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047B1 -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 Google Patents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047B1
KR102126047B1 KR1020170114928A KR20170114928A KR102126047B1 KR 102126047 B1 KR102126047 B1 KR 102126047B1 KR 1020170114928 A KR1020170114928 A KR 1020170114928A KR 20170114928 A KR20170114928 A KR 20170114928A KR 102126047 B1 KR102126047 B1 KR 10212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siloxane
adhesive film
acryl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032A (ko
Inventor
신동명
김도영
김영훈
김태지
황오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047B1/ko
Priority to PCT/KR2018/010052 priority patent/WO2019045479A1/ko
Priority to CN201880055979.9A priority patent/CN111094483A/zh
Priority to US16/642,831 priority patent/US11781040B2/en
Priority to TW107130704A priority patent/TWI695049B/zh
Publication of KR2019002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C09J2201/6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 중 3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ADHESIVE FILM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광학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한다. 종래 유기발광소자는 기판으로 유리판을 포함한다. 그러나 최근 웨어러블(wear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 부합하여, 유기발광소자의 기판을 유리판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유리판에 비하여 박막이고 유연하다. 폴리이미드 필름 기판의 패널은 기계적 물성이 좋지 않아서 광학표시장치 제조 공정에서 보호필름으로 보호될 필요가 있다. 종래 유리판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폴리이미드 필름의 보호필름으로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폴리이미드 필름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폴리이미드 필름으로부터 제거시 박리력이 높을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하는 패널이 손상이 될 수 있다. 특히, 폴리이미드 필름은 유리판에 비하여 유연하므로, 보호필름 박리시 손상되기 쉽다. 따라서,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박리력이 낮아서 폴리이미드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더라도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하는 패널에 대해 손상이나 형상의 변화가 적게 할 수 있는 보호필름이 요구된다. 또한, 보호필름을 박리한 후 떼어낸 면에 잔사가 많을 경우에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붙게 되는 다른 필름 또는 광학 부재의 점착성이 잘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한 후 장시간 고온에서 방치하더라도 폴리이미드 필름에 잔사를 남기지 않도록 하여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보호필름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편, 광학표시장치 제조 공정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에 보호필름을 점착시킨 후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크기에 따라 재단된다. 이러한 재단 과정에서 보호필름의 재단면에서 파티클이 비산되거나 필름이 뭉칠 수 있다. 이것은 패널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7-005536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한 후 박리하였을 때 폴리이미드 필름의 손상 및/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형상 변화가 없게 할 수 있는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시킨 후 장시간 경과 후에도 폴리이미드 필름의 손상 및/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형상 변화가 없게 할 수 있는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필름 박리 시 패널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잔사 특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화율이 높고 성분들 간에 상용성이 좋은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시킨 후 재단하였을 때 파티클 비산, 점착필름의 뭉침 및/또는 밀림 및/또는 날림 및/또는 찢김 등이 없게 할 수 있는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필름은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 중 3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본 발명의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한 후 박리하였을 때 폴리이미드 필름의 손상 및/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형상 변화가 없게 할 수 있는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시킨 후 장시간 경과 후에도 폴리이미드 필름의 손상 및/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형상 변화가 없게 할 수 있는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패널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할 때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저점착력을 갖는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잔사 특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경화율이 높고 점착필름 성분들 간에 상용성이 좋은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시킨 후 재단하였을 때 파티클 비산, 점착필름의 뭉침 및/또는 밀림 및/또는 날림 및/또는 찢김 등이 없게 할 수 있는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체"는 올리고머, 폴리머 또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을 설명한다.
점착필름은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필름은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됨으로써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유리판에 대한 박리력이 낮아서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폴리이미드 필름의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 중 3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이미드 필름 및/또는 유리판에 대한 박리력이 낮고, 잔사(residue) 특성이 우수하며, 경화율이 높고 점착필름 성분들 간에 상용성이 우수하고 재단시 표면 특성이 우수하고 잔사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점착필름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박리력은 3.5gf/in 이하, 예를 들면 2gf/in 내지 3.5gf/in이 될 수 있다. 점착필름의 유리(예:유리판)에 대한 박리력은 3.0gf/in 이하, 예를 들면 2gf/in 내지 3gf/in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유리판에 점착시킨 후 박리하더라도 박리력이 낮아서 폴리이미드 필름의 손상 및/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형상 변화가 없게 할 수 있다. 상기 박리력 측정시 사용된 폴리이미드 필름은 KOLON사의 제품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잔사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점착필름을 폴리이미드 필름에 합지하고 장기간 고온에서 방치한 후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필름의 성분들이 남아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점착필름은 하기 식 1의 잔사 비율이 25%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을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한 후 제거하더라도 폴리이미드 필름의 점착필름의 성분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다른 필름 부재가 폴리이미드 필름에 잘 점착할 수 있어서 공정성이 좋을 수 있다:
<식 1>
잔사 비율 = |B - A|/A x 100
(상기 식 1에서, A는 점착 테이프의 유리판에 대한 박리력(단위:gf/in)
B는 상기 점착필름을 상기 유리판에 라미네이션하고 50℃에서 10일 동안 방치하고 상기 점착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유리판 중 상기 점착필름에 제거된 부분에 대한 상기 점착 테이프의 박리력(단위:gf/in)).
상기 점착 테이프는 유리판에 대해 박리력이 500gf/in 내지 600gf/in인 점착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테이프"는 자체 제작한 점착 테이프(예: (메트)아크릴계 점착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 테이프)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50℃에서 10일 동안 방치"는 오븐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필름은 하기 식 2의 무게 변화율이 2%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구성 성분 간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점착필름의 경화율이 높아서 폴리이미드 필름 및/또는 유리판의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 2>
무게 변화율 = |D - C|/C x 100
(상기 식 2에서, C는 점착필름의 초기 무게(단위:g)
D는 상기 점착필름을 150℃에서 90분 동안 방치하고 25℃에서 15분 동안 방치한 후의 상기 점착필름의 무게(단위:g)). 상기 "점착필름의 초기 무게"는 점착필름을 150℃에서 90분 동안 방치하고 25℃에서 15분 동안 방치하기 전의 무게를 의미한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 부위가 실록산으로 변성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이들은 점착필름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8729677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R5, R6,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R8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9는 수소 또는 메틸기, n은 10 내지 1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R1, R2, R3, R4, R5, R6,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또는 펜틸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8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또는 펜틸렌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은 20 내지 80의 정수,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의 정수가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7087296778-pat00002
(상기 화학식 1-1에서,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R8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9는 수소 또는 메틸기, n은 10 내지 100의 정수).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6000이 될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피착면에 대한 젖음성, 밀착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 중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에스테르 부위가 실록산으로 변성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이들은 점착필름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87296778-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R11, R12, R13, R14, R15,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R17,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19,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 n은 10 내지 1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R11, R12, R13, R14, R15,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또는 펜틸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17,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또는 펜틸렌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은 20 내지 80의 정수,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의 정수가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실록산으로 변성된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1>
Figure 112017087296778-pat00004
(상기 화학식 2-1에서, R17,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R19,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 n은 10 내지 100의 정수).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수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이 될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피착면에 대한 젖음성, 밀착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 중 2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2.5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실리콘을 포함하지 않는 비-실리콘계 단량체일 수 있다.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점착필름의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실리콘을 함유하지 않는 비-실리콘계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다이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00℃ 내지 -5℃,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피착면에 대한 젖음성, 밀착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다이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중 40중량%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99중량%, 50중량% 내지 95중량%, 65중량% 내지 9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박리력이 낮고, 헤이즈의 변화율이 낮아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점착필름의 박리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실리콘을 함유하지 않는 비-실리콘계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 (메트)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중 0.1중량%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박리력이 낮고, 헤이즈의 변화율이 낮아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에 기타 공중합 가능한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공중합 가능한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실리콘을 포함하지 않는 비-실리콘계 단량체로서, 지환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헤테로지환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필름은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체예에서, 점착필름은 상기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부분 중합하여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형성한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 제조 후 첨가된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100중랑부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3중량부 내지 25중량부의 총합 중 4중량부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3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은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65중량% 내지 98중량%,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0.1중량% 내지 20중량%,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박리력이 낮고 잔사 특성이 좋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개시제, 가교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로 경화(부분 중합)하거나, 프리폴리머 포함 점성 액체를 점착필름으로 경화시키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개시제는 광중합 개시제, 열중합 개시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광조사 등에 의한 경화 과정에서 하기 전술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조인계, 히드록시 케톤계, 아미노케톤계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 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오페논, p-t-부틸 트리클로로 아세토페논, p-t-부틸 디클로로 아세토페논, 4-클로로 아세토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 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 화합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 아미노-1-(4-모폴리노 페닐)-부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논시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중합 개시제는, 전술한 물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조계 화합물, 과산화물계 화합물 또는 레독스(redox)계 화합물과 같은 통상의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조계 화합물의 예로는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트릴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트릴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니트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디메틸-2,2-메틸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및 2,2-피오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고, 과산화물계 화합물의 예로는 과유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또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무기 과산화물; 또는 디아실 퍼옥시드,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퍼옥시 에스테르, 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비스(4-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 카보네이트, 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디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에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비스(3-메톡시-3-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세틸(dicetyl)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미리스틸(dimyristyl)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peroxypivalate), 헥실 퍼옥시 피발레이트, 부틸 퍼옥시 피발레이트, 트리메틸 헥사노일 퍼옥시드, 디메틸 히드록시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아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네오헵타노에이트, 아밀퍼옥시 피발레이트(pivalate), t-부틸퍼옥시 피발레이트,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라우릴 퍼옥시드, 디라우로일(dilauroyl) 퍼옥시드, 디데카노일 퍼옥시드, 벤조일 퍼옥시드 또는 디벤조일 퍼옥시드 등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고, 레독스계 화합물의 예로는 과산화물계 화합물과 환원제를 병용한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와 같은 아조계, 과산화물계 또는 레독스계 화합물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개시제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001 중량부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경화 반응이 완전히 진행될 수 있고, 잔량의 개시제가 남아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기포 발생을 낮출 수 있고 우수한 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가교제는 실리콘을 포함하지 않는 비-실리콘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활성 에너지선으로 경화가 가능한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가교제는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트)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과 같은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트)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교제는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5 중량부 이상, 구체적으로 0.5 중량부 내지 30중량부, 구체적으로 5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신뢰성 증가의 효과가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경화촉진제, 이온성 액체, 리튬염, 무기충전제, 연화제, 분자량 조절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개질수지(폴리올 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화 폴리부타다이엔 수지 등), 레벨링제, 소포제, 가소제, 염료, 안료(착색 안료, 체질 안료 등), 처리제, 자외선차단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응집제, 윤활제 및 용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대전방지제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를 사용함으로써 점착필름에 대전방지성능과 함께 박리 시에 대전압이 낮아져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온성 액체는 25℃에서 고상인 이온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로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과 하나 이상의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으로는 플루오로 유기 음이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루오로 유기 음이온으로서 하기 화학식 3, 4, 또는 5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87296778-pat00005
<화학식 4>
Figure 112017087296778-pat00006
<화학식 5>
Figure 112017087296778-pat00007
(상기 화학식 3 내지 화학식 5에서, 각 R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화 알킬, 플루오르화 시클로알킬 또는 플루오르화 아릴이고, 상기 플루오르화 알킬, 플루오르화 시클로알킬, 플루오르화 아릴은 사슬 또는 말단에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고;
Q는 독립적으로 SO2 또는 CO이고;
Y는 QR, CN, 할로겐, H, 알킬, 아릴, Q-알킬 및 Q-아릴로부터 선택되고(이때, Q는 독립적으로 SO2 또는 CO이고, R은 플루오르화 알킬, 플루오르화 시클로알킬 또는 플루오르화 아릴이고, 상기 플루오르화 알킬, 플루오르화 시클로알킬, 플루오르화 아릴은 사슬 또는 말단에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임의의 2개의 인접한 R기는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헤테로원자는 예를 들면, N, O 또는 S(예, -SF4- 또는 -SF5)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전 방지제로 상기 화학식 4를 사용할 수 있다. R6은 퍼플루오로알킬기이고, Q는 SO2이고, 각 Y는 QR6이다.
상기 화학식 3 내지 화학식 5에서,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시클로알킬"은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 "아릴"은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를 의미한다.
상기 양이온으로는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양이온, 알킬암모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를 포함할 경우, 점착필름은 표면저항이 1 x 1012Ω/□ 이하, 예를 들면 6.5 x 109Ω/□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을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하고 박리하였을 때 박리가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점착시킨 후 박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대전방지제를 동일 용량으로 포함시 표면 저항을 낮출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명 BYK-3500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01 중량부 내지 1중량부, 구체적으로 0.003 중량부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 0.00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박리력, 신뢰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첨가제 효과를 낼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25℃ 점도가 300 cPs 내지 50,000 cPs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코팅성과 두께 균일성을 얻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타입의 열경화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소시아네이트계 타입의 열경화제를 포함할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박리력이 증가하여 사용할 수 없다.
제2 구체예에서, 점착필름은 상기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로 형성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부분 중합하여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형성한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중 4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균일하게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3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은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50중량% 내지 95중량%,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0.1중량% 내지 20중량%,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1중량% 내지 15중량%,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3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가교제, 개시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체예에서, 점착필름은 상기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 제조 후 포함된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100중랑부에 대해 4중량부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3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량체 혼합물은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40중량% 내지 99.9중량%,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0.1중량%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가교제, 개시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구체예에서, 점착필름은 상기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부분 중합하여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형성한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 제조 후 첨가된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100중랑부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내지 18중량부의 총합 중 4중량부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균일하게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균일하게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3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량체 혼합물은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70중량% 내지 96중량%,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0.1중량% 내지 20중량%,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3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가교제, 개시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5구체예에서, 점착필름은 상기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제1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부분 중합하여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형성한다.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 제조 후 첨가된다.
제1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대비 동일 또는 이종의 화합물일 수 있다.
제1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100중랑부와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3중량부 내지 25중량부의 총합 중 4중량부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가교제, 개시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6구체예에서, 점착필름은 상기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제1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부분 중합하여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형성한다.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 제조 후 첨가된다.
제1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대비 동일 또는 이종의 화합물일 수 있다.
제1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100중랑부와 제2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3중량부 내지 25중량부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의 총합 중 4중량부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낮은 점착력과 잔사가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가교제, 개시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필름은 유리전이온도(Tg)가 -12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피착면에 대한 젖음성이 좋고 밀착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점착필름은 가시광 영역(예: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 구체적으로 95%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투명성이 좋아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필름에 적층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점착필름은 점착제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서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은 중합이 전혀 되지 않은 단량체 혼합물 상태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단량체 혼합물이 일부 부분 중합된 프리폴리머로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개시제로 부분 중합시키고, 추가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추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추가 개시제, 추가 가교제, 추가 첨가제를 포함시켜 제조될 수 있다. 부분 중합은 용액 중합, 현탁 중합, 광중합, 벌크중합, 또는 에멀젼 중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액 중합은 단량체 혼합물에 개시제를 첨가하고 50℃ 내지 1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개시제는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등을 포함하는 아세토페논계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부분 중합은 25℃에서 점도 1,000cPs 내지 10,000cPs, 구체적으로 점도 4,000cPs 내지 9,000cPs로 중합할 수 있다. 점착 필름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필름에 코팅한 후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경화는 무산소 상태에서 저압램프로 파장 300nm 내지 400nm에서 조사량 400mJ/cm2 내지 3000mJ/cm2의 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는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하고, 점착필름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시클릭올레핀폴리머 수지, 아크릴 수지 중 하나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광학필름은 두께가 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을 지지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점착필름의 다른 일면에 이형 필름(라이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형 필름은 점착필름이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형 필름은 상술한 광학필름과 동종 또는 이종의 물질로 형성된 광학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형 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는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하고, 점착필름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필름은 발광소자층, 발광소자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필름과 점착필름 사이에는 유기 절연막 또는 무기 절연막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의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 개시제 Irgacure 651 0.005중량부를 반응기 내에서 잘 혼합하였다. 반응기 내 용존 산소를 질소 기체로 교환한 후 수분 동안 저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 조사함으로써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부분 중합시켜, 25℃에서 5,000cps의 점도를 갖는 점성 액체를 제조하였다. 점성 액체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프리폴리머 및 중합하지 않고 남아있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점성 액체에 개시제 Irgacure 651 0.3중량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10중량부, 대전방지제 FC-4400 0.5중량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SM7530 1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을 탈포한 후 이형 필름인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75㎛, SKC사)의 일면에 도포하고 다시 이형 필름인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25㎛, 도레이 첨단 소재)을 적층한 다음에 저압 수은 램프에서 자외선으로 2000mJ/cm2의 광량을 조사하고 금속 할라이드 램프로 1J/cm2으로 광량을 조사하여 잔류 단량체를 제거함으로써, PET 필름/점착필름/PET 필름의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점착제 조성물의 구성을 하기 표 1(단위는 중량부)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PET 필름/점착필름/PET 필름의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하기 표 1의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 개시제 Irgacure 651 0.005중량부를 반응기 내에서 잘 혼합하였다. 반응기 내 용존 산소를 질소 기체로 교환한 후 수분 동안 저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 조사함으로써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부분 중합시켜, 25℃에서 5,000cps의 점도를 갖는 점성 액체를 제조하였다. 점성 액체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중합하지 않고 남아있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점성 액체에 개시제 Irgacure 651 0.3중량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10중량부, 대전방지제 FC-4400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1
실시예 8에서 점착제 조성물의 구성을 하기 표 1과 표 2(단위는 중량부)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PET 필름/점착필름/PET 필름의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8에서 점착제 조성물의 구성을 하기 표 2(단위는 중량부)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PET 필름/점착필름/PET 필름의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시트에 대해 하기 표 1 내지 표 2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내었다.
(1)박리력: 실시예와 비교예의 PET 필름/점착필름/PET 필름의 점착시트를 사용하여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점착시트에서 양쪽 PET 필름을 이형하여 점착필름을 얻는다. 점착필름에 폴리이미드 필름(GL70, KOLON사)을 점착시키고 폭 x 길이가 2.5cm x 10cm의 직사각형 시편을 제조한다. 시편을 TA 장치에 부착하고, 상기 시편에서 점착필름을 25℃에서 2400mm/분의 박리 속도로 폴리이미드 필름으로부터 180° 박리시켰을 때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점착필름을 유리판(무알칼리 유리판)에 점착시키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2)대전성능(표면저항): 실시예와 비교예의 PET 필름/점착필름/PET 필름의 점착시트를 사용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상기 점착시트에서 한쪽 PET 필름을 이형시켜 점착필름/PET 필름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에 대해 MCP-HT450을 이용해서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점착필름 표면에 대해 인가전압 100V로 10초 동안 적용한 후 평가하였다.
(3)무게 변화율: 실시예와 비교예의 PET 필름/점착필름/PET 필름의 점착시트를 사용하여 무게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점착시트에서 양쪽 PET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필름을 얻었다. 점착필름의 초기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점착필름을 150℃에서 90분 동안 방치하고 25℃에서 15분 동안 방치한 후 점착필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식 2에 따라 무게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4)잔사 비율: 실시예와 비교예의 PET 필름/점착필름/PET 필름의 점착시트를 사용하여 잔사 비율을 측정하였다. 점착시트에서 양쪽 PET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필름을 얻었다. 점착 시트로 유리판에 대한 박리력이 500gf/in인 아크릴 점착 필름(자체 제작)을 사용하였다. 유리판에 상기 점착 시트를 폭 x 길이 (25mm x 100mm)로 붙이고 점착 시트 박리시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한 점착필름을 유리판에 라미네이션하고 50℃ 오븐에서 10일 동안 방치하고 유리판으로부터 점착필름을 박리시켰다. 점착필름이 박리된 유리판 부분에 상기 점착 테이프를 다시 붙이고 박리력을 평가하였다. 박리력은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식 1에 따라 잔사 비율을 평가하였다.
(5)표면 특성(비산 특성): 실시예와 비교예의 PET 필름/점착필름/PET 필름의 점착시트에 대해 표면 특성을 평가하였다. 점착시트를 폭 x 길이 50mm x 10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23℃ 및 50% 상대습도에서 한쪽 PET 필름을 제거하여 상기 PET 필름에 점착필름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표면 특성은 HEIDON(Surface property tesing machine, Shinto Scientific)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점착 테이프를 유리판에 놓되, 점착필름이 최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SUS 펜(자체 제작)으로 상기 점착필름 표면을 하기 조건에 따라 긁었을 때 점착필름 표면에 파티클 비산, 뭉침, 밀림, 찢김 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파티클 비산, 뭉침, 밀림, 찢김 등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양호'로 평가하고, 파티클 비산, 뭉침, 밀림, 찢김 등이 발생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SUS 펜의 단면 및 직경: 단면은 원형이고, 직경은 1mm
SUS 펜을 긋는 상태의 분위기 온도: 25℃
SUS 펜을 긋는 각도: 점착필름 표면에 대해 45°
SUS 펜을 긋는 속도: 100mm/min
SUS 펜을 긋는 하중: 300g
실시예
1 2 3 4 5 6 7
2-EHA 88 93 97 83 88 93 97
4-HBA 2 2 2 2 2 2 2
SM7515 10 5 1 - - - -
KF2012 - - - 15 10 5 1
SM7530 - - - - - - -
Irgacure651 0.3 0.3 0.3 0.3 0.3 0.3 0.3
FC-4400 0.5 0.5 0.5 0.5 0.5 0.5 0.5
HDDA 10 10 10 10 10 10 10
SM7530 15 10 3 25 15 10 3
총량* 25 15 4 40 25 15 4
비율(%)* 21.7 13.6 3.9 32 21.7 13.6 3.9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박리력 (gf/in) 2.3 2.8 3.0 2.1 2.2 2.9 3.1
유리에 대한 박리력
(gf/in)
2.4 2.9 2.9 2.3 2.2 3.0 2.6
대전 성능
(109Ω/□)
5.6 5.4 5.1 4.9 4.9 5.4 5.2
무게 변화율(%) 1.7 1.3 1.2 1.9 1.8 1.3 1.3
잔사 비율(%) 18 18 16 22 23 18 21
표면 특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비교예
8 9 10 11 1 2 3
2-EHA 58 73 83 94 53 97 98
4-HBA 2 2 2 2 2 2 2
SM7515 - - - - - - -
KF2012 15 10 5 1 20 1 -
SM7530 25 15 10 3 25 - -
Irgacure651 0.3 0.3 0.3 0.3 0.3 0.3 0.3
FC-4400 0.5 0.5 0.5 0.5 0.5 0.5 0.5
HDDA 10 10 10 10 10 10 10
SM7530 - - - - - 2 -
총량* 40 25 15 4 45 3 0
비율(%)* 40 25 15 4 45 2.9 0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박리력 (gf/in) 2.1 2.1 2.5 2.8 1.2 4.6 12.6
유리에 대한 박리력
(gf/in)
2.4 2.2 2.7 3.0 1.2 4.4 12.1
대전 성능
(109Ω/□)
4.8 5.0 5.3 5.1 4.9 4.8 5.4
무게 변화율(%) 1.8 1.9 1.6 1.5 3.8 2.3 1.1
잔사 비율(%) 24 22 17 15 47 30 11
표면 특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표 1 내지 표 2에서,
2-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대정화금),
4-HBA: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키),
SM7515: 화학식 1-1에서 n이 20 내지 70의 정수, R2는 메틸기, R9는 메틸기(KCC사, 분자량:3000),
KF2012: 화학식 1-1에서 n이 30 내지 70의 정수, R2는 부틸기, R8은 프로필렌기, R9는 메틸기 (KCC사, 분자량:6000),
SM7530: 화학식 2-1에서 n이 20 내지 40의 정수, R17,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프로필렌기, R19,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KCC사, 분자량:4000),
Irgacure 651: 개시제, BASF사
HDDA: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Entis사)
FC-4400: 대전방지제(3M사, 이온성 액체, 25℃에서 고상)
총량: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
비율: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계 단량체의 총합에 대한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의 비율
상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점착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 및/또는 유리판에 대한 박리력이 낮아서 점착한 후 박리하였을 때 손상 및/또는 형상 변화가 없게 할 수 있으며, 잔사 특성이 우수하고, 점착시킨 후 재단하였을 때 파티클 비산, 점착필름의 뭉침 및/또는 밀림 및/또는 날림 및/또는 찢김 등이 없게 할 수 있었다.
반면에,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은 박리력이 높았으며 표면 특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표면 특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1은 잔사 특성이 좋지 않았으며, 비교예 2는 박리력이 높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2)

  1.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필름으로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 중 3중량% 내지40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로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필름은 하기 식 2의 무게 변화율이 2% 이하인 것인 점착필름:
    <식 2>
    무게 변화율 = |D - C|/C x 100
    (상기 식 2에서, C는 점착필름의 초기 무게(단위:g)
    D는 상기 점착필름을 150℃에서 90분 동안 방치하고 25℃에서 15분 동안 방치한 후의 상기 점착필름의 무게(단위:g)).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하기 식 1의 잔사 비율이 25% 이하인 것인 점착필름:
    <식 1>
    잔사 비율 = |B - A|/A x 100
    (상기 식 1에서, A는 점착 테이프의 유리판에 대한 박리력(단위:gf/in)
    B는 상기 점착필름을 상기 유리판에 라미네이션하고, 50℃에서 10일 동안 방치하고 상기 점착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유리판 중 상기 점착필름에 제거된 부분에 대한 상기 점착 테이프의 박리력(단위:gf/in)).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박리력이 3.5gf/in 이하인 것인, 점착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유리에 대한 박리력이 3.0gf/in 이하인 것인, 점착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점착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7087296778-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R5, R6,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R8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9는 수소 또는 메틸기, n은 10 내지 100의 정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 중 0.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점착필름:
    <화학식 2>
    Figure 112017087296778-pat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R11, R12, R13, R14, R15,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R17,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19,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 n은 10 내지 100의 정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 중 2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상기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및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점착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100중랑부와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3중량부 내지 25중량부의 총합 중 4중량부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3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상기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로 형성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점착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총합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프리폴리머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중 4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으로 변성된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3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22.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9항, 제11항 내지 제18항, 제20항,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부재.
KR1020170114928A 2017-08-31 2017-09-08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10212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28A KR102126047B1 (ko) 2017-09-08 2017-09-08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PCT/KR2018/010052 WO2019045479A1 (ko) 2017-08-31 2018-08-30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CN201880055979.9A CN111094483A (zh) 2017-08-31 2018-08-30 接着膜及包括其的光学构件
US16/642,831 US11781040B2 (en) 2017-08-31 2018-08-30 Adhesive film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TW107130704A TWI695049B (zh) 2017-08-31 2018-08-31 接著膜及包括其的光學構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28A KR102126047B1 (ko) 2017-09-08 2017-09-08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32A KR20190028032A (ko) 2019-03-18
KR102126047B1 true KR102126047B1 (ko) 2020-06-23

Family

ID=6594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928A KR102126047B1 (ko) 2017-08-31 2017-09-08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1040B2 (en) 2017-08-31 2023-10-10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KR102430601B1 (ko) * 2020-03-03 2022-08-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527459B1 (ko) * 2020-05-29 2023-04-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성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9716A (ja) 2013-03-28 2014-10-06 Toyo Ink Sc Holdings Co Ltd 再剥離性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042B1 (ko) * 2011-12-30 2014-04-15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US9890257B2 (en) * 2013-11-21 2018-02-13 Lg Chem, Ltd. Protective fil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9716A (ja) 2013-03-28 2014-10-06 Toyo Ink Sc Holdings Co Ltd 再剥離性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32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1040B2 (en) Adhesive film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CN106318241B (zh) 粘合剂膜和包括粘合剂膜的显示部件
KR102253711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CN105567109B (zh) 粘合剂膜以及包含粘合剂膜的显示部件
KR101716543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55755B1 (ko) 점착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430601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3980586A (zh) 粘合剂膜以及包含粘合剂膜的显示部件
KR102430602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126047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US20210139754A1 (en) Photocurable adhesive sheet, laminate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210332273A1 (en) Porous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6498602B2 (ja) 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
KR102171407B1 (ko) 점착성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102352953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20220332986A1 (en) (meth)acrylic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308357B1 (ko) 점착성 보호 필름, 이를 위한 점착 시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102401141B1 (ko) 점착 시트,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585553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589268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260095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90030524A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