイバー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05099778A (ja) * 2003-08-28 2005-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積層体
JP2006131670A (ja) * 2004-11-02 2006-05-25 Mitsubishi Rayon Co Ltd 被覆組成物、被覆物品及び自動車用外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952A (ja) * 2002-02-28 2003-09-10 Toppan Printin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04051905A (ja) * 2002-07-23 2004-02-19 Daicel Ucb Co Ltd 光ファイバー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05099778A (ja) * 2003-08-28 2005-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積層体
JP2006131670A (ja) * 2004-11-02 2006-05-25 Mitsubishi Rayon Co Ltd 被覆組成物、被覆物品及び自動車用外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00A (ko) 2015-03-25 2016-10-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컬러 필터
KR102180684B1 (ko) 2020-04-27 2020-11-20 이성덕 하드코팅액 제조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013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575B1 (ko)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JP400380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KR101252326B1 (ko)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KR101552739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시트
KR101585269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수지 조성물
JP6011529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転写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52740B1 (ko) 하드코팅 형성 방법
KR100864349B1 (ko) 필름 보호층용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필름 및 광학 시트
JP400118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5455730B2 (ja) 加飾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加飾フィルムおよび加飾成形品
CN109929292B (zh) 用于可热成型硬涂层应用的uv固化丙烯酸类树脂组合物
JP6048804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剤、それらを用いた硬化膜、硬化膜が積層された加飾フィルム及び加飾フィルム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射出成型品。
KR20170003181A (ko) 곡면형 투명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17809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樹脂シート
KR101984338B1 (ko) 하드 코팅 조성물
KR101252340B1 (ko)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하드 코팅 필름
EP3636717A1 (en) Uv-curable paint composition
KR101391241B1 (ko) 광학용 투명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20100139060A (ko) 수지조성물, 하드코팅제, 필름 및 성형체의 제조방법
JP2017177647A (ja) 転写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基材フィルム付ハードコート層積層体、及びハードコート層積層体の製造方法
TWI445779B (zh) 硬塗層用組合物及利用該硬塗層用組合物的具有優秀的低溫成型性及滑動性的硬塗層形成用薄片
KR101749722B1 (ko)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07043570A1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及び光学シート
KR101600390B1 (ko) 유연성이 우수한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형성방법
JP7273252B2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